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898A -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 Google Patents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898A
KR20230122898A KR1020220019710A KR20220019710A KR20230122898A KR 20230122898 A KR20230122898 A KR 20230122898A KR 1020220019710 A KR1020220019710 A KR 1020220019710A KR 20220019710 A KR20220019710 A KR 20220019710A KR 20230122898 A KR20230122898 A KR 2023012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implantation
peptide
visible light
photocurab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정
정종평
설양조
이주연
박현정
조범수
김다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벡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벡,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벡
Priority to KR102022001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898A/ko
Priority to PCT/KR2023/002116 priority patent/WO202315817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7Other specific proteins or polypeptides not covered by A61L27/222, A61L27/225 or A61L27/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8Vitamins, e.g. tocopherol, riboflav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Abstract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한느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이 제공된다.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이식재가 채워진 체내 이식 부위 상부에 도포하여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고, 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어, 상기 가시광에 의해 가교된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 공간을 채워주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한다.

Description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BIOABSORBABLE AND PHOTOCURABLE COMPOSITION, BIOABSORBABLE GUIDED TISSUE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GRA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기재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증, 종양, 외상 및 골격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골 소실 또는 결함(이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소실 또는 결함 부위를 이식재로 채울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식재만 손상 부위에 채울 경우 이식 부위에서 이식재가 유지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식재를 손상 부위에 채워 놓고 그 위에 차폐막을 덮은 후에 차폐막을 1차 봉합하고 다시 피부를 덮어서 2차 봉합하는 기법으로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고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식재와 차폐막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하부에 이식한 이식재와 상부의 차폐막이 서로 밀착되어야 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식재와 차폐막 사이에 완벽한 밀착을 얻기가 힘들어서 이식재와 차폐막 사이에 틈이 생기고 그 결과 이식 성공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식재의 소실을 방지하면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소재 및 이식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이식재의 소실을 방지하면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이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이식재가 채워진 체내 이식 부위 상부에 도포하여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고, 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공간을 채워주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한다.
실시예에 따른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는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1 제와 상기 제1 제를 침지할 수 있도록 제제화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제2 제를 포함하는 이식재, 및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상기 이식재가 채워진 이식 부위에 도포되어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고, 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공간을 채워주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하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식 방법은 체내 이식 부위에 이식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이식재가 채워진 이식 부위 상부에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에 가시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도록 하여, 상기 가시광에 의해 가교된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공간을 채워주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본 발명의 측면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에 따르면,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이 이식재의 상면을 덮고 이식재로 채워진 이식부위의 나머지 빈 공간을 채운 후,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공간을 채워주고 이식재와 밀착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재의 소실을 방지하고 이식재와 밀착 결합력을 유지하여 조직 재생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조직 재생 유도 방법에 따르면, 항염능 또는 항균능이 있는 이식재와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을 함께 사용하여 항염 또는 항균 기능을 발휘하여 조직 재생에 필요한 미세 환경 요인을 효과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식재의 소실을 방지하고 이식재와 밀착 결합력을 유지하여 조직 재생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골이식 시술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광경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합성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순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합성한 후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IL-6 및 TNF-α의 효소면역분석법(ELISA)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pNFkB 및 plkBa의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항균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바이오 필름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세포 내 투과 정도를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가토 치은 조직에 대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세포 내 투과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성견 치은 조직에 대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세포 내 투과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스펀지 블록의 항균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젤을 성견 치주염 모델에 처리하여 치주조직재생을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한 결과와 치조골이 재생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사각형은 이식재에 의해 재생된 치조골을 나타낸다.
도 16은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콜라겐 함량 변화에 따른 젤 형성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7은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리보플라빈 함량 변화에 따른 젤 형성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8은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NaOH 함량 변화에 따른 젤 형성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9는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빛 조사에 의한 성상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20은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경화 전과 경화 후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안정성을 측정한 사진들이다.
도 22는 임플란트 주위염이 유발된 성견에 광경화성 조성물(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을 이용하여 이식을 진행한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들의 정의가 아래에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기법 및 공정들은 일반적으로 통례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되며, 이는 본원 전체에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된 명명 및 분자 생물학, 생화학, 분석 화학 및 세포 배양에서의 실험 절차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동일하다.
본 개시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체내 이식 부위는 염증, 종양, 외상 및 골격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골 소실 또는 결함(이하 골 손상)을 포함하는 부위를 지칭한다.
