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221A -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221A
KR20230119221A KR1020237024346A KR20237024346A KR20230119221A KR 20230119221 A KR20230119221 A KR 20230119221A KR 1020237024346 A KR1020237024346 A KR 1020237024346A KR 20237024346 A KR20237024346 A KR 20237024346A KR 20230119221 A KR20230119221 A KR 20230119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ipe
water
hou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679B1 (ko
Inventor
최승준
박사언
박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Publication of KR2023011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이 요구되는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진 입수파이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를 냉각시킨 냉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마련된 냉매순환배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냉매순환배관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을 포함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본 발명은 정수기, 냉온수기, 냉장고 등 냉각이 요구되는 피냉각수를 순간 냉각시켜 냉수를 만들 수 있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냉온수기 등에서는 원수인 상온수를 냉각하기 위해 냉수탱크를 이용하여,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 저장한 다음, 냉수 배출 조작에 의해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냉수탱크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피냉각수를 냉각시키는 경우, 냉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이 오염될 위험성이 있고, 냉수 배출을 하지 않을 때에도 냉각을 위해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요구되며, 또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다 사용한 경우 다시 냉수를 만들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냉각수인 상온수 따위를 순간 냉각시켜 배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804385호에서 순간 냉각이 가능한 장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피냉각수를 순간 냉각시켜 냉수를 만들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피냉각수를 짧은 시간 내에 냉각시켜 냉수를 만들기 위한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이 요구되는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진 입수파이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를 냉각시킨 냉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마련된 냉매순환배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냉매순환배관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을 포함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 마련되되, 내부에 상기 입수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된 냉각파이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얼음스파이럴은 상기 입수파이프 또는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냉각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제1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로는 미세구멍이 다수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냉각파이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제1 및 제2 이너파이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입수파이프의 일단에 마련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입수파이프의 타단에 마련된 제1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냉각파이프의 폐쇄된 타단부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냉각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다음, 상기 제1 이너파이프로 유입되며, 상기 제1 이너파이프로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제1 이너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다음, 상기 제1 이너파이프의 타단에 마련된 제2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제2 이너파이프의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한 다음, 상기 제2 이너파이프의 일단에 관통형성된 제2 통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한 다음 상기 배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통로는 미세구멍이 다수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냉각파이프의 폐쇄된 타단부는, 양단이 개구된 관형의 파이프에 별도의 커버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는, 동심으로 마련된 복수의 홈에 상기 냉각파이프 및 상기 제2 이너파이프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파이프 및 상기 제2 이너파이프에 폐쇄된 타단부를 형성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 중 일부에는 둘레 중 적어도 일부의 깊이가 깊어 유체가 반경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감싸도록 마련된 보온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구에 마련된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와, 상기 냉수보다 높은 온도의 유체를 혼합하고, 혼합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혼합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구로 상기 피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구를 따라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하여 전조냉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같은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상기 입수구를 가진 상기 입수파이프와, 상기 입수파이프의 외측에 이격하도록 마련된 제3 이너파이프와, 상기 제3 이너파이프의 외측에 이격하도록 마련된 냉각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파이프의 외측에 냉수가 배출되는 상기 배수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구로 상기 피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는, 양단이 개구된 관형의 상기 입수파이프, 상기 제3 이너파이프, 및 상기 냉각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 또는 타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배수구 주변에 마련된 상기 커버부재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피냉각수가 나선형의 얼음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냉각시켜 냉수를 만들 수 있다.
