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068A -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068A
KR20230121068A KR1020237020735A KR20237020735A KR20230121068A KR 20230121068 A KR20230121068 A KR 20230121068A KR 1020237020735 A KR1020237020735 A KR 1020237020735A KR 20237020735 A KR20237020735 A KR 20237020735A KR 20230121068 A KR20230121068 A KR 2023012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alcohol film
orientation
transmittance
silver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나오 미야무라
야스시 가도와키
구니아키 야마타케
마사나오 하라
시게루 야마키
히데키 오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Publication of KR2023012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9Dichro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37/90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using visualisation means or linked accessories, e.g. screens,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29K2105/12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microfibres or nanofibers
    • B29K2105/124Nano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62Nan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reinforcement
    • B29K2305/08Transition metals
    • B29K2305/14Noble metals, e.g. silver, gold or 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filler
    • B29K2505/08Transition metals
    • B29K2505/14Noble metals, e.g. silver, gold or plati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77Investigating crystal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6Investigating moving sheets
    • G01N2021/869Plastics or polymeric material, e.g. polymers orientation in plastic, adhesive imprinted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이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평가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포함되는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이며, 근적외의 직선 편광에 의해,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편광에 대한 제1 투과율 T1과,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편광에 대한 제2 투과율 T0을 측정하고, 상기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상기 제1 투과율 T1의 비(T1/T0)가, 1보다 클수록 배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1에 가까울수록 배향성이 낮다고 판단한다.

Description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중의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 측정 방법 그리고 특정 배향성을 갖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2월 1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20-20808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문헌 1에는, 침상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 중의 상기 침상 물질의 배향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상기 배향성을, 상기 재료의 소각 X선 산란을 측정하고, 그 산란 벡터의 데이터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실시예 6에는,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S값이 0.30인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은 나노 와이어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에 의해 장축 방향으로 근적외 흡수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68386호 공보
ACS Nano, 2009, VOL.3 NO.1 P21-26.
그러나, 소각 X선 산란의 측정 장치는 비교적 대규모의 장치로 된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현장에서는, 보다 높은 배향성을 갖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제품을 검사하는 방법(배향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을 측정하는 방법 및 더욱 높은 배향성을 갖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1] 제1 양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포함되는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이며,
근적외의 직선 편광에 의해,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편광에 대한 제1 투과율 T1과,
상기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편광에 대한 제2 투과율 T0
을 측정하고,
상기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상기 제1 투과율 T1의 비(T1/T0)가, 1보다 클수록 배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1에 가까울수록 배향성이 낮다고 판단하는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2] 제2 양태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며, 상기 은 나노 와이어는, 전항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기 비(T1/T0)가 4 이상인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3]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전항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연신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비(T1/T0)를 측정하고,
상기 비(T1/T0)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고, 상기 비(T1/T0)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4] 상기 역치가 4 이상의 수치인 전항 [3]에 기재된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5] 상기 나노 와이어를 연신하는 속도가, 매초, 연신 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해 5% 이상인 전항 [3] 또는 [4]에 기재된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6] 제3 양태는, 제2 양태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가공하는 공정을 1개 또는 복수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중의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 재료, 양, 형상, 수치, 비율, 위치, 구성 등에 대하여, 변경, 부가, 생략, 치환 등이 가능하다.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포함되는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예를 들어 투과율 측정 공정과, 판단 공정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은, 투과율 측정 공정 전에 검지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은, 근적외의 직선 편광에 의해,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하, 간단히 「필름」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에 있어서,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편광에 대한 투과율 T1과,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편광에 대한 투과율 T0을 측정하고, 투과율 T0에 대한 투과율 T1의 비(T1/T0)가, 1보다 클수록 배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1에 가까울수록 배향성이 낮다고 판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투과율 T1을 제1 투과율 T1이라 호칭하고, 투과율 T0을 제2 투과율 T0이라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은 나노 와이어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에 의해 장축 방향으로 근적외 흡수를 갖는다. 그 때문에, 배향되어 있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근적외의 편광 필터로서 기능한다.
(투과율 측정 공정)
투과율 측정 공정은, 제1 투과율 측정 공정과, 제2 투과율 측정 공정을 갖는다. 투과율 측정 공정에 있어서, 제1 투과율 측정 공정 및 제2 투과율 측정 공정의 순서는, 임의이다.
제1 투과율 측정 공정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대하여 근적외의 직선 편광을 행하여,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편광에 대한 제1 투과율 T1을 측정한다.
제2 투과율 측정 공정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대하여 근적외의 직선 편광을 행하여,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편광에 대한 제2 투과율 T0을 측정한다.
