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484A - 헤드업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484A
KR20230124484A KR1020230017629A KR20230017629A KR20230124484A KR 20230124484 A KR20230124484 A KR 20230124484A KR 1020230017629 A KR1020230017629 A KR 1020230017629A KR 20230017629 A KR20230017629 A KR 20230017629A KR 20230124484 A KR20230124484 A KR 20230124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isplay
different
backligh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훈
변대현
조국진
이철민
Original Assignee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4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thereof to the user, e.g. fogging prevention or anti-reflection arrangements
    • B60K35/415Glare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3Illumination of matrix displays
    • B60K2370/1529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53Controlling or limiting the speed of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례에서, 본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및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조정하는 단계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모드에 기초한다. 다른 예에서, 배면 조명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갖는 배면광을 통해 제어되고, 영역들은 발광 소자들의 인접한 개별 그룹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S UP DISPLAY}
본 개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화상 생성 유닛의 로컬 디밍(local dimming)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 시스템들은 가상(예를 들어, 컴퓨터 생성된) 객체들이 실세계 환경에 통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보이게 하기 위해 가상 객체들을 사용자의 시야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시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상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실세계 환경으로부터의 광이 보는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게도 할 수 있어서, 보는 사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실세계 환경 및 가상 객체들을 보게 된다.
투시형 디스플레이는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s up display, HUD)를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들은 보통 최대 두 개의 평면들(예를 들어, 근거리 평면 및 원거리 평면)을 점유하는 투영된 공간에 이미지들을 오버레이하는 2차원 디스플레이 및/또는 증강 현실 경험을 제공한다. 많은 예들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이미지 생성기(또한 화상 생성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라고도 함), 광학 시스템(예를 들어, 미러, 광학 렌즈), 및 투과형 스크린(예를 들어, 윈드실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로서,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으로 투영되는 이미지들은 속도, 운전 지시(예를 들어, 턴 바이 턴), 경고, 및 경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UD의 이미지 발생기의 하나의 구성요소는 배면광 유닛이다. 배면광의 통상적인 광원들은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빔, 또는 다른 유형의 광원들과 같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응용예들에서, LED들 또는 다른 배면광 광원들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유형 또는 양에 관계없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환경들에서, 전력 소비, 발열, 및 열방산과 같은 문제들은 차량 시스템들과 헤드-업 디스플레이들의 통합에 과제를 된다. 일례로서, 과도한 열은 이미지 투영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들)을 손상시킬 수 있고, 열방산 전략들은 보통 열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부피가 큰 설계를 수반한다. 또한, 차량이 연료(예를 들어, 가솔린, 전기, 천연 가스, 및/또는 이들의 조합)로 작동할 때, 차량내 요소들의 전력 소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력 소비 및 열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배면광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면 조명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로컬 디밍이라고도 불리는 배면 조명의 선택적 구동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들을 사용하여 이미지 패턴들을 픽셀 단위로 분석한다. 많은 예들에서, 이미지 분석에 기초한 로컬 디밍은 고성능 프로세서들이 구현할 것을 요구하고, 실시간 응용예들에서 지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과제들 중 일부를 해결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전략들을 제공한다.
일례로서, 본 개시는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본 방법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조명 영역들은 차량 운행 파라미터,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모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배면광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영역들은 발광 소자들의 인접한 개별 그룹들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각 개별 영역에 대한 배면 조명을 조정하는 것은 룩업 테이블에 기초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 출력은 각 영역에 대한 각 배면광 수준을 포함할 수 있고, 룩업 테이블에 대한 입력들은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 및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조명 조정은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광 수준들을 점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이를테면 제1 수준으로부터 제2 수준으로 램핑할 수 있다. 배면 조명 조정은 차량 운행 조건들,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영역들에 대한 전력 수준을 변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 조명 제어의 영역들, 전력 수준들, 램핑, 및 다른 품질들은 다양한 조건들에 대해 설정되고, 차량 운행 전반에 걸쳐 조정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상술한 예들은 배면광 어레이의 효율적이고 선택적인 디밍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른 배면 조명 방법들보다 전력 소비 및 발열을 낮출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아래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증강 현실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위한 배면광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출력을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출력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출력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깊이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위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및 배면광 출력을 도시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을 상이하게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개시된 방법들은 차량 환경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 생성에 있어서 일어날 수 있는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종래의 이미지 생성 및 배면 조명에 비해 적은 처리 전력(CPU)을 요구하면서 전력 소비 및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로컬 디밍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일례에서, 본 개시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로컬 디밍을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은 이미지들의 유형, 사이즈, 및/또는 위치를 보다 양호하게 매칭하기 위해, 그러나 현재, 과거, 또는 미래 이미지의 이를테면 픽셀별, 특유의 이미지 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제한된 영역들에서만, 또는 상이한 영역들에서 상이하게 배면 조명을 구동하는 것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HUD 상에 투영되는 정보의 유형들에 대응하는 배면광 LED들을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고성능 CPU가 복잡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들을 처리해야 할 요구가 감소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증강 현실 환경(100)을 도시하며, 여기서 차량(103)의 차량내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가상 이미지들을 사용자(104)의 환경으로 투영하도록 제어된다. 