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019A - 모듈형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019A
KR20230124019A KR1020237024458A KR20237024458A KR20230124019A KR 20230124019 A KR20230124019 A KR 20230124019A KR 1020237024458 A KR1020237024458 A KR 1020237024458A KR 20237024458 A KR20237024458 A KR 20237024458A KR 20230124019 A KR20230124019 A KR 2023012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dules
lighting
interface
mas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미 킴 비쓰
Original Assignee
사이네트로닉스 바우그루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네트로닉스 바우그루펜 아게 filed Critical 사이네트로닉스 바우그루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12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다수의 모듈들(2)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1)이 개시된다. 모듈들(2)은 마스터 모듈(2.1) 및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2.2)을 포함한다. 모듈들(2)은 각각, 벽 또는 천장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인터페이스(3), 및 제어 유닛(4)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4)은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모듈들(2)은 각각,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조명 엘리먼트들(6)을 더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2.1)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2)을 위한 각각의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각 모듈(2)은 각각의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각각의 모듈(2)의 활성 조명 패턴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듈형 조명 시스템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들 및 특히 천장 조명 또는 벽걸이형 루미네어(luminaire)로서 설계되는 모듈형 조명 시스템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가정, 호텔, 사무실 등의 룸(room)들을 각각 일루미네이팅(illuminating)하는 조명의 목적으로 매우 다양한 조명 시스템들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주요 목적 이외에도, 이러한 조명 시스템들은 룸을 특히 쾌적한 방식으로 일루미네이팅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최신 기술의 조명 시스템들은, 상이한 동작 모드들, 밝기 조절, 색 온도 등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제어 능력들 및 다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비교적 복잡한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EP3107354A1은 여러 조명 모듈들을 갖는 배열을 보여준다. 조명 모듈들은 공통 전원에 연결되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완전한 조명 제어는 각각의 조명 모듈의 제어 유닛에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예를 들어, 계단에서, 조명 모듈들은 조직화된(coordinated)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고 "군집 지능(swarm intelligence)"을 가질 수 있다. 중앙 제어 프로그램 또는 중앙 제어 유닛은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US9078299B2는 지능형 조명 시스템을 보여준다. 계산-최적화 및 시뮬레이션 컴포넌트들에 추가하여, 시스템은, 예컨대 일광 센서들, 타이머들 및 일기 예보 데이터로부터의 다양한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 신호들에 기초하여 조명 조광기(dimmer)용 제어 신호들을 결정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그의 고유의 지능을 갖는 그의 고유의 제어 시스템을 갖는 각각의 루미네어를 갖춘, 중앙 집중형(centralized) 시스템으로서 혹은 분산형(decentralized) 및 자기조직형(self-organizing)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체적인 제어 토폴로지는 군집 지능의 원리에 기초할 수 있다.
EP2375867A2는 LED 램프용 제어 시스템(전력 제어 디바이스)을 보여준다. 이는 필수(mandatory) 무선 제어 기능을 갖춘, 구현이 용이한 특정 하드웨어 솔루션에 크게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개시의 전반적인 목적은 룸들, 특히 건물의 내부 룸들용 조명 시스템들에 관한 최신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조명 시스템은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고, 기하학적 설정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조명 능력들에 관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특정 설계들에서, 조명 시스템은 특히 어린이 방에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거실, 사무실 등과 같은 다른 방에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조명 패턴들 및/또는 고객맞춤형 조명 패턴들을 제공하고 다양한 요구들에 적응가능하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전반적인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예시적인 그리고 특정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개시내용에 의해 추가로 정의된다.
일 양태에서, 전반적인 목적은 조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모듈들은 마스터(master) 모듈 및 다수의 슬레이브(slave) 모듈들을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전반적인 목적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마스터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양태에서, 전반적인 목적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슬레이브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양태에서, 전반적인 목적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 및/또는 마스터 모듈, 및/또는 슬레이브 모듈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모듈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벽 또는 천장에 각각의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모듈들은 각각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모듈의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모듈들은 각각의 모듈의 제어 유닛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를 각각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각각의 모듈의 제어 유닛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복수의 조명 엘리먼트들을 각각 더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은 전력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전력 공급 유닛은 외부 전력 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력 공급 유닛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은 각각,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및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슬레이브 모듈들에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공급 유닛은 입력 공급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입력 공급 커넥터는 외부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 특히 영구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전력 공급장치는 일반적인 건물 전력 공급장치, 특히 230 VAC 및/또는 110 VAC 라인 전압 공급장치와 같은 라인 전압 공급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 유닛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은 모듈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외부 전력 공급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전력을 변환하도록 구성된 중앙 메인 어댑터를 포함하고, 변압기, 정류기, 평활화 커패시터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앙 메인 어댑터의 출력측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슬레이브 모듈들은 중앙 메인 어댑터에 의해 각각의 모듈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및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슬레이브 모듈들은 별개의 메인 어댑터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예에 대해, 모든 모듈들, 즉 마스터 모듈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모듈은 중앙 메인 어댑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동작 상태에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는 각각 외부 전력 공급장치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는 중앙 메인 어댑터 없이 입력 공급 커넥터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듈들 각각은 외부 전력 공급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전력, 특히 라인 전압을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듈들 즉, 마스터 모듈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모듈들은, 별개의 로컬 메인 어댑터를 각각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및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공급은 일반적으로 슬레이브 모듈들의 조명 엘리먼트들 및/또는 회로부의 동작 전압과 직접 매치되지 않지만, 상이한 전압, 특히 더 높은 전압을 가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또한 AC 전압일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모듈들 및 특히 슬레이브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필요한 동작 전압 또는 조명 엘리먼트들을 위한 전압들을 제공하는 대응하는 전력 인터페이스 회로부뿐만 아니라 각각의 모듈의 일반적인 회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력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예를 들어, 각각의 디바이스의 제어 유닛의 일부일 수도 있다. 각 모듈에 로컬 메인 어댑터를 갖는 실시예들에서, 그것은 또한 각각의 로컬 메인 어댑터의 일부일 수도 있다.
