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022A -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022A
KR20230127022A KR1020220024574A KR20220024574A KR20230127022A KR 20230127022 A KR20230127022 A KR 20230127022A KR 1020220024574 A KR1020220024574 A KR 1020220024574A KR 20220024574 A KR20220024574 A KR 20220024574A KR 20230127022 A KR20230127022 A KR 2023012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angle
respect
plane
ribs
blow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성
박재찬
박혜정
고정욱
신문선
윤승진
장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022A/ko
Priority to PCT/KR2022/020451 priority patent/WO2023163345A1/ko
Publication of KR2023012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그릴은, 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수평 리브와 직교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팬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며,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1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2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한 장치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된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며, 실외기는 실내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다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실내기로 공급한다.
실외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서 열교환을 위해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 장치를 포함한다. 송풍 장치는 송풍 팬과, 송풍 팬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그릴을 포함한다.
보호 그릴은 송풍 팬에 의해 형성된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되, 외부로부터 송풍 팬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호 그릴은 복수의 리브(rib)가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그 배열 구조에 따라 방사형 구조와 직교형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직교형 구조의 보호 그릴은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리브의 배열로 인해 송풍 팬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방사형 구조에 비해 심미감이 우수하다. 다만, 직교형 구조의 보호 그릴은 복수의 리브가 직교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송풍 팬에 의해 형성된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방사형 구조의 보호 그릴에 비해 유동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유동 저항의 증가는 실외기의 소음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직교형 구조의 보호 그릴을 가지되, 보호 그릴에 의한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송풍 장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그릴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보호 그릴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수평 리브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팬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며,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1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2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이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호 그릴은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가상의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할 때, 각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의 경사 각도의 조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사분면 중 제3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류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때, 상기 기류는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서는 우하향하며, 상기 사분면 중 제3 사분면에서는 좌상향하며,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사분면 중 제3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사이의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보호 그릴의 형상은 상기 송풍 팬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의 두께는 10 mm 이상이며 100 m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그릴과, 상기 송풍 팬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보호 그릴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팬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며,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1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1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2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2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이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호 그릴은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가상의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할 때, 각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의 경사 각도의 조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사분면 중 제3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송풍 장치 및 공기 조화기는, 직교형 구조의 보호 그릴을 가짐으로써 실외기의 심미감을 제공하면서도, 보호 그릴에 의한 유동 저항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통해 실외기의 소음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호 그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에서 기류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보호 그릴의 수평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수평 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개시된 보호 그릴의 수직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직 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의 형상과 기류의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제1사분면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보호 그릴를 통과하는 기류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을 통과하는 기류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외기(20)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보호 그릴(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10)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20)를 포함한다. 실내기(10)와 실내기(10)는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3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1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내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실내 송풍팬(미도시)와,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실외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외 공기가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송풍 팬(22)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 송풍 팬(22) 및 압축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하우징(21)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일면에는 송풍 팬(2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보호 그릴(100)이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송풍 장치의 예로서 실외기(20)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송풍 팬(22)에 의해 기류가 형성되며, 보호 그릴(100)에 의해 송풍 팬(22)이 보호되는 구조라면, 송풍 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은 직교형 그릴 구조를 가진다. 보호 그릴(100)은 직교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수평 리브(110)와 복수의 수직 리브(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평 리브(110) 각각은 제1 방향(y)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y)과 수직인 제2 방향(z)을 따라 배열된다. 일 예로서, 복수의 수평 리브(11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수평 리브(110)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수평 리브(110)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평 리브(110) 각각은 제1 방향(y)과 제2 방향(z)과 수직인 제3 방향(x)으로 두께가 10 mm 이상일 수 있다. 복수의 수평 리브(110)는 제3 방향(x)으로 두께가 500 mm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수직 리브(120) 각각은 복수의 수평 리브(110)와 직교하도록 제2 방향(z)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y)을 따라 배열된다. 