도시된 예에서의 환경은 차량이지만, 후술되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증강 현실 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를 제어된 방식으로 조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06)과 결합된 광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평면 또는 비구면일 수 있는 접이식 미러(108)를 향해 광을 투영할 수 있으며, 이 접이식 미러(108)는 수신된 광을 비구면일 수 있는 회전가능 미러(110)를 향해 반사한다. 회전가능 미러는 광을 눈부심 트랩(112) 및 광 트랩(114)을 향해 지향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가상 위치(118)에서 보이기 위해 윈드실드(116)를 통해 볼 수 있는 위치에서 보이도록 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가능하다. 가상 위치(118)는 사용자(104)의 헤드모션 및 아이박스(122)로부터 발원하고 사용자(104)의 볼 수 있는 범위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광학로(120) 내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들은 차량(103) 내의 디스플레이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는 미러 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204)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윈드쉴드(206) 상으로 그리고/또는 이를 통해 광을 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구성(202)을 도시한다. 일례에서, 2차원 이미지들이 윈드실드 상으로 그리고/또는 이를 통해 투영될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이 깊이들에 맵핑되는 다중 깊이(예를 들어, 이중 깊이) 윈드실드 유형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적 및 동적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이러한 예시적인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도 8에서 더 설명된다. 디스플레이 구성은 디스플레이(208), 광학 시스템(212), 배면광 어레이(209), 및 금속 섀시(210)(예를 들어, 프레임)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212)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렌즈, 평면 또는 비평면 미러,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212)은 디스플레이(208)로부터 윈드쉴드(206)로 광학 정보를 전도한다. 디스플레이(208)는 복수의 픽셀들을 갖는 이미지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기술(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및/또는 마이크로 소자 기반 디스플레이 기술(예를 들어, 디지털 광 처리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DLP MEMS)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스템(212)은, 윈드실드의 전체 또는 윈드실드의 선택된 부분이 디스플레이 표면(예를 들어, 3차원 디스플레이 이미지들이 투영되는 투명한 평면)으로서 작용하도록, 윈드실드(206)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배면광 어레이(209)를 통해 조명될 수 있으며, 이 배면광 어레이(209)는 디스플레이(208)의 배면을 따라 분포된 발광 소자들(예를 들어, LED들)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배면광 어레이는 다수의 청색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면광 어레이는 레이저 및/또는 형광성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8), 배면광 어레이(209), 금속 섀시(210), 및 광학 시스템(212)은 집합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207)을 형성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만,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14)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7)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14)는 전용 제어 시스템(예를 들어, 단지 디스플레이만을 제어하는 전용 전자 제어 유닛) 또는 조합 제어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차량 시스템을 제어하는 공유 전자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차량(204)의 헤드 유닛(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유닛 및/또는 다른 차량내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208)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14)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다른 입력들에 기초하여 특정 이미지들을 투영하도록 디스플레이(208)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14)는 또한, 배면광 모듈 구동기(224)를 제어할 수 있다. 배면광 모듈 구동기(224)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또는 다른 조건들을 포함하는 입력들에 기초하여 배면 조명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배면광 어레이(209)의 구동 영역에 전류를 적용한다. 배면광의 선택적 제어는 배면광 어레이를 개별 영역들로 분할하고, 개별 영역들 각각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선택적 제어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운행 조건들에 기초하여, 영역들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영역들을 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유형, 사이즈, 및/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면 조명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들의 흑색 영역들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배면광 어레이(209)의 부분들이 턴오프될 수 있다.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이 도 5 및 도 7a에서 주어진다.
다른 예들에서, 열적 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거나 검출된다면, 배면광 어레이(209)의 선택된 광원들은 발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턴오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어레이에서의 교대 광원들이 광원의 절반만이 열을 발생시키면서 전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스위치 오프되거나, 이미지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이미지의 새롭게 흑색 영역들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어레이에서의 광원들이 턴 오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 및 배면광 어레이(209)의 메커니즘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기(214)에 대한 입력들의 예들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20) 및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222)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20) 및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222)는 각각 사용자 입력 및 차량 데이터/상황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디스플레이 제어기(214)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유형을 변경하기 위한(예를 들어, 속도/RPM/등과 같은 계기 데이터와 회전 방향들과 같은 내비게이션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때 옵션들을 선택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그 외 사용자 선호도들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제어기(214)에 제공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성(202)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의 컨텐츠 및/또는 포맷을 변경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차량 장착형 액추에이터들(예를 들어, 버튼들, 스위치들, 노브들, 다이얼들 등), (예를 들어, 음성 커맨드들을 위한) 마이크로폰,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차량 탑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222)는 디스플레이 구성(202)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의 컨텐츠 및/또는 포맷을 조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기(214)로 발송될 수 있는, 차량 상황 및/또는 다른 차량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차량 센서들 및/또는 시스템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속도가 (예를 들어, 차량의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 CAN, 버스를 통해)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에 공급되고, 차량의 현재 속도의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기로 발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량 후방 뷰가 하나 이상의 후방 뷰 카메라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장애물 검출 입력이 하나 이상의 범퍼 장착형 초음파 센서들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는 또한, 차량의 헤드 유닛의 내비게이션 모듈 및/또는 차량 내의 다른 정보원들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본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의 눈 움직임 및/또는 태양부하를 추적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든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에서 결정되든, 눈 추적 및/또는 태양부하 정보는 디스플레이(208)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광이 투영될 수 있는 윈드실드의 영역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는 추가 모듈들과 함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컨텐츠 및 광 수준들을 제어하기 위한 실시간 입력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들은 운전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된 파라미터들, 운행 모드들, 사용자 입력 액션들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들은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어둡게 하거나 밝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300)의 흐름도이다. 