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419A -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7419A KR20230127419A KR1020220024489A KR20220024489A KR20230127419A KR 20230127419 A KR20230127419 A KR 20230127419A KR 1020220024489 A KR1020220024489 A KR 1020220024489A KR 20220024489 A KR20220024489 A KR 20220024489A KR 20230127419 A KR20230127419 A KR 202301274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fiber
- auxiliary
- bending
- burner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의 관통홀 둘레에 메탈파이버 테두리를 용접하는 버너용접공정(S1); 메탈파이버 테두리에 단열재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기본틀 형상을 절단하는 절단공정(S2); 기본틀 형상에 절곡목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주는 목라인 누름공정(S3); 누름공정을 한 기본틀을 이루는 집게부 및 보조집게부의 버(burr)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공정(S4); 기본틀 바닥부에서 수직부와 가이드벽부와 고정벽부를 절곡하는 1차절곡공정(S5); 프레임의 광통홀 둘레에 용접한 메탈파이버 테두리 전후에 바닥부가 오도록 용접하는 스폿용접공정(S6); 단열재를 수직부공간에, 보조단열재를 보조집게부를 통하여 고정벽부에 오도록 삽입하는 삽입공정(S7);
수직부의 제2절곡부를 목라인을 중심으로 절곡하여 집게부의 요철이 단열재를 누르고, 보조집게부를 보조목부를 중심으로 절곡하여 보조집게부 테두리의 요철이 보조단열재를 누르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기능하는 2차절곡공정(S8)을 순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이다.
수직부의 제2절곡부를 목라인을 중심으로 절곡하여 집게부의 요철이 단열재를 누르고, 보조집게부를 보조목부를 중심으로 절곡하여 보조집게부 테두리의 요철이 보조단열재를 누르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기능하는 2차절곡공정(S8)을 순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그 외 공장 등과 같은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되어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열원과의 열교환을 통해 온수와 난방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보일러는 공기와 가스를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혼합한 다음 그 혼합된 혼합연료를 버너에 공급하는 연료공급기와, 상기 연료공급기로부터 혼합연료를 공급받아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및 난방환수가 버너로부터 공급된 열원과 열교환되도록하여 난방환수를 난방수로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난방환수가 버너에서 발생된 현열과 1차로 열교환을 하는 현열열교환기 및 난방환수가 상기 현 열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와 2차로 열교환을 하는 잠열열교환기를 구비한 콘덴싱 열교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덴싱 열교환기를 구비한 보일러를 콘덴싱 보일러라 한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난방 및 온수 보일러는 사용 연료에 따라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적고 사용이 편리한 가스보일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KR 10-2018-0007933 A)은 종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내부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수배관과, 내측 하부에 수배관과 연결되어 수배관을 경유한 물을 통과시키면서, 열교환작용으로 물을 가열하는 튜브를 형성한 현열열교환기와, 이 현열열교환기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수배관 방향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로 구성된다.
여기서, 버너는 송풍기를 통해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점화작동되어 버너에서 화염이 점화되도록 함으로써, 이 화염이 튜브를 가열하는 것이다.
이때, 이 버너는 평면형 버너로, 저면 전체면적으로 균등하게 화염을 분출하여, 전체면적에 비례하는 화염이 직하방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염에 의해 가열된 튜브는 그 내부로 물을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작용으로 물을 가열한 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버너의 면적 넓이에 비례하도록 화염의 분출량에 변화가 있고, 이 분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버너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현열열교환기의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KR 10-0528242 B1)와 같이 버너를 개량하게 되었고, 이를 참조하면, 내측에 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 바닥면에 개방부를 형성한 버너하우징과, 버너하우징의 수용부에 안착되어, 개방부 하부로 노출되는 메탈파이버, 메탈파이버 상부에 밀착되어, 메탈파이버를 수용부에 밀착 고정하는 슬릿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탈파이버 및 슬릿판은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슬릿판의 슬릿홈을 통과하여 메탈 파이버로 토출되는 혼합가스는 연소되면서 화염으로 생성된다.
