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887A -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887A
KR20230129887A KR1020220027089A KR20220027089A KR20230129887A KR 20230129887 A KR20230129887 A KR 20230129887A KR 1020220027089 A KR1020220027089 A KR 1020220027089A KR 20220027089 A KR20220027089 A KR 20220027089A KR 20230129887 A KR20230129887 A KR 20230129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osts
oyster shells
oyster shell
sh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조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희 filed Critical 조정희
Priority to KR102022002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887A/ko
Publication of KR2023012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3Cleaning operations on bivalves, e.g. evisceration, brushing, separation of meat and shel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유수면 매립등으로 인한 해수욕장 백사장 모래의 유실로 인하여 백사장 복원에 매년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며, 공유수면 매립에 막대한 매립재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30만톤의 막대한 양의 굴패각이 발생하고 있으며, 처리비용 또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처리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굴패각을 5mm이상의 크기로 파쇄하고, 파쇄된 굴패각의 날카로운 면을 연마하고, 유기물을 제거하여 선별한다. 생성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는 장기간 보관할 것은 건조기로 건조 후 보관탱크에 저장하고, 즉시 사용할 것은 건조없이 사용 가능하다. 염분의 제거와 상관없이 사용가능 하므로 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절감되며,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공유수면 매립, 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에 사용하여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public waters reclamation materials and sandy beach sand using oyster shell}
본 발명은 굴패각을 이용하여 공유수면 매립재 및 해수욕장 백사장의 유실되는 모래의 대체로 사용하여 특히 처리과정에서 많은 비용과 어려움이 있던 굴패각을 저렴하고 쉽게 처리하는 동시에 재활용하기 위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이 발전하면서 굴의 생산률 및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굴가공 관련 사업장에서 굴패각이 대량 발생되어 처리가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굴패각의 처리는 소량이 재활용되고 있으나 많은 비용의 발생과 처리의 어려움으로 대부분이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장시간 방치되고 있는 굴패각은 부패로 인한 악취와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굴패각의 처리방법에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굴패각을 세척한 후 유기물 및 염분을 제거하고 발전소의 탈황 소재, 시멘트 생산, 부영양화 조절, 중금속 제거, 비료 등의 생산에 활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은, 굴패각의 염분제거 및 열분해 등으로 인하여 막대한 운전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과 생활수준의 변화 등에 따른 악취발생에 대한 지역주민의 거센 반발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막대한 운전비용이 발생하는 기존의 재활용방법을 탈피하여 친환경적인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굴패각을 그물망에 패각껍질을 담아 만든 망태를 쌓아 올린 경계석, 경계석을 이용한 갯벌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의 경계석을 쌓은 둑, 굴패각과 왕모래 혼합물을 경계석 내부 갯벌에 일정 두께로 살포, 살포물의 구성은 갯벌과 굴패각의 조성비가 20% : 80% 이고, 왕모래와 굴패각의 혼합물과 갯벌의 조성비는 30% : 50% : 20% 로 이루어질 수 있다. 5-7일 경과하여 패각이 지반에 침하되어 안정화된 후 바지락 종폐를 뿌려 바지락 양식장으로 활용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굴패각을 1차 분쇄단계, 1차 선별단계, 마사토 혼합, 1차 세척, 2차 선별(필요시 세척), 2차 분쇄, 3차 선별(필요시 세척), 시멘트 또는 고화재를 혼합하여 몰탈 조성물을 생성하고, 1차 선별과 2차선별 과정에서 발생된 패각분말과 유기물은 톱밥과 EM 으로 발효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퇴비로의 활용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1919호(2014.02.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3152호(2021.05.11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굴패각의 유기물에 의한 악취 및 여러 환경적인 문제가 야기될수 있고, 혼합물의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굴패각에 있는 염분의 제거가 원활하지 않아 최종 몰탈조성물의 품질에 문제가 야기될수 있고, 여러단계의 세척으로 2차 폐기물의 발생이 많고, 혼합물의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굴패각을 친환경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년 해수욕장 백사장의 복원에 사용되는 모래의 대체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굴패각을 파쇄하는 파쇄기, 파쇄된 굴패각의 날카로운 면을 제거하고 유기물을 제거하는 연마기, 저장을 위한 건조기, 건조된 굴패각을 저장할 수 있는 보관탱크, 유기물 및 굴패각 잔여 분말을 분리하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에서, 상기 파쇄기는 분말이 아닌 5mm 이상의 크기로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에서, 상기 연마기는 외부 스크린, 세척 노즐,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는 연마제나 모래, 자갈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파쇄기(200)에서는 분말이 아닌 5mm 이상으로 파쇄하여 기존의 고밀도 분쇄에 비해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마기(400)에서는 파쇄된 굴패각(S10)의 날카로운 면을 제거함과 동시에 유기물도 제거할 수 있고, 염분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으므로 염분 제거에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던 종래의 처리방법에 비해 막대한 비용절감의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건조단계(500)에서는 장기간 보관으로 인한 악취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해수욕장의 백사장 복원에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 가능한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굴패각을 5mm 이상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200), 파쇄된 굴패각(S10)의 날카로운면 제거하고, 굴패각(S20)과 유기물을 세척 분리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400), 장기간 보관시 악취 및 각종 환경오염의 제거를 위한 건조단계(500),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로 활용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기간 보관하지 아니하는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S30)는 건조단계(500)를 거치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4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기(400)는 굴패각(S10)의 날카로운 면을 제거하기 위한 연마제(440)가 혼합되고, 유기물을 세척 분리하는 세척 노즐(430)과 세척수의 수위(450), 굴패각(S20)을 선별하는 1차 스크린(420)과 2차 스크린(410),연마기(400)를 회전하는 샤프트(46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마기(400)의 내부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가지 설비 내에 선별 및 유기물 제거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높인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방법은 굴패각을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S30)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200)를 이용하여 5mm 이상의 크기로 파쇄한다.
상기 파쇄기(200)는 통상의 파쇄기(200)로서, 예를 들어 기존의 굴패각 파쇄기(200)를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연마기(400)를 이용하여 연마제(440) 등을 혼합하여 파쇄된 굴패각(S10)의 날카로운 면을 제거하고, 세척 노즐(430)에서 물을 분사하여 굴패각(S20)과 유기물을 분류하며, 1차 스크린(420)과 2차 스크린(410)을 통하여 선별한다.
상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세정수(450) 및 오염물질은 침전조(700)에서 분류하여 침전물은 방출하여 처리하고, 세정수(450)는 순환 사용 후 방출하여 처리한다.
이어서, 장기간 보관할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S30)는 건조기(500)를 이용하여 건조 후 보관탱크(800)에 보관하며, 즉시 사용할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S30)는 건조하지 않고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S30)로 사용한다.
상기 건조기(500)는 통상의 건조기(500)로서, 예를 들어 기존의 폐기물 건조기(500)를 활용할 수 있고, 보관탱크(800)는 통상의 보관탱크(800)로서, 예를 들어 기존의 저장용 보관탱크(800)를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서는 염분 제거 및 열분해, 발효를 하지 않으므로, 굴패각 처리에 막대한 비용을 감소시키며, 굴패각을 재활용하여 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에 소비되는 막대한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굴패각의 처리비용을 감소시키며, 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00 : 파쇄기
400 : 연마기
500 : 건조기
700 : 침전조
800 : 보관탱크

