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241B1 - 조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241B1
KR100294241B1 KR1019980013926A KR19980013926A KR100294241B1 KR 100294241 B1 KR100294241 B1 KR 100294241B1 KR 1019980013926 A KR1019980013926 A KR 1019980013926A KR 19980013926 A KR19980013926 A KR 19980013926A KR 100294241 B1 KR100294241 B1 KR 10029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ontrol
lighting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572A (ko
Inventor
송명원
Original Assignee
석진철
에스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에스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8001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2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241B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중앙통제방법에 따라서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정보와 전원을 운반하는 통신수단과, 외부장치와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수단과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조작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스위칭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제어수단, 조작수단 및 절환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 절환수단 및 전원공급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구비되어서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조명장치를 운영하고, 이에 따라서 경비가 저감되는 조명제어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명제어장치{Lighting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중앙통제방법에 의하여 조명장치가 효율적으로 제어되는 조명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벽면 등에 설치된 조명장치의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함으로써, 실내에 설치된 형광등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조명장치를 점등하고 이에 따라서 외부와 벽면으로 차단되어서 어두운 건물의 내부를 밝게하여 상기 어두운 건물 내부에서 작업하는 환경을 개선한다.
최근에는, 난방장치 또는 통신장치 등 건물내부에서 필요한 관리장치를 제어하여 빌딩의 운영, 에너지 관리 및 안전관리를 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중앙통제 시스템화하여 건물의 각 층에서 조작자에 의하여 일일이 상기 관리장치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중앙에서 제어함으로써, 운영경비를 절감하고 업무효율을 증대시키며, 이에 따른 쾌적한 사무 환경을 조성하도록 중앙에서 통제되어서 빌딩 자동화 기능을 갖는 인텔리젼트(Intelligent) 빌딩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원이 연결되는 조명장치를 해당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해당되는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해당 조명장치를 점등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소정 개로 구성된 조명장치의 개수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그의 네트웍(Network)이 미리 설정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네트웍으로 구성된 조명장치를 해당 스위치에 의하여 스위칭함으로써, 그의 점등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미리 그의 개수가 설정된 조명장치의 네트웍에 있어서, 스위치 또는 그의 네트웍의 구성을 변화하는 것은, 즉, 사무실의 레이아우트(Lay Out)를 변화하기 위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조명장치를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장치에 설정된 네트웍의 배선을 바꾸어야 하는 설치상의 문제점과 외부의 밝기와는 상관없이 상기 조명장치가 일정한 밝기로 되기 때문에 전력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중앙통제방법에 의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조명장치를 운영하고, 이에 따라서 경비가 저감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작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와 전원을 운반하는 통신수단; 외부장치와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는 제어수단;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수단과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조작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스위칭되는 절환수단; 상기 제어수단, 조작수단 및 절환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 절환수단 및 전원공급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구비되어서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로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장치와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과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따라서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조작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절환수단; 상기 제어수단, 조작수단 및 절환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 절환수단 및 전원공급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구비되어서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로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Data)로 이루어지는 정보와, 전원을 운반하는 통신수단(15)과,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퓨터 시스템인 외부장치(Other Systems)와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원격수리(Remote Maintenance)를 하거나, 다른 네트웍(Network)에서부터의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외부장치(Other Systems)와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어서 제어되는 컴퓨터 시스템인 제어장치(LCM; Lighting Controller Module)(200)와, 상기 LPT-10의 규격으로 되고, LLN(Lighting Level Network)으로 명명되는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제어장치(200)와 정보를 교환하여 이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의하여 스위칭(Switching)되는 조작장치(PSM; Programmable Switch Module)(300)와,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조명장치(18)에 인가되는 전원이 스위칭되는 절환장치(RCM; Relay Control Module)(400)와, 상기 제어장치(200), 조작장치(300) 및 절환장치(400)에 상기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600) 및 상기 제어장치(200), 절환장치(400) 및 전원공급장치(6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구비되어서 외부장치(Other System)에 연결되는연결장치(7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제어장치는, 안전관리 장치인 열감지 