일 예로서, 복수의 수직 리브(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수직 리브(120)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수직 리브(120)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직 리브(120) 각각은 제3 방향(x)으로 두께가 10 mm 이상일 수 있다. 복수의 수직 리브(120)는 제3 방향(x)으로 두께가 500 mm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수평 리브(110)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수직 리브(12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평 리브(110)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수직 리브(120) 사이의 간격의 1/2 배보다 작을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외곽 형상은 후방에 배치된 송풍 팬(22)의 외곽 형상과 다르다. 예를 들어, 송풍 팬(22)의 외곽 형상이 원형일 때, 보호 그릴(100)의 외곽 형상은 송풍 팬(22)과 달리 사각형일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외곽 형상은 하우징(21)의 외곽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보호 그릴(100)과 하우징(21)의 외곽 형상을 맞춤으로써, 실외기(2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호 그릴(100)에서는, 송풍 팬(22)의 외곽 형상과 관계 없이, 복수의 수평 리브(110)가 제1 방향(y)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수직 리브(120)가 제2 방향(z)으로 연장된다. 또한, 복수의 수평 리브(110)는 그 간격이 촘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호 그릴(100)은 후방에 배치된 송풍 팬(22)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송풍 팬(22)의 회전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에서 기류(AF1, AF2)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보호 그릴(100)의 수평 리브(11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를 참조하면,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ir current) (AF1, AF2)는 제3 방향(x)을 향해 이동하되, 송풍 팬(2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을 가지게 된다.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는 회전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풍속이 증가하여, 나선형 구조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먼 영역을 지나는 기류(AF1)의 풍속이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가까운 영역을 지나는 기류(AF2)의 풍속보다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은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의 방향과 맞지 않는 직교형 구조이기 때문에, 복수의 수평 리브(110)와 수직 리브(120)의 배열은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에 유동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은, 이러한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의 방향을 고려하여, 유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수평 리브(110)와 복수의 수직 리브(120)를 제공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평 리브(110) 각각은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제1 방향(y) 및 제3 방향(x)을 포함한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1 방향(y)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리브(110)의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는 수평 리브(110)가 제1 평면(XY)에 대해 제2 방향(y)을 향해 기울어진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의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는 수평 리브(110)를 제2 평면(XZ)으로 자른 단면 형상이 제1 평면(XY)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수평 리브(110)는 제1 방향(y)에 따른 위치에 따라,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 중첩되는 중심 영역(111)과, 중심 영역(111)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영역(112)과, 중심 영역(111)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영역(113)을 포함한다.
도 6는 도 5의 수평 리브(110)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제1 평면(XY)에대한 수직 리브(110)의 경사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수평 리브(110)의 중심 영역(111)은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약 0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a) 및 (c)를 참조하면, 수평 리브(110)의 좌측 영역(113)과 우측 영역(11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의 좌측 영역(113)은 제1 평면(XY)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수평 리브(110)의 우측 영역(112)은 제1 평면(XY)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평면(XY)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각도를 양(+)의 각도로 정의할 경우, 우측 영역(112)의 경사 각도는 제1 평면(XY)에 대해 양(+)의 각도를 가지며, 좌측 영역(113)의 경사 각도는 제1 평면(XY)에 대해 음(-)의 각도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경사 각도가 양(+)의 각도인지 음(-)의 각도인지 여부는, 후술할 설명에서 일관된 표현을 위한 것일 뿐, 그 정의가 달라짐에 따라 양과 음의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측 영역(112)은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며, 좌측 영역(113)은 좌측으로 갈수록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수평 리브(110)는 제1 방향(y)에 따라, 그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는 제1 방향(y)에 따라, 그 경사 각도가 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수평 리브(110)는 제1 방향(y)으로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는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는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3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는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15도 이하일 수 있다.
수평 리브(110)는 제1 방향(y)에 따른 위치에 따라,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화되도록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리브(110)는 제3 방향(x; 도 3 참조)으로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리브(110)는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 또는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수평 리브(110)에서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지는 구조에서는, 수평 리브(110)에서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는 제1 방향(y)을 따라 연장된 직선 구조를 가지는 반면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는 비틀림에 의해 제1 방향(y)과 경사진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평 리브(110)에서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지는 구조에서는, 수평 리브(110)에서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는 제1 방향(y)을 따라 연장된 직선 구조를 가지는 반면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는 비틀림에 의해 제1 방향(y)과 경사진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수평 리브(110)의 비틀림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평 리브(110)에서 제1 방향(y) 및 전후 방향(x)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수평 리브(11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평 리브(110) 각각에서는, 제1 방향(y)에 따른 경사 각도의 변화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수평 리브(110)에서 제1 방향(y)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부분들은 그 경사 각도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평 리브(110)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 됨으로써, 보호 그릴(100)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수평 리브(11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류(AF1, AF2)의 풍속 변화에 최적화되도록, 복수의 수평 리브(110)는 제1 방향(y)에 따른 경사 각도의 변화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7은 도 3에 개시된 보호 그릴(100)의 수직 리브(12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리브(120)는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제2 방향(z)과 제3 방향(x)을 포함한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2 방향(z)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리브(120)의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는 수직 리브(120)가 제2 평면(XZ)에 대해 제1 방향(y)을 향해 기울어진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의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는 수직 리브(120)를 제1 평면(XY)으로 자른 단면 형상이 제2 평면(XZ)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수직 리브(120)는 제2 방향(z)에 따른 위치에 따라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 중첩되는 중심 영역(121)과, 중심 영역(121)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영역(122)과, 중심 영역(12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영역(123)을 포함한다.