마스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대한 각각의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각 모듈은 추가로, 각각의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각각의 모듈의 활성 조명 패턴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각각의 모듈은 그의 시작 명령 수신 시에 그의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실행한다. 마스터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시작 명령은 특히 어떠한 모듈도 그의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실행하지 않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듈들이 그들의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실행하는 스위치 온 상태로 조명 시스템을 스위칭하기 위한 초기 시작 명령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명 시스템은 초기 시작 명령을 통해 스위치 온(switched on)된다. 마스터 모듈은 특히,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각각 사용자 액션에 응답하여 초기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위치 온 상태에서, 조명 시스템은 또한 활성화되는 것으로 지칭되고,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조명 시스템은 또한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지칭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은 추가로, 아래에서 또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을 스위치 온 상태로부터 스위치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정지 명령, 예를 들어 글로벌 정지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정지 명령은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대응하는 사용자 액션에 응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마스터 모듈은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원격 제어 디바이스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들, 터치 버튼들, 푸시 버튼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엘리먼트들, 및/또는 표시자 LED들 및/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히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표현은, 마스터 모듈에 구조적으로 통합되거나 마스터 모듈의 통합 부분을 형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칭한다.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명시적으로 지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기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조명 패턴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조명 패턴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정의된 조명 패턴을 정의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선택 입력은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로부터 활성 조명 패턴을 선택한다.
원격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마스터 모듈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특히 무선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의 일부이거나 그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예로서,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적외선, 블루투스, WLAN, ZigBee 및/또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통신 기술 및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위해, 그리고/또는 독점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다.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에 의한 룸 일루미네이션을 시작 및 정지하고 그리고/또는 조명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은 무선 조명 스위치 및/또는 조광기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PC 등과 같은 범용 디바이스 상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와 커플링, 특히 무선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정의된 조명 패턴을 정의하거나 프로그래밍하는 것,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수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로부터 활성 조명 패턴들을 선택하는 것 등과 같은 보다 복잡한 액션들을 위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조명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기 위해, 범용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범용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합 웹 서버를 포함한다.
1 개보다 많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특정 구성으로 존재하여,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이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상이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로서, 종래의 조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명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기 위한 간단한 무선 조명 스위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조명 시스템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는 것은 예를 들어, 추가적인 기능성을 더 제공하는 범용 디바이스를 통해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추가로,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팟 조명 엘리먼트들 및/또는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을 제어하는데, 특히 스위칭 온 및 오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고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슬레이브 모듈과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마스터 모듈과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이루어진다.
모듈들은 구조적으로 분리되고 별개이다. 그러나,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은 일반적으로 나란한(side-by-side) 배열로 배열되고, 장착된 각각 동작하는 구성으로 서로 커플링된다. 일반적으로, 단일의 마스터 모듈 및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로서 명시되지 않은 경우, "모듈"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모듈을 지칭하여, 마스터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이다.
각 모듈의 조명 엘리먼트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듈의 정면에 배열된다. 각 모듈의 정면은 조명 시스템이 설치되는 방을 향하여, 각각 모듈들이 설치된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멀리 향한다. 일반적으로 수직 방식으로, 모듈의 외부로부터 (또는 조명 시스템이 설치되는 룸 내부로부터) 그의 정면 상을 볼 때의 모듈의 윤곽은 모듈의 풋프린트(footprint)로 지칭된다. 풋프린트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고, 이 방향의 모듈의 치수를 두께라고 한다. 두께 방향을 가로지르는 치수들 또는 풋프린트의 평면 내의 치수들은 측방향(lateral) 치수라고 한다. 두께 방향은 일반적으로 또한, 모듈들이 장착되는 벽 또는 천장에 본질적으로 수직이고 측방향 치수들은 벽 또는 천장에 평행하거나 접한다. 유리하게, 모듈들의 전체 형상은 디스크 형상이며, 예컨대 두께는 측방향 치수들보다 상당히 작다. 전형적인 설계에서, 모듈들의 두께는 20 mm와 100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20 mm와 30 mm 사이인 반면, 풋프린트는 정사각형이고 500 mm의 에지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두께는 모든 모듈들에 대해 동일하다. 각각의 모듈의 정면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듈의 정면 벽(정면 패널로도 지칭됨)의 룸 대면 측면(side)에 의해 주어진다. 각 모듈의 둘레(circumferential) 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의 둘레 에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다. 둘레 벽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듈의 정면 벽으로부터 그리고/또는 모듈이 장착되는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모듈들은 그들의 전체 표면적으로(벽 또는 천장을 대면하는 모듈들의 측면이 평면인 경우), 거리 조각(distance piece)들 또는 스페이서들을 통해, 또는 둘레 벽을 따라 벽 또는 천장과 접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쇄된 둘레 벽이 바람직하지만, 모듈의 일부 또는 모든 측면들은 원칙적으로 개구들을 갖거나 원하는 대로 개방되고/되거나 구조화될 수도 있다. 모듈의 측면은 모듈 또는 그의 섹션의 둘레 또는 둘레 벽에 대한, 일반적으로 수직 방식의, 뷰(view)를 지칭한다. 정면 및 풋프린트가 다각형,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형상을 갖는 전형적인 설계들에서, 둘레 벽은 각각 대응하는 수의 측면들 또는 세그먼트들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들은 각각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플랫한 또는 평면의 정면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듈들의 정면은 일반적으로 조명 시스템이 설치되는 벽 또는 천장에 평행하고 그로부터 모듈들의 두께만큼 이격된다.
