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080A -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080A
KR20230121080A KR1020237022612A KR20237022612A KR20230121080A KR 20230121080 A KR20230121080 A KR 20230121080A KR 1020237022612 A KR1020237022612 A KR 1020237022612A KR 20237022612 A KR20237022612 A KR 20237022612A KR 20230121080 A KR20230121080 A KR 2023012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ectacle lens
dimming
hold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광학 소자 (21, 41) 와 중첩되는 전자 소자 (22, 42) 를 갖고, 전후 방향의 일방의 면 (21a, 41b) 에 배치한 단자부 (23) 를 통하여 전자 소자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조광 효과를 얻는 안경 렌즈 (11, 40) 의 가공 방법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 (17, 45) 를 갖는 프레임 (12) 에 있어서의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를 취득하고,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으로 가공한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를 취득하고,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와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유지부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 (Q, Q1, Q2) 을 판정하고, 안경 렌즈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인 타방의 면 (21b, 41a) 에 대해, 간섭 영역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안경 렌즈를 용이하게 프레임에 조립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안경의 제조 및 제공에서는, 안경 렌즈를 프레임에 대응한 윤곽 형상으로 가공 (렌즈형 가공) 하여, 안경 렌즈를 프레임에 조립한다. 렌즈형 가공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양호한 정밀도로 가공하는 기술이나,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 안경 렌즈의 표면이나 내부에 전자 소자를 구비하고, 전자 소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광학적 특성 (광 투과율이나 색 등) 을 변화시키는 전자 조광 안경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전자 조광 안경에 사용하는 전자 소자로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EC 소자) 등이 있다.
이 종류의 전자 조광 안경에서는, 안경 렌즈를 프레임에 조립하면, 프레임측에 형성한 도전 부재가 렌즈측의 전자 소자의 전극에 접촉하여, 전자 소자로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안경 렌즈 중 프레임에 의해 덮이는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후 어느 면에 전자 소자의 전극용 단자를 배치하고,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를 프레임의 유지부에 의해 전후로부터 협지함으로써, 렌즈의 유지와 전극으로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부터, 전자 조광 안경에서는, 일반적인 안경과는 상이한 구조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47348호 일본 특허공보 제6624206호
통상적으로 안경용의 오목 메니스커스 렌즈에서는, 아이포인트로부터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에지 두께가 두꺼워지고, 볼록 메니스커스 렌즈에서는, 아이포인트로부터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에지 두께가 얇아진다. 그 때문에, 비원형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으로 렌즈형 가공한 렌즈는,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에지 두께가 일정하지는 않다. 렌즈 외주 부분의 약연을 프레임에 유지시키는 일반적인 안경에서는, 프레임에 대한 렌즈의 조립시에 에지 두께에 의한 제약을 받기 어려워,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가 부분적으로 프레임의 림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이어도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타입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전자 조광 안경에서는, 렌즈의 에지 두께의 편차가, 프레임에 의한 렌즈의 유지성이나 조립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 중, 에지 두께가 프레임의 유지부로 유지 가능한 최대 두께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렌즈를 프레임인 테에 넣는 것 자체가 제한되는 것이므로, 그 대응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안경 렌즈를 용이하게 프레임에 조립 가능하게 하는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학 소자와 중첩되는 전자 소자를 갖고, 전후 방향의 일방의 면에 배치한 단자부를 통하여 전자 소자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조광 효과를 얻는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를 취득하고,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으로 가공한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를 취득하고,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와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유지부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을 판정하고, 안경 렌즈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인 타방의 면에 대해, 간섭 영역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한다.
안경 렌즈 중 단자부를 배치하는 일방의 면은 볼록면이고,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하는 타방의 면은 오목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조정 가공에서는, 안경 렌즈의 직경 방향 중, 유지부와 중첩되는 부분만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부보다 내경측의 영역에서는, 안경 렌즈의 타방의 면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광학 소자와 중첩되는 전자 소자를 갖고, 전후 방향의 일방의 면에 배치한 단자부를 통하여 전자 소자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조광 효과를 얻는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가공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를 취득시키고,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으로 가공한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를 취득시키고,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와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유지부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을 판정시키고, 안경 렌즈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인 타방의 면에 대해, 간섭 영역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프레임에 대해,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안경 렌즈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전자 조광 안경을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리어 림 파트를 제외한 상태의 전자 조광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분해한 상태의 전자 조광 안경의 배면도이다.
도 4 는, 전자 조광 안경을 구성하는 조광 렌즈의 두께 조정 가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조광 렌즈의 가공에 관한 제어용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조광 렌즈의 가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 은, 조광 렌즈의 두께 조정 가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조광 렌즈의 두께 조정 가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전자 조광 안경 (10) 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가공 (제조) 한 안경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안경 렌즈는, 광학 소자인 렌즈와 조광용의 전자 소자를 조합한 전자 조광 렌즈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광 렌즈 (11) 라고 부른다. 좌우 1 쌍의 조광 렌즈 (11) 를 프레임 (12) 에 조립하여 전자 조광 안경 (10) 이 구성되어 있다.
전자 조광 안경 (10) 은, 도시를 생략하는 조광 제어부와 전원과 조광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가 조광 조작부를 조작하면, 조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조광 렌즈 (11) 의 전자 소자로의 통전 제어가 실시되어, 조광 렌즈 (11) 에서의 조광 효과가 얻어진다. 조광 제어부는, 조광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조광 렌즈 (11) 의 조광 효과 (광 투과율) 를 복수의 단계에서 변화시켜도 된다.