장치 및 적외선 장치 등으로 되는 센서(Sensor)인 감지장치(800)가 건물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감지장치(8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200)로 출력하는 검출장치(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검출장치(500)는, 상기 열감지 장치 및 적외선 장치 등의 안전관리 장치인 감지장치(800)가 연결되어서, 상기 감지장치(800)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되는 감지부(50)와, 딥 스위치(Dip S/W)의 절환되는 조작에 의하여 주소정보가 설정되는 주소설정부(51)와, 상기 감지부(5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주소설정부(51)에서 설정된 주소정보가 입력되며, 이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는 형명 MC143120으로 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인 제어부(52) 및 상기 제어부(52)와 신호를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200)와 교환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600)로부터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주소설정부(51), 감지부(50) 및 제어부(52)에 공급하는 내부접속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CPU(형명 NEC 70325)인 중앙제어부(20)와, 상기 중앙제어부(20)의 프로그램(Program) 및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와, 상기 메모리부(21)의 정보가 상기 중앙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입출력되는 장치제어부(22)와, 상기 장치제어부(22)의 정보가 상기 통신수단(15)에 입출력되는 내부접속부(23)와, 상기 중앙제어부(20)의 데이터인 정보가 입출력되도록 RS232C 규격과 RS485 규격으로 구성되는 외부접속부(25) 및 상기 외부접속부(25)를 통하여입출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표시되는 데이터표시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장치(300)는, 조작자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되도록 스위치가 조작되는 스위치부(30)와, 딥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주소정보가 설정되는 주소설정부(31)와, 상기 스위치부(3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주소설정부(31)의 주소정보가 입력되며, 이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는 형명 MC143120인 제어부(32)와, 상기 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표시부(33) 및 상기 제어부(32)와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스위치부(30), 주소설정부(31), 제어부(32) 및 상태표시부(33)에 공급하는 내부접속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절환장치(400)는, 조작자에 의하여 딥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주소정보가 설정되는 주소설정부(40)와, 상기 주소설정부(40)의 주소정보가 입력되고, 이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는 제어부(42)와, 상기 제어부(42)로부터 입력 신호에 의하여 릴레이(Relay)를 통하여 상기 조명장치(18)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44) 및 상기 제어부(42)와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와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부(42)에 공급하는 내부접속부(2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를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조작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절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1의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200)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등으로 되는 네트웍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인 외부장치(Other Systems)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통신포트(Communication Port)로서, RS232C와 RS485의 규격으로 되는 외부접속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접속부(25)를 통하여 연결되는 네트웍 상에서의 상기 다른 컴퓨터 시스템(Other systems)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명제어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장치(200)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형명 NEC 70325로 되는 CPU인 중앙제어부(20)는 메모리부(21)의 롬(ROM)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Program)에 의하여 초기화된다. 상기 제어장치(200)의 중앙제어부(2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21)의 램(RAM)에서 저장된다. 형명 MC143120으로 되는 장치제어부(22)는,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정보가 교환되는 조작장치(300), 절환장치(400), 검출장치(500) 및 전원공급장치(600) 들의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0)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른 상기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1)와 교환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정보를 보유하는 중앙제어부(20)는, 데이터인 정보가 입출력되도록 구비되는 통신포트로서, RS232C 규격과 RS485 규격으로 구성되는 외부접속부(25)를 통하여 외부의 다른 컴퓨터 시스템(Other Systems)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되는 정보의 송수신상태는 상태표시부(24)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LED Diode)의 발광에 의하여 표시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건물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 조명장치(18)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온 또는 오프 스위칭에 따라서, 스위칭된 신호가 조작장치(300)에서 출력된다. 상기 조작장치(300)에서 출력된 신호는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200)로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절환장치(4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절환장치(400)의 릴레이가 스위칭되고, 상기 절환장치(400)는 조명장치(18)로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조명장치(18)를 점등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로 인가되는 전원공급장치(600)의 출력은, 상기 외부접속부(25)와 상기 외부접속부(25)를 제외한 제어장치(200)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외부에서부터 인가되는 전원충격 등의 불안한 전원이 상기 외부접속부(25)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불안한 전원에 의하여 상기 제어장치(200)가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통신수단(15)은, ECHELON 사(社) LONWORKS 규격의 LPT-10 계열 규격으로 되는 것으로서, 직류 42볼트(Volt)를 통신전압으로 사용하고, 상기 통신전압에 신호를 혼용하는 방식이며, 상기 LPT-10 규격으로 되는 접속방식에 의하여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고, Twisted Pair 선을 통신매체로 하여 상기 전압과 신호를 운반하는 통신규격이다.