모듈들의 정면 벽은 조명 엘리먼트들의 패턴에 대응하는 개구들 또는 구멍(aperture)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조명 엘리먼트들은 각각, 각각의 개구에 배열되거나 그와 정렬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면 벽은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 예를 들어 유리로 제조되고, 조명 엘리먼트들은 모듈 내에 배열되고 정면 벽을 통해 조명한다. 원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투명한 정면 벽은 또한 부분적으로 비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일부 또는 모든 조명 엘리먼트들에 대한 시야 조리개(field stop)를 형성한다. 예로서, 정면 벽은 그의 표면 영역의 대부분에 걸쳐 비투명 또는 투명할 수도 있고, 조명 엘리먼트들이 배열되는 이들 영역들에서 투명 섹션들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 섹션들은 각각의 조명 엘리먼트가 활성화되면 조명되는 것으로서 보이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 원형 또는 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절한 경우, 대응하는 시야 조리개가 또한 조명 엘리먼트들과 정면 벽 사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모듈의 복수의 조명 엘리먼트들은 일반적으로 패턴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모듈 또는 그의 정면에 걸쳐 측방향으로 분포된다. 단일 모듈의 조명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들일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조명 엘리먼트들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들, 바람직하게는 4컬러 LED들을 포함한다. 각 모듈의 제어 유닛은 일반적으로 단일 조명 엘리먼트들 및 각 조명 엘리먼트의 단일 색상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4컬러 LED는 일반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 백색을 갖는 4 개의 LED들로 구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이들은 조합하여 하나의 조명 엘리먼트로서 고려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모듈은 별개의 장착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모듈이 벽 또는 천장에 장착되고 그에 의해 지지/운반될 수 있게 한다. 벽 또는 천장에 대안적으로, 모듈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다른 실질적으로 평평한 또는 평면의 표면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들을 갖는 조립된 구성에서, 모든 각각의 모듈이 벽 또는 천장에 반드시 개별적으로 장착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모듈의 일부만이 천장의 벽에 직접 장착되며, 다른 모듈들은 벽 또는 천장에 직접 장착되는 상기 모듈들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장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풋프린트의 기하학적 중심에 또는 그 근처에 배열되고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는 관형(tubular) 엘리먼트를 포함하거나 그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관형 엘리먼트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 등을 통한 각각의 모듈의 장착을 허용한다. 그러나, 다른 장착 및/또는 고정 배열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각각의 모듈의 제어 유닛은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컴포넌트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반도체 기반 회로부 및/또는 전용 회로부이다. 또한, 제어 유닛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듈의 조명 엘리먼트들을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터페이스 및 드라이버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모듈의 다른 기능 유닛들, 예를 들어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어 유닛과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닛 및 선택적으로 추가의 전자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또는 다수의 상호연결된 PCB들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각 모듈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는 추가 모듈들과의 데이터 교환 또는 통신을 위해 구성되며, 즉 모듈간 통신의 목적으로 기능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모듈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추가 모듈과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통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각 모듈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도 있다.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의 특정 실시예들의 추가 양태들이 아래에 추가로 논의된다. 시작 명령들 및 중단 명령들뿐만 아니라, 모듈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임의의 추가 데이터 및 정보가 각각의 모듈들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교환된다. 이에 대응하여,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위해, 각 모듈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전용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특히,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및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의 맥락에서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모듈의 상이한 측면들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와 통합되고,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와 통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 또는 전력 분배를 위한 전기 연결은 또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고 별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또는 커넥터들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각각 변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특히 마스터 모듈의 상이한 측면들에 배열된 다수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각각은 상이한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와 동시 커플링을 위해 구성된다.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모듈의 둘레 벽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는 각각, 다수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특히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상이한 측면들에 배열되는 다수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둘레 벽에 배열될 수도 있다.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각각,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특히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 또는 추가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와의 대안적인 결합을 위해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든 슬레이브 모듈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및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특히 플러그 및/또는 소켓 커넥터들이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터 모듈의 상이한 측면들에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제공하는 것은 각각의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에 전력을 직접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레이브 모듈들의 상이한 측면들에서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제공함으로써, 슬레이브 모듈을 상이한 배향들로 마스터 모듈과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는 각각, 추가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와의 커플링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각각, 추가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와의 커플링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설계는 다른 슬레이브 모듈들을 통해 슬레이브 모듈들에 간접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서,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추가 슬레이브 모듈들에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전력 공급장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슬레이브 모듈들을 통해 마스터 모듈로부터 특정 슬레이브 모듈로 와이어링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가 마스터 모듈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마스터 모듈에 의한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공급이 직접적일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스터 모듈에 인접하게 배열된 슬레이브 모듈들에 대한 경우이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가 다른 슬레이브 모듈, 특히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마스터 모듈에 의한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공급은 간접적일 수도 있다.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및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상이한 측면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 각각의 모든 측면들에 제공하는 것은 모듈들 간의 케이블링 또는 와이어링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모듈들의 나란한 배열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및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각각의 경우에 측면 표면 또는 둘레 벽과 동일 평면에 있거나 측면 표면들 뒤로 들어가게 배열된다. 인접한 모듈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확립되어야 하는 경우, 대응하는 중간 커넥터 엘리먼트가 각각의 커넥터들을 커플링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돌출된 엘리먼트가 어떤 경우에도 없으며, 이는 인접한 모듈들로 모든 측면들이 둘러싸여 있지 않은 모듈들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모든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및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설계이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및 그에 따른 마스터 모듈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뿐만 아니라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들 및 그에 따른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각각의 모듈이 별개의 로컬 메인 어댑터를 포함하는 경우 라인 전압용에 대해 설계되거나, 혹은 마스터 모듈의 중앙 메인 어댑터의 출력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들에는 그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은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에 연결되는 전용 와이어링 또는 케이블링을 통해 전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유의된다. 이는, 모듈 또는 모듈들의 그룹이 예컨대, 빔들과 같은 제약들로 인해 개별적으로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모듈들은 예를 들어 빔에 의해 분리되는 2 개의 그룹들로 배열될 수 있으며, 두 그룹들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빔은 케이블링 또는 와이어링에 의해 브리징될 수도 있다.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들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들 각각은 다수의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각각의 모듈을 인접한 모듈과 기계적으로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모듈을 하나의 인접한 모듈과 일대일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각 모듈의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모듈의 둘레 벽에 또는 그 내에 배열된다.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은 벽 또는 천장의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허용하는 모듈들에 대해,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는 인접한 모듈이 배열될 수도 있는 모듈의 각각의 측면에서 둘레 벽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풋프린트를 갖는 모듈들의 경우,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는 4 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배열될 수도 있다.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는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예를 들어 2 개의 리셉터클들, 예를 들어 보어(bore)들을 각각의 모듈의 측면 표면 또는 둘레 벽에 포함할 수도 있다. 장착된 구성에서, 리셉터클들의 각각은 인접 모듈의 대응하는 리셉터클과 정렬된다. 인접한 모듈들은 인접한 모듈들의 정렬된 리셉터클들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연결 엘리먼트들, 예컨대 볼트들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뿐만 아니라 연결 엘리먼트들은 굽힘력들을 흡수하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되고 치수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은 모든 각각의 모듈이 벽 또는 천장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필요는 없지만, 일부 모듈들은 이웃한 또는 인접한 모듈들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예로서, 모듈들의 라인 내의 모든 제2 모듈을 벽 또는 천장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충분할 수도 있다. 적절한 경우,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는 기계적 잠금(locking)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들 각각은 다수의 모듈들에 의해 벽 또는 천장의 테셀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풋프린트, 특히 동일한 풋프린트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듈들 각각은 정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에 대응하는 풋프린트를 갖는다. 테셀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풋프린트는, 모듈들의 각각의 정면들이, 결합하여, 조명 시스템의 공통의 중단되지 않은 정면을 형성하도록 모듈들을 배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및 미적 관점에서 유리하다. 언급된 예시적인 풋프린트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 대신에, 예를 들어 타일들을 위한 공지된 다른 그리고 더 복잡한 풋프린트 기하구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듈의 각각의 측면은 또한 마스터 모듈의 경우에는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모듈의 경우에는 전력 인터페이스 수신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그러한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이 제공되는 실시예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포함한다.
