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134A - 캐비넷 - Google Patents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134A
KR20230126134A KR1020220023271A KR20220023271A KR20230126134A KR 20230126134 A KR20230126134 A KR 20230126134A KR 1020220023271 A KR1020220023271 A KR 1020220023271A KR 20220023271 A KR20220023271 A KR 20220023271A KR 20230126134 A KR20230126134 A KR 2023012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d
main body
door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278B1 (ko
Inventor
김호수
Original Assignee
김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수 filed Critical 김호수
Priority to KR102022002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7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캐비넷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은, 잠금 장치가 구비된 캐비넷으로, 물품이 수용되는 본체; 본체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 및 복수의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잠금부재는, 본체에 결합된 제1 부재와, 복수의 도어에 결합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의해 복수의 도어가 한번에 잠기도록 구성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분리되어 있다.

Description

캐비넷{CABINET}
본 발명은,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도어에 대한 안전 장치가 개선된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넷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수용되어 보호된다. 캐비넷은 형상, 크기 및 용도가 다양하며, 특히 캐비넷의 크기 증대로 복수의 도어가 구비된 경우 보안을 위해 복수의 도어에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복수의 도어 각각에 개별 잠금 장치를 설치하였는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도어 각각에 설치된 개별 잠금 장치 중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 도어를 통해 캐비넷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도난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보관 물품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제20-2011-0003952호(공개일자:2011년04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도어 중 메인 도어를 잠그면 다른 서브 도어들도 잠금되고, 또한, 복수의 도어 중 메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야 다른 서브 도어들도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도어를 통해 서브 도어들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캐비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잠금 장치가 구비된 캐비넷으로, 물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 및 상기 복수의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1 부재와, 상기 복수의 도어에 결합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도어가 한번에 잠기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좌우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로드부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좌우로드부에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접촉되는 상측로드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 접촉되는 하측로드부; 및 상기 상측로드부와 상기 하측로드부 각각에 결합되고,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상측로드부와 상기 하측로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로드부는 상기 상측로드부와 상기 하측로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상측로드부 중 제1 상측로드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상측로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상측로드부 중 제2 상측로드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좌우로드부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상측로드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좌우로드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로드부가 좌우 방향의 직선 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상측로드부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상측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하측로드부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하측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는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좌우로드부의 단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코일 스프링은 도어가 폐쇄된 경우 압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좌우로드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고정대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스프링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고정대와 상기 스프링지지대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좌우로드부는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좌우로드부가 상기 걸림부의 상기 고정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좌우로드부의 단부에는 테이퍼진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회전부는, 직선 형상의 제1 부; 상기 제1 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제2 부; 및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를 연결하는 제3 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천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도어 중 메인 도어를 잠그면 다른 서브 도어들도 잠금되고, 또한, 복수의 도어 중 메인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야 다른 서브 도어들도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도어를 통해 서브 도어들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로, 복수의 도어가 잠금부재에 의해 잠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잠금부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의해 도어가 개방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에서 제1 부재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에서 제2 상측로드부의 걸림부의 고정홀이 보여지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로 복수의 도어가 잠금부재에 의해 잠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잠금부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의해 도어가 개방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에서 제1 부재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에서 제2 상측로드부의 걸림부의 고정홀이 보여지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10)은, 잠금 장치가 구비된 캐비넷(10)으로, 본체(100)와, 복수의 도어(200)와, 잠금부재(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본체(100)에는 전자 장비, 통신 장비, 2차 전지 등 뿐만 아니라 각종 설비와 장비가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본체(1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육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10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본체(100)의 재질이 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0)에는 제1 부재(400)가 결합되는데 이에 관해 상세히는 후술한다.
도어(200)는 복수로 마련되어 본체(100)에 결합되며, 복수의 도어(200)가 본체(100)를 개방하고 폐쇄한다. 도어(200)는 다양할 수 있으며, 여닫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200)는 메인 도어(210)와 서브 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도어(210)를 잠그면 서브 도어(220)도 잠기게 된다. 이에 관해 상세히는 후술한다. 그리고, 도어(200)에는 제2 부재(500)가 결합되는데 이 또한 상세히는 후술한다.