프레임 (12) 은, 좌우 1 쌍의 조광 렌즈 (11) 를 유지하는 림 어셈블리 (13) 와, 림 어셈블리 (13) 에 접속하는 1 쌍의 템플 (14) 을 갖고 있다. 림 어셈블리 (13) 는, 좌안용의 조광 렌즈 (11) 를 유지하는 좌측 림부 (13A) 와, 우안용의 조광 렌즈 (11) 를 유지하는 우측 림부 (13B) 를, 중앙의 브릿지 (13C) 로 접속한 구성이다. 좌측 림부 (13A) 와 우측 림부 (13B) 는 각각, 조광 렌즈 (11) 를 노출시키는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환상으로 둘러싼 구성이고, 이 환상 부분 (후술하는 유지부 (17)) 에 의해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유지한다. 림 어셈블리 (13) 에 의한 조광 렌즈 (11) 의 유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 템플 (14) 은, 브릿지 (13C) 와는 반대측인 좌우의 단부 부근에서 좌측 림부 (13A) 와 우측 림부 (13B) 에 접속하고 있다. 각 템플 (14) 의 접속 부분은 힌지 구조를 갖고 있고, 각 템플 (14) 이 림 어셈블리 (13) 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어셈블리 (13) 는, 전후 방향으로 나뉘어진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의 2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림 파트 (15) 가 전측에 위치하고, 리어 림 파트 (16) 가 후측에 위치하고 있고,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프론트 림 파트 (15) 및 리어 림 파트 (16) 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는 형태로 유지한다.
프론트 림 파트 (15) 는, 림 어셈블리 (13) 의 전면 부분을 구성하는 전벽부 (15a) 와, 전벽부 (15a)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둘레 가장자리벽 (15b) 을 갖는다. 둘레 가장자리벽 (15b) 은, 프론트 림 파트 (15) 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의 대략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리어 림 파트 (16) 는, 림 어셈블리 (13) 의 후면 부분을 구성하는 후벽부 (16a) 와, 후벽부 (16a)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 (16b) 를 갖는다. 돌기부 (16b) 는, 리어 림 파트 (16) 중, 좌측 림부 (13A) 의 좌단 부근, 우측 림부 (13B) 의 우단 부근, 브릿지 (13C) 부근에만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16b) 의 전단이 전벽부 (15a) 의 후면에 맞닿아, 전후 방향에서의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정해진다. 요컨대, 돌기부 (16b) 는, 프론트 림 파트 (15) 의 전벽부 (15a) 와 리어 림 파트 (16) 의 후벽부 (16a) 의 전후 간격을 결정하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후벽부 (16a) 는 둘레 가장자리벽 (15b) 의 내측에 끼워지는 외형 형상을 갖고 있고, 둘레 가장자리벽 (15b) 이 후벽부 (16a) 의 외측을 둘러쌈으로써,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서의 프론트 림 파트 (15) 및 리어 림 파트 (16)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정해진다.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는 각각, 조광 렌즈 (11) 를 노출시키기 위한 좌우 1 쌍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전벽부 (15a) 와 후벽부 (16a) 에는, 이들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측 가장자리부 (15c) 와 내측 가장자리부 (16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를 조합한 상태로, 전벽부 (15a) 와 후벽부 (16a) 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전벽부 (15a) 와 둘레 가장자리벽 (15b) 과 후벽부 (16a) 에 의해 유지부 (17) 가 구성된다. 오목형 단면의 유지부 (17) 에 의해 삼방을 둘러싸이는 공간이, 렌즈 유지 공간 (P) 이 된다. 렌즈 유지 공간 (P) 은, 좌측 림부 (13A) 와 우측 림부 (13B) 의 내주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환상의 홈부 (내주 홈) 이다. 좌측 림부 (13A) 의 렌즈 유지 공간 (P) 과 우측 림부 (13B) 의 렌즈 유지 공간 (P) 이 브릿지 (13C) 의 지점에서 연통하고 있고, 이 연통 지점을 통하여, 후술하는 도전 부재 (2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는, 별도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전자 조광 안경 (1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서로 고정되어 림 어셈블리 (13) 가 된다.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스 (18) (도 1 및 도 2) 를 사용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림 파트 (15) 에는 비스 (18) 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 (15d) 가 형성되고, 리어 림 파트 (16) 에는 나사 결합부 (15d) 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 (16d) 이 형성되어 있다. 비스 (18) 를 후방으로부터 관통공 (16d) 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부 (15d) 에 나사 결합시키고, 소정의 체결 토크를 가함으로써,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가 서로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림부 (13A) 와 우측 림부 (13B) 중 템플 (14) 의 접속 위치의 근방을 비스 (18) 로 체결 고정하고 있지만, 비스 고정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의 고정에 있어서, 비스 이외의 고정 수단 (접착제 등) 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림 어셈블리 (13) 의 내부에는 도전 부재 (20) (도 2 및 도 3 참조) 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를 생략하지만, 1 쌍의 템플 (14) 중 일방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의 템플 (14)) 의 내부에는, 전원과 조광 제어부가 형성된다. 도전 부재 (20) 는, 조광 렌즈 (11) 측의 전극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과 템플 (14) 내의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전 부재 (20) 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상의 부재이고,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으로 구성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 (20) 는, 전벽부 (15a) 의 후면측에 장착된다. 도전 부재 (20) 는,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프론트 림 파트 (15) 에 고정된다.
전자 조광 안경 (10) 의 프레임 (12) 에서는, 좌측 림부 (13A) 및 우측 림부 (13B) 의 상측 가장자리 근처의 위치에 템플 (14) 이나 브릿지 (13C) 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형상에 따라, 도전 부재 (20) 는, 림 어셈블리 (13) 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부재 (20) 는, 좌측 림부 (13A) 와 우측 림부 (13B) 의 각각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른 형상의 좌우 1 쌍의 산형부 (20a) 를, 브릿지 (13C) 를 따른 형상의 접속부 (20b) 로 접속하고 있다. 우측의 산형부 (20a) 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20c) 가 템플 (14) 내의 전원 및 조광 제어부에 접속한다. 도전 부재 (20) 에는, 각 산형부 (20a) 의 양단 부근에 각각 한개씩, 합계 4 개의 커넥터부 (20d)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커넥터부 (20d) 에는 도통 가능한 단자가 노출되어 있다.
