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819A - 기둥 철근형틀 지그 - Google Patents

기둥 철근형틀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819A
KR20230123819A KR1020220021086A KR20220021086A KR20230123819A KR 20230123819 A KR20230123819 A KR 20230123819A KR 1020220021086 A KR1020220021086 A KR 1020220021086A KR 20220021086 A KR20220021086 A KR 20220021086A KR 20230123819 A KR20230123819 A KR 20230123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윤
황태용
Original Assignee
박정윤
황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윤, 황태용 filed Critical 박정윤
Priority to KR102022002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819A/ko
Publication of KR2023012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04C5/0618Closed cages with spiral- or coil-shaped stirrup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의 내부에 구성되는 철근들을 결합하기 위한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철근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기둥을 더욱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으며, 무거운 철근들을 잡거나 들고 작업할 필요없이 철근들을 결합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작업의 능률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들이 설계된 개수에 부합하도록 상·하·좌·우측지그판재에 철근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철근의 갯수를 파악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철근과 보조철근을 결합할 수 있고, 철근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기둥의 보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둥 철근형틀 지그{A pillar rebar-rack jig}
본 발명은 기둥의 내부에 구성되는 철근들을 결합하기 위한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철근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기둥을 더욱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으며, 무거운 철근들을 잡거나 들고 작업할 필요없이 철근들을 결합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작업의 능률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해 수개의 철근들이 매립설치되어 있다.
상기 철근들의 보강력을 높이기 위해 기존 설계된 위치에 철근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킨 철근과 보조철근들을 연결되어 있어야 하나 10~11m 긴 철근의 무게로 인해 고정하기 상당히 힘들고, 작업자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조철근과 수직으로 기립된 철근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함으로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며, 작업 중 철근의 무게에 의해 몸에 무리가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설계된 철근의 개수를 확인하여야 하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보조철근과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철근의 개수와 위치를 매번 확인하면서 작업을 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철근의 개수가 다를 경우 철근과 보조철근을 분리 후 재차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 공정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6581호와 같이 일정크기 판 형상으로 폭방향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고정판 4개를 각 끼움홈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각 단부가 겹쳐지도록 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끼움홈에는 튜브형상의 슬리브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고정판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하도록 접합되어 구성된 고정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지그는 수직으로 기립된 철근이 끼움홈 또는 슬리브에 끼워지기 때문에 철근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고, 일정한 위치에 수직으로 기립된 철근을 배치시킬 수 있으나, 철근에 보조철근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지그를 이동시켜가면서 작업을 해야 함으로 작업의 불편함이 있고, 고정지그가 철근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하부로 움직임이 발생되어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296581 B1 2021.09.01.
이에 본 발명자는 철근과 보조철근을 결합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철근에 보조철근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설계된 철근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철근을 들거나 잡은 상태로 작업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보조철근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일정한 간격 또는 설계된 철근의 개수에 부합하도록 철근이 끼워질 수 있게 상부에 '∪'형상으로 철근끼움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상·하·좌·우측지그판재와; 이웃하는 상·하·좌·우측지그판재의 연결공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사각 형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그판재는 철근끼움홈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철근을 위에서 아래로 결합하고, 상기 좌·우측지그판재는 철근끼움홈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양측으로 철근이 끼워지고, 하측지그판재의 양측에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위쪽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철근들의 양측과 하부에 보조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며, 상기 상측지그판재는 철근끼움홈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철근이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게 좌·우측지그판의 상단에 고정수단으로 결합하고, 철근들의 양측과 상부에 보조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여 기둥철근이 제작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고정하여 철근에 보조철근이 결합될 수 있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하부 양측에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철근고정지그가 결합될 수 있도록 'ㄷ'형상의 지그결합프레임이 구성된 지그받침대와; 상기 지그결합프레임은 하부에 하측지그판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부지그받침돌기가 형성되고,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좌·우측지그판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직지그받침편이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좌·우측지그판재가 하부로 이탈없이 안내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그안내홈이 형성된 지그안내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은 연결공에 삽입되어 서로 겹쳐진 상·하·좌·우측지그판재가 결합되며, 일측에 연결공에서 이탈되지 않게 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쇄기삽입공이 형성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연결공은 이웃하는 상·하·좌·우측지그판재와 상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두 개 이상 형성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상측지그판재는 기둥철근이 완성된 후 철근과 철근사이에서 상측지그판재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철근끼움홈과 철근끼움홈 사이 간격보다 낮은 높이로 제작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지그받침대의 받침부와 하측지그판재에 의해 지면에서 철근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형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지그결합프레임의 좌·우·하면에는 철근고정지그와 지그결합프레임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가 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둥 철근형틀 지그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 철근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 설계된 철근의 개수가 들어갔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상 오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 무거운 철근과 보조철근을 잡고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3은 상측지그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지그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지그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지그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
