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754A -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754A
KR20230120754A KR1020220017365A KR20220017365A KR20230120754A KR 20230120754 A KR20230120754 A KR 20230120754A KR 1020220017365 A KR1020220017365 A KR 1020220017365A KR 20220017365 A KR20220017365 A KR 20220017365A KR 20230120754 A KR20230120754 A KR 2023012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ensor
wheel
sensing unit
whee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열
김성우
박태웅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윗휴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윗휴먼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754A/ko
Publication of KR2023012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휠(Tone Wheel)이 장착된 차륜의 회전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는, 톤휠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톤휠과 함께 회전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N극 및 S극의 자석이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원형 링 형태로 된 회전마그네틱부재; 및,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고속센싱유닛과,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미만일 경우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저속센싱유닛과, 상기 고속센싱유닛과 저속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센서마운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는 수동형(Passive) 차륜 속도 센서(Wheel Speed Sensor)의 장점과 이상적인 경우 제로 스피드까지 감지할 수 있는 능동형(Active) 센서의 장점을 융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성과 속도 감지 기능의 최적화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Wheel Speed Sensor And Method for Sensing Wheel Speed}
본 발명은 차륜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톤휠(Tone Wheel)이 장착된 차륜의 회전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륜 속도 센서는 도 1과 같이 차량의 Steel Hub에 장착되어 브레이크 가동시 각 바퀴의 잠김(Locking) 여부를 판단하고, 각 차륜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브레이크 유압라인의 증, 감, 압의 제어를 할 수 있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최적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이다. 자동차 제동시 바퀴의 잠김을 방지하기 위해 ABS(Anti Lock Brake System)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은 차륜 속도 센서, ECU, Modulator 및 ABS Relay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차륜 속도 센서로 사용되는 수동형 센서는 마그네틱 코일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각 차륜속도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로 센서의 앞부분에 톱니 모양의 톤휠(Tone Wheel)이 회전하면서 센서의 자속이 바뀌면 그 자속 변화로 차륜 회전수를 검출한 신호를 ABS 및 TPMS(간접식)에 전달하여 최적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전원 공급이 필요 없으면서 높은 신뢰성과 긴 수명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차량이 저속, 즉 차륜의 회전수가 적을수록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차륜 속도 센서로 사용되는 다른 방식인 능동형 센서는 홀 센서를 이용한 방식으로 수동형에 비해 소형, 경량이며 에어갭(AG: Air Gap)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으며 노이즈 내성도 우수한 특성과 디지털 출력으로 신호 처리에 용이한 장점과 이상적인 경우 제로 스피드도 감지가 가능한 검출 능력을 가진 센서라 할 수 있지만, 능동형 센서는 추가 전원 공급이 필수이므로 전력소모가 불가피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형과 능동형 방식 각각의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차륜 속도 센서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7995호에는 톤휠의 외주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톤휠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고속모듈;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미만일 경우 톤휠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저속모듈; 자석을 수용하며 고속모듈과 저속모듈을 결합시키는 결합모듈;을 포함하는 차륜 속도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차륜 속도 센서는 추가 전원 공급 없이 동작하는 수동형(Passive) 차륜 속도 센서(Wheel Speed Sensor)의 장점과 이상적인 경우 제로 스피드까지 감지할 수 있는 능동형(Active) 센서의 장점을 융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성과 속도 감지 기능의 최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차륜 속도 센서를 비롯한 종래의 차륜 속도 센서는 센서의 케이싱 내부에 자석이 함께 장착되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799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301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 전원 공급 없이 동작하는 수동형(Passive) 차륜 속도 센서(Wheel Speed Sensor)의 장점과 이상적인 경우 제로 스피드까지 감지할 수 있는 능동형(Active) 센서의 장점을 융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성과 속도 감지 기능의 최적화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며,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는, 톤휠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톤휠과 함께 회전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N극 및 S극의 자석이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원형 링 형태로 된 회전마그네틱부재; 및,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고속센싱유닛과,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미만일 경우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저속센싱유닛과, 상기 고속센싱유닛과 저속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센서마운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속센싱유닛은 상기 센서마운트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SUS 재질의 폴피스와, 상기 폴피스의 주위에 감겨져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속센싱유닛은, 상기 센서마운트부재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마운트부재는, 속이 빈 원통관 형태로 되어 전방부에 상기 폴피스가 수용되며, 전방부 외면에 상기 코일이 감기는 보빈이 형성된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폴피스를 센서하우징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의 보빈을 포함하여 센서하우징의 전방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의 전단부에 상기 저속센싱유닛이 설치되는 원반형의 센서브라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속도 센서의 차륜 속도 감지 방법은,
차륜 구동 시 저속센싱유닛과 고속센싱유닛을 모두 구동시키되 저속센싱유닛으로부터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저속감지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및,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저속센싱유닛의 구동을 중단하고 고속센싱유닛으로부터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고속감지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는, 추가 전원 공급 없이 동작하는 수동형(Passive) 차륜 속도 센서(Wheel Speed Sensor)의 장점과 이상적인 경우 제로 스피드까지 감지할 수 있는 능동형(Active) 센서의 장점을 융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성과 속도 감지 기능을 최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이 센서모듈 내부에 함께 구성되지 않고, 톤휠의 중심부에 N극과 S극이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링 형태의 회전마그네틱부재가 장착되어 기존의 차륜 속도 센서에 내장되는 자석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모듈에 별도의 자석이 내장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센서모듈의 정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센서모듈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가 장착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는 고속센싱유닛(110)과 저속센싱유닛(120) 및 센서마운트부재(130)를 포함하는 센서모듈(100)과, 톤휠(Tone Wheel)(T)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톤휠(T)과 함께 회전하는 원형 링 형태의 회전마그네틱부재(200)를 포함한다.
