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16A -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16A
KR20230118616A KR1020237022910A KR20237022910A KR20230118616A KR 20230118616 A KR20230118616 A KR 20230118616A KR 1020237022910 A KR1020237022910 A KR 1020237022910A KR 20237022910 A KR20237022910 A KR 20237022910A KR 20230118616 A KR20230118616 A KR 2023011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ali metal
reactor
core
disposed
thermoelectric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창 첸
쳉 예
춘타오 탕
슈지아 왕
치안 린
진쿤 쟈오
웨이종 장
춘티안 유안
얄란 치안
진밍 리
웨이 왕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뉴클리어 엔지니어링 리서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뉴클리어 엔지니어링 리서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뉴클리어 엔지니어링 리서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7/00Arrangements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fusion or fission reactions
    • G21D7/04Arrangements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fusion or fission reaction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or thermoionic convert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32Integral reactors, i.e. reactors wherein parts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but not essential to the reaction, e.g. heat exchangers, are disposed inside the enclosure with the cor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32Integral reactors, i.e. reactors wherein parts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but not essential to the reaction, e.g. heat exchangers, are disposed inside the enclosure with the core
    • G21C1/326Integral reactors, i.e. reactors wherein parts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but not essential to the reaction, e.g. heat exchangers, are disposed inside the enclosure with the core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next to or beside the cor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04Constructional details
    • G21C3/045Pellets
    • G21C3/047Pellet-clad intera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4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only met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1/00Shieldin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 G21C11/06Reflecting shields, i.e. for minimising loss of neutr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G21C15/257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using heat-pip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2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displacement of the reflector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원자로 용기(1), 액체 알칼리 금속(2)을 구비한 바닥부; 원자로 용기(1)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연료봉(3) 및 복수의 연료봉(3)의 주변에 배치되는 방사형 반사층(11)을 포함하는 원자로 코어(4)와, 상기 방사형 반사층(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를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로서, 각 연료봉(3)의 표면에는 제1 흡액 코어(5)가 구비되고, 원자로 코어(4)의 바닥부에는 제1 흡액 코어(5)와 연결되는 제2 흡액 코어(19)가 구비되고, 제2 흡액 코어(19)는 상기 액체 알칼리 금속(2)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는 원자로 용기(1) 내부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 상부에 위치한 고압 증기실(6)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 하부에 위치한 저압 증기실(8)로 나눈다. 알칼리 금속의 상변화 열전달을 이용하여 액체 알칼리 금속(2)의 순환력을 흡액 코어를 이용하여 제공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배치가 유연하며, 발전 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
[0001] 본 출원은 원자로 발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마이크로 원자로는 독특한 소형 원자로 시스템으로서, 일반적으로 열출력이 20MW 미만이고 전기출력이 10MW 미만이며, 주로 우주공간, 해양, 육상기지 등과 같은 특수 응용 시나리오의 전력 또는 전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이크로 원자로는 기존의 원자로와 비교하여 출력, 크기 및 무게 측면에서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주로 공장 사전 제작, 운송 가능한 장치 및 자가 조정 작동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 원자로는 시스템 설계를 크게 단순화하고 다양한 응용 환경에서 신속한 설치 및 배치(deployment)를 실현할 수 있어, 다양한 원격 지역에서 에너지 보안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현재, 마이크로 원자로의 구체적인 응용은 우주 공간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심해 원자력 공급 장치, 차량에 탑재된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등을 포함한다.