잠금부재(300)는 복수의 도어(200)를 잠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잠금부재(300)는 본체(100)에 결합된 제1 부재(400)와, 복수의 도어(200)에 결합된 제2 부재(500)를 포함하며, 제1 부재(400)와 제2 부재(500)에 의해 복수의 도어(200)가 한번에 잠기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부재(400)와 제2 부재(500)는 분리되어 있다.
제1 부재(400)는 지지부(410)와, 회전부(420)와, 좌우로드부(430)와, 탄성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410)는 본체(100)에 고정된다. 지지부(410)는 본체(100)의 다양한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체(100)의 천정부(120, 도 4 참조)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420)는 지지부(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홀(425)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부(420)는 제1 부(421)와, 제2 부(422)와, 제3 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421)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구(424)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1 부(421)에 형성된 개구(424)는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2 부(422)는 제1 부(421)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삽입홀(425)이 형성된다. 제2 부(422)에 형성된 삽입홀(425)에는 후술하는 제1 상측로드부(510a)의 돌출부(511)가 삽입된다. 여기서, 제1 상측로드부(510a)의 돌출부(511)는 제2 부(422)의 삽입홀(425)이 아니라 제1 부(421)의 개구(424)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부(423)는 제1 부(421)와 제2 부(422)를 연결한다. 제1 부(421)와 제2 부(422)는 제3 부(423)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 부(421)와 제2 부(422)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회전부(420)의 제1 부(421)는 연결부(450)에 결합되고, 회전부(420)의 제3 부(423)는 지지부(4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20)는 제3 부(423)와 지지부(4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좌우로드부(430)는 회전부(420)의 회전에 연동되어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부(4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거나, 또는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연결부(450)가 구비되어 연결부(450)의 일측 단부가 회전부(42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좌우로드부(4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420)가 회전하는 경우 연결부(450)에 연결된 좌우로드부(430)가 좌우 방향의 직선 이동을 한다. 즉, 회전부(420)와 좌우로드부(43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로드부(430)가 제2 부재(500)에 결합되어 도어(200)를 잠그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좌우로드부(430)가 제2 부재(500)의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도어(200)를 잠그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탄성부(440)는 좌우로드부(430)에 결합된다. 탄성부(440)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44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440)가 코일 스프링(441)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탄성부(440)가 코일 스프링(44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스프링(441)은 좌우로드부(430)의 단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441)이 단부측에 결합된다는 것은, 좌우로드부(430)의 단부에 인접하게 단부 근처에 코일 스프링(441)이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코일 스프링(441)은 돌출부(511)가 삽입홀(425)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회전부(42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좌우로드부(430)에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도어(210)와 서브 도어(220)가 모두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로부터 도 5에서와 같이 좌측의 메인 도어(210)가 닫히면 상측로드부(510) 중 제1 상측로드부(510a)에 형성된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의 삽입홀(425)에 정확하게 삽입된다.
하지만, 만약, 회전부(420)가 회전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의 삽입홀(425)에 삽입될 수 없으므로, 돌출부(511)가 삽입홀(425)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부(420)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좌우로드부(430)에 코일 스프링(441)이 결합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441)은 도어(200)가 잠금될 경우 압축되며, 도어(200)가 잠금 해제될 때는 코일 스프링(441)이 탄성 회복되면서 회전부(42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좌우로드부(430)에는 스프링고정대(460)가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441)을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스프링지지대(110)가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441)을 지지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41)은 스프링고정대(460)와 스프링지지대(110) 사이에서 압축되고, 또한 팽창한다.
