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724A -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 Google Patents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724A
KR20230121724A KR1020237016524A KR20237016524A KR20230121724A KR 20230121724 A KR20230121724 A KR 20230121724A KR 1020237016524 A KR1020237016524 A KR 1020237016524A KR 20237016524 A KR20237016524 A KR 20237016524A KR 20230121724 A KR20230121724 A KR 20230121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icle
marker
frame
gripping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코토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2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72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75Assembly, maintenance, transport or storage of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2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 G03F1/64Pellicles, e.g. pellicle assemblies, e.g. having membrane on support fram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frames, e.g. structure or material, including bond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83Optical system protection, e.g. pellicles or removable covers for protection of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페리클 프레임이 비뚤어져 있어도 페리클 프레임의 파지를 정확하게 행해질 수가 있다. 복수의 막대 모양 부재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합한 프레임 형상의 부재인 프레임 바디(10)와, 프레임 바디(10)에 설치되는 복수의 페리클 파지 부재(21)와, 페리클 파지 부재(21)마다 설치된 구동부로서, 페리클 파지 부재가 홈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페리클 파지 부재가 홈에 삽입되지 않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페리클 파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일부가 홈에 삽입되는 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선단부를 가진다. 선단부는,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홈에 삽입되는 선단면으로서, 페리클 파지 부재의 이동 방향인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설된 선단면을 가진다. 선단부에는, 선단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마커가 설치되어 있다.Even if the pellicle frame is distorted, the pellicle frame can be accurately gripped. A frame body 10, which is a frame-shaped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rod-shaped members are combin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0, and a pellicle gripping member 21 A drive unit provided for each unit includes a drive unit that moves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not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has a plate-shaped or bar-shaped tip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distal end portion is a distal end face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has a distal end fac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have A marker indicating the distance from the tip surface is provided at the tip portion.

Description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본 발명은 페리클(pellicle) 프레임 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특허 문헌 1에는, 프레임 바디(frame body)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부를 이용하여 페리클 프레임을 파지하고, 페리클의 점착(粘着) 부재와 마스크(mask)를 맞닿게 하고, 계측부를 선단 근방이 마스크와 겹치는 제1 위치에 배치하여, 마스크의 표면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를 측정하고, 계측부를 선단 근방이 페리클 프레임과 겹치는 제2 위치에 이동시켜, 페리클막(pellicle 膜)까지의 거리인 제2 거리를 측정하는 페리클 프레임(pellicle frame) 파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a pellicle frame is gripped using a pellicle gripper provided on a frame body, an adhesive member of the pellicle and a mask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easurement unit is located near the tip. Place it at a first position overlapping the mask, measure a first distance, which is the distance to the surface of the mask, move the measurement unit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vicinity of the tip overlaps the pellicle frame, and measure the distance to the pellicle film. Disclosed is a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that measures a second distance of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9-12850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9-128501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페리클막까지의 거리 등의 높이 방향(페리클막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지만, 깊이 방향(페리클막과 대략 평행한 방향)의 거리에 대해서는 측정하지 못하고, 페리클 프레임이 비뚤어져 있는 경우에는 페리클 프레임의 파지가 정확하게 행해질 수 없을 우려가 있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distances in the height direction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ellicle film) such as the distance to the pellicle film, but for the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ellicle film) If measurement fails and the pellicle frame is distorted, there is a risk that the pellicle frame cannot be accurately gripped.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페리클 프레임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capable of ascertaining whether or not the pellicle frame can be gripped accuratel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는, 예를 들면, 측면에 홈(groove)이 형성된 대략 중공 통상의 페리클 프레임과, 상기 페리클 프레임의 상기 측면과 대략 직교하는 제1 면에 상기 페리클 프레임의 중공부를 덮도록 설치된 페리클막을 가지는 페리클을 파지하는 페리클 파지 장치로서, 복수의 막대 모양 부재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합한 프레임 형상의 부재인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설치되는 복수의 페리클 파지 부재와,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마다 설치된 구동부로서,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되지 않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는,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일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선단부를 가지고,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mark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evice for holding a pelli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 substantially hollow normal pellicle frame having a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ide surface of the pellicle frame. A pellicle gripping device for gripping a pellicle having a pellicle film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thereof to cover a hollow portion of the pellicle frame, comprising a frame body that is a frame-shaped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rod-shaped members are combin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 a plurality of pellicle gripping members installed on the frame body,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for each pellicle gripping member, wherei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t a first position and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 drive unit for moving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n a first direction between a second position wher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 part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 the groov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It has a plate-shaped or rod-shaped tip to be inserted, and a marker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tip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tip.

본 발명과 관련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에 의하면, 페리클 파지 부재는, 페리클 프레임의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선단부를 가진다. 선단부에는, 페리클 파지 부재의 이동 방향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페리클 파지 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부가 홈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있는지, 즉 페리클 프레임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has a plate-shaped or rod-shaped distal end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pellicle frame. At the distal end, a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provi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scertain whether the distal end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that is, whether or not the pellicle frame can be accurately gripped.

상기 선단부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표면에 코팅층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마커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페리클 파지 부재에 마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The tip portion may be formed of metal, and the marker may be provided on the tip portion by provid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As a result, the marker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상기 페리클 프레임은, 흑색 알마이트(almite)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코팅층은 흑색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페리클 프레임과 마커의 색을 일치시켜, 마커(marker)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일 수가 있다.The pellicle frame is an aluminum alloy treated with black almite,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black. This makes it possible to match the color of the pellicle frame and the marker, thereby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marker.

상기 선단부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마커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선단부로부터 마커가 사라지지 않게 할 수가 있다.The tip portion may be formed of metal, and the marker may be attached to the tip portion by shav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to form a concave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marker from disappearing from the tip.

상기 페리클 프레임은, 흑색 알마이트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마커는,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검게 착색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페리클 프레임과 마커의 색을 일치시켜, 마커의 시인성을 높일 수가 있다.The pellicle frame may be an aluminum alloy subjected to a black alumite treatment, and the marker may be formed by coloring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black. This makes it possible to match the color of the pellicle frame and the marker, thereby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marker.

상기 선단부는,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홈에 삽입되는 선단면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설(延設)된 선단면을 가지고, 상기 마커는, 상기 선단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도 좋다. 이에 의해 선단면이 홈의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지, 즉 페리클 프레임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The distal end portion has a distal end surface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 marker may indicate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fac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scertain whether the front end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that is, whether or not the pellicle frame can be accurately gripped.

상기 마커는, 상기 선단면과, 상기 제2 방향을 대략 따른 가상선인 경계선으로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경계선과에 끼워진 선단 영역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에 의해 마커가 깎여져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The marker is a boundary line that is a virtual line substantially along the second direction with the front end surface, and may not be provided in a front end area sandwiched between the boundary line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ront end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rker from being scraped off and generating dust.

상기 선단부는, 판 모양이며, 상기 마커는, 상기 선단부의 가장 넓은 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커는, 상기 경계선을 따라 늘어선 제1 마커, 제2 마커 및 제3 마커를 가지고,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달라도 좋다. 이에 의해 어느 정도 선단부를 더 이동시키면 홈에 선단부가 올바르게 삽입될지 아닐지를 용이하게 알 수가 있다.The tip portion has a plate shape, the marker is provided on the widest surface of the tip portion, the marker has a first marker, a second marker, and a third marker arranged along the boundary line, the first marker ,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may each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way, if the tip is moved further to some extent, it is easy to know whether or not the tip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를 각각 2개씩 가지고,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는,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반사판 등이 선단부의 연직 방향 상측에 설치되었다고 해도, 마커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가 있다.The markers each have two first markers, two second markers, and two third markers, and the first markers, the second markers, and the third markers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along the . As a result, even if a reflector or the like is provided above the ti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rker can be reliably recognized.

상기 마커는, 상기 프레임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 상방 또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마커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가 있다.The mark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above or obliquely when the frame body is extended horizontally. In this way, the marker can be easily visually recognized.

상기 마커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프레임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 상기 프레임 바디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에서 작업자가 마커를 눈으로 볼 필요가 없고,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An imag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marker may be provided, and the imag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rame body when the frame body is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see the marker in the interior space, and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dust.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보유되는 막대 모양의 제1 세로 프레임 및 제2 세로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는, 상기 제1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의 각각 설치되어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제1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에 인접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촬상부는,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에 끼워진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페리클 프레임으로 차단되어 마커를 촬상할 수 없는 사태를 피할 수가 있다.The frame body has a rod-shaped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held substantially in parallel at intervals, and the pellicle holding membe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he image capturing un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respectively, and the image capturing unit is located outside the region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when viewed from above in a vertical direction. may be installed 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an image of the marker cannot be captured due to being blocked by the pellicle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페리클 프레임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ellicle frame can be accurately gripped.

도 1은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페리클 파지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페리클(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페리클 파지부(20)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마커(2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G10 사이즈보다 작은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G10 사이즈보다 작은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A)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B)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마커(23B)를 시인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C)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D)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E)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페리클 파지 장치(2) 및 페리클 첩부(貼付) 장치(3)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페리클 파지 장치(2) 및 페리클 첩부 장치(3)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촬상부(32)가 세로 프레임부(11)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촬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페리클(100)이 비뚤어져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페리클(100)이 비뚤어져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ellicle gripping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pellicle 100.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ellicle gripping unit 20. As shown i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arker 23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distal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of size G10.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distal end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of size G10.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smaller than the G10 size.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distal end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smaller than the G10 size.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A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B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marker 23B is visually recognized obliquely from above.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C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D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E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ellicle gripping device 2 and a pellicle sticking device 3;
1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2 and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As shown in FIG.
Fig. 18 is a view showing how the imaging section 32 captures an image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section 11, where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ide view.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pellicle 100 is distorted.
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pellicle 100 is distor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each figure,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element, an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is abbreviate|omitted.