도 4 에 단면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렌즈 (11) 는, 수지제의 광학 소자인 렌즈 (21) 의 전면측에, 조광용의 전자 소자인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EC 소자) (22) 를 중첩하여 구성되어 있다. 렌즈 (21) 는, 전면측이 볼록면 (21a) 이고 후면측이 오목면 (21b) 인 오목 메니스커스 렌즈이고, 시트상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는, 렌즈 (21) 의 볼록면 (21a) 을 따른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 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의 표면측에, 소정의 기능 (반사 방지 효과, 자외선이나 적외선의 투과 제어, 렌즈 보호 효과 등) 을 갖는 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렌즈 (21) 의 외주 부분에는, 볼록면 (21a) 과 오목면 (21b) 을 접속하는 에지면 (21c) 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 (21) 의 제조에 있어서는, 볼록면 (21a) 과 오목면 (21b) 을 갖는 상태에서, 프레임 (12) 의 림 어셈블리 (13) (좌측 림부 (13A) 와 우측 림부 (13B)) 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이 되도록 둘레 가장자리부를 가공 (렌즈형 가공) 한다.
조광 렌즈 (11) 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렌즈 (21) 와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를 렌즈 (21) 의 볼록면 (21a) 에 대응한 만곡 형상으로 프리포밍하고 나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와 렌즈 (21) 를 첩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렌즈 (21) 의 성형 가공시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를 포함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조광 렌즈 (11) 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지만,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는, 수지 등의 기판 상에, 제 1 전극층과 일렉트로크로믹층 (조광층) 과 제 2 전극층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렉트로크로믹층은, 전압의 인가에 의한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가역적으로 광물성 (光物性) 을 변화시키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의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각각, 투명하고 또한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이다. 각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면측에는, 정극용과 부극용의 2 개의 단자부 (23)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전극층의 일부가 일방의 단자부 (23) 를 구성하고, 제 2 전극층의 일부가 타방의 단자부 (23) 를 구성하고 있다.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의 일렉트로크로믹층은,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통상 상태에서 투명 (가시광의 투과율이 가장 높은) 상태로 있고, 전압 인가에 의해 일렉트로크로믹 재료에 대응한 소정의 색으로 착색되어 광 투과율을 저하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광 렌즈 (11) 를 림 어셈블리 (13) 에 조립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렌즈 (11) 의 조립은,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실시된다. 또한, 프론트 림 파트 (15) 에는 미리 도전 부재 (20) 가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림 파트 (15) 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조광 렌즈 (11) 를 조립하면,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면 (볼록면 (21a) 측) 이 전벽부 (15a) 에 접한다. 계속해서, 프론트 림 파트 (15) 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리어 림 파트 (16) 를 장착하여 비스 (18) 에 의해 고정시키면,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후면 (오목면 (21b) 측) 이 후벽부 (16a) 에 접한다. 이 단계에서,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림 어셈블리 (13) 의 렌즈 유지 공간 (P) 에 끼워 맞춰진 상태가 되고, 전벽부 (15a) 와 후벽부 (16a) 에 의해 전후로부터 협지됨으로써, 전후 방향에서의 조광 렌즈 (11) 의 위치가 정해진다. 또, 에지면 (21c) 이 둘레 가장자리벽 (15b) 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높이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서의 조광 렌즈 (11) 의 위치가 정해진다.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에 의한 조광 렌즈 (11) 의 협지에 더하여 추가로, 림 어셈블리 (13) 에 대해 조광 렌즈 (11) 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해도 된다.
좌우의 조광 렌즈 (11) 를 림 어셈블리 (13) 에 조립하면, 각 조광 렌즈 (11) 의 전면측에 배치한 단자부 (23) 가, 도전 부재 (20) 의 커넥터부 (20d) 에 도통 상태로 접촉한다. 이로써, 템플 (14) 내의 전원으로부터 도전 부재 (20) 을 경유하여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로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전 부재 (20) 와 단자부 (23) 의 접촉 지점은, 림 어셈블리 (13) 에 있어서의 전벽부 (15a) 나 후벽부 (16a) 로 덮여 있고, 전자 조광 안경 (10) 의 외관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전벽부 (15a) 의 후면측에 배치된 도전 부재 (20) 의 커넥터부 (20d) 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단자부 (23) 를 접촉시키고, 또한 그 후방으로부터 후벽부 (16a) 로 가압하여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자부 (23) 를 포함하는 조광 렌즈 (11) 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부 (20d) 와 단자부 (23) 를 안정적으로 높은 정밀도로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프론트 림 파트 (15) 와 리어 림 파트 (16) 가 분리 불가능한 일체 구조이면,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전벽부 (15a) 나 후벽부 (16a) 에 간섭하여, 림 어셈블리 (13) 로의 조광 렌즈 (11) 의 조립 자체가 곤란해진다. 또, 만일 조립이 가능하더라도, 유지부 (17) 의 바닥부 (둘레 가장자리벽 (15b)) 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키면서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렌즈 유지 공간 (P) 내에 삽입하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부 (20d) 와 단자부 (23) 가 서로 간섭하여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런데, 조광 렌즈 (11) 는 오목 메니스커스 렌즈이고, 아이포인트 (EP) (도 4) 로부터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에지 두께 (전후 방향으로의 에지면 (21c) 의 길이) 가 두껍고, 반대로 아이포인트 (EP) 로부터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에지 두께가 얇아진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포인트 (EP) 로부터의 거리가 α < β 인 관계의 2 위치를 설정하면, 거리 α 에서의 에지 두께 t 에 대해, 거리 β 에서는 에지 두께 t + t' 가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 어셈블리 (13) 에 있어서의 좌측 림부 (13A) 나 우측 림부 (13B) 는 정면시 (배면시) 에 비원형이기 때문에, 렌즈 외형을 프레임에 맞추는 일반적인 렌즈형 가공만을 실시한 상태에서는,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이와 같은 에지 두께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조광 기구를 갖는 조광 렌즈 (11) 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광 렌즈 (11) 의 두께는, 렌즈 (21) 의 두께와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의 두께를 합한 것이 된다.