여기서,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은, 어느 정도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면, 검지 공정을 행하지 않더라도 판단할 수 있다. 배향 방향이 불분명한 경우,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검지 공정에서 검지된다. 상술한 대로,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근적외의 편광 필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2 투과율 T0과 제1 투과율 T1에 차가 발생한다.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제1 투과율 T1의 비(T1/T0)는, 무배향이면 1이고, 배향성이 높아질수록 보다 큰 값이 된다.
제2 투과율 T0 및 제1 투과율 T1을 측정하는 광은, 은 나노 와이어에서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발생하면 되고, 통상, 근적외광(파장 700 내지 2500㎚)이다. 필름에 은 나노 와이어 이외의 첨가물이 있으면, 그 영향을 받기 어려운 근적외광의 파장을 선택해도 된다. 또한, 근적외의 직선 편광은, 편광 필터 등에 의해 무편광의 근적외광으로부터 얻어도 된다. 즉, 근적외광을 발하는 광원과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사이에 편광 필터를 배치하고, 무편광의 근적외광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조사해도 된다.
(검지 공정)
검지 공정은,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이 불분명한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는 공정이다.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은, 어느 정도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면, 검지 공정을 행하지 않더라도 판단할 수 있다. 검지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면내 방향에서 편광 방향을 변화시켜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가장 투과율이 낮아지는 편광 방향과 평행인, 면내 방향 중 어느 방향을 배향 방향으로 하면 된다.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면내 방향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확대되는 방향이며, 두께 방향에 수직인 임의의 방향이다.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한 광은, 상기 투과율 측정 공정과 마찬가지의 광을 사용할 수 있다. 검지 공정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면내 방향 중, 각도를 연속적으로 180° 변경하고, 얻어진 두께 방향의 투과율을 비교하여 배향 방향을 결정한다. 검지 공정은, 그 밖에, 현미경 관찰이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단 공정)
판단 공정은, 예를 들어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제1 투과율 T1의 비(T1/T0)가 1보다 클수록 배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1에 가까울수록 배향성이 낮다고 판단한다.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제1 투과율 T1의 비(T1/T0)는, 후술하는 실시예·비교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 배향성을 나타내는 S값과 상관을 갖는다. 그 때문에, 간편하게 배향성을 측정하고 싶은 경우 등 특허문헌 1의 방법을 바람직하게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은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연속 제조 공정에서의 모니터링 등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은, 예를 들어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가공하여, 보다 배향성이 향상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하, 간단히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이라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은, 배향되어 있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배향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향성의 측정 방법으로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의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제1 투과율 T1의 비(T1/T0)를 측정하고, 비(T1/T0)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큰 경우,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고, 비(T1/T0)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작은 경우,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하, 이와 같이 비(T1/T0)를 측정하는 것을 「투과율비 측정」이라 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이 연신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간단히 「연신 속도 제어」라 하는 경우가 있다.
투과율비 측정 및 연신 속도 제어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과 함께 행해도 되고,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 투과율비 측정, 연신 속도 제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의 순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미리 설정한 역치에 관해,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치(비(T1/T0)의 상한측의 역치)와,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역치(비(T1/T0)의 하한측의 역치)는, 동일 값이어도 되지만,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치(비(T1/T0)의 상한측의 역치)와,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역치(비(T1/T0)의 하한측의 역치)는, 안정 생산의 관점에서 히스테리시스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망하는 필름의 T1/T0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양쪽 역치를 마련할 수 있다.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치(비(T1/T0)의 상한측의 역치) 및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역치(비(T1/T0)의 하한측의 역치)는, 원하는 배향성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되지만,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치(비(T1/T0)의 상한측의 역치)는, 예를 들어 2 이상 5 이하의 수치이며, 3 이상의 수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의 수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역치(비(T1/T0)의 하한측의 역치)는, 예를 들어 1 이상 4 이하의 수치이며, 2 이상 3 이하여도 된다.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치(비(T1/T0)의 상한측의 역치)는, 예를 들어 원하는 비(T1/T0)+0.2의 수치이며, 원하는 비(T1/T0)+0.1의 수치여도 된다.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역치(비(T1/T0)의 하한측의 역치)는, 예를 들어 {원하는 비(T1/T0)-0.2}의 수치이며, {원하는 비(T1/T0)-0.1}의 수치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침상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를 연신하면 침상 물질의 배향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중의 은 나노 와이어는, 연신에 의해 꺾임이나 파단이 발생하기 쉽고, 연신할수록 배향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어, 높은 배향성을 얻기 어렵다. 꺾임이나 파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신 속도를 느리게 하여, 은 나노 와이어에 걸리는 응력을 작게 하면 되지만, 생산성은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하는 배향성을 상기 역치로서 설정하면, 연신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꺾임이나 파단을 억제하여 높은 배향성이 얻어지고, 동시에, 과도하게 연신 속도가 느려지는 일도 없어 생산성의 저하는 거의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연신 속도 제어에 있어서의 연신 속도의 증감은, 제조 공정이 배치 처리이면 배치마다, 연속 공정이면 실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은, 배치 처리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과,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의 비(T1/T0)를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연신 속도 제어를 하여 다음 배치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연속 공정이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상기 연신하는 공정은, 상기 측정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으로 연신함과 함께 비(T1/T0)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연신 속도 제어를 행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는, 예를 들어 매초, 연신 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해, 1% 이상 100% 이하이며, 3% 이상이나, 5%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가, 매초, 연신 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해, X%이면, n초 후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길이는, 예를 들어 {(연신 전의 최초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길이)×(1+0.01×X×n)}이 된다.
