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731A - 부상형 장치 - Google Patents

부상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731A
KR20230118731A KR1020220014779A KR20220014779A KR20230118731A KR 20230118731 A KR20230118731 A KR 20230118731A KR 1020220014779 A KR1020220014779 A KR 1020220014779A KR 20220014779 A KR20220014779 A KR 20220014779A KR 20230118731 A KR20230118731 A KR 2023011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loating
levitation
pressure sens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867B1 (ko
Inventor
윤동원
주인성
박종원
송봉섭
이진이
임기홍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1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86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6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for use as personal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5/00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 B64C15/02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the jets being propulsion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08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 B64C29/0016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 B64C29/0025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the propellers being fixed relative to the fusel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91Accessori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1/00Power plant control systems; Arrangement of power plant control systems in aircraft
    • B64D31/02Initiating means
    • B64D31/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압을 통해 부상력을 생성하는 에어베어링 효과를 이용한 부상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부상력을 생성하는 부상모듈을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로 구비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하고, 각 부상모듈의 위에 탑승판을 구비함으로써 듀얼 호버 구조로 배치하여서, 작고 가벼운 모듈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틸팅 각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부상모듈의 자체적인 추진력만으로 장치의 자체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높을 기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상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상형 장치{Floating device}
본 발명은 부상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압을 지면으로 분사함으로써 부상력을 생성하는 에어쿠션 구조를 이용한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수단은 사람이 이동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물건을 말하는 것으로, 자동차, 자전거, 오토바이, 지하철, 기차, 배 및 비행기 등의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이동수단으로 자동차, 자전거 및 오토바이가 있으며, 이러한 이동수단은 지상에서 정해진 도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수단은 한정된 도로에 많은 이동수단이 몰리며 발생되는 교통 체증으로 인해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동수단은 낼 수 있는 속력에 제한이 있고,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변화되기 때문에, 정확한 이동 시간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목 받고 있는 미래의 이동수단으로서, 드론의 기술을 이용한 1인 비행 장치나 또는 드론카가 있으며, 이러한 이동수단은 하늘길을 이용하고, 보다 이동속력이 빠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다만, 드론을 이용한 비행 이동 수단은 별도의 이착륙 장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비행 수단은 보이지 않는 하늘길을 이용해야 하므로, 보다 높은 수준의 운전 능력과 장치 작동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전하기 위해서 전문 교육이나 관련 자격증을 취득해야지만 장치를 운전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다른 미래의 이동수단으로서, 부상력을 이용한 부상형 이동수단이 있다. 부상력이란 물이나 지면을 밀어내는 힘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공중에 뜨는 힘인 것으로, 부상형 이동수단은 바닥면에 닿지 않고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마찰력으로 인해 이동 속력이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드론보다 낮은 운용 비용과 간편한 조작으로 작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부상형 이동수단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스터빈이나 다수의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부상력 및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스터빈을 이용한 부상형 이동수단은, 가스터빈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과 고온의 배기가스로 인해 안정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부상형 이동수단은 크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부상효율과 가반하중이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상형 이동수단으로, 터빈으로 생성된 에어제트에 의해 부상하는 매커니즘으로 구성된 호버크래프트가 있다. 다만, 종래의 호버크래프트는 자체의 추력을 통해서 자세 및 위치 제어를 할 수 없어, 장치를 부상시키는 추력 발생 장치 이외에 자세 및 위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추력원을 장착해야하기 때문에, 이동 수단의 크기가 커지며, 구성과 매커니즘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치제어에 있어서, 2 자유도만 가능하므로, 자유도의 제약에 의해 장치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거나 횡이동이 불가능하여 평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도심에서 개인이 탑승하고 자유롭게 구동할 수 있는 교통 수단으로서 부상 이동수단이 사용되기 위해, 고효율 및 저에너지로 빠르게 구동되며, 정확한 위치로 주행이 가능한 부상식 이동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팬의 회전을 통해 스커트 내부로 흡기된 공기에 의해 스커트를 팽창시켜 부상모듈 아래에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부상력을 생성하는 에어쿠션 메커니즘을 이용한 부상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크기와 무기를 감소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듀얼 호버 구조를 통해 부상효율과 기동형을 높이면서 안전하고 쉽게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변경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주행 의도하는 대로 자유롭게 구동할 수 있는 부상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부상형 장치는 하면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에어스커트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스커트에 공기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 및, 상기 팬에 