전자 조광 안경 (10) 에 있어서의 프레임 (12) (림 어셈블리 (13)) 은,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광 렌즈 (11) 의 에지 두께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후 방향에서의 조광 렌즈 (11) 의 두께가 전벽부 (15a) 와 후벽부 (16a) 의 간격 (유지부 (17) 의 내측 치수) 을 초과하고 있으면, 렌즈 유지 공간 (P) 에 넣을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전벽부 (15a) 로부터 후벽부 (16a) 까지의 전후 방향에서의 유지부 (17) 의 내측 치수가, 프레임 (12) (림 어셈블리 (13)) 에 의해 유지 가능한 최대 두께가 된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에지 두께 t 가 유지부 (17) 에 의해 유지 가능한 최대 두께이고,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에지 두께가 최대 두께를 초과하는 부분은, 렌즈 유지 공간 (P) 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 (Q) 이 된다.
조광 렌즈 (11) 에서는, 도전 부재 (20) 에 접속하는 단자부 (23) 가 전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렌즈 유지 공간 (P) 에 들어가는 부분의 전후 방향의 위치 기준을 전면측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전면측을 기준으로서 설정한 최대 두께 (t) 보다 후방의 부분이, 렌즈 유지 공간 (P) 에 들어가지 않는 잉여 두께 t' 가 된다. 또, 리어 림 파트 (16) 와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이포인트 (EP) 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에서 후벽부 (16a) 와 중첩되는 중첩 범위 h 이다. 따라서, 중첩 범위 h 에서 잉여 두께 t' 에 포함되는 외측 가장자리 후방 근처의 부분이 간섭 영역 (Q) 이 된다. 이 간섭 영역 (Q) 은, 오목면 (21b) 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조광 렌즈 (11) 의 조립에 관해서 상기의 제약이 있는 프레임 (12) (림 어셈블리 (13)) 에 대해, 조광 렌즈 (11) 의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조립을 실현하기 위해서, 조광 렌즈 (11) 의 형상을 조정하는 가공 (두께 조정 가공) 을 실시한다.
조광 렌즈 (11) 의 형상 가공에 관한 제어용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 5 에 나타냈다. 조광 렌즈 (11) 를 가공하는 가공 장치 (절삭 장치나 연삭 장치 등) 가 기능 블록 전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가공 장치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가공 장치에 지시를 보내는 외부 단말 (컴퓨터) 이 기능 블록의 일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용의 기능 블록은, 조광 렌즈 (11) 의 가공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30) 를 갖는다. 제어부 (30) 에는, 기억부 (31), 연산부 (32), 판정부 (33) 가 포함된다. 기억부 (31) 는, ROM (Read Only Memory) 이나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수단에 의해 구성된다. 연산부 (32) 와 판정부 (33)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측정부 (34) 는, 조광 렌즈 (11) 의 면 형상이나 각 부의 치수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가공부 (35) 는, 조광 렌즈 (11) 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나,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조광 렌즈 (11) 를 가공하는 절삭 수단이나 연삭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공을 실시하기 위한 가공 프로그램은 기억부 (31) 에 격납되어 있고, 제어부 (30) 가 가공 프로그램을 판독 출력하여 실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가공 프로그램이 제어부 (30) 에 대해 후술하는 각 스텝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시하게 한다.
도 6 의 플로우 차트는, 조광 렌즈 (11) (렌즈 (21)) 의 가공 공정, 특히 조광 렌즈 (11) 를 프레임 (12) 에 조립 가능하게 하는 렌즈형 가공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렌즈형 가공을 실시하는 전단계으로서, 렌즈 (21) 에는 볼록면 (21a) 및 오목면 (21b) 의 면 형상이 이미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가공 내용은, 렌즈 (21) 의 표면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를 첩합한 후의 상태와,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를 첩합하기 전의 렌즈 (21) 단독의 상태 중 어느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요컨대, 측정부 (34) 에서의 측정이나 가공부 (35) 에서의 가공의 대상은, 렌즈 (21) 단독이어도 되고, 렌즈 (21) 와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를 합한 것이어도 된다. 렌즈 (21) 단독의 상태에 적용하는 경우, 조광 렌즈 (11) 의 두께 정보는, 측정부 (34) 에서 실측한 렌즈 (21) 의 두께에, 설계상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의 두께를 더한 것으로서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1 에서는, 제어부 (30) 의 기억부 (31) 에, 프레임 (12) 에 관한 형상 및 각종 치수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 데이터 (3 차원 데이터) 를 기억시킨다. 프레임 형상 데이터에 의해, 상기 서술한 렌즈 유지 공간 (P) 의 최대 두께 (유지 가능한 최대의 에지 두께 t) 나 직경 방향의 깊이 (중첩 범위 h) 등, 유지부 (17) 의 내측 치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2 에서는, 조광 렌즈 (11) 의 러프 가공을 실시한다. 러프 가공에서는, 기억부 (31) 에 입력된 프레임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 (30) 가 가공부 (35) 를 제어하여, 좌측 림부 (13A) 나 우측 림부 (13B) 를 따른 윤곽으로 조광 렌즈 (11) 의 외주 형상을 가공한다.
