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645A -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645A
KR20230123645A KR1020220020605A KR20220020605A KR20230123645A KR 20230123645 A KR20230123645 A KR 20230123645A KR 1020220020605 A KR1020220020605 A KR 1020220020605A KR 20220020605 A KR20220020605 A KR 20220020605A KR 20230123645 A KR20230123645 A KR 2023012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nishing
coupled
vertica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102022002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645A/ko
Publication of KR2023012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04B9/36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parallel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57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losed internal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연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된 제1마감부재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마감부재와, 이 제2마감부재의 양측 개방부에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되어 제2마감부재의 개방부의 내측둘레에서 측면마감부재가 외측둘레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여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에 의해 제2마감부재의 양단 사이가 폭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로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Side finishing material used for finishing material for ceiling and interior and exterior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사용되는 제2마감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개방부의 내부에 측면마감부재의 수직결합판부가 결합되어 개방부의 내측둘레면을 지지하여 제2마감부재의 양측이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폭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폭방향으로 좁아져 변형 및 훼손된 제2마감부재의 빈번한 교체를 방지하도록 한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에 간편한게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도록 제작되어 왔으며, 건축물의 천장에 부착시공되어 건축물의 천장을 미려하게 하였다.
즉,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 효과를 천장 마감재로 부각하였다.
하지만, 천장 마감재는 안전상 천장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지지빔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부로 절곡연장되는 측벽부와, 측벽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에 걸림홈을 갖는 절곡가능한 복수의 걸림편이 일체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실내의 하부로 노출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절곡연장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유지하는 측벽부와, 측벽부의 상부에는 수평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이 일체로 구성된 루바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걸림편의 양측에는 각각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는 루바부재의 측벽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편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스크린 루바 고정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루바부재 양측면의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는 측면마감부재가 구비되지 않아서 루바부재의 양측에 외력 및 충격에 의해 루바부재의 양측이 내부 폭방향으로 좁아져서 발생되어 루바부재가 변형 및 훼손되는데 이러하게 변형 및 훼손된 루바부재를 자주교체해주어야 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980호(2012.07.10.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연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된 제1마감부재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마감부재와, 이 제2마감부재의 양측 개방부에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되어 제2마감부재의 개방부의 내측둘레에서 측면마감부재가 외측둘레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여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에 의해 제2마감부재의 양단 사이가 폭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로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이 제2마감부재의 양측에 가해질시, 제2마감부재의 양측 개방부에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가 설치되어서, 측면마감부재의 양측이 폭방향으로 좁아져서 발생되는 제2마감부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서 이러하게 변형 및 손상으로 인한 제2마감부재의 빈번한 교체과정을 방지하도록한 새로운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외측둘레면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c)의 내부면 양측중앙에서 수평으로 중앙보조결합부(c)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이 결합되게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삽입홈(d1)과, 상기 결합삽입홈(d1)에 삽입결합되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c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이 절단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상부수평지지부(53)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는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공(b2)을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수직결합부(52)의 양외측면 중앙에서 내측방향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어진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삽입홈(d1)과, 상기 결합삽입홈(d1)에 삽입결합되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c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외측둘레면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c)의 내부면 양측중앙에서 수평으로 중앙보조결합부(c)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이 결합되게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부(d)에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중앙보조걸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중앙보조결합부(c)가 제거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고;
양 결합홈부(c)가 제거된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에 양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또 다른 실시예는;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이 절단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상부수평지지부(53)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는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공(b2)을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에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연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된 제1마감부재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마감부재와, 이 제2마감부재의 양측 개방부에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되어 제2마감부재의 개방부의 내측둘레에서 측면마감부재가 외측둘레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여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에 의해 제2마감부재의 양단 사이가 폭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로 방지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이 제2마감부재의 양측에 가해질시, 제2마감부재의 양측 개방부에 수직결합판부와 측면수직결합구와 상부수평지지부와 중앙보조결합부로 구비된 측면마감부재가 설치되어서, 측면마감부재의 양측이 폭방향으로 좁아져서 발생되는 제2마감부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서 이러하게 변형 및 손상으로 인한 제2마감부재의 빈번한 교체과정을 방지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에 측면절곡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3마감부재에서 측면마감부재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된 제2마감부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결합판부의 중앙보조결합부와, 결합돌기와, 제2마감부재의 결합홈부와,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보조결합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가 제2,3마감부재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된 제2마감부재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에 구비된 중앙보조결합부와, 결합돌기와, 제2마감부재에 구비된 결합홈부와,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에 구비된 중앙보조결합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와, 제2마감부재에 구비된 결합홈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와, 제1,2,3마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제1,2,3마감부재와, 측면마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도 15의 측면마감부재와 측면절곡결합구와, 제2마감부재가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에 측면절곡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3마감부재에서 측면마감부재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된 제2마감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결합판부의 중앙보조결합부와, 결합돌기와, 제2마감부재의 결합홈부와,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보조결합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가 