<제1의 실시의 형태> <First Embodiment>

도 1은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페리클 파지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페리클 파지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페리클 첩부(貼付)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다. 페리클 첩부 장치는, 연직 방향을 대략 따라 보유된 대략 판 모양의 마스크(도시하지 않음)에 페리클 파지 장치(1)가 파지된 페리클(100)을 첩부(貼付)하는 것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pellicle gripping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1 is installed in a pellicle sticking device (not shown).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attaches the pellicle 100 held by the pellicle holding device 1 to a substantially plate-shaped mask (not shown) held substa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수평 방향을 xy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하고, xy평면과 직교하는 연직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또, x방향과 y방향은 직교한다.Hereinafter,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direction along the xy plane, and the vertic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y plane is the z direction. In additio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re orthogonal.

우선, 페리클(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페리클(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페리클(100)은, 주로 페리클 프레임(101)과, 페리클 프레임(101)의 상에 장설(張設)된 페리클막(102)과, 페리클 프레임(101)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 부재(103)(도 3, 참조)를 가진다.First, the pellicle 100 will be describ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pellicle 100.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The pellicle 100 mainly includes a pellicle frame 101, a pellicle film 102 extended on the pellicle frame 101, and an adhesive memb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llicle frame 101. (103) (see Fig. 3).

페리클 프레임(101)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주를 가지는 프레임 형상(대략 중공 통상)의 부재이다. 페리클 프레임(101)은, 평면시(도 2의 지면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중앙부에 중공부(101e)를 가진다. 페리클 프레임(101)은, 중공부(101e)의 크기가 포토마스크(photomask)의 크기(예를 들면 520㎜ x 800㎜ ~ 1620㎜ x 1780㎜ 정도)와 동일한 정도이다. 페리클 프레임(101)의 프레임 형상의 부분의 폭은 수십㎜ 정도이며, 두께는 2㎜ ~ 10㎜ 정도이다.The pellicle frame 101 is a frame-shaped (substantially hollow cylinder)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uter periphery. The pellicle frame 10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paper in Fig. 2), and has a hollow portion 101e in the center. In the pellicle frame 101,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101e is about the same as the size of a photomask (for example, about 520 mm x 800 mm to about 1620 mm x 1780 mm). The width of the frame-shaped portion of the pellicle frame 101 is about several tens of mm, and the thickness is about 2 mm to 10 mm.

페리클 프레임(101)은, 대략 평행한 상면(101a) 및 하면(101b)를 가진다. 또, 페리클 프레임(101)의 상면(101a) 및 하면(101b)에 직교하는 측면(101c)에는 홈(101d)이 형성되어 있다. 홈(101d)에는 프레임 바디(10)에 설치되는 페리클 파지 부재(21)(후에 상술)가 삽입된다.The pellicle frame 101 has an upper surface 101a and a lower surface 101b that are substantially parallel. In addition, a groove 101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01c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101a and the lower surface 101b of the pellicle frame 101. A pellicle gripping member 21 (described later)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홈(101d)은, 페리클 프레임(101)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G10 유리(1620㎜ x 1780㎜)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경우에는, 깊이 d가 대략 3㎜이며, 폭 w가 대략 1.5㎜ ~ 2㎜이다. 또, G10보다 소형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경우에는, 깊이 d가 대략 2㎜이며, 폭 w가 대략 1.5㎜ ~ 2㎜이다.The groove 101d diff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10 glass (1620 mm x 1780 mm), the depth d is approximately 3 mm, and the width w is approximately 1.5 mm to 2 mm. Further, in the case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smaller than G10, the depth d is approximately 2 mm, and the width w is approximately 1.5 mm to 2 mm.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페리클 프레임(101)은 흑색 알마이트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합금이지만, 페리클 프레임(101)의 재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철, 인바(invar), 티타늄, 티타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페리클 프레임(101)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pellicle frame 101 is an aluminum alloy treated with black alumite, but the material of the pellicle frame 101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ellicle frame 101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iron, invar, titanium, or titanium alloy.

페리클막(102)은, 서브미크론(submicron)의 두께의 박막이다. 페리클막(102)은, 페리클 프레임(101)의 상면(101a)에 페리클 프레임(101)의 중공부(101e)를 덮도록 장설된다. 페리클 프레임(101)이 포토마스크(photomask) 기판 상에 첩부되면, 페리클막(102)은, 마스크의 패턴 형성면(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설치된다.The pellicle film 102 is a thin film with a submicron thickness. The pellicle film 102 is extended on the upper surface 101a of the pellicle frame 101 so as to cover the hollow portion 101e of the pellicle frame 101 . When the pellicle frame 101 is attached to a photomask substrate, the pellicle film 102 is installed away from the pattern formation surface (surface) of the mas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점착 부재(103)는, 페리클 프레임(101)의 하면(101b)에 설치된다. 점착 부재(103)는, 페리클 프레임(101)의 전체 둘레에 액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 부재(103)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핫멜트(hot melt) 접착제이다.The adhesive member 103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101b of the pellicle frame 101 . The adhesive member 103 is formed in a frame shape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pellicle frame 101 . As the adhesive member 103, a known one can be used, for example, a hot melt adhesive.

점착 부재(103)의 하단면에는, 점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층(라이너 시트(liner sheet))이 첩부되어 있다. 이형층은, 페리클 프레임(101)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첩착, 접착 등에 의해 페리클 수납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다.On the lower face of the adhesive member 103, a release layer (liner sheet) for protecting the adhesive is attached. The release layer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pellicle frame 101, and is attached to a pellicle storage container (not shown) by bonding, bonding, or the like.

페리클(100)은, 페리클 수납 용기에 재치된 상태로, 페리클 첩부 장치의 내부에 반입된다. 이 때, 페리클 프레임(101)의 상면(101a) 및 하면(101b)은, 수평 방향을 대략 따르고 있다.The pellicle 100 is carried into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in a state of being placed in the pellicle storage container.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101a and the lower surface 101b of the pellicle frame 101 substantially follow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페리클 파지 장치(1)는, 주로 프레임 바디(10)와, 페리클 파지부(20)와, 계측부(31)를 가진다. 페리클 파지부(20) 및 계측부(31)는, 프레임 바디(10)에 설치된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1 mainly includes a frame body 10 , a pellicle gripping unit 20 , and a measurement unit 31 . The pellicle gripping unit 20 and the measurement unit 31 are installed on the frame body 10 .

우선, 페리클 파지 장치(1)가 내부에 설치된 페리클 첩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페리클 첩부 장치의 내부에는, 페리클 파지 장치(1) 이외에, 보유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직 방향을 대략 따라 보유된 마스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페리클 수납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재치된 상태로 페리클(100)이 수평 방향을 대략 따라 페리클 첩부 장치의 내부에 반입될 때는, 프레임 바디(10)는 연직 방향을 대략 따르고 있다. 그 후, 프레임 바디(10)를 회동(回動)시켜 수평 방향을 대략 따른 상태로 하고, 페리클 파지부(20)로 페리클(100)을 파지하고, 프레임 바디(10)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이동시켜 페리클(100)로부터 이형층(도시하지 않음)을 벗긴다. 점착 부재(103)(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노출된 페리클(100)을 파지한 채로 프레임 바디(10)를 회동시키고, 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을 대략 따른 상태로 하고, 프레임 바디(10)를 평행 이동시켜 점착 부재(103)를 마스크에 첩부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not shown) in which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1 is installed will be briefly described. Inside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1, a mask (not shown) held substa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a holder (not shown) is provided. When the pellicle 100 is carried into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substantiall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placed in a pellicle storage container (not shown), the frame body 10 substantially follows the vertical direction. Thereafter, the frame body 10 is rotated to a state substantiall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ellicle gripper 20 grips the pellicle 100, and the frame body 10 is vertically upward. to peel off the release layer (not shown) from the pellicle 100. The frame body 10 is rotated while the adhesive member 103 (not shown in FIG. 1) is holding the exposed pellicle 100, and the frame body 10 is in a state substa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dy 10 is moved in parallel to attach the adhesive member 103 to the mask.

다음에, 페리클 파지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 바디(10)는, 복수의 막대 모양 부재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합한 프레임 형상의 부재이다. 프레임 바디(10)는, 주로 세로 프레임부(11, 12)와, 상틀부(upper frame part)(13, 14)와, 세로 프레임부(11, 12) 및 상틀부(13, 14)의 외측에 설치된 테두리(15)를 가진다. 세로 프레임부(11, 12), 상틀부(13, 14) 및 테두리(15)는, 금속,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The frame body 10 is a frame-shaped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rod-shaped members are combin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frame body 10 mainly includes the vertical frame parts 11 and 12, the upper frame parts 13 and 14, and the oute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parts 11 and 12 and the upper frame parts 13 and 14. It has a rim 15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the upper frame portions 13 and 14, and the frame 15 are made of metal, such as iron or aluminum.

프레임 바디(10)는, 페리클 파지부(20)가 페리클(100)을 파지할 때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수평 방향으로(xy 평면을 대략 따라) 연설(延設)된다.When the pellicle gripper 20 grips the pellicle 100, the frame body 1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pproximately along the xy plane) as shown in FIG.

세로 프레임부(11, 12)는, 길이 방향이 y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테두리(15)의 하단부(15a) 및 상단부(15b)를 따라(즉 x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세로 프레임부(11, 12)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미 공지의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부(11, 12)는, 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면, 연직 방향을 대략 따라 연설된다.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are rod-shaped members whos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along the y-direction, and move along the lower end 15a and upper end 15b of the frame 15 (that is, along the x-direction). can be installed As a mechanism for moving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in the x direction, various known techniques can be used. Further, when the frame body 10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are extended substa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틀부(13, 14)는, 길이 방향이 x방향을 따라 설치된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각각 세로 프레임부(11, 12)를 따라(즉 y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틀부(13, 14)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미 공지의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틀부(13, 14)는, 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면, 세로 프레임부(11, 12)의 상단 근방에 대략 수평으로 연설된다.The upper frame portions 13 and 14 are rod-shaped members provided along the x-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that is, along the y-direction). As a mechanism for moving the upper frame portions 13 and 14 in the y direction, various technique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The upper frames 13 and 14 are extend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near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when the frame body 10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틀부(13, 14)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틀부가 대략 수평으로 연설된 1개의 막대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1개의 막대 모양 부재의 양단 근방이 세로 프레임부(11, 12)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upper frames 13 and 14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upper frame portion may be composed of one rod-shaped member stretch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is one rod-shaped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이와 같이 세로 프레임부(11, 12) 및 상틀부(13, 14)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로 프레임부(11, 12), 상틀부(13, 14) 및 하단부(15a)에 의해 구성되는 테두리의 크기를 변화시켜, 여러 가지 크기의 페리클(100)에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페리클(100)은, 예를 들면, 420㎜ x 720㎜의 크기의 것, 700㎜ x 800㎜의 크기의 것, 520㎜ x 680㎜의 크기의 것, 750㎜ x 1300㎜의 크기의 것, 1520㎜ x 1680㎜의 크기의 것을 들 수가 있다.By making the vertical frame parts 11 and 12 and the upper frame parts 13 and 14 movable in this way, the frame formed by the vertical frame parts 11 and 12, the upper frame parts 13 and 14 and the lower part 15a By changing the size of ,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pellicles 100 of various sizes. In addition, the pellicle 100 has, for example, a size of 420 mm x 720 mm, a size of 700 mm x 800 mm, a size of 520 mm x 680 mm, and a size of 750 mm x 1300 mm. of, and ones with a size of 1520 mm x 1680 mm.

