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453A -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Google Patents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2453A KR20230122453A KR1020220019151A KR20220019151A KR20230122453A KR 20230122453 A KR20230122453 A KR 20230122453A KR 1020220019151 A KR1020220019151 A KR 1020220019151A KR 20220019151 A KR20220019151 A KR 20220019151A KR 20230122453 A KR20230122453 A KR 202301224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m
- decontamination
- positive
- concentration
- spor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5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FRPJTGXMTIIFIT-UHFFFAOYSA-N tetraacetyleth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CC(=O)C(N)(C(C)=O)C(N)(C(C)=O)C(C)=O FRPJTGXMTIIFI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MSFGZHUJTJBYFA-UHFFFAOYSA-M sodium dichloroisocyanurate Chemical compound [Na+].ClN1C(=O)[N-]C(=O)N(Cl)C1=O MSFGZHUJTJBYFA-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60001922 sodium perborat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YKLJGMBLPUQQOI-UHFFFAOYSA-M sodium;oxidooxy(oxo)borane Chemical compound [Na+].[O-]OB=O YKLJGMBLPUQQOI-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4348 Glyceryl di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9443 glyceryl diacet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063299 Bacillus subti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4469 Bacillus subti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93410 Bacillus atrophae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93738 Bacillus anthrac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43957 Vanessa atalan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65181 bacillus anthraci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HDHVHZZCFYRSB-UHFFFAOYSA-N pyriproxyfen Chemical compound C=1C=CC=NC=1OC(C)COC(C=C1)=CC=C1OC1=CC=CC=C1 NHDHVHZZCFYRS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3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OKBPCTLSPGDQBO-UHFFFAOYSA-L disodium;dichloride Chemical compound [Na+].[Na+].[Cl-].[Cl-] OKBPCTLSPGDQB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0
- ZFSLODLOARCGLH-UHFFFAOYSA-N isocyanu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NC(O)=NC(O)=N1 ZFSLODLOARCG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AKHNMLFCWUSKQB-UHFFFAOYSA-L sodium thio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S AKHNMLFCWUSKQ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345 sodium thio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KFSLWBXXFJQRDL-UHFFFAOYSA-N Per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O KFSLWBXXFJQR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124 biolog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GZUXJHMPEANEGY-UHFFFAOYSA-N bromomethane Chemical compound BrC GZUXJHMPEANE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403 Clostr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2396 methyl brom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HVLMTFVQDZYHP-UHFFFAOYSA-N 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2-[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O OHVLMTFVQDZY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MUNWXXNJPVALC-UHFFFAOYSA-N 1-[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1CC2=C(CC1)NN=N2)=O HMUNWXXNJPVA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DXJRKWFNNFDSA-UHFFFAOYSA-N 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N(CC2=NNN=C21)CC(=O)N3CCN(CC3)C4=CN=C(N=C4)NCC5=CC(=CC=C5)OC(F)(F)F LDXJRKWFNNF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ZFUQSJFWNHZHM-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N1CC2=C(CC1)NN=N2 WZFUQSJFWNHZ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093 NaOC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04 alk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99 bactericid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KXHCNPAFAXVRZ-UHFFFAOYSA-N benz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H3+]CC1=CC=CC=C1 XKXHCNPAFAXV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79 depl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6—1,3,5-Triazines, not hydrogenated and not substituted at the ring nitrogen ato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4—Boron;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에 관한 것으로,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고농도 그람 양성 포자에 대한 제독제로서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처리하여 30분 이내에 완전 제독할 수 있는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람 양성 포자 용액에 대하여, 제독제로서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c) 과붕산나트륨;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의 혼합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처리하여 제독하는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물학 무기란 생물학 작용제를 무기화하여 각종 전장에서 의도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물질이다. 생물학적 작용제로 사용되는 미생물 중 바실러스(Bacillus)와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속 미생물은 특정 조건 하에서 포자(spore)를 형성하는데 이 포자는 모든 생물체 가운데 가장 파괴하기가 어려우며 악조건 하에서도 생존을 지속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일반 미생물이 사멸하는 자외선, 100 ℃ 정도의 열, 건조 등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이들 포자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고압증기멸균 등의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다.