도 8는 도 7의 수직 리브(120)의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제2 평면(XZ)에대한 수직 리브(120)의 경사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7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수직 리브(120)의 중심 영역(121)은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약 0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a) 및 (c)를 참조하면, 수직 리브(120)의 상부 영역(122)과 하부 영역(123)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의 상부 영역(122)은 제2 평면(XZ)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진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리브(120)의 하부 영역(123)은 제2 평면(XZ)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진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평면(XZ)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각도를 양(+)의 각도로 정의할 경우, 상부 영역(122)의 경사 각도는 제2 평면(XZ)에 대해 양(+)의 각도를 가지며, 하부 영역(123)의 경사 각도는 제2 평면(XZ)에 대해 음(-)의 각도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경사 각도가 양(+)의 각도인지 음(-)의 각도인지 여부는, 후술할 설명에서 일관된 표현을 위한 것일 뿐, 그 정의가 달라짐에 따라 양과 음의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영역(122)은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며, 하부 영역(123)은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수직 리브(120)는 제2 방향(z)에 따라, 그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는 제2 방향(z)에 따라, 그 경사 각도가 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수직 리브(120)는 제2 방향(z)으로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는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는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3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는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15도 이하일 수 있다.
수직 리브(120)는 제2 방향(z)에 따른 위치에 따라,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화되도록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 리브(120)는 제3 방향(x; 도 3 참조)으로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리브(120)는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 또는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직 리브(120)에서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지는 구조에서는, 수직 리브(120)에서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는 제2 방향(z)을 따라 연장된 직선 구조를 가지는 반면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는 비틀림에 의해 제2 방향(z)과 경사진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직 리브(120)에서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를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지는 구조에서는, 수직 리브(120)에서 기류가 흡입되는 단부는 제2 방향(z)을 따라 연장된 직선 구조를 가지는 반면 기류가 토출되는 단부는 비틀림에 의해 제2 방향(z)과 경사진 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수직 리브(120)의 비틀림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직 리브(120)에서 제2 방향(z) 및 전후 방향(x)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수직 리브(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직 리브(120) 각각에서는, 제2 방향(z)에 따른 경사 각도의 변화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수직 리브(120)에서 제2 방향(z)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부분들은 그 경사 각도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직 리브(120)를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설계 함으로써, 보호 그릴(100)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수직 리브(1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류(AF1, AF2)의 풍속 변화에 최적화되도록, 복수의 수직 리브(120)는 제2 방향(z)에 따른 경사 각도의 변화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에서 수평 리브(110)와 수직 리브(120) 둘 다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그 경사 각도가 변함에 따라, 송풍 팬(22)에 의해 형성된 기류(AF1, AF2)의 유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보호 그릴(100)을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방향(y) 및 제2 방향(z)에 따른 가상의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할 때, 각 사분면에 배치된 수평 리브(110)와 수직 리브(120)의 경사 각도의 조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그릴(100)의 제1 사분면(101)에서는 수평 리브(110)가 제1 평면(XY)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수직 리브(120)가 제2 평면(XZ)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제2 사분면(102)에서는 수평 리브(110)가 제1 평면(XY)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수직 리브(120)가 제2 평면(XZ)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제3 사분면(103)에서는 수평 리브(110)가 제1 평면(XY)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수직 리브(120)가 제2 평면(XZ)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제4 사분면(104)에서는 수평 리브(110)가 제1 평면(XY)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수직 리브(120)가 제2 평면(XZ)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에서는 사분면의 위치에 따라 수평 리브(110)와 수직 리브(120)의 경사 각도의 조합을 달리 하는 구조에 의해, 복잡한 구조 설계 없이도, 송풍 팬(22)에 의해 형성된 기류(AF1, AF2)에 대한 보호 그릴(100)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효과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전제로서, 송풍 팬(22)에 의해 형성되어 보호 그릴(100)을 통과하는 기류(AF1, AF2)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기류(AF1, AF2)에 작용하는 힘들 중 회전하는 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송풍 팬(22)에 의해 형성된 기류(AF1, AF2)는 보호 그릴(100)의 각 사분면에서 그 이동 방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보호 그릴(100)을 지나는 기류(AF1, AF2)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때, 기류(AF1, AF2)는 전반적으로 제1 사분면(101)에서 우하향하며, 제4 사분면(104)에서 좌하향하며, 제3 사분면(103)에서 좌상향하며, 제2 사분면(102)에서 우상향한다.