프레임 바디(10)는,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에 의해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 바디(10)는, -y측단 근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회동축을 가지고,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바디(10)를 이동 및 회동시키는 기구는 공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The frame body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moving mechanism (actuator is included) not shown. In addition, the frame body 10 has a rotation shaft (not shown) provided near the -y side end,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by a moving mechanism (including an actuator) not shown. Since the mechanism for moving and rotating the frame body 10 is known,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대기시(페리클(100)의 반입시 등)에는 프레임 바디(10)는, 테두리(15)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는(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는) 상태에 있다. 페리클(100)이 페리클 첩부 장치 내에 반입되어 위치 맞춤이 종료되면, 프레임 바디(10)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테두리(15)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설되는(프레임 바디(10)가 수평 방향으로 연설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페리클 파지부(20)가 페리클(100)을 파지할 수가 있게 된다.During standby (when carrying in the pellicle 100, etc.), the frame body 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plane formed by the frame 15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ame body 10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 When the pellicle 100 is carried into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and the alignment is completed, the frame body 10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and the surface formed by the frame 15 is horizontally extended (frame The body 10 is in a state where it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allows the pellicle gripping unit 20 to grip the pellicle 100 .

페리클 파지부(20)가 페리클(100)을 파지하면, 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 상측으로 이동하고, 점착 부재(103)가 이형층으로부터 떼어 놓아진다. 점착 부재(103)는, 갑작스러운 강한 힘에는 점착력이 강하지만 약하게 지속하는 힘에는 점착력이 약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점착 부재(103)를 이형층으로부터 떼어 놓는 처리는 30분 ~ 1시간 정도 걸쳐 천천히 행해진다.When the pellicle gripper 20 grips the pellicle 100, the frame body 10 move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dhesive member 103 is released from the release layer. Since the adhesive member 103 has a strong adhesive force to sudden strong force, but weak adhesive force to weak and sustained force,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dhesive member 103 from the release layer is performed slowly over 30 minutes to 1 hour. It is done.

점착 부재(103)가 이형층으로부터 떼어 놓아지면, 프레임 바디(10)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페리클(100)을 마스크에 첩부할 수가 있게 된다. 페리클(100)을 마스크에 첩부할 때는, 상단측에 있어서의 하면(101b)과 마스크의 거리가, 하단측에 있어서의 하면(101b)과 마스크의 거리보다 가깝게 되도록 연직 방향에 대해 프레임 바디(10)를 기울인다. 또, 페리클(100)을 마스크에 첩부할 때는, 프레임 바디(10)를 연직 방향으로 연설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다.When the adhesive member 103 is released from the release layer, the frame body 1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al axis, and the frame body 10 is in a state of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attach the pellicle 100 to the mask. When attaching the pellicle 100 to the mask, the frame body ( 10) tilt. Also, when attaching the pellicle 100 to the mask, the frame body 10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페리클 파지부(20)는, 페리클 프레임(101)의 측면(101c)을 파지하는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복수 가진다.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세로 프레임부(11, 12), 상틀부(13, 14), 하단부(15a) 및 상단부(15b)에 설치된다.The pellicle gripping unit 20 has a plurality of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gripping the side surface 101c of the pellicle frame 101 . The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are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parts 11 and 12, the upper frame parts 13 and 14, the lower end 15a and the upper end 15b.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세로 프레임부(11, 12)에는 각각 5개의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설치되고, 상틀부(13, 14)에는 각각 1개의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설치되고, 하단부(15a)에는 5개의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설치되고, 상단부(15b)에는 1개의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설치되지만,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위치 및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five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and on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portions 13 and 14, respectively. , Five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are installed on the lower end 15a, and on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15b, but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are not limited to

페리클(100)의 크기에 따라, 사용하는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다르다. 도 1에 있어서는, 프레임 바디(10)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 중, 페리클(100)(여기에서는 측면(101c))에 맞닿아 있는 페리클 파지 부재(21)만이 사용되어 있다.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ellicle 100,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used is different. In FIG. 1 ,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s 21 installed on the frame body 10, only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ellicle 100 (side surface 101c in this case) is used.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일부가 홈(101d)에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측면(101c)에 맞닿지 않는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페리클 파지부(20)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n insertion position where a par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and a retracted position where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101c.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ellicle gripping unit 20. As shown in FIG.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금속제의 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스테인레스(예를 들면, SUS304)제이다.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a plate-shaped or rod-shaped member made of metal. In this embodiment,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SUS304).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판 모양 부재를 절곡(折曲)하여 형성되어 있고, 주로 선단부(21a)와, 절곡부(21b)와, 구동 부재(22)가 설치되는 보유부(21c)를 가진다. 선단부(21a)는,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일부가 홈(101d)에 삽입된다.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formed by bending a plate-like member, and mainly includes a tip portion 21a, a bent portion 21b, and a holding portion 21c in which the drive member 22 is provided. have A part of the distal end 21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 the insertion position.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절곡부(21b)의 양단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다만,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절곡 각도는 대략 직각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bent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at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21b. However, the bending angle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not limited to a substantially right angle.

선단부(21a)는,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홈(101d)에 삽입되는 선단면(21d)을 가진다. 선단면(21d)은, 판 모양 부재의 단면이며,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로 프레임부(11, 12)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에 대해서는, 이동 방향이 x방향이며, 선단면(21d)은 y방향을 대략 따르고 있다(yz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홈(101d)에 올바르게 삽입되면, 선단면(21d)이 홈(101d)의 바닥면과 맞닿는다.The front end portion 21a has a front end surface 21d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 the insertion position. The front end face 21d is an end face of the plate-shaped member, and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 For example, for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the movement direction is the x direction, and the tip surface 21d is substantially along the y direction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yz plane). installed).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front end surface 21d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선단부(21a)에는 선단부(21a)의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이동 방향(도 4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도 4에서는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마커를 선단부(21a)에 설치한다. 마커는, 프레임 바디(10)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단부(21a)는 판 모양이며, 선단부(21a)의 가장 넓은 면이며, 또한 연직 방향 상측(+z측)의 면인 면(21f)에 마커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마커를 시인함으로써, 선단부(21a)의 x방향의 위치, 나아가서는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올바르게 홈(101d)에 삽입되어 있을지 확인이 가능하다. 마커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The distal end 21a is provided with a marker (not shown in FIG. 4)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distal end 21a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x direction in FIG. 4). In this embodiment, a marker indicating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21a. The marker is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above when the frame body 10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tip part 21a is plate-shaped, and the mark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21f which is the widest surface of the tip part 21a, and is a surface on the vertical direction upper side (+z side). When the operator visually recognizes the mark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distal end 21a in the x direction and whether or not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mar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페리클 파지 부재(21)(보유부(21c))에는 구동 부재(22)가 설치된다. 구동 부재(22)는, 로드(rod)(22a)와, 로드(22a)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2b)를 가진다.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로드(22a)에 연결되어 있다. 액츄에이터(22b)는, 프레임 바디(10)(도 4에서는 도시 생략)에 설치된다.A driving member 22 is installed 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holding portion 21c). The drive member 22 has a rod 22a and an actuator 22b that moves the rod 22a.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rod 22a. The actuator 22b is attached to the frame body 10 (not shown in Fig. 4).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구동 부재(22)에 의해,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홈(101d)에 삽입되는 삽입 위치(도 4, 실선, 참조)와,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홈(101d)에 삽입되지 않고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페리클 프레임(101)과 간섭하지 않는 퇴피 위치(도 4, 일점 쇄선, 참조)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sition wher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by the drive member 22 (see Fig. 4, solid line), and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 is not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and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a retracted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ellicle frame 101 (see Fig. 4, dashed-dotted line).

페리클 파지 부재(21)에는 각각 페리클 프레임(101)의 높이(z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계측부(24)가 설치된다. 계측부(24)는, 주로 초음파 센서(24a)와 반사판(24b)을 가진다. 또한, 계측부(24)는 필수는 아니고, 계측부(24)의 형태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A measuring unit 24 for measuring the height (position in the z direction) of the pellicle frame 101 is installed on each pellicle gripping member 21 . The measuring unit 24 mainly has an ultrasonic sensor 24a and a reflector 24b. In addition, the measuring part 24 is not essential, and the form of the measuring part 24 is not limited to this either.

