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31B1 -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31B1
KR101348331B1 KR1020110084926A KR20110084926A KR101348331B1 KR 101348331 B1 KR101348331 B1 KR 101348331B1 KR 1020110084926 A KR1020110084926 A KR 1020110084926A KR 20110084926 A KR20110084926 A KR 20110084926A KR 101348331 B1 KR101348331 B1 KR 10134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martphone
stethoscope
transmitted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141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1008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청진기 고유의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인체 내의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11); 마이크(11)로부터 수신된 음파를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변환기(13); 제1 변환기(13)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장치(14); 스마트폰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신호처리장치(14)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할 수 있는 제2 변환기(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Stethoscope Associated with Smartphone Functionally}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청진기 고유의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환자의 가슴 또는 배와 같이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듣고 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진찰 기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청진기는 20~200 Hz 대역의 소리를 듣기 위한 벨, 200~1000 Hz 대역의 소리를 듣기 위한 다이어프램, 벨과 다이어프램의 소리를 전달하는 튜브 및 진단자의 귀에 걸쳐지는 바이누랄 및 진단자의 귀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이어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진기는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청진기(electronic stethoscope)가 개발되었다. 전자 청진기는 신체 내부의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면서 고주파 및 저주파를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음향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을 한다. 음향 청진기(acoustic stethoscope)는 다양한 구조 및 원리가 만들어지지만 전자 청진기는 동일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다.
전자청진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0672000호 ‘전자 청진기’가 있다. 상기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전기적인 음원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부, 상기 음원 신호를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 상기 음원 신호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부, 상기 증폭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음원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원 신호를 감쇄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필터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신호를 감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청진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청진기는 청진과 상관없는 소음 또는 손잡음과 같은 노이즈를 완전하게 차단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전자청진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1-0047181호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무선 전자 청진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종래의 청진기에서 청진기 몸체와 이어팁 사이를 고무관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왜곡 또는 음량의 저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전자 청진기는 잡음 제거, 주파수 선택 및 증폭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블루투스 이어폰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그리고 서로 다른 대상을 동시에 청음하여 컴퓨터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청진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전자 청진기의 성능 개선 또는 다른 기기와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간단한 진단기기로 진단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의존성이 강한 의료 기기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휴대성을 지니면서 개인적인 경험과 다양한 형태의 축척된 자료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공지된 청진기 또는 전자 청진기는 이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이 될 수 있는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단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부가 기능의 실현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이 될 수 있는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는 인체 내의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기; 제1 변환기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장치; 스마트폰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모듈; 및 신호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할 수 있는 제2 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호처리장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연결 커넥터 또는 블루투스 칩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호처리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DSP)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장소 또는 시간에 관계없이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진단자의 경험을 데이터로 축적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인 정보에 의하여 진단의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진단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진단 과정에서 생기는 경험적 상황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져 향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 구조의 실시 예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신호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에 의하여 진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스마트폰에 연결될 수 있는 청진기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청진기 구조의 실시 예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전체 개념도 그리고 (나)는 청진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인체 내의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11); 마이크(11)로부터 수신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기(13); 제1 변환기(13)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장치(14); 스마트폰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신호처리장치(14)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할 수 있는 제2 변환기(15)를 포함한다.