회전마그네틱부재(200)는 N극 및 S극의 자석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원형 링 형태를 가지며, 센서모듈(100)과는 개별체로 되어 톤휠(T)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톤휠(T)과 함께 회전한다.
센서모듈(100)은 톤휠(T)의 일측에서 회전마그네틱부재(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센서마운트부재(130) 내측에 고속센싱유닛(110)과 저속센싱유닛(120)이 수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속센싱유닛(110)은 수동형(passive) 센서로서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톤휠(T)에 장착된 회전마그네틱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피스(111)와 폴피스(111)의 주위를 감는 코일(112)을 포함한다. 폴피스(111)는 SUS 재질로 이루어지며, 센서마운트부재(130)을 구성하는 보빈(132)의 내부에 수용되고 보빈(132)의 전방부 외면에 코일(112)이 감겨지는 구조이다. 폴피스(111)의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를 갖지만, 전단부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보빈(132)의 전단부에 형성된 센서브라켓(133) 중앙의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된다. 이 때 코일(112)은 주변에서 발생한 자기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폴피스(111)는 주변의 자기장 변화를 균일화함과 동시에 확대하여 발생된 자기장이 코일(112)에 유기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저속센싱유닛(120)은 능동형(active) 센서로서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미만일 경우 톤휠(T)에 장착된 회전마그네틱부재(200)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며,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T)의 회전마그네틱부재(200)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홀센서(121)를 포함한다.
홀센서(121)는 보빈(132)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원반형의 센서브라켓(133)에 설치된다.
센서마운트부재(130)는 고속센싱유닛(110)과 저속센싱유닛(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수단(135), 센서하우징(131), 하우징커버(136)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35)은 폴피스(111)가 센서하우징(13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센서하우징(131)의 후방부를 통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135)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하우징(131)의 후방부 내주면에는 고정수단(135)이 나선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센서하우징(131)은 속이 빈 원통관 형태로 되어 전방부에는 폴피스(111)가 수용된다. 폴피스(111)가 수용되는 센서하우징(131)의 전방부의 외측면은 코일(112)이 감기는 보빈(132)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빈(132)의 전단부에는 원반형의 센서브라켓(133)이 구비되어, 보빈(132)이 전체적으로 대략 'H'자 형상을 갖게 되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보빈(132)의 외면에 코일(112)을 권선하기가 용이해진다.
센서하우징(131)의 후방부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커버(136)는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어, 보빈(132)을 포함하여 센서하우징(131)의 전방부를 감싸면서 센서하우징(131)의 전방에 결합된다. 하우징커버(136)의 전단부 중심부에는 센싱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센싱홀(137)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저속감지모드와 고속감지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속감지모드는 차륜 구동 시 저속센싱유닛(120)과 고속센싱유닛(110)을 모두 구동시키되 저속센싱유닛(120)으로부터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모드이다.
고속감지모드는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예를 들어 30㎞/h) 이상일 경우 저속센싱유닛(120)의 구동을 중단하고 고속센싱유닛(110)로부터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파수, Duty Cycle 및 속도 특성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RPM : 톤휠의 분당회전수, 즉 차륜의 분당회전수
(2) 주파수 : RPM을 주파수로 변환하여 나타낸 값
톤휠(Tone Wheel)에 회전마그네틱부재(200)가 장착되고, 회전마그네틱부재(200)에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N극 및 S극이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에 감지되고 이는 주파수를 가진 아날로그 및 디지털형태의 신호로 그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톤휠(T)의 회전마그네틱부재(200)에 N극 및 S극이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톤휠(T)의 1회전시 주파수가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RPM의 값을 주파수(초당 N극 및 S극 숫자)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회전마그네틱부재(200)의 N극 및 S극 갯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N극 및 S극이 48개인 경우,
1RPM은 아래의 수식에 의해 0.8Hz 가 된다.
Figure pat00001
84RPM의 경우
Figure pat00002
= 67.2Hz 가 된다.
(3) Duty Cycle : 펄스 주기(T)에 대한 펄스폭(PW)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
단위는 %이며, 수식
Figure pat00003
로 계산된다.
회전마그네틱부재(200)의 N극 및 S극의 한 쌍이 1Hz라고 한다면 이 때 1Hz는 1주기(1T)에 1개의 펄스(N극/S극)의 정보를 가진 출력 신호이다.