초음파 센서(24a)는, 초음파를 대상물을 향해 발신하여 그 반사파를 수신하고, 신호 발신과 반사파 수신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測距) 센서이다. 초음파 센서(24a)는, 이미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ultrasonic sensor 24a is a range sensor that transmits ultrasonic waves toward an object, receives the reflected wave, and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target based on the time interval betwee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eflected wave. Since the ultrasonic sensor 24a is already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반사판(24b)은,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상측(+z측)에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24b)은, 초음파 센서(24a)로부터 발신된 초음파를 반사한다. 반사판(24b)의 선단부(24c)는, xy평면에 대해서 대략 45°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24a)로부터 발신된 초음파는, 하측(-z방향)을 향해 반사된다(도 4의 2점 쇄선, 참조).The reflector 24b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z side)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 The reflector 24b reflects ultrasonic waves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24a. The front end 24c of the reflecting plate 24b is inclined by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Therefore, the ultrasonic waves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24a are reflected downward (-z direction) (refer to the two-dot chain line in Fig. 4).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계측부(31)는, 측거 센서(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및 반사판을 가지고, 마스크나 페리클 프레임(101)의 높이(z방향의 위치)를 측정한다. 계측부(31)는, 프레임 바디(10), 여기에서는 상틀부(13, 14)에 설치된다. 계측부(31)는, 프레임 바디(10)를 구성하는 막대 모양 부재(예를 들면, 상틀부(13, 14))의 연설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여기에서는 z방향)으로부터 보아, 페리클 파지 부재(21)와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The measurement unit 31 has a range sensor (eg, an ultrasonic sensor) and a reflector, and measures the height (position in the z direction) of the mask or pellicle frame 101 . The measuring unit 31 is installed on the frame body 10, here, on the upper frames 13 and 14. The measurement unit 31 grips the pellicle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d-shaped members (e.g., the upper frames 13 and 14) constituting the frame body 10 (here, the z direction). It is installed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member 21.

2개의 계측부(31)는, 각각 프레임 바디(10)의 상측 근방 또한 좌단 근방에 설치되고, 또한 프레임 바디(10)의 상측 근방 또한 우측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다만, 계측부(31)이 설치되는 위치 및 수는,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wo measurement units 31 are installed near the upper side and near the left end of the frame body 10,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near the upper side and near the right end of the frame body 10, respectively. However,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measurement part 31 are installed are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계측부(31)는, 선단 근방이 마스크와 겹치는 제1 위치(도 1 실선, 참조)와 선단 근방이 페리클 프레임(101)과 겹치는 제2 위치(도 12점 쇄선, 참조)와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measuring unit 31 is vertical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vicinity of the tip overlaps the mask (solid line in FIG. 1)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vicinity of the tip overlaps the pellicle frame 101 (see Fig. 12 dashed line) installed to be movable.

다음에, 페리클 파지 부재(21)에 설치된 마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세로 프레임부(12)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예로 마커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마커(2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Next, the marker installed 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marker will be described using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as an exampl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arker 23 .

우선, 마커(23)의 재질에 대해 설명한다.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표면에 코팅층이 설치됨으로써, 마커(23)가 페리클 파지 부재(21)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페리클 파지 부재(21)에 마커(23)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코팅층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용제에 내성을 가지는 불소 수지가 이용된다.First, the material of the marker 23 will be described. By provid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ellicle holding member 21 , the marker 23 is installed on the pellicle holding member 21 . Accordingly, the marker 23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 In this embodiment, a fluororesin resistant to solvents such as isopropyl alcohol is used for the coating layer.

또, 마커(23)에 이용하는 코팅층은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마커(23)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금속색(예를 들면, 은빛)이다. 마커(23)를 흑색으로 함으로써, 흑색의 페리클 프레임(101)과 마커(23)의 색을 갖추어 마커(23)가 설치되지 않은 금속색의 부분을 눈에 띄게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ayer used for the marker 23 is black. A por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where the marker 23 is not provided is a metallic color (for example, silver). By making the marker 23 black, the color of the black pellicle frame 101 and the marker 23 can be matched, and the metal-colored portion where the marker 23 is not attached can be conspicuous.

또한, 도 5에서는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선단부(21a), 절곡부(21b), 및 보유부(21c)의 표면에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만, 적어도 코팅층(즉, 마커(23))은 선단부(21a)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절곡부(21b) 및 보유부(21c)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5, coating layers are provided on the surfaces of the distal end 21a, the bent portion 21b, and the retaining portion 21c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but at least the coating layer (i.e., the marker 23) It just needs to be provided on the tip part 21a, and the coating layer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ent part 21b and the retaining part 21c.

다음에, 마커(23)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마커(23)는,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에 끼워진 선단 영역 R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경계선(21g)은, 선단면(21d)의 연설 방향(여기에서는 y방향)을 대략 따른 가상선이며, 선단면(21d)으로부터 선단면(21d)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여기에서는 x방향)으로 소정 거리(도 5에 있어서의 거리 l)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경계선(21g) 및 선단 영역 R는 가상의 선 및 영역이기 때문에, 도 4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Next, the shape of the marker 23 will be described. The marker 23 is not provided in the tip region R sandwiched between the tip 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The boundary line 21g is a virtual line substantially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here, the y direction) of the front end surface 21d, and extends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to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ront end surface 21d (here, the x direction) They are arranged at position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istance 1 in FIG. 5). Since the boundary line 21g and the tip region R are imaginary lines and regions, they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4 .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의 거리 l는, 대형의 유리(G10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에 설치된 홈(101d)의 깊이 d인 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거리 l는 대략 3㎜로 한다. 이에 의해 선단부(21a)를 홈(101d)에 삽입했을 때, 마커(23)가 페리클 프레임(101)(홈(101d)의 엣지(edge) 부분)에 접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The distance 1 between the front end sur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is preferably 3 mm or more, which is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provided in the pellicle frame 101 for large-sized glass (G10 glass).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1 is approximately 3 mm.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marker 23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ellicle frame 101 (the edge portion of the groove 101d) when the distal end 21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마커(23)가 홈(101d)의 엣지 부분에 접해 버리면, 엣지(edge)에 의해 마커(23)가 깎여져 먼지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페리클(100)은 마스크에 첩부하는 것이고, 먼지의 발생을 아주 방지할 필요가 있기(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홈(101d)에 접할 우려가 있는 선단 영역 R에 마커(23)를 설치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marker 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groove 101d, the marker 23 may be scraped by the edge and dust may be generated. The pellicle 100 is attached to the mask, and it is necessary to extremely prevent the generation of dust (preferably not to generate dust), so a marker 23 is placed in the tip region R that may contact the groove 101d. ) is preferably not installed.

마커(23)는, 경계선(21g)을 따라 늘어선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가진다.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는, 적어도 x방향의 길이가 다르다.The marker 23 has the 1st marker 23a,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lined up along the boundary line 21g. The 1st marker 23a,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differ in the length of at least x direction.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는 정방(正方) 형상이며, 제1 마커(23a)의 각(各) 변의 길이는 대략 1㎜이며, 제2 마커(23b)의 각 변의 길이는 대략 1.5㎜이며, 제3 마커(23c)의 각 변의 길이는 대략 2㎜이다. 따라서, 제1 마커(23a)는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4㎜인 것을 나타내고, 제2 마커(23b)는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4.5㎜인 것을 나타내고, 제3 마커(23c)는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5㎜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마커(23)에 의해,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나타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have a square shape, and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first marker 23a is approximately 1 mm. ,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second marker 23b is approximately 1.5 mm, and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third marker 23c is approximately 2 mm. Accordingly, the first marker 23a indicat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4 mm, the second marker 23b indicat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4.5 mm, and the third marker 23b indicat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4.5 mm. The marker 23c indicat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tip face 21d is approximately 5 mm. In this way,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is indicated by the marker 23.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는, 정방 형상이었지만,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형상은 정방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장방(長方) 형상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이라도 좋고, 반원 형상이나 반타원 형상이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had a square shape, but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The shape of (23c) is not limited to a square shape, and may be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a semicircular shape or a semielliptical shape.

도 6은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distal end 21a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proper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of size G10.

홈(101d)의 깊이 d와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의 거리 l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으면, 위로부터 보았을 때, 홈(101d)의 개구부(측면(101c))와 경계선(21g)이 겹친다. 따라서, 위로부터 보았을 때, 경계선(21g)은 시인하지 못하고,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만을 시인할 수가 있다.Since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and the distance 1 between the tip sur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are approximately the same, if the tip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en viewed from above, the groove 101d ) overlaps with the opening (side surface 101c) and the boundary line 21g. 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boundary line 21g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and only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can be visually recognized.

도 7은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distal end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of size G10.

홈(101d)의 깊이 d와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의 거리 l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경계선(21g)을 시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측면(101c)과 경계선(21g)의 거리 l'와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x방향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 즉 어느 정도 선단부(21a)를 더 이동시키면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될지 아닐지를 알 수가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거리 l'와 제1 마커(23a)의 x방향의 길이가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이 대략 1㎜인 것을 알 수가 있다.Since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and the distance 1 between the tip 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are approximately the same, when the tip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en viewed from above, The boundary line 21g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n, by comparing the distance l' between the side surface 101c and the boundary line 21g and the lengths in the x direction of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end face 21d, that is, by moving the front end 21a further to some exten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front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since the distance l' and the length of the first marker 23a in the x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 it can be seen that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tip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1 mm. there is.

도 8은 G10 사이즈보다 작은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smaller than the G10 size.

홈(101d)의 깊이 d가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의 거리 l보다 작고, 그 차이는 1㎜이기 때문에,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으면, 측면(101c)과 경계선(21g)의 거리 l'가 제1 마커(23a)의 x방향의 길이와 대략 일치한다.Since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front end sur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and the difference is 1 mm, if the front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side surface 101c ) and the boundary line 21g approximately coincide with the length of the first marker 23a in the x direction.

