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908A -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 Google Patents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908A
KR20210135908A KR1020200078437A KR20200078437A KR20210135908A KR 20210135908 A KR20210135908 A KR 20210135908A KR 1020200078437 A KR1020200078437 A KR 1020200078437A KR 20200078437 A KR20200078437 A KR 20200078437A KR 20210135908 A KR20210135908 A KR 2021013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ise
ring
signal
typ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722B1 (ko
Inventor
췬 웨이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3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전도, 맥파 및 심폐 소리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을 통해 청진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반지형으로 구성된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RING TYPE SMART STETHOSCOPE HAVING MULTI-CHANNEL}
본 발명은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전도, 맥파 및 심폐 소리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을 통해 청진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반지형으로 구성된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진기(stethoscope)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음이나 호흡음을 비롯하여 동맥음, 장잡음 및 혈관음을 청취하여 정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혈압을 측정할 때는 상완동맥음을 청취하기도 한다.
이러한 청진기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 청진기를 대체하여 마이크와 마이콤을 내장한 디지털 청진기로 대체되는 추세이며, 디지털 청진기는 청진음을 분석하여 정밀 진찰을 가능하게 하거나 교육 목적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청진기는 기능이 비교적 단순하여 심폐 이외에 심전도와 맥파까지 포함한 여러 채널의 청진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구조적으로는 목에 걸어 착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사용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0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06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7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전도, 맥파 및 심폐 소리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을 통해 청진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반지형으로 구성된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는 인체를 청진(stethoscopy)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반지형 몸체와; 상기 반지형 몸체에 설치되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와; 상기 반지형 몸체에 설치되며, 심장 박동에 의한 혈류량 변화를 측정하는 맥파 센서와; 상기 반지형 몸체에 설치되며, 심폐 소리를 측정하는 심음 센서; 및 상기 각 센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지형 몸체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홀드부와; 상기 홀드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인체에 밀착 접촉되는 접촉부; 및 센서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드부는 링 형상의 몸체 일측을 절개한 오픈 링(open 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다른 굵기의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전도 센서는 상기 접촉부에 설치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홀드부에 설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의해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가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맥파 센서는 상기 홀드부에 설치되며, 광원이 피부로 투과된 후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측정하는 반사형 맥파(PPG: Photo PlethysmoGraph)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음 센서는 상기 접촉부에 설치되어 심페 소리를 측정하는 심페 소리 센서; 및 상기 접촉부 또는 홀드부에 설치되어 잡음을 측정하는 잡음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폐 소리 센서는 상기 접촉부 중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잡음 감지 센서는 상기 접촉부 중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측부에서 상기 반지형 몸체 외부의 공간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 신호처리를 통해 상기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심폐 소리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에서 상기 잡음 감지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 중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지형 몸체에 구비되며 청진을 위해 인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감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측정 시작 버튼과; 상기 측정 시작 버튼의 감지 시작 신호에 따라 상기 심폐 소리 센서에서 필터링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을 스위칭 온(switching-on) 시키는 스위치와; 청진기 전원공급시부터 상기 감지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잡음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잡음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buffer); 및 상기 버퍼에서 제공되는 잡음 신호의 주파수, 파형 패턴 및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심음을 측정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잡음의 특징을 분석하는 잡음 특징 판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잡음 특징 판별부에서 제공되는 잡음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감지 시작 신호 이후부터 잡음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고 있는 잡음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심폐 소리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에서 상기 신호처리된 잡음인 비교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회로 패턴을 통해 상기 각 센서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및 상기 각 센서에서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반지형 몸체에 심전도 센서, 맥파 센서 및 심음 센서를 구비한다. 따라서, 심전도, 맥파 및 심폐 소리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을 통해 청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반지형 몸체를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의 센싱 파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용 필터링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잡음 제거용 필터링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잡음 제거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10)는 적어도 일부분에 반지 기능을 하는 몸체 즉, 링(ring) 형상을 포함하는 반지형 몸체(11)를 제공하고, 여기에 여러 청진용 센서들이 설치된다.