방법(300)은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기(214),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20), 및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222))과 상관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302에서, 본 방법은 사용자 또는 차량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또는 차량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302에서 "아니오"), 본 방법은 308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컨텐츠 및/또는 외관을 유지하는 단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변경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차량 입력이 수신된다면(예를 들어, 302에서 "예"), 본 방법은 304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픽셀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픽셀 값들은 메뉴 옵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이한 디스플레이된 정보가 상이한 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픽셀 값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증가, 또는 디스플레이 외관의 다른 변화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 디스플레이 셧다운 등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선호도를 만족시키도록 컨텐츠 조정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픽셀 값들은 차량 파라미터(예를 들어, 차량 속도, 엔진 RPM 등)를 나타내는 차량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업데이트된 차량 파라미터를 출력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픽셀 값들은 다양한 이미지들(예를 들어, 좌측 카메라, 우측 카메라, 후방 카메라 등)을 조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차량 입력은 또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해 데 사용되는 사용자 작업부하 또는 환경 조건을 반영하는 사용자/자동차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표시(예를 들어, 스트레스 검출) 및/또는 차량으로부터의 표시(예를 들어, 장애물 검출, 교통량 증가, 어려운 내비게이션 조작, 악천후 조건들 등)에 응답하여, 픽셀 값들은 사용자가 구동 작업들에 집중하는 것을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조정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크기/밝기가 감소될 수 있으고,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윈드실드의 먼 쪽과 같이 눈에 덜 띄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일시적으로 턴 오프될 수 있는 등). 마찬가지로, 구동 조건들 및/또는 사용자 상황이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산만하지 않을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되었다(예를 들어, 교통량 감소, 장애물이 보이지 않게 됨, 어려운 내비게이션 조작을 지남, 날씨가 많아짐 등)고 결정한 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이전 위치 및/또는 외관으로 복귀될 수 있고/있거나 다시 턴온될 수 있다.
차량/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픽셀 값들을 생성할 시, 본 방법은 픽셀 값들이 이미지 생성 유닛(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에 적용되는 306으로 계속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는 삼분면들 또는 사분면들과 같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미지 처리가 실행될 수 있고, 생성된 이미지가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는 제1 사분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2 이미지는 제2 사분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들은(예를 들어, 도 4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배면광 어레이의 영역들에 대응할 수 있거나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300)은 HUD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의 예이다.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이미지 처리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방법(400)과 같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선택적 디밍 방법들이 다양한 이미지 처리 방법들을 보완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배면광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400)의 흐름도이며, 이는 도 3의 루틴과 병렬로 실행된다. 방법(400)은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기(214),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20), 및 차량 입력 인터페이스(222))과 상관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02에서, 본 방법은 사용자 또는 차량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또는 차량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402에서 "아니오"), 본 방법은 414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배면광 수준들을 유지하는 단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외관을 변경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차량 입력이 수신된다면(예를 들어, 402에서 "예"), 본 방법은 404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 모드(본원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로서 지칭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는 메뉴 옵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이한 디스플레이된 모드가 상이한 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픽셀 값들은 차량 파라미터(예를 들어, 차량 속도, 전역적 위치 등)를 나타내는 차량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차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는 내비게이션이 활성인지 여부, 방향 지시등이 온인지 여부, 그리고 장애물 검출이 차량 전방의 객체를 하이라이트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300)과 유사하게, 사용자/차량 입력은 또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해 데 사용되는 사용자 작업부하 또는 환경 조건을 반영하는 사용자/자동차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표시(예를 들어, 주의 산만 검출) 및/또는 차량으로부터의 표시(예를 들어, 장애물 검출, 교통량 증가, 어려운 내비게이션 조작, 악천후 조건들 등)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의 컨텐츠가 어떻게 배열되고/되거나 (예를 들어, 영역들로) 세분되는지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조건들 및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유형들(예를 들어, 카테고리들)이 모드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시, 본 방법은 406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배면광 어레이를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레이의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두 개, 세 개, 네 개 등의 인접한 개별 LED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는 예시적인 제1 모드, 예를 들어, 표준 모드 동안 세 개의 영역들로 분할되고, 제2 예시적인 모드, 예를 들어, 경보 모드 동안 네 개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추가 고려사항으로서, 어레이의 분할은 또한, 제공되는 배면광 어레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의 물리적 레이아웃은 LED들의 수, 배열, 및/또는 밀도로 인한 영역들의 경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는 배면광 어레이 분할을 결정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조건들 및/또는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량 운행 조건들 및/또는 사용자 입력들은 배면광 어레이 분할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배면광 어레이를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로 분할할 때, 본 방법은 408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광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에 대한 일례로서,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광 수준 또는 전력 수준을 생성하기 위해 차량 운행 조건(또는 다른 입력)을 룩업 테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들은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은 이를테면 디스플레이의 유형, 사이즈, 및 영역 등에 기초하여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이어서, 룩업 테이블이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보일 영역들과 같은 영역들 각각에 대해 각 배면광 수준 또는 전력 수준을 결정한다. 