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303A - 창상용 폼 드레싱재 - Google Patents

창상용 폼 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303A
KR20230124303A KR1020220021442A KR20220021442A KR20230124303A KR 20230124303 A KR20230124303 A KR 20230124303A KR 1020220021442 A KR1020220021442 A KR 1020220021442A KR 20220021442 A KR20220021442 A KR 20220021442A KR 20230124303 A KR20230124303 A KR 20230124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film
layer
wound
dressing material
w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협
정하림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22002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303A/ko
Publication of KR2023012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 A61F13/020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the fluid handling member being absorbent fibrous layer,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 A61F13/021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the fluid handling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상처부위에 점착제가 접촉되지 않아 드레싱재 제거 시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비상처부위에는 땀 흡수가 가능한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삼출물의 흡수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창상용 폼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다수의 기공이 수직형성되는 다공필름; 상기 다공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흡수층; 상기 다공필름의 하부면을 제외하고,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을 둘러싸는 습윤점착층; 및 상기 습윤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보호층을 포함하는 창상용 폼 드레싱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창상용 폼 드레싱재{Wound foam dressing}
개시된 내용은 피부 손상에 의한 화상, 창상, 농 또는 물집 등을 흡수 또는 상처부위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창상용 폼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 조절, 세균 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신체기관으로 피부가 각종 외상에 의해서 피부의 기능을 상실하면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등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발생한 상처의 치유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유가 수행되어야 한다.
상처 치유의 방법은 종래 건조 환경의 거즈(gauze)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습윤 환경의 드레싱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상처 치유를 위한 드레싱의 이상적인 요건은 습윤환경유지, 감염방지, 보호작용, 투습성, 시인성, 무자극성, 사용 용이성 등이 있다.
현재 알려진 습윤 환경 드레싱재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필름 형, 하이드로콜로이드 형, 하이드로겔 형, 폴리우레탄폼 형 등이 있으며, 특히 하이드로콜로이드 형, 하이드로겔 형, 폴리우레탄폼 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창상피복재는 별도의 점착테이프에 의해 상처에 부착, 고정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048호에서는 실리콘/아크릴 점착제를 이용하여 창상피복재와 피부를 점착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진 폼 드레싱재는 별도의 점착층을 형성해야 하므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 단가가 높아 일반인들의 구매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상처 부위에 점착제가 직접 접촉하여 드레싱재의 제거시 환자의 통증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비상처 부위에 장기간 동안 점착제가 접촉하는 경우 땀 발생으로 인한 피부 팽윤 발생으로 비상처 부위에 피부 트러블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학민국 등록특허 제10-1073048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2210호
개시된 발명은 상처부위에 점착제가 접촉되지 않아 드레싱재 제거 시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비상처부위에는 땀 흡수가 가능한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처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창상용 폼 드레싱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다수의 기공이 수직형성되는 다공필름; 상기 다공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흡수층; 상기 다공필름의 하부면을 제외하고,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을 둘러싸는 습윤점착층; 및 상기 습윤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보호층을 포함하는 창상용 폼 드레싱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공필름과 상기 흡수층 사이에 형성되는 약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용 폼 드레싱재에 의하면, 상처부위에 점착제가 접촉되지 않아 드레싱재 제거 시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비상처부위에는 땀 흡수가 가능한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용 폼 드레싱재에 의하면, 삼출물의 흡수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용 폼 드레싱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용 폼 드레싱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폼 드레싱재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기공이 수직형성되는 다공필름(10); 상기 다공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흡수층(20); 상기 다공필름의 하부면을 제외하고,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을 둘러싸는 습윤점착층(30); 및 상기 습윤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보호층(40)을 포함한다. (도 1 참고)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다공필름과 상기 흡수층 사이에 형성되는 약재층(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 참고)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창상용 폼 드레싱재를 이루는 각 층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다공필름(10)
상기 다공필름은 환자의 상처부위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며, 무점착형이기 때문에 상처부위에서 드레싱재를 제거하더라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공필름에는 다수의 기공(hole)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드레싱재의 내측과 그 반대인 외측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기공을 통하여 상처에서 발생되는 고름, 핏물 등의 삼출물이 흡수층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약재층의 약재가 상기 기공을 통해 상처로 전달되어 상처부위의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공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기공은 다공필름을 유압 및 공압프레스에 의한 물리적인 힘으로 타공하여 형성되거나 국부 가열을 통해 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필름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우레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발포제를 혼합 후 발포하여 발포시트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타놀, 비스페놀A, 비스페놀F, 환원비스페놀A, 환원비스페놀F, 디사이클로펜타 디올, 트리사이클로데칸디올,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에테르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민 말단화된 폴리에테르,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에스테르 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co-에틸렌 에테르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 트리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의 제조시, 상기 폴리올 7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흡수층(20)
