KR20230130738A -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갖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갖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738A
KR20230130738A KR1020237028025A KR20237028025A KR20230130738A KR 20230130738 A KR20230130738 A KR 20230130738A KR 1020237028025 A KR1020237028025 A KR 1020237028025A KR 20237028025 A KR20237028025 A KR 20237028025A KR 20230130738 A KR20230130738 A KR 2023013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mpressor
elements
longitudinal axis
hea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기름샤이트
외른 프뢸링
플로리안 비레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3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2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by injec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되는 유체, 특히, 냉매를 열매체 유체로 냉각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에 관한 것이다. 장치(10, 10-1, 10-2, 10-3, 10-4, 10-5)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동 채널(11, 11-1, 11-2, 11-5), 열매체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동 채널(12, 12-1, 12-2, 12-3, 12-5), 열매체 유체용 입구(13) 및 출구(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압축기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 특히, 냉매를 열매체 유체로 냉각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유동 채널과, 열매체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유동 채널과, 열매체 유체용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증기 유체, 특히,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압축기를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이동형 응용처용 압축기, 특히, 냉매 압축기라고도 하는, 냉매 회로를 통하여 냉매를 이송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용 압축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벨트를 통하여 자동차의 구동 집합체에 연결되는 풀리를 통하여 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며, 주로, 냉매와는 무관하게, 가변 스트로크 체적을 갖는 피스톤 압축기 또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종래의 전기 구동식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를 구비한다. 전기 모터 및 고정형 선회 나선을 구비하는 압축 기구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체적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이 여러 부품, 특히, 전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요소, 압축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 요소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증기 유체, 구체적으로,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기구의 선회 나선은 전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를 통하여 구동된다.
종래 기술에 알려진 전기 구동식 냉매 압축기에서는, 전기 모터 및 관련 제어 요소 또는 전력 전자 제품 모두가, 흡입 가스라고도 하는, 하우징으로 흡입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뿐만 아니라, 흡입 가스 유동가 압축 기구 내로 유동한 후 압축 기구에서 압축되기 전에, 하우징의 벽 내에서의 열전도를 통해 가열된 흡입 가스로 추가적인 열이 전달된다.
냉매가 받는 열은 흡입된 냉매의 밀도에 영향을 미쳐, 압축기의 작동 중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냉매가 압축 기구로 유입되기 전에 더 추가적인 열이 냉매로 전달되며, 온도 및 비체적이 높을수록 흡입 상태에서의 냉매의 밀도가 낮다. 또한, 흡입된 냉매의 온도가 보다 높아지면,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보다 높아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보다 높아지면, 하우징의 벽 내에서의 열전도를 강화시켜, 흡입 가스를 보다 강하게 가열시킨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압축할 때,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175°C까지 될 수 있어,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냉매 라인, 특히, 가요성 냉매 라인에 대한 요건이 매우 높다.
온도-중요성 부품, 특히, 냉매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한계 온도를 초과하면, 전동 압축기의 전력 소비가 저감된다. 결과적으로, 특히,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채용하는 경우, 냉매 회로는 전력 규제되거나 하향 규제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압축기의 전력의 하향 규제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 내에 압축기를 채용하는 경우 객실 내에서의 열적 편안함을 주목할 만하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 구체적으로, 냉매 압축기에서의 냉매로서의 증기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압축기는 압축 유체의 지나친 고온으로 인한 전력의 하향 규제를 방지하고 최대 효율로 작동 가능해야 한다. 유체에 의해 배출된 열은 연결된 시스템, 예를 들면,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열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하다. 장치는 최소한의 설치 공간과 컴팩트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며,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요지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개발 사항은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 특히, 냉매를 열매체 유체로 냉각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장치는,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동 채널과, 열매체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동 채널과, 열매체 유체용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코어 요소를 가지며 압축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가 모듈식 압축기의 2개의 하우징 요소 사이에서 종축 상에 배치 가능하거나 개별 부품으로서 압축기의 하우징 내에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코어 요소가 형성된다. 장치는 특히 이미 압축된 유체를 냉각하도록 제공되므로, 장치는 압축 기구의 압축기 하류의 조립 상태에서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배치된다.
모듈식 압축기의 2개의 하우징 요소 사이에서의 배치는 종래의 압축기로의 장치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코어 요소 및 하우징 요소의 외부 윤곽 및 치수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요소 및 하우징 요소의 외부 윤곽 및 치수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전개에 따르면, 코어 요소는 플레이트, 특히, 디스크의 형상을 갖는다. 열매체 유체의 입구 및 출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스터브(stub)로서 형성되고 코어 요소의 외부 케이싱 표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요소는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의 대칭의 축에 대응하는 종축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압축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디자인에 따르면, 코어 요소는 외주의 영역에서 종축의 방향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구비하고, 표면의 중심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 상에 종축의 방향으로 균일한 깊이의 평탄 함몰부를 구비한다. 평탄 함몰부는 종축의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종축의 방향으로 외부 횡방향 표면의 배부로 오프셋되는 표면인 것으로 이해된다. 외부 횡방향 표면 및 함몰부의 표면이 걸쳐지는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대안으로서, 코어 요소는 중앙에 형성되는 적층 시트형 플레이트의 구조를 갖는 외주에 외접하는 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코어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코어 요소 내로 각각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 상의 요홈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특히, 요홈은 평탄 함몰부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전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판형, 특히, 디스크-형상 중간 요소가 제공되며, 그 제1 측은 종축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코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을 지지하며 유체 밀봉 방식으로 요홈을 커버한다. 판형 중간 요소는 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중간 요소로 커버된 요홈은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유동 채널은 입구에 연결된 입구 분배부로부터 출구에 연결된 출구 개구로 각각 연장되며 병렬로 열매체 유체로 충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디자인에 따르면, 중간 요소가 함몰부 내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의 외부 윤곽 및 치수가 서로 대응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는 평면형, 원형 시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는 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요소의 외경은 조립체의 유격을 더한 함몰부의 외경에 대응할 수 있고, 종축의 방향의 함몰부의 연장부는 중간 요소의 벽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중앙에 형성되는 적층 시트형 플레이트의 구조를 갖는 외주에 외접하는 링으로서의 코어 요소의 대안적인 디자인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 및 외주에 외접하는 코어 요소의 링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외부 윤곽 및 치수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가 종축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압축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전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판형 외측 요소가 형성물을 구비하고, 형성물은 종축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의 제2 측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외측 요소에 형성된 형성물은, 가능한 유체 밀봉적으로, 중간 요소에 의해 커버되어, 제1 유동 채널이 형성된다.