도 9는, G10 사이즈보다 작은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distal end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smaller than the G10 size.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측면(101c)과 경계선(21g)의 거리 l'가 제1 마커(23a)의 x방향의 길이보다 커지게 된다. 그리고, 측면(101c)과 경계선(21g)의 거리 l'와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x방향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 즉 어느 정도 선단부(21a)를 더 이동시키면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될지 아닐지를 알 수가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거리 l'와 제2 마커(23b)의 x방향의 길이가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이 대략 0.5㎜인 것을 알 수가 있다.When the tip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distance 1' between the side surface 101c and the boundary line 21g become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marker 23a in the x direction. Then, by comparing the distance l' between the side surface 101c and the boundary line 21g and the lengths in the x direction of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end face 21d, that is, by moving the front end 21a further to some exten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front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since the distance l'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marker 23b in the x direction are approximately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tip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0.5 mm. there is.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마커(23)를 시인함으로써, 선단부(21a)의 위치, 나아가서는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 마커(23)가 설치되지 않은 선단부를 홈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홈에 선단부가 안쪽까지 삽입되어 있을지 아는 수단은 없지만, 선단부(21a)에 마커(23)를 설치함으로써, 마커(23)를 시인하는 것만으로 페리클 프레임(101)이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visually recognizing the marker 23,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distal end 21a and thus whether or not the distal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In the case of inserting the tip without the marker 23 into the groove, there is no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ip is inserted all the way into the groove. Only by doing so,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pellicle frame 101 can be accurately gripped.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마커(23)를 시인하는 것만으로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거리를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세로 프레임부(11, 12)나 상틀부(13, 14)를 이동시킴으로써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이동시키거나, 구동 부재(22)를 이동시킴으로써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이동시키거나 함으로써, 페리클 파지 부재(21)로 페리클 프레임(101)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front end surface 21d can be known only by visually recognizing the marker 23 . Therefore, when the distal end 21a is not proper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moved by moving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1 and 12 and the upper frame portions 13 and 14, or , By moving the driving member 22 to mov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or the like, the pellicle frame 101 can be accurately gripped by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

도 19, 도 20은 페리클(100)이 비뚤어져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경우는, 페리클(100)의 각 변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되도록 페리클(100)이 비뚤어져 있다. 페리클 프레임(101)에 페리클막(102)을 첩부하여 페리클(100)로 하는 구조상, 도 19에 나타내는 것 같은 비뚤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오목함의 크기는 대략 1 ~ 2㎜이다. 홈(101d)의 깊이가 대략 2㎜ ~ 3㎜이기 때문에, 페리클(100)의 +x측의 변의 중앙 근방에 삽입되는 페리클 파지 부재(21)로 페리클(100)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19 and 2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pellicle 100 is distorted. In the case shown in Fig. 19, the pellicle 100 is distort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side of the pellicle 100 is concav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pellicle film 102 is attached to the pellicle frame 101 to form the pellicle 100, distortion as shown in FIG. 19 tends to occur, and the size of the concavity is approximately 1 to 2 mm. Since the depth of the groove 101d is approximately 2 mm to 3 mm, the pellicle 100 cannot be accurately gripped by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erted near the center of the +x-side side of the pellicle 100. There are concerns.

또, 도 20에 나타내는 경우는, 페리클(100)의 +x측의 변과 -x측의 위치가 어긋나게(대략 2㎜ 정도) 되도록 페리클(100)이 비뚤어져 있다. 이 경우에는, 페리클(100)의 +y측의 변의 -x측단 근방에 삽입되는 페리클 파지 부재(21)로 페리클(100)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shown in Fig. 20, the pellicle 100 is distorted so that the +x side and -x side positions of the pellicle 100 are shifted (approximately 2 mm).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that the pellicle 100 cannot be accurately gripped by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erted near the -x side end of the +y side side of the pellicle 100.

페리클 파지 부재(21)로 페리클 프레임(101)이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없는 상태로 프레임 바디(10)를 연장 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프레임 바디(10)를 회동시키거나 하면, 프레임 바디(10)로부터 페리클(100)이 낙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프레임 바디(10)를 평행 이동, 회동 이동시키기 전에 페리클 프레임(101)이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있게 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기 때문에, 페리클(100)이 낙하하는 사고를 막을 수가 있다.When the frame body 10 is moved upwar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r the frame body 1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pellicle frame 101 cannot be accurately gripped by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the frame body 10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llicle 100 may fall. On the other hand,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ellicle frame 101 can be accurately gripped before the frame body 10 is moved in parallel or rotationally, an accident in which the pellicle 100 falls can be prevented.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홈(101d)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는 선단 영역 R에 마커(23)를 설치하지 않게 함으로써,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홈(101d)에 삽입되었을 때, 페리클 파지 부재(21)나 페리클 프레임(101)이 깎여져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not providing the marker 23 in the tip region R that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or the pellicle frame 101 from being chipped and generating dust.

홈(101d)은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많지만, 절삭 가공에 의해 마감면에 요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점착 부재(103)를 이형층으로부터 떼어 놓을 때는, 선단부(21a)가 홈(101d)에 삽입된 상태로 프레임 바디(10)를 연직 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면(21f)이 절삭 가공의 마감면에 맞닿고, 면(21f)에는 약 1kgf의 힘이 계속해서 걸린다. 마커(23)는 면(21f)에 설치되기 때문에, 선단 영역 R에 마커(23)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마감면의 볼록부에 의해 마커(23)가 깎여져 먼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선단 영역 R에 마커(23)를 설치하지 않게 함으로써,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The groove 101d is often formed by cutting,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nevenness may occur on the finished surface due to cutting. When the adhesive memb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layer, the frame body 10 is moved vertically upward in a state where the tip portion 21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so that the surface 21f finishes the cutting proces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a force of about 1 kgf continues to be applied to the surface 21f. Since the marker 23 is installed on the surface 21f, if the marker 23 is installed in the tip region R, the marker 23 may be scraped off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nished surface and dust may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ion of dust can be prevented by not providing the marker 23 in the tip region R.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면에 코팅층을 설치함으로써 마커(23)를 선단부(21a)에 설치하였지만, 마커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선단부(21a)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커가 선단부(21a)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21a)로부터 마커가 사라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오목부의 내부를 잉크 등에 의해 착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오목부의 내부를 흑색으로 착색하고, 흑색의 페리클 프레임(101)과 마커의 색을 갖추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marker 23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portion 21a by provid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but the shape of the marker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marker may be provided on the tip portion 21a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by cutt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21a to form a concave portion. In this case, the marker does not disappear from the distal end 21a. In order to improve visibility, it is preferable to color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with ink or the lik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color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black, and to match the color of the black pellicle frame 101 and the marker.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의 깊이 d와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의 거리 l가 대략 동일(3㎜)이었지만, 거리 l는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 프레임(101)의 홈(101d)의 깊이 d 이상(3㎜ 이상)이면 좋다. 예를 들면, 선단면(21d)과 경계선(21g)의 거리가 4㎜인 경우, 측면(101c)과 경계선(21g)의 거리와 제1 마커(23a)의 x방향의 길이가 대략 일치하면,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고, 측면(101c)과 경계선(21g)의 거리가 제1 마커(23a)의 x방향의 길이보다 크면,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of G10 size and the distance 1 between the front end 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were approximately the same (3 mm), The distance 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of the pellicle frame 101 for glass of size G10 (3 mm or more).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surface 21d and the boundary line 21g is 4 mm,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urface 101c and the boundary line 21g and the length of the first marker 23a in the x direction are approximately the same, If it can be seen that the tip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urface 101c and the boundary line 21g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marker 23a in the x direction, the groove 101d It can be seen that the distal end 21a is not inserted correctly.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단부(21a)는, 판 모양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판 모양의 부재였지만, 선단부(21a)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단부(21a)는 막대 모양이라도 좋다. 또, 페리클 파지 부재(21)는, 절곡되어 있어도 좋고, 절곡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다만, 마커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프레임 바디(10)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에 상방 또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p portion 21a is a plate-shaped member formed by bending a plate-shaped member, but the shape of the tip portion 21a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distal end 21a may be rod-shaped. In additi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may or may not be bent. However, in order to improve visibility, the marker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above or obliquely when the frame body 10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단부(21a)의 가장 넓은 면이며, 또한 연직 방향 상측(+z측)의 면인 면(21f)에 마커(23)가 설치되어 있지만, 마커(23)가 설치되는 면은 면(21f)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커(23)는, 면(21f) 이외의 선단부(21a)의 가장 넓은 면인 면(21e)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면(21e)에 마커(2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 바디(10)를 연직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도, 마커(23)를 시인할 수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rker 23 is provided on the surface 21f which is the widest surface of the distal end 21a and is the surface on the vertical direction upper side (+z side), but the surface on which the marker 23 is provided is It is not limited to the surface 21f. For example, the marker 23 may be provided also on the surface 21e which is the widest surface of the distal end 21a other than the surface 21f. When the marker 23 is provided on the surface 21e, the marker 23 can be visually recognized even when the frame body 10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3개의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가지는 마커(23)를 이용하였지만,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 중의 1개 또는 2개를 가지는 마커를 이용해도 좋고,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 이외의 마커(예를 들면, 각 변의 길이는 대략 2.5㎜인 마커)를 가지는 마커(marker)를 이용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arker 23 having three first markers 23a, second markers 23b, and third markers 23c was used, but the first markers 23a and the second markers ( 23b) and a marker having one or two of the third marker 23c may be used, and markers other than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for example, , a marker whose length of each side is approximately 2.5 mm) may be used.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마커(23)를 선단부(21a)에 설치하였지만, 마커는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21a)의 위치를 나타내면 좋다. 예를 들면,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x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선단부(21a)를 x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각 영역은 y방향을 따라 띠모양으로 연설(延設)되어 있다.)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색이 다른 마크를 붙임으로써,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시인할 수가 있는 마크의 색에 따라, 선단부(21a)의 x방향의 위치, 나아가서는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 파악할 수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rker 23 indicating the distance from the tip surface 21d is provided on the tip portion 21a. It would be nice to indicate the location. For exampl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moves along the x direction, the distal end 21a is adjacent to a plurality of areas in the x direction (each area is stretched in a band shape along the y direction). ), and attaching a mark of a different color for each region, it is good as a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 the moving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tip 21a in the x direction and whether or not the tip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mark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마커의 변형예 1> <Modified Example 1 of Marker>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부분을 뽑아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커(23)를 형성하였지만,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가지는 마크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rkers 23 were formed by taking out portions of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to form a coating layer, but the first marker 23a, The shape of the mark having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is not limited to this.