"조명 패턴"이라는 표현은 시간의 함수로서 특정 모듈의 조명 엘리먼트들의 제어를 지칭한다. 조명 패턴은 조명 엘리먼트들의 활성화/비활성화(즉, 스위칭 온 및 오프), 밝기, 및 색 온도(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4컬러 LED의 단일 LED들의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송신" 또는 "수신"이라는 표현들은 조명 패턴의 맥락에서, 각각의 제어 정보 및/또는 제어 파라미터를 저장,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조명 패턴들의 예들은, 예를 들어, 블링킹(blinking) 패턴들, 랜덤 패턴들(밝기 및 색 온도 둘 중 하나를 포함함), 상승 및 하강 밝기를 갖는 패턴, 또는 러닝 라이트(running light) 패턴이다.
조명 패턴은 무한 조명 패턴일 수도 있다. 무한 조명 패턴은, 일단 시작되면, 예를 들어 대응하는 정지 명령을 통해, 명시적으로 정지될 때까지 연속적인 또는 무한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대안적으로, 조명 패턴은 단일 실행 조명 패턴일 수도 있다. 단일 실행 조명 패턴은, 각각의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한 번만 실행되고 새로운 각각의 시작 명령 시에만 다시 실행되는 조명 패턴이다.
조명 패턴은 모듈들과 함께 용이하게 제공되는 미리 정의되고 미리 저장된 조명 패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명 패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정의된 조명 패턴일 수도 있고/있거나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생성된 조명 패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은 적어도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저장하고 각각의 시작 명령의 수신 시에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 모듈들의 총 수 및 개개의 조명 패턴들의 복잡성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조명 시스템의 동작에서 최소량의 모듈간 통신만이 요구된다. "자율 실행"이라는 표현은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는 각각의 조명 모듈을 지칭한다. 각 모듈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저장되는 활성 조명 패턴은 일부 또는 전체 모듈들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룸의 조명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대한 시작 명령,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은 초기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마스터 모듈에 의해 시작되며, 이 때 각각의 모듈이 그의 활성 조명 시퀀스를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마스터 모듈은 동일한 시점에서 및/또는 상대적인 시간 지연으로 일부 또는 모든 모듈들에 대한 각각의 시작 명령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 패턴들 그리고 특히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에 관하여, 마스터 모듈은 슬레이브 모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에 대응하여, 마스터 모듈은 각각의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그의 활성 조명 패턴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마스터 모듈에 대한 이러한 시작 명령은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또한 슬레이브 모듈들 또는 그들의 제어 유닛들은 마스터 모듈뿐만 아니라 추가 슬레이브 모듈들에 대한 시작 명령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은 추가로, 정지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지 명령은 특정 모듈 또는 다수의 모듈에 대한 전용 정지 명령, 혹은 모든 모듈들에 대한 글로벌 정지 명령일 수도 있다. 각각의 정지 명령에 응답하여, 모듈은 그의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의 실행을 각각 종료한다. 정지 명령, 특히 글로벌 정지 명령은 특히,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방의 조명을 끝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특정 실시예에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폴드아웃 구성과 폴드인 구성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특히 피봇식으로(pivotable)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폴드아웃 구성에서 마스터 모듈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폴드인 구성에서 마스터 모듈의 정면과 동일 평면이다.
이러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공간 소비 및 디자인/미학 양자 모두에 관하여 바람직하다. 폴드인 구성에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마스터 모듈의 정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사실상 "보이지 않게 될" 수도 있다. 폴드아웃 구성에서, 이러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키들 및/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모든 원하는 입력/출력 엘리먼트들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조명 엘리먼트들이 배열되는 패턴에 의존하여, 마스터 모듈의 하나 이상의 조명 엘리먼트들이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들 조명 엘리먼트들은 폴드인 구성에서 마스터 모듈의 다른 조명 엘리먼트들과 함께 가시적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동 불가능한 방식으로 마스터 모듈에 통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스터 모듈의 정면에 대해 들어가게 배치될 수도 있고, 마스터 모듈의 정면 벽은 그 자체가, 예컨대 사용자 동작가능한 스냅인(snap-in) 또는 클릭인(click-in) 연결부를 통해, 피봇식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배열된다. 정면 벽이 마스터 모듈의 바디로부터 멀리 피봇되거나 제거되면, 그에 따라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액세스 가능한 반면, 이는 숨겨지고 다른 방식으로 광학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은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은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조명 패턴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으로 생성된 조명 패턴들은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활성 조명 패턴 및/또는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의 일부일 수도 있거나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되거나 그와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조명 패턴들이 조명 시스템에 편리한 방식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WLAN 및/또는 LAN 인터페이스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 패턴은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의 공급자로부터 구매되고 원격으로 생성된 조명 패턴으로서 공급자에 의해 조명 시스템에 직접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은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센서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환경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각각의 센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마스터 모듈은 다수의 센서 신호들에 의존하여 다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조명 엘리먼트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룸 온도 센서, 습도 센서와 같은 룸 기후 센서, 및 추가로, 예를 들어 산소 센서 및/또는 탄수화물 센서, 및/또는 광센서(photo sensor) 각각 조명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 신호들에 의존하여 조명 엘리먼트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관련 환경 조건들을 모니터링하고 표시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의 추가적인 사용을 허용한다.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은 특히, 하나 이상의 센서 신호들을 각각의 임계 값들과 연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비교하고 임계 값이 초과되는 경우에 광학 알림 또는 경고를 제공하도록 조명 엘리먼트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마스터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정보, 이를테면 측정 값들, 알림들 및/또는 경고들을 원격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 신호들에 의존한 조명 엘리먼트들의 제어뿐만 아니라 센서 신호들에 의존한 알림들 또는 경고들의 제공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및/또는 원격 디바이스를 통해 유리하게 구성, 파라미터화 및/또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 특히 광 센서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의 스위칭 온 및 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슬레이브 모듈들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들은 다수의 각각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을 저장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마스터 모듈은 각 모듈에 대한 각각의 선택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모듈은 각각의 선택 명령에 응답하여 각각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을 각각 저장하는 모듈들은 모듈들 사이의 최소한의 통신 노력으로써 편리한 방식으로의 조명 패턴들의 유연한 사용 및 변경을 허용한다. 이러한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은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정의된 조명 패턴들이고/이거나 원격 생성된 조명 패턴들일 수도 있다. 전형적인 실시예들에서, 모든 모듈들은 동일한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을 저장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이한 모듈들은 상이한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 시스템은 마스터 모듈로부터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로 조명 패턴들을 송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조명 패턴들은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들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송신된 조명 패턴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정의된 조명 패턴 또는 원격 생성된 조명 패턴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 패턴들은 마스터 모듈로부터 슬레이브 모듈들에 분배될 수도 있다. 