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713B1 - 홈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713B1
KR101209713B1 KR1020050122011A KR20050122011A KR101209713B1 KR 101209713 B1 KR101209713 B1 KR 101209713B1 KR 1020050122011 A KR1020050122011 A KR 1020050122011A KR 20050122011 A KR20050122011 A KR 20050122011A KR 101209713 B1 KR101209713 B1 KR 10120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body signal
home
external
question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215A (ko
Inventor
신재호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휴비딕
(재)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비딕, (재)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경기도 filed Critical (주)휴비딕
Priority to KR102005012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7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자의 신체신호를 측정하는 신체신호 측정부;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신체신호를 저장하는 신체신호 저장모듈, 상기 신체신호를 표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준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판단하고 이격도에 따라 이용자 또는 외부자에게 위험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응급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모듈, 이용자에게 내부저장 문진표 또는 외부저장 문진표를 제시하고 이에 답하게 하고, 이를 저장하는 문진모듈, 화상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및 음성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화상상담모듈, 음성 또는 화면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응급구호요청을 하는 상황인지모듈, 외부자의 단말기에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외부서버에 전송하고 응급구호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부보호자 단말기;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저장 문진표를 송부하고 이에 대한 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화상상담용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외부서버; 및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 서버, 외부보호자 단말기 및 외부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가정 내에 독립된 홈 헬스 케어 전용서버를 구축하여 건강 관련된 정보를 저장, 분석하고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동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측정/입력된 건강관련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홈 헬스 케어 서버에 저장되어 외부의 네트워크 망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헬스 케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홈 헬스 케어, 홈 서버

Description

홈 헬스 케어 시스템 {HOME HEALTH CA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이 홈 네트워크와 연동된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문진모듈의 실행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개략적인 구성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황인지모듈의 실행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개략적인 구성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내에 독립된 홈 헬스 케어 전용서버를 구축하여 건강 관련된 정보를 저장, 분석하고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동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측정/입력된 건강관련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홈 헬스 케어 서버에 저장되어 외부의 네트워크 망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헬스 케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종 의료기기로부터 측정된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네트워크 망, 홈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헬스케어용 서버를 포함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은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폰 또는 PC에 전송하여 외부의 병원 또는 보건소등에 구축된 서버에 측정된 정보를 저장,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의 네트워크 망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전체 헬스 케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긴급 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다.
또, 최근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발전과 더불어 가정 내에서 신체의 생체신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각종 건강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이용 및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활용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건강정보에 관심이 높은 세대가 50대 이후의 고령자임을 감안, 휴대 폰이나 PC상에서 건강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이용이 어려워 실용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가정 내에 독립된 홈 헬스 케어 전용서버를 구축하여 건강 관련된 정보를 저장, 분석하고 독자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동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PC사용이 숙달되지 못한 고령자를 위하여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필요로 하는 건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외에 가정에서 측정/입력된 건강관련 Data가 자동적으로 홈 헬스 케어 서버에 저장되고 홈 G/W를 거쳐 외부의 병원/보건소의 헬스 케어 서버 DB로 저장되고, 이러한 Data는 전문가가 자세히 체크하고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용자의 신체신호를 측정하는 신체신호 측정부;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신체신호를 저장하는 신체신호 저장모듈, 상기 신체신호를 표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준범위 를 벗어난 것인지 판단하고 이격도에 따라 이용자 또는 외부자에게 위험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응급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모듈, 이용자에게 내부저장 문진표 또는 외부저장 문진표를 제시하고 이에 답하게 하고, 이를 저장하는 문진모듈, 화상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및 음성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화상상담모듈, 음성 또는 화면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응급구호요청을 하는 상황인지모듈, 외부자의 단말기에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외부서버에 전송하고 응급구호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부보호자 단말기;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저장 문진표를 송부하고 이에 대한 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화상상담용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외부서버; 및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 서버, 외부보호자 단말기 및 외부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의 신체신호를 측정하는 신체신호 측정부,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신체신호를 저장하는 신체신호 저장모듈, 상기 신체신호를 표준데이터와 비 교하여 표준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판단하고 이격도에 따라 이용자 또는 외부자에게 위험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응급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모듈, 이용자에게 내부저장 문진표 또는 외부저장 문진표를 제시하고 이에 답하게 하고, 이를 저장하는 문진모듈, 화상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및 음성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화상상담모듈, 음성 또는 화면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응급구호요청을 하는 상황인지모듈, 외부자의 단말기에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외부서버에 전송하고 응급구호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부보호자 단말기,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저장 문진표를 송부하고 이에 대한 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화상상담용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외부서버, 및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 서버, 외부보호자 단말기 및 외부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는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연결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운동기구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다른 저장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다른 전송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 기 서버의 내부 구성에 대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를 통하여 홈 헬스 케어용 상기 서버는 RG등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각종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기기를 제어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도 함께 관리하여 종합적인 헬스 케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헬스 케어용 서버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혈압, 체온, 심전도, 혈중산소포화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인 신체신호 측정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IrDA, Zigbee, 블루투스, UWB, 홈 RF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생체정보의 측정된 Data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신호는 측정 가능한 공지의 다양한 신체신호가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혈압, 혈당, 맥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응급구호 등에 유리하여 좋다.
