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457A - 헛개 짬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헛개 짬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457A
KR20230126457A KR1020220023644A KR20220023644A KR20230126457A KR 20230126457 A KR20230126457 A KR 20230126457A KR 1020220023644 A KR1020220023644 A KR 1020220023644A KR 20220023644 A KR20220023644 A KR 20220023644A KR 20230126457 A KR20230126457 A KR 2023012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th
component
jjambbong
water
jjampp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서진
Original Assignee
홍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서진 filed Critical 홍서진
Priority to KR102022002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457A/ko
Publication of KR2023012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 짬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헛개나무 줄기, 잎, 열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물에 넣고 끓인 다음 걸러 헛개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헛개육수에 젤라틴 가루를 포함하는 재료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 방치 또는 열을 가하면서 상기 젤라틴 가루를 불려 점성육수를 제조한 후, 상기 점성육수를 틀에 붓고 식혀서 젤리고명(100)을 제조하여, 상기 젤리고명(100)을 상기 틀에서 분리한 다음 조리되어 용기에 담긴 짬뽕 위에 얹어 고명으로 사용하게 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헛개 짬뽕 제조방법{Jjambbong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짬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헛개나무의 유익한 성분을 포함한 헛개 짬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화요리로서 짬뽕은 제철 채소와 각종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를 섞어 만드는 요리이다.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만든다는 의미로 '짬뽕'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짬뽕은 오징어, 홍합, 새우 등 해산물을 끓는 물에 미리 삶아 놓고 식용유를 이용하여 양파, 생강, 배추, 당근 등 제철 채소를 볶으면서 물을 붓고 설탕, 후춧가루, 고춧가루 등을 첨가하여 간을 한 다음, 미리 삶은 해산물을 넣고 끊이는 형태로 짬뽕 국물을 만들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짬뽕 국물에 면이나 밥을 추가하여 완성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70291호(2013.06.19)
본 발명은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짬뽕에서 벗어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짬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헛개나무 성분을 포함하여 헛개나무 성분에 의한 간 해독 효과 등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헛개나무 성분에 따른 특유의 향에 따른 거부감을 제거하여 누구라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짬뽕 고유의 맛은 해치지 않으면서도 인체에 유익한 헛개나무 성분을 거부감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 해독에 도움을 주게 되는 헛개 짬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헛개 짬뽕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헛개나무 줄기, 잎, 열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물에 넣고 끓인 다음 걸러 헛개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헛개육수에 젤라틴 가루를 포함하는 재료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 방치 또는 열을 가하면서 상기 젤라틴 가루를 불려 점성육수를 제조한 후, 상기 점성육수를 틀에 붓고 식혀서 젤리고명을 제조하여, 상기 젤리고명을 상기 틀에서 분리한 다음 조리되어 용기에 담긴 짬뽕 위에 얹어 고명으로 사용하게 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헛개 짬뽕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헛개 짬뽕은 헛개육수에 젤라틴 가루를 첨부하여 점성을 가진 점성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점성육수를 틀에 붓고 식혀서 젤리고명(100)을 형성한 다음, 젤리고명(100)을 짬뽕 위에 얹어서 고명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헛개육수는 헛개나무 줄기, 잎, 열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여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열매를 사용하게 되는데, 헛개나무 열매는 줄기나 잎에 비해 유효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에 따라 유익한 성분을 많이 추출할 수 있음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헛개나무 열매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서 설명한다.
상기 헛개나무 열매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은 물에 넣고 끓이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 600g~1000g에 헛개나무 열매 60g~100g을 투입하여 가열하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40~80분간 중불로 끓이게 된다. 이후 건더기를 걸러주게 되면 유효성분이 함유된 헛개육수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헛개육수는 냉각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물의 양이 달라지게 되면 상기 비율대로 헛개나무 열매의 양도 증감시키게 된다.
상기 점성육수는 헛개육수에 젤라틴 가루를 투입하고 불려서 형성하게 된다. 헛개육수 600g~1000g당 젤라틴 가루 40g~80g을 투입하고 젤라틴 가루가 충분히 불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열을 가할 수 있는데, 젤라틴 가루를 투입한 후 대략 10분~20분 정도 불리고, 그 후에 가열을 하여서 젤라틴 가루가 헛개육수에 충분히 녹아들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헛개육수에 미나리 추출물과 곤약분말이 더 투입될 수 있다. 미나리 추출물은 즙 형태로 150g~250g이 투입되고, 곤약분말은 1g~3g이 투입될 수 있다. 미나리 추출물은 혈액순환을 돕고 대소변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는 효능이 있음에 따라 첨가되는 것이고, 곤약분말은 헛개나무 열매가 가진 특유의 향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여기서, 헛개 육수의 양이 달라지는 경우 젤라틴 가루, 미나리 추출물의 헛개육수의 양이 달라지는 비율대로 증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헛개육수 대비 젤라틴 가루의 투입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후술하는 젤리고명(100)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한을 벗어날 경우 젤리 형태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반면, 상한을 벗어날 경우 젤리고명(100)이 과도하게 단단하게 형성되므로 상기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따라 점성육수가 제조되면 이를 틀에 붓는다. 틀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꽃 형상 등으로 형성되게 되면 장식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점성육수를 틀에 붓는 작업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 방치하거나 냉장고에 넣어 식히게 되고, 그 결과 젤라틴 성분이 함유된 점성육수의 물질 특성에 따라 틀에 부어진 점성육수가 젤리 형태로 굳으면서 젤리고명(100)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젤리고명(100)은 헛개나무의 유효성분을 함유하게 된다. 나아가 추가로 미나리 추출물이 첨가되는 경우 미나리 추출물의 유효성분도 함유하게 된다.