도 7은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지그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a와 도 8b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서 철근과 보조철근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둥의 내부에 들어가는 철근(R1)에 보조철근(R2)을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철근(R1)들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와 이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를 고정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지그받침대(300)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는 사각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4개의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는 상부에 일정한 간격 또는 설계된 철근(R)의 개수에 부합하도록 철근(R)이 끼워질 수 있게 '∪'형상으로 철근끼움홈(25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이웃하는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400)이 삽입될 수 있게 연결공(260)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지그판재(220)는 철근끼움홈(250)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철근(R1)을 위에서 아래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우측지그판재(230)(240)는 철근끼움홈(250)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양측으로 철근(R1)이 끼워지고, 하측지그판재(220)의 양측에 고정수단(400)으로 결합하여 위쪽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철근(R1)들의 양측과 하부에 보조철근(R2)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측지그판재(210)는 철근끼움홈(250)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철근(R1)이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게 좌·우측지그판(230)(240)의 상단에 고정수단(400)으로 결합하고, 철근(R1)들의 양측과 상부에 보조철근(R2)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여 기둥철근(R)이 제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공(260)은 한 개 형성될 경우에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가 지그받침대(300)에 결합되어 있더라도 철근(R1)을 철근끼움홈(250)에 끼우는 과정에서 철근(R1)의 무게에 의해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고, 철근(R1)들의 위치가 틀어진 상태에서 보조철근(R2)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이웃하는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와 상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두 개 이상 형성된다.
도 3은 상측지그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상측지그판재(210)는 기둥철근(R)이 완성된 후 철근(R1)과 철근(R1)사이에서 상측지그판재(210)가 원활하게 신속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철근끼움홈(250)과 철근끼움홈(250) 사이 간격(H1)보다 낮은 높이(H2)로 제작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연결공(260)에 삽입되어 서로 겹쳐진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가 결합되며, 일측에 연결공(260)에서 이탈되지 않게 쇄기(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쇄기삽입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쇄기(4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지그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지그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지그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기둥 철근형틀 지그를 지그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그받침대(300)는 하부 양측에 지면에 안정적으로 기립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부(320)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ㄷ'형상의 지그결합프레임(310)이 구성된다.
상기 지그받침대(300)의 받침부(320)와 하측지그판재(220)에 의해 지면에서 철근(R1)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WS)을 형성하여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작업의 신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그결합프레임(310)은 하부에 하측지그판재(220)를 받쳐줄 수 있도록 두개 이상의 하부지그받침돌기(311)가 형성되고, 양측 하부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좌·우측지그판재(230)(24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직지그받침편(312)이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좌·우측지그판재(230)(240)가 하부로 이탈없이 안내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지그안내홈(314)이 형성된 지그안내고정부재(31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결합프레임(310)의 좌·우·하면에는 결합된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가 지그결합프레임(310)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고, 완성된 기둥철근(R)을 원활하게 지그받침대(30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와 지그결합프레임(310) 사이가 이격(s)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330)가 수개 형성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상기 기둥 철근형틀 지그는 철근에 보조철근을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방법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8a와 도 8b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에서 철근과 보조철근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지그받침대(300)는 철근(R1)의 길이에 부합하도록 수개 지면에 설치되고, 하·좌·우측지그판재(220)(230)(240)를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ㄷ'형상 즉 상부가 개방되도록 결합한 뒤, 지그안내고정부재(313)의 지그안내홈(314)으로 삽입하여 하측지그판재(220)는 하부지그받침돌기(311)에 또한 좌·우측지그판재(230)(240)는 수직지그받침편(312)에 거치되도록 하고, 좌·우측지그판재(230)(240)의 상부는 지그안내홈(314)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하·좌·우측지그판재(230)(240)의 철근끼움홈(250)에 철근(R1)을 안착시킨 뒤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철근(R1)들의 양측과 하부에 보조철근(R2)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고, 좌·우측지그판재(230)(240)의 상부에 상측지그판재(210)를 고정수단(400)으로 결합하고, 이때 상측지그판재(210)는 철근끼움홈(250)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결합하여 철근(R1)을 받쳐주도록 하고, 철근(R1)과 보조철근(R2)을 결합하면, 철근(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사각형태로 기둥철근(R)이 제작되고, 이 기둥철근(R1)과 지그 철근형틀 지그(200)를 지그받침대(300)에서 이탈시켜 기둥이 만들어지는 위치에 이동시키고, 기둥철근(R)에 결합 구성된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는 고정수단(400)을 분리한 뒤, 하측지그판재(220)는 아래쪽으로, 좌우측지그판재(230)(240)는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측지그판재(210)는 기립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눕혀 철근(R1)과 철근(R1) 사이로 인출시켜 분리하면 손쉽게 분리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철근(R1)들이 설계된 개수에 부합하도록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에 철근끼움홈(2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철근(R1)의 개수를 파악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철근(R1)과 보조철근(R2)을 결합할 수 있고, 철근(R1)의 간격이 일정함으로 기둥의 보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거운 철근(R1)을 잡을 필요없이 보조철근(R2)이 철근(R1)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신속함과 편리함을 제공하고, 설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200: 기둥 철근형틀 지그
210,220,230,240: 상·하·좌·우측지그판재
250: 철근끼움홈 260: 연결공
300: 지그받침대
310: 지그결합프레임
311: 하부지그받침돌기 312: 수직지그받침편
313: 지그안내고정부재 314: 지그안내홈
320: 받침부
400: 고정수단 410: 쇄기삽입공
420: 쇄기
R: 기둥철근
R1: 철근 R2: 보조철근