연신 속도 제어는, 단순히 역치와 비교하여 매회 일정량의 증감속을 하는 것만이어도 되지만, 연신 속도를 빠르게 수렴시키는 관점에서, 1회의 증속량과 감속량에 차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쪽을 다른 쪽의 2 내지 5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속도 제어는,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관점에서, 역치와 비(T1/T0)의 차분값을 이용한 비례 제어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연속 제조 공정에서 오버슈트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PID 제어(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Control)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의 제조 공정 중에, 연신 공정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를 어느 하나의 연신 공정에 적용해도 되지만, 보다 배향성이 높은 필름을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많은 연신 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연신 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가공하는 공정을 1개 또는 복수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다 배향성이 향상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은 나노 와이어 0.1질량%를 분산시킨 폴리비닐알코올 5질량% 수용액을, 수평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기재 상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매초 0.5mL의 속도로 합계 5mL 적하하였다. 기재 상에 퍼진 액막을 대기 하 25℃에서 3일간 건조시킴으로써 직경 약 10㎝의 원형의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필름의 중심과 외연부의 중간부를 약 한 변이 1㎝인 정사각형으로 복수 잘라내어, 이들을 시료 A로 하였다.
이들 시료의 배향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배향성의 측정)
파장 1600㎚의 적외광의 편광광으로 필름상의 시료의 두께 방향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시료의 면내 방향의 배향 방향을 구하였다. 즉, 시료의 면내 방향에서 편광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투과율을 측정하고, 가장 투과율이 낮아지는 편광 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시료의 배향 방향으로 하였다. 다음에, 면내 방향 중, 시료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편광에 대한 제1 투과율 T1과, 시료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편광에 대한 제2 투과율 T0을 측정하고,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제1 투과율 T1의 비, 즉 비(T1/T0)를 구하였다. 또한, 시료의 면내 방향에서 편광 방향을 변화시켜도 투과율이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배향, 즉 비(T1/T0)를 1로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시료는 모두 비(T1/T0)가 2였다. 또한, 시료 A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의 방법으로도 측정한바 S값은 모두 0.24였다.
복수매 시료 A 중 1매를 포화 붕사 수용액에 1초 함침하고, 동 시료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원래의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 길이 150%로 될 때까지 매초 10%의 연신 속도로 연신하였다. 이것을 시료 B로 하고, 상기 배향성의 측정에 기재된 수단으로, 비(T1/T0)를 측정함으로써,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되는 비(T1/T0)가, 3.8 이하였던 경우 상기 연신 속도를 매초 2% 느리게 하고, 4.1보다 큰 경우 상기 연신 속도를 매초 1% 빠르게 하여, 연신 속도의 지속이 되지 않게 될 때까지, 새로운 시료 A에 대하여 전술한 붕사 수용액의 함침부터 반복하였다. 즉, 측정되는 비(T1/T0)가, 3.8 이하였던 경우 상기 연신 속도를 매초 2% 느리게 하고, 4.1보다 큰 경우 상기 연신 속도를 매초 1% 빠르게 한 연신 속도를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다른 배치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대한 연신 속도를 제어한 결과, 매초 5%의 연신 속도로 비(T1/T0)가 4인 시료 B를 얻었다. 또한, 시료 B에 대하여 상기 수단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한 S값은 0.45였다.