상기 젤리고명(100)은 틀에서 분리하여 짬뽕의 고명으로 사용하게 된다. 조리되어 용기에 담긴 짬뽕 위에 얹어 고명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조리되어 용기에 담긴 짬뽕은 따뜻한 상태이므로, 젤리고명(100)을 짬뽕 위에 얹어주게 되면 일정 시간은 젤리 상태를 유지하다가 조리된 짬뽕 자체의 온도인 대략 40~50℃ 정도의 열에 의해 서서히 녹게 된다. 이에 따라 주문된 짬뽕을 서빙하는 과정 및 주문자가 섭취를 하는 과정에서는 젤리 상태의 젤리고명(100)이 서서히 녹게 되는바, 일부는 젤리 상태로 섭취하게 되고 일부는 짬뽕 육수에 녹아든 상태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주문자는 짬뽕을 섭취하면서 젤리고명(100)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헛개나무 성분은 헛개나무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향은 열에 의해 휘발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젤리고명(100)을 조리된 짬뽕 위에 얹어서 제공하게 되면 젤리고명(100)이 헛개나무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에도 헛개나무 특유의 냄새가 열에 의해 휘발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주문자는 짬뽕을 서빙받아 섭취를 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헛개나무 특유의 향을 느끼지 못하다가 젤리고명(100)이 서서히 녹는 과정에서 점차 익숙해지게 될 것인바, 특유의 향에 대한 거부감 없이 헛개나무 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짬뽕의 국물은 사골육수일 수 있다.
상기 사골육수는 돼지뼈를 고아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사골육수는 돼지뼈와 인체에 유익한 성분, 예를 들면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재료를 물에 끓여 베이스육수를 제조하고, 그렇게 제조된 베이스육수에 굴소스와 소금을 투입하고 끓여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금은 천일염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육수는 물 25,000g~35,000g당 돼지뼈 7,000g~13,000g, 생닭 3,000g~7,000g, 토마토 3,000g~7,000g, 헛개나무 열매 3,000g~7,000g을 투입하고, 미량의 월계수 잎과 통후추 및 채소를 더 투입한 다음 센불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5~10시간 중불로 끓인 다음 건더기를 걸러내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성된 베이스육수 60,000g당 굴소스 1,000~1,400g, 소금 130~180g을 혼합하여서 사골육수를 완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염도는 대략 1~1.2% 정도가 되고, 필요한 양만큼 덜어내서 면 및 젤리고명(100), 그리고 후술하는 볶음재료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헛개 짬뽕을 조리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성분의 양은 동일한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볶음재료는 짬뽕에 첨가되는 각종 식재료이다. 육류, 어류, 해산물, 채소 및 양념이 두루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고기, 오징어, 새우, 배추, 양파, 숙주, 표고버섯, 목이버섯, 라드유, 마늘, 호박, 고춧가루, 강장, 후추, 홍합, 주꾸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볶음재료가 본 발명에 의한 헛개 짬뽕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때에는 각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팬에 투입하는 시점을 결정하면서 볶아주게 되는데, 마늘과 같이 풍미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나 익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재료는 먼저 투입하고 익는데 시간이 짧게 걸리는 재료는 나중에 투입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이는 일반적인 짬뽕을 제조할 때 재료를 팬에 투입하는 시점과 다르지 않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은 알카리수일 수 있다. 알카리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위장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을 알카리수를 사용하게 되면 섭취자의 위장을 보호하고 장애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헛개 짬뽕을 조리하는 전체 과정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1인분 기준으로 면 180g 정도, 사골육수 500g 정도를 사용하고, 볶음재료는 50~150g 정도, 젤리고명은 30g 정도를 준비한다. 이 양은 상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먼저, 팬에 돼지기름을 적량 넣고 중불로 가열한다. 어느 정도 가열되면 볶음재료 중 마늘(다진 마늘)을 투입하여 볶아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마늘의 풍미가 기름에 함유되고 덴다. 마늘은 타지 않게 볶아야 한다.
이후 육류를 투입하고 볶고, 이후 채소를 투입하여 볶아준다. 이 과정에서 채소가 20% 정도 익었을 때 고춧가루 2숟가락 정도를 투입하고, 간장 2숟가락을 투입하여 간을 한다. 이때 고춧가루가 타는 기미가 보이면 사골육수를 2숟가락 정도 양으로 투입하며 볶아준다.
이후 나머지 사골육수를 팬에 투입하여 끓여 주는데, 사골육수가 끓기 시작하면 해산물을 포함한 나머지 볶음재료와 면을 투입하고 센불에 3분 정도 더 끓여준다.
이후 상기에 따라 조리된 헛개 짬뽕은 용기에 담는다. 볶음 재료가 위쪽에 보이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먹음직스럽게 보이도록 담아 주는 것이 좋다. 그런 다음 젤리고명(100)을 위에 얹어서 젤리고명(100)이 젤리 상태인 채로 주문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젤리고명(100)은 소정의 크기로 잘라서 얹어 줄 수 있고, 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경우 그대로 올려주면 된다.
상기에 따라 제공된 헛개 짬뽕이 제공되면 주문자는 젤리고명(100)을 뜨거운 육수에 잘 녹여서 섭취하면 되는데, 젓가락이나 숟가락으로 용기에 담긴 재료들을 잘 섞어 섭취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젤리고명(100)이 육수에 섞이면서 녹게 되므로 일반적인 짬뽕을 먹을 때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섭취하면 된다.
100 : 젤리고명