상기 흡수층은 상처부위에서 발생되는 고름, 핏물 등의 삼출물을 흡수하는 층으로, 상기 다공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흡수층은 폴리에스터계 섬유 및 고흡수성(高吸收性)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3차원 망상구조를 가지면서 다량의 친수기를 갖는 고분자로, 물에 녹지는 않고 고흡수성 수지 중량의 200배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물을 용매로 하여 아크릴산 또는 그 나트륨염과의 혼합물, 중합촉매, 가교제 등의 혼합용액을 반응기 중에서 중합하는 단열식 수용액중합법이나, 유기용제(통상 헥산, 톨루엔 등) 중에 아크릴산과 아크릴산의 나트륨 혼합물, 중합촉매, 가교제 등의 수용액을 분산제로 현탁한 후 정온에서 중합하는 배치식 역상현탁 중합법(In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으로 제조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액상 및 분말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점액 상태의 삼출물에 대해 우수한 흡수능을 갖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염(sodium 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펙틴, 구아검, 소디움알지네이트, 키틴, 키토산, 젤라틴, 스타치, 잔탄검 및 카라야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아크릴산염(sodium polyacrylate)이 특히 바람직하나,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섬유는 상기 흡수층의 형태안정성, 취급용이성 등과 같은 물성 저하 방지를 위해 상기 고흡수성 수지와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3. 습윤점착층(30)
상기 습윤점착층은 비상처부위에 점착되는, 자체 점착성 및 흡수성을 가지는 층으로, 상기 다공필름의 하부면을 제외하고,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및 약재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고해보면, 상기 습윤점착층은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및 약재층)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되어, 상기 창상용 폼 드레싱재를 환자의 비상처부위에 점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습윤점착층은 다공필름의 하단을 제외한,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및 약재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흡수층과 상기 외부보호층이 점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의 드레싱재는 아크릴계 접착제로 각 층이 접착되어 있고 실리콘계 점착제로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7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의 습윤점착층을 이용하면 드레싱재를 환자의 피부에 점착시킴과 동시에 각 층을 접착시킬 수 있어, 드레싱재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상처부위에 장시간 동안 점착되더라도 비상처부위에서 발생하는 땀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습윤점착층은 보습이 가능한 습윤점착제를 사용하여, 상처부위에 습윤한 환경을 유지하여 면역인자들의 활동을 돕고, 딱지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딱지로 인한 상처부위의 흉터 발생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습윤점착층에 사용되는 습윤점착제로는, 관련분야에서 사용되는 습윤점착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으며,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자체 점착성을 가져 창상용 드레싱재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며, 창상 부위에서 나오는 삼출물을 추가로 흡수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므로 드레싱재의 흡수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4. 외부보호층(40)
상기 외부보호층은 상기 습윤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싱재의 최상층부에 형성되는 층으로, 미생물에 대한 불투과성을 가져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억제하여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층이다.
상기 외부보호층으로는 종이 등의 종이계 기재; 천, 부직포, 네트 등의 섬유계 기재;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기재;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고무 시트 등의 고무계 기재; 발포 시트 등의 발포체나, 이들의 적층체(특히, 플라스틱계 기재와 다른 기재와의 적층체나, 플라스틱 필름(또는 시트)끼리의 적층체 등) 등의 적절한 박엽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에서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아미드(나일론),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소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탄성 신장회복률, 통기성 및 방수성 등의 특성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PU)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발포제를 혼합 후 발포하여 발포시트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타놀, 비스페놀A, 비스페놀F, 환원비스페놀A, 환원비스페놀F, 디사이클로펜타 디올, 트리사이클로데칸디올,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에테르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민 말단화된 폴리에테르,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에스테르 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co-에틸렌 에테르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 트리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의 제조시, 상기 폴리올 7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보호층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알부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혼합물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보호층에는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추가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상이하다.
5. 약재층(50)
상기 약재층은 섬유층에 약재를 함침한 형태로 제공되며, 상처 치유, 여드름 케어 및 방지, 가려움 방지, 항균 기능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약재층은 상기 다공필름과 상기 흡수층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공필름에 대비해 더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수층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재로는 글루코네이트 클로로헥시딘, 아세테이트 클로로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로헥시딘, 실버설퍼다이아진, 포비돈 아이오딘, 벤즈알코니움 클로라이드, 퓨라진, 아이도카인, 헥사클로로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네오마이신, 페니실린, 젠타마이신, 아크리놀, 은(Ag) 화합물, 보르네올, 리모넨, 아시아 페니워트(asiatic pennywort) 허브, 차나무유, 멘톨, 피페린, 라벤더유, 스파이크(spike) 정유, 수분 흡수제, 항미생물제 또는 창상 치유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레싱재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약재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재가 상기 약재층에 포함되는 중량은 각 약재의 기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창상용 폼 드레싱재에 따르면, 상처부위에 점착제가 접촉되지 않아 드레싱재 제거 시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비상처부위에는 땀 흡수가 가능한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창상용 폼 드레싱재에 의하면, 삼출물의 흡수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공필름
20: 흡수층
30: 습윤점착층
40: 외부보호층
50: 약재층