시료 B를 이등분하여 배향 방향이 평행 또는 직각이 되도록 중첩하여, 파장 1600㎚의 무편광에 대한 투과율을 비교한바, 직각으로 겹쳤을 때의 투과율에 대한 평행으로 겹쳤을 때의 투과율의 비는 2.5이며, 편광판으로서 응용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은 나노 와이어를 분산시키지 않은(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료 A를 얻었다. 이 시료 A에 대하여 배향성의 측정을 행한바, T1/T0은 1이었다. 또한, 이 시료 A에 대하여 상기 수단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한 S값은 0이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얻어지는 필름은, 근적외의 편광판 등의 광학 소자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포함되는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이며,
    근적외의 직선 편광에 의해,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편광에 대한 제1 투과율 T1과,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편광에 대한 제2 투과율 T0
    을 측정하고,
    상기 제2 투과율 T0에 대한 상기 제1 투과율 T1의 비(T1/T0)가, 1보다 클수록 배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1에 가까울수록 배향성이 낮다고 판단하는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2.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며,
    상기 은 나노 와이어는, 제1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기 비(T1/T0)가 4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3.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가공하여, 상기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을 높이는 가공 방법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상기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제1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연신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비(T1/T0)를 측정하고,
    상기 비(T1/T0)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고,
    상기 비(T1/T0)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가 4 이상의 수치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는 속도가, 매초, 연신 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해 5%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가공하는 공정을 1개 또는 복수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37020735A 2020-12-16 2021-12-15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30121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8084 2020-12-16
JPJP-P-2020-208084 2020-12-16
PCT/JP2021/046239 WO2022131286A1 (ja) 2020-12-16 2021-12-15 銀ナノワイヤの配向性の測定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の加工方法及び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068A true KR20230121068A (ko) 2023-08-17

Family

ID=8205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735A KR20230121068A (ko) 2020-12-16 2021-12-15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60888A1 (ko)
EP (1) EP4265394A1 (ko)
JP (1) JPWO2022131286A1 (ko)
KR (1) KR20230121068A (ko)
CN (1) CN116568484A (ko)
TW (1) TWI808568B (ko)
WO (1) WO20221312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8386A (ja) 2018-03-26 2019-10-03 昭和電工株式会社 材料中の針状物質の配向性の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2029A1 (en) * 2006-10-12 2009-02-26 Cambrios Technologies Corporation Functional films formed by highly oriented deposition of nanowires
JP2012014001A (ja) * 2010-07-01 2012-01-19 Nitto Denko Corp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8139526B (zh) * 2015-10-27 2021-09-10 三菱化学株式会社 聚乙烯醇系薄膜、及使用其的偏光膜、偏光板、以及聚乙烯醇系薄膜的制造方法
JP6865428B2 (ja) * 2016-10-25 2021-04-28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ゴム複合材料
JP6910931B2 (ja) * 2016-12-02 2021-07-2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及び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8386A (ja) 2018-03-26 2019-10-03 昭和電工株式会社 材料中の針状物質の配向性の測定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Nano, 2009, VOL.3 NO.1 P21-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8568B (zh) 2023-07-11
EP4265394A1 (en) 2023-10-25
JPWO2022131286A1 (ko) 2022-06-23
US20240060888A1 (en) 2024-02-22
TW202240143A (zh) 2022-10-16
WO2022131286A1 (ja) 2022-06-23
CN116568484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92963A1 (ja) 金属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Slee et al. The transport of oxygen through orient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Syuhada et al. Single-mode modified tapered fiber structure functionalized with GO-PVA composite layer for relative humidity sensing
Karrock et al. Flexible photonic crystal membranes with nanoparticle high refractive index layers
KR102432418B1 (ko) 편광 필름
KR20230121068A (ko) 은 나노 와이어의 배향성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가공 방법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
JP4544005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dilha et al. Effect of solvents on the morphology of PMMA films fabricated by spin-coating
JP2006150659A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フィルム
Park et al. Sensitivity improvement of free-standing porous silicon rugate filters for isopropanol vapor detection by applying lateral pressure differences
KR101235611B1 (ko) 편광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harifi et al. Network of nano-droplets by a tri-block polymer
Sergeev et al. Investigation of humidity influence upon waveguide features of chitosan thin films
Kienberger et al. Biobased support layers for the fractionation and selective extraction of lignosulfonates
CN109160483B (zh) 一种纳米柱传感器、折射率检测装置及方法
Bunkin et al. Fourier IR Spectroscopy Study of the Effects of Unsteadiness on the Process of Swelling of Polymeric Membranes
CN106950199A (zh) 金八面体‑石墨烯复合纳米材料的制备方法及基于其的传感芯片及其应用
Sergeev et al. Nanocomposite polymer structures for optical sensors of hydrogen sulfide
Boiko et al. Laws of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oriented polyamide-6 fibers
CN109119355B (zh) 断面倾斜角检测装置
A Lieberzeit et al. From metal ions to biospecies: template-assisted synthesis as a strategy to generate artificial receptor materials
JP2022550859A (ja) フィルムの延伸、密度、厚み、および空隙率のうちの少なくとも1つについてプロファイルを特定する、キャビティを含むフィルムの製造方法
RU279823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алогенидсеребряных световодов на основе нанокерамики системы AgCl0,25Br0,75 - AgI
CN104359858B (zh) 一种快速调控长周期光纤光栅折射率灵敏度的方法
Boinovich et al.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superhydrophobic materials based on fibrous polytetrafluoroethyl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