따라서, 회전마그네틱부재(200)의 N극 및 S극 쌍이 정확히 50(50%):50(50%)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감지하는 기능인 차륜속도센서가 정확하게 50(50%):50(50%)으로 감지하는지 여부가 정확도의 측면에서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4) 속도의 계산
톤휠이 차륜의 중심에 장착되어 있다고 설정하면 톤휠의 중심부터 장착된 차륜의 테두리까지 직경의 값이 정해진다. 따라서 톤휠이 한바퀴 회전하면 차륜이 한바퀴 회전한 것이고 정해진 직경 값으로부터 1회전시 차량이 이동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몇 회전했느냐에 따라서 시간당 거리에 대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는 자석이 센서모듈(100) 내부에 함께 구성되지 않고, 톤휠(T)의 중심부에 N극과 S극이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링 형태의 회전마그네틱부재(200)가 장착되어 센서모듈(100)과는 개별체로 구성된다. 즉, 톤휠(T)에 장착된 회전마그네틱부재(200)가 기존의 차륜 속도 센서에 내장되는 자석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므로 센서모듈(100)에 별도의 자석이 내장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센서모듈(100)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정확도 면에서도 등록특허 제10-1857995호에 제시된 기존의 차륜 속도 센서와 비교하여 거의 동등하거나 이보다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 : 톤휠(Tone Wheel 100 : 센서모듈
110 : 고속센싱유닛 111 : 폴피스
112 : 코일 120 : 저속센싱유닛
121 : 홀센서 130 : 센서마운트부재
131 : 센서하우징 132 : 보빈
133 : 센서브라켓 135 : 고정수단
136 : 하우징커버 137 : 센싱홀
200 : 회전마그네틱부재

Claims (6)

  1. 톤휠이 장착된 차륜의 회전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에 있어서,
    톤휠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톤휠과 함께 회전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N극 및 S극의 자석이 교대로 연속하여 배열된 원형 링 형태로 된 회전마그네틱부재; 및,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고속센싱유닛과,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미만일 경우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차륜의 휠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저속센싱유닛과, 상기 고속센싱유닛과 저속센싱유닛을 수용하는 센서마운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마그네틱부재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모듈;
    을 포함하는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센싱유닛은 상기 센서마운트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SUS 재질의 폴피스와, 상기 폴피스의 주위에 감겨져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센싱유닛은, 상기 센서마운트부재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운트부재는, 속이 빈 원통관 형태로 되어 전방부에 상기 폴피스가 수용되며, 전방부 외면에 상기 코일이 감기는 보빈이 형성된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폴피스를 센서하우징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의 보빈을 포함하여 센서하우징의 전방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를 포함하는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전단부에 상기 저속센싱유닛이 설치되는 원반형의 센서브라켓이 형성된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륜 속도 센서의 차륜 속도 감지 방법은,
    차륜 구동 시 저속센싱유닛과 고속센싱유닛을 모두 구동시키되 저속센싱유닛으로부터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저속감지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및,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저속센싱유닛의 구동을 중단하고 고속센싱유닛으로부터 차륜 속도를 감지하는 고속감지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KR1020220017365A 2022-02-10 2022-02-10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KR20230120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365A KR20230120754A (ko) 2022-02-10 2022-02-10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365A KR20230120754A (ko) 2022-02-10 2022-02-10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754A true KR20230120754A (ko) 2023-08-17

Family

ID=8780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365A KR20230120754A (ko) 2022-02-10 2022-02-10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7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39U (ko)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차륜회전속도 검출센서
KR101857995B1 (ko) 2017-04-21 2018-06-27 주식회사 윗휴먼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39U (ko)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차륜회전속도 검출센서
KR101857995B1 (ko) 2017-04-21 2018-06-27 주식회사 윗휴먼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8474B1 (en) Rotational velocity and direction sensing system
KR940006949B1 (ko) 조향축의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는 장치
JP2006527841A (ja) 地磁界によるタイヤとホイールの組立体の回転数の検出
CN111971875B (zh) 电动机
JP2596033Y2 (ja) パックシール
JP2007085906A (ja) 回転検出センサの取付構造
KR20230120754A (ko) 융합형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KR940006597B1 (ko) 전동장치 속도 감지기
JP4618913B2 (ja) アウタ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モータの構造
JP2007082371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6882143B2 (en) Inductive sensor
JPH04256860A (ja) 自動二輪車用車輪速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101857995B1 (ko) 차륜 속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륜 속도 감지 방법
KR100453767B1 (ko) 자동차용 휠 속도센서
CN216530993U (zh) 一种轮毂电机的离轴磁编式测速装置
JP5101711B2 (ja) スピードセンサーアセンブリー
JP2523062Y2 (ja) 電磁式回転センサ
JP2020054019A (ja) シャシダイナモ装置用負荷モータ
JPS6123806Y2 (ko)
KR20060007552A (ko) 허브베어링 장착형 휠 속도 센서
US11962201B2 (en) Motor
JP3939022B2 (ja) 環状速度センサー
KR20000019055U (ko) 차량의 속도 측정구조
US20060173649A1 (en) Active speed detecting device for vehicle
JP2511876Y2 (ja) 電磁式回転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