코어 요소는 종축의 방향으로 균일한 깊이의 각각의 함몰부를 구비하고, 특히, 중앙에서 양측 횡방향 표면 상에 요홈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요홈은 함몰부 내에 배치된 중간 요소의 각각의 제1 측으로 유체 밀봉 방식으로 각각 커버된다. 뿐만 아니라, 형성부를 갖는 외측 요소가 중간 요소의 각각의 제2 측을 지지하여, 외측 요소에 형성된 형성부가, 가능한 유체 밀봉 방식으로, 중간 요소에 의해 커버된다.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는, 유리하게는, 적층 플레이트의 개수 및 정의된 크기만큼 확장 가능한 성능을 갖는 적층 플레이트 열 교환기이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압출 및 형상화된 요소의 납땜 또는 용접된, 특히, 레이저 용접된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열매체 유체 회로 및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 사이에서의 추가적인 밀봉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장치 내에서, 열매체 유체 및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는 역류 또는 교차 역류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 또는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 특히, 냉매는 열매체 유체로서 채용될 수 있다. 열매체 유체로서 냉각수를 채용하면, 장치는 냉매-냉각수 열 교환기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열매체 유체로서 냉매를 사용하면, 장치는 내부 회로 열 교환기로서 작동되는 냉매-냉매 열 교환기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디자인에 따르면, 제1 외측 요소가 입구 개구를 구비하고, 제2 외측 요소가 압축 유체용 출구 개구를 구비한다.
제1 외측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를 가질 수 있어, 제1 유동 채널이 각각 입구 개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로 연장되고 서로 병렬로 유체로 충전된다. 제2 외측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를 가질 수 있어, 제1 유동 채널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로부터 출구 개구로 연장되고 서로 병렬로 유체로 충전된다.
코어 요소에 형성된 압축 유체용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 중간 요소에 형성된 압축 유체용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 제1 외측 요소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 및 제2 외측 요소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는 특히 서로 정렬되게 배치되고 축을 따라 배치되어, 압축 유체가 제1 외측 요소의 분기부의 외부로 유동하고, 임의의 편향 없이 중간 요소 및 코어 요소의 관통 개구를 통하여 직선 유로 상에서 제2 외측 요소의 분기부 내로 유동한다.
복수의 분기부가 외측 요소 내에 형성되면, 중간 요소의 관통 개구, 코어 요소의 관통 개구 및 제2 외측 요소의 분기부가 제1 외측 요소의 각각의 분기부로 지정된다. 복수의 중간 요소가 형성되면, 각 중간 요소가 대응하는 관통 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디자인에 따르면, 코어 요소가 중공 원형 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형 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된 벽 요소가 코어 요소 내에 배치되고, 실린더-형상 중심 요소가 종축과 동축으로 배향되게 벽 요소 내에 배치된다. 코어 요소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은 벽 요소의 외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에 대응하는 반면, 벽 요소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은 중심 요소의 케이싱 표면의 직경에 대응하고, 각각의 케이싱 표면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지지한다.
벽 요소는 유리하게는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용 외부 케이싱 표면 상에 요홈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2 유동 채널용 요홈은 코어 요소의 내부 케이싱 표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벽 요소는 제1 유동 채널용 내부 케이싱 표면 상에 요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제1 유동 채널용 요홈은 중심 요소의 케이싱 표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유동 채널의 요홈이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홈, 특히, 축 방향 나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입구 및 출구는 종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디자인에 따르면, 장치를 통과하는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 특히, 밸브가 코어 요소 내에 일체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증기 유체, 특히, 냉매를 압축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 의해 달성된다. 압축기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 및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유체를 냉각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압축 기구의 유체 하류의 유동 방향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압축기는 일체화된 열 교환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전개에 따르면, 압축 기구는 선회 나선 및 고정 나선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특히, 고정 나선의 외부로의 유체의 출구 및 압축기의 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는 종축 상에 배치된 하우징의 하우징 요소 사이에서 개별적인 부품으로 형성되거나, 압축기의 하우징 내에 일체화되거나, 고정 나선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고정 나선의 부품으로서 장치를 형성하면, 고정 나선 및 이에 따라 나선 내에 이송되는 유체가 압축 시 직접적으로 냉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는 25 mm 내지 30 mm의 범위에서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부를 가져, 장치의 일체화를 통해 압축기의 설치 공간이 약간만 확대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디자인에 따르면,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는 유체의 고압 레벨 하에서 충전된 체적 내에 배치되어,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유동 채널 내에 존재하는 압력 및 외부로부터 유동 채널을 구획하는 벽에 접하는 체적 내에 존재하는 압력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동 채널을 구획하는 벽에 걸친 작은 압력차는 외측 요소의 매우 작은 벽 두께만을 필요로 한다. 열매체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유동 채널을 둘러싸는 벽만이 유체의 고압을 견디는 데에 강건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압축기를 작동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의 성능이 장치를 통과하는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 및 열매체 유체의 공급 온도에 의해 규제되어, 압축 유체의 출구 조건이 압축기의 작동 조건에 독립적으로 압축기의 출구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디자인은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의 냉매에 대한 압축기의 용도를 가능하게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이 장치로 증기 유체를 압축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종래 기술의 장치에 대비하여 여러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 냉매 회로 내의 성능 감소 없는 평균 압축기 온도의 감소, 특히,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압축 유체의 온도의 감소, -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없다면,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갖는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온도가 175°C 이 아닌 100°C 미만,
- 회로 내의 냉매 라인, 특히, 압축기의 하류에서의 온도 요건의 감소, 이에 따른, 회로의 고압 측에서 저온 냉매 라인의 채용을 통한 시스템 비용의 저감,
- 특히, 스크롤 압축기에서 고정 나선의 냉각시, 체적 및 등방성 효율의 증가, - 시스템의 냉각 성능이 높거나 비교 가능한 냉각 성능을 위한 압축기의 구동 성능이 낮으면, 예를 들면, 압축되는 유체로서 이산화탄소로 6% 만큼 구동 성능이 감소하는 경우 질량 유동을 4% 만큼 증가시킴,
- 압축기의 구동 장치의 전기 모터 및 인버터의 간접적인 냉각으로 인한 전기 효율의 증가,
- 압축기의 출구에서의 압축 유체의 지나친 고온으로 인한 압축기의 성능 하향 규제 및 속도 감소를 방지,
- 전도도의 열역학적 붕괴를 통한 압축기의 종축의 방향의 열 전도도 감소,
- 압축기 내의 열의 상당 부분이 열매체 유체 회로를 통해 배출되거나 외부 가스 냉각기/응축기이 필요하지 않음에 따른 열 부하의 감소에 기인하거나 보다 낮은 성능을 갖는 가스 냉각기/응축기에 기인하는 가스 냉각기/응축기 내로의 입구에서의 압축 유체의 온도의 감소,
- 내부 부품의 최대 수명,
- 열매체 유체 회로 내로의 열의 결합 해제를 통한 손실을 방지,
-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의 목표된 규제 및 가열을 위한 압축기의 폐열, 예를 들면, 배터리의 폐열의 목표된 용도, 이에 따른,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의 도달 거리 증가 및 추가적인 전기 가열의 생략,
- 차량 승객의 보다 큰 편안함을 위한 열 관리의 최적화,
- 소리 흡수체로서 내부 캐비티 체적의 사용에 따른 냉각 장치를 통한 시스템 내의 소음 방출, 소리 방출 및 압력 맥동의 저감.