스텝 S3 에서는, 제어부 (30) 가 측정부 (34) 를 제어하여, 렌즈 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조광 렌즈 (11) 의 표리의 면 위치를 측정한다. 일례로서, 측정부 (34) 는, 조광 렌즈 (11) 의 렌즈면을 스타일러스로 트레이스시켜, 스타일러스의 렌즈 두께 방향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렌즈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스텝 S4 에서는, 스텝 S3 에서 얻어진 렌즈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 (30) 의 연산부 (32) 가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에지 두께를 연산한다. 에지 두께의 연산은, 조광 렌즈 (11) 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실시되고, 연산 결과는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로서 기억부 (31) 에 기억된다.
또한, 스텝 S3 에서의 측정을 실시하지 않고, 조광 렌즈 (11) (렌즈 (21)) 의 설계값으로부터 렌즈 형상 데이터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텝 S3 에서의 실측을 실시함으로써, 설계값에 대한 제조 오차의 영향을 배제하고, 스텝 S4 에서 취득하는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스텝 S5 에서는, 상기 서술한 프레임 형상 데이터 및 렌즈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 특히 윤곽이 되는 에지면 (21c) 의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이 단계에서, 조광 렌즈 (11) 의 외주 형상이 정해지고, 계속해서 두께 조정으로 진행된다.
스텝 S6 에서는, 제어부 (30) 의 연산부 (32) 및 판정부 (33) 에 의해, 먼저 취득한 프레임 (12) 의 유지부 (17) 의 내측 치수 정보와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를 비교 및 연산하여,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유지부 (17) 의 렌즈 유지 공간 (P) 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 (Q) 의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영역 (Q) 의 유무를 판정함과 함께, 간섭 영역 (Q) 이 존재하는 경우의 위치를 특정하여, 그 데이터를 기억부 (31) 에 기억한다. 또한, 스텝 S6 의 처리는, 스텝 S4 와 스텝 S5 의 사이나, 스텝 S5 의 처리와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스텝 S7 에서는, 스텝 S6 에서의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 영역 (Q) 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부 (33) 가 판정한다. 간섭 영역 (Q)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텝 S7 : 아니오), 조광 렌즈 (11) 가 이미 프레임 (12) 에 조립 가능한 상태이고, 렌즈형 가공을 완료한다.
간섭 영역 (Q) 이 존재하는 경우 (스텝 S7 : 예), 스텝 S8 로 진행된다. 스텝 S8 에서는, 제어부 (30) 가 가공부 (35) 를 제어하여, 조광 렌즈 (11) 중 오목면 (21b) 측에 대해, 간섭 영역 (Q) 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하게 한다. 스텝 S8 에서의 가공이 완료되면, 조광 렌즈 (11) 가 프레임 (12) 에 조립 가능한 상태가 되어, 렌즈형 가공을 완료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8 의 두께 조정 가공에 있어서,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후방을 향하는 제 1 면 (24) 과 외주측을 향하는 제 2 면 (25) 을 포함하는 단차 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제 1 면 (24) 은 전후 방향 (조광 렌즈 (11) 의 광축) 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고, 제 1 면 (24) 의 외주부가 에지면 (21c)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면 (25) 은, 제 1 면 (24) 의 내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면이고, 리어 림 파트 (16) 의 후벽부 (16a) 의 내측 가장자리부 (16c) 를 따라 만곡된 형상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면 (25) 은, 전자 조광 안경 (10) 의 완성 상태에서 내측 가장자리부 (16c) 에 끼워 맞춰진 형상이다.
제 1 면 (24) 은,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유지부 (17) 에 의해 유지시켰을 때에, 리어 림 파트 (16) 의 후벽부 (16a) 의 전면에 접촉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간섭 영역 (Q) 을 유지부 (17) 에 간섭시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는, 제 1 면 (24) 보다 전방의 위치까지 (즉, 본 실시형태보다 전후 방향으로 많이)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최소한의 제거량으로 형성한 제 1 면 (24) 으로 함으로써, 절삭 등의 가공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 후벽부 (16a) 에 접촉하는 형태의 제 1 면 (24) 으로 함으로써, 제 1 면 (24) 에 의한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프레임 (12) 에 조립한 조광 렌즈 (11) 의 안정성이나 위치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면 (24) 을 후방을 향하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면 (24) 은, 심플한 형상으로 가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상이한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면 (24) 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일부에 형성하고, 당해 돌기가 후벽부 (16a) 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간섭 영역 (Q) 을 유지부 (17) 에 간섭시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는,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조정 가공시에, 제 2 면 (25) 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면 (24) 을 내경측으로 연장하여 오목면 (21b) 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가공에서는, 조광 렌즈 (11) 를 프레임 (12) 에 장착했을 때에, 오목면 (21b) 의 주위에 제 1 면 (24) (을 내경측으로 연장한 평면) 이 노출되어, 광학 성능이나 미관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후벽부 (16a) 의 내측 가장자리부 (16c) 를 따른 제 2 면 (25) 을 포함하도록 가공하여, 조광 렌즈 (11) 의 직경 방향 중, 유지부 (17) 와 중첩되는 부분 (중첩 범위 h) 만을 제거하고, 유지부 (17) 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오목면 (21b) 을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공 방법 및 가공 프로그램에 의하면,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 (17) 를 갖는 프레임 (12) 에 대해,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조광 렌즈 (11) 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단자부 (23) 를 일방의 면 (볼록면 (21a) 측) 에 구비한 조광 렌즈 (11) 에 있어서, 그 반대측의 타방의 면 (오목면 (21b) 측) 으로의 가공에 의해 유지부 (17) 와의 간섭 영역 (Q) 을 제거하므로, 조광용의 전자 소자인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로의 급전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높은 자유도로 효율이 양호한 렌즈의 두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 은, 조광 렌즈 (11) 의 두께 조정 가공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프레임 (12) 의 유지부 (17) 의 구성으로서, 리어 림 파트 (16) 의 후벽부 (16a) 의 전면측에 경사면 (16e)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16e) 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아이포인트 (EP) 에 가까워지는 경사 형상을 갖고 있고, 렌즈 유지 공간 (P1) 의 형상이, 먼저 설명한 도 4 의 렌즈 유지 공간 (P) 의 형상과는 상이하다. 그리고, 도 6 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1 에서는, 경사면 (16e) 의 경사 형상을 포함하는 유지부 (17) 의 내측 치수 정보가 취득된다.