이와 같이 수신되어 저장된 생체정보인 신체신호는 상기 신체신호 저장모듈에 의하여 ID, 시간, 생체신호별로 홈 헬스 케어용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고, 상기 네트워크에 의하여 외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병원, 보건소 등에 측정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홈 헬스 케어 서버에는 각종 생체정보에 대한 긴급/위험/경고/정상에 대한 범위가 저장되어 있어 측정된 Data를 지정된 범위에 비교하여 대응방안 을 도출해 낸다. 즉, 상기 신체신호를 표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준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판단하고 이격도에 따라 이용자 또는 외부자(보호자 또는 병원)에게 위험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병원 또는 119 등에 응급구호를 요청하는 응급구호모듈을 구비한다.
그 구체적인 예로 아래 표 1에 따라 상황을 인지하여 응급구호를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표 1]
구분 고혈압 혈당 맥박 대처방안
긴급 30회/분 이하 119, 개인지정병원 응급진료센터, 보호자에게 즉각 자동 연락
위험 Sys : 200mmhg
이상
80mmhg
이하
Dia : 130mmhg
이상
40mmhg
이하
식전 : 130mg/dl 이상
40mg/dl 이하
식후 : 200mg/dl 이상
60mg/dl 이하
40회/분 이하 개인, 지정된 보호자에게 위험 메시지 전송
경고 Sys : 150mmhg
이상
100mmhg
이하
Dia : 100mmhg
이상
60mmhg
이하
식전 : 110mg/dl 이상
50mg/dl 이하
식후 : 140mg/dl 이상
70mg/dl 이하
50회/분 이하 개인에게 경고 메시지 전송
정상 기타범위 기타범위 기타범위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 범위는 이용자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하고, 상기 이격도도 이용자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하는 것이 시스템의 유연성확보 및 긴급구호의 잘못된 신고를 낮출 수 있으므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범위는 이용자의 일정기간 신체신호 측정값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문진모듈을 통하여 문진은 외부 네트워크 망에 전송한 Data를 분석하여 측정 Data만으로 분석이 어려운 다양한 개인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게 되며, 간단하게 예, 아니오 또는 간단한 숫자 기입만으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노인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진은 홈 헬스 케어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내부저장 문진표를 가지고 수행하는 내부 문진과 외부의 병원/보건소에서 설치된 외부서버에 저장되어 이를 요청하는 외부저장 문진표를 통한 외부 문진의 2가지로 진행되며, 문진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 예를 들면, 화상상담 요청, 병원방문 요청, 메시지 전송, 건강/운동/음식에 대한 추천 등을 도출해 내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의 예는 도 4에 도시한 흐름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홈 헬스 케어용 서버는 화상진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화상상담모듈을 갖춘다. 이를 통하여 상기 문진에서 진료를 요하거나 진찰을 요하는 이용자에게 화상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및 음성입출력장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내장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포함한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정치를 이용하여 화상상담을 할 수 있다.
응급구호모듈과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상황인지 모듈을 활용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즉, 긴급/위험 메시지가 발생했을 경우뿐만 아니라 홈 헬스 케어용 서버에 내장된 카메라나 네트워크 상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댁내 이용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위험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위험한 상태로 판별될 경우에는 긴급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와 같이 119, 응급진료센터 등에 응급구호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홈 헬스 케어용 서버에는 긴급/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각종 상황에 대한 정보가 사전에 입력되어 있어 저장된 생체의 신체신호와 카메라,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의 경우는 '119', '살려줘', 'Help' 등 특정 단어의 사용자 음성을 저장하여두고 이와 유사한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에 응급구호를 요청하거나, 음성입력이 12시간 이상 없는 경우에 응급구호를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영상의 경우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1분 이상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응급구호를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생체에서의 신체신호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Data가 지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응급구호를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어느하나만 해당하는 경우에도 요청이 발령될 수 있도록 서로 별개로 진행되도록 하거나, 2가지가 동시에 발견되는 경우에만 진행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오나 시스템의 에러로 발생된 경우에는 이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사용자가 휴대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응급구호의 요청은 병원, 외부 보호자 또는 119 등의 다양한 외부자에게 구호를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황인지모듈은 이용자의 긴급구호용으로 저장된 음성의 인식, 일정시간동안의 음성의 불인식 또는 일정시간 이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화면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응급구호요청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흐름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외부에 있는 보호자 또는 의사(외부자)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보고자 할 경우에는 PC 또는 PDA 등 휴대형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 망에 직접 접속하거나 홈 헬스 케어 서버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조회,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통상의 경우에는 외부자가 건강기록을 조회하거나 이용자의 모습을 관찰하는 것 등이 가능하고, 응급구호모듈이나 상황인지모듈로부터 긴급/위험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는, 사용자 ID를 접속하면, 사용자의 최근 건강기록 조회가 가능하고, 내부의 카메라를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사용자와 화상상담을 진행하거나, 긴급상황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버에 의하여 획득된 문진결과, 신체신호 등은 상기 서버에 저장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서버를 다수 통합하여 관리하는 외부서버에 외부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서버내의 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이와 같은 통신모듈은 이외에도 상기 응급구호모듈에 의한 위험 또는 경고 메시지와 상황인지모듈에 의한 응급구호요청 등을 외부자(병원, 119, 외부보호 자 등)에게 유선국선, 무선국선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망 등을 통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서버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부보호자 단말기(휴대폰, PDA, PC, 노트북, 전화기 등),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저장 문진표를 송부하고 이에 대한 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화상상담용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외부서버(병원 등에 설치되어지는 서버) 및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 서버, 외부보호자 단말기 및 외부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데 있어서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공지 기술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홈 