본 발명의 디자인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기 위해 압축기에 일체화된 장치를 갖는 전동 압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유체 냉각용 일체형 장치의 제1 실시예를 갖는 압축기의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유체 냉각용 일체형 장치를 갖는 압축기의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 및 도 3b의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조립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코어 요소, 중간 요소, 및 외측 요소를 갖는 도 3a 및 도 3b의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의 장치의 제1 실시예, 장치의 제2 실시예, 장치의 제3 실시예, 장치의 제4 실시예 및 장치의 제5 실시예를 조합한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개별 요소로서 열매체 유체의 입구 및 출구를 갖는 도 5b의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코어 요소를 도시하는 횡방향 사시도이다.
도 6c 및 도 6d는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 및 열매체 유체 각각의 유동 방향을 갖는 도 6a 및 도 6b의 코어 요소를 도시하는 횡방향 도면이다.
도 1은 증기 유체의 전동 압축기(1), 구체적으로, 냉매 회로를 통하여 냉매를 이송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용 압축기로서, 구동 장치(4)가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특히, 압축 기구(5)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 및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가 압축기(1)에 일체화된 압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하우징(2)은 여러 하우징 요소(2a, 2b, 2c, 2d)를 구비한다.
선회 나선(5a) 및 고정 나선(5b)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형성되는 압축 기구(5) 및 전기 모터(4)가 하우징(2)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 내에 배치된다. 나선(5a, 5b)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기 모터(4)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요소(2a), 전기 모터(4)의 로터로부터의 이동을 압축 기구(5)의 선회 나선(5a)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구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요소(2b) 및 압축 기구(5)를 수용하는 제3 하우징 요소(2c)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유체, 구체적으로,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기구(5)의 선회 나선(5a)은 전기 모터(4)의 로터에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를 통하여 구동된다. 전기 모터(4)의 로터, 구동 샤프트 및 선회 나선(5a)은 압축기(1)의 종축(6)에 대응하는 공통 회전축 상에 배치된다.
하우징(2)은 제4 하우징 요소(2d)를 통하여 폐쇄된다. 제4 하우징 요소(2d)은 압축 냉매가 고온을 갖는 소위 고온 가스로서, 고압 레벨에서, 압축기(1) 외부로 유출되는 냉매 출구(7)를 구비한다.
종축(6) 상에서 배향되어 공통 체적을 둘러싸는 하우징 요소(2a, 2b, 2c, 2d)가 연결 장치(3)를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요소(2a) 및 제4 하우징 요소(2d)는 각각 축 방향으로 형성된 외측에 배치된다.
연결 장치(3)는 관통 개구 및 암나사산을 갖는 블라인드 홀과의 나사 연결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암나사산을 갖는 블라인드 홀은 제1 하우징 요소(2a) 상에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반면, 다른 하우징 요소(2b, 2c, 2d)는 각각 나사 및 나사산식 볼트를 수용하는 관통 개구를 구비한다. 이와 대응하여 서로 정렬되게 배향되는 관통 개구는 각각 블라인드 홀 내에서 제1 하우징 요소(2a)에 의해 각각 수용되는 나사 또는 나사산식 볼트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요소(2a, 2b, 2c, 2d)가 함께 나사 연결되고, 하우징(2)이 폐쇄된다.
종축(6)의 방향으로,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가 제3 하우징 요소(2c) 및 제4 하우징 요소(2d) 사이에 배치된다. 장치(10)는 인접한 하우징 요소(2c, 2d)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장치(10)는 또한 연결 장치(3)의 요소러서 나사 또는 나사산식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개구를 구비하여, 장치(10)가 하우징 요소(2a, 2b, 2c, 2d)와 함께 연결되어 압축기(1)를 형성한다. 장치(10)는 압축기(1) 내에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는, 결과적으로, 냉매 출구(5c)를 갖는 제3 하우징 요소(2c)에 수용되는 압축 기구(5) 및 압축기(1)의 냉매 출구(7)를 갖는 제4 하우징 요소(2d) 사이에 형성된다. 냉매가 고온 가스로서 냉매 출구(7)를 통하여 압축기(1)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냉매는 주로 고압 레벨까지의 압축의 작동 후에 냉각된다.
냉매가 압축 기구(5)로부터 유출되 이후, 냉매는 장치(10)를 통하여 제1 유동 채널(11) 내의 냉매 출구(5c)를 통하여 안내되는 반면, 냉매로부터 열을 수용하는 열매체 유체는 열 교환기로서 형성되는 장치(10)의 제2 유동 채널(12)을 통하여 유동한다.
도 2에서, 사시도로, 하우징 요소(2c, 2d)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기(1) 내에 일체화되는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1)의 제1 실시예를 갖는 압축기의 부품(1)로서 제3 하우징 요소(2c) 및 제4 하우징 요소(2d)가 도시된다. 이에 따라, 장치(10-1)를 보다 양호하게 식별하기 위해 제3 하우징 요소(2c)가 투명 벽으로 표시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 2에 따른 일체형 장치(10-1)를 갖는 압축기의 부품(1)이 사시도 및 횡방향 단면도로 도시된다.
장치(10-1)는, 열매체 유체, 특히, 냉각수용 입구(13) 및 출구(14)를 구비한다. 열매체 유체의 입구(13) 및 출구(14)는 각각 스터브(stub)로서 형성되고 판형 코어 요소(15-1)의 외부 케이싱 표면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판형 코어 요소(15-1)의 외경은 경계 하우징 요소(2c, 2d)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연결 장치(3)의 나사 또는 나사산식 보어를 삽입하기 위한 장치(10-1)의 관통 개구(16)는 코어 요소(15-1) 상에 구비된다.