골 손상 부위는 치과적 손상 부위 및 비 치과적 손상 부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치과적 손상 부위는 치주 질환에 의해 발생한 손상 부위가 가장 대표적이다. 치주질환은 잇몸에 국한되는 치은염과 치아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치조골에도 염증이 확산된 치주염 및 턱뼈에 인공 재료를 외과적으로 내장한 후의 합병증으로 임플란트 주변의 조직에 영향을 주어 지지골의 상실을 초래하는 임플란트 주위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치과적 손상 부위는 탈구성 외상 치아 부위 또는 발치와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치과적 손상 부위는 선천성 손상, 암 절제에 의한 손상, 노화, 뼈 변성 및 골다공증 등에 의한 후천적 손상, 골절 등의 외상 관련 손상 등 다양한 손상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식 부위에 이식재를 채우기 전에 전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
예를 들면, 치과적 손상에서 대표적인 치주질환의 치료시에는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스케일링) 및/또는 치근활택술 처리후 치주 조직을 재생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이식 부위에 이식재를 채운다(S2)
이식재는 피부이식재, 뼈이식재, 근골격재생재, 신경재생재, 혈관재생재 등 다양한 분야의 이식재를 포괄할 수 있다. 이식재는 기본적으로 세포외기질 단백질, 골미네랄, 키토산,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 등과 같은 다양한 이식재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포외기질 단백질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황산콘드로이틴 및 피브로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들 세포외기질 단백질은 사람, 동물에서 유래한 것과 미생물에서 생산된 재조합 단백질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에서는 콜라겐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콜라겐은 인체내에서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의해 만들어지며, 체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의 주성분으로, 뼈, 피부, 관절, 각종 장기의 막, 모발 등 우리 몸 전체에 분포하고 있는 섬유상 단백질이다. 아울러, 중추 및 말초신경의 액손 주위에도 많은 콜라겐이 존재한다. 체내에 존재하는 콜라겐 하이드로겔은 조직 부위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조금씩 다르므로, 부위별 콜라겐 하이드로겔의 콜라겐 농도와 배향 정도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뼈는 배향된 콜라겐 섬유 사이에 마이크로/나노결정의 미네랄이 자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콜라겐은 체내 흡수성 소재로 분해가 잘 되어 체내에 이식할 경우 점차 분해되어 재생되는 뼈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식재 매트릭스로 적합하다. 콜라겐의 경우, 돼지 피부에서 분리한 타입 1 또는 타입 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미네랄 성분은 동종골 또는 이종골에서 기인한 생물유래 골미네랄 분말, 합성 수산화아파타이트, 및 테트라칼슘 포스페이트(TTCP), 디칼슘포스페이트 무수물(DCPA), 및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MCPM)를 포함하는 인산칼슘 시멘트(CPC) 분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는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락티이드, 폴리카트로락톤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식재 매트릭스는 페이스트, 분말, 퍼티, 젤,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과립, 입자, 동결 건조 분말, 동결건조골, 탈미네랄화 동결건조골, 신선 또는 신선 동결골, 피질 해면골 믹스, 펠릿, 스트립, 플러그, 멤브레인, 습떡을 형성하기 위해 물로 되돌려지는 동결 건조 분말, 구형체, 스펀지, 블록, 모셀, 스틱, 웨지, 시멘트, 또는 비정질 입자로 이루어진 제제 상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식재 매트릭스에 항염, 항균 또는 세포 투과능 등을 가지는 치료약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약제는 항염, 항균 또는 세포 투과능을 가지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치과적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일 양태에서는 이식재는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1 제와 제1 제를 침지할 수 있도록 제제화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제2 제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식 전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1 제는 다양한 크기의 콜라겐 스펀지 블록 또는 콜라겐 스펀지 블록과 골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콜라겐 분말을 사용하면,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없어서, 새로운 조직이 재생되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콜라겐 스펀지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과적 손상을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구치 대구치 등 치아 크기에 따라서, 6X5X7mm 또는 8X7X9mm 크기의 콜라겐 스펀지 블록, 6X6X3mm, 6X6X6mm, 7X8X9mm, 또는 9X10X11mm 크기의 콜라겐 스펀지 블록과 골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와 제2 제는 이식 직전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식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콜라겐 및 펩타이드를 무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의 활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는 동결건조 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용액상태로 보관하는 것보다 활성(activity)이 감소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므로, 펩타이드를 동결건조 상태로 보관하다가 이식하기 직전에 콜라겐 스펀지 블록에 혼합하면 이식 후에 펩타이의 활성(항염능, 항균능 등)을 높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관점에서 이식재를 구성하는 제1 제를 침지할 수 있도록 제제화된 펩타이드는 아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이다.
서열번호 1 : GKCSTRGRKSSRRKK
일 양태에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에 염증 마커인 IL-6 및 TNF-α의 세포내 방출량을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항염효과를 가진 사이토카인인 IL-4와 거의 유사한 항염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에 의한 염증 관련 효소인 pNF-κB 의 발현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LPS에 의해 유도된 pNF-κB 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치주염 유발균인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해 우수한 항균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치주염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미노사이클린 (minocycline) 대비 동등 또는 유사한 항균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주염 유발균을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 바이오필름에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항균능이 있으며 나아가 세포 투과능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른 관점에서 본 개시는 세포 투과능을 가지는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는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통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세포 내로 투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마우스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고 세포내로 투과되는 지를 확인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세포 내로 투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세포 수준 뿐만 아니라, 조직 수준에서도 투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가토의 치은 조직과 성견의 치은 조직에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가토의 치은 조직과 성견의 치은 조직 내부로 투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치주염이나 임플란트 주위염의 경우, 여러 종류의 치주염 유발균들이 군집을 이루어 두꺼운 바이오필름 (biofilm)을 형성한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항생제 투여만으로는 제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바이오필름을 통과하는 동시에 바이오필름을 구성하는 치주염 유발균에 대한 항균능이 필요하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자체적으로 세포 내로 투과 가능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전달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치아에 형성되는 바이오필름을 투과하여 항균능을 나타내거나 치은 조직에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세포/조직 투과능을 이용하여, 세포 투과능이 없으면서 항염증 기능을 가지는 펩타이드와 화학적으로 컨쥬게이션 (conjugation)해서 세포 투과능을 부여함으로써, 원하는 항염증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이외에 콜라겐과 혼합될 수 있는 펩타이드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KR1249702, KR1320472, KR1329774, KR1257228등에 개시된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의 펩타이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내용으로 삽입된다.