예로서, 입력의 유형, 사이즈, 및 위치가 룩업 테이블에서 참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입력 유형들은 차량 상황 정보 및/또는 계기판 유형 디스플레이 데이터, 이를테면 차량 속도, 차량 경고/경보(예를 들어, 오일 수준, 온도, 유지보수 리마인더, 진단 코드 경고 등), 엔진 RPM, 회전속도계 정보, 남은 연료 수준/남은 연료로 주행될 수 있는 추정 거리, 통지들(예를 들어, 착신 통신과 같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지들), 현재 시간, 라디오/오디오 정보(예를 들어, 현재 라디오 방송국, 현재 재생 중인 노래 등),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들,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사이즈는 작은 또는 큰 이미지와 같은 픽셀 수 또는 상대적인 카테고리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예를 들어, 분할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은 상이한 전력 수준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이한 전력 수준들 각각은 HUD 상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차량 운행 조건들(예를 들어, 입력들)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로서, 배면광 어레이가 적어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과 같은 비중첩 영역들로 분할되는 것에 의해, 제1 조건(예를 들어, 입력) 세트는 각 개별 영역에 대한 각각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의 전력 세트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출력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조건 세트는 동일한 영역들에 대한 제4 수준, 제5 수준, 및 제6 수준의 전력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제1 영역과 상이한 다른 조건 세트 동안, 배면광은 최대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2 영역들에 대한 전력 수준들은 각각 제4 수준 및 제5 수준을 설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각 개별 영역에 대한 각 수준은 다른 모든 수준과 상이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로서, 방향 지시등 입력이 수신된다. 입력은 주어진 모드에 대한 입력의 차량 상황 유형으로서 분류된다. 모드에 대한 입력의 유형은 디스플레이의 첫 번째 3분의 1에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룩업 테이블은 디스플레이의 첫 번째 3분의 1에서의 어레이에서의 LED들의 50%를 구동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예를 들어, 동시) 입력들은 디스플레이의 다른 두 개의 영역들에 대한 전력 수준을 동시에 결정하여서, 제1 조건 세트가 세 개의 영역들에 대해 각각 50%, 20%, 및 75%의 LED들을 구동하는 것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다른 상이한 입력들과 동시에, 제2 모드에서의 방향 지시등 입력은 상이한 제2 출력 전력 수준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 입력은 제2 모드에서 어레이의 첫 번째 3분의 1 또는 첫 번째 절반에서 LED들의 30%, 인접한 영역들에서 25%, 및 15%를 구동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들의 상이한 조합들이 전력 수준들 및 배열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입력들의 상이한 조합들은 전력 수준들 및 배열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방법은 410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배면광 램핑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배면광 수준을 제1 값(예를 들어, 전력 수준)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환 지속기간에 걸친 램핑 업 또는 다운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드 조정은 디스플레이 외관의 순간적이 아닌 점진적인 전환을 생성하는 이점을 갖고, 차량 운행자들에 의해 선호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램핑 속도가 룩업 테이블의 출력일 수 있다. 일례로서, 주어진 모드에서, 일부 영역들은 다른 영역들보다 빠르게 또는 느리게 램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램핑 속도는 상이한 영역들에 대해 상이하게 그리고 별도의 시간들에 진행될 수 있다.
412에서, 본 방법은 출력 광 수준을 배면광 어레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배면광 어레이에 출력 광 수준들을 적용하는 것은 배면광 모듈 구동기가룩업 테이블 출력에 따라 어레이의 영역에 전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력 전력 수준들을 배면광 어레이에 적용하는 것은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을 특정된 램핑 속도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주어진 테이블 출력에 대한 배면광 조정은 모든 영역들이 50%인 제1 모드로부터, 3개의 영역들이 50%이고, 제1 영역이 24%인 제2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기는 제1 영역에 24%의 램핑 속도를 적용하고, 3개의 영역들에 50%의 램핑을 적용하지 않는다. 직후에, 제1 영역이 여전히 24%로 전환하는 동안, 다른 입력이 들어오며, 이는 이제 제2 영역이 24%로 전환하게 한다. 제2 영역에 대한 램핑 속도는 전력 수준을 이미 전환환 제1 영역보다 빠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디스플레이 외관 및 배면광 수준은 점진적으로 그리고 매끄럽게 전환된다.
도 5는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LED들의 배면광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500)을 도시한다. 룩업 테이블(50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은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의 배면광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유형 및 상황(예를 들어, 값)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예에서, 유형들은 장애물, 회전 신호 및 기어 입력들을 포함한다. 장애물 상황은 장애물 또는 장애물 없음을 포함한다. 방향 지시등 상황은 방향 지시등 온 또는 오프를 포함한다. 기어 상황은 전진 또는 후진 기어를 포함한다. 참조를 위해, 룩업 테이블(500)은 2차원 테이블로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차원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운행 조건들에 의해 결정되는 등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네 개의 영역들로 분할된다. 다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는 보다 적거나 보다 많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영역들은 차량 상황 정보, 계기판 데이터, 내비게이션, 환경 특징들 등과 같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방법(30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들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운행 조건들에 기초하고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네 개의 영역들은 방법(40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유형, 사이즈, 및/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이한 수준들로 배면광이 비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카메라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유형과 같은 제1 입력 유형에 대해, 배면광의 제1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속도계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것과 같은 제2 입력 유형에 대해, 배면광의 제2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이 카메라 디스플레이 유형 이미지를 나타낸다면, 본 방법은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컨텐츠를 분석하지 않고 보다 밝은 디스플레이 또는 보다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상하도록, 배면 조명 수준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의 룩업 테이블(500)로부터 제1 예를 들자면, 운행 조건은 구동기가 후진 주차 운행을 나타내기 위해 방향 지시들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 입력들은 장애물(예를 들어, 장애물 없음), 방향 지시등(예를 들어, 온), 및 기어(예를 들어, 후진)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배면광 수준들은 입력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네 개의 영역들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제1 영역은 50% LED 온, 제2 영역은 0% LED 온, 제3 영역은 25%LED 온, 그리고 제4 영역은 0% LED 온으로 하는 배면광 수준들을 나타낸다.