[0003]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AMTEC)은 고효율 정전기 열전 변환 기술로서, 기체 또는 액체 알칼리 금속(리튬, 나트륨, 칼륨 등)을 작동 매체로 사용하고, 선택적 이온 투과막으로 β"-Al2O3 고체 전해질(베이스(BASE))을 사용한다. 베이스 내 알칼리 금속 이온의 이동 과정은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실현하며, 이론적으로 열전 변환 효율은 30% 이상에 이를 수 있다. AMTEC는 알칼리 금속으로 채워진 폐쇄 루프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베이스에 의해 서로 다른 압력을 가진 두 부분으로 나뉘며, 여기서 고압 측의 알칼리 금속은 열원을 통해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저압측의 알칼리 금속 증기가 응축기를 통해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전자기 펌프 또는 액체-흡수 코어를 통해 고압측으로 돌아간다. 정적이면서 높은 열전 변환 효율을 갖는 특성의 조합으로 인해,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 기술은, 원자력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외부 공간 및 원격지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있다.
[0004] 본 출원은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를 통해 전력으로 직접 변환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 원격지, 수중 잠수 장치, 우주선 등에 대한 전력 보증을 제공한다.
[0005]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는, 원자로 용기, 액체 알칼리 금속을 구비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로 용기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료봉들과 상기 복수의 연료봉들의 주변에 배치되는 방사형 반사층을 포함하는 원자로 코어와; 방사형 반사층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형 반사층의 외부와 원자로 용기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는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를 포함한다. 연료봉의 표면에는 제1 흡액 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원자로 코어의 바닥은, 상기 제1 흡액 코어와 연결되고 액체 알칼리 금속과 접촉하며 상기 원자로 코어의 바닥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흡액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는 원자로 용기 내부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의 상부에 위치한 고압 증기실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의 하부에 위치한 저압 증기실로 구분한다.
[0006]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압 증기실 내에 응축기가 배치된다.
[0007]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는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튜브(base tube)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증기실 내의 알칼리 금속 증기는 상기 음극, 상기 베이스 튜브 및 상기 양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0008] 바람직하게는, 원자로 용기는 원자로가 활성화되기 전에 진공화되어 원자로 용기 내부가 부압 상태가 된다.
[0009]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봉은 연료 펠릿과 상기 연료 펠릿을 덮는 클래딩(cladding)을 포함하고, 제1 흡액 코어는 상기 클래딩의 외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클래딩의 외표면에 홈이 마련된다.
[00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자로 코어의 중앙에는 원자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봉이 마련된다.
[0011]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자로의 파워 제어를 위해 상기 방사형 반사층에는 복수의 제어 드럼이 배치된다.
[0012]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액체 알칼리 금속을 연료봉 표면으로 펌핑(pumping)하기 위해 제1 흡액 코어 및 제2 흡액 코어의 모세관력의 효과를 이용하고, 연료봉의 핵연료 핵분열에 의해 발생된 열은 액체 알칼리 금속의 기화에 사용된다. 알칼리 금속 증기는 고압 증기실에 들어가 고압에 의한 발전용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에 들어간 다음, 저압 증기실에 들어가, 알칼리 금속증기가 액체 상태로 응축되어, 전통적인 원자로 시스템에서 펌프, 밸브 및 기타 구성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액체 알칼리 금속의 순환력을 실현하여,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원자로와 열전 변환기가 일체화된 단순화된 시스템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전기를 직접 생산하기 위해 동일한 작동 매체와 동일한 순환 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는 소형, 경량, 유연한 배치, 높은 발전 효율 등의 특성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이송, 설치 및 배치가 가능하다.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는 소형, 경량, 유연한 배치, 높은 발전 효율 등의 효과를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이송, 설치 및 배치가 가능하다.
[0013]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명확하게, 아래에 설명된 도면들은 분명히 본 출원의 일부 예에 불과하다. 일반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들은 창의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그 도면들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다.
[0014]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0015] 도 2는 도 1의 원자로 코어의 상부 모식도이다,
[0016] 도 3은 연료봉의 방사형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0017] 도 4는 도 1의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에 대한 국부적인 모식도이다,
[0018] 도 5는 도 1의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에 대한 국부적인 상부 모식도이다,
[0019] 도면들에서 도면은 축척(scale)에 따라 그려지지 않는다.