Claims (7)

  1. 일정한 간격 또는 설계된 철근(R1)의 개수에 부합하도록 철근(R1)이 끼워질 수 있게 상부에 '∪'형상으로 철근끼움홈(250)이 형성되며, 양측에 연결공(260)이 형성된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와;
    이웃하는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의 연결공(260)에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사각 형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그판재(220)는 철근끼움홈(250)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철근(R)을 위에서 아래로 결합하고,
    상기 좌·우측지그판재(230)(240)는 철근끼움홈(250)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양측으로 철근(R1)이 끼워지고, 하측지그판재(220)의 양측에 고정수단(400)으로 결합하여 위쪽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철근(R1)들의 양측과 하부에 보조철근(R2)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며,
    상기 상측지그판재(210)는 철근끼움홈(250)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철근(R1)이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게 좌·우측지그판(230)(240)의 상단에 고정수단(400)으로 결합하고, 철근(R1)들의 양측과 상부에 보조철근(R2)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여 기둥철근(R)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둥 철근형틀 지그(200)를 고정하여 철근(R1)에 보조철근(R2)이 결합될 수 있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하부 양측에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부(320)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철근고정지그(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ㄷ'형상의 지그결합프레임(310)이 구성된 지그받침대(300)와;
    상기 지그결합프레임(310)은 하부에 하측지그판재(220)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부지그받침돌기(311)가 형성되고,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좌·우측지그판재(230)(240)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직지그받침편(312)이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좌·우측지그판재(230)(240)가 하부로 이탈없이 안내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그안내홈(314)이 형성된 지그안내고정부재(3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연결공(260)에 삽입되어 서로 겹쳐진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가 결합되며, 일측에 연결공(260)에서 이탈되지 않게 쇄기(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쇄기삽입공(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260)은 이웃하는 상·하·좌·우측지그판재(210)(220)(230)(240)와 상호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지그판재(210)는 기둥철근(R)이 완성된 후 철근(R1)과 철근(R1)사이에서 상측지그판재(210)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철근끼움홈(250)과 철근끼움홈(250) 사이 간격(H1)보다 낮은 높이(H2)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받침대(300)의 받침부(320)와 하측지그판재(220)에 의해 지면에서 철근(R1)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WS)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결합프레임(310)의 좌·우·하면에는 철근고정지그(200)와 지그결합프레임(310) 사이가 이격(s)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330)가 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철근형틀 지그.


KR1020220021086A 2022-02-17 2022-02-17 기둥 철근형틀 지그 KR20230123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86A KR20230123819A (ko) 2022-02-17 2022-02-17 기둥 철근형틀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86A KR20230123819A (ko) 2022-02-17 2022-02-17 기둥 철근형틀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819A true KR20230123819A (ko) 2023-08-24

Family

ID=8784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86A KR20230123819A (ko) 2022-02-17 2022-02-17 기둥 철근형틀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8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581B1 (ko) 2019-09-18 2021-09-01 고려열연(주)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581B1 (ko) 2019-09-18 2021-09-01 고려열연(주)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568251U (zh)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CS216219B2 (en) Casing plate for wainscoating the ditches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2299680B1 (ko) 갭 마감용 거푸집
KR20230123819A (ko) 기둥 철근형틀 지그
KR20130003530A (ko) 가설 난간지주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1152588B1 (ko) 에스알씨 기둥용 상단판넬
EP3176349B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KR100761569B1 (ko) 트러스 빔 고정장치
EP3173547B1 (en) Formwork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providing floor slabs
KR100786144B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JP5174851B2 (ja) 仮設足場の構造
CN210818054U (zh) 一种预制梁护栏钢筋定位用可调节的胎架
KR101990733B1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GB2037928A (en) Cross-member for Scaffolding
JP3157252U (ja) 仮設足場の構造
JP4130393B2 (ja) 杭と柱の接続構造
CN217192318U (zh) 一种钢筋绑扎胎架
CN209837715U (zh) 钢筋对接弯折装置
CN215483535U (zh) 集成装配式钢结构建筑
CN115928791B (zh) 一种支护挡墙拼接处钢筋对拉安装防护装置
KR102591224B1 (ko)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KR102440094B1 (ko) 건축물 기초 구조 시공 시스템
CN212917439U (zh) 一种绑扎预制箱梁顶板钢筋骨架的台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