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239A -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및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분산액 - Google Patents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및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239A
KR20230129239A KR1020237024254A KR20237024254A KR20230129239A KR 20230129239 A KR20230129239 A KR 20230129239A KR 1020237024254 A KR1020237024254 A KR 1020237024254A KR 20237024254 A KR20237024254 A KR 20237024254A KR 20230129239 A KR20230129239 A KR 2023012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medical
microbubbles
dispersion liquid
bubble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835B1 (ko
Inventor
타케시 오다이라
Original Assignee
타케시 오다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케시 오다이라 filed Critical 타케시 오다이라
Publication of KR2023012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과제] 나노 버블 분산액 또는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의료에 유효하게 이용한다.
[해결 수단] 평균 입경이 1μm~900μm로서 정 또는 부로 대전된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사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의 팽창효과에 의해 종양 세포의 장막 접착을 박리 및 제거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및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Medical nano bubble dispersion liquid and medical micro bubble dispersion liquid}
본 발명은,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및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나노 버블 분산액은 지름 1μm 미만의 입경의 미소 기포를 포함하고 있어, 생물의 생리 활성을 촉진하는 작용 효과를 소유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주목을 모으고 있다. 선행 기술로서, 특허 문헌1 및 2에는, 나노 버블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에는, 나노 버블 분산액을 의료 분야에 이용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나노 버블보다 입경이 큰 마이크로 버블도 나노 버블과 같은 작용 효과를 생각할 수 있으나,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의료 분야에 이용하는 것 또한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1] 특개 2009-131768호 공보 [특허 문헌2] 특허 제4144669호 공보
이상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버블 분산액 또는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이 의료 분야에 유효 이용할 수 있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은 평균 입경이 10∼500nm이며 제타 전위가 20∼200mV인 나노 버블이, 액체 1cc에 대하여 105∼1010개 포함되는 정으로 대전한 나노 버블 분산액을 포함하고,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은,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사람의 환부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은,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사람의 환부의 종상 세포를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은 평균 입경이 1∼900μm이며 제타 전위가 20∼200mV인 마이크로 버블이, 액체 1cc에 대하여 105∼1010개 포함되는 정으로 대전한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포함하고,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은,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상기 사람의 환부의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점성 배출물 또는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침출물을 파쇄해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은,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상기 사람의 환부의 혈성 응혈괴를 파쇄해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은, 사람의 환부에 접촉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상기 사람의 환부의 종상 세포를 박리해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과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과의 혼합액은, 평균 입경이 10∼500nm이며 제타 전위가 20∼200mV인 나노 버블이, 액체 1cc에 대하여 105∼1010개 포함되는 정으로 대전한 나노 버블 분산액과, 평균 입경이 1∼900μm이며 제타 전위가 20∼200mV인 마이크로 버블이, 액체 1cc에 대하여 105∼1010개 포함되는 정으로 대전한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과의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버블을 포함하는 나노 버블 분산액 또는 / 및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의료 분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점성 배출물 또는 감염성 침출물에 대한 마이크로 버블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다.
도 2는암 세포의 장막 박리성을 나타내는 컨트롤과의 박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비교를 나타내는 도다.
이하, 본 발명을 각 실시 형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노 버블 분산액 또는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혹은 이들 분산액의 혼합액을 환부에 접촉시켜서 환부의 치료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나노 버블 분산액은, 나노 버블을 액체 중에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나노 버블로서는, 평균 입경이 10~500nm로 되어 있는 나노 오더의 미소 기포가 이용된다. 평균 입경이 10nm 미만의 기포에서는, 기포가 지나치게 작아져서 의료 목적의 조직으로의 작용력이 작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평균 입경이 500nm를 초과하면, 액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고, 결과적으로 의료 목적의 조직으로의 작용력이 작아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나노 버블은 정 또는 부로 대전한 상태로 액체에 분산되어 있다. 정 또는 부 중 하나로 대전되는 것에 의해, 나노 버블이 서로 반발하므로, 액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에 의해 골고루 환부에 접촉할 수 있다. 환부에 대한 접촉은, 분산액을 환부에 도포하거나, 분산액을 스며들게 한 거즈를 환부에 대거나, 환부를 분산액에 침지하는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나노 버블은 액체 1cc에 대하여 105~1010개 정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이 함유량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직으로의 작용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나노 버블은 제타 전위가 10~200mV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난 제타 전위에서는, 액체 중의 분산성이 저하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나노 버블을 분산시키는 액체로서는, 오존수나 멸균수가 선택된다. 이 중, 오존수는, 오존을 나노 버블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나노 버블 분산액을 환부의 조직에 접촉시켜서 환부의 치료를 행한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나노 버블 분산액을 환부의 조직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시켜서 항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대전한 나노 버블이 정전기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의 세포막에 접합하고, 천자해서 세포막을 파괴하고, 핵 등의 세포 내 구조물이 일탈해서 세포가 사멸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이 때, 오존을 포함할 경우에는, 오존에 의한 세포막의 파괴도 수반한다. 또한, 대전된 나노 버블이 환부의 세포와 접촉하면, 엔도사이토시스 또는 파고사이토시스에 의해 나노 버블이 세포 내에 침입하고, 세포 내의 라이소솜으로 반송되어서 라이소솜을 파괴하고, 라이소솜 내의 소화 효소의 원형질이 탈실하여 세포의 내측에서 세포가 파괴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버블 분산액을 암 세포등의 종상세포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종상 세포를 파쇄해서 사멸시킬 수 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와 같이, 나노 버블이 암 세포 등의 종상 세포와 접촉하면, 대전된 나노 버블이 종상 세포에 정전기적으로 접합하고, 천자하여 세포막을 파괴하고, 세포핵 등의 세포 내 구조물이 일탈해서 세포가 사멸한다. 이 때, 오존을 포함할 경우에는, 오존에 의한 세포막의 파괴도 수반한다. 이들에 의해 항종상성이 발휘된다.
