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669A -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669A
KR20230126669A KR1020230024071A KR20230024071A KR20230126669A KR 20230126669 A KR20230126669 A KR 20230126669A KR 1020230024071 A KR1020230024071 A KR 1020230024071A KR 20230024071 A KR20230024071 A KR 20230024071A KR 20230126669 A KR20230126669 A KR 2023012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mart
bio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steth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희수
함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Publication of KR2023012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6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Smart stethoscope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onnect to emergency support centers and transmit inform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의료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확진자의 증가에 따라 자가 격리 중인 환자들이 늘고 있다. 그런데, 자가 치료중인 환자가 의료진과 연락이 되지 않아 사망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어,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35908호(2021.11.16 공개)에서 심전도, 맥파 및 심폐 소리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을 통해 청진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반지형으로 구성된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8331호(2014.01.06 공고)에서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청진기 고유의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35908호(2021.11.1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8331호(2014.01.06 공고)
본 발명은 수집된 센서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이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 검출부와; 환자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으로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생체정보 저장부와; 응급 신호를 발생시키는 응급 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 청진기를 포함하되, 제어부가 응급 버튼이 눌러져 응급 신호 발생시, 생체정보 검출부를 통해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와 생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비교해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하고, 환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라 판단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을 통해 지정된 의사 단말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로 해당 환자의 생체정보가 비정상이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생체정보 검출부가 환자의 심음을 검출하는 심음 센서와; 환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는 심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이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처리하고,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스마트 청진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을 탑재하는 환자 스마트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이 주변의 스마트 청진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스마트 청진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하는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와; 인공지능 분석서버와 모바일 IP 네트워크 연결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와;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에 의해 연동된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에 의해 연동된 인공지능 분석서버로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인공지능 분석서버로부터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청진기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가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전송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지정된 의사 단말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로 중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환자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녹음하여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이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을 수신하고, 학습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도출하고, 도출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환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스마트 청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스마트 청진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환자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은 스마트 청진기(100)와, 환자 스마트폰(200)과,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과,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를 포함한다.
스마트 청진기(100)는 환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장치로, 환자의 심음 또는 환자의 심박수 등과 같은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스마트 청진기(100)는 응급 버튼이 눌러져 응급 신호 발생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와 저장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비교해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한다.
환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라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청진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200)을 통해 지정된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로 해당 환자의 생체정보가 비정상이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환자 스마트폰(200)은 스마트 청진기(100)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처리하고,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스마트 청진기(100)로 전송한다. 이 때,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은 인공지능 분석서버(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스마트폰(200)은 응급 버튼이 눌러져 스마트 청진기(100)로부터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가 전송되면,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지정된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로 중계한다. 이 때,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는 환자 스마트폰 전화번호일 수 있다.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은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가 전송되면, 경고 메시지를 통해서는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가 응급 상태임을 인지하고,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통해서는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환자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통해서는 환자를 식별한다.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을 통해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가 비정상이라 인지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 담당자는 환자를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긴급 후송하는 등과 응급 구조를 위한 조치를 취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는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을 수신하고, 학습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도출하고, 도출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이 때,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는 환자별 빅 데이터(Big Data)에 근거한 평균 심음 또는 평균 심박수에 대한 경향을 학습하고, 학습된 평균 심음 또는 평균 심박수를 이용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도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건강 상태는 환자의 건강이 정상 상태일 때의 평균 심음 또는 평균 심박수일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로부터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한 환자 스마트폰(200)은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스마트 청진기(100)로 전송하여, 스마트 청진기(100)의 응급 버튼이 눌러져 응급 신호 발생시,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 판단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스마트 청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스마트 청진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청진기(100)는 생체정보 검출부(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와, 제어부(130)와, 생체정보 저장부(140)와, 응급 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검출부(110)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한다. 예컨대, 환자의 생체정보가 환자의 심음 또는 환자의 심박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체정보 검출부(110)가 심음 센서(111)와, 심박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심음 센서(111)는 환자의 심음을 검출한다. 예컨대, 심음 센서(111)가 심장의 수축/확장시 발생하는 소리를 입력받는 제1마이크로 폰과, 배경잡음을 입력받는 제2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듀얼 마이크로폰과, 반향음(Echo)를 제거하는 AEC(Acoustic Echo Canceller)와, 배경잡음을 제거하는 NS(Noise Suppressor)와, 음향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거나 감소시키는 EQ(Equalizer)와, 음향 신호를 정상 청력 범위로 증폭하는 DRC(Dynamic Range Compressor)와, 음향 주파수의 이득(Gain)을 자동 조정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ler) 등을 포함하는 음성 입력 모듈(도면 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심박 센서(112)는 환자의 심박수를 검출한다. 혈관속의 적혈구는 녹색광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심박 센서(112)가 녹색광을 피부내의 혈관으로 투사시키고, 혈관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녹색광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심박수를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는 환자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한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환자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 대역 주파수 신호 방사를 위한 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생체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생체정보 저장부(140)는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도출되는 정보로, 환자의 건강이 정상 상태일 때의 평균 심음 또는 평균 심박수일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 저장부(140)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EPROM 등일 수 있다.