도 10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A)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마커(23A)는, 제1 마커(23d), 제2 마커(23e) 및 제3 마커(23f)의 부분에만 코팅층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마커(23d), 제2 마커(23e) 및 제3 마커(23f)의 위치 및 형상은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와 마찬가지이다. 마커(23A)를 시인함으로써,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A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23 A of markers are formed by providing a coating layer only at the part of the 1st marker 23d, the 2nd marker 23e, and the 3rd marker 23f.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1st marker 23d, the 2nd marker 23e, and the 3rd marker 23f are the same as the 1st marker 23a,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By visually recognizing the marker 23A, it is possible to ascertain whether the distal end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또한, 마커(23A)는, 선단부(21a)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를 착색하는 것으로 형성해도 좋다.Alternatively, the marker 23A may b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21a to form a concave portion and coloring the inside thereof.

<마커의 변형예 2> <Modified Example 2 of Marker>

마커의 변형예 2는 마커가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복수 가지는 형태이다. 도 11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B)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Modification 2 of the marker is a type in which the marker has a plurality of first markers 23a, second markers 23b, and third markers 23c.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B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마커(23B)는,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각각 2개씩 가진다.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는,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21h)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marker 23B has two each of the 1st marker 23a,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21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respectively.

도 12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마커(23B)를 시인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마커(23B)를 보면, 반사판(24b)에 의해 마커(23B)의 일부가 차단되어 시인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기울기 45°정도의 각도로 앞측으로부터 마커(23B)를 내려다보는 경우에는, 마커(23B)의 중심선(21h)의 오측(誤測)을 시인할 수 없다.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marker 23B is visually recognized obliquely from above. When the marker 23B is viewed obliquely from abov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art of the marker 23B is blocked by the reflecting plate 24b and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looking down at the marker 23B from the front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the wrong side of the center line 21h of the marker 23B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이러한 경우라도, 중심선(21h)의 양측에 각각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설치함으로써,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가 있다.Even in this case, by providing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21h, respectively,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can be reliably recognized.

또, 제일 작은 제1 마커(23a)를 시인하기 쉬운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양단 근방에 배치하고, 제일 큰 제3 마커(23c)를 중심선(21h)의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일 수가 있다. 다만,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배치는, 도 11, 12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visibility is improved by arranging the smallest first marker 23a near both ends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which are easily visible, and placing the largest third marker 23c near the center line 21h. there is a number However,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1st marker 23a,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S. 11 and 12. FIG.

<마커의 변형예 3> <Modified Example 3 of Marker>

마커의 변형예 3은 마커가 제1 마커, 제2 마커 및 제3 마커를 가지지 않는 형태이다. 도 13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C)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Modification 3 of the marker is a type in which the marker does not have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C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마커(23C)는, 선단면(21d)과 대략 평행한 선(23g, 23h, 23i, 23j)을 가진다. 선(23g)은, 경계선(21g) 상에 설치되어 있고, 선(23i)는, 경계선(21g)으로부터 +x방향으로 대략 1㎜ 멀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선(23h, 23j)는, 선(23g, 23i)보다 가늘고 또한 짧고, 각각 선(23g, 23i)의 +x측에 선(23g, 23i)로부터 대략 0.5㎜ 멀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The marker 23C has lines 23g, 23h, 23i, and 23j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end surface 21d. The line 23g is provided on the boundary line 21g, and the line 23i is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boundary line 21g by approximately 1 mm in the +x direction. The lines 23h and 23j are thinner and shorter than the lines 23g and 23i, and are provided on the +x side of the lines 23g and 23i at positions approximately 0.5 mm away from the lines 23g and 23i.

선(23g, 23h, 23i, 23j)는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양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페리클 파지 부재(21) 상에 반사판(24b)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마커(23C)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가 있다.Since the lines 23g, 23h, 23i, and 23j are disposed near both ends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even if the reflector 24b is provided 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the marker 23C I can definitely admit it.

또한, 선(23g, 23h, 23i, 23j)는 동일한 길이 및 굵기의 선이라도 좋다. 또, 선(23g, 23h, 23i, 23j)는, 중앙이 이간한 2개의 선이지만, 연속한 1개의 선이라도 좋다. 또, 마커(23C)를 구성하는 선의 위치 및 수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the lines 23g, 23h, 23i, and 23j may be lines of the same length and thickness. Further, the lines 23g, 23h, 23i, and 23j are two lines spaced apart in the center, but may be one continuous line. In addition, the position and number of lines constituting the marker 23C are not limited to this.

또한, 막대 모양의 선단부(21a)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커를 설치할 수가 있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선만으로 구성되는 본 변형예의 마커(23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커(23C)가 선단 영역 R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코팅층에 의해 마커(23C)를 형성해도 좋고, 선단부(21a)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마커(23C)를 형성해도 좋다.In the case of using the rod-shaped tip 21a,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arker 23C of this modified example composed only of lines because the area where the marker can be placed is narrow. In addition, since the marker 23C is not provided in the tip region R, the marker 23C may be formed by a coating layer, or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21a may be shaved to form the marker 23C.

<마커의 변형예 4> <Modified Example 4 of Marker>

마커의 변형예 4는 마커를 선단 영역 R에 설치하는 형태이다. 도 14는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D)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Modification 4 of the marker is a form in which the marker is provided in the tip region R. 14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D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마커(23D)는, 3개의 선(23k, 23l, 23m)을 가진다. 선(23k)는 선단면(21d)으로부터 +x방향으로 대략 1㎜ 멀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선(23l)는 선단면(21d)으로부터 +x방향으로 대략 2㎜ 멀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선(23m)은 선단면(21d)으로부터 +x방향으로 대략 3㎜ 멀어진 위치에 설치된다.The marker 23D has three lines 23k, 23l, and 23m. The wire 23k is provid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1 mm away from the end face 21d in the +x direction, the wire 23l is provid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2 mm away from the end face 21d in the +x direction, and the wire 23m is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ront end face 21d by approximately 3 mm in the +x direction.

홈(101d)의 깊이 d와 선단면(21d)과 선(23m)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으면, 위로부터 보았을 때, 홈(101d)의 개구부(측면(101c))와 선(23m)이 겹쳐, 선(23k, 23l, 23m)은 시인할 수 없다.Since the depth d of the groove 101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surface 21d and the line 23m are approximately the same, if the tip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en viewed from above, the groove 101d The opening (side surface 101c) and the line 23m overlap, and the lines 23k, 23l, and 23m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이에 반해,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선(23k, 23l, 23m) 중의 어느 것을 시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선(23k, 23l, 23m) 중의 어느 것을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는지에 의해,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을 알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선(23l, 23m)을 시인할 수가 있는 경우에는,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이 2㎜ 이상인 것을 알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p 21a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any of the lines 23k, 23l, and 23m can be visually recognized when viewed from above. Then,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front end surface 21d can be known by which one of the lines 23k, 23l, and 23m can be visually recognized. For example, when the lines 23l and 23m can be visually recognized, it can be seen that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tip surface 21d is 2 mm or more.

선(23k, 23l, 23m)은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양단 근방에도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페리클 파지 부재(21) 위에 반사판(24b)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마커(23D)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가 있다.Since the lines 23k, 23l, and 23m are also arranged near both ends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the marker 23D is reliably recognized even if the reflector 24b is installed 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 can.

또한, 본 변형예는 선단 영역 R에 마커(23D)를 설치하기 때문에, 선단부(21a)의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마커는 아니고, 선단부(21a)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오목부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마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리클 파지 부재(21)가 홈(101d)에 삽입되었을 때, 페리클 파지 부재(21)나 페리클 프레임(101)이 깎여져 먼지가 발생하기 어렵도록 할 수가 있다.In this modification, since the marker 23D is provided in the tip region R, it is not a marker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21a, but a marker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21a into a concav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or the pellicle frame 101 is scraped off,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te dust.

<마커의 변형예 5> <Modified Example 5 of Marker>

마커의 변형예 5는 마커를 선단 영역 R에도 설치하는 형태이다. 도 15는 변형예와 관련되는 마커(23E)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Modification 5 of the marker is a mode in which the marker is also provided in the tip region R.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outline of a marker 23E related to a modified example.

마커(23E)는, 선단면(21d)에 맞닿고, 또한 선단면(21d)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2개의 선(23n)과, 눈금선(23o, 23p, 23q)을 가진다. 눈금선(23o, 23p, 23q)은, 선단면(21d)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x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눈금선(23o)은, 선(23n)과 경계선(21g)(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3㎜))이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눈금선(23p)은, 선(23n)과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2㎜의 위치로 끈 가상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눈금선(23q)은, 선(23n)과 선단면(21d)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1㎜의 위치로 끈 가상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다.The marker 23E has two lines 23n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surface 21d and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surface 21d, and scale lines 23o, 23p, and 23q. The grid lines 23o, 23p, and 23q are provided along a direction (x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ront end face 21d. The grid line 23o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line 23n and the boundary line 21g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3 mm) intersect. The scale line 23p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line 23n and the front end face 21d intersects a virtual line drawn at a position of approximately 2 mm. The scale line 23q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line 23n and the front end face 21d intersects a virtual line drawn at a position of approximately 1 mm.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으면, 위로부터 보았을 때, 선(23n)과 눈금선(23o)이 교차하는 위치와 홈(101d)의 개구부(측면(101c))가 겹친다.When the tip 21a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intersection of the line 23n and the grid line 23o overlaps with the opening (side surface 101c) of the groove 101d when viewed from above.

이에 반해,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선(23n)과 눈금선(23o)이 교차하는 위치가 노출한다. 그리고, 눈금선(23o, 23p, 23q)을 참조함으로써,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을 알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위로부터 보았을 때, 측면(101c)이 선(23n)과 눈금선(23p)이 교차하는 위치의 근방에 있으면, 홈(101d)의 바닥면과 선단면(21d)의 간극이 대략 0.5㎜인 것을 알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p 21a is not proper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the position where the line 23n and the grid line 23o intersect is exposed when viewed from above. Then, by referring to the grid lines 23o, 23p, and 23q,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tip surface 21d can be known.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above, if the side surface 101c is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line 23n and the grid line 23p,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01d and the tip surface 21d is approximately It can be seen that it is 0.5 mm.

또한, 본 변형예도 선단 영역에 마커(23E)를 설치하기 때문에, 마커(23D)와 마찬가지로, 선단부(21a)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마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rker 23E is also provided in the tip region in this modified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marker formed by shav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21a and providing a concave portion similarly to the marker 23D.

