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270A -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 Google Patents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270A
KR20230120270A KR1020220016646A KR20220016646A KR20230120270A KR 20230120270 A KR20230120270 A KR 20230120270A KR 1020220016646 A KR1020220016646 A KR 1020220016646A KR 20220016646 A KR20220016646 A KR 20220016646A KR 20230120270 A KR20230120270 A KR 2023012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lanetary gear
built
gear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560B1 (ko
Inventor
이종준
Original Assignee
대호디엠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디엠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호디엠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56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1664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7560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30Variabl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02Lubric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8Exchange, draining or filling of transmission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부가 케이싱 내부로 연장된 샤프트와; 케이싱에 내장되되, 지지샤프트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유성기어유닛과; 유성기어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는 토크전달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는, 동력전달 효율이 뛰어나고 작동 중 소음이 작으며, 오일의 교체나 보급을 위해 장치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Planetary gear unit built-in power drum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구동용 파워드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기어유닛이 내장되어 동력전달 효율이 뛰어나고 작동 중 소음이 작으며, 오일의 교체나 보급을 위해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분진이 많은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의 벨트컨베이어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가령 골재를 파쇄 선별 및 이송시키는 골채채취장이나, 철광석 등을 연속 운반해야 하는 제철소 또는 광산이나 화력 발전소 등에서는, 운반 대상물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식의 벨트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벨트컨베이어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드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 회전드럼에 지지되며 순환 운동하는 벨트 등을 갖는다. 또한 회전드럼에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토크를 출력하는 파워드럼과, 벨트를 받치는 다수의 아이들드럼이 포함된다. 파워드럼의 회전력은 벨트에 전달되어 벨트가 설정 속도로 순환운동 하게 한다.
이러한 파워드럼에는 용도에 맞는 다양한 설계가 적용되나, 대개,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외주면을 감싸 케이싱에 대한 벨트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커버,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싱을 회전 시키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케이싱으로 전달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며, 기어는 치합한 상태로 모터의 회전력을 케이스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부는, 큰 토크를 전달하는 만큼, 마모가 심하고 소음을 발생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상향 이송식 틸팅컨베이어의 경우에 심하다. 틸팅컨베이어는, 가령 낮은 지점에서 로딩된 운반 대상물을 높은 지점으로 올리는 방식의 컨베이어로서, 일반 수평식 벨트컨베이어보다 이송 부하가 훨씬 크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본 발명자에 의해 기출원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6145호(컨베이어 구동용 파워드럼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파워드럼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파이프 및 파이프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커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회전토오크를 출력하는 모터와; 커버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케이싱내에 모터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케이싱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모터의 회전토오크를 일측 커버로 유도하여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전동수단과; 모터와 접하며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와;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며, 열감지부와 접속되고 모터의 과열시 작동하는 과열경고부를 포함하고, 샤프트는 모터의 양측에서 모터와 케이싱 사이에 위치되어 모터의 일측부에서 모터 및 전동수단에 의한 일측커버의 기어 회전을 지지하고 모터의 타측부에서 타측 커버를 베어링 지지시키고, 케이싱은 모터의 회전토오크를 통해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케이싱의 외부에는, 케이싱의 역회전을 차단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역회전방지수단은; 커버에 구비되는 라쳇부와, 라쳇부에 대응 배치되며 그 선단부가 라쳇부에 대해 진퇴운동 하는 록킹부와, 록킹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케이싱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감지센서와, 역회전감지센서와 접속되며 역회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기초로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위의 종래 파워드럼장치는, 전동샤프트가 모터의 구동축에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편심되어 있으므로, 동력 전달경로의 밸런스가 맞지 않고, 작동 중 구동기어부와 중간기어가 미세하게 벌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치합하고 있는 기어이가 벌어지면 마모가 급속히 발생하고 소음이 심하게 된다.
또한 소음이나 마모를 완화하기 위해서 그리이스를 보충해야 하는데, 그리이스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를 멈춘 후 케이싱을 분해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이스를 보충하는 동안에는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더욱이, 파워드럼장치가 사용되는 장소는 분진이 심한 환경인데, 떠다니는 분진이 많은 장소에서 케이싱을 분해하는 것은 기계를 오염시킬 확률이 매우 높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6145호 (컨베이어 구동용 파워드럼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22896호 (벨트 컨베이어의 드럼 풀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동력전달 효율이 뛰어나고 작동 중 소음이 작으며, 오일의 교체나 보급이 간편한,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는,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부가 케이싱 내부로 연장된 지지샤프트와; 케이싱에 내장되되, 지지샤프트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유성기어유닛과; 유성기어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는 토크전달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성기어유닛은; 모터에 결합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수용하는 기어하우징과, 기어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부에 치합하고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1유성기어와, 기어하우징에 고정되며 제1유성기어와 치합하는 제1링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며, 단부에 말단기어부를 가지고, 기어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토크전달체에 결합하는 출력샤프트와, 기어하우징 내에서 밀단기어부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와 대응하는 다수의 제2유성기어와, 기어하우징내에 고정되고 제2유성기어와 치합하는 제2링기어와, 제1유성기어와 제2유성기어를 연결하는 기어연결핀을 갖는다.
