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562A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562A
KR20230118562A KR1020237018717A KR20237018717A KR20230118562A KR 20230118562 A KR20230118562 A KR 20230118562A KR 1020237018717 A KR1020237018717 A KR 1020237018717A KR 20237018717 A KR20237018717 A KR 20237018717A KR 20230118562 A KR20230118562 A KR 2023011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ewer
display
display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나가타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60K35/231Head-up displays [HUD] characterised by their arrangement or structure for integration in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60K35/233Head-up displays [HUD] controlling the size or position in display areas of virtual imag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or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a passeng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41Instruments adapted for use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B60K2370/15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열람자에 따라서 최적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시 제어 장치는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
본 개시는 화상의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 장치와, 묘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투영)하는 표시 장치를 갖는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이 표시 제어 장치와,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 방법과,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를 스크린으로서 화상을 표시(투영)하는 표시 장치(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는, 자유 곡면을 갖는다. 이 때문에, 목표가 되는 화상을 보정하지 않고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하면, 열람자에게 있어서는 화상이 왜곡되어 보인다. 그래서, 전형적으로는, 운전자가 보았을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미리 보정한(반대로 왜곡시킨) 화상을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20-190677호 공보
프론트 글래스의 시야각이 큰 경우, 운전석으로부터도 조수석으로부터도, 프론트 글래스(운전석의 정면)에 표시된 화상을 볼 수 있다. 한편, 프론트 글래스 상의 화상의 표시 위치와, 화상을 보는 위치(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의해, 프론트 글래스의 곡률에 의존해서 화상의 왜곡되는 방법이 다르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보았을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하도록 왜곡을 보정한 화상을 표시하면, 조수석의 탑승원은 크게 왜곡된 화상을 보게 된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개시의 목적은, 열람자에 따라서 최적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를 구비한다.
목표가 되는 화상을 보정하지 않고 스크린(전형적으로는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투영)하면, 스크린 상의 화상의 표시 위치의 차이와,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라, 화상의 왜곡되는 방법이 다른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자가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열람자는 자신이 필요한 콘텐츠의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상기 열람자 위치는 상기 스크린의 폭 방향의 위치 및 높이 방향의 위치를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 위치로서, 스크린의 폭 방향의 위치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위치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열람자의 체격(신장이 큼)의 차이에 따라 열람자 개인에 있어서 최적으로 화상을 보정할 수 있다. 열람자는 자신의 눈의 위치에 따라서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열람자 위치(누가 보는지)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열람자에 필요한 콘텐츠의 화상이면, 열람자에게 있어서 가장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어디에 표시하는지)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열람자에 필요한 콘텐츠의 화상이면, 열람자의 정면에 표시한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화상의 상기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상기 표시 위치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상기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고,
다른 복수의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변환 정보가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마다, 표시 위치에 따라서 가장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의 눈의 위치 및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열람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는 시점 정보 결정부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어디에 표시하는지)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다 최적의 위치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시점 정보 결정부는, 상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시점 위치,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어디에 표시하는지)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다 최적의 위치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의 눈의 위치 및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열람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는 시점 정보 결정부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의 시점 정보(시점 위치,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열람자 위치(누가 보는지)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열람자에게 있어서 보다 최적으로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시점 정보 결정부는, 상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시점 위치,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열람자 위치(누가 보는지)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열람자에게 있어서 보다 최적으로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상기 스크린은 자유 곡면을 가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크린은 자유 곡면을 갖기 때문에, 목표가 되는 화상을 보정하지 않고 스크린에 표시(투영)하면, 표시되는 화상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된 형이 된다. 스크린 상의 화상의 표시 위치의 차이와,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라, 스크린의 곡률에 의존해서 화상의 왜곡되는 방법이 다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자가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열람자는 자신이 필요한 콘텐츠의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상기 스크린은,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여도 된다.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는 자유 곡면을 갖기 때문에, 목표가 되는 화상을 보정하지 않고 스크린에 표시(투영)하면,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라, 프론트 글래스의 곡률에 의존해서 화상의 왜곡되는 방법이 다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자가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열람자는 자신이 필요한 콘텐츠의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 위치로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상기 차량의 조수석, 또는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양쪽의 어느 것 1개를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 위치로서, 스크린의 폭 방향의 위치(운전석, 조수석, 가상적인 중앙 위치)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열람자는 자신의 눈의 위치에 따라서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또한, 앞으로의 자동 운전의 진전에 수반하여,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쪽이, 화상(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화상)을 동시에 보는 요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쪽(가상적인 중앙 위치)에 있어서 보기 쉬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 전역에 상기 화상을 투영 가능한 투영 장치여도 된다.
앞으로의 자동 운전의 진전에 수반하여,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쪽이, 폭이 넓고 대화면의 화상(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화상)을 동시에 볼 요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쪽에 있어서 보기 쉬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비일과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로서 동작시키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스크린에 상기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를 갖는 표시 제어 장치
를 구비한다.