또한, 대전된 나노 버블이 세포와 접촉하면, 엔도사이토시스 또는 파고사이토시스에 의해 나노 버블이 종상 세포 내에 침입하고, 종상 세포 내의 라이소솜으로 반송되어서 라이소솜을 파괴하고, 라이소솜 내의 소화 효소의 원형질이 탈실하여 종상 세포의 내측에서 세포가 파괴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이에 의해서도 항종상성이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버블 분산액 이외에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은, 평균 입경이 1~900μm로 되어 있는 마이크로 오더의 미소 기포를 액체 중에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평균 입경이 1μm 미만에서는, 의료 목적의 조직으로의 작용력이 작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평균 입경이 900μm를 초과하면, 액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고, 결과적으로 의료 목적의 조직으로의 작용력이 작아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마이크로 버블은 정 또는 부로 대전된 상태로 액체로 분산되어 있다. 정 또는 부 중 어느 하나로 대전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서로 반발하므로, 액체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분산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에 의해 골고루 조직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마이크로 버블은 나노 버블과 같이, 액체 1cc에 대하여 105~1010개 정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이 함유량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직으로의 작용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은 제타 전위가 10~200mV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난 제타 전위에서는, 액체 중의 분산성이 저하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환부가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점성 배출물 또는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침출물의 경우,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환부의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점성 배출물 또는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침출물에 접촉시킨다.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은 벌루닝 효과를 가지고 있다. 벌루닝 효과는, 마이크로 버블이 수 초~수십 초 동안에 수mm의 크기로 팽화하는 현상이다.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이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점성 배출물 또는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침출물에 접촉하면, 벌루닝 효과에 의해 이들을 수μm~수백μm의 범위로 파쇄하므로, 세정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대전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수축성 쿨롱력을 소유하고 있고,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이 버블 내 가스 분자의 엔트로피 증대력과의 밸런스로 버블 직경 증대 경향을 컨트롤함으로써, 점성 배출물 및 점성 침출물을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초래되는 벌루닝 효과로 파쇄한다. 이에 의해 세정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경우의 마이크로 버블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다. 마이크로 버블의 대전성과 작은 사이즈를 살려서 객담 등의 점성 분비물의 내부에 침입하고,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점성 분비물을 내면에서 파쇄한다. 이 때, 파이버 섬유만 남겨서 점성 분비물을 분쇄하므로, 점성 분비물의 빠르고 완전한 세정성을 보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데브리망(불량 육아나 괴사 조직의 배제·세정)을 단시간에 완료하고, 창상 치유를 지연시키는 국소 오염 인자를 육안 레벨에서 짧은 시간에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환부가 혈성 응혈괴인 경우,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혈성 응혈괴에 접촉시켜서,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상기 혈성 응혈괴를 파쇄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 작용은 상술한 도 1과 같다.
마이크로 버블의 대전성과 작은 사이즈 특성을 살려서 마이크로 버블이 응혈괴의 내부에 침입하고,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응혈괴를 내면에서 파쇄하고, 파이버 섬유만 남겨 응혈괴를 분쇄한다. 이에 의해 응혈괴의 빠르고 완전한 세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응혈괴에 의한 수술의 시야 확보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장으로부터의 출혈에 의해 복강 내 거대 혈종과 혈성 복수가 찬다. 종래에는, 생리 식염수로 다소 세정하여도 젤리 형상의 응혈괴가 남고, 세정 노즐이 막혔으나, 본 발명에서는, 비장으로부터의 출혈에 의해 복강 내 거대 혈종과 혈성 복수가 찬 후에도, 벌루닝 효과 시의 5초간의 연무 형상 생리식염수의 흐림을 발생시키기는 하나, 그 후, 응혈괴는 모두 파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리어한 시야를 확보하면서 체강 내 세정을 수행할 수 있고, 수술 조작의 조기 복귀·속행이 가능해진다.
환부가 암 세포 등의 종상 세포인 경우,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종상 세포에 접촉시켜서,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종상 세포를 박리해서 제거한다. 이하, 암 세포를 예로 설명한다.