즉, 메탈파이버 표면에서 점화된 화염은, 메탈파이버 표면에 머무름과 동시에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때, 메탈파이버 표면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메탈파이버 표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보일러의 연소실 공간을 향해 방사상으로 분출되면서, 그 내부에 난방수를 통과시키는 배관을 가열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2는 메탈파이버 표면에서 방사상으로 화염이 분출되면서, 메탈파이버를 굴곡진 판재형상으로 형성하여, 화염의 분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적을 넓게 형성해야 하고, 이에 따라, 메탈파이버의 넓이에 비례하도록 연소실을 형성하여, 연소실의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소실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치 형상의 높이를 증가시키면 수배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화염의 온도(예컨대, 열기)가 급격히 저하되고, 화염온도 저하로 인해 연소실 내의 혼합가스 연소성능이 저하되면서 불완전연소를 일으켜 일산화탄소(CO2) 발생량이 증가 된다.
또한, 면적의 증가 없이 화염의 양만 증가될 경우는 연소 부하가 증가되면서 화염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 안정성 저하와 동시에 리프트 현상이 발생되어 불꽃이 날리거나 불완전 연소가 진행되기 쉬우며, 표면 형상에 저항을 주는 입체 형태로 화염 간의 접촉에 의한 안정성을 꾀할 경우 화염이 과도하게 접촉되어 불완전 연소가 일어난다.
또한, 난방수 배관의 가열 시간이 지연되어 가열 성능이 저하되며, 튜브 내로 흐르는 물이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지 못하고 그대로 방출되면서, 난방 및 온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징 내측 상면에 하우징 내측 방향을 향해 상광하협구조로 돌출되되, 저면에 전체 폭 넓이의 1/3 미만의 폭을 갖는 연소홈을 형성한 점화 부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향의 화염 간 보염효과로 안정성을 향상시키되, 연소홈 내에서 화염 간의 충돌로 인한 와류 발생률이 감소되고, 메탈파이버버너의 돌출 길이에 비례하도록 화염이 분출되는 화염 분출 면적이 상승되어 연소부가 감소하되, 점화부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하우징의 수배관 사이의 내벽면 방향으로 분출되어 수배관에 화염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가 국내공개특허10-2021-0143364호로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도 메탈파이버를 통한 열기기가 수배관에 전열되어 열효율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국내특허등록10-2332112호와 같은 단열재를 부가한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는 도 1 내지 도 4 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수 배관(101)을 형성하고, 내측 하부에 수배관(101)과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되, 내부로 통과되는 물을 열교환작용으로 가열하는 전열관(102)을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향해 방사상으로 화염을 분출하는 메탈파이버버너(200);
바 형상으로,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저면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 측방으로 분사되는 화염이 상기 수배관(101)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300); 로 구성되고,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커버하고, 그 중앙부에 상기 단열재(3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홀(201a)을 형성한 프레임(201)과, 상기 프레임(201) 저면에 위치되고, 상광하협구조로 돌출되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관통홀(201a) 테두리 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 벽면 방향으로 화염을 분출하는 단턱부(202a)를 형성한 점화부(202)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300)는 상기 점화부(202)의 단턱부(202a)와 상기 하우징(100)의 수배관(101) 외면 사이의 높이(H)에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단턱부(202a)에서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 방향으로 분출되는 화염이 상기 하우징(100)의 수배관(101)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201)은, 상기 관통홀(201a)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적어도 2회 이상 절곡형성되어, 상기 단열재(300)를 상기 프레임(201) 저면 양측에 고정하는 집게부(201b)를 더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01)은, 상기 관통홀(201a) 저면 양측에 상기 단열재(300)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부(201c)를 더 형성한다.