반지형 몸체(11)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홀드부(11a), 인체에 접촉하는 접촉부(11b) 및 센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11c)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손가락에 청진기를 끼우고, 선 자세뿐만 아니라 그외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여러 자세에서 인체의 청진(stethoscopy)을 가능하게 한다.
반지형 몸체(11)에는 심전도 센서(12), 맥파 센서(13) 및 심음 센서(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심전도, 맥파 및 심폐 소리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을 통해 청진을 가능하게 하며, 반지형 몸체(11)를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10)는 손가락에 장착하기 위한 반지형 몸체(11)와, 청진을 위한 여러 센서(12, 13, 14) 및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12, 13, 14)는 심전도 센서(12), 맥파 센서(13) 및 심음 센서(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반지형 몸체(11)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홀드부(11a), 상기 홀드부(11a)의 일측에 연결되며 인체에 밀착 접촉되는 접촉부(11b) 및 센서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11c)를 포함한다.
홀드부(11a)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의사와 같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홀드부(11a)는 링 형상의 몸체 일측을 절개한 오픈 링(open ring)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굵기의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접촉부(11b)는 홀드부(11a)의 일측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결합되는 것으로, 센서의 설치에 따른 공간상 제약을 극복하고 인체에 접촉하는 면적을 늘리도록, 실시예로써 홀드부(11a) 하단에 구비되는 사각 블록의 몸체로 구성된다.
통신인터페이스(11c)는 반지형 몸체(11)에 연결된 신호선을 포함하여 유선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같은 무선으로 방식으로 구성되며, 도 4와 같이 측정된 인체 정보를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심전도 센서(12)는 반지형 몸체(11)에 설치되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심전도 센서(12)는 반지형 몸체(1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지형 몸체(11) 내부에 매입 설치된다.
이러한 심전도 센서(12)는 접촉부(11b)에 설치되는 제1 전극(12a) 및 홀드부(11a)에 설치되는 제2 전극(12b)을 포함하여,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1 전극(12a)과 제2 전극(12b)에 의해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가 측정된다.
예컨대, 제1 전극(12a)이 양(+)의 전극이라면 제2 전극(12b)은 음(-)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물론 제1 전극(12a)과 제2 전극(12b)은 위와 반대되는 전극 극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전극(12a)은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11b)에 구비되되, 인체 표면에 최대한 접촉하도록 접촉부(11b)의 하부면을 통해 그 일측 전극면이 노출되거나 최소한의 얕은 깊이로 매입될 수 있다.
맥파 센서(13)는 심장 박동에 의한 혈류양의 변화 즉, 맥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맥파 센서(13) 역시 반지형 몸체(11)에 설치된다. 실시예로써 반지형 몸체(110 내에 매입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맥파 센서(13)는 반지형 몸체(11) 중 손가락이 끼워지는 홀드부(11a)에 설치된다. 이러한 맥파 센서(13)는 다른 센서들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 홀드부(11a)에 분산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맥파 센서(13)는 반사형 맥파(PPG: Photo PlethysmoGraph) 센서를 사용한다. 반사형 맥파 센서(13)는 광원이 피부로 투과된 후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이 적용된 센서이다.
예컨대, 맥파 센서(13)는 발광원 및 수광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광원에서 투사된 빛이 인체에 조사되면 혈액, 뼈, 조직에서 빛의 흡수가 발생하고 일부광은 반사되어 수광기에 수광된다.
빛이 흡수되는 정도는 빛이 지나가는 경로에 있는 피부, 조직, 혈액의 양에 비례하며, 심장박동에 의한 혈류 변화를 제외하고는 변하지 않는 것이어서, 반사되는 빛으로 혈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심전도 센서(12)는 맥파 센서(13)와 일체로 구성된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센서에서 심전도와 맥파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심음 센서(14)는 반지형 몸체(11)에 설치되어 심폐 소리(cardiac sound)를 측정한다. 이러한 심음 센서(14)는 일종의 음성 센서로 심장의 수축/확장시 발생하는 심첨부(심장끝) 및 심기부에 의한 소리를 포함하여 측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심음 센서(14)는 잡음 제거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심음 센서(14)는 심음을 측정하는 심폐 소리 센서(14a) 및 잡음을 측정하는 잡음 감지 센서(14b)를 포함한 2종류의 센서로 구성된다.