Claims (3)

  1. A) 굴패각을 5mm 이상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
    B) 파쇄된 굴패각의 날카로운면 제거하고, 굴패각과 유기물을 세척 분리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
    C) 장기간 보관시 악취 및 각종 환경오염의 제거를 위한 건조단계,
    D)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로 활용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B) 단계의 연마기는 연마제를 혼합하여 파쇄된 굴패각의 날카로운 면을 제거하고, 세척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굴패각과 유기물을 분류하며, 스크린을 통하여 선별한다.
    연마제는 모래, 자갈 등 연마 가능한 물질을 말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A), B), D) 단계로 활용하는 방법.
    A), D) 단계로 활용하는 방법.
    D) 단계로 활용하는 방법.
    D) 단계로 활용하는 방법 중 백사장 모래로만 활용하는 방법.
KR1020220027089A 2022-03-02 2022-03-02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30129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89A KR20230129887A (ko) 2022-03-02 2022-03-02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89A KR20230129887A (ko) 2022-03-02 2022-03-02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87A true KR20230129887A (ko) 2023-09-11

Family

ID=880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089A KR20230129887A (ko) 2022-03-02 2022-03-02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988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919B1 (ko) 2012-03-29 2014-02-14 전라남도 패각을 이용한 갯벌 양식장의 조성방법
KR102253152B1 (ko) 2021-03-10 2021-05-18 (주)씨엘지오텍 굴패각을 이용한 파일 매입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굴패각을 이용한 파일 매입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919B1 (ko) 2012-03-29 2014-02-14 전라남도 패각을 이용한 갯벌 양식장의 조성방법
KR102253152B1 (ko) 2021-03-10 2021-05-18 (주)씨엘지오텍 굴패각을 이용한 파일 매입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굴패각을 이용한 파일 매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726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heterogeneous waste to provide a homogeneous fuel
JP4903653B2 (ja) 材料回収システム
KR101004462B1 (ko) 해양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제조장치
DE502006001756D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zerkleinerung und reinigung von abfallkunststoff
JP2006320814A (ja) 再生細骨材の製造方法、並びに、再生細骨材
KR10052176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CN113480217A (zh) 一种利用建筑垃圾制备混凝土的混凝土生产工艺
KR100696614B1 (ko)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KR20230129887A (ko) 굴패각을 활용한 공유수면 매립재 및 백사장 모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39417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KR100529587B1 (ko) 골재 재생을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3613B1 (ko) 폐 패각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용 잔골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3153B1 (ko) 굴패각을 이용한 그라우팅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굴패각을 이용한 저유동 몰탈 그라우팅 공법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1299303A (zh) 一种建筑施工残料制备再生骨料的生产工艺
CN111361056A (zh) 一种造纸废渣回收利用的工艺
CN107073531B (zh) 底灰的脱盐·水泥原料化方法及装置
JP4041580B2 (ja) 廃棄物燃料の製造方法
KR100478716B1 (ko) 습식 스크린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KR102032939B1 (ko) 조선 사업 부산물 재료와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만든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KR20200093795A (ko) 재생 가능한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구성
CN113019678B (zh) 生物质燃烧炉渣的分选工艺
KR20050099298A (ko) 순환골재와 페각과 페염산을 이용한 고강 및 조강용 기능성 모래 및 그 제조방법
JP2001340839A (ja) 産業廃棄物処理装置及び産業廃棄物処理方法
JPH02265606A (ja) し渣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