생물학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량의 고농도 생물학 작용제 용액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무력화하는 제독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량의 생물학 작용제 용액의 제독에 대해 명시한 문헌은 없으며, 소량 및 저농도 용액에 대하여 제독을 시도한 사례만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이용된 대다수의 제독제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다는 치명적 단점이 존재한다.
기존의 제독제로서 알킬화 반응 기반인 포름알데히드와 브로민화메틸은 발암성 및 오존층 파괴 물질인 문제점이 있고, 효율이 낮거나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포름알데히드는 4% 수용액에 2시간 노출시켜 108 cfu/mL의 B. anthracis 포자 용액에서 포자를 절반 감소시키는데 그쳤고 (Rubbo et al., 1967), 브로민화 메틸은 기체로 3.4-3.8 g/L 농도로 처리하여 사멸시키는데 24시간 소요되었다 (Kolb et al., 1950).
산화반응 기반인 과초산 등의 경우 소량인 50uL 용액에 대해서만 시험이 이루어졌으며, 과초산은 0.08%에서 45분 반응 시 <0.01% 생존하였다 (Sagripanti et al., 1996). 염소계열인 차아염소산 나트륨 (NaOCl)의 경우에도 소량인 50uL에 대한 표면 제독 시험에 그쳤으며, 0.05%에서 10분 반응시 0.001% 생존, 0.1%에서 10분 반응 시 효과가 없었다 (Block, 2004).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량의 고농도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을 제독제로 처리하여 짧은 시간 내에 완전 제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그 제독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의 그람 양성 포자를 짧은 시간 내에 제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etraacetylethylenediamine, TAED)을 포함한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그람 양성 포자에 처리하는,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일 수 있다.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바실러스 아트로페어스(Bacillus atrophaeus), 바실러스 글로비지(Bacillus globigii),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igiensis)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방법에서, 그람 양성 포자 용액에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한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투입하고 20 내지 45 ℃에서 교반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방법에서, 제독 반응 후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으로 중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1 내지 10%(v/v) 이고, 20 내지 45 ℃에서 수행되는,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3 내지 7%(v/v) 이고, 35 내지 40 ℃에서 수행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방법을 통해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을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05 내지 1%(w/v) 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독제의 농도가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05 내지 0.15%(w/v) 인 경우 60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상기 제독제의 농도가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25 내지 0.35%(w/v) 인 경우 30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상기 제독제의 농도가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4 내지 0.6%(w/v) 인 경우 5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독제로서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을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0.1 내지 1.5%(w/v) 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0.3 내지 1.5%(w/v) 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방법을 통해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독제로서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을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10 내지 50%(v/v) 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독 반응을 30분 이내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고농도 그람 양성 포자에 제독제를 처리하여 30분 이내에 완전 제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트로페어스 포자(Bacillus atrophaeus 포자, 이하 'BG 포자'라고 함) 농도별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5℃에서 반응 시간 별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7℃에서 반응 시간 별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BG 포자 농도별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농도별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BG 포자 농도별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5%(w/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75%(w/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1.0%(w/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 10%(v/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을 15분 동안 농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5℃에서 반응 시간 별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7℃에서 반응 시간 별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BG 포자 농도별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농도별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BG 포자 농도별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5%(w/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75%(w/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1.0%(w/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 10%(v/v)를 시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을 15분 동안 농도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이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etraacetylethylenediamine, TAED)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처리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그람 양성 포자를 포함한 형태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그람 양성 포자를 포함한 분말 또는 용액일 수 있다.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1Х1010 cfu/mL 이하의 농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9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바실러스(Bacillus) 속 또는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속 미생물 일 수 있고, 특히 바실러스 아트로페어스(Bacillus atrophaeus), 바실러스 글로비지(Bacillus globigii),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igiensis)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방법은 그람 양성 포자에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투입하고 20 내지 45 ℃에서 교반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방법은 제독 반응 후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으로 중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처리하고, 상기 과산화수소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1 내지 10%(v/v) 의 농도이고, 20 내지 45 ℃에서 수행되는,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10 cfu/mL 이하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9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3 내지 7%(v/v) 의 농도로, 35 내지 4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독 반응을 통하여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1Х107 내지 1Х108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산화수소 5%(v/v) 의 농도, 25℃, 200rpm, 10분간 처리를 통해 완전 제균 가능하다.