조명 시스템은 조명 패턴들을 특정 슬레이브 모듈,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 또는 모든 슬레이브 모듈들에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모듈들이 다수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을 각각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 조명 패턴, 즉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만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에서, 마스터 모듈로부터 슬레이브 모듈들로 조명 패턴들을 송신하는 것은 조명 패턴들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모듈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추가 모듈에 대한 각각의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모듈은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여, 임의의 모듈 또는 모듈들의 그룹일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메타 조명 패턴들의 맥락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 조명 패턴은 다수의 상이한 모듈들에 의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조명 패턴이다. 전형적으로, 활성 조명 패턴들은 단일 실행 조명 패턴들이다. 예로서, 활성 조명 패턴으로서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단일 실행 조명 패턴은, 러닝 라이트가 모듈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좌측 단부로부터 반대 단부,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의 우측 단부로 이동하도록 각각의 모듈의 조명 엘리먼트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러닝 라이트 조명 패턴일 수도 있다.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모듈들을 가정하면, 대응하는 러닝 라이트 메타 조명 패턴은 가장 왼쪽 모듈의 좌측에서부터 가장 오른쪽 모듈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러닝 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러닝 라이트 메타 조명 패턴을 조정되고 동기화된 방식으로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모듈은 그의 러닝 라이트 조명 패턴의 실행 시, 그의 각각의 이웃 모듈에 대한 시작 명령을 오른쪽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가장 왼쪽 모듈에 대한 작 명령을 생성하는 가장 오른쪽 모듈에 의해, 러닝 라이트 메타 조명 패턴은 개개의 모듈들에 의한 단일 실행 조명 패턴들의 실행들로 구성되는 한편, 무한 조명 패턴으로 또는 무한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메타 조명 패턴은 이에 따라 전형적으로 무한 조명 패턴이거나 그럴 수도 있는 반면, 개별 모듈들의 활성 조명 패턴들은 이와 같이 단일 실행 조명 패턴들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모듈에 의한 그 활성 조명 패턴의 실행은 또한 슬레이브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시작 명령을 통해 시작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모듈은 하나의, 복수의, 또는 모든 추가 모듈들에 대한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작 명령은 각각의 모듈의 활성 조명 패턴의 실행에 의존하여, 특히 각각의 모듈에 의한 활성 조명 패턴의 실행의 특정 시점에서,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모듈에 대해 시작 명령이 생성되는 시점 또는 다수의 시점들은 조명 패턴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은 각각의 고유 모듈 식별자를 저장하고 각각의 고유 모듈 식별자를 다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모듈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고유 모듈 식별자들은,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 패턴들을 송신하거나 또는 시작 및/또는 정지 명령들의 송신에서, 선택된 모듈들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의 제어 유닛은, 각각의 다른 모듈에 대한 각 모듈의 위치를 반영한 배열 맵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통해 배열 맵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배열 맵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원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단일 모듈들은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들 각각의 모듈 식별자들을 통해 식별될 수도 있다. 배열 맵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히 메타 조명 패턴들의 실행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은 배열 맵을 슬레이브 모듈들의 각각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슬레이브 모듈들은 각각 배열 맵을 수신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타 조명 패턴이 주어지면, 조명 시스템은 모듈들 각각의 포지션 또는 그들의 포지션 관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듈에 대한 시작 명령들의 타이밍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일부, 또는 모든 모듈들은,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의 중앙 영역에 배열될 수도 있는 스팟 조명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스팟 조명 엘리먼트는 추가 조명 엘리먼트들보다 더 강력할 수도 있다. 스팟 조명 엘리먼트들은 특히, 요구 시 룸에 추가적인 조명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하나의, 일부, 또는 모든 모듈들이 스팟 조명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스팟 조명 엘리먼트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조합하여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팟 조명들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는 것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의 스위치 온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스팟 조명 엘리먼트들을 스위칭 온 및 오프하는 것은 조명 시스템의 동작 상태와는 독립적이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에지 조명 엘리먼트는 모듈의 에지, 특히 각각의 모듈의 정면의 에지를 따라 제공되고 에지를 일루미네이팅 또는 조명할 수도 있다.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은, 장착된 구성에서 최외측 모듈들의 자유 에지들에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다수의 모듈들이 배열되는 특정 패턴에 의존하여,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이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은 스팟 조명 엘리먼트들과 유사하게 그리고 조명 패턴들의 실행과 독립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거나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될 수도 있다. 또한, 에지 조명 엘리먼트들은 시간제어 방식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 예를 들어 광 센서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1은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마스터 모듈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슬레이브 모듈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모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마스터 모듈 및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예시적인 배열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6은 마스터 모듈 및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추가의 예시적인 배열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마스터 모듈 및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추가의 예시적인 배열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드아웃 구성의 마스터 모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슬레이브 모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마스터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배열의 다수의 모듈들(2)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배열은 1 개의 마스터 모듈(2.1) 및 6 개의 슬레이브 모듈들(2.2)을 포함한다. 이 배열은 예시 목적들만을 위해 선택된 것이다. 임의의 맞춤화된 배열 또는 패턴 및 임의의 수의 모듈들(2)이 가능하다. 도시된 모듈들(2)은 각각 장착 인터페이스(3)를 포함하며, 이는 벽 또는 천장에 각각의 모듈(2)을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모듈들(2)은 각각, 이전의 일반적인 설명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제어 유닛(4)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모듈들(2) 각각은, 각각의 모듈(2)의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복수의 조명 엘리먼트들(6)을 더 포함하며, 조명 엘리먼트들(6)은 4컬러 LED들로서 실현된다. 마스터 모듈(2.1)은 전력 공급 유닛(7)을 포함하며, 이는 외부 전력 공급장치, 특히 라인 전압 공급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모듈들(2)은 구조적으로 분리되고 별개이다. 이들은 나란한 배열로 배열되고 장착된 각각 동작하는 구성으로 서로 커플링된다. 모듈들(2)은 서로 상호연결되어, 각각의 모듈(2)을 인접한 모듈(2)과 기계적으로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기계적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2.3)에 의해 도시된 배열을 형성한다. 마스터 모듈(2.1)의 전력 공급 유닛(7)은 4 개의 측면들에서 4 개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갖는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슬레이브 모듈들(2.2)은 각각, 4 개의 측면들에서 4 개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갖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2.2)이 마스터 모듈에, 또는 대안적으로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인접한 경우, 각각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마스터 모듈(2.1)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와의 커플링을 위해 구성된다. 도시된 구성에서, 4 개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중 2 개만이 각각의 경우에서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2.2)의(즉, 마스터 모듈(2.1)의 오른쪽 및 하부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커플링되는 반면, 왼쪽 및 상부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도시된 구성에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유사하게, 마스터 모듈들(2.2)의 자유 측면들에 있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모듈(2.1)(도 2) 및 슬레이브 모듈(2.2(도 3)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마스터 모듈(2.1) 및 슬레이브 모듈들(2.2)은 도 2도 3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다.