의해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스커트로 유입시키는 덕트를 각각 포함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탑승자의 탑승을 위해 일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부상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각각은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상형 장치가 전진하는 방향을 일방향의 양의 방향, 후진하는 방향을 상기 일방향의 음의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진 방향에서 상기 후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일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가 전진하는 경우, 상기 제2 부상모듈의 팬이, 상기 제1 부상모듈의 팬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 시키고, 상기 부상형 장치가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의 팬이, 상기 제2 부상모듈의 팬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기준축으로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이 서로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상모듈이 우측으로 소정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회전하고, 상기 부상형 이동장치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상모듈이 좌측으로 소정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회전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가 우측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부상모듈을 우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제2부상모듈을 좌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며, 상기 부상형 장치가 좌측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부상모듈을 좌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제2부상모듈을 우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은, 상기 에어스커트의 상측 및 상기 탑승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덕트는 단면이 ㄱ자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부상모듈은, 상기 제1 부상모듈의 전단에 상기 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상모듈은, 상기 제2 부상모듈의 후단에 상기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부상모듈은, 상기 탑승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되는 팬을 포함하는 부스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모듈의 팬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전진 방향 또는 상기 후진 방향으로 바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은, 상기 에어스커트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가 긴 변이 상기 전진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는, 일평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가 긴 변이 상기 전진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각각은, 적어도 탑승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인가되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각 압력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의 위치와 상기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각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되는 상기 압력 위치와 상기 압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기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이 상기 기준값에서 소정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부상형 장치는 향상된 기동성과 기반하중을 가지는 부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추력원으로 공기압을 통해 부상력을 생성하는 에어쿠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켜 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스커트 구조에 의해서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일정한 공기층을 생성할 수 있어 적은 용량의 추진력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상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부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무게중심 이동에 따라 전후좌우의 평행이동뿐 만 아니라, 각 부상모듈을 반대로 기울여 제자리 회전 또한 수행할 수 있어, 탑승자의 의도대로 자유롭게 위치 제어를 하면서 탑승자가 의도하는 대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상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상형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상형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부상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부상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상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의 구동으로 인한 장치의 동작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부상형 장치(1000)에 있어서, 하면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에어스커트(110a, 110b)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에 공기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120a, 120b) 및, 상기 팬(120a, 120b)에 의해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로 유입시키는 덕트(130a, 130b)를 각각 포함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 탑승자의 탑승을 위해 일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0); 및 상기 부상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 각각은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부상모듈은 부상형 장치(1000)가 부상용 추진체를 통해 장치를 이동시키는 추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상모듈은 장치의 하방으로 공기압력을 생성하는 에어쿠션의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에어쿠션을 통해 부상력 및 추진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상모듈은 하면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에어스커트(110a, 110b)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에 공기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120a, 120b) 및, 상기 팬(120a, 120b)으로부터 생성된 공기를 에어스커트(110a, 110b)로 유입시키는 덕트(130a, 13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상모듈은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기 팬(120a, 120b)이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공부에 상기 덕트(130a, 130b)가 설치되어, 상기 덕트(130a, 130b)의 일측에 상기 팬(120a, 120b)이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 내부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팬(120a, 120b)이 생성하는 공기가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부는 상기 팬(120a, 120b)의 수에 따라 구비될 수 있고, 각 통공부에 