제2,3마감부재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가 결합된 제2마감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에 구비된 중앙보조결합부와, 결합돌기와, 제2마감부재에 구비된 결합홈부와,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측면마감부재에 구비된 중앙보조결합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돌기와, 제2마감부재에 구비된 결합홈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삽입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와, 제1,2,3마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측면마감부재와 측면절곡결합구와, 제2마감부재가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마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는 도 1 내지 도 17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는 고정부재(10)와, 제1,2,3마감부재(20,30,40)가 연계되어 조립되어진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로 구성될시, 제2마감부재(30)의 양측면을 폐쇄할 수 있는 측면마감부재(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는 상부면은 건축물의 천장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내외벽의 일, 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천장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와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상부면은 서로 연결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외벽의 일,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측면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 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마감부재(30)가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마감부재(3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은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결합부(31)를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지지부(32)와 안착턱부(3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지지부(31)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안착턱부(32)에는 복수개의 볼트공(b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지지부(32)의 사이와, 양 상기 안착턱부(32)의 상부면에 후술되는측면마감부재(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안착턱부(32)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과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이 서로 일치된후, 이 상기 볼트공(b2)들에 볼트(b)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를 갖는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마감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상기 결합절곡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이러하게 결합된 상기 제2,3마감부재(30,40)는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난 다음에, 볼트(b)를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관통되어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기 안착턱부(33)상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면을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날개부(21)에 관통결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결합날개부(21)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에 너트(e)를 결합하여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진 제2,3마감부재(30,40)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1마감재(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진 상기 제2,3마감부재(30,40)가 다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부양측에 결합날개편(4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중부상부면 양측에 다수개의 결합구(42)가 서로 이격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날개편(41)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상기 절곡결합부(31)의 내측면에 삽입결합되어지고, 양 상기 결합구(42)는 양 상기 안착턱부(33)와 결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수직관통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삽입결합되어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도 1a 내지 도 6, 도 13 ,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외측둘레면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b1)를 폐쇄하여서, 상기 개방부(b1)로 유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수직결합판부(51)로 인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 상기 개방부(c)가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폭방향으로 좁아져 발생되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변형 및 훼손을 방지하여서, 상기와 같이 변형 및 훼손된 상기 제2마감부재(30와,제4마감부재(50)의 번거로운 교체과정을 없애고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변형 및 훼손에 의한 교체과정에서 발생되는 교체비용을 없애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의 상하부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외걸림턱(f)의 내측둘레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방부(d1)의 선단둘레면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와 결합시 발생되는 결합력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와 함께 결합력을 더 높여서 상기 가외걸림턱(f)과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이다.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 내측둘레에 결합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 결합력을 높여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이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c)의 내부면 양측중앙에서 수평으로 중앙보조결합부(c)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이 결합되게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를 구성하여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1차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에 구비된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1)를 상기 개방부(b1)의 양 내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d)에 2차로 더 결합시켜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삽입홈(d1)과, 상기 결합삽입홈(d1)에 삽입결합되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c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삽입홈(d1)과, 상기 결합삽입홈(d1)에 삽입결합되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c1)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면이 1차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에 구비된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1)를 상기 개방부(b1)의 양 내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d)에 2차로 더 결합시켜는 동시에,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상기 결합돌기(c1)를 상기 결합홈부(d)의 상기 결합삽입홈(d1)에 3차로 더 결합시켜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서 이탈되지않고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은,
다수개의 상기 결합삽입홈(d1)들에 다수개의 상기 결합돌기(c1)들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력을 강화시켜서, 상기 결합삽입홈(d1)들을 갖는 상기 결합홈부(d)에서 상기 결합돌기(c1)들을 갖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상기 결합홈부(d)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는 상부면은 건축물의 천장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내외벽의 일, 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천장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와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상부면은 서로 연결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외벽의 일,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측면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 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마감부재(30)가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마감부재(3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은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결합부(31)를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지지부(32)와 안착턱부(3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지지부(31)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안착턱부(32)에는 복수개의 볼트공(b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지지부(32)의 사이와, 양 상기 안착턱부(32)의 상부면에 후술되는측면마감부재(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안착턱부(32)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과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이 서로 일치된후, 이 상기 볼트공(b2)들에 볼트(b)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를 갖는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마감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상기 결합절곡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이러하게 결합된 상기 제2,3마감부재(30,40)는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난 다음에, 