도 1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101)는 통신 수단(C)을 통하여 스마트폰(102)에 연결될 수 있다. 청진기(101)는 전자식 청진기가 될 수 있고 통신 수단(C)은 유선 또는 무선이 될 수 있다. 유선은 예를 들어 커넥터를 가진 연결 케이블이 될 수 있고 청진기(101)에서 수신된 신호를 스마트폰(102)에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커넥터 및 전송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무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진기(101)는 바이누랄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청진기(101)에서 수신된 음파는 청진기(101)에 직접 연결된 소리 전달을 위한 튜브를 통하여 이어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음파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스마트폰(102)으로 전달되면 스마트폰(102)의 자체 기능에 의하여 전기 신호가 소리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선(103)을 통하여 이어폰(104)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102)을 통하여 신체 내부의 소리를 듣는 경우 바이누랄과 또는 소리 전달을 위한 튜브와 같은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마이크(11)는 신체 내부의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마이크(11)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증폭기(12)에 의하여 증폭이 되어 제1 변환기(13)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변환기(13)는 음파 형태로 전달되는 인체 내부의 소리를 디지털 신호 또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제1 변환기(13)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신호처리장치(14)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처리장치(14)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DSP)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호처리장치(14)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메모리와 같은 기억 소자의 제어가 가능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처리 형태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처리장치(14)가 자체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면 별도로 제1 변환기(13)가 없거나 또는 제1 변환기(13)가 신호처리장치(14)와 일체로 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장치(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처리된 신호의 입출력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관련 데이터를 지정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장치(14)는 처리된 신호를 출력 소켓(17)을 통하여 스마트폰(1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소켓(17)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는 신호는 도 1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전송 케이블(18)과 커넥터(19)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유선으로 스마트폰(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 신호처리장치(14)에서 출력 소켓(17)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이 되어 스마트폰(102)으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2)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다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신호처리장치(14)에서 처리된 소리 신호가 스마트폰(102)으로 전송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제시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또는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신호처리장치(14)에서 처리된 신호가 스마트폰(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신호처리장치(14)에서 처리된 신호가 스마트폰으로 직접 전송되지 않고 제2 변환기(15)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변환기(15)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하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될 수 있다. 제2 변환기(15)에서 디지털 신호는 소리 신호로 변환이 되고 증폭기(16)를 경유하여 수신 장치(R)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 장치(R)는 예를 들어 이어팁이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신호처리장치(14)에서 처리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스마트폰(102)으로 전송이 되거나 또는 청진기(101) 내에서 다시 소리 신호로 변환되어 직접 이어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처리장치(14)는 필요에 따라 필터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리는 신체 내부의 소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진단이 되어야 할 신체 부위의 소리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잡음 및 다른 부위로부터 유입된 소리 정보는 제거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진단에 필요한 주파수는 미리 추정된 일정 범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단 부위에 따른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현저하게 벗어나는 것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신호처리장치(14)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된 비교 주파수를 이용하여 진단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범위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신호처리장치(14)는 마이크(11)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스마트폰(102)을 통하여 출력이 되도록 할 것인지 또는 자체적으로 처리되어 출력이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신호처리장치(14)의 이와 같은 기능은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중앙처리장치의 기능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101)는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신호처리장치(14)는 스마트폰(102)에서 이미 설치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중복이 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필요한 경우 신호처리장치(14)는 스마트폰(102)에 대하여 정보의 처리 방법 또는 입출력 방향을 지시하고 처리된 결과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청진기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하우징(H)에 내장될 수 있고 하우징(H)의 주변에 연결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청진기는 칩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신호처리장치(14)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신호처리장치(14)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처리장치(14)는 신체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 신호 또는 소리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된 변환 신호와 같은 입력 신호(S)를 수신하는 입력 유닛(21), 입력 유닛(21)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 유닛(22), 신호의 처리와 스마트폰에 대한 통신 기능을 가지는 제어 유닛(23), 제어 유닛(2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유닛(24) 및 저장 유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21)은 필요에 따라 노이즈 또는 고/저주파 범위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1)에서 수신된 신호는 신호 변환 유닛(22)으로 전달되어 필터 기능 이외의 신호처리를 통하여 진단에 도움이 되는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신호 변환 유닛(22)에서 변환된 신호는 제어 유닛(2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은 신호 변환 유닛(22)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고, 청진기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처리하면서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에 내장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신호 변환 유닛(22)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스마트폰에서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추가로 제어 유닛(23)은 청진기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송신 데이터(I)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청진기로 전달되는 수신 데이터(D)를 입력 명령에 따라 또는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입출력 데이터 처리 기능 및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는 프로토콜에 따르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신호 변환 유닛(22)에서 전달된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는 제어 유닛(23)에 의하여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23)은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하여 화면에 신호 형태가 미리 결정된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소리 신호는 제어 유닛(23)에 의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고 파형이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스마트폰에 내장된 기능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는 소리 신호로 변환이 되어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연결될 수 있는 이어폰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진단자의 귀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 청진기 자체에 이어팁이 연결될 수 있다. 