상기 덕트(130a, 130b)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팬(120a, 120b)이 형성하는 공기를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로 유입하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120a, 120b)은 날개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120a, 120b)은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팬(120a, 120b)이 적정의 추진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팬(120a, 120b)의 출력 및 개수가 결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팬(120a, 120b)이 생성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에 유입됨으로써 압력을 형성하고, 내부에 형성된 압력이 외부보다 높아지면서 부상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는 내부에 형성된 공기 압력이 상기 구멍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층을 형성하고, 이에 에어스커트(110a, 110b)의 하부 마찰력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스커트의 부피가 변화할 수 있는 재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부상모듈의 상측에 탑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상기 팬(120a, 120b)도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탑승판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 배치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탑승자의 탑승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탑승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팬(120a, 120b)은 상기 탑승부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어느 한 측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덕트(130a, 130b)는 어느 한 측으로 치우쳐진 팬(120a, 120b)을 에어스커트(110a, 110b)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덕트(130a, 130b)는 단면이 ㄱ자로 절곡 형성 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덕트(130a, 130b)의 일측은 상기 팬(120a, 120b)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에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130a, 130b)는 절곡 형성된 형태에 의해서 부상모듈에서 구비가 용이하도록 상기 덕트(130a, 130b)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상기 탑승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적어도 일평면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120a, 120b)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분에 상기 통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에 상기 덕트(130a, 130b)가 연결되고, 상기 덕트(130a, 130b)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일평면에 상기 탑승부가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팬(120a, 120b)은 상기 덕트(130a, 130b)의 일측이자, 상기 탑승부의 일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팬(120a, 120b)의 회전으로 인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덕트(130b)를 따라 에어스커트(110a, 110b)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는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의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내측 영역으로, 상기 제2영역에 상기 구멍이 배치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은 소정 면적으로 복수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영역의 가장가리를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기 부상모듈이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은 서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에어쿠션 메커니즘을 이용한 부상모듈을 듀얼 호버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상형 장치(1000)에 있어서 부상효율과 기동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전진하는 방향을 일방향의 양의 방향, 후진하는 방향을 일방향이 음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전진하는 전진 방향이 일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은 상기 전진방향에서 상기 후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부상형 장치(1000)의 전방에는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상 메커니즘으로 에어쿠션을 사용한 부상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작고 가벼운 모듈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부상모듈을 제1 부상모듈(100A)과 제2 부상모듈(100B)로 구비하고 이를 바이콥터(Bi-copter)와 같은 형태로 이격 배치하여 연결함으로써 자체적인 추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의도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높은 기동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a, 120b)은, 상기 탑승부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상기 전진방향의 수직방향에서의 일측이나 또는 타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어느 한 측에 기울어져서 배치되는 팬(120a, 120b)이,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받으며, 에어스커트(110a, 110b) 내부에 최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의 팬(12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b)은 서로 바깥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a, 120b)이 서로 인접하며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각 부상모듈의 크기에 의해 공기의 저항이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제1 부상모듈(100A)의 팬(120a)은 상기 제1 탑승부(200A)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b)은 상기 제2 탑승부(200B)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의 상기 팬(120a, 120b)의 날개는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서,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바람의 방향이 본 장치의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은, 상기 탑승부의 전단에 팬(120a)이 배치되며, 상기 팬(120a)에 덕트(130a)가 연결되어서, 상기 팬(120a)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상기 덕트(130a)를 따라 후방 측으로 이동하고, 절곡된 덕트(130a)의 형상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에어스커트(110a)에 유입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은, 상기 탑승부의 후단에 팬(120b)이 배치되며, 상기 팬(120b)에 덕트(130b)가 연결되어서, 상기 팬(120b)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상기 덕트(130b)를 따라 전방 측으로 이동하고, 절곡된 덕트(130b)의 형상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에어스커트(110b)에 유입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100B)은 상기 플레이트의 형태에 따라 형상이 결정되게 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팬(120a, 120b), 에어스커트(110a, 110b) 및 덕트를 구비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에어스커트(110a, 110b)가 직사각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길이가 긴 변이 전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탑승자의 양 발의 간격이 증가되어서, 안정성과 승차감이 저감될 수 있으며, 조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100B)은 길이가 긴 변이 상기 전진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100B)의 넓은 변 측이 전방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은 각각 한 쌍의 팬(120a, 120b)이 나란이 배치되게 되며, 한 쌍의 팬(120a, 120b)은 길이가 긴 변을 따라, 상기 전진방향과 수직하게 나란히 배치된다. 