내부에 겹겹이 마련된 파이프에 의해, 냉매순환배관에 의해 과냉각이 이루어지더라도 외부로부터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입수파이프에까지 완전 결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냉각장치에서 유체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냉각장치에서 유체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냉각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에어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내부 공기가 에어홀을 따라 외부로 배기되는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는, 일측에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 배수구(12)가 마련된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유입구(11)로 냉각이 요구되는 피냉각수가 유입되고, 배수구(12)로 냉각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마련된 냉매순환배관(20)에 의해 형성된 냉기에 의해 상기 피냉각수는 냉각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냉각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하우징(10)은 냉각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유입구(11)를 가진 입수파이프(110)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가 냉각된 냉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배수구(12)는 하우징(10)의 타측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형성된 냉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배수구(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파이프의 수에 따라 유입구(11)와 같은 방향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입구(11) 및 배수구(120)의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입수파이프(110)는 양단부가 개구 형성된 관 형상으로, 입수파이프(110)는 일단부에 상기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는 하우징(1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일측에 삽입된 입수파이프(110)의 타단부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입수파이프(110)의 타단, 즉 배수구(12) 측의 단부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를 따라 유동한 다음 제1 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입수파이프(110)의 타단부에는, 일단부가 폐쇄된 냉각파이프(120)가 이격하여 덮은 상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관형의 냉각파이프(1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입수파이프(110)는 냉각파이프(12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일단부가 폐쇄된 냉각파이프(120)는 폐쇄된 일단부가 입수파이프(110)의 제1 개구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단부가 폐쇄된 냉각파이프(120)는, 개구된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별도의 커버부재(50)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도 7 참조).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별도의 커버부재(50)는, 동심으로 마련된 복수의 파이프의 적어도 일단부에 덮어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의 단면과 대응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커버부재(50)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홈 중 일부에는 냉각파이프(120) 및 제2 이너파이프(125)가 완전 끼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파이프(120) 및 제2 이너파이프(125)에 폐쇄된 타단부를 형성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홈 중 또 다른 일부에는 입수파이프(110) 또는 제1 이너파이프(115)가 끼워지되, 상기 입수파이프(110) 또는 제1 이너파이프(115)가 끼워진 홈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부분보다 깊이가 깊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로서 제1 개구부 또는 제2 개구부를 형성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수파이프(110)의 일단부에 마련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를 따라 유동하여 타단부의 제1 개구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수파이프(110)의 제1 개구부에서 배출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에 덮어진 냉각파이프(120)의 폐쇄된 일단부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냉각파이프(120)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냉각파이프(120)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한 피냉각수는, 유입구(11) 측의 단부에 외측방향, 즉 하우징(10)의 내측벽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제1 통로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1 통로를 통과한 피냉각수는 다시 하우징(10)의 내측벽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의 내측벽에는 하우징(10)의 내주면을 따라 감싼 형태의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형성된, 즉 하우징(10)을 나선형으로 감싼 형태의 냉매순환배관(20)이 마련될 수 있다.
냉매순환배관(2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함으로써, 그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냉매순환배관(20)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 중 증발기에 상응하는 것으로,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유입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와 열교환할 수 있다. 즉,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흡입한 압축기는 냉매를 가압하되 가압된 냉매가 응축기에서 응축시켜 액화될 수 있도록 응축온도에 상응하는 포화압력까지 가압될 수 있으며,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고온의 기체냉매는 열을 방출하여 응축액화될 수 있고, 팽창밸브는 응축기에 의해 응축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를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환시킬 수 있다.
결국,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마련된 냉매순환배관(20)에 의해,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가 냉각되되, 냉매순환배관(20)의 감싼 형태에 따라 나선형의 얼음, 즉 얼음스파이럴(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파이프(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통로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유동한 피냉각수는,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30)과 접촉하여 그 형태에 따라 회동하며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통로를 통해 냉각파이프(120)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한 피냉각수는,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즉 도 3에 도시한 f3 유로를 따라 유동하되,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유동하는 피냉각수는 배수구(12)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순환배관(20)에 의해 형성된 얼음스파이럴(30)은,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상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접 얼음들 간에 이격형성되어, 피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얼음스파이럴(30)은 하우징(10)의 종단면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접 얼음들 간에 서로 이격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냉매순환배관(20)이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냉각수는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30)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배수구(12)를 향하여 유동하되, 이에 의해 피냉각수는 얼음과의 접촉시간이 증대됨과 함께 얼음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어, 피냉각수의 냉각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얼음스파이럴(30)은,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형성된 내측단부는 냉각파이프(120)의 외측벽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냉각파이프(120) 내측의 적어도 일부까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입수파이프(110)의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냉각파이프(120)의 일단부, 즉 유입구(11) 측 단부에 형성된 제1 통로(미도시)는 관벽에 관통 형성되어, 제1 통로는 냉각파이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피냉각수가 하우징(10)의 내측벽을 향한 반경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로는 미세구멍이 다수 타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통로를 통과하는 피냉각수는 미세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통로를 통과하여 미세 분사된 피냉각수는 얼음스파이럴(30)의 표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피냉각수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가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될 때,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피냉각수의 유로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를 따라 유동하여 f1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입수파이프(110)의 일단부에 마련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타단부의 제1 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제1 개구부로 배출된 피냉각수는 타단부를 덮은 냉각파이프(120)에 의해 다시 반대방향으로 냉각파이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f2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입수파이프(110) 및 냉각파이프(120)를 따라 내측에서 유동하는 피냉각수는 얼음스파이럴(30)에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냉매순환배관(20) 및 얼음스파이럴(30)에 의해 형성된 냉기에 의해 전조냉각될 수 있다.
