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93A -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93A
KR20230123793A KR1020220021017A KR20220021017A KR20230123793A KR 20230123793 A KR20230123793 A KR 20230123793A KR 1020220021017 A KR1020220021017 A KR 1020220021017A KR 20220021017 A KR20220021017 A KR 20220021017A KR 20230123793 A KR20230123793 A KR 2023012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upper outer
opening
water meter
c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628B1 (ko
Inventor
김국일
김진훈
홍성택
안상병
이병선
유순열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2002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2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는, 급수관과 배수관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내갑체; 상기 하부 내갑체 벽체 안에 배치되고 임팰러에 연결되어 급수관과 배수관 사이의 유량을 계수하는 계수 장치;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외갑체; 및 상기 상부 외갑체에 밀폐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갑체는 그 하단에서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에서 상기 계수 장치를 감싸며, 상기 상부 외갑체는 측면 일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경부의 내주면이 상기 하부 내갑체 또는 상기 계수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환형의 확장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WATER METER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OF FREEZE}
본 발명은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도미터의 상부 외갑을 외측으로 확장하고 확장된 부피 부분에 팽창압 흡수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수돗물의 동결에 따른 팽창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수도미터의 동파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도미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한파로 인해 수도미터 내부의 수돗물이 얼면 수도미터가 물의 동결 팽창압을 견디지 못해 파손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도로나 벽체로 수돗물이 누수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동파로 인한 수도미터의 파손부위를 분석해보면, 습식 수도미터의 경우에는 주로 상부 유리나 계기판 등이 주로 파손되고, 건식 수도미터의 경우에는 계기판이 주로 파손된다.
수도미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크게 보호통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방법, 단열을 위해 천이나 옷가지 등으로 수도미터 외부를 보호하는 방법, 그리고 수도계량기에 동파방지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3가지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 중, 발열장치를 부설하여 열을 공급하는 기술을 적용한 고안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75794호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미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의 발열장치가 부설된 동파방지 수도미터는 외부 전원을 이용해야 하는데, 외부 환경에서 수도미터까지 전원을 끌어오는 것에 많은 제약이 있어서 주로 실내와 같은 장소에서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정전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작동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고, 전력 사용료가 발생하여 널리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 밖에, 수도미터 내부에 내부 팽창 압력 흡수판을 설치한 동파방지용 수도미터의 경우 동파 방지 효과는 우수하나(등록특허 10-1432240호), 흡수판을 종방향으로 추가 설치함에 따라 수도미터가 위아래 방향으로 길어져 부품 규격 변형이 불가피하고 가격이 높아 상용화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돗물 동결 시 발생되는 팽창압을 흡수하여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도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조 비용이 낮아 상용화가 용이하고, 사계절 모두 사용 가능한 수도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는, 급수관과 배수관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내갑체; 상기 하부 내갑체 벽체 안에 배치되고 임팰러에 연결되어 급수관과 배수관 사이의 유량을 계수하는 계수 장치;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외갑체; 및 상기 상부 외갑체에 밀폐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갑체는 그 하단에서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에서 상기 계수 장치를 감싸며, 상기 상부 외갑체는 측면 일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경부의 내주면이 상기 하부 내갑체 또는 상기 계수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환형의 확장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원형 튜브 형상의 에어백이 상기 확장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내갑체가 상기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하부 내갑체의 벽체가 상기 개구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외갑체의 확경부 내주면과 마주보며, 상기 벽체 외주면에는 주름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경부는 상기 상부 외갑체의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계수 장치의 상부 계기판에 이르기까지 상기 벽체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 장치의 상부 계기판과 상기 상부 외갑체의 상면 사이에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미터의 상부 외갑을 확대하고 그 내부에 동결 팽창압 흡수 구조(에어백, 벨로즈튜브, 판스프링 등)를 설치함으로써, 수돗물 동결 시 발생되는 팽창압을 흡수하여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도미터와 비교하여 저가로 양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용화가 용이하고, 겨울철 뿐 아니라 사계절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미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미터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에 있어서 확경부를 갖는 상부 외갑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b는 상부 외갑체에 확경부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와 도 3b의 상부 외갑체의 사시도 및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에어백의 개념도이다.
도 4c는 도 4a에서 상부 외갑체가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주름 부재의 개념도이다.
도 5c는 도 5a에서 상부 외갑체가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판 스프링의 개념도이다.
도 6c는 도 6a에서 상부 외갑체가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에 있어서 확경부를 갖는 상부 외갑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 도 3b는 상부 외갑체에 확경부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의 단면도, 도 3c는 도 3a와 도 3b의 상부 외갑체의 사시도 및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도미터(100)는 급수관(111)과 배수관(112)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113)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110), 개구부(113) 내측에 배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벽체(121)를 포함하는 하부 내갑체(120), 하부 내갑체(120) 벽체(121) 안에 배치되고 임팰러(140)에 연결되어 급수관(111)과 배수관(112) 사이의 유량을 계수하는 계수 장치(130), 개구부(113)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외갑체(150), 및 상부 외갑체(150)에 밀폐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17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10)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급수관(111)과 배수관(112)을 구비한다. 수도관에 흐르는 물은 급수관(111)을 통해 본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며, 배수관(112)을 통해 빠져나간다. 본체 케이스(110) 내에는 급수관(111)을 통해 들어온 물에 의해 회전하는 임팰러(140)가 배치되는데, 임팰러(140)는 다수의 익차를 구비하며, 급수관(111)을 통해 들어온 물이 임팰러(140)의 익차를 밀어내어 임팰러(140)를 회전시킨다.