청진기에 이어팁이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신체 내부의 소리 신호가 진단자의 귀로 전달이 된다면 제어 유닛(23)은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출력유닛(2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유닛(24)으로 전달된 신호는 이어팁을 통하여 진단자의 귀로 전송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가 출력유닛(24)으로 전송된다고 할지라도 제어 유닛(23)은 디지털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유닛(23)은 스마트폰이 가진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상태에서 나타나는 미리 저장된 파형과 진단 과정에서 나타난 파형을 대비할 수 있고 다른 저장 장치에 저장된 파형과 관련된 다양한 병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청진기 고유의 기능에 부가하여 스마트폰이 가진 기능이 진단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가 진단에서 이용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에 의하여 진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체 내부에 진단이 이루어져야 할 부위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가 마이크를 통하여 청진기 내부로 유입이 될 수 있다(P11). 유입된 소리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이 된다(P12).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변환된 신호는 잡음 제거 또는 고주파/저주파의 제거를 위하여 필터링이 될 수 있다(P13). 이와 같은 과정은 청진기의 고유한 기능에 해당하며 진단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링이 된 신호는 스마트폰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이 될 수 있다(P14). 신호의 변환 형태는 청진기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될 것인지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것인지 여부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의 방식에 의하여 신호의 변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NFC) 방식에 의할 것인지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신호 변환 형태가 달라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신호 변환이 이루어지면 소리 형태의 신호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어폰으로 전송될 것인지 아니면 청진기 내부를 통하여 이어팁으로 전송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P15). 다만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소리 신호의 출력 방향에 관계없이 변환된 신호는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진단자는 청진기에 설치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 방향을 지시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진단자의 지시에 따라 출력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이어팁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선택이 되었다면(NO) 변환신호는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이 된다(P162). 그리고 적절한 소리 전달 수단을 통하여 이어팁으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P172).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선택이 되었다면(YES) 제어 유닛은 변환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한편 스마트폰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P161).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신호는 스마트폰으로 전달된 변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진기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신호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청진기에서 입력되는 명령이 스마트폰이 내재된 일정한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어 신호는 단지 변환 신호를 스마트폰의 고유한 기능에 따라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과 청진기 상호간의 처리 결과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제어 명령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와 함께 변환 신호가 스마트폰으로 전송이 되면 제어 신호에 의하여 청진기로부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필요한 명령이 입력이 되고 변환 신호가 스마트폰의 화면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이 될 수 있다(P171).
스마트폰에서 변환 신호가 처리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 징후를 나타내는 파형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는 청진기 내부에 설치된 저장 장치에 존재하거나 또는 원격 서버에 존재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진단에 참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폰은 이상 징후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변환 신호와 가장 유사한 파형과 비교하여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P18).
변환 신호가 스마트폰을 경유하여 또는 청진기를 경유하여 진단자에게 전달되면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P19). 진단 과정에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고 변환 신호의 파형 또는 변환 신호와 정상 상태의 파형이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파형이 이용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파형의 이용은 스마트폰을 경유하는 경우와 청진기를 경유하는 경우 모두 가능하다.
진단이 완료되면(P19) 관련 자료가 입력이 될 수 있다(P20). 관련 자료는 추후 진단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청진기에 설치된 입력수단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이 될 수 있다(P20). 그리고 입력된 신호는 변환신호와 함께 원격 서버 또는 청진기 내부에 설치된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P21). 필요한 경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는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의 고유한 기능을 진단에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은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스마트폰에 연결될 수 있는 청진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스마트폰에 연결될 수 있는 청진기의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청진기(101)는 입력 수단(42)을 가질 수 있고 다수 개의 신호 전송을 위한 연결 핀을 가진 커넥터(C1, C2)에 의하여 스마트폰(102)에 연결될 수 있다. 진단 과정에서 나타나는 파형은 스마트폰의 화면(41)에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고 신체 내부의 소리 신호는 스마트폰의 연결된 이어폰(43)을 통하여 진단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2개의 커넥터(C1, C2)를 연결하는 전송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나)를 참조하면, 청진기(101)와 스마트폰(102)은 무선 통신 칩(44, 44a)에 의하여 서로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44, 44a)은 블루투스 통신 칩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4의 (다)를 참조하면, 청진기(45)는 칩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스마트폰(102)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마이크(46)는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스마트폰(102)에 내장된 마이크가 될 수 있다.