도 1은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른 화상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른 화상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왜곡 보정 선택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복수의 표시 모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왜곡 보정 처리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도 11은 왜곡 보정 선택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는 표시 위치 및 열람자 위치의 관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I. 제1 실시 형태
1.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요
본 실시 형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대시보드 등에 설치된 표시 장치가, 스크린인 프론트 글래스용 화상을 표시(투영)한다. 열람자(운전자 등의 탑승원)는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투영)된 화상을 본다.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는 자유 곡면을 갖는다. 이 때문에, 목표가 되는 화상을 보정하지 않고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투영)하면, 표시되는 화상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된 형이 된다. 프론트 글래스 상의 화상의 표시 위치의 차이와,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운전석, 조수석 등)의 차이에 따라, 프론트 글래스의 곡률에 의존해서 화상의 왜곡되는 방법이 다르다.
도 1은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열람자 위치)로서, 복수의 위치가 생각된다. 첫째로, 스크린이 되는 프론트 글래스(WS)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가 생각된다. 예를 들어, 운전석(핸들의 정면)에 앉은 열람자의 위치, 조수석에 앉은 열람자의 위치,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간 위치(운전자와 조수석의 탑승원의 양자가 열람자가 되는 경우)의 3개의 위치가 생각된다. 둘째로, 스크린이 되는 프론트 글래스(WS)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가 생각된다. 열람자의 눈의 위치(신장의 높이)에 따라서, 예를 들어 높은 위치, 낮은 위치, 중간 위치의 3개의 위치가 생각된다. 도 1의 9개의 원형은, 폭 방향의 위치×높이 방향의 위치=3×3=9개의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9개의 위치로부터 프론트 글래스(WS)가 동일한 표시 위치에 표시된 화상을 볼 때, 9개의 위치에서 보이는 화상의 왜곡은 모두 다르다.
도 2는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른 화상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대시보드 상의 운전석의 정면의 위치에 설치된 표시 장치로부터, 프론트 글래스(WS)의 운전석의 정면의 표시 위치를 향해서, 보정없는 직사각형의 화상을 표시(투영)한다.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는 자유 곡면을 갖기 때문에, 표시되는 화상은, 직사각형 그대로의 형이 아니고, 왜곡된 직사각형의 형이 된다.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는, 이 왜곡된 직사각형의 화상을 정면으로부터 본다. 한편,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는, 이 왜곡된 직사각형의 화상을 경사로부터 본다. 이 때문에,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로부터 본 화상의 형(S1)과,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로부터 본 화상의 형(S2)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로부터 본 화상의 형(S2)은,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로부터 본 화상의 형(S1)을, 1조의 대각 방향(도 2에서는, 좌측 상단 모서리와 우측 하단 모서리의 조)으로 잡아 늘인 형이 된다.
도 3은 열람자의 위치의 차이에 따른 화상의 보이는 방법의 차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 글래스는 자유 곡면을 갖기 때문에, 보정없는 화상을 표시(투영)하면, 운전석 및 조수석의 어느 곳에 앉는 열람자에게 있어서도, 표시되는 화상은 왜곡된 형이 된다. 그래서, 전형적으로는, 운전자가 보았을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하도록, 미리 보정한(반대로 왜곡시킨) 화상을 프론트 글래스(WS)에 표시한다. 그러면,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로부터 본 화상의 형(S3)은, 왜곡이 저감된 형(또는 왜곡이 없는 형. 이하 동일함)이 된다. 한편,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로부터 본 화상의 형(S4)은, 왜곡된 형이 된다.
도 3과 같은 안전 관계 콘텐츠(표지, 경고)의 화상은,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된 형이 되도록 표시하는 것이 좋다. 한편, 운전에 관계가 없는 화상(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화상)은, 오히려,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된 형이 되도록 표시하는 것이, 안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앞으로의 자동 운전의 진전에 수반하여,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쪽이, 폭이 넓고 대화면의 화상(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화상)을 동시에 볼 요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쪽에 있어서 보기 쉬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시스템(1)은, 열람자에 따라서 최적의 화상(즉, 최적의 방법으로 왜곡을 보정한 화상)을,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하는 것을 도모한다.
2. 표시 시스템의 구성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표시 시스템(1)은 차량에 탑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표시 시스템(1)은 표시 제어 장치(10)와, 표시 장치(20)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 장치(10)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으로부터 콘텐츠(예를 들어, 안전 관계 콘텐츠, 내비게이션 콘텐츠,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속도 등의 차량 정보 콘텐츠 등)의 데이터(화상,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 표시 제어 장치(10)는 ROM에 기록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RAM에 로드해서 CPU가 실행함으로써, 왜곡 보정 선택부(110), 왜곡 보정 처리부(120) 및 출력부(130)를 실현한다. 표시 제어 장치(10)는 콘텐츠의 화상을 보정하고(왜곡 보정 선택부(110)), 보정한 화상의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고(왜곡 보정 처리부(120)), 묘화 데이터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출력부(130)).