계수 장치(130)는 본체 케이스(110)를 급수관(111)과 배수관(112)을 지나는 물의 유량을 검지 및 표시하는 수단이다. 전술한 임팰러(140)는 계수 장치(130)에 연결되며 임팰러(140)의 회전량으로 물의 유량을 계수한다. 계수 장치(130)는 상부 계기판(131)에 유량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데, 표시 수단은 전자식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고, 또는 임팰러(140)의 익차와 기어 연결되어 익차의 회전량에 따라 문자가 회전하는 문자차를 채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 수단에 표시된 문자를 읽어 수도미터(100)를 지난 물의 유량을 확인한다.
하부 외갑체는 벽체(121) 내측으로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계수 장치(130)를 수용한다. 하부 외갑체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통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갑체(150)는 그 하단에서 본체 케이스(110)의 개구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에서 계수 장치(130)를 감싸며, 계수 장치(130)의 표시 수단을 고정 및 보호한다. 그리고, 커버(170)는 상부 외갑체(150)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커버(170)를 닫았을 때 커버(170)가 상부 외갑체(150)의 둘레에 밀봉된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어, 본체 케이스(110)를 밀봉한다.
본체 케이스(110), 하부 내갑체(120), 계수 장치(130), 상부 외갑체(150) 및 커버(170)는 수도미터(100)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로서, 도 2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외갑체(150)는 측면 일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확경부(160)를 포함한다. 확경부(160)의 내주면이 하부 내갑체(120) 또는 계수 장치(130)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환형의 확장 공간을 형성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구조의 차이가 명확하다. 도 3b와 도 3c의 좌측에 도시된 일반적인 상부 외갑체(150)는 그 내주면과 하부 내갑체(120) 또는 그 내주면과 계수 장치(130) 사이에 틈새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3a와 도 3c의 우측에 도시된 상부 외갑체(150)에는 하부 내갑체(120)의 외주면 또는 계수 장치(130)의 외주면을 따라 도넛 형상의 중공의 공간이 상부 외갑체(150)의 내주면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동파 시 늘어나는 체적을 흡수하기 위해 상부 외갑체(150)의 폭을 확대시켜 확장 공간을 설치, 동결시 팽창 공간을 확보한다.
도 3c에는 확장 공간이 개구부(113) 상측으로 돌출 배치된 하부 내갑체(120) 주변에 위치하도록 도시화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확장 공간이 하부 내갑체(120)의 상단에 안착된 계수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확경부(160)가 상부 외갑체(150)의 윗부분에 가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확장 공간에 동결 팽창압 흡수 구조(에어백 또는 벨로즈 튜브 등의 신축성이 강한 장치)를 삽입하여, 수도미터(100) 동결에 따른 수돗물의 동결 팽창력이 동결 팽창압 흡수 장치로 쉽게 전달 및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수도미터(100) 내 유리나 계수 장치(130) 등 부품의 동결 파손을 방지하고, 녹을 때 수돗물 체적으로 다시 복원되어 계량기 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동결 팽창압 흡수 구조를 각기 달리 적용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100)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에어백의 개념도, 도 4c는 도 4a에서 상부 외갑체가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공간 안에 원형 튜브 형상의 에어백(181)이 배치된다. 에어백(181)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며, 에어백(181)이 수돗물 동결 시 좌우로 팽창하는 압력을 흡수하여, 커버(170) 유리 또는 계수 장치(130)의 파손을 방지한다.
제2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주름 부재의 개념도, 도 5c는 도 5a에서 상부 외갑체가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하부 내갑체(120)는 동결 팽창압 흡수용 내갑이다. 즉, 하부 내갑체(120)의 벽체(121) 외주면에 주름 부재(183)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내갑체(120)가 개구부(113)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하부 내갑체(120)의 벽체(121)가 개구부(113) 상방으로 돌출되며, 하부 내갑체(120)는 상부 외갑체(150)의 확경부(160) 내주면과 마주본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하부 내갑체(120) 외주면의 주름 부재(183)는 확경부(160)가 만드는 확장 공간에 배치된다. 주름 부재(183)로는 신축성이 강한 벨로즈 튜브를 채용할 수 있다. 벨로즈 튜브는 수돗물 동결 시 좌우로 팽창하는 압력을 흡수하여, 커버(170) 유리 또는 계수 장치(130)의 파손을 방지한다.