상기 단열재(300)는,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300)는, 상면이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저면에 밀착되되, 측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 테두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는, 바 형상으로, 상기 단열재(300)와 직교되는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저면 전, 후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 테두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조단열재(400)를 더 형성한다.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는,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전, 후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단열재(400)를 밀착 고정하는 고정벽부(201d)와, 상기 고정벽부(201d)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탈파이버버너(200)의 전, 후측으로 상기 보조 단열재(400)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벽부(201e)를 더 형성한다.
상기 보조단열재(400)는, 양 말단이 상기 단열재(300)의 양단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단열재(300)의 양단을 밀폐한다.
상기 보조단열재(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배관(101)과 직교되는 전,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배관(101)과 연통되어 난방수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수로관(103)의 상단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효과는 좋으나, 단열재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구체적인 기술은 나타나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의 메탈파이버 둘레에 단열판을 고정하는 단열판고정브라켓을 판재에서 절단하여 절곡한 다음 테두리에 요철을 형성하여 절곡한 공간에 단열재를 삽입 후 집게부를 절곡하여 단열재와의 테두리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고정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판을 단열판고정브라켓으로 고정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단열판고정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의 관통홀 둘레에 메탈파이버 테두리를 용접하는 버너용접공정;
메탈파이버 테두리에 단열재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기본틀 형상을 절단하는 절단공정;
기본틀 형상에 절곡목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주는 목라인 누름공정;
누름공정을 한 기본틀을 이루는 집게부 및 보조집게부의 버(burr)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공정;
기본틀 바닥부에서 수직부와 가이드벽부와 고정벽부를 절곡하는 1차절곡공정;
프레임의 관통홀 둘레에 용접한 메탈파이버 테두리 전후에 바닥부가 오도록 용정하븝 스폿용접공정;
단열재를 수직부공간에, 보조단열재를 보조집게부를 통하여 고정벽부에 오도록 삽입하는 삽입공정;
수직부의 제2절곡부를 목라인을 중심으로 절곡하여 집게부의 요철이 단열재를 누르고, 보조집게부를 보조목부를 중심으로 절곡하여 보조집게부 테두리의 요철이 보조단열재를 누르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기능하는 2차절곡공정을 순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단열판고정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의 메탈파이버 둘레에 단열판을 고정하는 단열판고정브라켓을 판재에서 절단하여 절곡한 다음 테두리에 요철을 형성하여 절곡한 공간에 단열재를 삽입 후 집게부를 절곡하여 단열재와의 테두리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므로 집게부 테두리와 단열재와의 접촉면적과 마찰력이 증대하여 고정 유지력을 증가시켜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에서 메탈파이버버너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메탈파이버버너부분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메탈파이버버너를 분해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단열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펼친 기본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단열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기본틀을 1차절곡시킨 정면도면,
도 7은 도 6의 평면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본틀 1차절곡 사시도와 요부확대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본틀의 수직부 버(burr)에 요철을 이룬 공정을 보인 확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결합한 상태의 메탈파이버 버너를 뒤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메탈파이버버너부분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브라켓에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메탈파이버버너를 분해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단열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펼친 기본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단열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기본틀을 1차절곡시킨 정면도면,
도 7은 도 6의 평면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본틀 1차절곡 사시도와 요부확대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본틀의 수직부 버(burr)에 요철을 이룬 공정을 보인 확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결합한 상태의 메탈파이버 버너를 뒤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정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도 11의 공정도를 기초로 도 5 내지 도 10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에 보인 점화부(202)와 단턱부(202a)로 표기한 메탈파이버를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201)의 관통홀(201a) 둘레에 메탈파이버 테두리가 고정되도록 용접하여 메탈파이버버너(200)를 이루는 버너용접공정(S1)을 수행한다.
메탈파이버 테두리의 프레임(201) 부위에서 단열재(300)와 보조단열재(400)를 동시에 지지하는 절곡된 형태의 브라켓(aa)을 이루도록 펼쳐져 바닥부(a)와 수직부(bb)를 이룬 기본틀판(500) 형상의 암수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과 같은 절단수단으로 절단하는 절단공정(S2)을 수행한다.