서열번호 2 : CPRRYKQIGTCGLPGTKCCKKP
서열번호 3 : GKCSTRGRKCCRRKK
서열번호 4 : RKIEIVRKKPIFKKATVT
서열번호 5 : CKRKKKGKGLGKKRDPCLRKYK
제2 제인 펩타이드를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후 이식 부위 주입용 튜브에 펩타이드 용액을 담고 여기에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 제를 침지한 후 이식 부위에 채운다.
이식재(graft)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펩타이드 10-4~0.5 중량부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10-1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펩타이드가 10-3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재생 효과가 크지 않고,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이식재에 함유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어서, 이식재가 채워진 체내 이식 부위 상부에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한다(S3).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은 콜라겐, 광감작제, pH 조절제 및 등장화제를 포함한다.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은 이식 부위 상부에 도포할 때는 젤 상태로 도포된다. 따라서,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이식 부위에 투여하기 용이한 정도의 점도를 가지며 흘러내리지 않는 정도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25 내지 270cP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은 이식재가 채워진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우면서 이식재를 덮을 수 있다.
콜라겐은 타입 1, 2, 3 또는 4의 콜라겐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타입 1 콜라겐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타입 1 콜라겐은 대부분의 연결 조직 유래 콜라겐으로 이식 부위의 조직과 부정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콜라겐은 0.75-3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0.75w/v% 미만이거나 3 w/v% 초과하면 젤 형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광감작제는 광의 조사에 의해 콜라겐의 겔화를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감작제로는 리보플라빈이 적합할 수 있다. 리보플라빈은 0.0008 w/v% 내지 0.008 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범위 이외에서는 적절한 점도의 젤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리보플라빈은 0.0008 w/v% 내지 0.004 w/v%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콜라겐 : 리보플라빈의 중량 비율은 1 : 0.00056 내지 1 : 0.0533 일 수 있으며, 이 범위내에서 원하는 상태의 젤로 형성될 수 있다.
pH 조절제로는 NaOH 등이 사용될 수 있다. pH 조절제는 26mM ~ 30mM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범위 이외에서는 적절한 점도의 젤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등장화제로는 NaCl, KCl, Na2HPO4, 및 KH2PO4 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광경화를 진행한다(S4).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시광을 조사하면 광감작제인 리보플라빈을 자극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이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산소 래디컬이 콜라겐에 화학적 결합점을 형성하여 콜라겐을 경화시킨다.
가시광원으로는 청색 파장대의 LED 광원이 적합하다. UV의 경우에도 광경화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세포에 손상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청색 파장대의 광원이 적절하다. 광원은 450nm 파장의 광원을 콜라겐이 경화되기에 충분한 정도의 출력과 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은 최대 2W/㎠ 까지 가능하며 환자가 열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20초 내지 60초간 이식부위에 조사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되어 흐르지 않고 차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LED 광 조사기를 체내 흡수형 광감성 조성물 내로 침투시켜(penetrate) 보다 효과적으로 광원을 전달하여 광경화가 체내 흡수형 광감성 조성물 전반에 걸쳐 고르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치주염 치료의 경우를 예로 들면, 이와 잇몸 사이에 채워진 광경화성 조성물 내로 LED 광 조사기를 침투시켜 빛이 광경화성 조성물 내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광경화가 보다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예., 광감작제를 포함하는 콜라겐 겔)이 가시광에 의해 가교되면서 가시광에 의해 가교된 콜라겐이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 공간을 채우고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이식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콜라겐 젤이 이식 부위에 존재하는 자연 콜라겐과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 부위의 다양한 모양과 사이즈에 상관없이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 공간을 채우고 강한 밀착력으로 결합하면서 이식재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폐막 적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차폐막을 봉합하는 번거로운 공정도 필요없다. 초기 도포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가 25cP 내지 270cP 에서 광경화에 의해 110cP 내지 410cP로 1.5배 내지 4.5배 정도 점도가 증가하여 하부의 이식재와 밀착 결합되고 이식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식재가 콜라겐 블록과 항균능 또는 항염능을 구비하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질 경우 콜라겐 블록과 콜라겐 졸 간의 결합이 일어나서 밀착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항균 또는 항염 기능을 구비하는 펩타이드가 서방형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캐폴드로 작용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치주염치료제로 판매되는 미노사이클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의 경우에는 미노사이클린이 주로 항균 효과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염증을 동반하는 이식 부위의 재생을 유도하는데 부족함이 있었으나, 항균능과 함께 항염능을 함께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적용할 경우에는 이식 부위의 재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치주질환의 경우 치주염 유발균에 대한 항균능과 함께 다양한 주위염 또는 치주염 등의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재생에 적합한 환경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은 자연 골이 충분이 재생될 때까지 지탱해 주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성으로 분해되어 재생되는 뼈로 대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치주 조직 재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들을 제시하나, 하기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펩타이드 합성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합성장치를 이용하여 C 말단으로부터 F-moc 고체상 화학합성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즉, 블로킹 그룹(Blocking group)으로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이 결합된 Rink resin (0.075 mmol/g, 100 ~ 200 mesh, 1% DVB crosslinking)을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합성기에 50 mg의 Rink Amide MBHA resin을 넣은 뒤 DMF로 resin을 스웰링(swelling) 시킨 후 Fmoc-group의 제거를 위해 20% piperidine/DMF 용액을 사용하였다. C 말단부터 서열대로 0.5M amino acid 용액(용매: DMF), 1.0M DIPEA(용매: DMF&NMP), 0.5M HBTU (용매: DMF)를 각각 5, 10, 5 당량씩 넣어 질소 기류 하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디프로텍션(deprotection)과 커플링(coupling) 단계가 끝날 때마다 DMF와 Methanol로 두 번씩 세척하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 아미노산을 커플링(coupling) 시킨 후에도 디프로텍션(deprotection)을 해주어 Fmoc-group을 제거하였다.