<제2의 실시의 형태> <Second Embodiment>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마커(23)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지만, 마커(23)를 확인하는 방법은 눈으로 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rker 23 was confirmed visually, but the method for confirming the marker 23 is not limited to visual observation.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촬상부에서 마커(23)를 확인하는 형태이다. 이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페리클 파지 장치(2)를 가지는 페리클 첩부 장치(3)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23 is confirmed by the imaging unit. Hereinafter, a pellicle sticking device 3 having a pellicle gripping devic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bout the same part as 1st Embodiment,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도 16은 페리클 파지 장치(2) 및 페리클 첩부 장치(3)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페리클 파지 장치(2) 및 페리클 첩부 장치(3)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17에서는 주요부만 도시하고 일부의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16에서는 프레임 바디(10)가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17에서는 프레임 바디(10)가 수평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2 and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1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ellicle gripping device 2 and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As shown in FIG. In FIGS. 16 and 17, only the main parts are shown, and illustration of some components is omitted. 16 shows the frame body 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G. 17 shows the frame body 1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페리클 파지 장치(2)는, 페리클 첩부 장치(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주로 프레임 바디(10)와, 페리클 파지부(20)와, 계측부(31)와, 촬상부(32, 33, 34)와 스테이지(40)(도 17에서는 도시 생략)를 가진다.The pellicle gripping device 2 is installed inside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and mainly consists of the frame body 10, the pellicle gripping unit 20, the measurement unit 31, and the imaging unit 32. , 33, 34) and a stage 40 (not shown in Fig. 17).

페리클(100)은, 반송 장치(110)에 의해, 페리클 첩부 장치(3)의 개구부(3a)로부터 페리클 첩부 장치(3)의 내부 공간(3b)에 삽입된다. 내부 공간(3b)에 삽입된 페리클(100)은, 스테이지(40)에 재치된다. 스테이지(40)는,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를 가지고, 수평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페리클 첩부 장치(3)는, 도시하지 않는 레이저 조사부를 가지고, 레이저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에 기초하여 스테이지(40)를 이동시킴으로써 페리클(100)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The pellicle 100 is inserted from the opening 3a of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into the internal space 3b of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by the transport device 110 . The pellicle 10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b is placed on the stage 40 . The stage 40 has a moving mechanism not shown, and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pellicle sticking device 3 has a laser irradiation unit (not shown), and positions the pellicles 100 by moving the stage 40 based on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laser irradiation unit.

페리클(100)의 위치 맞춤이 종료되면, 도 16에 나타내듯이 연직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프레임 바디(10)를 회동시켜, 도 17에 나타내듯이 수평 방향으로 연설시키고 나서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이용하여 페리클(100)을 파지한다.When the positioning of the pellicle 10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6, the frame body 10 that is vertically extended is rotated, and as shown in FIG. 17, the pellicle holding member 21 is rotated horizontally and The pellicle 100 is gripped by using.

촬상부(32, 33, 34)는, CCD,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가지고, 대상물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상할 수가 있다. 촬상부(32, 33)는, 개구부(3a)에 인접하여 설치되지만, 내부 공간(3b)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부(34)는, 내부 공간(3b)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have imaging devices such as CCD and CMOS, and can continuously capture images of objects. The imaging units 32 and 33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opening 3a, but are preferably installed outside the inner space 3b. The imaging unit 34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space 3b.

촬상부(32, 33, 34)는, 마커(23)를 촬상하는 것이고, 프레임 바디(10)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에 프레임 바디(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바디(10)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에 상방 또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가 있는 위치에 마커(2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부(32, 33, 34)로 마커(23)를 촬상할 수가 있다.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are for imaging the marker 23, and are installed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frame body 10 when the frame body 10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rame body 10 is extended horizontally, since the marker 23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above or obliquely, the image capturing units 32, 33, 34 capture the marker 23 I can.

촬상부(32)는, 세로 프레임부(11)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촬상부(33)는, 세로 프레임부(1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촬상부(32, 33)는,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세로 프레임부(11)와 세로 프레임부(12)에 끼워진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imaging unit 3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vertical frame unit 11 , and the imaging unit 33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vertical frame unit 12 . In addition, the imaging units 32 and 33 are provided outside the region sandwich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unit 11 and the vertical frame unit 12 when viewed from ab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7에서는 프레임 바디(10)가 G10 사이즈의 유리용의 페리클(100)을 파지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이 때에 세로 프레임부(11)와 세로 프레임부(12)의 간격이 가장 넓다. 촬상부(32)는, 세로 프레임부(11)가 가장 -x측에 위치할 때의 세로 프레임부(11)의 x방향의 위치 또는 그것보다 -x측에 설치되어 있고, 촬상부(33)는, 세로 프레임부(12)가 가장 +x측에 위치할 때의 세로 프레임부(12)의 x방향의 위치 또는 그것보다 +x측에 설치되어 있다.17 shows a state when the frame body 10 grips the pellicle 100 for glass of G10 size, an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part 11 and the vertical frame part 12 is the widest. . The imaging unit 32 is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x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unit 11 when the vertical frame unit 11 is most positioned on the -x side or on the -x side from that, and the imaging unit 33 is provided at the position in the x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part 12 when the vertical frame part 12 is located most on the +x side or on the +x side from that.

도 18은 촬상부(32)가 세로 프레임부(11)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촬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평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촬상부(32)가 마커(23)를 촬상할 때의 광축의 방향을 굵은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촬상부(32)가 세로 프레임부(11)의 x방향의 위치보다 -x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부(32)가 마커(23)를 확실하게 촬상할 수가 있다. 만일 촬상부(32)가 세로 프레임부(11)의 x방향의 위치보다 -x측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도 18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상면(101a)과 측면(101c)의 모퉁이에서 차단되어 마커(23)를 촬상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세로 프레임부(11)와 세로 프레임부(12)에 끼워진 영역의 외측에 촬상부(32, 33)를 설치함으로써, 촬상부(32, 33)가 각각 세로 프레임부(11, 12)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마커(23)를 확실하게 촬상할 수가 있다.Fig. 18 is a view showing how the imaging section 32 captures an image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section 11, where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ide view. 18,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hen the imaging unit 32 images the marker 23 is schematically indicated by a thick arrow. Since the imaging unit 32 is provided on the -x side of the vertical frame unit 11 in the x direction, the imaging unit 32 can image the marker 23 reliably. If the imaging unit 32 is installed on the -x side of the vertical frame unit 11 in the x direction, as shown by the dotted line arrow in FIG.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rker 23 cannot be imaged. In contrast, when viewed from ab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roviding the image pickup units 32 and 33 outside the vertical frame portion 11 and the region sandwich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2, the image pickup portions 32 and 33 are positioned vertically, respectively. The marker 23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stalled on the frame portions 11 and 12 can be reliably imaged.

도 17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촬상부(34)는, 테두리(15)의 하단부(15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촬상부(34)는,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단부(15a)의 외측(-y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부(34)가, 하단부(15a)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의 마커(23)를 확실하게 촬상할 수가 있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7 . The imaging unit 34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ower end 15a of the frame 15 . Moreover, the imaging part 34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y side) of the lower end part 15a when see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upper side. Therefore, the imaging unit 34 can reliably take an image of the marker 23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provided on the lower end 15a.

촬상부(32, 33, 34)로 촬상한 화상은, 내부 공간(3b)의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도시 생략)에 표시된다. 촬상부(32, 33, 34)와 모니터는 도시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are displayed on a monitor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he inner space 3b. The imaging units 32, 33, 34 and the monitor are connected via a network not shown.

촬상부(32, 33, 34)는, 광축의 방향이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마커(23)마다 촬상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촬상부(34)는 내부 공간(3b)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가 내부 공간(3b)에 낙하하지 않게, 촬상부(34)의 주위에 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is adjustable. In this way, imaging can be performed for each marker 23 . In addition, since the imaging unit 34 is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space 3b,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ver around the imaging unit 34 so that dust does not fall into the interior space 3b.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촬상부(32, 33, 34)로 촬상한 화상에 의해 마커(23)를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3b)으로 작업자가 마커(23)를 볼 필요는 없다. 따라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홈(101d)에 선단부(21a)가 올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marker 23 can be confirmed by the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see the marker 23 in the interior space 3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certain whether the distal end 21a is properly inserted into the groove 101d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dust.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마커(23)를 검게 하기 때문에, 촬상부(32, 33, 34)로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선단부(21a)의 마커(23)가 설치되지 않은 금속색의 부분을 눈에 띄게 히여 마커(23)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또, 마커(23)를 검게 하기 때문에, 촬상부(32, 33, 34)로 촬상한 화상에 플레어(flar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rker 23 is blackened,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s 32, 33, 34, the metal-colored portion of the tip portion 21a where the marker 23 is not provided By making it conspicuous, confirmation of the marker 23 becomes easy. Also, since the marker 23 is black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lare from occurring in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또, 마커(23)가 정방 형상의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가지지만, 촬상부(32, 33, 34)로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는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가 장방 형상으로 된다. 예를 들면, 촬상부(3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촬상된 화상에 있어서의 마커(23)의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리고, 화상에 있어서의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해, 촬상된 마커(23)의 대충의 위치를 파악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arker 23 has a square first marker 23a, a second marker 23b, and a third marker 23c, in the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s 32, 33, 34, 1 marker 23a,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become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23c of the marker 23 in the captured image as the distance from the imaging unit 32 increases. The length gets longer. And the roughly position of the imaged marker 23 can be grasped|ascertained by the length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1st marker 23a in an image, the 2nd marker 23b, and the 3rd marker 23c.