볼트(b)를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관통되어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기 안착턱부(33)상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면을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날개부(21)에 관통결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결합날개부(21)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에 너트(e)를 결합하여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진 제2,3마감부재(30,40)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1마감재(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진 상기 제2,3마감부재(30,40)가 다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부양측에 결합날개편(4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중부상부면 양측에 다수개의 결합구(42)가 서로 이격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날개편(41)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상기 절곡결합부(31)의 내측면에 삽입결합되어지고, 양 상기 결합구(42)는 양 상기 안착턱부(33)와 결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수직관통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삽입결합되어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b1)를 폐쇄하여서, 상기 개방부(b1)로 유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수직결합판부(51)로 인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 상기 개방부(c)가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폭방향으로 좁아져 발생되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변형 및 훼손을 방지하여서, 상기와 같이 변형 및 훼손된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번거로운 교체과정을 없애고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변형 및 훼손에 의한 교체과정에서 발생되는 교체비용을 없애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수직결합판부(51)를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d1)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의 상,하부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외걸림턱(f)의 내측둘레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방부(d1)의 선단둘레면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결합시 발생되는 결합력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함께 결합력을 더 높여서 상기 가외걸림턱(f)과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이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d1)의 양 내측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에 결합되어진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에 강한외력 또는 강한충격이 가해질경우,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면에서 보다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이 절단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상부수평지지부(5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는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공(b2)을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공(b2)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마감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상기 지지부(32)의 사이와, 양 상기 안착턱부(32)의 상부면에 상기 측면마감부재(50)의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안착턱부(32)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과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이 서로 일치된후, 이 상기 볼트공(b2)들에 볼트(b)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를 갖는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1)와 더불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 강한 외력 또는 강한충격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구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수직결합부의 외측면 중앙에서 내부방향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어진 중앙보조결합부(c)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를 구성하여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1차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1)에 구비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와 더불어 2차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에 구비된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1)를 상기 개방부(b1)의 양 내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d)에 3차로 더 결합시켜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은,
다수개의 상기 결합삽입홈(d1)들에 다수개의 상기 결합돌기(c1)들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력을 강화시켜서, 상기 결합삽입홈(d1)들을 갖는 상기 결합홈부(d)에서 상기 결합돌기(c1)들을 갖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상기 결합홈부(d)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는 상부면은 건축물의 천장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내외벽의 일, 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천장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와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상부면은 서로 연결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외벽의 일,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측면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 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마감부재(30)가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마감부재(3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은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결합부(31)를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지지부(32)와 안착턱부(3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지지부(31)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안착턱부(32)에는 복수개의 볼트공(b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지지부(32)의 사이와, 양 상기 안착턱부(32)의 상부면에 후술되는 측면마감부재(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안착턱부(32)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과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이 서로 일치된후, 이 상기 볼트공(b2)들에 볼트(b)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를 갖는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마감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상기 결합절곡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이러하게 결합된 상기 제2,3마감부재(30,40)는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난 다음에, 볼트(b)를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관통되어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기 안착턱부(33)상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면을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날개부(21)에 관통결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결합날개부(21)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에 너트(e)를 결합하여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진 제2,3마감부재(30,40)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1마감재(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진 상기 제2,3마감부재(30,40)가 다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부양측에 결합날개편(4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중부상부면 양측에 다수개의 결합구(42)가 서로 이격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날개편(41)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상기 절곡결합부(31)의 내측면에 삽입결합되어지고, 양 상기 결합구(42)는 양 상기 안착턱부(33)와 결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수직관통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삽입결합되어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외측둘레면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결합판부(c)의 내부면 양측중앙에서 수평으로 중앙보조결합부(c)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의 상,하부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외걸림턱(f)의 내측둘레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방부(d1)의 선단둘레면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와 결합시 발생되는 결합력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와 함께 결합력을 더 높여서 상기 가외걸림턱(f)과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이다.