응급 버튼(150)은 응급 신호를 발생시킨다. 건강에 이상이 있는 응급 상태에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해 환자가 응급 버튼(150)을 손으로 누르면 응급 신호가 발생된다.
응급 버튼(150)이 눌러져 응급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가 생체정보 검출부(110)를 통해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와 생체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비교해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한다.
환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라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200)을 통해 지정된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로 해당 환자의 생체정보가 비정상이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만약,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라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생체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청진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수신한 환자 스마트폰(200)은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지정된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로 중계한다.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은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가 전송되면, 경고 메시지를 통해서는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가 응급 상태임을 인지하고,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통해서는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환자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통해서는 환자를 식별한다.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을 통해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가 비정상이라 인지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 담당자는 환자를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긴급 후송하는 등과 응급 구조를 위한 조치를 취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청진기(100)가 배경잡음을 제거하는 NS(Noise Suppressor)와, 음향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거나 감소시키는 EQ(Equalizer)와, 음향 주파수의 이득(Gain)을 자동 조정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ler)와, 음향 신호를 정상 청력 범위로 증폭하는 DRC(Dynamic Range Compressor)와, 음향 신호 출력 볼륨을 조정하는 VC(Volume Controller)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모듈(도면 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 음성 출력 모듈과 심음 센서의 음성 입력 모듈을 이용해 스마트 청진기(100)가 환자 스마트폰(200)의 무선 핸즈 프리 장치로 동작하여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과 음성 통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환자 스마트폰(200)은 스마트 청진기(100)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처리하고,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스마트 청진기(100)로 전송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200a)을 탑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의 환자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200a)은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210)와,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220)와,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230)를 포함한다.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210)는 주변의 스마트 청진기(1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스마트 청진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한다. 이 때,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210)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반으로 스마트 청진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220)는 인공지능 분석서버(500)와 모바일 IP 네트워크 연결한다. 예컨대,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220)가 인공지능 분석서버(500) IP 주소 설정을 통해 인공지능 분석서버(500)와 모바일 IP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230)는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210)에 의해 연동된 스마트 청진기(100)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220)에 의해 연동된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로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로부터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청진기(100)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환자 스마트폰(200)으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을 수신한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는 학습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도출하고, 도출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인공지능 분석서버(500)로부터 전송되는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230)에 의해 수신되고, 스마트 청진기(1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스마트 청진기(100)의 응급 버튼(150)이 눌러져 응급 신호가 발생되면, 스마트 청진기(100)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와 저장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비교해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환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라 판단되면, 스마트 청진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200)으로 환자의 생체정보가 비정상이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환자 스마트폰(200)의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230)가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전송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지정된 의사 단말(300)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400)로 중계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230)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환자 스마트폰(200)의 내부 메모리(도면 도시 생략)에 녹음하여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환자 스마트폰(200)의 내부 메모리에 녹음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는 응급 상황에서의 심음 또는 심박수 등과 같은 환자의 생체정보이므로, 내부 메모리에 녹음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읽어 확인할 경우 응급 상황에서의 심음 또는 심박수 등과 같은 환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수집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상태를 인공지능 분석하여 자동으로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연결하여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환자가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황이거나 전화통화가 되어도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 환자의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어, 의사 또는 응급지원센터에서 환자의 응급 상황을 원격으로 인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의료 기술 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스마트 청진기