도시된 모듈들(2.1, 2.2)은 각각, 벽 또는 천장에 각각의 모듈(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인터페이스(3)를 포함한다. 또한, 마스터 모듈(2.1)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모듈(2.2) 각각은 각각의 제어 유닛(4)을 포함하지만, 마스터 모듈(2.1)의 제어 유닛(4)은 슬레이브 모듈(2.2)의 제어 유닛(4)과 비교하여 상이하게 동작하고 추가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일반적인 설명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모듈들(2.1, 2.2)은 각각의 모듈의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5)를 각각 더 포함한다.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들(5)은 대응하는 커넥터들과의 전용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일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일반적인 설명에서뿐만 아니라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 및 전력 분배와 통합될 수도 있다. 모듈들(2.1, 2.2)은 각각의 모듈의 제어 유닛(4)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그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조명 엘리먼트들(6)을 각각 더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2.1)은, 외부 전력 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입력 공급 커넥터(7.2)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유닛(7)을 더 포함한다. 입력 공급 커넥터(7.2)는 일반적으로, 벽 또는 천장 장착가능 램프들 또는 조명 시스템들에 대해 공지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예컨대 라인 전압 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스크류 단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전력 공급 유닛(7)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모듈(2.2)은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2.1)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모듈(2.2)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2.1)는 다수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2.2.1.1)을 포함하며, 이들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 특히 마스터 모듈(2.1)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7.1.1), 또는 다른 슬레이브 모듈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2.2.1.1)와의 대안적인 커플링을 위해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유닛(7)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모듈들(2.1, 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라인 전압을 변환하거나 컨버팅하도록 구성된 중앙 메인 어댑터(7.1.2)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중앙 메인 어댑터(7.1.2)는 특히 그의 출력측에서 예컨대 12 V 또는 24 V의 더 낮은 전압을 AC 또는 DV 전압 어느 하나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앙 메인 어댑터(7.1.2)의 출력측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중앙 메인 어댑터(7.1.2)는 마스터 모듈(2.1)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모듈들(2.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되고 치수화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 및 이에 따른 마스터 모듈(2.1)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7.1.1)뿐만 아니라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2.1) 및 이에 따른 슬레이브 모듈들(2.2)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2.2.1.1)은 마스터 모듈(2.1)의 중앙 메인 어댑터(7.1.2)의 출력부에 따라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는 외부 전력 공급장치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듈들의 각각은 외부 전력 공급장치 또는 라인 전압 전력 공급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2.1)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모듈들(2.2)은 별개의 로컬 메인 어댑터(8)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컬 메인 어댑터(8)는 중앙 메인 어댑터(7.1.2)의 맥락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듈(2.1, 2.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만 구성되고 치수화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 및 이에 따른 마스터 모듈(2.1)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7.1.1)뿐만 아니라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들(2.2.1) 및 이에 따른 슬레이브 모듈(2.2)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2.2.1.1)은 라인 전압에 대해 설계된다.
마스터 모듈(2.1)은 마스터 모듈(2.1)의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2.1)의 제어 유닛(4)은 또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 및/또는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2.1.2)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마스터 모듈(2.1)의 제어 유닛(4)은 초기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조명 시스템(1)을 온 및 오프로 스위칭하거나 조명 시스템의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스위칭하고, 새로운 조명 패턴들을 프로그래밍 또는 입력하고, 다수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로부터 활성 조명 패턴들을 선택하는 등을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2.1)은 또한, 예를 들어 원격 디바이스, 예컨대 서버로부터 조명 패턴들을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의 선택적인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4)를 포함한다.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2.1.2)와 통신하기 위해, 마스터 모듈(2.1)은 마스터 모듈(2.1)의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무선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3)로서 설계될 수 있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3)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ZigBee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4)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3)와는 별개이거나 이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통합될 수도 있으며, 즉 하나의 동일한 인터페이스가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3) 및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4) 양자 모두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각각의 모듈(2)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5)는 추가 모듈들(2)과의 통신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모듈(2)의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5)는 각각의 추가 모듈(2)과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통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도시된 마스터 모듈(2.1)은 적어도 하나의 환경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각각의 센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다수의 센서들(9)을 더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2.1)은 일반적인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 신호들에 의존하여 다수의 모듈들(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2)의 조명 엘리먼트들(6)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모듈(2)의 제어 유닛(4)은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마이크로제어기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컴포넌트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반도체 기반 회로부, 및/또는 일반적인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전용 회로부이다. 추가의 전자 컴포넌트들 및 모듈들, 예를 들어 센서들(9),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3) 및/또는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4)는 제어 유닛(4)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통합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마스터 모듈(2.1) 또는 슬레이브 모듈(2.2)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는 모듈(2)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모듈(2)의 정면 표면(2.4)은 조명 시스템(1)이 설치되는 방을 향하거나 모듈(2)이 설치되는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멀리 향한다. 도시된 모듈들(2)의 전체 형상은 디스크 형상이며, 모듈들(2)의 두께는 전형적인 범위가 20 mm 내지 100 mm인 반면, 풋프린트는 정사각형이고 예를 들어 500 mm의 에지 길이를 갖는다. 도시된 모듈(2)의 조명 엘리먼트들(6)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들, 바람직하게는 4컬러 LED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2)의 제어 유닛(4)은 일반적으로, 단일 조명 엘리먼트들(6) 및 각각의 조명 엘리먼트(6)의 단일 색상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관형 장착 인터페이스(3)는 또한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도 4에서 가시적이지만, 전형적으로는 모듈(2)의 정면 벽의 제거 후에만 가시적이고 접근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조명 시스템(1)의 상이한 기하학적 배열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으로 9 개의 모듈들(2)의 정사각형 배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배열의 모듈들(2)은 각각, 이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게 하는 동일한 풋프린트, 예를 들어 500 mm X 500 mm 풋프린트를 갖는다. 모듈들(2)의 도시된 정사각형 테셀레이션은, 내부 모듈이 인접한 모듈들(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모듈들을 배열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디자인 및 미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모듈(2)들의 도시된 배열은 중단되지 않는 패턴을 형성하고, 벽 또는 천장을 전체적으로 덮기에 유리하다. 도시된 예시적인 풋프린트는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반적인 설명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그리고 더 복잡한 풋프린트 기하구조들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9 개의 모듈들(2) 중 임의의 하나는 마스터 모듈(2.1)이고, 나머지 모듈들은 슬레이브 모듈들(2.2)이다.