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 내측둘레에 결합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 결합력을 높여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이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에 의해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이 결합되게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홈부(d)에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중앙보조걸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가 서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볼트(b)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b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홈부(d)에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중앙보조걸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가 서로 고정되는 것은,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결합홈부(d)를 내측에 갖는 상기 개방부(b1)에 결합되고 난다음에, 상기 볼트(b)들로 신속하고 손쉽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를 상기 결합홈부(d)에 관통고정하여서,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개방부d1)에 결합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상기 개방부(b1)의 내부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중앙보조결합부(c)가 제거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양 결합홈부(c)가 제거된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에 양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결합된 다음에,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고정되는 것은,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개방부(b1)에 결합되고 난다음에, 상기 볼트(b)들로 신속하고 손쉽게 상기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제2마감부재(30)에 관통고정하여서,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개방부d1)에 결합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상기 개방부(b1)의 내부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는 상부면은 건축물의 천장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내외벽의 일, 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천장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와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상부면은 서로 연결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외벽의 일,타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10)의 측면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 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마감부재(30)가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마감부재(3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은 상부에서 하부로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결합부(31)를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결합부(31)는 지지부(32)와 안착턱부(3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지지부(31)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안착턱부(32)에는 복수개의 볼트공(b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지지부(32)의 사이와, 양 상기 안착턱부(32)의 상부면에 후술되는 측면마감부재(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안착턱부(32)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과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이 서로 일치된후, 이 상기 볼트공(b2)들에 볼트(b)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를 갖는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마감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상기 결합절곡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이러하게 결합된 상기 제2,3마감부재(30,40)는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고 난 다음에, 볼트(b)를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에 관통되어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기 안착턱부(33)상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면을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날개부(21)에 관통결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결합날개부(21)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에 너트(e)를 결합하여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진 제2,3마감부재(30,40)를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1마감재(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진 상기 제2,3마감부재(30,40)가 다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도 3,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부양측에 결합날개편(4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중부상부면 양측에 다수개의 결합구(42)가 서로 이격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날개편(41)은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상기 절곡결합부(31)의 내측면에 삽입결합되어지고, 양 상기 결합구(42)는 양 상기 안착턱부(33)와 결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수직관통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마감부재(40)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삽입결합되어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d1)의 양 내측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에 결합되어진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에 강한외력 또는 강한충격이 가해질경우,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면이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면에서 보다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의 상,하부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외걸림턱(f)의 내측둘레는 상기 개방부(d1)의 선단둘레면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결합시 발생되는 결합력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함께 결합력을 더 높여서 상기 가외걸림턱(f)과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이다.
또한,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이 절단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상부수평지지부(5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는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공(b2)을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공(b2)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마감부재(30)를 구성하는 양 상기 지지부(32)의 사이와, 양 상기 안착턱부(32)의 상부면에 상기 측면마감부재(50)의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안착턱부(32)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과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2)이 서로 일치된후, 이 상기 볼트공(b2)들에 볼트(b)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난 다음에,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를 갖는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1)와 더불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 강한 외력 또는 강한충격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구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에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볼트(b)는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b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개방부(b1)에 결합되고 난다음에, 상기 볼트(b)들로 신속하고 손쉽게 상기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에 관통고정하여서,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개방부d1)에 결합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결합판부(51)가 상기 상기 개방부(b1)의 내부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부는 수직길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외걸림턱(f)의 내측둘레는 상기 개방부(d1)의 선단둘레면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결합시 발생되는 결합력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함께 결합력을 더 높여서 상기 가외걸림턱(f)과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이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 수직결합판부(51)를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d1)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의 상,하부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외걸림턱(f)의 내측둘레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방부(d1)의 선단둘레면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결합시 발생되는 결합력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와 함께 결합력을 더 높여서 상기 가외걸림턱(f)과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갖는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천장 또는 내외벽면에 상기 고정부재(10)를 설치하여 준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10)에 상기 제1마감부재(20)를 설치하여준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날개부(21)의 하부면에, 결합되어진 상기 제2,3마감부재(30,40)를 위치하여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관통되게 상기 볼트(b)를 관통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제3마감부재(40)의 상부를 관통한 상기 볼트(b)의 상부는 상기 결합날개부(21)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날개부(21)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볼트(b)의 상부에 너트(e)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재(10)에 상기 제2,3마감부재(30,40)를 고정설치하여 준다.