또한, 상기 토크전달체는; 출력샤프트와 결합하는 커넥터와, 커넥터를 케이싱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키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링의 형상을 취하며 케이싱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고정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키를 통해 출력샤프트와 결합하는 전동디스크를 갖는다.
또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부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오일공급부는; 케이싱의 내부에 배관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오일을 기어하우징 내부로 유도하는 오일공급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 내부의 오일을 케이싱 외부로 빼내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 내에 배관되며 기어하우징 내부의 오일을 기어하우징 외부로 유도하는 오일배출관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지샤프트의 내부에는,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1통로 및 제2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공급관의 일단부는 기어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통로에 연결되며, 오일배출관의 일단부는 기어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통로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샤프트의 단부에는, 제1,2통로를 밀폐하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오일공급관 또는 오일배출관에는 관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기어하우징에는, 기어하우징 내부의 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오일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 및 오일센서와 접속되며 감지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모듈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는, 동력전달 효율이 뛰어나고 작동 중 소음이 작으며, 오일의 교체나 보급을 위해 장치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워드럼 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지지샤프트 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2유성기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파워드럼 장치는 유성기어유닛을 내장한다. 유성기어유닛은 등각 배치된 다수의 유성기어를 가지므로 전달되는 동력의 쏠림 현상이 없어 그만큼 동력전달 효율이 뛰어나고 작동 중 소음이 작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워드럼 장치는,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부가 케이싱 내부로 연장된 샤프트와; 케이싱에 내장되되, 지지샤프트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유성기어유닛과; 유성기어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는 토크전달체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드럼 장치(10)는, 케이싱(20), 지지샤프트(55), 모터(30), 유성기어유닛(40), 토크전달체를 포함한다.
케이싱(20), 내부공간(20a)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파이프(21)와, 파이프(21)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커버(22)를 구비한다. 파이프(21)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 고무커버(26)를 구비한다. 라텍스커버는 파이프(21)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벨트(미도시)와 케이싱(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커버(22)는 파이프(21)의 내부공간(20a)을 차단하는 디스크형 부재로서 지지샤프트(55)를 통과시킨다. 지지샤프트(55)는 축회전 하지 않는 고정형 샤프트이다.
지지샤프트(55)는 외부의 프레임(미도시)에 결합한 상태로 케이싱(20)을 축회전 가능하게 수평 지지함과 아울러, 일부가 케이싱(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케이싱(20) 내부의 모터(30)를 고정한다. 두 개의 지지샤프트(55)의 중심축선은 일치한다. 외부의 프레임이라 함은, 파워드럼 장치(10)가 적용되는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 일 수 있다. 아울러, 지지샤프트(55)와 커버(22)의 사이에는 베어링(25)이 끼워진다.
모터(30)는 케이싱(20)에 내장되되, 도면상 우측 지지샤프트(55)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력을 출력한다. 모터(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은, 지지샤프트(55)의 배선통로(도 3의 55a)에 배선된다. 모터(30)는 통상적이 모터로서, 구동축(34)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한다. 모터(30)에서 출력된 회전력은 케이싱(20)을 회전하는데 사용된다. 구동축(34)의 중심축선은 지지지지샤프트(55)의 중심축선과 일치한다.
유성기어유닛(40)은, 모터(30)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아 출력샤프트(5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의 회전토크는 유성기어유닛(40)을 통과하며 증가한 상태로 토크전달체(24)로 전달된다.
유성기어유닛(40)은, 기어하우징(41), 제1유성기어(43a), 제1링기어(43c), 출력샤프트(51), 제2유성기어(45a), 제2링기어(45c), 기어연결핀(47)을 포함한다.
기어하우징(41)은 커버형 부재로서 모터(30)에 고정되며 구동기어부(34a)를 수용한다. 구동기어부(34a)는 기어하우징(41)에 수용된 상태로,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축회전한다.