판형 코어 요소(15-1)는 대응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코어 요소(15-1) 내로 각각 연장되는 횡방향 표면 상에 형성되는 요홈을 갖는다. 요홈은 종축의 방향으로 표면을 지지하는 판형 중간 요소(18-1a, 18-1b)에 의해 폐쇄된다. 중간 요소(18-1a, 18-1b)는 각각 종축(6)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코어 요소(15-1)의 표면을 지지하며 요홈을 커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되며 코어 요소(15-1) 내에 제공되는 요홈은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12-1)을 형성한다. 중간 요소(18-1a, 18-1b)은 각각 평면형, 원형 시트의 형상을 갖는다.
코어 요소(15-1)은 종축(6)의 방향으로, 특히, 외경의 영역에서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다. 코어 요소(15-1)의 중심에서, 코어 요소(15-1)는 양면에 균일한 깊이를 갖는 원형 함몰부(19-1)를 구비한다. 원형 함몰부(19-1)의 외경은 각각 원형 중간 요소(18-1a, 18-1b)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면, 깊이에 대응하는 종축(6)의 방향으로의 함몰부(19-1)의 연장부는 시트형 중간 요소(18-1a, 18-1b)의 두께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중간 요소(18-1a, 18-1b)는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의 외측에 대면하며 코어 요소(15-1) 내에서 정렬된 코어 요소(15-1)에 외면하는 표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코어 요소(15-1) 상에 배치되는 중간 요소(18-1a, 18-1b)와 연관되어, 코어 요소(15-1)는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 평면형이고 폐쇄된 표면을 갖는다.
코어 요소(15-1)는 외경의 영역에서 인접한 하우징 요소(2c, 2d)의 단부측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중간 요소(18-1a, 18-1b)가 위치되는 코어 요소(15-1)의 원형 함몰부(19-1)의 영역은 각각 하우징 요소(2c, 2d)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 내에 배치된다.
판형 외측 요소(17a, 17b)는 코어 요소(15-1)와 정렬되게 배향되는 중간 요소(18-1a, 18-1b)의 표면을 지지한다. 시트로서 형성된 외측 요소(17a, 17b)는, 특히, 열성형에 의해, 구체적으로 생성된 형상을 가지며, 이는 중간 요소(18-1a, 18-1b)의 평면과 연관되어,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냉매용 제1 유동 채널(11-1)을 제공한다. 열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형성물은 종축(6)의 방향으로 지지되는 판형 중간 요소(18-1a, 18-1b)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요소(18-1a, 18-1b)는 각각 종축(6)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외측 요소(17a, 17b)를 지지하며 열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형성물을 커버한다. 외측 요소(17a, 17b)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폐쇄된 영역은 냉매의 제1 유동 채널(11-1)을 형성한다.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1)는, 판형 코어 요소(15-1), 내면이 코어 요소(15-1)의 양면을 지지하는 시트형 중간 요소(18-1a, 18-1b) 및 중간 요소(18-1a, 18-1b)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측 요소(17a, 17b)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열 교환기, 구체적으로, 냉매-냉각수 열 교환기로서 형성된다. 플레이트 열 교환기로서의 형성물은 전달될 열 성능을 간단하게 확장할 수 있다. 다른 부품,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 또는 배터리와 같은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가열하기 위해 가열된 냉각수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전기 PTC 히터와 같은 가열용 다른 부품이 생략될 수 있다.
제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1)는 하우징(2) 자체 내에, 특히, 제4 하우징 요소(2d) 내에 일체화된다. 장치(10-1) 및 하우징 요소(2d)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a에서, 도 3a 및 도 3b의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1)의 제1 실시예가 조립 상태로 사시도로 도시되는 한편, 도 4b 및 도 4c에서, 코어 요소(15-1), 중간 요소(18-1a, 18-1b) 및 외측 요소(17a, 17b)를 갖는 장치(10-1)의 제1 실시예가 각각 분해 사시도로 도시된다. 이에 따라, 특히, 도 4c에서, 장치(10-1)를 통한 냉매의 유로 및 열매체 유체의 유로가 제안된다.
고압 레벨까지 압축된 냉매는 장치(10-1)의 내부로 유동 방향(26)으로 제1 외측 요소(17a)에 형성되는 입구 개구(20)를 통하여 유동하고 제2 외측 요소(17b)에 형성된 출구 개구(21)를 통하여 장치(10-1)의 외부로 유동한다. 유입 이후, 냉매는 제1 외측 요소(17a) 및 제1 중간 요소(18-1a)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동 채널(11-1)로 균등하게 분배된다.
입구 개구(20)로부터 분기부(22a)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유동 채널(11-1)이 병렬로 냉매로 충전된다. 제1 외측 요소(17a)는 2개의 분기부(22a)를 가져, 입구 개구(20)를 통한 유동 이후에, 냉매 질량 유동이 2개의 부분 질량 유동으로 분할되도록 한다. 냉매의 제1 부분 질량 유동은 제1 분기부(22a)에서 종결되는 제1 유동 채널(11-1)을 통하여 안내되는 반면, 냉매의 제2 부분 질량 유동은 제2 분기부(22a)에서 종결되는 제1 유동 채널(11-1)을 통하여 안내된다.
이후, 냉매의 부분 질량 유동은 제1 유동 채널(11-1)의 외부에서 제1 중간 요소(18-1a)에 형성된 관통 개구(23a), 코어 요소(15-1)에 형성된 관통 개구(24) 및 제2 중간 요소(18-1b)에 형성된 관통 개구(23b)를 통하여 제2 중간 요소(18-1b)에 형성된 분기부(22b)로 유동한다.
중간 요소(18-1a, 18-1b)의 관통 개구(23a, 23b), 코어 요소(15-1)의 관통 개구 및 외측 요소(17a)의 분기부(22a, 22b)는 배치 및 유동 단면 면에서 서로 대응한다. 이에 따라, 각각 하나의 분기부(22a, 22b), 중간 요소(18-1a, 18-1b)의 하나의 관통 개구 및 코어 요소(15-1)의 하나의 관통 개구(24)가 서로 정렬되게 배치된다.