이후, 냉각파이프(120)의 유입구(11)측 단부에 형성된 제1 통로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유동한 피냉각수는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배수구(12)측을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f3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피냉각수는 얼음스파이럴(30)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집중 냉각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피냉각수는 전조냉각 및 집중냉각 과정을 거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냉각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냉각장치에서 유체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냉각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냉각파이프(120)와 하우징(10) 사이에 마련된 제1 이너파이프(115)와, 제2 이너파이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이너파이프(115, 125)는 순차로 제1 이너파이프(115)는 내각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이너파이프(125)는 외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너파이프(115)의 타단, 즉 배수구(12) 측의 단부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이너파이프(125)의 일단, 즉 유입구(11) 측의 단부에는 관벽을 관통 형성하는 제2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로 역시, 제1 통로와 마찬가지로 미세구멍이 다수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스파이럴(30)은 하우징(10)의 내측벽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 형성된 얼음스파이럴(30)의 내측단부는 제2 이너파이프(125)를 통과하여 제1 이너파이프(115)의 외측벽까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가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될 때,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피냉각수의 유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를 따라 유동하여 f1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입수파이프(110)의 일단부에 마련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피냉각수는 입수파이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타단부에 마련된 제1 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입수파이프(110)의 타단부를 덮은 냉각파이프(120)의 폐쇄된 타단부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냉각파이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f2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냉각파이프(120)의 유입구(11) 측 단부에 형성된 제1 통로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유동한 피냉각수는 제1 이너파이프(115)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이너파이프(115)로 유입된 피냉각수는 제1 이너파이프(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f3 유로를 형성한 다음, 제1 이너파이프(115)의 타단에 마련된 제2 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입수파이프(110), 냉각파이프(120) 그리고 제1 이너파이프(115)의 내측에서 유동하는 피냉각수는 얼음스파이럴(30)에 의해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냉매순환배관(20) 및 얼음스파이럴(30)에 의해 형성된 냉기에 의해 전조냉각될 수 있다.
제1 이너파이프(115)의 타단에 마련된 제2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 피냉각수는, 제2 이너파이프(125)의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제2 이너파이프(125)의 내측벽에 형성된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회동하여 f41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후 제2 이너파이프(125)의 일단에 관벽에 관통형성된 제2 통로를 통해 하우징(10)의 내측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로를 통해 하우징(10)의 내측벽으로 유입된 피냉각수는, 하우징(10)의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하우징(10)의 내측벽에 형성된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회동하여 f42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후 배수구(1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전조 냉각 이후, f41 및 f42 유로를 따라 피냉각수가 얼음스파이럴(30)과 직접 접촉하여 왕복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된 집중냉각 과정에 의해 냉각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 제1 및 제2 이너파이프(115, 125), 냉각파이프(120) 그리고 입수파이프(110)가 겹겹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냉매순환배관(20)에 의해 과냉각이 이루어지더라도 입수파이프(110)에까지 얼음이 완전 결빙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하우징(10)을 감싸도록 보온재(4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온재(40)는 내부와 외부 사이에 열이 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은 그 소재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12)는, 피냉각수가 냉각된 냉수가 배출될 수 있으나, 다만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12)에는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밸브에는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와, 냉수보다 높은 온도의 유체, 구체적으로 피냉각수를 혼합하고, 혼합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혼합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냉수에 혼합되는 유체는 밸브의 개폐율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어, 밸브로부터 출수되는 혼합수의 온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의 유입구(11)로 피냉각수를 유입시키면, 배수구(12)로 피냉각수가 냉각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역으로 상기 배수구(12)로 피냉각수를 유입시키고 유입구(11)로 냉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전조냉각 후 집중냉각 순이 아닌 역순으로, 배수구(12)를 통해 피냉각수를 유입시켜 피냉각수를 먼저 얼음스파이럴(30)의 표면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집중냉각시킨 다음, 이후 입수파이프(11)를 거쳐 유입구(11)로 냉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출수되는 냉수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유입구(11)로 피냉각수가 유입되거나 냉각된 냉수가 배출될 수 있고, 이와 함께 하우징(10)의 배수구(12)로 냉각된 냉수가 배출되거나 피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하우징(10)은, 일측에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 배수구(12)가 마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하우징(10)은, 일측에 유입구(11)와 배수구(1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11)로 유입된 피냉각수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적어도 한번 왕복 유도하여 냉각되고, 상기 유입구(11)가 마련된 방향과 동일 방향에 마련된 배수구(1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의 일측에 유입구(11)와 배수구(12)가 모두 마련된 경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입수파이프(110) 및 냉각파이프(120), 이외에 홀수개의 제3 이너파이프(130)가 마련될 수 있다.