합성의 확인은 닌하이드린 테스트(ninhydrin test) 방법을 이용하였고, 테스트를 거치고 합성이 완료된 resin은 건조시킨 후 Reagent K cleavage cocktail을 resin 1g 당 20ml의 비율로 넣어 3시간 shaking 시킨 후 필터링을 통해 resin과 펩타이드가 녹아 있는 cocktail을 분리하였다. 필터로 걸러진 용액을 콜드 에테르(cold ether)를 넣어주어 펩타이드를 고체상으로 결정화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분리했다. 이때 에테르로 여러 번 세척과 원심분리 과정을 거쳐 Reagent K cleavage cocktail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crude를 증류수에 녹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동결건조를 진행한다.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순도를 분석하고 질량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가 도 4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합성된 펩타이드는 순도가 98.2%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1733.99로 15mer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항염능 평가
1) 염증유발 사이토카인 (IL-6 및 TNF-α) 생성량 측정
사람의 단핵구세포주(THP-1, ATCC, TIB-202)을 이용하여 항염능을 검증하였다. 단핵구세포주의 경우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Merck, P1585)를 접종하여 단핵구세포에서 대식세포로 분화 시킨 후 염증 유도물질인 1μg/ml LPS (lipopolysaccharide, Merck, L3024)를 처리하였다. 16시간 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 200μM 및 양성 대조군으로 IL-4(R&D system, 204-IL-010/CF) 20ng/ml을 접종하고 24시간 뒤 세포의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배지에 존재하는 세포가 분비하는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인 IL-6(R&D system, D6050), TNF-α(R&D system, DTA00D)의 양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LPS+S3)에 IL-6 및 TNF-α 값이 IL-4를 처리한 경우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LPS만 처리하였을 경우, IL-6와 TNF-α 값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pNFkB 및 plkBa의 웨스턴 블랏
Raw264.7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Raw264.7 세포는 10% FBS와 100unit/ml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가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배지를 사용하여 5% CO2, 95% air가 공급되는 37℃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Raw264.7 세포에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200μM을 30분 동안 처리한 뒤, 1μg/ml LPS (lipopolysaccharide, Merck, L3024)를 처리하였다. 8시간후 처리된 세포를 모은 후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RIPA 완충용액, Thermo Fisher, 89900)에 protease inhibitor cocktail 및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을 첨가한 후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회수한 후 Bicinchoninic acid assay(BCA assay, Thermo Fisher, 23227)를 통하여 세포 용해액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RIPA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세포 용해액을 최종 5mg/ml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1M Tris-HCl(pH 6.8), 50% glycerol, 10% SDS 조성의 완충용액과 4:1 비율로 섞은 후 sodium dodecyl sulfate-poly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을 진행하였다. 이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이시킨 후 블로킹 용액 (5% skim milk in Tris-buffered saline with 0.1% Tween®20)로 막을 블록한 뒤, 상기 블로킹 용액과 1:1000 비율로 1차 항체(인산화 NF-κB(Signaling Technology, 3033), NF-κB(Cell Signaling Technology, 8242), 인산화 IκBα(Cell Signaling Technology, 9246), IκBα(Cell Signaling Technology, 4812), β-actin(Santa Cruz Biotechnology, sc-47778))를 하룻밤 동안 냉장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각 1차 항체에 대한 2차 항체를 블로킹 용액 1:2000으로 상온에서 1시간 반응 후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Thermo Fisher, 34094) 용액으로 반응시킨 후 ChemiDoc Imaging Systems(Bio-Rad)를 이용하여 막을 현상하였다. 인산화 NF-κB, 인산화 plkBa는 세포 수준에서 염증 반응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염증반응이 높을수록 더 많은 인산화 NF-κB, 인산화 plkBa발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만 처리하였을 때는 pNFκB 및 plkB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LPS를 처리하였을 경우, pNFκB 및 plkBa의 발현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만 처리하였을 때는, 세포의 pNFκB 및 plkBa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이는 펩타이드가 안전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항균능 평가
1) 치주염 원인균 성장 억제
항균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치주염 원인균인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와 Porphyromonas gingivalis를 이용하였다. BHI(brain heart infusion) 액상 배지에 각 균을 접종한 후 37℃, 120rpm 조건으로 혐기성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100 μM, 250 μM, 500 μM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minocycline(Merck, M9511)500ng/ml을 접종한 후 24시간 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00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생장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경우 Aa(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는 250 μM이상에서 균의 생존률이 50% 이하로 나타났으며, Pg(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해서는 100 μM 이상에서 균의 생존률이 50% 이하로 나타났다.