플로우 차트의 스텝 S6 에서는, 프레임 (12) 의 유지부 (17) 의 내측 치수 정보와,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유지부 (17) 의 렌즈 유지 공간 (P1) 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 (Q1) 의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8 의 두께 조정 가공으로 간섭 영역 (Q1) 을 제거한 결과로서, 조광 렌즈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경사면 (26) 이 형성된다. 경사면 (26) 은, 오목면 (21b) 으로부터 에지면 (21c) 에 걸쳐 연속하는 하나의 면이고, 볼록면 (21a) 측 (전방) 으로부터 오목면 (21b) 측 (후방) 으로 진행됨에 따라 아이포인트 (EP) 에 가까워지는 경사 형상을 갖고 있다. 이 경사면 (26) 은, 전자 조광 안경 (10) 의 완성 상태에서 리어 림 파트 (16) 의 경사면 (16e) 에 끼워 맞춰지는 형상이다.
이와 같이, 두께 조정 가공에 있어서, 제 1 면 (24) 과 제 2 면 (25) 과 같은 면으로 나누지 않고, 오목면 (21b) 으로부터 에지면 (21c) 에 걸쳐 연속하는 하나의 경사면 (26) 을 형성해도 된다. 에지면 (21c) 과 경사면 (26) 의 경계 위치가, 도 4 에 있어서의 에지면 (21c) 과 제 1 면 (24) 의 경계 위치와 동일한 정도의 전후 방향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경사면 (26) 을 따른 간섭 영역 (Q1) (도 7) 의 제거량은, 제 1 면 (24) 및 제 2 면 (25) 을 따른 간섭 영역 (Q) (도 4) 의 제거량보다 작아진다.
상기 실시형태의 조광 렌즈 (11) 는 오목 메니스커스 렌즈이지만, 볼록 메니스커스 렌즈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8 은, 볼록 메니스커스 렌즈인 조광 렌즈 (40) 의 두께 조정 가공에 적용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조광 렌즈 (40) 는, 수지제의 광학 소자인 렌즈 (41) 의 후면측에, 조광용의 전자 소자인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2) 를 중첩하여 구성되어 있다. 렌즈 (41) 는, 전면측이 볼록면 (41a) 이고 후면측이 오목면 (41b) 인 볼록 메니스커스 렌즈이고, 렌즈 (41) 의 외주 부분에는, 볼록면 (41a) 과 오목면 (41b) 을 접속하는 에지면 (41c) 이 형성되어 있다. 에지면 (41c) 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시트상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2) 는, 렌즈 (41) 의 오목면 (41b) 을 따른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2) 의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에 접속하는 정극용과 부극용의 2 개의 단자부 (도시 생략) 가, 조광 렌즈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단자부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단자부 (23) 와 동일한 역할을 갖는다.
조광 렌즈 (40) 는,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 림 파트 (43) 와 리어 림 파트 (44) 에 형성한 유지부 (45) 에 유지된다. 프론트 림 파트 (43) 는, 전벽부 (43a) 를 갖는다. 리어 림 파트 (44) 는, 전벽부 (43a) 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벽부 (44a) 와, 후벽부 (44a)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둘레 가장자리벽 (44b) 을 갖는다. 유지부 (45) 에는, 전벽부 (43a) 와 후벽부 (44a) 와 둘레 가장자리벽 (44b) 에 의해 삼방이 둘러싸이는 렌즈 유지 공간 (P2) 이 형성된다. 전벽부 (43a) 와 후벽부 (44a) 의 내주측에는, 내측 가장자리부 (43b) 와 내측 가장자리부 (44c) 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지 공간 (P2) 은, 내측 가장자리부 (43b) 와 내측 가장자리부 (44c) 의 사이에서 내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환상의 홈부 (내주홈) 이다.
렌즈 유지 공간 (P2) 의 내부에는, 리어 림 파트 (44) 의 후벽부 (44a) 를 따른 위치에, 도전 부재 (도시 생략) 가 장착된다. 이 도전 부재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도전 부재 (20) 와 동일한 역할을 갖는다.
조광 렌즈 (40) 의 조립은, 프론트 림 파트 (43) 와 리어 림 파트 (44) 를 분리시킨 상태로 실시된다. 리어 림 파트 (44) 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조광 렌즈 (40) 를 조립하면, 조광 렌즈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후면 (오목면 (41b) 측) 이 후벽부 (44a) 에 접한다. 계속해서, 리어 림 파트 (44) 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림 파트 (43) 를 장착하여, 비스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면, 조광 렌즈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전면 (볼록면 (41a) 측) 이 전벽부 (43a) 에 접한다. 그리고, 전벽부 (43a) 와 후벽부 (44a) 에 의해 전후로부터 협지됨으로써, 전후 방향에서의 조광 렌즈 (40) 의 위치가 정해진다. 또, 에지면 (41c) 이 둘레 가장자리벽 (44b) 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높이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서의 조광 렌즈 (40) 의 위치가 정해진다.