기본적인 일 예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를 가진 입수파이프(110)와, 상기 입수파이프(110)의 외측에 이격하도록 마련된 제3 이너파이프(130)와, 상기 제3 이너파이프(130)의 외측에 이격하도록 마련된 냉각파이프(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수파이프(110), 제3 이너파이프(130) 및 냉각파이프(120)를 따라 유동하는 피냉각수는 전조냉각되고, 하우징(10)의 내측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회동하여 집중냉각된 다음, 냉각파이프(120)의 외측에 마련된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12)로 피냉각수가 유입된 경우, 역순에 따라, 피냉각수는 하우징(10)의 내측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얼음스파이럴(30)을 따라 회동하여 전조냉각된 다음, 냉각파이프(120), 제3 이너파이프(130) 및 입수파이프(110)를 따라 유동하여 집중냉각된 다음, 입수파이프(110)의 유입구(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 내부에 입수파이프(110), 제3 이너파이프(130) 및 냉각파이프(120)를 마련하고, 이때 도 9와 같은 피냉각수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입수파이프(110), 제3 이너파이프(130) 및 냉각파이프(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 또는 타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50a, 50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air)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air h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재(50a, 50b)에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수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어 가압되는 경우 등에는,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는 에어홀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때 에어홀은,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0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수파이프(110)의 유입구(11) 또는 배수구(12) 주변에 마련된 커버부재(50a)에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에어홀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때, 그 주변에 위치한 유입구(11) 또는 배수구(12)를 통해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재(50a)에는 복수 개의 에어홀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홀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에어(air)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홈이나 관로 형태 따위를 가진 에어라인(airline)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는 에어홀 및 에어라일을 따라, 그리고 유입구(11) 또는 배수구(1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도 8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파이프(13a, 13b)가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파이프(13a, 13b)는 하우징(10)의 임의의 위치에서 내부와 외부 간에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밸브 개방시 하우징(10) 내부에 저장된 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냉각이 요구되는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진 입수파이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를 냉각시킨 냉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마련된 냉매순환배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냉매순환배관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의 얼음스파이럴;
    을 포함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마련되되, 내부에 상기 입수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된 냉각파이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얼음스파이럴은 상기 입수파이프 또는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제1 통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로는 미세구멍이 다수 타공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파이프 및 상기 냉각파이프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피냉각수는 전조냉각되고, 상기 냉각파이프의 외부에서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하는 상기 피냉각수는 집중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제1 및 제2 이너파이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입수파이프의 일단에 마련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입수파이프의 타단에 마련된 제1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 개구부로 배출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냉각파이프의 폐쇄된 타단부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냉각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다음, 상기 제1 이너파이프로 유입되며,
    상기 제1 이너파이프로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제1 이너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다음, 상기 제1 이너파이프의 타단에 마련된 제2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제2 이너파이프의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한 다음, 상기 제2 이너파이프의 일단에 관통형성된 제2 통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한 다음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는 미세구멍이 다수 타공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의 폐쇄된 타단부는, 양단이 개구된 관형의 파이프에 별도의 커버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동심으로 마련된 복수의 홈에 상기 냉각파이프 및 상기 제2 이너파이프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냉각파이프 및 상기 제2 이너파이프에 폐쇄된 타단부를 형성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복수의 