제2 외측 요소(17b) 및 제2 중간 요소(18-1b)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동 채널(11-1)은 분기부(22b)로부터 출구 개구(21)로 연장되어 병렬로 냉매로 충전된다. 제1 외측 요소(17a)와 같이, 제2 외측 요소(17b)는 2개의 분기부(22b)를 구비하여, 냉매의 2개의 부분 질량 유동이 제1 유동 채널(11-1)로 각각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냉매의 제1 부분 질량 유동은 제1 분기부(22a) 내로 개방된 제1 유동 채널(11-1) 내로 안내되는 한편, 냉매의 제2 부분 질량 유동은 제2 분기부(22b)로 개방된 제1 유동 채널(11-1) 내로 안내된다. 냉매의 부분 질량 유동은 출구 개구(21)에서 결합된다. 장치(10-1)를 통한 유동 중 냉각되는 냉매 질량 유동은 출구 개구(21)를 통하여 유동 방향(26)으로의 장치(10-1)의 외부로 유동한다. 열이 냉매로부터 열매체 유체로 전달된다.
열매체 유체는 스터브(stub)로 형성된 제1 입구(13)를 통하여 유동 방향(25)으로 장치(10-1)의 내부로 유동하고, 마찬가지로 스터브로 형성된 출구(14)를 통하여 장치(10-1)의 외부로 유동한다. 유입 이후, 열매체 유체는 코어 요소(15-1) 및 중간 요소(18-1a, 18-1b)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유동 채널(12-1)로 균등하게 분배된다. 이에 따라, 제2 유동 채널이 코어 요소(15-1)의 양측에 구비되어, 입구(13)를 통한 유동 이후에,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이 2개의 부분 질량 유동으로 분할되도록 한다.
입구(13)에 연결된 입구 분배부(12-1a)로부터 출구(14)에 연결된 출구 개구(12-1b)로 각각 연장되는 제2 유동 채널(12-1)이 병렬로 열매체 유체로 충전된다. 입구(13)를 통한 유동 이후, 열매체 유체의 2개의 부분 질량 유동은 각각 입구 분배부(12-1a)에서 제2 유동 채널(12-1)로 분할된다. 출구 개구(12-1b)에서 각각 결합된 열매체 유체의 2개의 부분 질량 유동이 함께 출구(14)를 통하여 장치(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장치(10-1)를 통한 유동 중 가열된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은 유동 방향(25)으로 장치(10-1)의 외부로 유동한다.
도 5a 내지 도 5e에서,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의 상이한 실시예가 도 2의 장치(10-1)의 제1 실시예, 장치(10-2)의 제2 실시예, 장치(10-3)의 제3 실시예, 장치(10-4)의 제4 실시예 및 장치(10-5)의 제5 실시예의 조합으로 도시된다. 장치(10, 10-1, 10-2, 10-3, 10-4, 10-5)의 동일한 요소 및 부품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이들의 형성물 및 기능을 고려하여, 상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장치(10-2)의 코어 요소(15-2)의 경우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12-1, 12-2, 12-3)용 요홈 및 제1 유동 채널(11-2)용 요홈을 갖는 판형 코어 요소(15-1, 15-2, 15-3)의 형성물에 있어서, 도 5a 내지 도 5c의 장치(10-1, 10-2, 10-3) 사이의 주요한 차이가 있다.
도 4b 및 도 4c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10-1)의 제1 실시예의 제2 유동 채널(12-1)의 요홈은 코어 요소(15-1)의 양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입구 분배(12-1a)로부터 출구 개구(12-1b)로 각각 연장된다. 따라서, 코어 요소(15-1)의 양측에 제공된 제2 유동 채널(12-1)의 요홈이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특히, 코어 요소(15-1)를 통한 임의의 중간 연결 없이 형성된다. 열매체 유체는 각각 제2 유동 채널(12-1) 내의 반경 방향 유동 내에서 안내된다.
도 5a에 따른 장치(10-1)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5b에 따른 장치(10-2)의 제2 실시예의 제2 유동 채널(12-2)의 요홈은 열매체 유체가 분할되지 않고 일체로 된 질량 유동으로서 장치(10-2)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특히, 종축(6)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코어 요소(15-2)를 통한 중간 연결을 통하여 서로 더 연결되는 코어 요소(15-2)의 양측의 요홈 내에서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이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은 교호 방식으로 코어 요소(15-2)의 양측을 따라 안내되고, 여기에서, 측면의 변경이 코어 요소(15-2) 내에 형성되는 중간 연결이다. 제2 유동 채널(12-2)을 통한 유동 시, 열매체 유체는 교호 방식으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뿐만 아니라, 도 5a에 따른 장치(10-1)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냉매는 코어 요소(15-2)를 통한 축 방향으로의 최단 유로만큼 관통 개구(24)를 통하여 유동하지 않지만, 열매체 유체와 같이, 코어 요소(15-2)의 양측에서 코어 요소(15-2) 내에 구비되는 제1 유동 채널(11-2)을 통하여 요홈 내에서 안내된다. 종축(6)의 방향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코어 요소(15-2)를 통한 중간 연결을 통하여 요홈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냉매의 질량 유동도 교호 방식으로 코어 요소(15-2)의 양측을 따라 안내되고, 여기에서, 측면의 변경이 코어 요소(15-2) 내에 형성되는 중간 연결이다.
도 5a에 따른 본 발명(10-1)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입구(13)를 통한 유동 이후에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이 2개의 부분 질량 유동으로 분할되도록 코어 요소(15-1)의 양측에 제2 유동 채널(12-1)이 구비되는 구성에 따르면, 도 5c에 따른 장치(10-3)의 제3 실시예의 제2 유동 채널(12-3)의 요홈은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 코어 요소(15-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은 분할되지 않은 총 질량 유동으로서 제2 유동 채널(12-3)을 통하여 안내된다. 제2 유동 채널(12-3)을 구획하는 중간 벽이 서로 연결되고 개별 리브를 통하여 코어 요소(15-3)에 연결된다.
중간 요소(18-1a, 18-2a, 18-1b, 18-2b)를 수용하는 코어 요소(15-1, 15-2)내에 구비되는 함몰부(19-1, 19-2)와의 연관된 중간 요소(18-1a, 18-2a, 18-1b, 18-2b)의 형성물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장치(10-1, 10-3),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10-2) 사이의 추가적인 주요한 차이가 있다.