절단공정(S2)에서 수득한 기본틀판(500)에서 수직부(bb)를 이루는 제1절곡부(b)와 제2절곡부(c)경계에 형성한 절곡목(h)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수평라인 부위에 누름라인을 눌러주는 목라인 누름공정(S3)을 수행한다.
누름공정(S3)을 수행하여 목라인인 절곡목(h)을 이룬 기본틀판(500)의 수직부(bb)를 이루는 집게부(201b) 및 보조집게부(f)의 버(burr)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공정(S4)을 수행한다. 요철공정(S4)은 도 9(a)에 평면 상태로 보인 집게부(201b)의 내면에 생긴 버(burr)(도면에 (c1)으로 표기함)에 마찰이나 에칭이나 프레싱 수단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도 9(b)와 같은 요철(c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기본틀판(500)의 바닥부(a)에서 수직부(bb)와 가이드벽부(201e)와 고정벽부(201d)를 절곡하여 브라켓(aa) 기본형상을 이루도록 1차절곡공정(S5)을 수행한다.
1차절곡한 도 5 내지 도 8의 기본틀판(500)의 바닥부(a)를 관통홀(201a) 둘레의 프레임(201) 부위를 용접하여 메탈파이버 테두리 전후에 바닥부(a)가 오도록 도 6 내지 도 8 형태로 고정하는 스폿용접공정(S6)을 수행한다.
이어 단열재(300)는 메탈파이버의 전후면 위치에, 보조단열재(400)는 메탈파이버의 좌우측 테두리에 오도록, 도 8의 가이드벽부(201e)사이에는 단열재(300) 양단이 오고 제1절곡부(b)의 절곡목(h)에 단열재(300) 표면이 오도록 바닥부(a)에 삽입하고, 도 6 내지 도 8의 고정벽부(201d)와 가이드벽부(201e)사이에 보조단열재(400)가 오도록 삽입하는 삽입공정(S7)을 수행한다.
이어 수직부(bb)의 제2절곡부(c)와 절곡띠(d)를 절곡목(h)으로 이어지는 목라인을 중심으로 도 10과 같이 절곡하여 집게부(201b)의 도 9(b)에 보인 요철(c2)에 의해 단열재(300)와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누름 작용을 하고, 보조집게부(f)도 도 8에 보인 보조목부(e)를 중심으로 보조단열재(400) 측으로 도 10과 같이 절곡하여 보조집게부(f) 테두리에도 도 9와 같은 버(c1)에서 형성한 요철(c2)이 보조단열재(400)를 눌러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기능하는 2차절곡공정(S8)을 순차 수행한다.
이러한 요철(c2)은 단열재(30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단열재(300)와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단열기능을 일정하도록 기능하고, 열팽창시에도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한다.