여기서, 좌우로드부(430)는 스프링지지대(110)에 형성된 관통홀(111, 도 9 참조)을 통과하여 고정홀(516)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로드부(430)가 걸림부(515)의 고정홀(516)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좌우로드부(430)의 단부에는 테이퍼진 테이퍼부(431, 도 9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500)는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와, 개폐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측로드부(5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도어(200)에 결합되고 본체(100)의 상측에 접촉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측로드부(510)가 본체(100)의 상측에 접촉되면 상측로드부(510)가 본체(100)에 걸리게 되므로 도어(200)가 폐쇄되어 열리지 않는다.
여기서, 상측로드부(510)의 상측에는 본체(100)에 접촉되는 상측롤러(517)가 결합될 수 있다. 상측롤러(517)가 상측로드부(510)에 결합되면 상측로드부(510)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그리고, 상측로드부(510)가 본체(100)로부터 떨어지면 도어(20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도 5 참조).
하측로드부(5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도어(200)에 결합되고 본체(100)의 하측에 접촉된다. 도 2에서와 같이, 하측로드부(520)가 본체(100)의 하측에 접촉되면 하측로드부(520)가 본체(100)에 걸리게 되므로 도어(200)가 폐쇄되어 열리지 않는다.
여기서, 하측로드부(520)의 하측에는 본체(100)에 접촉되는 하측롤러(521)가 결합될 수 있다. 하측롤러(521)가 하측로드부(520)에 결합되면 하측로드부(520)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그리고, 하측로드부(520)가 본체(100)로부터 떨어지면 도어(20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개폐부(530)는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 각각에 결합되고,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개폐부(530)가 회전하면 개폐부(530)의 회전에 의해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3의 개폐부(530)는 도 1의 손잡이부(7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도 1의 손잡이부(700)를 회전하면 손잡이부(70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를 회전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0)는 메인 도어(210)와 서브 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측로드부(510) 중 메인 도어(210)에 구비된 상측로드부(510)를 제1 상측로드부(510a)로 하고, 서브 도어(220)에 구비된 상측로드부(510)를 제2 상측로드부(510b)로 해서 설명한다.
메인 도어(210)에 설치된 제1 상측로드부(510a)에는 돌출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도어(210)를 열면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의 삽입홀(425)로부터 이탈하고, 메인 도어(210)를 닫으면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의 삽입홀(425)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의 삽입홀(4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상측로드부(510a)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부(420)가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로드부(430)는 연결부(450)를 통해 회전부(4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부(420)가 회전하면 좌우로드부(430)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 도어(220)에 설치된 제2 상측로드부(510b)에는 걸림부(515)가 구비될 수 있고, 걸림부(515)에는 고정홀(516)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420)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드부(430)가 직선으로 이동하면 고정홀(516)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좌우로드부(430)가 고정홀(516)에 삽입되면 제2 상측로드부(510b)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제2 상측로드부(510b)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서브 도어(220)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즉, 메인 도어(210)의 제1 상측로드부(510a)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 상측로드부(510a)의 돌출부(511)에 걸려 있는 회전부(420)가 회전하고, 연결부(450)를 통해 회전부(420)에 연결된 좌우로드부(430)가 이동하여 걸림부(515)의 고정홀(516)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서브 도어(220)의 제2 상측로드부(510b)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메인 도어(210)를 잠그면 서브 도어(220)도 함께 잠겨서 열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좌우로드부(430)가 상측로드부(510)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좌우로드부(430)는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동하여 도어(200)를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좌우로드부(430)는 하측측로드부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 모두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캐비넷(10)의 손잡이(도 1 참조)를 잡고 회전하면 손잡이에 연결된 개폐부(530)가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부(530)에 결합된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2에서 개폐부(530)가 회전하면 상측로드부(510)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하측로드부(52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측로드부(510)와 하측로드부(520)가 본체(100)로부터 접촉 해제된다.