이때, 심폐 소리 센서(14a)는 접촉부(11b)에 설치되어 심페 소리를 측정하고, 잡음 감지 센서(14b)는 접촉부(11b) 또는 홀드부(11a)에 설치되어 잡음을 측정하는 것으로 실시예로서 마이크가 사용된다. 측정된 잡음은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심폐 소리 센서(14a)는 접촉부(11b) 중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하단부에 설치되고, 잡음 감지 센서(14b)는 접촉부(11b) 중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측부에서 반지형 몸체(11) 외측 공간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심폐 소리 센서(14a)는 심장 소리를 더욱 잘 측정하고, 잡음 감지 센서(14b)는 인체 외부의 잡음은 물론, 검사 대상인 심장 이외에 다른 장기나 혈액이나 물의 유동에 의한 잡음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필터링부(14c)를 더 포함한다. 필터링부(14c)는 음성 신호처리를 통해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필터링부(14c)는 심폐 소리 센서(14a)에서 측정한 신호에서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측정한 신호 중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거하여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된 심폐 소리 신호에서 잡음 신호를 빼는 방식 등으로 심음을 측정하는 당시에 함께 측정된 잡음을 제거하고, 순수한 심음 소리만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임신부의 경우 뱃속 아기의 심음이 검사 대상인 경우에는 엄마의 심음 역시 잡음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아기의 심음과 함께 감지된 엄마의 심음을 제거하고, 아기의 심음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필터링부(14c)는 반지형 몸체(11)에 칩셋 형태로 구성되거나 통신인터페이스(11c)를 통해 연결된 종단 단말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터링을 통해 잡음이 제거된 심음은 스피커와 같은 출력부(16)로 제공된다. 출력부(16)는 음성 신호를 파형으로 보여주는 영상 출력부이거나 영상 출력부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원부(15)는 각 센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원부(15)는 심전도 센서(12), 맥파 센서(13) 및 심음 센서(14)에서 신호 감지를 위해 필요한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그외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전자 회로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5)는 회로 패턴을 통해 각 센서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원 라인을 통해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및 각 센서에서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라인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부(15)는 실시예로써 반지형 몸체(11) 중 홀드부(11a)에 설치되며, 2차 전지 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나 2차 전지의 교체를 위해 개폐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과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심음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되 더욱 정밀하고 빠른 노이즈 제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측정 시작 버튼(17)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스위치(14d), 버퍼(buffer)(18) 및 잡음 특징 판별부(19)를 더 포함하여 상기한 필터링부(14c)와 함께 심음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다.
측정 시작 버튼(17)은 반지형 몸체(11)에 구비되며 청진을 위해 인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감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도 6a에서는 반지형 몸체(11)에서 외부로 돌출된 누름 버튼형 측정 시작 버튼(17)을 예시하였다. 도 6b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전극(17a, 17b)에 인체가 접촉함에 따라 전극(17a, 17b)간 도통이 이루어지면서 감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락형 측정 시작 버튼(17)을 예시하였다.
도 7과 같이, 스위치(14d)는 측정 시작 버튼(17)의 감지 시작 신호에 따라 심폐 소리 센서에서 필터링부(14c)로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line)을 스위칭 온(switching-on) 시킨다. 이를 통해 스위칭 온 시작점부터 필터링부(14c)에 심음이 전달된다.
버퍼(18)는 일종의 데이터 저장 메모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원부(15)에 의해 청진기에 전원 공급이 시작된 시점부터 측정 시작 버튼(17)에 의한 감지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감지한 잡음 신호를 저장한다.
만약 전원부(15)에 의한 전원공급이 계속되는 경우라면 대기 상태에서 주변 잡음을 기록하고 별도의 전원버튼을 구비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눌러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버퍼(18)에 잡음이 기록되기 시작한다.