Claims (5)

  1. 헛개나무 줄기, 잎, 열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물에 넣고 끓인 다음 걸러 헛개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헛개육수에 젤라틴 가루를 포함하는 재료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 방치 또는 열을 가하면서 상기 젤라틴 가루를 불려 점성육수를 제조한 후,
    상기 점성육수를 틀에 붓고 식혀서 젤리고명(100)을 제조하여,
    상기 젤리고명(100)을 상기 틀에서 분리한 다음 조리되어 용기에 담긴 짬뽕 위에 얹어 고명으로 사용하게 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담긴 짬뽕의 국물은 사골육수이되,
    상기 사골육수는 돼지뼈를 고아서 형성한 것이고,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담긴 짬뽕의 국물은 사골육수이되,
    상기 사골육수는 돼지뼈와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재료를 물에 끓여 베이스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베이스육수에 굴소스와 천일염을 투입하고 끓여서 제조한 것인 헛개 짬뽕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육수는 미나리 추출물과 곤약분말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알칼리수를 사용하는 헛개 짬뽕 제조방법.

KR1020220023644A 2022-02-23 2022-02-23 헛개 짬뽕 제조방법 KR20230126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44A KR20230126457A (ko) 2022-02-23 2022-02-23 헛개 짬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44A KR20230126457A (ko) 2022-02-23 2022-02-23 헛개 짬뽕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457A true KR20230126457A (ko) 2023-08-30

Family

ID=8784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644A KR20230126457A (ko) 2022-02-23 2022-02-23 헛개 짬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4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291A (ko)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디스플레이용 골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291A (ko)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디스플레이용 골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coffier The Escoffier Cookbook: and Guide to the Fine Art of Cookery for Connoisseurs, Chefs, Epicures
CN110892981A (zh) 一种海鲜味调味酱及其制备方法
CN103859336B (zh) 一种炝炒鱼调料及其炝炒鱼的烹制方法
Henderson The complete nose to tail: A kind of British cooking
KR100920313B1 (ko) 아귀탕수육 제조방법
CN109965196A (zh) 一种鲜美糯米鸡的制作方法
KR20230126457A (ko) 헛개 짬뽕 제조방법
JP4690744B2 (ja) 彩り豊かなロールキャベツ
KR20030049137A (ko) 갈치 육수, 이의 제조방법 및 갈치 조림의 제조방법
KR20100041398A (ko) 구이용 계육 제조방법 및 그 계육
Alejandro Food of the Philippines
KR20170132437A (ko) 찌개 육수용 한방 콜라겐 큐브 및 그 제조 방법
Hutton Mini Malysian Favourites
Mouritsen et al. Buying, preparing, and storing cephalopods
Lee New Mrs Lee's Cookbook, The-Volume 2: Straits Heritage Cuisine
Van Wyk Traditional South African Cooking
Zelayeta Elena's famous Mexican and Spanish recipes
Link et al. Real Cajun: Rustic Home Cooking from Donald Link's Louisiana: A Cookbook
Peterson Cooking: 600 Recipes, 1500 Photographs, One Kitchen Education
Médecin Cuisine Niçoise: Recipes from a Mediterranean Kitchen
Aye Noodle!: 100 Amazing Authentic Recipes
KR200305448Y1 (ko) 닭만두
CN111728033A (zh) 一种扬州干丝生产工艺
Liu Chinese Dining at Home
KR20040045509A (ko) 닭만두 및 이를 이용한 조리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