[0022] 본 출원의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출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본 출원의 범위, 즉 본 출원이 서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23] 본 출원의 서술에 있어서, "복수"의 의미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내부", "외부" 등의 용어에 의해 나타내지는 방향과 위치 관계는, 참조된 장치나 요소가 특정한 방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특정한 방향으로 구현되고 동작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0024] 하기 설명에서 나타나는 배향 용어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방향들이며,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도, 달리 명시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에 연결된" 및 "~에 연결한"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된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통합 연결일 수 있고; 직접 연결 또는 중개자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0025]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자로 코어(4)의 상부 모식도이다.
[0026]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는 원자로 용기(1), 원자로 코어(4) 및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를 포함한다. 원자로 용기(1)의 바닥은 액체 알칼리 금속(2)을 가지며, 원자로 용기(1) 내에 원자로 코어(4)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원자로 코어(4)는 원자로 용기(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원자로 코어(4)는 복수의 연료봉(3)과 복수의 연료봉(3)의 주변에 배치된 방사형 반사층(11)을 포함한다. 연료봉(3)의 표면에는 제1 흡액 코어(5)가 설치되어 있고, 원자로 코어(4)의 바닥에는 제2 흡액 코어(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흡액 코어(19)는 원자로 코어(4)의 바닥을 덮고, 제1 흡액 코어(5)와 연결되어 있으며, 액체 알칼리 금속(2)과 접촉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가 방사형 반사층(11)의 외측과 원자로 용기(1)의 내벽 사이에서 방사형 반사층(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는 원자로 용기(1)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의 상부에 위치한 고압 증기실(6)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의 하부에 위치한 저압 증기실(8)로 구분한다.
[0027] 원자로 용기(1)는 폐쇄형 압력 지지 구조를 가진다. 원자로가 활성화되기 전에 원자로 용기(1)를 진공화하여 원자로 용기(1)의 내부가 부압 상태가 되어, 즉 원자로 용기(1)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 액체 알칼리 금속(2)의 기화에 도움이 된다.
[0028] 원자로 코어(4)의 바닥에 있는 제2 흡액 코어(19)는 원자로 코어(4)의 바닥을 덮는다. 제2 흡액 코어(19)는 연료봉(3)의 바닥 사이의 모든 공극을 덮을 수 있으며, 제1 흡액 코어(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흡액 코어(19) 및 제1 흡액 코어(5)는 다공성이면서 느슨한 모세관 흡액 구조를 가지며, 제2 흡액 코어(19) 및 제1 흡액 코어(5)의 모세관력의 효과를 통해 액체 알칼리 금속(2)을 연료봉(3)의 표면으로 펌핑한다. 연료봉(3)의 핵연료 핵분열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연료봉(3)의 표면으로 펌핑된 액체 알칼리 금속(2)을 알칼리 금속 증기로 기화시킨다. 알칼리 금속 증기는 도 1의 점선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고압 증기실(6)로 들어가고, 발전을 위해 도 1의 점선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로 들어간 다음, 저압 증기실(8)로 들어간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증기는 액체 상태로 응축되고, 원자로 용기(1)의 바닥으로 흘러 원자로 용기(1)의 바닥의 액체 알칼리 금속(2)에 수렴된다. 동시에 제2 흡액 코어(19) 및 제1 흡액 코어(5)의 모세관력의 효과를 통해 원자로 용기(1)의 바닥부의 액체 알칼리 금속(2)을 연료봉(3)의 표면으로 펌핑하여 알칼리 금속 유동 사이클(cycle)을 완성한다.