상기 고정설치과정에 앞서서, 상기 제2,3마감부재(30,40)의 결합되전에,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d1)에 상기 측면마감부재(50)의 구성인 상기 수직결합판부(51)를 결합하는데,
이때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외측둘레가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에 삽입결합되면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내측 중앙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상기 개방부(d1)의 양내측 중앙에 형성된 양 상기 결합홈부(d)에 결합되어지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c1)가 상기 결합홈부(d)에 형성된 상기 결합삽입홈(d1)에도 결합되게 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상기 개방부(d1)에 상기 결합홈부(d) 및 상기 결합삽입홈(d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결합판부(51)에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 및 상기 결합돌기(c1)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부(d1)에 상기 수직결합판부(51)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되어지면,
상기 수직결합판부(51)를 구비한 상기 측면마감부재(50)가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에서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충격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개방부(d1)의 내측둘레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고정부재 20: 제1마감부재
30: 제2마감부재 40: 제3마감부재
50: 측면마감부재 51: 수직결합판부
52: 측면수직결합구 53: 상부수평지지부
54: 측면절곡결합구 b; 볼트
b1; 개방부 b2: 볼트공
c: 중앙보조결합부 c1: 결합돌기
d: 결합홈부 d1; 결합삽입홈
f: 가외둘레턱

Claims (14)

  1.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외측둘레면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c)의 내부면 양측중앙에서 수평으로 중앙보조결합부(c)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이 결합되게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삽입홈(d1)과, 상기 결합삽입홈(d1)에 삽입결합되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c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5.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이 절단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상부수평지지부(53)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는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공(b2)을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수직결합부(52)의 양외측면 중앙에서 내측방향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어진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외측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삽입홈(d1)과, 상기 결합삽입홈(d1)에 삽입결합되게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c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삽입홈(d1)은 상기 결합홈부(d)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c1)는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10.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상기 개방부(b1)의 내측둘레면에 외측둘레면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c)의 내부면 양측중앙에서 수평으로 중앙보조결합부(c)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의 내측면이 결합되게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중앙에 형성된 결합홈부(d)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부(d)에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중앙보조걸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중앙보조결합부(c)와 상기 결합홈부(d)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양 중앙보조결합부(c)가 제거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측면절곡결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는 수직길이로 형성되고;
    양 결합홈부(c)가 제거된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에 양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절곡결합구(54)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12. 건축물의 천장또는 내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통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20)와, 제2마감부재(30)와 결합되는 제3마감부재(40)와,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마감부재(30 및 상기 제3마감부개(40)가 볼트(b)로 상기 제1마감부재(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측의 개방부(b1)에 결합되는 측면마감부재(50)가 구성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재(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결합판부(51)와,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이 절단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상부수평지지부(53)와, 상기 상부수평지지부(53)에는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공(b2)을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양 내측에 양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가 결합된 다음에, 상기 제2마감부재(30)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2마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판부(5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기립 형성된 측면수직결합구(52)를 제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편부(51)와, 상기 측면수직결합구(52)의 사이의 가외둘레에는 가외걸림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KR1020220020605A 2022-02-17 2022-02-17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KR20230123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605A KR20230123645A (ko) 2022-02-17 2022-02-17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605A KR20230123645A (ko) 2022-02-17 2022-02-17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645A true KR20230123645A (ko) 2023-08-24

Family

ID=8784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605A KR20230123645A (ko) 2022-02-17 2022-02-17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6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980U (ko)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건일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980U (ko)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건일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89218A (ja) 天井枠吊り下げ構造
WO2008149344A1 (en) Assembly for securing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KR102065022B1 (ko) 건축용 천정 구조물 프레임 어셈블리
KR102375574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230123645A (ko)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구비되는 측면마감부재
BR102019018249A2 (pt) Membro da grade de teto alongado e montagem da grade de teto incluindo uma pluralidade de membros da grade de teto alongada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102420341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US3130821A (en) Clip for securing suspended ceiling structural members
KR101061713B1 (ko) 천장판의 고정 구조
KR20170032555A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KR102627313B1 (ko)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102474426B1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KR102299997B1 (ko) 엠바와 엠바브라켓의 결합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6340222B2 (ja) 斜め補強部材用取付金具
KR100944000B1 (ko) 국부변형방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CN108316538B (zh) 吊顶系统
KR102569120B1 (ko) 천장재 어셈블리
KR20160000774U (ko)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KR102577311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532942B1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KR102445083B1 (ko)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93422B1 (ko)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960009404Y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