헬스 케어 시스템에 따르면, 가정 내에 독립된 홈 헬스 케어 전용서버를 구축하여 건강 관련된 정보를 저장, 분석하고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동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측정/입력된 건강관련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홈 헬스 케어 서버에 저장되어 외부의 네트워크 망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헬스 케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동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PC사용이 숙달되지 못한 고령자를 위하여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필요로 하는 건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가정에서 측정/입력된 건강관련 Data가 자동적으로 홈 헬스 케어 서버에 저장되고 홈 G/W를 거쳐 외부의 병원/보건소의 헬스 케어 서버 DB로 저장되고, 이러한 Data는 전문가가 자세히 체크하고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사용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이용자의 신체신호를 측정하는 신체신호 측정부;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신체신호를 저장하는 신체신호 저장모듈, 상기 신체신호를 표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준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판단하고 이격도에 따라 이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위험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급구호모듈, 이용자에게 내부저장 문진표 또는 외부저장 문진표를 제시하고 이에 답하게 하고, 이를 저장하는 문진모듈, 화상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카메라 및 음성입출력장치를 구비한 화상상담모듈, 음성 또는 화면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응급구호요청을 하는 상황인지모듈, 외부 보호자의 단말기에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외부서버에 전송하고 응급구호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부보호자 단말기;
    상기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저장 문진표를 송부하고 이에 대한 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화상상담용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신체신호 및 문진 저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외부서버; 및
    상기 신체신호 측정부, 서버, 외부보호자 단말기 및 외부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운동기구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저장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신호는 혈압, 혈당, 맥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범위는 이용자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하고, 상기 이격도도 이용자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범위는 이용자의 일정기간 신체신호 측정값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인지모듈은 이용자의 긴급구호용으로 저장된 음성의 인식 또는 일정시간 이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화면정보에 따라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응급구호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050122011A 2005-12-12 2005-12-12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10120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011A KR101209713B1 (ko) 2005-12-12 2005-12-12 홈 헬스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011A KR101209713B1 (ko) 2005-12-12 2005-12-12 홈 헬스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215A KR20070062215A (ko) 2007-06-15
KR101209713B1 true KR101209713B1 (ko) 2012-12-07

Family

ID=3835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011A KR101209713B1 (ko) 2005-12-12 2005-12-12 홈 헬스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45B1 (ko) * 2007-08-23 2010-02-11 (주)씨랩시스 유비쿼터스 주거 기반의 생체 정보 기록 및 관리장치
KR101025578B1 (ko) * 2009-01-23 2011-03-2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98383B1 (ko) *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427413B1 (ko) * 2012-07-13 2014-08-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여객 도우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여객 도우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982584B1 (ko) 2012-10-29 201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38643B1 (ko) 2015-05-07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00066794A (ko) 2018-12-03 2020-06-11 박익수 헬스 케어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42302A (zh) * 2019-11-12 2021-05-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身体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31B1 (ko) 2000-08-14 2004-01-07 서희돈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실시간원격진료 방법
JP2005224354A (ja) 2004-02-12 2005-08-25 Terumo Corp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31B1 (ko) 2000-08-14 2004-01-07 서희돈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실시간원격진료 방법
JP2005224354A (ja) 2004-02-12 2005-08-25 Terumo Corp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215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09713B1 (ko) 홈 헬스 케어 시스템
US9265421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9357921B2 (en)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US20120069138A1 (en) Visual medical monitoring system for a remote subject
KR100749569B1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365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16206A (ko)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7505676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174266A (ja) 遠隔患者支援システム
US20150065812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JP6680563B2 (ja)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方法
KR20210073404A (ko) 노인 요양보호를 위한 의료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0963698B1 (ko) 의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94605B1 (ko) 환자 감시관리 무선 호출시스템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stin et al. Complex telemonitoring of patients and elderly people for telemedical and homecare services
JP2017084211A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及びテレビ受像機
KR100366816B1 (ko) 원격 의료 장치 및 방법
KR20060009035A (ko) 생체 측정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96274B1 (ko) 원격 건강 진단 시스템
KR20050050350A (ko) 생체 측정기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9307A (ko) 환자 침상 (병원, 집) 부착 너싱 모니터 시스템
US20130328685A1 (en) Assistance terminal for remotely monitoring a person connected to a medical assistance and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