표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산화수소 5%(v/v) 의 농도, 25℃, 200rpm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수가 감소하였으나, 30분 경과시 BG 포자가 106 cfu/mL수준으로 남아있었다.
표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산화수소 5%(v/v) 의 농도, 37℃, 0rpm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수가 감소하여, 15분 경과시 BG 포자가 완전히 제균되었다.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를 처리하고, 상기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0.05 내지 1%(w/v) 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10 cfu/mL 이하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9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의 농도가 포자 용액에 대하여 0.05 내지 0.15%(w/v) 인 경우 60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상기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의 농도가 포자 용액에 대하여 0.25 내지 0.35%(w/v) 인 경우 30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Х107 내지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 0.5%(w/v)의 농도, 25℃, 200rpm, 5분간 처리를 통해 완전 제균 가능하다.
표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NaDCC 0.1%(w/v), 25℃, 200rpm를 처리한 경우, 50분 경과시 BG 포자가 완전히 제균되었고, NaDCC 0.3%(w/v), 25℃, 200rpm 를 처리한 경우, 15분 경과시 BG 포자가 완전히 제균되었다.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etraacetylethylenediamine, TAED)을 포함한 조성물을 처리하고, 상기 과붕산나트륨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0.1 내지 1.5%(w/v) 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10 cfu/mL 이하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9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페라세이프로 불리는 소독제 또는 살균제로 사용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은 과붕산나트륨: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1:9, 3:7, 4:6, 5:5, 6:4, 7:3, 9:1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0.3 내지 1.5%(w/v)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w/v)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w/v) 일 수 있다.
상기 제독 반응을 통하여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1Х107 내지 1Х108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3%(w/v)의 농도, 25℃, 0rpm, 15분간 처리를 통해 완전 제균 가능하다.
표 4,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5%(w/v), 25℃, 0rpm 에서는, 15분 경과 후 BG 포자 농도 102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표 5,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0.75%(w/v), 25℃, 0rpm 에서는, 15분 경과 후 BG 포자 농도 101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표 6,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1.0%(w/v), 25℃, 0rpm 에서는, 15분 경과 후 완전히 제균되었다.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
본 발명은 제독제로서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을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포자 용액에 대하여 0.1 내지 1%(v/v) 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DF-200로 불리는 오염제거 조성물, 소독약 또는 살균제로 사용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한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46:46:8, 47:47:6, 48:48:4, 49:49:2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는 7.5~8.5%, 계면활성제 2~4%, 다이아세틴은 99% 이상의 농도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10 cfu/mL 이하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Х107 내지 1Х109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독 반응을 통하여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될 수 있다.
표 7,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상기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한 조성물10%(v/v), 35℃, 200rpm에서는, 15분 경과 후 BG 포자 농도 106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표 8,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1Х109 cfu/mL 의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은, 35℃, 200rpm, 15분 처리 조건에서, 본 조성물 10%(v/v)에서는 BG 포자 농도 106 cfu/mL 수준으로, 본 조성물 30%(v/v)에서는 BG 포자 농도 105 cfu/mL 수준으로, 본 조성물 50%(v/v)에서는 BG 포자 농도 104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료>
바실러스 아트로페어스 포자(Bacillus atrophaeus: BG로 약칭함, 1010 cfu/mL, 고려비앤피) 용액 원액을 멸균 증류수로 희석하여 10mL BG 포자 용액 107 cfu/mL, 108 cfu/mL, 109 cfu/mL 을 준비하였다.
<제독제>
이하 실시예에서 제독제는 과산화수소;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과붕산나트륨;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의 혼합 조성물; 을 각각 사용하였다.
과산화수소는 원액 (30%)을 이용하였다.
분말인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와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한 조성물은 아래와 같이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이하, 'NaDCC' 라 함) 분말은 TCI 에서 구입하였고, 멸균 증류수에 혼합하여 3% (w/v) 용액을 제조하였다.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한 조성물은 페라세이프(Perasafe®)는 나노팜에서 구입하였고(이하 '페라세이프'라 함), 멸균 증류수에 혼합하여 1.62% (w/v) 용액을 제조하였다.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한 조성물은 EasyDECON® DF-200을 사용하였고(이하 'DF-200' 이라 함), 다음의 성분 1, 2, 3을 24:24:2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1: 과산화수소(8%), 성분 2: 계면활성제(3%), 성분 3: diacetin(>99%) 이다. 계면활성제는 3.20%n-alkyl (c-12,16-N,N-dimethyl-N benzyl ammonium chloride)) 이고, 상기 재료들은 한국테러방지협회에서 구입하였다.