도 5a 및 도 5c의 장치(10-1, 10-3)의 판형 중간 요소(18-1a, 18-1b)가 각각 평면형, 원형 시트의 형상을 갖는 반면, 도 5b의 장치(10-2)의 중간 요소(18-2a, 18-2b)는 종축(6)의 방향의 각각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즉, 코어 요소(15-2)에 외면하는 방향으로 모따기되며, 이에 따라, 특히, 외주에서, 장치(10-1, 10-3)의 중간 요소(18-1a, 18-1b) 보다 상당히 큰 깊이를 갖는다. 중간 요소(18-2a, 18-2b)의 깊이는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 코어 요소(15-2) 내에서 함몰부(19-2)의 연장부와 대응하며, 함몰부(19-2)도 장치(10-1, 10-3)의 코어 요소(15-1, 15-3)의 함몰부(19-1) 보다 큰 연장부를 갖는다. 장치(10-2)의 중간 요소(18-2a, 18-2b)는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 외측에 대면하며 이에 따라 코어 요소(15-2)에 외면하는 표면으로 종축(6)의 방향으로 대면하는 단부면과 정렬되게 코어 요소(15-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에 형성된 장치(10-4)의 개별, 적층 시트형 플레이트의 구조를 갖는 외주에 외접하는 링으로서 장치(10-1, 10-2, 10-3)의 개별 플레이트이 거대한 형상으로의 코어 요소(15-1, 15-2, 15-3, 15-4)의 형성물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도 5a 내지 도 5c의 장치(10-1, 10-2, 10-3)의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도 5d의 장치(10-4) 사이에, 주요한 차이가 있다. 플레이트는 각각 종축(6)의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평면에서 배향된다.
외측 요소(17a, 17b)와 유사하게, 각각 시트로서 형성되고 종축(6)의 방향으로 코어 요소(15-4)의 중앙의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는, 특히, 열성형에 의해 구체적으로 생성된 형성물을 가지며, 이는 각각 중간 요소(18-2a, 18-2b)의 평면과 연관된 열매체 유체용 제2 유동 채널(12-1)을 제공한다. 형성물은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 지지되는 판형 중간 요소(18-2a, 18-2b)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다. 중간 요소(18-2a, 18-2b)는 각각 종축(6)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코어 요소(15-4)의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열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형성물을 커버한다.
종축(6)의 방향으로, 유리하게는 평면형, 시트-형상 플레이트가 형성물을 갖는 시트로서 각각 형성되는 2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이는 특히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코어 요소(15-4)의 제조성을 증가시킨다. 코어 요소(15-4)의 개별 플레이트는 각각 외주에 외접하는 코어 요소(15-4)의 링의 내부 케이싱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 및 치수 면에서 동일한 외부 윤곽을 갖는다.
도 5b의 장치(10-2)의 중간 요소(18-2a, 18-2b)와 같이, 도 5d의 장치(10-4)의 판형 중간 요소(18-2a, 18-2b)는 종축(6)의 방향의 각각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특히, 코어 요소(15-4)에 외면하는 방향으로 모따기된다. 장치(10-4)의 중간 요소(18-2a, 18-2b)는 각각 종축(6)의 방향의 외측에 대면하며 이에 따라 외주에 외접하는 코어 요소(15-2)의 링에 외면하는 표면으로 종축(6)의 방향으로 대면하는 단부면과 코어 요소(15-2)의 링 내에서 정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매용 제1 유동 채널(11-1, 11-2, 11-5) 및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12-1, 12-2, 12-3, 12-5)용 요홈의 형성물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도 5a 내지 도 5c의 장치(10-1, 10-2, 10-3)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도 5e의 장치(10-5) 사이에 주요한 차이가 있다.
장치(10-1, 10-2, 10-3)와 비교하면, 장치(10-5)의 코어 요소(15-5)는 실질적으로 요홈이 없는 중공 원형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코어 요소(15-5) 내에서, 중공 원형 실린더로서 형성된 벽 요소(27)가 배치되는 반면, 벽 요소(27) 내에는, 실린더-형상 중심 요소(28)가 배치된다. 코어 요소(15-5), 벽 요소(27) 및 중심 요소(28)는 대칭의 축에 대응하는 종축(6)을 따라 서로 동축으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코어 요소(15-5)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은 벽 요소(27)의 외부 케이싱 표면의 직격에 대응하는 반면, 벽 요소(27)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은 중심 요소(28)의 케이싱 표면의 직경에 대응한다. 코어 요소(15-5), 벽 요소(27) 및 중심 요소(28)의 케이싱 표면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지지한다.
벽 요소(27)의 외부 케이싱 표면은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12-5)용 요홈을 구비하고, 내부 케이싱 표면에서 냉매의 제1 유동 채널(11-5)용 요홈을 갖는다. 제2 유동 채널(12-5)용 요홈은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코어 요소(15-5)에 의해, 특히, 코어 요소(15-5)의 내부 케이싱 표면에 의해 커버된다. 제1 유동 채널(11-5)용 요홈은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중심 요소(28)에 의해, 특히, 중심 요소(28)의 외부 케이싱 표면에 의해 커버된다.
유동 채널(11-5, 12-5)의 요홈 및 이에 따른 유동 채널(11-5, 12-5) 자체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홈 또는 축 방향 나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입구 및 출구는 각각 종축(6)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장치(10-5)의 코어 요소(15-5)는, 종축(6)의 방향, 장치(10-1, 10-2, 10-3)의 코어 요소(15-1, 15-2, 15-3) 보다 큰 연장부를 갖는다. 유동 채널(11-5, 12-5)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서, 횡방향 사시도로, 도 5b에 따른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장치(10-2)의 제2 실시예의 코어 요소(15-2)가 각각 개별 요소로서 열매체 유체의 입구(13) 및 출구(14)와 함께 도시된다. 도 6c에서,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1)의 유동 방향(29)을 갖는 코어 요소(15-2)가 횡방향 도면으로 도시되는 반면, 도 6d는 마찬가지로 횡방향 도면으로 열매체 유체의 유동 방향(30)을 갖는 코어 요소(15-2)를 도시한다.