200;메탈파이버버너 201;프레임 201a;관통홀 201b;집게부 201c;걸림턱부 201d;고정벽부 201e;가이드벽부 300;단열재 400;보조단열재 aa;브라켓 bb;수직부 a;바닥부 b;제1절곡부 e0;목구멍 h;절곡목 c;제2절곡부 c1;버 c2;요철 d;절곡띠 h;목라인
Claims (1)
-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의 관통홀 둘레에 메탈파이버 테두리를 용접하는 버너용접공정(S1);
메탈파이버 테두리에 단열재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기본틀 형상을 절단하는 절단공정(S2);
기본틀 형상에 절곡목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주는 목라인 누름공정(S3);
누름공정을 한 기본틀을 이루는 집게부 및 보조집게부의 버(burr)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공정(S4);
기본틀 바닥부에서 수직부와 가이드벽부와 고정벽부를 절곡하는 1차절곡공정(S5);
프레임의 광통홀 둘레에 용접한 메탈파이버 테두리 전후에 바닥부가 오도록 용정하븝 스폿용접공정(S6);
단열재를 수직부공간에, 보조단열재를 보조집게부를 통하여 고정벽부에 오도록 삽입하는 삽입공정(S7);
수직부의 제2절곡부를 목라인을 중심으로 절곡하여 집게부의 요철이 단열재를 누르고, 보조집게부를 보조목부를 중심으로 절곡하여 보조집게부 테두리의 요철이 보조단열재를 누르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기능하는 2차절곡공정(S8)을 순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4489A KR102748888B1 (ko) | 2022-02-24 | 2022-02-24 |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4489A KR102748888B1 (ko) | 2022-02-24 | 2022-02-24 |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7419A true KR20230127419A (ko) | 2023-09-01 |
KR102748888B1 KR102748888B1 (ko) | 2024-12-31 |
Family
ID=8797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4489A KR102748888B1 (ko) | 2022-02-24 | 2022-02-24 |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888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8517A (ja) * | 1992-07-30 | 1994-10-11 | Noritz Corp | バーナ |
KR20050050625A (ko) * | 2005-05-09 | 2005-05-31 | 대원열판(주) | 판형열교환기의 전열판과 가스켓의 결합구조 |
KR20180097681A (ko) * | 2015-12-22 | 2018-08-31 |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 연소 장치 |
KR20180097682A (ko) * | 2015-12-22 | 2018-08-31 |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 연소 장치 |
KR20210133452A (ko) * | 2020-04-29 | 2021-11-0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KR20210133455A (ko) * | 2020-04-29 | 2021-11-0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단열재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
2022
- 2022-02-24 KR KR1020220024489A patent/KR102748888B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8517A (ja) * | 1992-07-30 | 1994-10-11 | Noritz Corp | バーナ |
KR20050050625A (ko) * | 2005-05-09 | 2005-05-31 | 대원열판(주) | 판형열교환기의 전열판과 가스켓의 결합구조 |
KR20180097681A (ko) * | 2015-12-22 | 2018-08-31 |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 연소 장치 |
KR20180097682A (ko) * | 2015-12-22 | 2018-08-31 |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 연소 장치 |
KR20210133452A (ko) * | 2020-04-29 | 2021-11-0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KR20210133455A (ko) * | 2020-04-29 | 2021-11-0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단열재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48888B1 (ko) | 2024-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2112B1 (ko) |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
RU2651018C1 (ru) |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u-образной трубой | |
CN108369029B (zh) | 基于冷凝方式的燃烧设备 | |
JP6831206B2 (ja) |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る燃焼装置 | |
US20240344738A1 (en) |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65634B1 (ko) |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 |
US3638636A (en) | Air heater | |
KR20190132043A (ko) | 잠열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콘덴싱 방식의 연소기기 | |
KR20230127419A (ko) |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프레임에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고정방법 | |
KR102408714B1 (ko) |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
KR100941301B1 (ko) | 열교환기 | |
CN210568392U (zh) | 一种分火器、燃烧器及燃气热水设备 | |
CN210292295U (zh) | 一种供热水的燃气快速热水器燃烧换热系统 | |
KR102336180B1 (ko) | 단열재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
CN111043892B (zh) | 传热翅片 | |
CN212340016U (zh) | 一种不锈钢热交换器及应用其的换热设备 | |
CN210601604U (zh) | 一种铆接结构的分火器、燃烧器及燃气热水设备 | |
JP7161930B2 (ja) | 伝熱フィン | |
JP7587122B2 (ja) | 熱交換器及び温水装置 | |
JP2021055929A (ja) | 給湯器用の燃焼装置及び給湯器 | |
JP7260147B2 (ja) | 熱交換器及び給湯器 | |
JP2000018729A (ja) | 伝熱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 |
JP7301344B2 (ja) | 熱交換器及び給湯器 | |
CN215863374U (zh) | 低氮燃烧器及热水器 | |
KR102611895B1 (ko) | 메탈파이버 버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