조광 렌즈 (40) 를 유지부 (45) 에 조립하면, 조광 렌즈 (40) 의 후면측에 배치한 단자부 (도시 생략) 가, 도전 부재 (도시 생략) 의 커넥터부에 도통 상태로 접촉한다. 이로써,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2) 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볼록 메니스커스 렌즈인 조광 렌즈 (40) 는, 아이포인트 (EP) 로부터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에지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렌즈 외형을 비원형의 프레임에 맞추는 렌즈형 가공을 실시하면, 에지 두께의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유지부 (45) 가 조광 렌즈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서의 조광 렌즈 (40) 의 두께가, 전벽부 (43a) 와 후벽부 (44a) 의 사이 (유지부 (45) 의 내측 치수) 에 들어가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조광 렌즈 (40) 에서는 단자부 (도전 부재에 접속하는 부분) 가 후면측에 형성되고, 렌즈 유지 공간 (P2) 에 들어가는 부분의 전후 방향의 위치 기준을 후면측에서 관리한다. 그 때문에, 조광 렌즈 (40) 의 에지 두께가 유지부 (45) 의 내측 치수보다 큰 지점에서는, 전측의 볼록면 (41a) 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프론트 림 파트 (43) 의 전벽부 (43a) 와 중첩되는 (렌즈 유지 공간 (P2) 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 (Q2) 이 된다.
간섭 영역 (Q2) 을 제거하여 조광 렌즈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조정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한다. 조광 렌즈 (40) 에 대한 두께 조정 가공의 흐름은, 도 6 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며, 먼저 설명한 조광 렌즈 (11) 의 두께 조정 가공의 흐름과 동일하고,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조광 렌즈 (11) 의 두께 조정 가공과의 차이로서, 조광 렌즈 (40) 의 경우에는, 스텝 S8 에서의 두께 조정 가공의 대상이, 오목면 (41b) 측은 아니고 볼록면 (41a) 측이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조정 가공의 결과, 전방을 향하는 제 1 면 (46) 과 외주측을 향하는 제 2 면 (47) 을 포함하는 단차 가공이 조광 렌즈 (4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실시된다. 제 1 면 (46) 은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고, 제 1 면 (46) 의 외주부가 에지면 (41c) 의 전측 가장자리 부근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면 (47) 은, 제 1 면 (46) 의 내주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면이고, 프론트 림 파트 (43) 의 전벽부 (43a) 의 내측 가장자리부 (43c) 를 따른 형상이다. 이상과 같이 조광 렌즈 (40) 의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조광 렌즈 (40) 를 유지부 (45) 에 조립할 수 있다.
이상, 도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조광 렌즈 (11) 는, 전면측에 볼록면 (21a) 을 갖고, 후면측에 오목면 (21b) 을 갖고 있고, 볼록면 (21a) 측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단자부 (23) 를 포함한다) 를 구비하고, 오목면 (21b) 측으로의 가공으로 간섭 영역 (Q) 이나 간섭 영역 (Q1) 을 제거하고 있다. 또, 조광 렌즈 (40) 는, 전면측에 볼록면 (41a) 을 갖고, 후면측에 오목면 (41b) 을 갖고 있고, 오목면 (41b) 측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2) 를 구비하고, 볼록면 (21a) 측으로의 가공으로 간섭 영역 (Q2) 을 제거하고 있다. 이들과는 상이한 형태의 렌즈나 가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광 렌즈 (11) 에 있어서, 조광 렌즈 (40) 와 마찬가지로, 오목면 (21b) 측에 단자부를 배치하고, 볼록면 (21a) 측에 대해 두께 조정 가공 (간섭 영역을 제거하는 가공) 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두께 방향으로 렌즈의 내부에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를 배치한 (협지한) 구조의 조광 렌즈의 가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타입의 조광 렌즈에서도,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에 접속하는 단자부를 렌즈의 전후 어느 면에 배치하고, 도시 실시형태와 같이 프레임 (12) 측의 도전 부재 (20) 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전자 소자의 전체가 조광 렌즈의 일방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타입에는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전자 소자에 연결되는 단자부가 일방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조광 렌즈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광 렌즈 (11) 나 조광 렌즈 (40) 를 구성하는 전자 소자로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2, 42) 를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이외의 전자 소자를 갖는 조광 렌즈의 가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기 영동 소자나 액정 소자 등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광물성을 변화시키는 점에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와 공통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영동 소자나 액정 소자를 전자 소자로서 사용하는 안경용의 조광 렌즈의 가공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조광」이란,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전자 소자가 광학 소자에 미치는 광학적인 효과 전반을 의미하고 있고, 협의의 광 투과성 (광 투과율) 이나 색 변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자 조광 안경 (10) 에서는, 조광 렌즈 (11) 를 프레임 (12) 에 조립할 때에, 조광 렌즈 (11) 측에 배치한 단자부 (23) 가 도전 부재 (20) 의 커넥터부 (20d) 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프레임 (12) 에 대한 조광 렌즈 (11) 의 전후 방향 위치는, 조광 렌즈 (11) 의 전면측 (단자부 (23) 를 갖는 측의 면) 을 기준으로 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21) 의 에지면 (21c) 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이 형상의 에지면 (21c) 은, 프론트 림 파트 (15) 의 둘레 가장자리벽 (15b) 에 접촉해도 조광 렌즈 (11) 의 전후 방향의 위치 정밀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전면측에서 전후 방향 위치를 관리하는 조광 렌즈 (11) 의 외주 형상으로서 적합하다. 그러나, 에지면 (21c) 과는 상이한 렌즈 외주 형상을 선택해도 된다. 조광 렌즈 (40) 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에지면 (41c) 과는 상이한 렌즈 외주 형상을 선택해도 된다. 