<제독 반응>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 상기 준비된 BG 포자 용액를 넣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독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중화 반응>
상기 제독 반응 후, 50%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용액으로 중화하였다. 과산화수소 중화는 1:1.4, NaDCC 중화는 1:0.5, 과붕산나트륨 중화는 1:0.3(각 비율은 제독액 부피%: 중화액 부피%)으로 하였고, DF-200은 100배 희석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세포수 측정 및 분석>
상기와 같이 중화가 종결된 용액은 TSA 배지에 도말함으로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세포수는 log를 취함으로써 그래프 도식화하였다.
실시예 1
10mL BG 포자 용액에 과산화수소 원액 30 %(v/v) 2mL를 투입하여 5% (v/v) 과산화수소로 제독을 실시하였다. 이후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2mL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7, 1Х108, 1Х109 cfu/mL 각각에 대하여 25℃, 200rpm, 10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도 1은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으로, 이를 참조하면, BG 포자 농도 1Х107, 1Х108 cfu/mL 에서는 완전히 제독되었고, BG 포자 1Х109 cfu/mL 에서는 BG 포자가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25℃, 200rpm으로, 10분, 20분, 30분간 제독을 실시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2a 및 도 2b로 나타내었다.
[표 1]
표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수가 감소하였으나, 30분 경과시 BG 포자가 106 cfu/mL수준으로 남아있었다.
(실시예 1-3)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37℃, 0rpm으로, 5분, 10분, 15분간 제독을 실시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3a 및 도 3b로 나타내었다.
[표 2]
표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수가 감소하여, 15분 경과시 BG 포자가 완전히 제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10mL BG 포자 용액에 NaDCC 용액 3%(w/v)를 아래와 같은 양으로 투입하여 제독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7, 1Х108, 1Х109 cfu/mL 각각에 대하여 NaDCC 용액 3%(w/v) 1111uL를 투입하여 NaDCC 0.5% (w/v)로 25℃, 200rpm, 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이후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30 uL를 이용하였다.
도 4는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으로, 이를 참조하면 BG 포자 농도 1Х107, 1Х108, 1Х109 cfu/mL 에서 완전히 제독되었다.
(실시예 2-2)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NaDCC 용액 3%(w/v) 350uL 를 투입하여 NaDCC 0.1%(w/v), 25℃, 200rpm으로, 5분, 10분, 15분, 30분, 50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10uL를 이용하여 반응을 종료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5a 및 도 5b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NaDCC 용액 3%(w/v) 1111uL 를 투입하여 NaDCC 0.3%(w/v), 25℃, 200rpm으로, 5분, 10분,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중화는 50% sodium thiosuflate 용액 30uL 를 이용하여 반응을 종료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5a 및 도 5b로 나타내었다.
[표 3]
표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수가 감소하였고, (2)의 NaDCC 0.1%(w/v)를 사용한 경우, 50분 경과시 BG 포자가 완전히 제균되었고, (3)의 NaDCC 0.3%(w/v)를 사용한 경우, 15분 경과시 BG 포자가 완전히 제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10mL BG 포자 용액에 페라세이프 용액 1.62%(w/v)을 아래와 같은 양으로 투입하여 제독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7, 1Х108, 1Х109 cfu/mL 각각에 대하여 페라세이프 용액 1.62%(w/v)을 2200uL 투입하여 페라세이프 0.3%(w/v)로 25℃, 0rpm,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이후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30uL를 이용하였다.
도 6은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으로, 이를 참조하면 BG 포자 농도 1Х107, 1Х108 cfu/mL 에서는 완전히 제독되었고, BG 포자 1Х109 cfu/mL 에서는 BG 포자가 극소량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과붕산나트륨 용액 1.62%(w/v)을 4.5mL 투입하여 과붕산나트륨 용액 0.5%(w/v), 25℃, 0rpm으로, 5분, 10분,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50uL을 이용하여 반응을 종료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7a 및 도 7b로 나타내었다.