보호 그릴(100)의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풍향이 우측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환된다.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풍속이 증가한다. 보호 그릴(100)의 제4 사분면(104)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풍향이 하부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전환된다. 제4 사분면(104)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풍속이 증가한다. 보호 그릴(100)의 제3 사분면(103)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풍향이 좌측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환된다. 제3 사분면(103)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풍속이 증가한다. 보호 그릴(100)의 제2 사분면(102)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풍향이 상부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전환된다. 제2 사분면(102)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풍속이 증가한다.
상술한 것처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에서는 사분면에 위치한 수직 리브(120)와 수평 리브(110)의 경사 각도의 조합이 다르기 때문에, 이와 같이 보호 그릴(100)의 사분면을 지나는 기류(AF1, AF2)에 풍향 변화 및 풍속 변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호 그릴(100)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호 그릴(100)의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전체적으로 우하향하며 회전한다. 보호 그릴(100)의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 AF2)는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먼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 기류(AF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AF1)는 제1 사분면(101)에서 제1 지점(V11), 제2 지점(H11), 제3 지점(V21), 제4 지점(H21)을 지나는 회전 기류(AF1)일 수 있다.
보호 그릴(100)의 제1 사분면(101)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된 제1 지점(V11)에서는 기류(AF1)가 우측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지점(V11)에 배치된 제1 수직 리브(120A)의 부분은 제2 방향(z)으로 단부에 근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제2 평면(XZ)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경사 각도를 가진다. 그에 따라, 우측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하는 기류(AF1)는 제1 지점(V11)에 배치된 제2 평면(XZ)에 대해 큰 경사 각도를 가지는 제1 수직 리브(120A)의 부분에 의해 큰 유동 저항 없이, 보호 그릴(100)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는 풍향이 우측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변한다. 그 과정에서, 기류(AF1)는 제2 지점(H11)을 지날 수 있다. 제2 지점(H11)에 배치된 제1 수평 리브(110A)를 지날 수 있다. 제2 지점(H11)에 배치된 제1 수평 리브(110A)의 부분은 제1 방향(y)으로 중심과 단부 사이에 배치된 부분이기 때문에, 제1 평면(XY)에 대해 경사 각도가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지점(H11)을 지나는 기류(AF1)는 하부 방향으로 힘보다 우측 방향으로 힘이 크게 작용한 상태이다. 그리하여, 제1 수평 리브(110A)의 부분의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크지 않더라도, 기류(AF1)에 대한 유동 저항이 크지 않게 된다.
이후,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는 제3 지점(V21)을 지날 수 있다. 기류(AF1)는 제3 지점(V21)에 배치된 제2 수직 리브(120B)의 부분을 지날 수 있다. 제3 지점(V21)에 배치된 제2 수직 리브(120B)의 부분은 제2 방향(z)으로 중심과 단부 사이에 배치된 부분이기 때문에,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3 지점(V21)을 지나는 기류(AF1)에는 우측 방향으로 힘보다 하부 방향으로 힘이 크게 작용한 상태이다. 그리하여, 제2 수직 리브(120B)의 부분의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크지 않더라도, 기류(AF1)에 대한 유동 저항이 크지 않게 된다.