한편, 미노사이클린의 효과와 비교시 Aa에 대해서는 500 μM 농도로 처리시 미노사이클린 500ng/ml 처리시 보다는 생존율이 높지만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노사이클린의 경우에는 항균능만 있는 반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경우에는 항균능과 함께 항염능이 있기 때문에 항균능이 약간 차이가 있더라도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Pg에 대해서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미노사이클린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2) 바이오필름에서의 항균능 평가
구강내에서 치주염 유발균이 바이오필름(biofilm)형태로 존재하고 있어 이를 모방하기 위해 A. a.(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와 P. g.(Porphyromonas gingivalis) 균을 이용하여 인공 biofilm을 티타늄 원판 표면에 제작하였다. 티타늄 원판에 타액과 균을 섞은 후 BHI 액상 배지에 넣은 후 37℃ 조건으로 혐기성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50μg/ml (=29μM), 100μg/ml(=58μM), 250μg/ml(=144μM), 500μg/ml(=288μM) 펩타이드 및 양성 대조군으로 1 μg/ml minocycline을 접종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표면에 biofilm이 형성된 티타늄 원판을 얻어서 Filmtracer?? LIVE/DEAD?? Biofilm Viability Kit (Thermo Fisher, L10316)을 이용하여 biofilm을 염색하였다. 살아있는 균은 녹색으로 사멸된 균은 빨간색으로 염색된다. 공초점 주사형광 현미경 (모델명, 회사명)을 이용하여 티타늄 원판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나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minocycline의 경우 biofilm을 뚫고 균을 사멸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멸된 균 (붉은색)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농도50μg/ml(=29μM) 부터 사멸된 균 (붉은색)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biofilm 형태로 존재하는 균의 경우 기존의 항생제로는 사멸시키지 못하지만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경우, 바이오필름까지 투과하여 항균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조직 투과능 평가
1) 세포수준에서 세포투과능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N 말단에 Rhodamine B(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A5102)로 형광 표지하였다. Raw264.7세포를 4-웰 챔버(chamber)에 3X104 개씩 분주하고, 세포 안정화를 위해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형광 표지된 펩타이드를 50, 100, 200 μM 농도로 배지에 가하였다. 펩타이드 처리 1시간 후, 세포 내 펩타이드의 투과정도를 공초점 주사형광 현미경(모델명, 회사명)로 관찰하였다. 세포의 핵은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Thermo Fisher, D1306)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DIC는 일반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를, Nuceli는 세포의 핵, Peptide는 rhodamine B와 결합된 펩타이드의 투과정도, MERGE는 DIC, Nuclei 및 투과된 펩타이드의 이미지를 중첩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처리된 세포에서는 rhodamine B (붉은색)의 형광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에서는 붉은색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펩타이드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형광의 세기 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2) 동물 조직에서 조직투과능 평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아민기에 Alexa FluorTM 680 NHS Ester (Thermo Fisher, A20008)을 이용하여 형광을 표지를 하였다. 형광 표지 방법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따랐다. 형광이 표지된 펩타이드를 주사용수에 250mg/ml 농도로 녹여서, 성견 (beagle dog) 소구치의 치은열구 및 가토 (rabbit)의 전치 치은열구에 10μL를 주입하였다. 2시간 후, 조직 내 펩타이드의 투과도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을 희생한 후 치은 조직을 채취하여 Tissue-Tek® O.C.T. Compound(Sakura Finetek, 4583)를 이용하여 조직을 포매하였다. 포매한 조직을 10μm 두께로 절편 제작한 후, 공초점 주사형광 현미경으로 형광으로 표지된 펩타이드를 확인하였다. 조직세포의 핵은 DAPI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11은 가토의 치은 조직, 도 12는 성견의 치은 조직의 결과로부터 형광 표지된 펩타이드가 치은 조직 세포를 투과하여 약 500 (440-459) μm 까지 도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는 세포 수준 뿐만 아니라, 조직까지 투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식재의 항균능 평가
크기 6X5X7mm의 콜라겐 스펀지 블록에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 500μg/0.5 ml을 침지하고, 4℃에서 8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미노싸이클린 (minocycline, Merck, M9511) 250ng/0.5ml을 크기 6X5X7mm의 콜라겐 스펀지 블록에 침지하고, 4℃에서 8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이식재의 항균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치주염 원인균인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와 Porphyromonas gingivalis를 이용하였다. BHI(brain heart infusion) 액상 배지에 각 균을 접종한 후 37℃, 120rpm 조건으로 혐기성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2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스펀지 블럭을 배지에 가하였다. 24시간 후 60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생장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스펀지 블록을 처리하였을 경우 Aa(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과 Pg(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해서는 균의 생존률이 40% 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를 콜라겐 스펀지 블록에 적용했을 때도, 항균 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식재의 치주조직재생능 평가