또한, 페리클 파지 부재(21)에 설치하는 마커는 마커(23)에 한정되지 않고, 마커(23A ~ 23E)의 어느 것을 페리클 파지 부재(21)에 설치해도 좋다. 촬상부(32, 33, 34)의 가장 근처에 설치된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촬상하는 경우에는, 촬상부(32, 33, 34)로부터 페리클 파지 부재(21)를 내려다보는 각도가 대략 45°로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 같은 마커(23B)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판(24b)에 의해 마커(23B)의 일부가 차단되었다고 해도, 제1 마커(23a), 제2 마커(23b) 및 제3 마커(23c)를 촬상부(32, 33, 34)로 확실하게 촬상할 수가 있다.Note that the markers installed 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are not limited to the marker 23, and any of the markers 23A to 23E may be installed o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n the cas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provided closest to 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the angle at which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21 is viewed from 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is approximately becomes 45°. In the case of using the marker 23B as shown in FIG. 12, even if a part of the marker 23B is blocked by the reflector 24b, the first marker 23a, the second marker 23b and the third marker ( 23c) can be reliably captured by the imaging units 32, 33, and 34.

이상, 이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한다. 당업자이면, 실시 형태의 각 요소를, 적당, 변경, 추가, 변환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 design change etc. which do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are included. If it i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hange, add, convert, etc. each element of embodiment.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이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 뿐만 아니라 동일성을 잃지 않는 정도의 오차나 변형을 포함한 개념이다. 예를 들면, 대략 평행이란, 엄밀하게 평행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예를 들면, 단지 평행, 직교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엄밀하게 평행, 직교 등의 경우뿐만 아니라, 대략 평행, 대략 직교 등의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근방」이란, 기준으로 되는 위치의 가까이의 어느 범위(임의로 정할 수가 있음)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의 근방이라고 하는 경우에, A에 가까이 있는 범위의 영역으로서, A를 포함하고 있어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은 것을 나타내는 개념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pproximately" i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strictly identical cases but also errors and deformations to the extent that identity is not lost. For example, "substantially parallel" is not limited to strictly parallel, but is a concept including, for example, a certain degree of error. In addi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pressing only parallel, orthogonal, etc., it shall include the case of substantially parallel, substantially orthogonal, etc. as well as the case of strictly parallel, orthogonal,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nearby" means including an area within a certain range (which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near the reference posi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vicinity of A, it is a concept indicating that the area within the range close to A may or may not include A.

1, 2:페리클(pellicle) 파지 장치
3:페리클(pellicle) 첩부(貼付) 장치
3a:개구부 3b:내부 공간
10:프레임 바디(frame body)
11, 12:세로 프레임부(frame part)
13, 14:상틀부(upper frame part)
15:테두리
15a:하단부 15b:상단부
20:페리클 파지부
21:페리클 파지 부재
21a:선단부 21b:절곡부
21c:보유부 21d:선단면
21e, 21f:면
21g:경계선 21h:중심선
22:구동 부재
22a:로드(rod) 22b:액츄에이터
23, 23A, 23B, 23C, 23D, 23E:마커(marker)
23a, 23d:제1 마커 23b, 23e:제2 마커
23c, 23f:제3 마커
23o, 23p, 23q:눈금선
24:계측부
24a:초음파 센서 24b:반사판
24c:선단부
31:계측부
32, 33, 34:촬상부 40:스테이지(stage)
100:페리클((pellicle) 101:페리클 프레임
101a:상면 101b:하면
101c:측면
101d:홈(groove) 101e:중공부(中空部)
102:페리클막(pellicle 膜) 103:점착 부재
110:반송 장치
1, 2: pellicle gripping device
3: Pellicle sticking device
3a: opening 3b: inner space
10: Frame body
11, 12: vertical frame part (frame part)
13, 14: upper frame part
15: border
15a: lower part 15b: upper part
20: pellicle gripping part
21: pellicle gripping member
21a: tip portion 21b: bent portion
21c: retaining part 21d: end surface
21e, 21f: cotton
21g: border line 21h: center line
22: driving member
22a: rod 22b: actuator
23, 23A, 23B, 23C, 23D, 23E: Marker
23a, 23d: first marker 23b, 23e: second marker
23c, 23f: Third marker
23o, 23p, 23q: grid lines
24: measuring part
24a: ultrasonic sensor 24b: reflector
24c: distal end
31: measuring part
32, 33, 34: imaging unit 40: stage
100: pellicle ((pellicle) 101: pellicle frame
101a: upper surface 101b: lower surface
101c: side
101d: groove 101e: hollow part
102: pellicle film 103: adhesive member
110: transport device

Claims (12)

측면에 홈이 형성된 대략 중공 통상의 페리클 프레임과, 상기 페리클 프레임의 상기 측면과 대략 직교하는 제1 면에 상기 페리클 프레임의 중공부를 덮도록 설치된 페리클막을 가지는 페리클을 파지하는 페리클 파지 장치로서,
복수의 막대 모양 부재를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합한 프레임 형상의 부재인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설치되는 복수의 페리클 파지 부재와,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마다 설치된 구동부로서,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되지 않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는,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일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판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의 선단부를 가지고,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 pellicle gripping a pellicle having a substantially hollow normal pellicle frame having grooves formed on its side surface and a pellicle film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ide surface of the pellicle frame so as to cover the hollow portion of the pellicle frame. As a gripping device,
A frame body that is a frame-shaped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rod-shaped members are combin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pellicle gripping members installed on the frame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for each pellicle holding member to control the pellicle holding member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not inserted into the groove. A drive unit for moving in one direction is provided;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has a plate-shaped or bar-shaped tip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marker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tip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ti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표면에 코팅층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마커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nd is formed of metal,
A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er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by provid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ront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클 프레임은, 흑색 알마이트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코팅층은 흑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ellicle frame is an aluminum alloy treated with black almite,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layer is bl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표면의 일부를 깎아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마커가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nd is formed of metal,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rker is installed on the tip portion by cutt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ip portion to form a concav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클 프레임은, 흑색 알마이트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합금이며,
상기 마커는,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검게 착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ellicle frame is an aluminum alloy treated with black almite,
The marker is formed by coloring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black.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홈에 삽입되는 선단면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설된 선단면을 가지고,
상기 마커는, 상기 선단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tip portion has a tip face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er indicates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선단면과, 상기 제2 방향을 대략 따른 가상선인 경계선으로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경계선과에 끼워진 선단 영역에는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marker is a boundary line that is an imaginary line substantially along the second direction with the front end surface, and is not installed in a front end area sandwiched between the boundary line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ront end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A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판 모양이며,
상기 마커는, 상기 선단부의 가장 넓은 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커는, 상기 경계선을 따라 늘어선 제1 마커, 제2 마커 및 제3 마커를 가지고,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tip is plate-shaped,
The marker is installed on the widest surface of the distal end,
The markers have a first marker, a second marker, and a third marker lined up along the boundary line,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wherein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first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를 각각 2개씩 가지고,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는,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marker has two of each of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a center line of the pellicle holding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프레임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 상방 또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rker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viewed from above or obliquely when the frame body is extended horizontal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프레임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연설했을 때, 상기 프레임 바디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n imaging unit for imaging the marker is provided;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ing un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rame body when the frame body is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보유되는 막대 모양의 제1 세로 프레임 및 제2 세로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페리클 파지 부재는, 상기 제1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의 각각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제1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에 인접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촬상부는, 연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에 끼워진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클 프레임 파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rame body has a rod-shaped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held substantially in parallel at intervals,
The pellicle gripping membe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The imaging un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respectively;
The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imaging unit is provided outside a region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when viewed from above in a vertical direction.
KR1020237016524A 2020-12-24 2021-11-11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KR2023012172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15543 2020-12-24
JP2020215543A JP2022101135A (en) 2020-12-24 2020-12-24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PCT/JP2021/041615 WO2022137874A1 (en) 2020-12-24 2021-11-11 Pellicle frame grasp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724A true KR20230121724A (en) 2023-08-21

Family

ID=8215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524A KR20230121724A (en) 2020-12-24 2021-11-11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2101135A (en)
KR (1) KR20230121724A (en)
CN (1) CN116529861A (en)
TW (1) TW202226407A (en)
WO (1) WO2022137874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8501A (en) 2018-01-25 2019-08-0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nd pellicle frame hol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632B2 (en) * 2005-07-08 2011-04-27 レーザーテック株式会社 Pellicle liner or pellicle peeling apparatus, peeling method, and pattern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JP2011158585A (en) * 2010-01-29 2011-08-18 Shin-Etsu Chemical Co Ltd Pell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103638A (en) * 2010-11-15 2012-05-31 Shin Etsu Chem Co Ltd Pellicle handling tool
JP6564846B2 (en) * 2015-02-19 2019-08-2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Pellicle frame gripping apparatus and pellicle frame gripp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8501A (en) 2018-01-25 2019-08-0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Pellicle frame holding device and pellicle frame hol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6407A (en) 2022-07-01
JP2022101135A (en) 2022-07-06
CN116529861A (en) 2023-08-01
WO2022137874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934B2 (en) Alignment method and alignment apparatus for superimposing X-ray images and video images
KR101368157B1 (en)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defect on semiconductor wafer
KR100435108B1 (en) Radia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21325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act measurement of objects
JP4604774B2 (en) Calibration method for 3D measurement
US9222915B2 (en) Eddy current flaw detection system and eddy current flaw detection method
JP4943946B2 (en) Eccentricity measuring device
TW200536450A (en) Method for optically inspecting appearance, and apparatus for optically inspecting appearance
JP6004517B2 (en)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substrate inspection method, and adjustment method of the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JP2010522573A5 (en) System for optical localization and guidance of a rigid or semi-flexible needle to a target
JP2007263611A (en) Distortion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JP2006234553A (en) Visual inspection device and visual inspection method
JP2023053294A (en) Light-transmissive laminate
EP0984245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surface irregularities of transparent plate
KR20230121724A (en)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JP2000028332A (en)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708770B1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surface shape estimating apparatus, and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7112271B (en) Pellicle frame holding apparatus and pellicle frame holding method
JP4385699B2 (en) Semiconductor wafer direction adjusting method and semiconductor wafer direction adjusting apparatus
EP1684107B1 (en) Examination method and examination-assisting tool
JP2006204635A (en) Endoscope
JP3934873B2 (en) Pattern sheet for camera adjustment, camera adjustment method
JP6921412B2 (en) Pellicle frame gripping device and pellicle frame gripping method
JP2000266682A (en) Image fetching apparatus
EP2535923B1 (en)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