한편으로는,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12-1, 12-2)의 요홈의 형성물, 다른 한편으로는, 코어 요소(15-2) 내의 냉매의 제1 유동 채널(11-2)의 요홈의 형성물에 있어서, 장치(10-1, 10-2)의 코어 요소(15-1, 15-2)의 주요한 차이가 있다. 장치(10-1, 10-2)의 동일한 요소 및 부품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이들의 형성물 및 기능을 고려하여, 상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도 4b에 따른 장치(10-1)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유동 채널(12-2)은 코어 요소(15-2) 내에 병렬 채널로의 분할 없이 형성된다. 제2 유동 채널(12-2)은 표면에 형성된 요홈 내에서 코어 요소(15-2)의 양측 상면 상에서 교호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상면에 수직 방향, 이에 따라, 종축의 방향으로 대면하는 중간 연결에 의해, 코어 요소(15-2)의 상면에서의 제2 유동 채널(12-2)의 교호 안내가 가능하다. 중간 연결은 각각 원형 관통 보어로서 형성되거나, 상측 사이에서 장홀의 형상으로 관통 보어로서 형성된다. 요홈 및 중간 연결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어, 도 6d에 따른 열매체 유체가 교호 방식으로 유동 방향(30)으로 코어 요소(15-2)의 양측을 따라 안내되고 실질적으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코어 요소(15-2)를 통하여 유동한다. 제2 유동 채널(12-2)을 통한 유동 시, 열매체 유체는 교호 방식으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유동 방향(30)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라인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코어 요소(15-2)의 가시적인 측면에서 열매체 유체의 유동을 나타내는 반면, 파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코어 요소(15-2)의 커버된 측면에서 열매체 유체의 유동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냉매용 제1 유동 채널(11-2)이 마찬가지로 코어 요소(15-2) 내에 구비되며, 제2 유동 채널(12-2)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유동 채널(11-2)도 상면에 수직 방향, 이에 따라, 종축의 방향으로 대면하는 중간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표면에 형성되는 요홈 내에서 코어 요소(15-2)의 양측 상측에서 교호 방식으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유동 채널(11-2)의 요홈 및 중간 연결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어, 도 6c에 따른 냉매가 교호 방식으로 유동 방향(29)으로 코어 요소(15-2)의 양측을 따라 안내되고 실질적으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코어 요소(15-2)를 통하여 유동한다. 제1 유동 채널(11-2)를 통한 유동 시, 냉매가 교호 방식으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동 방향(29)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라인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코어 요소(15-2)의 가시적인 측면에서 냉매의 유동을 나타내는 반면, 파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코어 요소(15-2)의 커버된 측면에서 냉매의 유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냉매는 제1 외측 요소(17a) 및 제1 중간 요소(18-2a)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동 채널(11-1)을 통하여 안내된 다음, 코어 요소(15-2) 내에 형성된 제1 유동 채널(11-2) 및 최종적으로 제2 외측 요소(17b) 및 제2 중간 요소(18-2b)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동 채널(11-1)을 통하여 안내된다.
1: 압축기
2: 하우징
2a: 제1 하우징 요소
2b: 제2 하우징 요소
2c: 제3 하우징 요소
2d: 제4 하우징 요소
3: 연결 장치
4: 구동 장치, 전기 모터
5: 압축 기구
5a: 선회 나선
5b: 고정 나선
5c: 압축 기구(5)의 냉매 출구
6: 종축
7: 압축기(1)의 냉매 출구
10, 10-1, 10-2, 10-3, 10-4, 10-5: 장치
11, 11-1, 11-2, 11-5: 냉매의 제1 유동 채널
12, 12-1, 12-2, 12-3, 12-5: 열매체 유체의 제2 유동 채널
12-1a: 입구 분배
12-1b: 출구 개구
13: 열매체 유체용 입구
14: 열매체 유체용 출구
15-1, 15-2, 15-3, 15-4, 15-5: 코어 요소
16: 관통 개구
17a: 제1 외측 요소
17b: 제2 외측 요소
18-1a, 18-2a: 제1 중간 요소
18-1b, 18-2b: 제2 중간 요소
19-1, 19-2: 함몰부
20: 냉매용 입구 개구
21: 냉매용 출구 개구
22a, 22b: 분기부
23a, 23b: 관통 개구
24: 관통 개구
25: 열매체 유체의 유동 방향
26: 냉매의 유동 방향
27: 벽 요소
28: 중심 요소
29: 냉매의 유동 방향
30: 열매체 유체의 유동 방향

Claims (30)

  1.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되는 유체, 특히, 냉매를 열매체 유체로 냉각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로서, 상기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동 채널(11, 11-1, 11-2, 11-5), 상기 열매체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동 채널(12, 12-1, 12-2, 12-3, 12-5), 상기 열매체 유체용 입구(13) 및 출구(14)를 구비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에 있어서,
    코어 요소(15-1, 15-2, 15-3, 15-4, 15-5)를 갖는 상기 장치(10, 10-1, 10-2, 10-3, 10-4, 10-5)가 모듈식 압축기(1)의 하우징 요소(2c, 2d) 사이에서 종축(6) 상에 개별 부품으로서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압축기의 하우징 내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 1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 15-5) 및 상기 하우징 요소(2c, 2d)의 상기 외부 윤곽 및 치수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는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압축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는 외주의 영역에서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갖고 중앙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 상에서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균일한 깊이의 평탄 함몰부(19-1, 19-2)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코어 요소(15-4)는 상기 중앙에 형성되는 적층 시트형 플레이트의 구조를 갖는 외주에 외접하는 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 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에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균일한 깊이의 평탄 함몰부(19-1, 19-2)를 갖는 중앙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1 측이 상기 종축(6)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표면을 지지하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상기 요홈을 커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판형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가 형성되고 배치되며,
    상기 커버된 요홈은 상기 열매체 유체의 상기 제2 유동 채널(12-1, 12-2, 1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 채널(12-1)은 각각 상기 입구(13)에 연결되는 입구 분배부(12-1a)로부터 상기 출구(14)에 연결되는 출구 개구(12-1b)로 연장되어 병렬로 열매체 유체로 충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가 상기 함몰부(19-1, 19-2)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19-1, 19-2)의 외부 윤곽 및 치수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18-2a, 18-2b) 및 외주에 외접하는 상기 코어 요소(15-4)의 링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외부 윤곽 및 치수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18-1a, 18-1b)는 평면형, 원형 시트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19-1)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의 외경은 조립체의 유격을 더한 상기 함몰부(19-1)의 외경에 대응하고,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의 상기 함몰부(19-1)의 연장부는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의 벽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는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압축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3a, 23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판형 외측 요소(17a, 17b)은 상기 종축(6)에 수직으로 걸쳐진 평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의 제2 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물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측 요소(17a, 17b)의 상기 형성물이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에 의해 커버됨에 따라 상기 제1 유동 채널(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는 각각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균일한 깊이의 함몰부(19-1, 19-2) 및 중앙에서의 상기 횡방향 표면에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은 각각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의 각각의 제1 측으로 상기 함몰부(19-1, 19-2) 내에 배치되는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에 의해 유체 밀봉 방식으로 커버되고, 형성물을 갖는 각각의 외측 요소(17a, 17b)는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의 제2 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형성물은 상기 중간 요소(18-1a, 18-1b, 18-2a, 18-2b)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5.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외측 요소(17a)는 입구 개구(20)를 갖고, 제2 외측 요소(17b)는 압축 유체용 출구 개구(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요소(17a)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22a)를 갖고,
    상기 제1 유동 채널(11-1)는 상기 입구 개구(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22a)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병렬로 유체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요소(17b)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22b)를 갖고,
    상기 제1 유동 채널(11-1)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분기부(22b)로부터 상기 출구 개구(21)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병렬로 유체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5)는 중공 원형 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5).