도 6은 예시적으로 총 개수 4 개의 모듈들(2)이 라인을 따라 또는 일렬로 배열되는 배열을 도시한다. 예로서, 가장 왼쪽 모듈은 마스터 모듈(2.1)인 한편, 다른 모듈들은 슬레이브 모듈들(2.2)이다. 그러나, 마스터 모듈(2.1)은 또한 예컨대 외부 전력 공급장치의 위치에 의해, 원하는 및/또는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포지션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에 따른 배열이다.
도 7은 1 개의 마스터 모듈(2.1) 및 인접한 4 개의 슬레이브 모듈들(2.2)의 십자형 배열을 도시한다. 이러한 배열은 모듈들(2)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일렬로 배열될 필요가 없지만, 임의의 원하는 패턴으로 이론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도시된다. 또한 예시적으로, 마스터 모듈(2.1)은 중앙에 도시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포지션에 있을 수도 있다.
도 8은 폴드아웃 구성의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갖는 마스터 모듈(2.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폴드인 구성의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갖는 마스터 모듈(2.1)을 도시하며, 또한 슬레이브 모듈(2.2)에 대응한다. 따라서,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와는 별도로, 마스터 모듈(2.1)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구체적인 구별이 없는 슬레이브 모듈을 또한 참조한다.
모듈은 프레임(2.6)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제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2.6)은 압출형 프로파일(extruded profile)들로 제조되고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2.3)을 포함하여 모듈들(2)을 볼트들을 통해 서로 상호연결한다. 대안적인 설계들에서, 프레임(2.6)은 예를 들어 기계 가공, 예를 들어 밀링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고, 몰딩되고, 펀칭되고, 다이-컷(die-cut)되는 등일 수도 있다. 프레임(2.6)은 예시적으로, 모듈의 4 개의 측면들을 형성하고 모듈의 둘레 벽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4 개의 세그먼트들 갖는다. 도시된 마스터 모듈(2.1)은 마스터 모듈(2.1)의 각 측면에 배열된 다수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대응하는 슬릿들(2.9)이 프레임(2.6)에 제공된다. 슬레이브 모듈들에 대해,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그리고 각각의 모듈의 동일한 위치에서 배열된다. 마스터 모듈(2.1)과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2.2)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확립되어야 하는 경우, 대응하는 중간 커넥터 엘리먼트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과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사이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들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전용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을 갖는 유선 인터페이스들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동일한 슬릿들(2.9)을 통해 또는 개별적으로 액세스가능할 수도 있다.
각 모듈의 프레임(2.6)은 추가로, 조명 엘리먼트들이 배치되는 조명 엘리먼트 캐리어(2.7)(도 10 참조)를 하우징하도록 구성된다. 모듈들(2) 양자 모두는 정면 벽 또는 정면 패널(2.8)에 의해 덮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면 벽(2.8)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도시된 마스터 모듈(2.1)은, 피봇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포함한다.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도시된 폴드아웃 구성에서 마스터 모듈(2.1)의 정면 표면(2.4)으로부터 돌출하고(도 8) 폴드인 구성에서 마스터 모듈(2.1)의 정면 표면(2.4)과 동일 평면이다(도 9). 이 구성에서, 마스터 모듈(2.1)의 가시적인 외관은 일반적으로 슬레이브 모듈과 대응 또는 동일하다.
도 10도 8에 따른 마스터 모듈(2.1)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마스터 모듈(2.1)은 샌드위치 구조로서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2.1)은, 경량 건축 판재(lightweight building board)로 만들어진 베이스 플레이트(2.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5)는 벌집 구조(honeycomb structure)로서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또한 컵보드, 섬유보드 또는 박판(thin) 보드와 그 위에 부착된 발포 재료 또는 직물들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도시된 마스터 모듈(2.1)은, 이 실시예에서 압출형 프로파일로 제조된 프레임(2.6)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제한된다. 대안적으로, 시트 금속, 복합 또는 강화 복합재와 같은 다른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2.6)이 또한 가능하다. 도시된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2.3)은,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2.3)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인접한 모듈들의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2.3)과 정렬되는 연결 엘리먼트들, 특히 볼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면 벽(2.8, 2.8)은 투명한 폴리머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유리, Plexiglas 또는 다른 투명 재료가 가능하다. 마스터 모듈(2.1)은, 장착 인터페이스에 배열되고 모듈(2)의 베이스 플레이트(2.5), 조명 엘리먼트 캐리어(2.7) 및 커버 플레이트(2.8)를 상호연결하고 그리고 또한 모듈(2) 전체를 그것이 장착되는 벽 또는 천장에 상호연결하는 중앙 연결 엘리먼트의 도움으로 조립된다.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제외하고, 슬레이브 모듈(2.2)의 설계 및 분해도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1 조명 시스템
2 모듈
2.1 마스터 모듈
2.1.1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
2.1.2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2.1.3 원격 제어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2.1.4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2.2 슬레이브 모듈
2.2.1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2.2.1.1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2.3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
2.4 정면 표면
2.5 베이스 플레이트
2.6 프레임
2.7 조명 엘리먼트 캐리어
2.8 정면 벽
2.9 슬릿
3 장착 인터페이스
4 제어 유닛
5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6 조명 엘리먼트들
7 전력 공급 유닛
7.1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7.1.1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
7.1.2 중앙 메인 어댑터
7.2 입력 공급 커넥터
8 별개의 로컬 메인 어댑터
9 센서들

Claims (18)

  1. 조명 시스템(1)으로서,
    다수의 모듈들(2)을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모듈들(2)은 마스터 모듈(2.1) 및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2.2)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들(2)은 각각:
    - 각각의 모듈(2)을 벽 또는 천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인터페이스(3),
    - 제어 유닛(4)으로서, 상기 제어 유닛(4)은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모듈의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어 유닛(4),
    - 각각의 모듈(2)의 상기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5),
    - 각각의 모듈(2)의 상기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복수의 조명 엘리먼트들(6)