[0029] 액체 알칼리 금속(2)은 가열 기화한 후 고압 증기실(6)에 들어가기 때문에 고압 증기실(6) 내의 압력이 저압 증기실(8) 내의 압력보다 크다. 고압 증기실(6) 내의 고압과 저압 증기실(8) 내의 저압은 서로에 대해 정의되며, 고압 증기실(6) 내의 압력은 저압 증기실(8) 내의 압력보다 높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0030]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는 원자로의 냉각재로 알칼리 금속을 채택하고, 저압에서 알칼리 금속의 기화를 이용하여 원자로 코어의 열을 제거하고, 제2 흡액 코어(19) 및 제1 흡액 코어(5)의 모세관력의 효과를 이용하여 액체 알칼리 금속(2)의 유동 구동력을 제공하고,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를 이용하여 원자로 코어의 열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한다.
[003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압 증기실(8)에는 응축기(9)가 배치되어 있으며, 응축기(9)의 개수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응축기(9)는 알칼리 금속 증기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것을 가속화하는 데 유리하다.
[003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를 제어하기 위한 원자로 코어(4)의 중간에는 제어봉(10)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봉(10)은 중성자 흡수재로 만들어져 원자로의 비상 정지에 사용된다. 사고 시 제어봉(10)은 원자로 코어(4)의 중앙에 삽입되어 코어 내 중성자를 흡수하여 원자로를 정지시킨다.
[003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반사층(11)은 원자로 코어(4)의 중성자 누설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 방사상 반사층(11)에는 원자로의 파워(power) 제어를 위한 복수의 제어 드럼(12)이 배치된다. 제어 드럼(12)은 중성자 흡수재와 중성자 반사재로 이루어지며, 도 2에서는 제어 드럼(12)의 중성자 흡수재가 제어 드럼(12)의 검게 칠한 부분(도장부)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제어 드럼(12)의 중성자 반사재가 제어 드럼(12)의 미도장부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제어 드럼(12)은 주로 원자로의 출력 제어 또는 정지에 사용된다. 제어 드럼(12)의 중성자 흡수재(검게 칠한 부분) 측이 코어의 중심을 향하면 코어의 중성자를 흡수하여 원자로를 정지시킬 수 있고, 제어 드럼(12)의 중성자 반사재(미도장 부분)측이 코어의 중심을 향하면, 코어에서의 중성자 누설을 감소시켜 원자로의 파워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0034] 도 3은 연료봉(3)의 방사형 구조의 모식도이다.
[0035]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료봉(3)은 연료 펠릿(15)과 연료 펠릿(15)을 덮는 클래딩(cladding)(14)을 포함한다. 제1 흡액 코어(5)는 클래딩(14)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클래딩(14)의 외표면에는 액체 알칼리 금속(2)용 유로로서 홈(13)이 마련되어 있다. 연료 펠릿(15)은 핵연료로 이루어지며, 연료 펠릿(15)의 핵연료는 핵분열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클래딩(14)은 핵연료 내 방사성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펠릿(15)을 덮는데에 사용된다. 연료봉(3)에서 발생하는 열은 액체 알칼리 금속(2)을 연속적으로 기화시킴과 동시에, 제2 흡액 코어(19) 및 제1 흡액 코어(5)는 연속적으로 액체 알칼리 금속(2)을 흡수하여 보충한다.
[0036] 도 4는 도 1의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의 국부적인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의 국부적인 상부도이다.
[0037]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는 음극(18)과, 양극(17)과, 음극(18)과 양극(17) 사이에 배치된 BASE(Beta Aluminum Solid Electrolyte) 튜브(16)를 포함한다. 고압 증기실(6) 내의 알칼리 금속 증기는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의 상부와 하부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도 4의 점선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음극(18), 베이스 튜브(16) 및 양극(17)을 통과하여 저압 증기실(8)로 들어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극(18)과 양극(17)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여 전기 에너지 변환을 실현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7)는 독립된 복수의 열전 열교환 소자를 포함하고, 각 열전 열교환 소자는 음극(18), 양극(17), 음극(18)과 양극(17) 사이에 배치된 BASE 튜브(16)를 포함한다.