도 5의 룩업 테이블(500)로부터 제2 예를 들자면, 운행 조건은 구동기가 차선 변경을 나타내기 위해 방향 지시들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을 변경하는 동안, 센서는 근거리 차량을 검출한다. 룩업 테이블 입력들은 검출(예를 들어, 장애물), 방향 지시등 사용(예를 들어, 온), 및 기어(예를 들어, 전진)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배면광 수준들은 입력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네 개의 영역들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제1 영역은 25% LED 온, 제2 영역은 75% LED 온, 제3 영역은 25%LED 온, 그리고 제4 영역은 75% LED 온으로 하는 배면광 수준들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출력들을 도시한다. 일례로서,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도 3 및 도 4의 방법(300) 및 방법(400)과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어 루틴들에 따라 생성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예들과 같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각각 도시된 예시적인 헤드업 디스플레이들(600 및 650)은 계기판, 후방 카메라, 내비게이션, 차량 상황 및 경보, 및 장애물 검출과 관련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들과 같은 운행 조건들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600, 650)은 네 개의 사분면들, 즉 제1 사분면(602), 제2 사분면(606), 제3 사분면(608), 및 제4 사분면(612)으로 분할된다. 본 예에서, 디스플레이들(600, 650)은 사용자 선택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네 개의 사분면들로 분할된다. 네 개의 사분면들은 다양한 사이즈들, 형상들, 및 배면광 수준들을 갖는 상이한 유형들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일례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600) 및/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650)의 하나 이상의 사분면은 도 8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중 깊이 윈드실드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서 정적 정보 및/또는 동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먼저 도 6a로 시작하면, 내비게이션 보조가 선택된 전방으로 구동되는 차량에 대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가 주어진다. 제1 사분면(602)의 박스(614)에 속도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사분면(606)의 박스(616)에 내비게이션이 도시되어 있다. 제3 사분면(608)에서, 박스(620)는 방향 지시등 온, 엔진 RPM 등과 같은 차량 상황과 관련된 이미지들을 보여줄 수 있다. 제4 사분면(612)은 이미지가 검출된 장애물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박스(624)를 보여준다. 추가적인 이미지 컨텐츠는 이를테면 다른 모드들에서 그리고/또는 새로운 입력들의 수신 시, 박스(616) 및/또는 박스(622)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수준보다 낮은 연료 수준을 나타내는 운행 조건은 차량을 여섯 개의 영역들을 갖는 경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에서, 주유소에 대한 마일리지 카운터가 박스(616)에서 보일 수 있고, 남은 연료는 박스(622)에서 보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이미지들은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생성되고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의 수신 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입력에 대응하는 픽셀 값들을 생성하고, 픽셀 값들은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다. 새로운 속도를 표현하기 위한 픽셀 값들이 생성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픽셀 값들을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에 적용한다. 이미지는 제1 사분면(602)의 박스(614)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로서, 장애물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는 제2 사분면(606)에서 내비게이션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제4 사분면(612)의 박스(62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장애물을 강조하기 위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속도를 감소시키는 예를 계속하면, 도 6a의 디스플레이(600)에 도시된 이미지들에 대한 배면광 수준이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병렬 프로세스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분면(602)에 대한 배면광 수준은 이미지 유형 "속도"를 룩업 테이블로 입력함으로써 결정된다. 일례에서, 입력 유형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속도 감소 및/또는 증가 입력들은 배면광 수준 조정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모드들에서, 이를테면 속력이 임계치를 초과하여 감소 또는 증가한다면, 속력 감소 또는 증가가 배면광 수준 조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속도 경보와 관련된 이미지가 생성되고 박스(616)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룩업 테이블에 대한 입력은 사분면(602)의의 배면광 수준 증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장애물이 검출된다면, 배면광 수준들이 변할 수 있다. 장애물 검출 및 전방 구동이 룩업 테이블에 입력된다. 입력들은 제2 사분면(606) 및 제4 사분면(612)에서의 배면광 증가를 결정한다. 예로서, 검출된 장애물을 강조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배면광 수준이 증가된다. 장애물을 지나면, 제2 사분면에서의 내비게이션 이미지가 다시 생성되고, 이에 따라 배면광 수준들이 조정된다.