[표 4]
표 4,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과붕산나트륨 0.5%(w/v)에서는, 15분 경과 후 BG 포자 농도 102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3-3)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과붕산나트륨 용액 1.62%(w/v)을 8mL 투입하여 과붕산나트륨 0.75%(w/v), 25℃, 0rpm으로, 5분, 10분,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75uL을 이용하여 종료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8a 및 도 8b로 나타내었다.
[표 5]
표 5,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과붕산나트륨 0.75%(w/v)에서는, 15분 경과 후 BG 포자 농도 101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3-4)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에 대하여 과붕산나트륨 용액 1.62%(w/v)을 16mL 투입하여 과붕산나트륨 1.0%(w/v), 25℃, 0rpm으로, 5분, 10분,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중화는 50%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100uL을 이용하여 반응을 종료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으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9a 및 도 9b로 나타내었다.
[표 6]
표 6,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과붕산나트륨 1.0%(w/v)에서는, 15분 경과 후에는 완전히 제균되었다. 즉, 과붕산나트륨 용액으로 제균 시에는 1.0%(w/v)의 농도로 15분 동안 처리하여 완전 제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10mL BG 포자 용액에 상기 제조된 DF-200을 투입하여 제독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 에 대하여, DF-200 용액 1mL 투입하여 DF-200 10%(v/v)로 37℃, 200rpm으로, 5분, 10분,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100배 희석하여 TSA 배지에 도말하였다. 그 결과를 표 7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10a 및 도 10b로 나타내었다.
[표 7]
표 7,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DF-200 10%(v/v)에서는, 15분 경과 후 BG 포자 농도 106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4-2) 상기 조건 하에서, BG 포자 농도 1Х109 cfu/mL 에 대하여, DF-200 용액 1mL(10%(v/v)), 3mL(30%(v/v)), 5mL(50%(v/v)) 투입하여 37℃, 200rpm으로, 15분간 제독을 실시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100배 희석하여 TSA 배지에 도말하였다. 그 결과를 표 8로 나타내었고, 상기 제독을 완료한 후 페트리디쉬 사진과 상기 세포수의 로그 그래프는 도 11a 및 도 11로 나타내었다.
[표 8]
표 8,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15분 경과 후 DF-200 10%(v/v)에서는 BG 포자 농도 106 cfu/mL 수준으로, DF-200 30%(v/v)에서는 BG 포자 농도 105 cfu/mL 수준으로, DF-200 50%(v/v)에서는 BG 포자 농도 104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그람 양성 포자 용액의 제독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제독제로서,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etraacetylethylenediamine, TAED)을 포함한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그람 양성 포자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 포자는
바실러스 아트로페어스(Bacillus atrophaeus), 바실러스 글로비지(Bacillus globigii),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igiensis)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그람 양성 포자에
a) 과산화수소;
b)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
c)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 또는
d)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을 포함한 조성물; 중 선택된 하나를 투입하고 20 내지 45 ℃에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독제로서 과산화수소를 그람 양성 포자에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1 내지 10%(v/v) 이고,
20 내지 45℃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3 내지 7%(v/v) 이고,
35 내지 4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독제로서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나트륨(NaDCC)을 그람 양성 포자에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05 내지 1%(w/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제의 농도가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05 내지 0.15%(w/v) 인 경우
60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제의 농도가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25 내지 0.35%(w/v) 인 경우
30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제의 농도가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4 내지 0.6%(w/v) 인 경우
5분 이내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독제로서 과붕산나트륨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포함한 조성물을 그람 양성 포자에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1 내지 1.5%(w/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0.3 내지 1.5%(w/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30분 이내에 그람 양성 포자가 완전 제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독제로서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및 다이아세틴(diacetin)을 포함한 조성물을 그람 양성 포자에 처리하고,
상기 제독제의 농도는 상기 포자 용액에 대하여 10 내지 50%(v/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그람 양성 포자를 1Х107 내지 1Х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제독반응을 30분 이내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151A KR102685656B1 (ko) | 2022-02-14 | 2022-02-14 |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151A KR102685656B1 (ko) | 2022-02-14 | 2022-02-14 |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453A true KR20230122453A (ko) | 2023-08-22 |