이후,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는 제4 지점(H21)을 지날 수 있다. 제4 지점(H21)을 지나는 기류(AF1)는 하부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기류(AF1)는 제4 지점(H21)에 배치된 제2 수평 리브(110B)의 부분을 지날 수 있다. 제4 지점(H21)에 배치된 제2 수평 리브(110B)의 부분은 제1 방향(y)으로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기 때문에,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하는 기류(AF1)는, 제4 지점(H21)에 배치되며 제1 평면(XY)에 대한 큰 경사 각도를 가지는 제2 수평 리브(110B)의 부분에 의해 큰 유동 저항 없이, 보호 그릴(100)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보호 그릴(100)의 제1 사분면(101)을 지나는 기류(AF1, AF2) 일부는 송풍 팬(22)의 회전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회전 기류(AF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기류(AF2)는 제1 사분면(101)에서 제5 지점(V12) 및 제6 지점(H22)을 지나는 회전 기류(AF2)일 수 있다.
제5 지점(V12)을 지나는 기류(AF2)는 우측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5 지점(V12)에 배치된 제1 수직 리브(120A)의 부분은 제2 방향(z)으로 중심에 근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1 수직 리브(120A)에서 제2 방향(z)으로 외곽에 근접한 부분의 경사 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제5 지점(V12)을 지나는 기류(AF2)의 풍향에 비해, 제5 지점(V12)에 배치된 제1 수직 리브(120A)의 부분의 경사 각도가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제5 지점(V12)을 지나는 기류(AF2)의 풍속은, 제1 지점(V11)을 지나는 기류(AF1)의 풍속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제5 지점(V12)에 배치된 제1 수직 리브(120A)의 부분에 의해 큰 유동 저항 없이, 기류(AF2)가 보호 그릴(100)을 통과할 수 있다.
제6 지점(H22)을 지나는 기류(AF2)는 하부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6 지점(H22)에 배치된 제3 수평 리브(110C)의 부분은 제1 방향(y)으로 중심에 근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3 수평 리브(110C)에서 제1 방향(y)으로 외곽에 근접한 부분의 경사 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제6 지점(H22)을 지나는 기류(AF2)의 각도에 비해, 제6 지점(H22)에 배치된 제3 수평 리브(110C)의 부분의 경사 각도가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제6 지점(H22)을 지나는 기류(AF2)의 풍속은, 제4 지점(H21)을 지나는 기류(AF1)의 풍속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제6 지점(H22)에 배치된 제3 수평 리브(110C)의 부분에 의해 큰 유동 저항 없이, 기류(AF2)는 보호 그릴(100)을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에서는, 복수의 수평 리브(110)와 복수의 수직 리브(120)를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를 변화시키는 구조를 통해, 기류(AF1, AF2)의 풍속이나 풍향으로 인해 수평 리브(110) 또는 수직 리브(120)에서 유동 마찰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의 경사 각도는 크게 하고, 유동 마찰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통해, 유동 저항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0)를 통과하는 기류(AF1, AF2)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을 통과하는 기류(AF1, AF2)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0)은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 없이 평행한 복수의 수평 리브(1100)와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 없이 평행한 복수의 수직 리브(1200)를 포함한다. 송풍 팬(22)에 의해 생성된 기류(AF1, AF2)는 비교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0)을 통과하게 된다. 기류(AF1, AF2)는 보호 그릴(1000)의 전후 방향에 따른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기류(AF1, AF2)는 보호 그릴(1000)의 일 단부로 흡입되어, 타 단부로부터 토출된다. 보호 그릴(1000)의 일 단부로 흡입되는 기류(AF1, AF2)의 흡입 유동(IF)은 제1 평면(XY)에 대해 경사진 방향이기 때문에, 보호 그릴(1000)에 부딪혀 풍향이 변하게 된다. 그리하여, 보호 그릴(1000)의 타 단부에서 토출된 토출 유동(DF)의 제1 평면(XY)에 대한 각도(θ4)는 보호 그릴(1000)의 일 단부로 유입된 흡입 유동(IF)의 제1 평면(XY)에 대한 각도(θ3)와 달라지게 된다.