이에,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의 팬(120a)은 전방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되게 되고,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b)은 후방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공간 활용을 위해, 한 쌍의 상기 팬(120a, 120b) 사이에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한 쌍의 팬(120a, 120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부상모듈의 무게중심이 균형 잡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무선으로 구동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제2 부상모듈(100B)은 부스터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스터모듈(400)은,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에 대한 것으로, 상기 팬은 날개가 상기 전진 방향, 또는 상기 후진 방향 측으로 바람을 생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부스터모듈(400)의 팬은, 상기 탑승부를 기준으로 전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부스터모듈(400)의 팬은, 상기 제2 부상장치의 좌우방향에 배치되게 되고, 장치의 구동의 수평을 위해 상기 부스터모듈(400)의 팬은 짝수로 배치되어 좌우 측에 각각 균이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스터모듈(400)은 본 발명의 제어부나, 또는 외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서 날개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고, 복수 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동하고자 하는 추력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팬 중 소정의 팬만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탑승부는 탑승자의 탑승을 위해 일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부상모듈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상형 장치(1000)는 탑승자가 발을 밟아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탑승부는 탑승자에게 탑승의 안정감을 주기 위해 일평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부는 탑승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탑승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평면을 포함하고 있으면, 전체적인 형상에는 제한 없다. 상기 탑승부는 상기 부상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부상모듈의 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부상모듈이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로 구성되며, 각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의 상면에 제1 탑승부(200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상면에 제2 탑승부(200B)가 형성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의 덕트(130a, 130b)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제1 탑승부(200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덕트(130a, 130b)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제2 탑승부(20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탑승부의 면적 중에서, 적어도 탑승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부분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인가되는 압력을 인식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인가되는 압력을 분석하여서 부상모듈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서 탑승자의 주행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이동장치의 주행 동작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부상형 장치(1000)는,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일렬로 배치된 방향 중에서, 일방향의 양의 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탑승자는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며 선 상태로 탑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부상형 장치(1000)는 일반적인 스케이트 보드와 같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을 일렬로 배치하는 자세로 탑승하여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는 일평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가 긴 변이 상기 전진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에 위치되는 탑승자의 발이 상기 전진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연결부(30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부상모듈(100A)과 제2 부상모듈(100B)을 연결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300)는 일방향으로 일정의 길이가 형성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연결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을, 타단에는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300)의 전단에는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300)의 후단에는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부(300)의 길이방향을 기준축으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모터(310)는, 일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연결부(300)의 어느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 모터(310)를 기준으로 양단이 각각 다른 각도로 비틀어질 수 있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회전 모터(310)는,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00)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상기 전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가지며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 모터(310)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310)는 상기 연결부(300)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 모터(310)의 구동으로, 각 상기 연결부(300)의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모터(310)에 의해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가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어, 본 