도 4에서 메인 도어(210)와 서브 도어(220)는 열려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메인 도어(210)와 서브 도어(220)가 닫히면 메인 도어(210)에 구비된 제1 상측로드부(510a)의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에 형성된 삽입홀(425)에 삽입된다. 여기서, 탄성부(440)는 회전부(42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서브 도어(220)의 제2 상측로드부(510b)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제1 상측로드부(510a)의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의 삽입홀(425)에 삽입된 후 제1 상측로드부(510a)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돌출부(511)가 회전부(420)에 걸려 회전부(42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부(420)가 회전하면 연결부(450)를 통해 좌우로드부(430)가 도 7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좌우로드부(430)의 단부가 제2 상측로드부(510b)에 구비된 걸림부(515)의 고정홀(516)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상측로드부(510b)는 좌우로드부(430)에 걸려서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제2 상측로드부(510b)는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메인 도어(210)가 폐쇄되는 경우 서브 도어(220)의 이동이 제한되며, 메인 도어(210)가 잠기면 서브 도어(220)도 잠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도어(200) 중 메인 도어(210)를 잠그면 다른 서브 도어(220)들도 잠금되고, 또한, 복수의 도어(200) 중 메인 도어(210)의 잠금이 해제되어야 다른 서브 도어(220)들도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도어(210)를 통해 서브 도어(220)들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어(200)가 3개 구비된다는 점에서 2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도 1 내지 도 9와 차이가 있다. 다만, 2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내용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0의 경우 가장 우측의 도어(200)가 메인 도어(210)이고, 좌측의 2개의 도어(200)가 서브 도어(220a, 220b)이다. 도 10에서 2개의 서브 도어(220a, 220b) 중 가장 좌측의 서브 도어(220a)와 메인 도어(210)의 연결 내지 결합 방식은 2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전술한 일 실시예와 공통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2개의 서브 도어(220a, 220b) 중 중간에 위치한 서브 도어(220b)는 메인 도어(210)와 겹쳐져 닫히게 되므로, 메인 도어(210)가 잠기게 되면 중간의 서브 도어(220b)도 메인 도어(210)에 접촉되어 움직이지 않고 역시 잠기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가장 좌측의 서브 도어(220a)는 좌우로드부(430)에 의해 잠기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200)가 3개 구비된 경우에도 메인 도어(210)만 잠그면 나머지 2개의 서브 도어(220a, 220b)도 잠기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어(200)가 4개 구비된다는 점에서 2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도 1 내지 도 9와 차이가 있고, 3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도 10과도 차이가 있다. 다만, 2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전술한 일 실시예 및 3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전술한 다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내용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1의 경우 가장 우측의 도어(200)가 메인 도어(210)이고, 좌측의 3개의 도어(200)가 서브 도어(220a, 220b, 220c)이다. 도 11에서 3개의 서브 도어(220a, 220b, 220c)중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2번째의 서브 도어(220b)와 메인 도어(210)의 연결 내지 결합 방식은 2개의 도어(200)가 구비된 전술한 일 실시예와 공통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3개의 서브 도어(220) 중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3번째의 서브 도어(220c)는 메인 도어(210)와 겹쳐져 닫히게 되고, 가장 좌측의 서브 도어(220a)는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2번째의 서브 도어(220b)와 겹쳐져 닫히게 된다.