도 4에 제시된 커넥터(C1, C2) 또는 무선 통신 칩(44, 44a)은 통신 모듈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에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제시된 것처럼, 청진기(101, 45)와 스마트폰(102)은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진기(101, 45)는 스마트폰(102)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장소 또는 시간에 관계없이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진단자의 경험을 데이터로 축적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신호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여 주는 것에 의하여 진단의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는 진단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진단 과정에서 생기는 경험적 상황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져 향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마이크 12, 16: 증폭기
13:제1 변환기 14: 신호처리장치
15: 제2 변환기 17: 출력 소켓
18: 전송 케이블 19: 커넥터
21:입력 유닛 22: 신호 변환 유닛
23: 제어 유닛 24: 출력유닛
25: 저장 유닛 41: 화면
42: 입력 수단 43:이어폰
44, 44a:무선 통신 칩 45: 청진기
46: 마이크
101:청진기 102: 스마트폰
103: 전송선 104: 이어폰
C: 통신 수단 C1, C2: 커넥터 R: 수신 장치 S: 입력 신호
I:송신 데이터 D:수신 데이터

Claims (4)

  1. 인체 내의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11);
    상기 마이크(11)로부터 수신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기(13);
    상기 제1 변환기(13)에서 변환된 신호를 처리하여 스마트 폰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된 비교 주파수를 이용하여 진단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필터 장치를 가지면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신호처리장치(14); 및
    상기 신호처리장치(14)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할 수 있는 제2 변환기(15)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14)는 신호 변환 유닛(22) 및 제어 유닛(2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23)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변환 유닛(22)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에서 처리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송신 데이터(I)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데이터(D)를 입력 명령에 따라 또는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는 입출력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 모듈은 연결 커넥터 또는 블루투스 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신호처리장치(14)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DSP)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KR1020110084926A 2011-08-25 2011-08-25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KR10134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926A KR101348331B1 (ko) 2011-08-25 2011-08-25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926A KR101348331B1 (ko) 2011-08-25 2011-08-25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141A KR20130022141A (ko) 2013-03-06
KR101348331B1 true KR101348331B1 (ko) 2014-01-06

Family

ID=4817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926A KR101348331B1 (ko) 2011-08-25 2011-08-25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669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KR20230143668A (ko) 2022-04-05 2023-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영유아 청진기 장난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건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2917B2 (en) 2013-10-15 2017-03-21 Stratoscientific, Inc.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414155B2 (en) 2013-10-15 2016-08-09 Stratoscientific, Inc.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D746802S1 (en) 2013-10-15 2016-01-05 Stratoscientific, Inc. Electronic device case with stethoscope
USD758350S1 (en) 2014-11-12 2016-06-07 Stratoscientific, Inc. Electronic device casing
WO2016130490A1 (en) * 2015-02-09 2016-08-18 Stratoscientific, Inc.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ITUB20151919A1 (it) 2015-07-07 2017-01-07 Arcon Srls Dispositivo per digitalizzare il suono di uno stetoscopio ed inviarlo ad uno strumento elettronico
IT201800005326A1 (it) 2018-05-14 2019-11-14 Sistema per digitalizzare il suono di uno stetoscopio ed inviarlo ad uno strumento elettronico
RU2749725C1 (ru) 2020-12-07 2021-06-16 Ооо «Медхард» Цифровой стетоско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922A (ko) * 1998-02-02 1999-09-06 박성기 인체음 검출표시장치 및 검출표시방법
KR200323815Y1 (ko) 2003-04-23 2003-08-19 김진경 청진기와 한 조가 된 핸즈프리 장치
JP2004261264A (ja) 2003-02-28 2004-09-24 Hirona Gi 電子聴診器及びその遠隔モニタシステム
KR20110047181A (ko) * 2011-04-19 2011-05-06 문종섭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한 무선 전자 청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922A (ko) * 1998-02-02 1999-09-06 박성기 인체음 검출표시장치 및 검출표시방법
JP2004261264A (ja) 2003-02-28 2004-09-24 Hirona Gi 電子聴診器及びその遠隔モニタシステム
KR200323815Y1 (ko) 2003-04-23 2003-08-19 김진경 청진기와 한 조가 된 핸즈프리 장치
KR20110047181A (ko) * 2011-04-19 2011-05-06 문종섭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한 무선 전자 청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669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응급지원센터 자동연결 및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청진 시스템
KR20230143668A (ko) 2022-04-05 2023-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영유아 청진기 장난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건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141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331B1 (ko)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RU268581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ирокодиапазонной аускультации
KR102179043B1 (ko) 보청기의 특성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40220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via sound input port of computing device
US200402204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via sound input port of computing device
US20150201272A1 (en) Mobile device-based stethoscope system
US6219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biomedical data and human voice over conventional telephone lines
TWI416153B (zh) 測試系統、測試訊號輔助裝置及其測試訊號產生之方法
EP2744225B1 (en) Hearing instrument and method of identifying an output transducer of a hearing instrument
CN107077531B (zh) 听诊器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云服务器
CN102228382A (zh) 一种无线听诊系统
CN102283672B (zh) 一种无线听诊器
CN106344064A (zh) 一种音频信号采集装置及采集方法
CN102228381A (zh) 一种无线听诊头
CN106419953A (zh) 一种基于双频采集及振动还原的无线听诊系统
US20060098825A1 (en) Electronic adaption of acoustical stethoscope
CN206403792U (zh) 一种降噪的电子听诊器
JP6370205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CN101862202A (zh) 掌上相控阵可视听诊器
CN214387499U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电子听诊器
CN103654840A (zh) 信号处理系统、信号处理装置和存储介质
CN103892869A (zh) 一种听诊器
JPH0928702A (ja) 電子式聴診装置
CN113411724A (zh) 基于骨导耳机通话的回音消除方法、计算机程序介质、骨导耳机
CN210156113U (zh) 一种降噪系统、耳机及医疗影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