발명의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을 포함하는 4자유도 상에서 자유로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자리에서의 회전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는 본 발명의 부상형 장치(1000)에 구비되는 구성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 외부나 구성품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신된 신호를 판단하여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어부가 각각 구성품에 따라서 제어하는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는 부상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상기 부상모듈에 구비되는 팬(120a, 120b)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에 대한 것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상형 장치(1000)의 속력이나 전진 또는 후진, 또는 지면으로부터의 상승 및 하강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제1 부상모듈(100A)과 제2 부상모듈(100B)을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3을 참고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전진하는 경우,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b)을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의 팬(120a)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치가 전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후진하는 경우, 제1 부상모듈(100A)의 팬(120a)을 제2 부상모듈(100B)의 팬(120b)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치가 후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의 높이가 보다 높게 상승해야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의 팬(120a, 120b)의 회전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켜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의 부상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의 높이가 보다 낮도록 하강해야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의 팬(120a, 120b)의 회전 속도를 동시에 낮춰,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의 부상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회전 모터(3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부(30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 모터(31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상모듈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310)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부상모듈(100B)(100B)의 기울기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우측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31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모두 우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회전하는 형태로 틸팅됨으로써, 장치가 우측 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좌측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310)를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부상모듈(100A)과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이 모두 좌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회전하는 형태로 틸팅됨으로써, 장치가 좌측 이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우측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은 우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은 좌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회전 모터(310)를 이용하여 전방의 연결부(300)와 후방의 연결부(300)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함으로써, 장치가 우측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좌측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100A)은 좌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제2 부상모듈(100B)은은 우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회전 모터(310)를 이용하여 전방의 연결부(300)와 후방의 연결부(300)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함으로써, 장치가 좌측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는 각 상기 제1 탑승부(200A)에 구비되는 제1 압력센서와, 상기 제2 탑승부(200B)에 구비되는 제2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세기를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의 위치와 상기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의 세기를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상기 제1 및 제2 탑승부(200A, 200B)(200B) 상에서 각각 압력이 인가된 위치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탑승부(200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탑승자의 발이 위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에 상기 제1 압력센서가 형성되며, 탑승자의 주행 의도에 따라서 탑승자가 상기 제1 탑승부(200A) 위에서 발에 힘을 주는 것으로 장치의 방향 및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제1 압력센서에 인가된 압력에 대해서,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가 방향을 제어할 때,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 발에 힘을 주는 것으로 상기 제1 탑승부(200A)의 상면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제어부가 압력이 인가된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위치를 구분하고, 탑승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해당 방향으로 장치가 주행되도록 상기 부상모듈 및 회전 모터(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압력의 세기 정도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으며, 압력의 세기 정도에 따라 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압력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가 장치를 빠른 속력으로 주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분석하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가 복수의 위치에의 압력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압력 신호 중 가장 큰 압력 세기를 선택하여 해당 압력이 수신된 위치에 대해 분석하고, 큰 세기의 압력에 대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 부상 모듈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에 인가된 압력이 제어신호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어부가 압력센서를 통해 작동 신호를 분석하는 특징에 대해, 각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되는 상기 압력 위치와 상기 압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기준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의 신체 무게에 따라 변동되는 압력 세기를 고려하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가 탑승자의 신체 무게에 대한 압력을 인지하고, 이를 기본값으로 설정하여, 탑승자의 무게를 제외하고 고의의 압력을 가한 것에 대해 구분하여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이 상기 기준값에서 소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탑승자가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압력을 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각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탑승자가 상기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에 양발을 각각 위치시키며 탑승하면, 먼저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는 탑승자의 신체 무게에 따른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의 압력값을 기반으로 기준값을 산출한다. 