도 6b를 계속 참조하면, 디스플레이(650)는 후진 주차 운행을 나타내기 위해 방향 지시등이 온된 후진 기어의 차량에 대해 도시된다. 제1 사분면(602)은 박스(614)에서 더 이상 속도계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대신에, 박스(614)에서 후방 카메라 이미지가 생성된다. 제3 사분면(608)에서, 박스(620)는 방향 지시등 상황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제2 사분면(606) 또는 제4 사분면(612)에서는 어떠한 이미지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6b에 도시된 이미지들은 도 3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생성되고 조정된다. 예를 들어, 차량을 후진으로 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 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주차 조작을 돕기 위해 후방 카메라 뷰에 대응하는 픽셀 값들을 생성한다. 픽셀 값들은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사분면(602)의 박스(614)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방향 지시등 입력의 수신 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왼쪽 화살표에 대응하는 픽셀 값들을 생성한다. 픽셀 값들은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사분면(608)의 박스(62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6b의 디스플레이(650)에서 도시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배면광 수준은 도 4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어, 사분면(602)에 대한 배면광 수준은 이미지 유형 "후진 기어"를 룩업 테이블로 입력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예에서, 후진 기어 입력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분면(602)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600)에 비해) 증가된 배면광 출력을 결정한다. 사분면(608)에 대한 배면광 수준은 이미지 유형 "방향 지시등"을 룩업 테이블에 입력함으로써 결정되고, 또한 디스플레이(600)에 비한 배면광 증가를 출력한다. 어떠한 이미지들도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면, 배면 조명은 사분면들(606, 612)에서 디스플레이(600)에 비해 감소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700) 및 예시적인 헤드업 디스플레이(750)를 도시한다. 룩업 테이블(700)은 유형, 사이즈, 및 위치에 의해 분류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보여준다. 배면광 어레이의 개별 LED들은 룩업 테이블 출력에 기초하여 디밍되거나 구동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750)에 도시된 결과는 컨텐츠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배면 조명이다. 도 7a는 사용자 및/또는 차량 입력에 기초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LED들의 배면광 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7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테이블(700)에서,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이미지 유형, 픽셀들의 사이즈, 및 픽셀 시작 좌표들로 주어진 이미지 위치에 의해 카테고리화된다. 카테고리화된 컨텐츠는 x 및 y 좌표들 및 구역(예를 들어, a 구역, b 구역)으로서 주어진 어레이 배면 조명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에 입력된다.
본 예에서, 이미지 유형들은 속도 경고, 차선 이탈 경고, 및 턴 바이 턴(피쉬본)을 포함한다. 속도 경고의 사이즈는 20x20 픽셀이다. 차선 이탈 경고의 사이즈는 60x50 픽셀이다. 턴 바이 턴 사이즈는 30x30 픽셀의 기본 사이즈를 갖는다. 본 예에서, 턴 바이 턴 컨텐츠 사이즈는 디스플레이에서의 투영 위치에 기초하여 변한다. 이미지 시작 위치는 LCD에서의 픽셀 시작 좌표들을 지칭한다. 속도 경고 픽셀 시작 좌표들은(40, 40)이다. 차선 이탈 경고 픽셀 시작 좌표들은(80, 80)이다. 턴 바이 턴 픽셀 시작 좌표들은 예시적인 룩업 테이블(700)에서 주어지지 않고, GPS와 같은 다른 입력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700)에 나타내어지는 LED 구동 출력은 좌표들 및 구역들로서 주어진 어레이에서의 개별 LED들의 블록들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도 7b 참조). 룩업 테이블(700)에 대한 속도 경고 입력은 x 축에 따른 LED 블록들 3-4 및 y 축에 따른 LED 블록들 3-4, 즉, a 구역에 의해 표현되는 LED 영역에서의 광들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생성한다. 룩업 테이블(700)에 대한 차선 이탈 경고 입력은 x 축에 따른 LED 블록들 5-9 및 y 축 상의 LED 블록들 5-6, 5-7, 즉, b 구역에 의해 표현되는 LED 영역에서의 광들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생성한다. 룩업 테이블(700)은 출력 구동 블록 사이즈 및 위치가 턴 바이 턴 입력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GPS에 기초한 실시간 구동 명령어들과 같은 추가적인 팩터들이 턴 바이 턴 디스플레이 컨텐츠에 대한 LED 구동을 결정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에 입력될 수 있다.
도 7b는 디스플레이 컨텐츠(752) 및 LED 어레이(75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헤드업 디스플레이(750)를 도시한다. 일례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750)는 각각 도 3 및 도 4의 방법(300) 및 방법(4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어 루틴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룩업 테이블(700)은 LED 어레이(754)에 대한 LED 구동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75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헤드 디스플레이 표시 시스템에 생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디스플레이 컨텐츠(752)는 480x240 픽셀 해상도 LCD를 포함한다. LED 어레이(754)는 LED 블록들의 25x10 어레이를 포함한다. 딤 LED 블록(755)은 그레이 블록으로서 나타내어진다. 구동되는 LED 블록(761)은 흑색 윤곽 블록으로서 나타내어진다. 속도 경고(758) 및 차선 이탈 경고(756)를 묘사하는 이미지들(예를 들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 컨텐츠(752)에 생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LED들은 영역(762) 및 영역(760)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영역(762) LED들은 도 7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x 축에 따른 LED 블록들 3-4 및 y 축에 따른 LED 블록들 3-4를 포함하고, a 구역에 의해 표현된다. 영역(760) LED들은 도 7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x 축에 따른 LED 블록들 5-9 및 y 축에 따른 LED 블록들 5-6, 5-7을 포함하고, b 구역에 의해 표현된다. 이렇게 하여, 룩업 테이블(700)과 같은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컨텐츠, 사이즈, 및 시작 위치 정보에 따라, LED들은 컨텐츠에 따라 블록 단위로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로컬 디밍 또는 복합 프로세서 요구 동작들을 위한 이미지 분석 없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력 소비 및 발열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800)에 대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8에서 설명된다. 디스플레이 컨텐츠(802) 및 LED 어레이(812)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800)는 다중 깊이 윈드실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유형을 구현한다. 일례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800)는 각각 도 3 및 도 4의 방법(300) 및 방법(4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어 루틴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8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헤드 디스플레이 표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800)는 정적 정보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근거리장) 및/또는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원거리장)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800)는 동적 영역(804)을 정적 영역(806)과 별도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802)를 묘사하여, 예시적인 이중 깊이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동적 영역(804)에서, 턴 바이 턴 컨텐츠(808)가 묘사된다. 정적 영역(806)은 계기판(810)을 묘사한다. 동적 영역(804) 및 정적 영역(806)이 LED 어레이(812) 상에서 나타내어진다. 딤 LED 블록(820)은 그레이 블록으로서 나타내어진다. 구동되는 LED 블록(822)은 흑색 윤곽 블록으로서 나타내어진다.