제1유성기어(43a)는, 기어하우징(41)에 내장된 상태로 구동기어부(34a)에 치합한다. 제1유성기어(43a)는 두 개 이상이 적용되며, 구동기어부(34a)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된다. 또한 제1링기어(43c)은 기어하우징(41)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제1유성기어(43a)와 치합하는 기어이다. 결국 구동축(34)이 축회전하면, 유성기어(43a)가 자전함과 동시에 구동축(34)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공전한다.
출력샤프트(51)는, 구동축(34)과 동축상에 위치하는 축부재로서, 일부가 기어하우징(41)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샤프트(55)를 향해 연장된다. 출력샤프트(51)의 기어하우징(41)에 수용된 부분에는 말단기어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말단기어부(51a)의 반대측 단부는 토크전달체(24)와 결합한다. 출력샤프트(51)의 회전력이 토크전달체(24)로 전달되는 것이다.
제2유성기어(45a)는 기어하우징(41) 내에서 밀단기어부(51a)에 치합하는 기어이다. 제2유성기어(45a)는 제1유성기어(43a)와 일대일 대응하고, 기어연결핀(47)을 통해 제1유성기와 연결된다. 제2링기어(45c)는 제1링기어(43c)의 측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기어로서, 기어하우징(41)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2유성기어9와 치합한다. 결국 제2유성기어(45a)는 말단기어부(51a) 및 제2링기어(45c)와 동시에 치합한다.
제2유성기어(45a)는 기어연결핀(47)의 공전(公轉)시, 즉, 기어연결핀(47)이 구동기어부(34a)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 기어연결핀(47)에 의해 이송되며 제2링기어(45c)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 한다. 즉, 제2링기어(45c)에 의해 자전하면서 출력샤프트(51)를 축회전 시키는 것이다. 결국 모터의 회전력이 유성기어유닛(40)을 통해 출력샤프트(51)로 전달된다.
출력샤프트(51)는 구동축(34) 및 지지샤프트(55)와 동축상에 위치하는 축으로서 샤프트써포터(23)에 지지된다. 샤프트써포터(23)는 출력샤프트(51)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샤프트써포터(23)는 고정링(23a)과 지지허브(23d)로 이루어진다. 고정링(23a)은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가지며 중앙에 센터홀(23b)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파이프(21)의 내주면에 대해 용접 고정된다. 또한, 지지허브(23d)는 센터홀(23b)에 끼워진 상태로 베어링(25)을 통해 출력샤프트(51)를 지지한다. 지지허브(23d)는 다수의 결합나사(23f)를 통해 고정링(23a)에 결합한다.
한편, 토크전달체는, 출력샤프트(51)의 회전력을, 케이싱(2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커넥터와 고정키(24e)를 갖는다.
또한, 커넥터는, 고정링(24a)과 전동디스크(24c)를 갖는다. 고정링(24a)은 링의 형상을 취하는 부재로서, 파이프(21)의 내주면에 대해 용접 방식으로 고정된다. 아울러 전동디스크(24c)는 다수의 결합나사(24f)를 통해 고정링(24a)에 결합하는 원판형 부재이다. 고정키는, 출력샤프트(51)와 전동디스크(24c)를 결합시킨다.
결국, 모터(30)가 작동하면 모터의 회전토크는, 유성기어유닛(40)과, 출력샤프트(51)를 통해 토크전달체(24)로 전달되어 토크전달체(24)를 회전시킨다. 토크전달체(24)는 케이싱(20)과 일체를 이루므로, 케이싱(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다수의 제1,2유성기어(43a,45a)가, 구동축(34)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되므로, 동력 전달 과정 중 동력의 편중 현상이 없고, 또한, 치합하고 있는 기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소음이 매우 적다.
도면부호 53은 전자브레이크이다. 전자브레이크(53)는, 비상 시 케이싱(20)을 긴급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워드럼 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지지샤프트 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제2유성기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0) 내부에 오일공급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오일공급부는 기어하우징(41) 내부에 오일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
오일공급부에는, 오일공급관(58), 공급피팅(57a), 제1유도피팅(71a), 오일배출관(59), 배출피팅(57b), 제2유도피팅(71b)이 포함된다.
오일공급부의 설명에 앞서, (도면상 우측) 지지샤프트(55)의 내부 구성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55)는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환봉형 부재로서, 배선통로(55a), 제1통로(55f), 제2통로(55c), 케이블통로(55k)를 갖는다. 이러한 통로는 기계가공을 통해 형성된 구멍이다.