  19. 제18항에 있어서,
    중공 원형 실린더로 형성된 벽 요소(27)가 상기 코어 요소(15-5) 내에 배치되고, 실린더-형상 중심 요소(28)가 상기 종축(6)과 동축으로 배향되게 상기 벽 요소(27)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5).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요소(15-5)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은 상기 벽 요소(27)의 외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에 대응하고,
    상기 벽 요소(27)의 내부 케이싱 표면의 직경은 상기 중심 요소(28)의 케이싱 표면의 직경에 대응하고,
    상기 각각의 케이싱 표면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5).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벽 요소(27)는 외부 케이싱 표면 상에 상기 열매체 유체의 상기 제2 유동 채널(12-5)용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5).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요소(27)는 내부 케이싱 표면 상에 상기 제1 유동 채널(11-5)용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5).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11-5, 12-5)의 상기 요홈은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홈, 특히, 축 방향 나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입구 및 출구는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5).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 특히, 밸브가 상기 코어 요소(15-1, 15-2, 15-3, 15-4, 15-5) 내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
  25.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4), 상기 구동 장치(4)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기구(5)를 구비하며 증기 유체, 특히,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10, 10-1, 10-2, 10-3, 10-4, 10-5)가 상기 압축 기구(5)의 유체 하류의 유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1).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기구(5)는 선회 나선(5a) 및 고정 나선(5b)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10, 10-1, 10-2, 10-3, 10-4, 10-5)는, 종축(6) 상에 배치된 상기 하우징(2)의 하우징 요소(2c, 2d) 사이의 개별 요소로서 또는 상기 압축기의 상기 하우징에 일체화된 개별 요소로서, 또는 상기 고정 나선(5b)의 부품으로서, 상기 고정 나선(5b)의 외부로의 유체의 출구 및 상기 압축기(1)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1).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유체를 냉각하는 상기 장치(10, 10-1, 10-2, 10-3, 10-4, 10-5)는 25 mm 내지 30 mm 범위에서 상기 종축(6)의 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1).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를 냉각하는 상기 장치(10, 10-1, 10-2, 10-3, 10-4, 10-5)는 상기 유체의 고압 레벨 하에서 충전된 체적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유동 채널(11, 11-1, 11-2, 11-5) 내에 존재하는 압력 및 상기 유동 채널(11, 11-1, 11-2, 11-5)을 구획하는 벽에 접하는 체적 내에 존재하는 압력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1).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상기 장치(10, 10-1, 10-2, 10-3, 10-4, 10-5)의 성능이 상기 장치(10, 10-1, 10-2, 10-3, 10-4, 10-5)를 통과하는 상기 열매체 유체의 질량 유동 및 상기 열매체 유체의 공급 온도에 의해 규제되어, 압축 유체의 출구 조건이 상기 압축기(1)의 작동 조건에 독립적으로 상기 압축기(1)의 출구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1).
  30.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의 냉매에 대한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기(1)의 용도.
KR1020237028025A 2021-06-01 2022-05-24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갖는 압축기 KR202301307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4165.6 2021-06-01
DE102021114165 2021-06-01
DE102022106259.7 2022-03-17
DE102022106259.7A DE102022106259A1 (de) 2021-06-01 2022-03-17 Vorrichtung zum Kühlen eines in einem Verdichter zu verdichtenden Fluids und Verdichter mit der Vorrichtung
PCT/KR2022/007373 WO2022255714A1 (en) 2021-06-01 2022-05-24 Device for cooling a fluid to be compressed in a compressor and compressor with th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738A true KR20230130738A (ko) 2023-09-12

Family

ID=8399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025A KR20230130738A (ko) 2021-06-01 2022-05-24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갖는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75438A1 (ko)
EP (1) EP4348051A1 (ko)
KR (1) KR20230130738A (ko)
CN (1) CN116964329A (ko)
DE (1) DE102022106259A1 (ko)
WO (1) WO20222557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507A (ja) * 1994-11-24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冷媒流量制御弁及び冷媒流量制御弁を用いた冷凍装置
KR100561099B1 (ko) * 2003-06-02 2006-03-15 한국기계연구원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냉각구조를 갖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0717608B1 (ko) * 2004-06-02 2007-05-15 공태웅 나선형 유로를 갖는 폐수 열교환기
KR101677605B1 (ko) * 2016-02-16 2016-11-21 주식회사 플로우포스 소용돌이형 열교환 장치
KR102339600B1 (ko) * 2017-05-26 202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75438A1 (en) 2024-05-30
WO2022255714A1 (en) 2022-12-08
EP4348051A1 (en) 2024-04-10
CN116964329A (zh) 2023-10-27
DE102022106259A1 (de)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687B2 (en) Electric compressor
JP4671844B2 (ja) ブロワ
US7004735B2 (en) Scroll-type fluid machine having a path to pass and cool the fluid
US6210132B1 (en) Partition means for directing air flow over a cooler in an oilless scroll compressor
US20180287452A1 (en) Motor
US11286930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recessed outer fixed scroll wall
US8128387B2 (en) Discharge chamber for dual drive scroll compressor
US7544047B2 (en) Compressor with two cooling chambers
JP6125375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2002106485A (ja) モータ一体型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30130738A (ko)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유체를 냉각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갖는 압축기
CN116995863A (zh) 油冷直线电机及自由活塞发电系统
JP5656554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7267798B2 (ja) 圧縮機及び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型熱交換器
CN103670646B (zh) 增压空气冷却器
US20020094289A1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cooling fins included inside a discharge port of a compressed gas
US20060029510A1 (en) Motor-driven Roots compressor
CN220909988U (zh) 涡旋压缩机
CN218542637U (zh) 变频器一体化压缩机及其冷却结构、空调设备
CN209892449U (zh) 卧式压缩机及具有其的制冷装置
WO2022237057A1 (zh) 压缩机、制冷系统和制冷设备
US20220242199A1 (en) Fluid machine
CN109185128B (zh) 一种涡旋空气压缩机
CN117189614A (zh) 涡旋压缩机
CN115653912A (zh) 变频器一体化压缩机及其冷却结构、空调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