암 세포가 세포 외 접착 인자에 의해 복막·흉막·심막 등의 장막과 접착하고, 장막에 암장막 파종 전위를 성립시킨다. 이에 대하여,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암 세포에 접촉시키면, 암 세포·장막 간으로의 대전된 마이크로 버블의 전기적 접합 및 작은 사이즈에 기인한 침입성에 의해 암 세포의 사이에 개재한다. 그리고 대전된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암 세포·장막 사이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차량용 작키와 같은 원리로 세포를 들어 올린다. 이에 의해 암 세포 접착 인자에 의한 암 세포·장막 접착의 박리가 이루어지고, 장막 파종성 전이의 방지·제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는, 암 세포의 장막 박리성을 나타내는 컨트롤과의 박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비교를 나타낸다. 모든 암 세포에 있어서, 대전성의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의 박리·세정의 우위성이 나타나 있다. 도 2는 외과 수술의 대상이 되는 암 세포이며, 「AGS」는 위선암, 「KATO III」는 위암, 「ASPC-1」은 전이성 췌장암, 「MIAPaCa-2」는 췌장암, 「HepG2」는 간암, 「DID-1」, 「HT-29」, 「LS180」은 결장선암의 암 세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의 나노 버블 분산액과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을 혼합한 혼합액을 환부에 접촉시켜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혼합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나노 버블 분산액과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쌍방의 효용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나노 버블 분산액에 의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종상 세포의 파쇄를 할 수 있고,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에 의해, 동(同) 분산액이 소유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벌루닝 효과에 의해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점성 배출물 또는 혈성 혹은 비혈성 감염성 침출물의 파쇄·세정을 할 수 있고, 혈성 응혈괴의 파쇄·제거를 할 수 있고, 종상 세포의 박리·제거를 할 수 있다.

Claims (2)

  1. 평균 입경이 1μm~900μm로서 정 또는 부로 대전된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팽창효과에 의해 종양 세포의 장막 접착을 박리 및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는 적어도 위선암, 위암, 전이성 췌장암, 췌장암, 간암, 결장선암 중 하나 이상인,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KR1020237024254A 2017-12-08 2018-12-07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KR102667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6430 2017-12-08
JP2017236430A JP2019104688A (ja) 2017-12-08 2017-12-08 治療方法
KR1020207019700A KR20200097308A (ko) 2017-12-08 2018-12-07 치료 방법
PCT/JP2018/045184 WO2019112061A1 (ja) 2017-12-08 2018-12-07 治療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700A Division KR20200097308A (ko) 2017-12-08 2018-12-07 치료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6298A Division KR20240073172A (ko) 2017-12-08 2018-12-07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및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239A true KR20230129239A (ko) 2023-09-07
KR102667835B1 KR102667835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768A (ja) 2007-11-29 2009-06-18 Inax Corp 浄軟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768A (ja) 2007-11-29 2009-06-18 Inax Corp 浄軟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4674A1 (en) 2021-08-12
KR20200097308A (ko) 2020-08-18
EP3721886A4 (en) 2022-01-05
JP2019104688A (ja) 2019-06-27
JP2023026601A (ja) 2023-02-24
WO2019112061A1 (ja) 2019-06-13
EP3721886A1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026601A (ja) 微小気泡の分散液
US8805467B2 (en) Probe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probe element
WO2005084718A1 (ja) ナノバブルの製造方法
KR101161477B1 (ko) 나노버블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세탁방법 및 그 장치
TW200903603A (en) Semiconductor substrate cleaning method using bubble/chemical mixed cleaning liquid
DE3741201A1 (de) Ultraschallarbeitsverfahren und mittel zu dessen durchfuehrung
ES2044451T3 (es) Elementos de liberacion retardada.
JP6127196B1 (ja) 機能水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WO2005030649A1 (ja) 微小気泡の圧壊
JP5934974B1 (ja) バイオ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
CN110466088B (zh) 一种医疗非违禁类废塑料的清洗处理回收工艺
JP2012000581A (ja) オゾン水生成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KR102667835B1 (ko)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KR20240073172A (ko) 의료용 나노 버블 분산액 및 의료용 마이크로 버블 분산액
KR102136206B1 (ko) 초음파진동 기반으로 지방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장치
JPH0994288A (ja) 微生物の不活化・破壊方法
KR20180107178A (ko) 소독용 물티슈
DE19633475C2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Polyhydroxyalkanoaten und deren Verwendung
US7410654B2 (en) Pollen manufacturing method
JP6899556B2 (ja) シルク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複合材料、およびシルクナノファイバーフィルム
CN110467734A (zh) 一种杜仲籽皮粗胶水溶液纯化制备杜仲精胶的方法
JP4264089B2 (ja) 超微細化装置
JP2007138364A (ja) エレクトロスピニングを用いたコラーゲン繊維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コラーゲン繊維
Oshita et al. Basic characterization of nanobubbl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US20150174066A1 (en) Washing solution and wash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