배선통로(55a)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모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미도시)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제1통로(55f)와 제2통로(55c)는, 배선통로(55a)을 중심으로 반대측에 형성된 경로로서 상호 평행하다. 또한, 제1,2통로(55f,55c)의 일단부는, 캡(73)에 의해 밀폐 가능하다. 캡(73)을 제1,2통로(55f,55c)에 결합함에 따라, 제1,2통로(55f,55c)가 밀폐되는 것이다. 제1,2통로(55f,55c)를 사용할 때에는 당연히 캡(73)을 분리한다.
아울러 제1,2통로(55f,55c)의 후단부는, 피팅고정구(55g,55d)를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다. 피팅고정구(55g,55d)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으로서, 제1유도피팅(71a)과 제2유도피팅(71b)이 각각 결합한다. 유도피팅은 일반적인 피팅과 마찬가지로 유체를 통과시키는 이음용 부속이다.
케이블통로(55k)는 제1신호케이블(66)과 제2신호케이블(67)을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제1,2신호케이블(66,67)에 관한 설명은 후술된다.
오일공급관(58)은 동으로 제작된 파이프로서, 일단부는 공급피팅(57a)을 통해 기어하우징(41)의 내부에 연통하고, 타단부는 제1유도피팅(71a)을 통해 제1통로(55f)에 연통한다. 외부로부터 제1통로(55f)를 통해 압입된 오일은, 제1통로(55f), 제1유도피팅(71a), 오일공급관(58), 공급피팅(57a)을 차례로 통과하여 기어하우징(41)에 채워진다.
또한 오일배출관(59)도 동으로 제작된 중공파이프로서, 일단부는 배출피팅(57b)을 통해 기어하우징(41)에 연통하고, 타단부는 제2유도피팅(71b)을 통해 제2통로(55c)에 연결된다. 기어하우징(41) 내부의 오일은, 배출피팅(57b), 오일배출관(59), 제2유도피팅(71b), 제2통로(55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기어하우징(41)에 대한 오일의 유입 유출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제2링기어(45c)에는 오일통로(45d)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통로(45d)는 제2링기어(45c)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서, 오일을 통과시킨다. 하지만 오일의 유출입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다면, 오일통로(45d)는 없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공급을 위한 경로 이외에, 오일 배출을 위한 경로를 적용한 이유는, 기어하우징(41)의 내부를 오일로 완전히 채우기 위해서이다. 제1통로(55f)를 통해 오일을 주입하되, 공급된 오일이 제2통로(55c)를 통해 배출될 때 까지 공급하면, 기어하우징(41)에 오일이 가득차게 된다.
오일 배출경로를 적용한 또 하나의 이유는, 케이싱(20)을 분리하지 않고, 기어하우징(41)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서이다. 캡(73)을 열고 제1통로(55f)를 통해 세척액을 연속적으로 주입하면, 세척액이 기어하우징(41)을 통과하며 기어하우징 내부의 쇳가루나 오염물질을 외부로 운반해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 효과를 감안한 것이다.
한편, 오일배출관(59)에는 압력센서(61)가 더 설치된다. 압력센서(61)는 오일공급관(58)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압력센서는, 오일이 통과하는 유로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이다. 압력센서(61)가 감지한 센싱정보는 송신모듈(65)로 전달된다.
또한 기어하우징(41)에는 오일센서(63)가 장착된다. 오일센서(63)는, 기어하우징(41) 내부의 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64는 오일센서(63)를 지지하는 센서홀더이다. 오일센서(63)도 송신모듈(65)과 접속된다.
송신모듈(65)은, 제1신호케이블(66)과 제2신호케이블(67)을 통해 표시부와 접속된다. 제1,2신호케이블(66,67)은 케이블통로(55k)을 통해 케이싱(20)의 외부로 연장된다. 표시부는 압력표시램프(75)와 잔량표시램프(76)이다. 압력표시램프(75)는 유동하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치 보다 높거나 낮을 때 점등되는 엘이디램프이다.