잡음 특징 판별부(19)는 버퍼(18)에서 제공되는 잡음 신호의 주파수, 파형 패턴 및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심음을 측정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잡음의 특징을 분석한다.
측정 시작 버튼(17)에 의해 심음을 필터링부(14c)에 공급하기 이전부터 미리 잡음의 특징을 분석하면 잡음과 심음을 정확하고 빠르게 구분하고, 심음 출력 시점과 잡음 제거 시점을 동기화시키면 정확한 타이밍에 잡음을 제거하고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심폐 소리 센서(14a)에서 심음과 함께 감지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감지된 잡음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처리나 동기화 시점 등을 정확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필터링부(14c)는 잡음 특징 판별부(19)에서 제공되는 잡음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감지 시작 신호 이후부터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감지되고 있는 잡음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한다.
비교 신호는 잡음 제거를 위해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감지된 잡음을 잡음 특징 판별부(19)에서 선택한 처리 기준에 따라 신호처리된 것으로, 이러한 잡음이 포함된 심음에서 비교 신호를 빼서 심음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심폐 소리 센서(14a)에서 측정한 신호에서 신호처리된 잡음인 비교 신호를 제거하여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이 제거되고, 의사 등과 같은 사용자는 검사 대상의 심음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위와 같이 측정 시작 버튼(17)을 기준으로 필터링부(14c)에 의해 심음에 포함된 잡음이 제거되는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후 잡음 특징을 판독하기 위한 잡음을 수집하고, 측정 시작 버튼(17)의 동작 이후 심음이 공급되고, 그와 동시에 측정된 잡음이 공급되어 심음에서 잡음을 제거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11: 반지형 몸체
11a: 홀드부
11b: 접촉부
11c: 통신인터페이스
12: 심전도 센서
12a: 제1 전극
12b: 제2 전극
13: 맥파 센서
14: 심음 센서
14a: 심폐 소리 센서
14b: 잡음 감지 센서(14b)
14c: 필터링부
14d: 스위치(14d)
15: 전원부
16: 출력부(스피커, 디스플레이)
17: 측정 시작 버튼
18: 버퍼(18)
19: 잡음 특징 판별부(19)

Claims (10)

  1. 인체를 청진(stethoscopy)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반지형 몸체(11)와;
    상기 반지형 몸체(11)에 설치되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심전도 센서(12)와;
    상기 반지형 몸체(11)에 설치되며, 심장 박동에 의한 혈류량 변화를 측정하는 맥파 센서(13)와;
    상기 반지형 몸체(11)에 설치되며, 심폐 소리를 측정하는 심음 센서(14); 및
    상기 각 센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형 몸체(11)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홀드부(11a)와;
    상기 홀드부(11a)의 일측에 연결되며, 인체에 밀착 접촉되는 접촉부(11b); 및
    센서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부(11a)는,
    링 형상의 몸체 일측을 절개한 오픈 링(open 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다른 굵기의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센서(12)는,
    상기 접촉부(11b)에 설치되는 제1 전극(12a); 및
    상기 홀드부(11a)에 설치되는 제2 전극(12b);을 포함하여,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상기 제1 전극(12a)과 제2 전극(12b)에 의해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센서(13)는,
    상기 홀드부(11a)에 설치되며,
    광원이 피부로 투과된 후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를 측정하는 반사형 맥파(PPG: Photo PlethysmoGraph)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음 센서(14)는,
    상기 접촉부(11b)에 설치되어 심페 소리를 측정하는 심페 소리 센서; 및
    상기 접촉부(11b) 또는 홀드부(11a)에 설치되어 잡음을 측정하는 잡음 감지 센서(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 소리 센서(14a)는 상기 접촉부(11b) 중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잡음 감지 센서(14b)는 상기 접촉부(11b) 중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측부에서 상기 반지형 몸체(11) 외부의 공간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8. 제6항에 있어서,
    음성 신호처리를 통해 상기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링부(14c)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부(14c)는 상기 심폐 소리 센서(14a)에서 측정한 신호에서 상기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측정한 신호 중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형 몸체(11)에 구비되며 청진을 위해 인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감지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측정 시작 버튼(17)과;
    상기 측정 시작 버튼(17)의 감지 시작 신호에 따라 상기 심폐 소리 센서에서 필터링부(14c)로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을 스위칭 온(switching-on) 시키는 스위치(14d)와;
    청진기 전원공급시부터 상기 감지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감지한 잡음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18)(buffer); 및