콜라겐 젤은 4% 농도로 0.1M PBS에 용해하였다. 콜라겐 젤 1g에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 125mg을 용해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미노싸이클린 20mg을 동일한 콜라겐 젤 1g에 용해하였다.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이식재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능을 평가하기 위해, beagle dog에서 치주염을 유발한 후에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스펀지 블록을 이식하였다. 치주염 유발은 치과용 철사를 이용하여 하악 소구치 2, 3, 4번의 치경부에 여러 겹으로 감아 치주염을 유발시켰다. 철사를 감은 후 3개월 뒤에 철사를 제거하고, 스케일링(scaling)과 치근활택술 (root planning)을 진행하였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젤과 미노싸이클린이 함유된 콜라겐 젤 15μl를 각각 치은열구에 주 2회씩 5주 동안 적용하였다. 12주 동안 치주 상태를 관찰하고, 방사선 (X-ray) 촬영을 하여, 치조골 재생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적용하지 않은 군 (NT)은 12주 후에 치조골이 생성되지 않았다. 미노싸이클린을 함유한 콜라겐 젤을 이식한 군은 NT 군과 유사한 치조골 재생 정도를 보였다. 그러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적용된 콜라겐 젤을 이식한 경우, 치조골의 재생(사각형 내 흰색부분)이 미노싸이클린을 함유한 콜라겐 젤을 이식한 군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적용된 콜라겐 젤은 치주조직재생 효과가 우수한 것을 증명하였다.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콜라겐 함량 변화에 따른 젤 형성 측정
돼지 유래 1형 콜라겐을 이용하여 리보플라빈(riboflavin sodium phosphate, Sigma, 77623-50G-F) 이 함유된 콜라겐 젤을 제조하였다. 표 1에 표시된 대로, 콜라겐의 농도를 0.375 w/v%, 0.75 w/v%, 1.125 w/v%, 1.5 w/v%, 3 w/v% 로 변화시켜 가면서 젤을 제조하였고, 리보플라빈과 NaCl, KCl, Na2HPO4, KH2PO4, NaOH는 고정하여 콜라겐 젤을 제조하였다. 용매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콜라겐 용액의 농도를 변화시킨 조성
최종 함량
기능 주성분 광감각제 콜라겐 용해 pH 조절제 등장화제
조성번호 콜라겐(w/v %) 리보플라빈 (w/v %) 아세트산 (mM) NaOH (mM) NaCl (mM) KCl (mM) Na2HPO4 (mM) KH2PO4 (mM)
1 0.375 0.0016 15 26 114 2.25 8.33 1.5
2 0.75 0.0016 15 26 114 2.25 8.33 1.5
3 1.125 0.0016 15 26 114 2.25 8.33 1.5
4 1.5 0.0016 15 26 114 2.25 8.33 1.5
5 3 0.0016 15 26 114 2.25 8.33 1.5
그 결과, 도 16과 같이, 0.75%의 콜라겐부터 젤이 형성이 되었고, 3%에서 가장 단단한 젤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리보플라빈 함량 변화에 따른 젤 형성 측정
표 2에 표시된 대로, 리보플라빈의 농도를 0.0008 w/v %, 0.0016 w/v %, 0.004 w/v %, 0.008 w/v % 로 변화시켜 가면서 젤을 제조하였고, 콜라겐과 NaCl, KCl, Na2HPO4, KH2PO4, NaOH는 고정하여 콜라겐 젤을 제조하였다. 용매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리보플라빈 용액의 농도를 변화시킨 조성
최종 함량
기능 주성분 광감각제 콜라겐 용해 pH 조절제 등장화제
조성번호 콜라겐(w/v %) 리보플라빈 (w/v %) 아세트산 (mM) NaOH (mM) NaCl (mM) KCl (mM) Na2HPO4 (mM) KH2PO4 (mM)
1 1.5 0.0008 15 26 114 2.25 8.33 1.5
2 1.5 0.0016 15 26 114 2.25 8.33 1.5
3 1.5 0.004 15 26 114 2.25 8.33 1.5
4 1.5 0.008 15 26 114 2.25 8.33 1.5
그 결과, 도 17과 같이, 0.0008 w/v% 내지 0.008 w/v% 범위에서 적절한 점도의 젤이 형성되었으며, 0.0008w/v% 내지 0.004w/v%범위에서 더욱 바람직한 정도의 점도의 젤이 형성되었다. 광경화성 조성물에서 NaOH 함량 변화에 따른 젤 형성 측정
표 3에 표시된 대로, NaOH 농도를 20mM, 26mM, 30mM 로 변화시켜 가면서 젤을 제조하였고, 콜라겐, 리보플라빈, NaCl, KCl, Na2HPO4, KH2PO4는 고정하여 콜라겐 젤을 제조하였다. 용매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pH 조절제 농도를 변화시킨 조성
최종 함량
기능 광감각제 콜라겐 용해 pH 조절제 등장화제
조성번호 콜라겐(w/v %) 리보플라빈 (w/v %) 아세트산 (mM) NaOH (mM) NaCl (mM) KCl (mM) Na2HPO4 (mM) KH2PO4 (mM)
1 1.5 0.0016 15 20 114 2.25 8.33 1.5
2 1.5 0.0016 15 26 114 2.25 8.33 1.5
3 1.5 0.0016 15 30 114 2.25 8.33 1.5
그 결과, 도 18과 같이, 20mM NaOH 에서는 젤이 형성되지 않았고, 26mM, 30 mM의 NaOH에서 젤이 형성되었다. 광경화성 조성물(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빛 조사에 의한 성상 변화
표 1의 조성번호 4의 콜라겐 젤 300μl에 450nm 파장의 빛을 2W/cm2 세기로 시간을 10초, 20초, 30초, 50초, 60초로 변화시키면서 조사하고, 콜라겐 젤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가 도 19에 예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빛을 10초 조사하였을 때는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빛을 20초간 조사하였을 때부터 경화가 진행되면서 고체상태로 변하기 시작했으며, 30초 이후에는 고체상태로 변화하였다.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 측정
표 1에 기재된 조성번호 2 내지 5의 젤을 점도계(DV-II Pro viscosity meter, Brookfiled)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시 스핀들(spindle)은 42번을 이용하였으며, 90 rpm으로 경화 전과 후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도 20에 그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조성 2 내지 5의 겔의 경화전의 점도는 25 내지 270 cP 사이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경화후의 점도는 110 내지 410cP로 증가하였다. 즉, 조성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경화 전 대비 경화 후의 점도는 1.5배 내지 4배 정도 증가할 수 있다.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안정성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표 1의 조성번호 4의 콜라겐 젤에 빛을 30초 동안 조사하고, 500μl의 정제수에 넣어 37℃에서 7일, 14일, 30일 동안 보관하였다. 대조군으로 조성번호 4의 콜라겐 젤을 빛을 조사하지 않고, 500μl의 정제수에 넣어 37℃에서 7일, 14일, 30일 동안 보관하였다.