[0038]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상변화 열전달이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원자로 시스템의 펌프, 밸브 및 기타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모세관 흡액 코어를 이용하여 액체 알칼리 금속의 순환력을 제공하여,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출원은 원자로와 열전 변환기가 일체화된 단순한 시스템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전기를 직접 생산하기 위해 동일한 작동 매체와 동일한 순환 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출원의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는 소형, 경량, 유연한 배치, 높은 발전(power generation) 효율 등의 특성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수송, 설치 및 배치(deployment)가 가능하다.
[0039] 본 출원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요소들을 등가물로 치환할 수도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책들을 포함한다.
[0021] 1 : 원자로 용기, 2 : 액체 알칼리 금속,
3 : 연료봉, 4 : 원자로 코어,
5 : 제1 흡액 코어, 6 : 고압 증기실,
7 :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 8 : 저압 증기실,
9 : 응축기, 10 : 제어봉,
11 : 방사형 반사층, 12 : 제어 드럼,
13 : 홈, 14 : 클래딩(cladding),
15 : 연료 펠릿, 16 : 베이스 튜브(BASE tube),
17 : 음극, 18 : 양극,
19 : 제2 흡액 코어

Claims (7)

  1.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로서,
    원자로 용기와, 액체 알칼리 금속을 구비한 바닥;
    상기 원자로 용기 내에 배치되고, 복수의 연료봉 및 상기 복수의 연료봉 주변에 배치된 방사형 반사층을 구성하며, 상기 연료봉의 표면에는 제1 흡액 코어가 마련되는 원자로 코어와,
    상기 방사형 반사층의 외부와 상기 원자로 용기의 내벽 사이에 상기 방사형 반사층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는,
    상기 원자로 용기의 내부를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의 상부에 위치한 고압 증기실과,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의 하부에 위치한 저압 증기실로 구분하고,
    상기 원자로 코어의 바닥에는, 상기 원자로 코어의 바닥을 덮고 제1 흡액 코어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알칼리 금속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흡액 코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증기실에는 응축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기는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증기실 내의 알칼리 금속 증기는 상기 음극, 상기 베이스 튜브 및 상기 양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는 상기 원자로가 활성화되기 전에 진공화되어 상기 원자로 용기 내부가 부압 상태가 되는 것인,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봉은 연료 펠릿과 상기 연료 펠릿을 덮는 클래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액 코어가 상기 클래딩의 외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래딩의 외표면에 홈이 마련되는 것인,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이 상기 원자로 코어의 중앙에 배치되어 원자로를 제어하는 것인,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드럼이 상기 방사형 반사층에 배치되어 상기 원자로의 파워 제어를 수행하는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원 공급 장치.
KR1020237022910A 2020-12-08 2021-12-07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 KR202301186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422901.1A CN112865606B (zh) 2020-12-08 2020-12-08 一种碱金属反应堆电源
CN202011422901.1 2020-12-08
PCT/CN2021/135991 WO2022121878A1 (zh) 2020-12-08 2021-12-07 碱金属反应堆电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16A true KR20230118616A (ko) 2023-08-11

Family

ID=7599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910A KR20230118616A (ko) 2020-12-08 2021-12-07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1334A1 (ko)
EP (1) EP4345843A1 (ko)
JP (1) JP7485860B2 (ko)
KR (1) KR20230118616A (ko)
CN (1) CN112865606B (ko)
WO (1) WO2022121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5606B (zh) * 2020-12-08 2022-07-22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碱金属反应堆电源
CN113217312A (zh) * 2021-06-02 2021-08-06 清华大学 钠流体热能发电装置及使用其实现热能转化为电能的方法
CN115171924B (zh) * 2022-07-08 2023-05-09 上海交通大学 铅铋冷却固体反应堆堆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989A (ja) * 1992-01-14 1993-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JPH10132994A (ja) * 1996-11-01 1998-05-22 Mitsubishi Heavy Ind Ltd 熱電発電用黒鉛減速型原子炉