    상기 버퍼(18)에서 제공되는 잡음 신호의 주파수, 파형 패턴 및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심음을 측정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잡음의 특징을 분석하는 잡음 특징 판별부(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부(14c)는 상기 잡음 특징 판별부(19)에서 제공되는 잡음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감지 시작 신호 이후부터 잡음 감지 센서(14b)에서 감지되고 있는 잡음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심폐 소리 센서(14a)에서 측정한 신호에서 상기 신호처리된 잡음인 비교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심폐 소리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5)는,
    회로 패턴을 통해 상기 각 센서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및
    상기 각 센서에서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KR1020200078437A 2020-05-06 2020-06-26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KR102429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4117 2020-05-06
KR1020200054117 2020-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08A true KR20210135908A (ko) 2021-11-16
KR102429722B1 KR102429722B1 (ko) 2022-08-05

Family

ID=7871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37A KR102429722B1 (ko) 2020-05-06 2020-06-26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25A1 (ko) * 2021-12-24 2023-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체신호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스마트 청진기 및 청진방법
KR20230126669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006A (ko) * 2008-01-16 2009-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생체 신호 측정 센서, 맥파 전달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86022B1 (ko) 2008-09-30 2010-10-0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청진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36732B1 (ko) 2013-04-05 2014-09-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무선 공청 청진 시스템
KR101550676B1 (ko) 2014-01-06 2015-09-08 (주)피지오랩 패치형 무선청진시스템
JP3217016U (ja) * 2015-01-26 2018-07-12 周常安CHOU, Chang−An 装着型心電検出装置並びに装着型生理機能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016B2 (ja) * 1997-07-16 2001-10-09 山口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検出装置及び半導体チップ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006A (ko) * 2008-01-16 2009-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생체 신호 측정 센서, 맥파 전달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86022B1 (ko) 2008-09-30 2010-10-0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청진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36732B1 (ko) 2013-04-05 2014-09-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무선 공청 청진 시스템
KR101550676B1 (ko) 2014-01-06 2015-09-08 (주)피지오랩 패치형 무선청진시스템
JP3217016U (ja) * 2015-01-26 2018-07-12 周常安CHOU, Chang−An 装着型心電検出装置並びに装着型生理機能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25A1 (ko) * 2021-12-24 2023-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체신호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스마트 청진기 및 청진방법
KR20230126669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722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0406B2 (en)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US9320442B2 (en) Biometric front-end recorder system
AU2012256009B2 (en)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KR20190065102A (ko) 심전도 측정 장치
TWI533845B (zh) 無線電子聽診器裝置
US20170319082A1 (en)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KR102429722B1 (ko) 멀티 채널 반지형 스마트 청진기
CN108514428A (zh) 肠鸣音采集装置
WO2019015595A1 (zh) 血压检测手表
CN209574686U (zh) 心电听诊器
US10433745B1 (en) Handheld ECG monitoring system with fault detection
WO2021182446A1 (ja) 携帯型心電装置及び心電測定システム
CN215227799U (zh) 数字化听诊器
JPH0414574B2 (ko)
CN205031242U (zh) 一种具有降低血压作用的多功能电子血压计
JPH0956685A (ja) 心電計
KR20200116885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심전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JP3368255B2 (ja) 携帯型心電図モニター
CN220109756U (zh) 可穿戴设备
US20230000418A1 (en) Portable electrocardiograph, electrocardiograph syste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CN213216916U (zh) 睡眠呼吸障碍监测器和系统
CN220001797U (zh) 一种基于压电薄膜的数字听诊器系统
US2024013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of an electronic stethoscope
JP7439527B2 (ja) 携帯型心電装置及び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CN217907740U (zh) 集成式血压采集组件及具有其的血压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