그 결과가 도 21에 예시되어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30초 동안 빛을 조사한 후 정제수를 넣은 젤은 형상을 유지하였으며, 빛을 조사하지 않은 젤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정제수와 혼합되었다. 따라서, 30초 동안 빛을 조사한 조성번호 4의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은 30일까지 안정적으로 고체상의 젤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의 이식재로 적응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은 체내 국소부위에 콜라겐 블록과 같이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성견에서 인공적으로 유도한 임플란트 주위염에 표 1의 조성번호 4의 콜라겐 젤을 적용하였다. 도 22에 예시되어 잇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주위염이 나타난 부위의 잇몸을 절개한 후 임플란트 주위를 최대한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세척을 완료한 후 펩타이드가 함유된 콜라겐 블록을 임플란트 주위염 부위에 이식하였다(도 22a). 이식 후 콜라겐 블록을 고정하기 위해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을 0.5ml을 도포한 후(도 22b), 450nm 파장, 2W/cm2 세기로 빛을 30초간 조사하였다(도 22c).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콜라겐 젤이 젤화 된 것을 확인한 후 절개한 잇몸을 봉합하였다(도 22d). 이식 4주 후에도 이식부위가 부작용없이 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현되는 형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NIBEC <120> BIOABSORBABLE AND PHOTOCURABLE COMPOSITION, BIOABSORBABLE GUIDED TISSUE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GRAFTING METHOD USING THE SAME <130> DPP20220088KR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HAV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OR TISSUE REGENERATION <400> 1 Gly Lys Cys Ser Thr Arg Gly Arg Lys Ser Ser Arg Arg Lys Lys 1 5 10 15 <210> 2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HAV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OR TISSUE REGENERATION <400> 2 Cys Pro Arg Arg Tyr Lys Gln Ile Gly Thr Cys Gly Leu Pro Gly Thr 1 5 10 15 Lys Cys Cys Lys Lys Pro 20 <210> 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HAV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OR TISSUE REGENERATION <400> 3 Gly Lys Cys Ser Thr Arg Gly Arg Lys Cys Cys Arg Arg Lys Lys 1 5 10 15 <210> 4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HAV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OR TISSUE REGENERATION <400> 4 Arg Lys Ile Glu Ile Val Arg Lys Lys Pro Ile Phe Lys Lys Ala Thr 1 5 10 15 Val Thr <210> 5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HAV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OR TISSUE REGENERATION <400> 5 Cys Lys Arg Lys Lys Lys Gly Lys Gly Leu Gly Lys Lys Arg Asp Pro 1 5 10 15 Cys Leu Arg Lys Tyr Lys 20

Claims (25)

  1.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이식재가 채워진 체내 이식 부위 상부에 도포하여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고,
    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어, 상기 가시광에 의해 가교된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 공간을 채워주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하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의 조사 전 대비 상기 가시광의 조사 후의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1.5 배 내지 4.5배 증가하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작제는 리보플라빈인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보플라빈 : 콜라겐의 중량 비율은 1 : 0.00056 ~ 1 : 0533 인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은 청색 파장대의 광원으로 최대 2W/㎠ 출력을 가지는 광원인 광경화성 조성물.
  6.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1 제와 상기 제1 제를 침지할 수 있도록 제제화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제2 제를 포함하는 이식재; 및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상기 이식재가 채워진 이식 부위에 도포되어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고, 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어, 상기 가시광에 의해 가교된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공간을 채워주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하는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항균능, 항염능, 항균능과 항염능, 항균능, 항염능 및 세포 투과능을 가지는 펩타이드인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인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는 상기 펩타이드를 10-4~0.5 중량부로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의 조사 전 대비 상기 가시광의 조사 후의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1.5 배 내지 4.5배 증가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작제는 리보플라빈인 체내 흡수성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보플라빈 : 콜라겐의 중량 비율은 1 : 0.00056 ~ 1 : 0.0533인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은 청색 파장대의 광원으로 최대 2W/㎠ 출력을 가지는 광원인 광경화성 조성물.