제3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도미터의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판 스프링의 개념도, 도 6c는 도 6a에서 상부 외갑체가 개구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하부 내갑체(120)는 동결 팽창압 흡수용 내갑이다. 즉, 하부 내갑체(120)의 벽체(121) 외주면에 주름 부재(18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동종의 흡수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달리, 상부 외갑체(150)의 확경부(160)가 상부 외갑체(150)의 측면 전체에 걸쳐 연장 형성되고, 하부 내갑체(120)의 주름 부재(183)는 계수 장치(130)의 상부 계기판(131)에 이르기까지 하부 내갑체(120)의 벽체(121)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특히, 제3 실시예는 계수 장치(130)의 상부 계기판(131)과 상부 외갑체(150)의 상면 사이에 판 스프링(185)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부 외갑체(150)의 반경 방향 외측(즉, 횡방향)으로 확경부(160)를 형성함으로써 동결시 횡방향(좌우 방향)으로 팽창하는 압력을 수용하도록 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는 벨로즈 튜브와 상하 신축하는 판 스프링(185)을 각각 확경부(160) 내부 및 상부 계기판(131)과 상부 외갑체(150)의 상면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종방향(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는 압력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돗물 동결 시, 상하 및 좌우 방향 모두에서 팽창압을 흡수함으로써, 상부 유리와 계수 장치(130)의 파손을 억제한다. 제3 실시예의 경우 상부 외갑체(150)의 확경부(160) 내경을 제1 및 제2 실시예보다 줄이는 것도 가능하며, 동등한 동파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외갑체의 확장, 신축성 에어백 등 팽창압 흡수 구조의 설치를 통해, 동결시 발생하는 팽창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수도미터 내 유리, 계기부 등의 동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수도미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수도미터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습식 수도미터에만 적용가능하던 기존 에어백 방식에 비해, 건식 수도미터에도 측면 공간을 확장하여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도미터 내 주요 부품의 규격 변경 없이 상부 외갑의 구조 변경만으로 에어백 또는 내갑의 삽입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품성이 우수하고 저가로 양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100)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수도미터 110: 본체 케이스
113: 개구부 120: 하부 내갑체
130: 계수 장치 131: 상부 계기판
150: 상부 외갑체 160: 확경부
181: 에어백 183: 주름 부재
185: 판 스프링

Claims (5)

  1. 급수관과 배수관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고 원기둥 형상의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내갑체;
    상기 하부 내갑체 벽체 안에 배치되고 임팰러에 연결되어 급수관과 배수관 사이의 유량을 계수하는 계수 장치;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외갑체; 및
    상기 상부 외갑체에 밀폐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갑체는 그 하단에서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에서 상기 계수 장치를 감싸며,
    상기 상부 외갑체는 측면 일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확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경부의 내주면이 상기 하부 내갑체 또는 상기 계수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환형의 확장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원형 튜브 형상의 에어백이 상기 확장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갑체가 상기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하부 내갑체의 벽체가 상기 개구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외갑체의 확경부 내주면과 마주보며,
    상기 벽체 외주면에는 주름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는 상기 상부 외갑체의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계수 장치의 상부 계기판에 이르기까지 상기 벽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장치의 상부 계기판과 상기 상부 외갑체의 상면 사이에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KR1020220021017A 2022-02-17 2022-02-17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KR10262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17A KR102620628B1 (ko) 2022-02-17 2022-02-17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17A KR102620628B1 (ko) 2022-02-17 2022-02-17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93A true KR20230123793A (ko) 2023-08-24
KR102620628B1 KR102620628B1 (ko) 2024-01-04

Family

ID=8784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17A KR102620628B1 (ko) 2022-02-17 2022-02-17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6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999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용 바텀 샤시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04495A (ko) * 2004-07-09 2006-01-12 (주)위지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999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용 바텀 샤시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04495A (ko) * 2004-07-09 2006-01-12 (주)위지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628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0668B (zh) 一种冰箱制冰机的进水组件及冰箱
JP5690975B2 (ja) 膜加湿器
CN104028060B (zh) 过滤器、过滤部件和过滤器壳体
CN102666176A (zh) 封装用于排气阀中的膜片的方法
KR2004243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JP505377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30123793A (ko)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KR100788885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KR200460919Y1 (ko) 동결방지 파이프
KR200375927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100734137B1 (ko) 수도미터기용 동파 방지 장치
KR101348819B1 (ko) 동파방지용 다중 에어캡이 구비된 수도계량기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CN103557722B (zh) 一种双壳体结构换热器
KR100883774B1 (ko) 동파 방지용 계량기
CN103423167A (zh) 一种排液泵及其装配方法
CN202018113U (zh) 一种空调器冷凝水排水管
CN206656638U (zh) 管路组件、换热器组件和空调器
KR100788908B1 (ko) 볼록렌즈가 형성된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KR200470242Y1 (ko)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CN212485404U (zh) 一种叉车用电池温控装置
CN205777172U (zh) 一种排气组件及防水排气集成装置
KR200360719Y1 (ko)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CN110779358B (zh) 一种内置管式热交换器装卸式防护装置
KR200281814Y1 (ko)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