따라서, 메인 도어(210)가 잠기게 되면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3번째의 서브 도어(220c)는 메인 도어(210)에 접촉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고, 가장 좌측의 서브 도어(200a)는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2번째의 서브 도어(220b)에 접촉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역시 잠기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2번재의 서브 도어(220b)는 좌우로드부(430)에 의해 잠기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200)가 4개 구비된 경우에도 메인 도어(210)만 잠그면 나머지 3개의 서브 도어(220)도 잠기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어(200)의 개수는 더 많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캐비넷 100 : 본체
110 : 스프링지지대 111 : 관통홀
120 : 천정부 200 : 도어
210 : 메인 도어 220 : 서브 도어
300 : 잠금부재 400 : 제1 부재
410 : 지지부 420 : 회전부
421 : 제1 부 422 : 제2 부
423 : 제3 부 424 : 개구
425 : 삽입홀 430 : 좌우로드부
431 : 테이퍼부 440 : 탄성부
441 : 코일 스프링 450 : 연결부
460 : 스프링고정대 500 : 제2 부재
510 : 상측로드부 511 : 돌출부
515 : 걸림부 516 : 고정홀
517 : 상측롤러 520 : 하측로드부
521 : 하측롤러 530 : 개폐부
600 : 고정부재 700 : 손잡이부

Claims (16)

  1. 잠금 장치가 구비된 캐비넷으로,
    물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 및
    상기 복수의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1 부재와, 상기 복수의 도어에 결합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도어가 한번에 잠기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좌우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로드부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드부에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접촉되는 상측로드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 접촉되는 하측로드부; 및
    상기 상측로드부와 상기 하측로드부 각각에 결합되고,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상측로드부와 상기 하측로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로드부는 상기 상측로드부와 상기 하측로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로드부 중 제1 상측로드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상측로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로드부 중 제2 상측로드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좌우로드부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상측로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좌우로드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로드부가 좌우 방향의 직선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로드부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상측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로드부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하측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는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좌우로드부의 단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도어가 폐쇄된 경우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드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고정대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는 스프링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고정대와 상기 스프링지지대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드부는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드부가 상기 걸림부의 상기 고정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좌우로드부의 단부에는 테이퍼진 테이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직선 형상의 제1 부;
    상기 제1 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제2 부; 및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를 연결하는 제3 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천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KR1020220023271A 2022-02-22 2022-02-22 캐비넷 KR10260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271A KR102601278B1 (ko) 2022-02-22 2022-02-22 캐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271A KR102601278B1 (ko) 2022-02-22 2022-02-22 캐비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134A true KR20230126134A (ko) 2023-08-29
KR102601278B1 KR102601278B1 (ko) 2023-11-09

Family

ID=8780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71A KR102601278B1 (ko) 2022-02-22 2022-02-22 캐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85B1 (ko) * 2004-11-04 2006-05-08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냉동콘테이너의 슬라이드도어 개폐장치
KR101022387B1 (ko) * 2009-11-05 2011-03-22 김홍한 일괄 잠금수단을 구비한 캐비넷
KR20110003952U (ko)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진성금고 서랍형 내화 캐비넷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85B1 (ko) * 2004-11-04 2006-05-08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냉동콘테이너의 슬라이드도어 개폐장치
KR20110003952U (ko)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진성금고 서랍형 내화 캐비넷의 잠금장치
KR101022387B1 (ko) * 2009-11-05 2011-03-22 김홍한 일괄 잠금수단을 구비한 캐비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278B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230B2 (en) Lockable rotary operating handle such device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20230126134A (ko) 캐비넷
WO2017031029A1 (en) Snap back cover lockout device
JP2011047619A (ja) 貯蔵庫
KR20150079141A (ko)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101301675B1 (ko) 2중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용 도어
US20180100343A1 (en) Door closer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WO2008060121A1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ype door
JPH04148180A (ja) 筐体の左右両開き扉構造
RU2596945C2 (ru) От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эвакуационного выхода со скользящей защелкой
KR101022387B1 (ko) 일괄 잠금수단을 구비한 캐비넷
CN109373685A (zh) 冰箱
KR200418448Y1 (ko) 전기 콘트롤박스용 차단지지편
KR102045162B1 (ko) 핸들 및 프리저
KR20200043082A (ko) 자동 고정형 도어 스토퍼
CN1328527C (zh) 具有手柄的球阀
RU2676671C2 (ru) Электрощит
JP7221523B2 (ja) レバーハンドル
JP2009275360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扉ストッパ装置
KR200260353Y1 (ko) 옥외용랙의도어밀착구조
JP4732388B2 (ja) 電子機器筐体構造
KR20170106728A (ko) 중장비용 스토퍼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