이후, 각 탑승자가 전진하고자 할 때, 양발로 상기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의 앞쪽을 보다 세게 누르는 것으로,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앞쪽에 각각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는 인가된 압력을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의 동작에 의해 기준값 이상으로 수신된 압력에 대해서 탑승자가 전진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으로 분석하여,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전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상모듈(100A, 100B)(100B)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가 각각 양발을 상기 제1 탑승부(200A) 및 제2 탑승부(200B)에 위치시키고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양발에 균형있게 압력을 가하며 장치에 탑승하고, 장치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수신된 압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되는 상기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에 대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제1 부상모듈(100A) 및 제2 부상모듈(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이는 각각의 압력값을 뺀 값이고, 비율은 각각의 압력값을 나눈 값일 수 있다.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탑승자가 우측 이동하고자 할 때, 양발 중 우측 발을 위치한 상기 제2 탑승부(200B)의 상면을 보다 세게 누르는 것으로, 상기 제2 압력센서에 보다 센 압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상기 제2 압력센서는 각각 인가된 압력을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압력의 차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에 보다 강한 압력이 인가된 것을, 탑승자의 우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여, 상기 회전 모터(31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상형 장치(1000)가 우측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부상형 장치
100A : 제1 부상모듈 101a : 플레이트
110a : 에어스커트 120a : 팬
130a : 덕트
100B : 제1 부상모듈 101b : 플레이트
110b : 에어스커트 120b : 팬
130b : 덕트
200A : 제1 탑승부 200B : 제2 탑승부
300 : 연결부 310 : 회전 모터
400 : 부스터모듈

Claims (18)

  1. 하면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에어스커트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스커트에 공기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 및, 상기 팬에 의해서 생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스커트로 유입시키는 덕트를 각각 포함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탑승자의 탑승을 위해 일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부상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각각은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형 장치가 전진하는 방향을 일방향의 양의 방향, 후진하는 방향을 상기 일방향의 음의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진 방향에서 상기 후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일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가 전진하는 경우,
    상기 제2 부상모듈의 팬이, 상기 제1 부상모듈의 팬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 시키고,
    상기 부상형 장치가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의 팬이, 상기 제2 부상모듈의 팬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기준축으로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부상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이 서로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상모듈이 우측으로 소정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회전하고,
    상기 부상형 이동장치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상모듈이 좌측으로 소정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회전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상형 장치가 우측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부상모듈을 우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제2부상모듈을 좌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며,
    상기 부상형 장치가 좌측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부상모듈을 좌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제2부상모듈을 우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에어스커트의 상측 및 상기 탑승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덕트는 단면이 ㄱ자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상모듈은, 상기 제1 부상모듈의 전단에 상기 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상모듈은, 상기 제2 부상모듈의 후단에 상기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상모듈은,
    상기 탑승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되는 팬을 포함하는 부스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모듈의 팬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전진 방향 또는 상기 후진 방향으로 바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은,
    상기 에어스커트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가 긴 변이 상기 전진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는,
    일평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길이가 긴 변이 상기 전진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각각은,
    적어도 탑승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인가되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각 압력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의 위치와 상기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각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되는 상기 압력 위치와 상기 압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의 기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이 상기 기준값에서 소정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압력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제1 부상모듈 및 제2 부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형 장치.