Claims (4)

  1. 다수의 기공이 수직형성되는 다공필름;
    상기 다공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는 흡수층;
    상기 다공필름의 하부면을 제외하고, 상기 다공필름 및 상기 흡수층을 둘러싸는 습윤점착층; 및
    상기 습윤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보호층을 포함하는 창상용 폼 드레싱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필름과 상기 흡수층 사이에 형성되는 약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용 폼 드레싱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점착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인 창상용 폼 드레싱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폴리에스터계 섬유 및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창상용 폼 드레싱재.
KR1020220021442A 2022-02-18 2022-02-18 창상용 폼 드레싱재 KR20230124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42A KR20230124303A (ko) 2022-02-18 2022-02-18 창상용 폼 드레싱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42A KR20230124303A (ko) 2022-02-18 2022-02-18 창상용 폼 드레싱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03A true KR20230124303A (ko) 2023-08-25

Family

ID=8784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442A KR20230124303A (ko) 2022-02-18 2022-02-18 창상용 폼 드레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30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48B1 (ko) 2010-04-12 2011-10-12 주식회사 제네웰 점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210B1 (ko) 2017-01-10 2018-11-26 (주) 삼보 무광촉매를 포함하는 세균 흡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48B1 (ko) 2010-04-12 2011-10-12 주식회사 제네웰 점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210B1 (ko) 2017-01-10 2018-11-26 (주) 삼보 무광촉매를 포함하는 세균 흡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801A (en) Hydrogel burn dressing product
EP0875222B1 (en) Absorbent wound dressings
AU644599B2 (en) Adhesive dressings
EP2572737B1 (en) Improved wound dressing
US5695456A (en) Wound packing and package therefor
CN102600019B (zh) 一种医用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JP4080333B2 (ja) 創傷用包帯として使用される積層材料
EP3634338A1 (en) Wound dressing with odor absorption and increased moisture vapor transmission
EP2995287A1 (en) Medical dressing
ES2416505T3 (es) Materiales para vendaje de heridas de espuma absorbente
CN115252280A (zh) 医用敷料
US20170128270A1 (en) Wound dressing
KR200422370Y1 (ko) 창상피복재
JPH05501073A (ja) 接着性ドレッシング
KR20230124303A (ko) 창상용 폼 드레싱재
AU748103B2 (en) Absorbent wound dressings
CN113784694A (zh) 改良型伤口治疗用部件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CN101164510B (zh) 胶粘绷带及其制备方法
CN220608757U (zh) 一种可观察伤口情况的抗菌医用敷料
US20220133547A1 (en) Tough Aid Industrial Grade Medical Bandaged
WO2024064336A1 (en) Transparent dressing with hydrogel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