홈 중 일부에는 둘레 중 적어도 일부의 깊이가 깊어 유체가 반경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감싸도록 마련된 보온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마련된 밸브;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와, 상기 냉수보다 높은 온도의 유체를 혼합하고, 혼합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혼합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로 상기 피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냉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따라 유입된 상기 피냉각수는 상기 얼음스파이럴을 따라 회동하여 전조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같은 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냉각수가 유입되는 상기 입수구를 가진 상기 입수파이프와, 상기 입수파이프의 외측에 이격하도록 마련된 제3 이너파이프와, 상기 제3 이너파이프의 외측에 이격하도록 마련된 냉각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파이프의 외측에 냉수가 배출되는 상기 배수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로 상기 피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냉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는, 양단이 개구된 관형의 상기 입수파이프, 상기 제3 이너파이프, 및 상기 냉각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 또는 타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배수구 주변에 마련된 상기 커버부재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KR1020237024346A 2021-11-25 2022-11-25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KR10264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4330 2021-11-25
KR1020210164330 2021-11-25
PCT/KR2022/018897 WO2023096424A1 (ko) 2021-11-25 2022-11-25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221A true KR20230119221A (ko) 2023-08-16
KR102644679B1 KR102644679B1 (ko) 2024-03-11

Family

ID=8654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346A KR102644679B1 (ko) 2021-11-25 2022-11-25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679B1 (ko)
WO (1) WO202309642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633A (ja) * 1992-04-20 1993-11-09 Sawafuji Electric Co Ltd 温・冷水機
KR20120020426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에어컨 시스템용 냉매 배출유닛
JP2013524146A (ja) * 2010-03-26 2013-06-17 ウンジンコーウエイ カンパニイ リミテッド 冷水タンク
JP2015508150A (ja) * 2012-10-18 2015-03-16 ウィニクス インク 飲料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用いた飲料供給システム
KR20150121447A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물사랑 냉각효율 향상용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수기
JP2017146008A (ja) * 2016-02-17 2017-08-24 タカギ冷機株式会社 多重管式冷却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水機
KR101804385B1 (ko) * 2016-07-05 2017-12-05 박사언 먹는물 공급기를 위한 직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6466A (en) * 1947-10-09 1950-02-07 Temprite Products Corp Liquid cooling apparatus
WO2016094107A1 (en) * 2014-12-10 2016-06-16 Lvd Acquisition, Llc Helical cooling tan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633A (ja) * 1992-04-20 1993-11-09 Sawafuji Electric Co Ltd 温・冷水機
JP2013524146A (ja) * 2010-03-26 2013-06-17 ウンジンコーウエイ カンパニイ リミテッド 冷水タンク
KR20120020426A (ko) * 2010-08-30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에어컨 시스템용 냉매 배출유닛
JP2015508150A (ja) * 2012-10-18 2015-03-16 ウィニクス インク 飲料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用いた飲料供給システム
KR20150121447A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물사랑 냉각효율 향상용 냉각장치가 구비된 냉수기
JP2017146008A (ja) * 2016-02-17 2017-08-24 タカギ冷機株式会社 多重管式冷却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水機
KR101804385B1 (ko) * 2016-07-05 2017-12-05 박사언 먹는물 공급기를 위한 직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424A1 (ko) 2023-06-01
KR102644679B1 (ko)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36893A (ja) 冷蔵庫
KR19990064122A (ko) 공기 조화기
CN117870195A (zh) 制冷系统
JP2008096095A (ja) 冷凍装置
JP4118254B2 (ja) 冷凍装置
CN117889576A (zh) 带有高速旋转式压力交换器的制冷系统
TWI571606B (zh) A refrigeration unit using a triple tube heat exchanger
JP2006207980A (ja) 冷凍装置及び冷蔵庫
KR20230119221A (ko) 순간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JP2006023068A (ja) 製氷機
CN106969558A (zh) 制冷系统和制冷系统的换热方法
KR20070054460A (ko) 열교환기용 배관 및 이를 갖는 냉동시스템
CN118119812A (zh) 用于瞬时冷却的冷却装置
KR20150066953A (ko) 히트펌프 시스템
KR101786563B1 (ko) 선박 탑재용 이원 냉동 장치
KR200424088Y1 (ko) 액막 제상장치를 구비한 축냉식 냉장 시스템
JP4720510B2 (ja) 冷媒サイクル装置
JP4385999B2 (ja) 内部熱交換器
TWI624634B (zh) 流路切換裝置、冷凍循環回路及冰箱
US7958739B1 (en) Refrigeration hot gas desuperheater systems
US7882707B2 (en) Refrigeration hot gas desuperheater systems
KR101387854B1 (ko) 공기 조화기
JP2017146080A (ja) 冷蔵庫
JP5068340B2 (ja) 冷凍冷蔵庫
CN216897886U (zh) 制冷系统及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