LED 어레이(812)에서의 개별 LED 블록들은 정적 영역(806)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계기판(810)에서의 아이콘들과 같은 정적 정보는 룩업 테이블(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500), 룩업 테이블(700))에 입력될 것이고, 컨텐츠 LED들의 사이즈,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거나 디밍될 것이다. 동적 영역(804)에서, 컨텐츠(예를 들어, 아이콘)는 디스플레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들로 생성될 수 있다. 광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거리에 따른 다수의 룩업 테이블 없이 스케일 팩터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텐츠(8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바이 턴 컨텐츠(808)는 다양한 사이즈들 및 회전도들의 복수의 어쉬본들을 포함한다.
LED 어레이(812)를 참조하면, LED 블록들(818)은 룩업 테이블의 출력에 기초하여 어레이에서 구동된다. LED 블록들(816)은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 사이의 밝기를 캘리브레이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깊이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전류 증가로 턴 바이 턴 컨텐츠(808)와 대응하는 어레이 영역에서 구동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동적 영역에 보다 많은 전류를 구동하고/하거나 컨텐츠를 보다 먼 거리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정적 영역에 보다 적은 전류를 구동하고/하거나 컨텐츠를 보다 가까운 거리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다중 깊이 디스플레이는 균일한 밝기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밝기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병렬 프로세스들을 실행함으로써,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 및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디밍되는 LED 배면광 어레이를 사용하여 차량 운행 동안 이미지들이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유형, 사이즈, 및 위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카테고리화하는 것은 높은 CPU 요구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없이 선택적 디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효율적인 룩업 테이블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정적 및 동적 디스플레이 유형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환경들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LED 사용으로,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예를 들어, 픽셀들 또는 픽셀 그룹들)의 특정 분석 없이 배면 조명 영역들을 조정함으로써, 이미지 생성 시스템을 제어하면, 전력 소비 및 발열을 감소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다 작은 히트 싱크를 사용하여 열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의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의 제1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조정하는 단계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를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2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와 제2 예 양자를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3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조정하는 단계는 차량 모드에 기초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3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4 예에서, 배면 조명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갖는 배면광을 통해 제어되고,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발광 소자들의 인접한 개별 그룹들을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4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5 예에서, 조정하는 단계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고, 룩업 테이블의 출력은 각 개별 영역에 대한 각 배면광 수준을 포함하며, 룩업 테이블에 대한 복수의 입력들은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 및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5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6 예에서, 영역의 배면광 수준을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할 때, 조정하는 단계는 영역의 광 수준들을 점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이 지속기간에 걸쳐 램핑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6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7 예에서, 본 방법은: 차량 운행 동안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운행 조건들에 기초하여 배면광을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운행 조건들에 응답하여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 각각에 대한 전력 수준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7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8 예에서,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은 제1 조건 세트 동안, 배면광을 적어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분할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대해 전력이 각각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조건 세트와 상이한 제2 조건 세트 동안,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대한 전력을 각각 제4 수준, 제5 수준, 및 제6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각 수준은 다른 모든 수준과 상이하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8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방법의 제9 예에서,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은 제1 조건 세트 동안, 배면광을 적어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분할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대해 전력이 각각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조건 세트와 상이한 제2 조건 세트 동안, 배면광을 최대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한 전력을 각각 제4 수준 및 제5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각 수준은 다른 모든 수준과 상이하다.
본 개시는 또한, 차량용 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본 시스템은: 이미지 생성 유닛,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미지를 조명하기 위해 이미지 생성 유닛과 결합된 배면광, 및 프로세서, 및 실행될 때,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상이한 수준들의 광을 생성하도록 배면광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명령어들을 갖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스템. 본 시스템의 제1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전력은 차량 운행 조정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를 포함하는 본 시스템의 제2 예에서, 상이한 영역들의 사이즈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와 제2 예 양자를 포함하는 본 시스템의 제3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전력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의 사이즈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3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시스템의 제4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대한 전력은 차량 모드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4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시스템의 제5 예에서, 배면광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갖고, 배면광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발광 소자들의 인접한 개별 그룹들을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5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시스템의 제6 예에서, 전력은 룩업 조정될 테이블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룩업 테이블의 출력은 각 개별 영역에 대한 각 배면광 수준을 포함하며, 룩업 테이블에 대한 복수의 입력들은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 및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제1 예 내지 제6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포함하는 본 시스템의 제7 예에서,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영역의 배면광 수준을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조정은 영역의 광 수준들을 점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이 지속기간에 걸쳐 램핑된다. 본 개시는 또한,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차량 운행 조건에 기초하여 배면광의 광원들의 어레이를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 각각에 상이한 전력 수준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 상이한 전력 수준들 각각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차량 운행 조건에 응답하여 조정됨 ― 를 포함하는, 방법. 본 방법의 제1 예에서, 본 방법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전력 수준들을 생성하기 위해 차량 운행 조건을 룩업 테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실시예들에 대한 적합한 수정 및 변형이 상기한 설명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거나 방법들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스플레이 제어기(214)와 같은, 적합한 디바이스 및/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들은 저장 디바이스들, 메모리, 하드웨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안테나들, 스위치들, 액추에이터들, 클록 회로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하드웨어 요소와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로직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로세서)로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방법들 및 관련 동작들은 본 출원에서 설명된 순서 외에 다양한 순서들로, 병렬적으로, 그리고/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설명된 시스템들은 사실상 대표적인 것이고, 추가 요소들을 포함하고/거나 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요지는 개시된 다양한 시스템들 및 구성들의 모든 신규하고 자명하지 않은 조합들 및 하위 조합들, 및 다른 피처들, 기능들, 및/또는 속성들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단수로 나열되고 "하나" 또는 "한"이라는 단수 표현 단어로 시작된 요소 또는 단계는 배제가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 또는 "일례"의 언급들은 또한 나열된 피처들을 통합하는 추가 실시 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이들의 대상들에 수치 요건들 또는 특정 위치 순서를 부과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하 청구항들은 특히 상기한 개시 내용으로부터 신규하고 자명하지 않은 것으로서 여겨지는 요지를 언급한다.