  14. 체내 이식 부위에 이식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이식재가 채워진 이식 부위 상부에 광감작제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이식 부위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이식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체내 흡수형 광경화성 조성물에 가시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감작제가 활성화되어 상기 콜라겐이 가교화되도록 하여, 상기 가시광에 의해 가교된 상기 콜라겐이 상기 이식 부위의 미세한 빈공간을 채우고 상기 이식재와 밀착 결합하여 상기 이식재를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를 채우는 단계 전에
    상기 체내 이식 부위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식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부위는 치주 질환 부위이고,
    상기 전처리 단계는 스케일링 또는 스케일링과 치근활택술을 포함하는 이식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의 조사 전 대비 상기 가시광의 조사 후의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1.5 배 내지 4.5배 증가하는 이식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작제는 리보플라빈인 이식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보플라빈 : 콜라겐의 중량 비율은 1 : 0.00056 ~ 1 : 0.0533인 이식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은 청색 파장대의 광원으로 최대 2W/㎠ 출력을 가지는 이식 방법.
  2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기는 상기 체내 흡수형 광감성 조성물 내로 침투하여 광원을 전달하는 이식 방법.
  2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는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1 제와 상기 제1 제를 침지할 수 있도록 제제화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제2 제를 포함하는 이식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항균능, 항염능, 항균능과 항염능, 항균능, 항염능 및 세포 투과능을 가지는 펩타이드인 이식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인 이식 방법.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재는 상기 펩타이드를 10-4~0.5 중량부로 포함하는 이식 방법.
KR1020220019710A 2022-02-15 2022-02-15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KR20230122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10A KR20230122898A (ko) 2022-02-15 2022-02-15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PCT/KR2023/002116 WO2023158179A1 (ko) 2022-02-15 2023-02-14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10A KR20230122898A (ko) 2022-02-15 2022-02-15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898A true KR20230122898A (ko) 2023-08-22

Family

ID=8757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710A KR20230122898A (ko) 2022-02-15 2022-02-15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2898A (ko)
WO (1) WO20231581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28B1 (ko) * 2010-06-16 2013-04-29 주식회사 나이벡 항균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3163423A1 (en) * 2012-04-25 2013-10-31 Musc Foundation For Research Develop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healing and tissue repair
KR20140135905A (ko) * 2013-05-16 2014-11-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골 형성방법
KR20160125640A (ko) * 2015-04-22 2016-11-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가교된 콜라겐 하이드로겔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45084A1 (en) * 2015-09-14 2017-03-23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Composition for bone regeneration
KR102410954B1 (ko) * 2020-02-27 2022-06-21 (주) 코웰메디 골 이식용 생체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179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878A (en) Morphogen-induced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US8546529B2 (en) Injectable bone regeneration gel containing bone formation enhancing peptide
Kalpidis et al. Treatment of intrabony periodontal defects with enamel matrix derivative: a literature review
US6878383B2 (en) Compositions for regenerating tissue that has deteriorated,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JP2006167445A (ja) 硬組織代替性担体材料
EP350028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elf-assembling peptides for use in treatment of periodontitis and/or peri-implantitis
US8029769B2 (en) Protein formulation
Njeh et al. Reactionary and reparative dentin formation after pulp capping: Hydrogel vs. Dycal
Sadeghian et al. Dentin extracellular matrix loaded bioactive glass/GelMA support rapid bone mineralization for potential pulp regeneration
Nam et al. Enhanced ridge preservation by bone mineral bound with collagen‐binding synthetic oligopeptide: A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in humans
EP0665739B1 (en) Morphogen-induced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KR101206345B1 (ko) 신규한 단백질 배합물
JP2013010010A (ja) 間葉系細胞増殖促進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骨格系生体材料
Unnikrishnan et al. Nanocomposite fibrous scaffold mediated mandible reconstruction and dental rehabilitation: An experimental study in pig model
US8071131B2 (en) Mineralizing composite materials for restoring teeth
KR20230122898A (ko) 체내 흡수성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내 흡수성 조직 재생 유도재 및 이를 이용한 이식 방법
WO1999060951A1 (en) Compositions for regenerating tissue that has degenerated,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Sculean et al. Immunohistochemical investigation on the pattern of vimentin expression in regenerated and intact monkey and human periodontal ligament
Shi et al. Periodontal regeneration in experimentally-induced alveolar bone dehiscence by an improved 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ceramic in beagle dogs
Tal et al. Guided periodontal regeneration using bilayered collagen membranes and bovine bone mineral in fenestration defects in the canine.
Ripamonti et al. Induction of cementogenesis and periodontal ligament regeneration by the bone morphogenetic proteins
JPWO2005079728A1 (ja) 象牙質再生方法
Chairperson et al. Session 1: Collagen Cross-Linking and Biomineralization
KR20230122899A (ko) 항균, 항염증 또는 조직재생능을 구비하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456638B1 (ko) 아텔로콜라겐으로 코팅된 골 분말을 포함하는 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