예를 들어, 렌즈 외주 형상을, 전후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직경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테이퍼면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또, 프레임에 있어서의 유지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유지부 (17, 45) 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부 (17, 45) 와는 상이하고, 둘레 가장자리벽 (15b, 44b) 의 지점이 만곡되는 U 자상의 단면 구조의 유지부를 사용해도 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유지부 (17) 에서는, 후벽부 (16a) 의 경사면 (16e) 이 전벽부 (15a) 의 후면에 대해 비평행이지만, 또한, 전벽부 (15a) 의 후면도 경사면 (16e) 과 같은 경사면으로 하여,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지점이 내주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V 자상의 단면 구조로 되어 있는 유지부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소자인 렌즈 (21, 41) 를 수지제로 했지만, 유리제의 렌즈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프레임에 대해, 렌즈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에 제약되지 않고 안경 렌즈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자 조광 안경 등의 생산성이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광학 소자와 중첩되는 전자 소자를 갖고, 전후 방향의 일방의 면에 배치한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소자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조광 효과를 얻는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으로 가공한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와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상기 유지부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안경 렌즈의 상기 일방의 면과는 반대인 타방의 면에 대해, 상기 간섭 영역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상기 일방의 면은 볼록면이고, 상기 타방의 면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정 가공은, 상기 안경 렌즈의 직경 방향 중, 상기 유지부와 중첩되는 부분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4. 광학 소자와 중첩되는 전자 소자를 갖고, 전후 방향의 일방의 면에 배치한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소자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조광 효과를 얻는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가공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전후로부터 협지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를 취득시키고,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외형 형상으로 가공한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를 취득시키고,
    상기 유지부의 내측 치수 정보와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 렌즈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상기 유지부에 들어가지 않는 간섭 영역을 판정시키고,
    상기 안경 렌즈의 상기 일방의 면과는 반대인 타방의 면에 대해, 상기 간섭 영역을 제거하는 두께 조정 가공을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KR1020237022612A 2020-12-07 2021-10-19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KR20230121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2672 2020-12-07
JPJP-P-2020-202672 2020-12-07
PCT/JP2021/038553 WO2022123915A1 (ja) 2020-12-07 2021-10-19 眼鏡レンズの加工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加工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080A true KR20230121080A (ko) 2023-08-17

Family

ID=8197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612A KR20230121080A (ko) 2020-12-07 2021-10-19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9719A1 (ko)
EP (1) EP4258044A1 (ko)
JP (1) JPWO2022123915A1 (ko)
KR (1) KR20230121080A (ko)
CN (1) CN116829304A (ko)
WO (1) WO2022123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9725A2 (en) * 2018-06-02 2019-12-05 BODDEDA, Apparao A smart contact lens for performing wireless operation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348A (ja) 1999-08-06 2001-02-20 Hoya Corp レンズ加工方法
JP6624206B2 (ja) 2015-12-15 2019-12-25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7025A (ja) 1982-05-12 1983-11-16 Honshu Paper Co Ltd 粗面化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6015021B2 (ja) * 2011-02-16 2016-10-2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形状取得方法及び眼鏡レンズ加工形状取得装置
US11226196B2 (en) * 2017-07-31 2022-01-18 Nidek Co., Ltd. Eyeglass frame shape measurement device and lens processing device
EP3674779B1 (en) * 2018-12-24 2023-02-2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obtaining data representative of the outline of a shoulder delimiting a step-back portion in an eyegla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348A (ja) 1999-08-06 2001-02-20 Hoya Corp レンズ加工方法
JP6624206B2 (ja) 2015-12-15 2019-12-25 株式会社リコー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3915A1 (ja) 2022-06-16
EP4258044A1 (en) 2023-10-11
CN116829304A (zh) 2023-09-29
JPWO2022123915A1 (ko) 2022-06-16
US20240019719A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015A (ko)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 어댑터
CN111630441B (zh) 眼睛佩戴物
KR20230121080A (ko) 안경 렌즈의 가공 방법 및 안경 렌즈의 가공 프로그램
CN111033359B (zh) 镜框部件
CN112004661B (zh) 用于制造眼镜镜片的方法
SG194130A1 (en) Adhesive dispensing profile enhancement
JP2007304587A (ja) 電気活性なレンズのための電子機器を収容する眼鏡フレームのブリッジ
CN110114742B (zh) 传感器模块、镜腿、镜框及眼睛佩戴物
KR20050035263A (ko) 전기-활성 렌즈의 제조 방법
US20180210233A1 (en) Ophthalmic device with improved amplitude variation cell
US10705351B2 (en) Ophthalmic device comprising an ophthalmic spectacle lens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EP4270096A1 (en) Semifinished lens
JP2024052089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シート、積層体、眼鏡用レンズ及び眼鏡
WO2018146858A1 (ja) レンズ、レンズブランクおよびアイウェア
JPS61177428A (ja) 液晶眼鏡
WO2023063416A1 (ja) 電子調光レンズ、電子調光眼鏡、電子調光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電子調光眼鏡の製造方法
CN214586266U (zh) 眼镜
JP7303312B2 (ja) フレーム及びアイウェア
US20150077682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wall having alignment unit,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20230258936A1 (en) Optical elements with spatially-variable optical power
KR102007657B1 (ko) 렌즈 가공 방법
JP4761863B2 (ja) 光コネクタ
JP2023528787A (ja) 周縁肩部を有するウェハを含む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レンズ
JP2008061051A (ja) アイグラスディスプレイ
JP2024507673A (ja) Rxに対して準備ができたRxシェ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