Claims (20)

  1.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차량 모드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조명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갖는 배면광을 통해 제어되고,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발광 소자들의 인접한 개별 그룹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의 출력은 각 개별 영역에 대한 각 배면광 수준을 포함하며, 상기 룩업 테이블에 대한 복수의 입력들은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 및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영역의 배면광 수준을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할 때,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의 광 수준들을 점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이 지속기간에 걸쳐 램핑하는(ramping)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운행 동안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운행 조건들에 기초하여 배면광을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차량 운행 조건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 각각에 대한 전력 수준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은 제1 조건 세트 동안, 상기 배면광을 적어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해 전력이 각각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조건 세트와 상이한 제2 조건 세트 동안,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전력을 각각 제4 수준, 제5 수준 및 제6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각 수준은 다른 모든 수준과 상이한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중첩 영역들은 제1 조건 세트 동안, 상기 배면광을 적어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해 전력이 각각 제1 수준, 제2 수준 및 제3 수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조건 세트와 상이한 제2 조건 세트 동안, 상기 배면광을 최대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전력을 각각 제4 수준 및 제5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각 수준은 다른 모든 수준과 상이한 것인, 방법.
  11. 차량용 시스템으로서,
    이미지 생성 유닛;
    상기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미지를 조명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과 결합된 배면광; 및
    프로세서, 및 실행될 때,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상이한 수준들의 광을 생성하도록 상기 배면광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명령어들을 갖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은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인,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영역들의 사이즈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인,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의 사이즈는 차량 운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인,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중첩되지 않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대한 상기 전력은 차량 모드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인,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광은 발광 소자들의 어레이를 갖고, 상기 배면광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은 발광 소자들의 인접한 개별 그룹들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의 출력은 각 개별 영역에 대한 각 배면광 수준을 포함하며, 상기 룩업 테이블에 대한 복수의 입력들은 실시간 사용자 입력들 및 차량 운행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영역의 배면광 수준을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은 상기 영역의 광 수준들을 점진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이 지속기간에 걸쳐 램핑되는 것인, 시스템.
  19.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배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차량 운행 조건에 기초하여 배면광의 광원들의 어레이를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 각각에 상이한 전력 수준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 상기 상이한 전력 수준들 각각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상기 차량 운행 조건에 응답하여 조정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상이한 배면 조명 영역들 각각에 대해 상기 상이한 전력 수준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차량 운행 조건을 룩업 테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30017629A 2022-02-18 2023-02-09 헤드업 디스플레이 KR20230124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51,774 US11682357B1 (en) 2022-02-18 2022-02-18 Heads up display
US17/651,774 2022-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484A true KR20230124484A (ko) 2023-08-25

Family

ID=8520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629A KR20230124484A (ko) 2022-02-18 2023-02-09 헤드업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82357B1 (ko)
EP (1) EP4245589A3 (ko)
KR (1) KR20230124484A (ko)
CN (1) CN1166313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7608A (zh) * 2020-09-21 2022-03-29 福特全球技术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和信息交互系统
JP2022184350A (ja) * 2021-06-01 2022-12-13 マツダ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9523B2 (ja) 2014-08-20 2018-03-28 日本精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5974583B (zh) * 2015-03-11 2019-06-1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抬头显示器及其控制方法
DE102015215180A1 (de) * 2015-08-07 2017-02-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lickabhängige Einstellung der Helligkeit der Anzeige eines Head-Up-Displays
JP6784058B2 (ja) * 2016-05-23 2020-11-1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表示装置
JP6617734B2 (ja) * 2017-02-22 2019-12-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EP3451044A1 (en) 2017-08-28 2019-03-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ead-up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a head-up display
CN110095867B (zh) * 2018-01-31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方法、平视显示系统、交通工具和存储介质
CN108847200A (zh) * 2018-07-02 2018-11-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调节方法及装置、抬头显示器、系统和存储介质
JP7163781B2 (ja) 2019-01-10 2022-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2357B1 (en) 2023-06-20
CN116631341A (zh) 2023-08-22
EP4245589A2 (en) 2023-09-20
EP4245589A3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74770B (zh) 可调整的三维增强现实平视显示器
CN111163968B (zh) 交通工具中的显示系统
EP4245589A2 (en) A system for controlling backlighting of a heads up display
JP6695062B2 (ja) 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US10901210B2 (en) Image-generation device for a head-up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device
JPWO2019044732A1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230034448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6249891B2 (ja) 表示装置
JP2023003234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4055104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307538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192999A (ja) 視線誘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