    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전력 공급 유닛(7)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공급 유닛(7)은 외부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 유닛(7)은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2.2)은 각각 상기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2.1)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2)에 대한 각각의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모듈(2)은 각각의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각각의 모듈(2)의 상기 활성 조명 패턴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상기 마스터 모듈(2.1)의 상기 제어 유닛(4)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마스터 모듈(2.1)의 상기 제어 유닛(4)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2.1.2)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폴드아웃 구성과 폴드인 구성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특히 피봇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상기 폴드아웃 구성에서 상기 마스터 모듈(2.1)의 정면 표면(2.4)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폴드인 구성에서 상기 마스터 모듈(2.1)의 상기 정면 표면(2.4)과 동일 평면인, 조명 시스템(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4)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상기 원격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조명 패턴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다수의 센서들(9)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9)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환경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각각의 센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다수의 센서 신호들에 의존하여 다수의 상기 모듈들(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2)의 상기 조명 엘리먼트들(6)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2)은 각각 다수의 각각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 모듈(2.1)은 각각의 모듈(2)에 대한 각각의 선택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모듈(2)은 각각의 선택 명령에 의존하여 각각의 이용가능한 조명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활성 조명 패턴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1)은 상기 마스터 모듈(2.1)로부터 다수의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2.2)로 조명 패턴들을 송신하기 위해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듈(2)은 각각의 고유 모듈 식별자를 저장하고 각각의 고유 모듈 식별자를 다수의 상기 모듈들(2)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모듈(2)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2.1)의 상기 제어 유닛(4)은 배열 맵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열 맵은 각각의 다른 모듈(2)에 대하여 각각의 모듈(2)의 포지션을 반영하는, 조명 시스템(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2.2)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추가 모듈(2)에 대한 각각의 시작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2)은 각각 다수의 기계적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2.3)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상호연결 인터페이스들(2.3)은 각각, 각각의 모듈(2)을 인접한 모듈(2)과 기계적으로 상호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2)은 각각, 다수의 상기 모듈들(2)에 의해 벽 또는 천장의 테셀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풋프린트, 특히 동일한 풋프린트를 갖는, 조명 시스템(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2)은 각각 정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에 대응하는 풋프린트를 갖는, 조명 시스템(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2)은 각각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플랫한 또는 평면의 정면 표면(2.4)을 갖는, 조명 시스템(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는 다수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7.1.1), 특히 상기 마스터 모듈(2.1)의 상이한 측면들에 배열되는 다수의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7.1.1)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들(7.1.1)은 각각, 상이한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2.2)의 상기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2.1)와의 동시적인 커플링을 위해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수의 슬레이브 모듈들(2.2)의 상기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2.1)는 각각 다수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2.2.1.1), 특히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2.2)의 상이한 측면들에 배열되는 다수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2.2.1.1)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들(2.2.1.1)은 각각, 상기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7.1), 특히 전력 분배 인터페이스 커넥터(7.1.1), 또는 추가 슬레이브 모듈(2.2)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커넥터(2.2.1.1)와의 대안적인 커플링을 위해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시스템(1)에서의 사용을 위한 마스터 모듈(2.1).
  17.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시스템(1)에서의 사용을 위한 슬레이브 모듈(2.2).
  18. 룸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시스템(1) 및/또는 제 16 항에 따른 마스터 모듈(2.1) 및/또는 제 17 항에 따른 슬레이브 모듈(2.2)의 용도.
KR1020237024458A 2020-12-22 2021-12-17 모듈형 조명 시스템 KR20230124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655/20 2020-12-22
CH16552020 2020-12-22
PCT/EP2021/086499 WO2022136167A1 (en) 2020-12-22 2021-12-17 Modular ligh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019A true KR20230124019A (ko) 2023-08-24

Family

ID=792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458A KR20230124019A (ko) 2020-12-22 2021-12-17 모듈형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40057237A1 (ko)
EP (1) EP4268546A1 (ko)
JP (1) JP2024500862A (ko)
KR (1) KR20230124019A (ko)
CN (1) CN116671255A (ko)
AU (1) AU2021404877A1 (ko)
CA (1) CA3203659A1 (ko)
IL (1) IL303142A (ko)
WO (1) WO2022136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4019B (zh) * 2024-02-26 2024-05-07 深圳市智岩科技有限公司 智能灯具及其组阵方法、装置和产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493A (ja) 2010-04-08 2011-11-17 Mitsumi Electric Co Ltd Led照明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9078299B2 (en) 2011-04-14 2015-07-07 Suntracker Technologies Ltd Predictive daylight harvesting system
DK3107354T3 (da) 2015-06-18 2022-12-05 Swisslux Ag Belysningsenhed og styringsfremgangsmåde
US10440794B2 (en) * 2016-11-02 2019-10-08 LIFI Labs, Inc. Ligh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71255A (zh) 2023-08-29
EP4268546A1 (en) 2023-11-01
JP2024500862A (ja) 2024-01-10
IL303142A (en) 2023-07-01
CA3203659A1 (en) 2022-06-30
US20240057237A1 (en) 2024-02-15
AU2021404877A1 (en) 2023-06-29
WO2022136167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749B2 (en) Wall mounted control device with interchangeable buttons
US6979097B2 (en) Modular ambient lighting system
US20150130351A1 (en) Apparatus Intelligent Parallel View LED Light, Methods of Configuration and Controls
EP2742777B1 (en) Auto commissioning and energy saving lighting system
CN101444144A (zh) 集成的照明控制模块和电源开关
CA291986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nd imprinting touch icons of a touch pad
CN102888963B (zh) 可拼装式显示墙板
CA3025927A1 (en) Led driver systems adapted for gang boxes
US10859241B2 (en) Modular luminaire
US20240057237A1 (en) Modular lighting system
KR20080045832A (ko) 도자기 엘이디 램프 시스템
KR101852353B1 (ko) Led 조명장치
KR200252422Y1 (ko) 조립형엘이디소형조명기기블럭
KR200318129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구
WO2023001167A1 (zh) 连接器、叠置连接件、重叠连接器组件、灯条及照明系统
CN207076102U (zh) 带有灯光装置的玩具抓物机
BR102016002265A2 (pt) sistema de controle residencial dotado de dispositivos com interface sensível ao toque
KR20070104098A (ko) 형광램프모듈이 부설된 엘이디 조명장치
US20200182453A1 (en) Integrated lighting and power for cabinetry
CN105101573A (zh) 一种交互式灯具组及其交互方法
KR100294241B1 (ko) 조명제어장치
CN201439931U (zh) 照明设备的旋转底座结构
JP2535215Y2 (ja) リモートi/o汎用操作盤
CN201974962U (zh) 基于Zigbee技术的智能照明监控系统实训装置
JPH01175101A (ja) 照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