KR1020220014779A 2022-02-04 2022-02-04 부상형 장치 KR102653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79A KR102653867B1 (ko) 2022-02-04 2022-02-04 부상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79A KR102653867B1 (ko) 2022-02-04 2022-02-04 부상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31A true KR20230118731A (ko) 2023-08-14
KR102653867B1 KR102653867B1 (ko) 2024-04-03

Family

ID=8756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779A KR102653867B1 (ko) 2022-02-04 2022-02-04 부상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867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289A2 (en) * 1999-06-15 2000-12-21 Arbortech Industries Ltd. Air board
US20060049304A1 (en) * 2002-01-07 2006-03-09 Sanders John K Jr Quie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ing ducted, magnetic induction air-impeller rotors
WO2016164416A1 (en) * 2015-04-06 2016-10-13 Archon Technologies S.R.L. Ground movement system plugin for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70320558A1 (en) * 2009-07-03 2017-11-09 Xiaoyi Zhu Flight vehicle generating a lift from an interior thereof
KR20180042473A (ko) * 2016-10-07 2018-04-26 강성광 공기부양정 기능을 겸비한 에어제트 추진방식의 선박 및 그 구성방법
US20180140933A1 (en) * 2015-12-22 2018-05-24 Jiangsu Digital Eagl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Flying Skateboard
US20190112042A1 (en) * 2017-10-16 2019-04-18 John Mueller Lifting body vtol aircraft
US20190256174A1 (en) * 2016-11-07 2019-08-22 Ziph20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20200031438A1 (en) * 2018-07-25 2020-01-30 Thomas Lawrence Moses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US20200108920A1 (en) * 2018-10-09 2020-04-09 Stefano Rivellini Bent tube ducted fan drone
US20200283136A1 (en) * 2019-03-07 2020-09-10 Uzi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lockchain Enabled Secured and Privacy-Data Meta-Market Support in an Agricultural Products Marketplace Through Drone Uniform Integrated Services Using Personal Flying Vehicles/Drones with Coaxial Lift Pinwheels and Multi-Wheel Drive Pinwheels
US20210078701A1 (en) * 2019-06-19 2021-03-18 Darius Sharifzade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289A2 (en) * 1999-06-15 2000-12-21 Arbortech Industries Ltd. Air board
US20060049304A1 (en) * 2002-01-07 2006-03-09 Sanders John K Jr Quie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ing ducted, magnetic induction air-impeller rotors
US20170320558A1 (en) * 2009-07-03 2017-11-09 Xiaoyi Zhu Flight vehicle generating a lift from an interior thereof
WO2016164416A1 (en) * 2015-04-06 2016-10-13 Archon Technologies S.R.L. Ground movement system plugin for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80140933A1 (en) * 2015-12-22 2018-05-24 Jiangsu Digital Eagl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Flying Skateboard
KR20180042473A (ko) * 2016-10-07 2018-04-26 강성광 공기부양정 기능을 겸비한 에어제트 추진방식의 선박 및 그 구성방법
US20190256174A1 (en) * 2016-11-07 2019-08-22 Ziph20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20190112042A1 (en) * 2017-10-16 2019-04-18 John Mueller Lifting body vtol aircraft
US20200031438A1 (en) * 2018-07-25 2020-01-30 Thomas Lawrence Moses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US20200108920A1 (en) * 2018-10-09 2020-04-09 Stefano Rivellini Bent tube ducted fan drone
US20200283136A1 (en) * 2019-03-07 2020-09-10 Uzi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lockchain Enabled Secured and Privacy-Data Meta-Market Support in an Agricultural Products Marketplace Through Drone Uniform Integrated Services Using Personal Flying Vehicles/Drones with Coaxial Lift Pinwheels and Multi-Wheel Drive Pinwheels
US20210078701A1 (en) * 2019-06-19 2021-03-18 Darius Sharifzade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867B1 (ko)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3921B2 (ja) 垂直離着陸飛翔装置
US8522902B2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ES2310324T3 (es) Coche de carreras de juguete para la pared.
US20110192931A1 (en) Aircraft system that enables ground traveling
JP2021109645A (ja) 垂直離着陸エアモビリティ
AU2005327222A1 (en) Mass transfer system for stabilizing an airship and other vehicles subject to pitch and roll moments
EP3645386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passive wing tilt
US7581608B2 (en) Levitating platform
US20110001014A1 (en) Twin vortex vtol aircraft
US3918382A (en) Fixed wing surface effect craft
KR101524194B1 (ko) 인력 수중익선
KR20230118731A (ko) 부상형 장치
JP2018012492A (ja) 電動式ボード
US6581536B1 (en) Surface effect watercraft having airfoil-augmented lift
US6719079B2 (en) Ground effect vehicle using a frontal ram air stream and aerodynamic lift
KR20230115554A (ko) 개인이동을 위한 부상형 이동장치
KR101626495B1 (ko) 놀이용 공기부양정
KR102653855B1 (ko) 공기 부상식 개인 이동 장치
JP2004026034A (ja) 垂直離着陸機
KR101816136B1 (ko) 자율균형이 유지되는 세그웨이형 수상 레저보드
JP3774764B2 (ja) 有人飛行船
KR101672192B1 (ko) 가변 부양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공기부양정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5771A (ko) 하이브리드 구동형 수륙양용 운송 장치
JP6589122B2 (ja) 一人乗り移動機器
JPH03243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