110 : 생체정보 검출부
111 : 심음 센서
112 : 심박 센서
12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생체정보 저장부
150 : 응급 버튼
200 : 환자 스마트폰
200a :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
210 :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
220 :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
230 :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
300 : 의사 단말
400 : 응급지원센터 단말
500 : 인공지능 분석서버

Claims (7)

  1.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 검출부와;
    환자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으로 생체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생체정보 저장부와;
    응급 신호를 발생시키는 응급 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 청진기를 포함하되,
    제어부가:
    응급 버튼이 눌러져 응급 신호 발생시, 생체정보 검출부를 통해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와 생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비교해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판단하고, 환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라 판단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환자 스마트폰을 통해 지정된 의사 단말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로 해당 환자의 생체정보가 비정상이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생체정보 검출부가:
    환자의 심음을 검출하는 심음 센서와;
    환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는 심박 센서를;
    포함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이: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처리하고,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스마트 청진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을 탑재하는 환자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스마트 청진 서비스 앱이:
    주변의 스마트 청진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스마트 청진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하는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와;
    인공지능 분석서버와 모바일 IP 네트워크 연결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와;
    스마트 청진기 연동부에 의해 연동된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인공지능 분석서버 연동부에 의해 연동된 인공지능 분석서버로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하고, 인공지능 분석서버로부터 인공지능(AI) 분석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청진기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가:
    스마트 청진기로부터 전송되는 경고 메시지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 및 환자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지정된 의사 단말 또는 응급지원센터 단말로 중계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스마트 청진 서비스부가:
    환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환자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녹음하여 저장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이:
    환자 스마트폰으로부터 환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공지능(AI) 분석을 요청을 수신하고, 학습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도출하고, 도출된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환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인공지능 분석서버를;
    더 포함하는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KR1020230024071A 2022-02-23 2023-02-23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KR20230126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869 2022-02-23
KR20220023869 2022-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69A true KR20230126669A (ko) 2023-08-30

Family

ID=8784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071A KR20230126669A (ko) 2022-02-23 2023-02-23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6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331B1 (ko) 2011-08-25 2014-01-06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KR20210135908A (ko) 2020-05-06 2021-11-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331B1 (ko) 2011-08-25 2014-01-06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KR20210135908A (ko) 2020-05-06 2021-11-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0434B1 (en) Method for detecting wrong positioning of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94141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hearing aid
JP6448596B2 (ja) 補聴システム及び補聴システムの作動方法
US9973847B2 (en) Mobile device-based stethoscope system
US5812678A (en) Auscultation augmentation device
US20090015413A1 (en) Wirelessly transmitting biological parameters
US103043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viding emergency support
JP2001510697A (ja) 医学的状態の遠隔モニタリング装置
US103325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peech enhancement using a remote microphone
CN114762360A (zh) 入耳检测
CN112532266A (zh) 智能头盔及智能头盔的语音交互控制方法
US11425510B2 (en) Method of coupling hearing devices to one another, and hearing device
US11937901B2 (en) Arteriovenous fistula stenosi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sensing device
US202104075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wearable device
KR101209713B1 (ko) 홈 헬스 케어 시스템
EP1889464B1 (en) Monitoring system with speech recognition
JP2023099012A (ja) アラートシステム
KR20230126669A (ko)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JP2003319497A (ja) 検査センター装置、端末装置、聴力補償方法、聴力補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聴力補償方法のプログラム
JP2022530855A (ja) 生体音響信号の向上された検出及び分析
KR100334892B1 (ko)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원격 진료 시스템
US20220257195A1 (en) Audio pill
US20220370249A1 (en) Multi-device integration with hearable for managing hearing disorders
CN114830692A (zh) 包括计算机程序、听力设备和压力评估设备的系统
US20220101870A1 (en) Noise filtering and voice isolation device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