상기 통신수단(15)은 연결된 장치에 상기 통신전압을 소스(Source)로 하는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어장치(200), 검출장치(600), 절환장치(400) 및 조작장치(300)가 상기 통신수단(15)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장치들은 별도의 외부전원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통신수단(15)을 통한 상기 각각의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은 조작장치(300)로 제한하며, 상기 제어장치(200), 검출장치(600), 절환장치(400) 등은 상기 전원공급장치(500)에 의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통신수단(15)은 전원과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의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통신수단(15)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신호선에 의하여 상기 본 발명의 제어장치(200), 검출장치(600), 절환장치(400) 및 조작장치(300)가 구성되어도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조작장치(300)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설정부(31)가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상기 조작되어서 설정된 주소정보가 제어부(32)로 입력되고, 조작자에 의하여 조명장치(18)가 점등되도록 스위치되는 스위치부(30)에 의하여 형명 MC143120인 제어부(32)에 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조작자의 제어에 따른 점등상태가 조작장치(300)의 상태표시부(33)에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에 의하여 표시된다.
상기 조작장치(300)의 제어부(32)에 저장된 점등 및 주소 등에 관련된 정보는 내부접속부(23)를 통하여 통신수단(15)으로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어장치(200)로 입력된다.
건물의 서로 다른 각각의 장소에서, 상기 주소설정부(31)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소를 갖고 설치되어서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다수개의 상기 조작장치(300)는, 상기 절환장치(400)에서의 릴레이 스위칭에 따라서, 상기 중앙통제방식에 의하여 선택된 조명장치(18)를 제어하도록 제어장치(200)에 의하여 선택되어서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조명장치(18)가 설치된 장소에서 조작자에 의하여 직접 제어된 각각의 조명장치(18)가 점등될 수 있도록 조작된다.
상기 검출장치(500)는, 건물에 설치되어서 화재 및 안전장치로서 동작되는 열감지 장치 및 적외선 장치 등으로 되는 안전장치를 관리하는 안전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센서인 감지장치(8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부(50)에 의하여 감지한다.
상기 검출장치(500)를 구성하는 주소설정부(51)에서의 딥 스위치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된 주소정보는, 다수개의 감지장치(700)가 구비되어서 서로 다른 주소로 설정되는 다수개의 감지장치(800)가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감지장치(800)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각각의 주소로서 사용된다.
상기 서로 다르게 설정된 주소정보는 형명 MC143120으로 되는 제어부(52)에 인가되고, 상기 감지장치(800)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부(50)를 통하여 제어부(52)로 인가되며, 상기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형명 MC143120으로 되는 제어부(52)는, 그에 따른 정보를 내부접속부(23)를 통하여 통신수단(15)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어장치(200)로 입력된다.
상기 감지장치(800)의 감지부(5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600)로부터 상기 감지장치(800)와 접속에 필요한 직류 24볼트를 공급받는다.
상기 중앙제어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절환장치(400)는, 조작자에 의하여 절환장치(400)의 주소설정부(40)의 딥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서로 다르게 주소정보가 설정된 다수개의 절환장치(400)가 각각 제어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절환장치(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릴레이부(44)의 릴레이가 스위칭되며, 이에 따라서 출력에 연결된 조명장치(18)에 전원이 공급된다.
즉, 상기 주소정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다수개의 절환장치(400)는, 출력에 연결되는 조명장치(18)의 수량과 네트웍에 따라서 그 개수가 증감되어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설치된 절환장치(400)의 개수만큼 서로 다르게 주소가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200)에 의하여 각각의 주소에 의하여 구분되어서 제어되며, 이에 따라서 선택된 절환장치(400)가 제어된다.
상기 절환장치(400)는 통신수단(15) 및 내부접속부(23)를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장치(200)의 신호를 형명 MC143120인 제어부(42)로 인가 받고, 상기 제어부(42)의 제어에 의한 상기 릴레이부(44)의 릴레이 스위칭에 의하여 다수 개로 구성되는 각각의 조명장치(18)에 전원이 인가된다.
즉, 상기 조작장치(300)에서의 조작자의 스위치부(30) 직접 조작에 의하여 상기 다수개의 조명장치(18)가 점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200)에서의 출력 즉, 중앙통제방식에 의하여 상기 중앙통제시스템을 제어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상기 조명장치(18)가 점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명장치(18)를 직접 조작하는 조작자와, 상기 제어장치(200)를 조작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상기 다수개의 조명장치(18)가 각각 제어되어서 점등된다.
전원공급장치(600)는, 교류전압인 상용전원을 공급받아서 제어장치(200) 등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TTL 레벨의 직류전압 5볼트와 절환장치(400)의 릴레이와 검출장치(500)에서 사용하는 직류전압 24볼트 및 통신수단(15)에서 사용하는 직류 전압 42볼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직류 전압 53볼트로 되는 전원을 발생한다.