JP2000180576A (ja) 1998-12-21 2000-06-30 Toshiba Corp 反射体制御型原子炉
JP4746911B2 (ja) 2005-04-27 2011-08-10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高速炉および高速炉施設の建設方法
JP4320445B2 (ja) * 2005-07-25 2009-08-26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を備えた液体金属冷却型原子炉
CN202772811U (zh) * 2011-12-08 2013-03-06 华北电力大学 碱金属循环流动式热电转换装置
US9613723B2 (en) * 2011-12-20 2017-04-04 Nihon Nature Cell Co., Ltd. Compact nuclear power generation system
CN102568623B (zh) * 2012-02-28 2014-12-03 华北电力大学 外星球用快中子反应堆和碱金属热电转换器一体化装置
JP2018179886A (ja) * 2017-04-04 2018-11-15 佐藤 誠 炉心異常蒸気発生のない高速増殖炉型原子力発電用原子炉システム
RU2680250C1 (ru) 2018-04-13 2019-02-1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Физи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А.И. Лейпунского" Активная зон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RU2687288C1 (ru) 2018-08-16 2019-05-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Физи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А.И. Лейпунского" Активная зон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109119174B (zh) * 2018-09-06 2023-09-2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基于铀氢锆燃料和静态热电转换的热管冷却式核反应堆电源系统
CN209216594U (zh) * 2018-09-06 2019-08-06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基于铀氢钇燃料和动态热电转换的热管冷却式反应堆电源
CN111128412B (zh) * 2019-12-31 2023-01-03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用于多种发电模式的热管反应堆堆芯结构
CN111600512A (zh) * 2020-06-04 2020-08-2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能量梯级利用的核反应堆电源系统
CN112865606B (zh) * 2020-12-08 2022-07-22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碱金属反应堆电源
CN113593734A (zh) * 2021-07-27 2021-11-02 西安交通大学 一种机动式微小型核动力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1400A (ja) 2024-03-13
EP4345843A1 (en) 2024-04-03
JP7485860B2 (ja) 2024-05-16
US20240021334A1 (en) 2024-01-18
WO2022121878A1 (zh) 2022-06-16
CN112865606A (zh) 2021-05-28
CN112865606B (zh)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8616A (ko) 알칼리 금속 원자로 전력 공급 장치
RU2159479C2 (ru) Термоэмиссионный ядерный реактор
CA3066241C (en) Reactor core
RU2015113440A (ru) Модульный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й ядерный генератор
CN101630931B (zh) 一种核能与碱金属热电转换装置联合发电装置
US11710577B2 (en) Nuclear reactors having liquid metal alloy fuels and/or moderators
US20100264656A1 (en) Orbiting power plant
CN112117016A (zh) 一种热管堆堆芯传热方案
US3793144A (en) Fuel element for a nuclear reactor of the passive method hydride control type
RU2809235C1 (ru) Щелочнометаллический реактор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CN113593734A (zh) 一种机动式微小型核动力系统
CN115662659B (zh) 一种热管堆高比功堆芯结构
CN109859861B (zh) 一种基于碳纳米管的无冷却剂超小紧凑型空间反应堆堆芯
US3627633A (en) Unique metal hydride controlled reactors
Wahlquist et al. A Critical Review of Heat Pipe Experiments in Nuclear Energy Applications
Oman Deep space travel energy sources
CN114334193A (zh) 一种分离式热管反应堆
RU2724919C1 (ru) Реактор-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US20180351181A1 (en)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Systems
US3644173A (en) Nuclear reactor of the metal hydride control type
RU2074452C1 (ru) Термоэмиссионный реактор-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Kroeger et al. An out-of-core version of a six cell heat-pipe heated thermionic converter array
RU2238598C2 (ru) Космическая двухрежимная ядерн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транспортно-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модуля
RU2138096C1 (ru) Термоэмиссионный реактор-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Pitts et al. SYNOPTIC: Conceptual Design of a 2-Mwt (375 kw,) Nuclear-Electric Space Pow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