KR102685656B1 KR102685656B1 (ko) | 2024-07-15 |
Family
ID=8779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9151A KR102685656B1 (ko) | 2022-02-14 | 2022-02-14 |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56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3224B1 (ko) * | 2023-05-19 | 2023-12-12 | 국방과학연구소 | 생물학 작용제의 제독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6328B1 (ko) * | 2001-10-01 | 2009-09-11 | 산디아 코포레이션 | 화학적, 생물학적 및 산업적 독극물의 개선된 중화용 제제 |
KR20100031605A (ko) * | 2007-06-08 | 2010-03-23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표면상의 세균 포자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살포자제 |
US20150305344A1 (en) * | 2014-04-28 | 2015-10-29 | American Sterilizer Company | Decontamination or sterilization process |
US9700644B2 (en) * | 2006-08-15 | 2017-07-11 | American Sterilizer Company | One part, solids containing decontamination blend composition |
KR20200079713A (ko) | 2018-12-26 | 2020-07-06 | 국방과학연구소 | 그람양성균 모의 작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1211411A1 (en) * | 2020-04-13 | 2021-10-21 |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 Disinfect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2022
- 2022-02-14 KR KR1020220019151A patent/KR1026856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6328B1 (ko) * | 2001-10-01 | 2009-09-11 | 산디아 코포레이션 | 화학적, 생물학적 및 산업적 독극물의 개선된 중화용 제제 |
US9700644B2 (en) * | 2006-08-15 | 2017-07-11 | American Sterilizer Company | One part, solids containing decontamination blend composition |
KR20100031605A (ko) * | 2007-06-08 | 2010-03-23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표면상의 세균 포자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살포자제 |
US20150305344A1 (en) * | 2014-04-28 | 2015-10-29 | American Sterilizer Company | Decontamination or sterilization process |
KR20200079713A (ko) | 2018-12-26 | 2020-07-06 | 국방과학연구소 | 그람양성균 모의 작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1211411A1 (en) * | 2020-04-13 | 2021-10-21 |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 Disinfect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3224B1 (ko) * | 2023-05-19 | 2023-12-12 | 국방과학연구소 | 생물학 작용제의 제독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5656B1 (ko) | 2024-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36861B1 (en) | Composition containing peroxide and an antimicrobial agent and process of killing spores | |
US20070264355A1 (en) | Bina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erilization | |
EP1851271A1 (en) | Peracid/ peroxid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as an anti-microbial and a photosensitizer | |
CN106715647A (zh) | 具有新颖聚合物负载体系的抗菌配方和方法 | |
ZA200502838B (en) | Biocide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s | |
EA009242B1 (ru) | Улучше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нейтрализации химически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токс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 |
KR102685656B1 (ko) | 그람 양성 포자의 제독 방법 | |
KR101302457B1 (ko) |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한 고수준 소독을 위한 방법 및조성물 | |
CN1173822A (zh) | 通过在表面使用催化剂清洁表面的制品,组合物和方法 | |
JP5604006B2 (ja) | 水性汚染除去組成物 | |
NZ764703A (en) | Process for removal of biofilm | |
JP2016000005A (ja) | イネ種子の催芽時殺菌処理方法 | |
Vargová et al. | Sanitation and the Environment | |
JP2021186812A (ja) | 消毒剤、消毒方法および消毒剤キット | |
Wallace et al. | Use of in situ-generated dimethyldioxirane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agents | |
KR102613224B1 (ko) | 생물학 작용제의 제독 방법 | |
Mohan et al. | Inactivation of Bacillus atrophaeus spores with surface‐active peracids and characterization of formed free radicals using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 |
SU1685459A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го раствора на основе перекиси водорода и/или пероксогидрата | |
CN1631161A (zh) | 一种含有稳定二氧化氯的蚕用消毒剂 | |
RU2176921C2 (ru) | Способ деконтамин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ей | |
KR20240142974A (ko) | 효소 기반 독소의 제독 방법 | |
US20110008469A1 (en) |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thereof | |
WO2022180446A1 (ru) | Сред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 |
JP2012524570A (ja) | マイコバクテリアの殺菌又はその増殖の阻害のための方法 | |
KR20200133727A (ko) | 표면 탈오염 제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