또한, 잔량표시램프(76)는 기어하우징(41) 내부의 오일의 잔량이 최소량 보다 작을 때 점등되는 엘이디램프이다. 작업자는 잔량표시램프(76)를 통해 오일이 완전히 바닥나기 전에 오일을 보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파워드럼 장치 20:케이싱 20a:내부공간
21:파이프 22:커버 23:샤프트써포터
23a:고정링 23b:센터홀 23d:지지허브
23f:결합나사 24:토크전달체 24a:고정링
24c:전동디스크 24e:고정키 24f:결합나사
25:베어링 26:고무커버 30:모터
34:구동축 34a:구동기어부 40:유성기어유닛
41:기어하우징 43a:제1유성기어 43c:제1링기어
45a:제2유성기어 45c:제2링기어 45d:오일통로
47:기어연결핀 51:출력샤프트 51a:말단기어부
53:전자브레이크 55:지지샤프트 55a:배선통로
55c:제2통로 55d:피팅고정구 55f:제1통로
55g:피팅고정구 55k:케이블통로 57a:공급피팅
57b:배출피팅 58:오일공급관 59:오일배출관
61:압력센서 63:오일센서 64:센서홀더
65:송신모듈 66:제1신호케이블 67:제2신호케이블
71a:제1유도피팅 71b:제2유도피팅 73:캡
75:압력표시램프 76:잔량표시램프

Claims (11)

  1.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부가 케이싱 내부로 연장된 지지샤프트와;
    케이싱에 내장되되, 지지샤프트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유성기어유닛과;
    유성기어유닛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는 토크전달체를 포함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성기어유닛은;
    모터에 결합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수용하는 기어하우징과,
    기어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부에 치합하고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1유성기어와,
    기어하우징에 고정되며 제1유성기어와 치합하는 제1링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며, 단부에 말단기어부를 가지고, 기어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토크전달체에 결합하는 출력샤프트와,
    기어하우징 내에서 밀단기어부에 치합하고, 제1유성기어와 대응하는 다수의 제2유성기어와,
    기어하우징내에 고정되고 제2유성기어와 치합하는 제2링기어와,
    제1유성기어와 제2유성기어를 연결하는 기어연결핀을 포함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출력샤프트와 결합하는 커넥터와,
    커넥터를 케이싱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키를 구비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링의 형상을 취하며 케이싱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고정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키를 통해 출력샤프트와 결합하는 전동디스크를 갖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부가 더 포함된,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는;
    케이싱의 내부에 배관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오일을 기어하우징 내부로 유도하는 오일공급관을 구비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 내부의 오일을 케이싱 외부로 빼내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 내에 배관되며 기어하우징 내부의 오일을 기어하우징 외부로 유도하는 오일배출관이 구비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내부에는,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1통로 및 제2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공급관의 일단부는 기어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통로에 연결되며,
    오일배출관의 일단부는 기어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통로에 연결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단부에는, 제1,2통로를 밀폐하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오일공급관 또는 오일배출관에는 관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기어하우징에는, 기어하우징 내부의 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오일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 및 오일센서와 접속되며 감지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송신모듈이 더 포함된,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가 더 설치된,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KR1020220016646A 2022-02-09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KR10266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46A KR102667560B1 (ko) 2022-02-09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46A KR102667560B1 (ko) 2022-02-09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270A true KR20230120270A (ko) 2023-08-17
KR102667560B1 KR102667560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96B1 (ko) 2013-03-07 2013-10-29 기쁨과 행복 (주) 벨트 컨베이어의 드럼 풀리
KR102006145B1 (ko) 2019-01-17 2019-08-01 (주)효성테크 컨베이어 구동용 파워드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96B1 (ko) 2013-03-07 2013-10-29 기쁨과 행복 (주) 벨트 컨베이어의 드럼 풀리
KR102006145B1 (ko) 2019-01-17 2019-08-01 (주)효성테크 컨베이어 구동용 파워드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260B1 (ko) 자동 변속기
CA2844490A1 (en) Motorized drum shell arrangement
US92436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ump lining wear
KR20140114790A (ko) 구동 기구 및 로봇
US5156263A (en) Modular conveyor belt sealed sprocket drive system
KR20230120270A (ko)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JPH02286035A (ja) ソーセージ等の製造装置
KR102667560B1 (ko) 유성기어유닛 내장형 파워드럼 장치
US20180238307A1 (en) Instrumented shaft for condition monitoring
US20130180749A1 (en) Pneumatic impact tool having two oil inlets
US2873615A (en) Divided power transmissions
RU2008145658A (ru) Узел привода с вращающимся пильным полотном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к роботу
JP5422877B2 (ja) ロータリキルン
CN109312829B (zh) 用于传输转动动力的装置、包括这种装置的机器和这种装置的用途
JPWO2006073182A1 (ja) 動力伝達装置
JPH0639162Y2 (ja) 油圧ショベルの旋回減速機の潤滑油循環装置
KR20110110993A (ko) 공작기계의 주축대
KR101398228B1 (ko) 유체펌핑장치
KR101312962B1 (ko) 반송장치
JP2008046064A (ja) 転がり軸受の回転試験装置
KR101598018B1 (ko) 소각재 이송컨베이어장치
JP5295542B2 (ja) 自動ツールチェンジャの駆動装置
US4515038A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motorcycles
JP7280762B2 (ja) 回転速度測定装置
JP7280761B2 (ja) 回転速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