반면,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보호 그릴(100)에서는, 복수의 수평 리브(110)가 제1 평면(XY)에 대한 경사를 가지며, 복수의 수직 리브(120)가 제2 평면(XZ)에 대한 경사를 가진다. 그리하여, 보호 그릴(100)의 일 단부로 흡입되는 기류(AF1, AF2)의 흡입 유동(IF)이 제1 평면(XY)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가지더라도, 보호 그릴(100)에 부딪히는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하여, 보호 그릴(100)의 타 단부에서 토출된 토출 유동(DF)의 제1 평면(XY)에 대한 각도(θ2)는 보호 그릴(100)의 일 단부로 유입된 흡입 유동(IF)의 제1 평면(XY)에 대한 각도(θ1)과 유사해진다. 예를 들어, 제1 평면(XY)에 대한 흡입 유동(IF)의 각도(θ1)와 제1 평면(XY)에 대한 토출 유동(DF)의 각도(θ2)의 차이는, 제1 평면(XY)에 대한 흡입 유동(IF)의 각도(θ1)의 10% 이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면(XY)에 대한 흡입 유동(IF)의 각도(θ1)와 제1 평면(XY)에 대한 토출 유동(DF)의 각도(θ2)의 차이는, 제1 평면(XY)에 대한 흡입 유동(IF)의 각도(θ1)의 5% 이내일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 공기 조화기 10 : 실내기
20 : 실외기 21 : 하우징
22 : 송풍 팬 30 : 냉매관
100 : 보호 그릴 101 : 제1 사분면
102 : 제2 사분면 103 : 제3 사분면
104 : 제4 사분면 110 : 수평 리브
111 : 중심 영역 112 : 우측 영역
113 : 좌측 영역 120 : 수직 리브
121 : 중심 영역 122 : 상부 영역
123 : 하부 영역 AF1, AF2 : 기류

Claims (15)

  1.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그릴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로서,
    상기 보호 그릴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수평 리브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팬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며,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1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2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하는, 송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이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인, 송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그릴은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가상의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할 때, 각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의 경사 각도의 조합이 서로 다른, 송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사분면 중 제3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송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때, 상기 기류는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서는 우하향하며, 상기 사분면 중 제3 사분면에서는 좌상향하며,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사분면 중 제3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송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송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사이의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송풍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그릴의 형상은 상기 송풍 팬의 형상과 다른, 송풍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의 두께는 10 mm 이상이며 100 mm 이하인, 송풍 장치.
  11.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그릴과, 상기 송풍 팬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보호 그릴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평 리브; 및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수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 팬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며,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1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1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한 제2 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2 방향에 따른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공기 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증가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이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중심에서 단부까지 경사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인, 공기 조화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그릴은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가상의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할 때, 각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와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의 경사 각도의 조합이 서로 다른, 공기 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면 중 제1 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진 양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사분면 중 제3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평 리브 각각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직 리브 각각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음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
KR1020220024574A 2022-02-24 2022-02-24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23012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74A KR20230127022A (ko) 2022-02-24 2022-02-24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CT/KR2022/020451 WO2023163345A1 (ko) 2022-02-24 2022-12-15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74A KR20230127022A (ko) 2022-02-24 2022-02-24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022A true KR20230127022A (ko) 2023-08-31

Family

ID=8776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574A KR20230127022A (ko) 2022-02-24 2022-02-24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7022A (ko)
WO (1) WO20231633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499A (ja) * 1997-04-02 1998-10-2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用室外ユニット
JP4747822B2 (ja) * 2005-12-14 2011-08-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2006153453A (ja) * 2006-03-14 2006-06-15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風機器および送風機器の吹出グリル
KR101758178B1 (ko) * 2015-12-22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1715421U (zh) * 2020-01-10 2020-10-20 中山市奥创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风扇的风罩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345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415B1 (ko) 공기조화기
US9513021B2 (en) Blower and heat pump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37033B1 (ko) 축류팬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2568226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indoor unit
EP2584201B1 (en) Sirocco fan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20160108928A1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WO2017145275A1 (ja) 送風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296241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 그릴
KR2015006550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8267727A (ja) 冷凍空調装置
KR20230127022A (ko)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4724939B2 (ja) 空気調和機
JP2001124359A (ja) 空気調和機
JP2003343874A (ja) 床置き形空気調和機
KR1016224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3893840B2 (ja) 吹出し気流の旋回成分補正方法及び送風装置
CN212407084U (zh) 吊扇
JP20013115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17178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40073308A (ko) 상치형 공기조화기
KR0141763B1 (ko) 횡류형 송풍기의 리어가이더
WO2023223383A1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送風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0588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51314B1 (ko) 공기조화기
WO2005040686A3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