상기 제어장치(200), 검출장치(500), 절환장치(400) 및 전원공급장치(600)는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케이스(Case) 내부에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인 연결장치(700)는 상기 제어장치(200)가 RS232C의 규격과 RS485의 규격으로 되는 제어장치(200)의 외부접속부(25)가 외부장치(Other Systems)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연결장치(700)인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감지장치(800)로부터의 정보를 검출장치(500)로 인가시키고, 제어장치(200)에서 조작장치(300)로 정보를 인가하는 통신수단(15)이 접속되도록 그리고, 조명장치(18)가 접속되도록 각각의 접속단자가 설치된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장치(200), 절환장치(400), 검출장치(500) 및 전원공급장치(600)를 케이스 내에 구성하였지만, 설치 상에서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검출장치(500) 및 절환장치(400)를 상기 케이스인 연결장치(700)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Other Systems)는 중앙제어방식으로 되는 인텔리젼트 빌딩의 중앙통제시스템이 포함되는데, 상기 중앙통제시스템에서 건물에 구비되어서 점등이 요구되는 상기 조명장치(18)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18)의 점등을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수량만큼의 조명장치(18)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건물의 내부 사무환경을 재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건물의 사무환경에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18)의 레이아우트를 변경하면, 상기 중앙통제시스템에서 상기 레이아우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인가함으로써, 조명장치(18)의 점등이 용이하게 재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중앙통제방법에 의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거나 네트웍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의 점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조명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이에 따라서 경비가 저감되어 상기 조명장치의 관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정보와 전원을 운반하는 통신수단;
    외부장치와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는 제어수단;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수단과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환되는 정보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가 가변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조작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스위칭되는 절환수단;
    상기 제어수단, 조작수단 및 절환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 절환수단 및 전원공급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구비되어서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장치는, 감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인가하는 검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주소정보가 설정되는 주소설정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주소설정부의 주소정보가 입력되며, 이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정보를 상기 제어수단과 교환하며, 전원을 상기 주소설정부, 감지부 및 제어부에 공급하는 내부접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제어부의 프로그램 및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의 정보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출력되는 장치제어부;
    상기 장치제어부의 정보가 상기 통신수단에 입출력되는 내부접속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정보가 외부장치와 입출력되는 외부접속부; 및
    상기 외부접속부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스위치가 조작되는 스위치부;
    주소정보가 설정되는 주소설정부;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주소설정부의 주소정보가 입력되며, 이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정보를 교환하고, 전원을 상기 스위치부, 주소설정부, 제어부 및 상태표시부에 공급하는 내부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주소정보가 설정되는 주소설정부;
    상기 주소설정부의 주소정보가 입력되고, 이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는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의하여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제어수단과 정보를 교환하며, 전원을 상기 주소설정부, 릴레이부 및 제어부에 공급하는 내부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부는,
    RS232C의 규격과 RS485의 규격으로 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LPT-10의 규격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열감지 장치 및 적외선 장치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설정부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설정부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설정부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외부접속부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외부접속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상에서의 충격이 제어수단에 인가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KR1019980013926A 1998-04-18 1998-04-18 조명제어장치 KR10029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926A KR100294241B1 (ko) 1998-04-18 1998-04-18 조명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926A KR100294241B1 (ko) 1998-04-18 1998-04-18 조명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572A KR19990080572A (ko) 1999-11-15
KR100294241B1 true KR100294241B1 (ko) 2001-07-12

Family

ID=3752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926A KR100294241B1 (ko) 1998-04-18 1998-04-18 조명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49B1 (ko) * 2007-12-18 2010-06-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572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0534B2 (en) Computer assisted lighting control system
KR20110081270A (ko) 분산 조명 제어 시스템
GB2375241A (en) Control System
SG185810A1 (en) Led lighting devices
KR101602212B1 (ko)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JP3965952B2 (ja) 照明制御装置
EP0364466A1 (en) Electrical control apparatus
US5381078A (en) Control and communication processor potentiometer system for controlling fluorescent lamps
KR100294241B1 (ko) 조명제어장치
GB2336045A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2014216251A (ja) 照明制御装置
JP2000133467A (ja) 照明装置
KR20110048816A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CN116671255A (zh) 模块化照明系统
KR100192706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581650B1 (ko) 달리 어드레스 매핑형 전원 중첩 통신 방식의 제어시스템
KR101929523B1 (ko) 적외선 통신에 의한 조명 제어장치
JPH0752676B2 (ja) 遠隔監視制御装置
KR20010000346A (ko) 스위치용 원격제어장치
KR0145755B1 (ko) 교류 전원 라인을 통신 매체로 하는 전등 개별 제어회로
JP201120441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026057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176548Y1 (ko) 조명 제어장치
JP3184557B2 (ja) 照明制御装置
KR200301532Y1 (ko) 독서실 조명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