표시 장치(20)는, 예를 들어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된다. 표시 장치(20)는, 표시 디바이스 제어부(210)와, 표시 디바이스(220)를 갖는다. 표시 디바이스(22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LED 패널 등의, 미세한 LED 소자를 광원으로 한다. 표시 디바이스 제어부(210)는 표시 디바이스(220)를 제어하여, 표시 제어 장치(10)로부터 입력된 묘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인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용 화상을 표시(투영)한다. 열람자는 표시 디바이스(220)로부터 표시(투영)되어, 프론트 글래스에 반사하는 화상을 본다. 표시 디바이스(220)(마이크로 LED 패널 등)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의 폭 방향 전역에 걸쳐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 전역/거의 전역에 걸쳐서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 디바이스(220)는 대시보드의 폭 방향 전역/거의 전역에 걸쳐서 연속하는 1개의 패널이어도 되고, 대시보드의 폭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패널을 가져도 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디바이스(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등)를 사용한 시스템으로, 왜곡 보정 렌즈나 왜곡 보정용 미러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 패널로부터의 광을 직접 스크린에 표시(/조사)하는 표시 장치이다.
또한, 표시 장치는 왜곡 보정 렌즈나 왜곡 보정용 미러와 프로젝터를 사용한 표시 장치여도 된다.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은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화상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로 독립된 복수의 장치의 총칭이다.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은, 예를 들어 안전 관계 콘텐츠 생성 장치(31), 내비게이션 장치(32), 인포테인먼트 장치(33) 및 차량 정보 생성 장치(34)를 포함한다. 안전 관계 콘텐츠 생성 장치(31), 내비게이션 장치(32), 인포테인먼트 장치(33) 및 차량 정보 생성 장치(34)는, 각각 콘텐츠의 데이터(화상,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안전 관계 콘텐츠 생성 장치(31)는 프론트 센싱 카메라(31A)(차량의 전방의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취득한다. 안전 관계 콘텐츠 생성 장치(31)는 취득한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앞을 주행하는 차량과의 거리나 차선 변경 차량을 검출하고,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경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내비게이션 장치(32)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우좌회전 등의 루트 가이드 정보, 목적지(POI)의 정보(예를 들어, 점포 명칭이나 전화 번호 등의 점포 정보) 등을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인포테인먼트 장치(33)는 오디오 콘텐츠나 비디오 콘텐츠 등을 재생하는 장치이다. 인포테인먼트 장치(33)는 오디오 콘텐츠나 비디오 콘텐츠에 관한 정보(타이틀, 연주자, 출연자, 오디오 콘텐츠의 재킷 화상, 비디오 콘텐츠 자체의 영상 등)을 나타내는 인포테인먼트 콘텐츠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차량 정보 생성 장치(34)는 주행 속도나 에어컨 온도 등의, 차량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차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차량 정보 콘텐츠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3. 표시 시스템의 동작
도 5는 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1) 스텝 S101: 콘텐츠 취득
표시 제어 장치(10)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이 생성한 콘텐츠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10)는 콘텐츠의 화상 데이터(301)(표지, 경고, 속도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동화상 등)과, 콘텐츠의 속성 정보(302)를,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으로부터 취득한다. 콘텐츠의 속성 정보(302)는, 콘텐츠 ID와, 콘텐츠의 종별(예를 들어, 속도 정보, 경고, 루트 가이드, POI(Point Of Interest) 상세 정보, 엔터테인먼트(영상), 엔터테인먼트(비영상),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에어컨, 기온, 지도,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 잔여 거리, 등)을 포함한다.
(2) 스텝 S102: 왜곡 보정 선택 처리
도 6은 왜곡 보정 선택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왜곡 보정 선택부(110)는 콘텐츠의 화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선택한다. 왜곡 보정 선택부(110)는 표시 위치 결정부(111), 변환 정보 결정부(112) 및 변환 정보 저장부(113)를 갖는다.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프론트 글래스 상의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유저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미리 입력되어 설정된 표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파라미터(303)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표시 모드로서, 예를 들어 운전석 우선 모드, 분할 제시 모드, 조수석 우선 모드, 균등 모드, 오토 모드의 어느 것이 미리 설정된다. 이들 표시 모드 중, 1개의 표시 모드(예를 들어, 운전석 우선 모드)를 항상 사용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서 표시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즉,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서 다른 표시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속도 정보, 경고, 루트 가이드 등의 콘텐츠의 화상은 운전석 우선 모드로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POI 상세 정보(입소문 등), 엔터테인먼트(영상) 등의 화상은 조수석 우선 모드로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컨, 기온, 지도,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 잔 거리 등의 콘텐츠의 화상은 균등 모드로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서 다른 표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속성 정보(302)(콘텐츠의 종별)에 따른 표시 파라미터(303)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표시 위치는, 예를 들어 프론트 글래스를 세로 3×가로 3=9 분할한 영역의 어느 것 1개 또는 복수여도 된다.
도 7은 복수의 표시 모드의 예를 나타낸다.
운전석 우선 모드 M1은, 운전석에 앉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되도록 보정한 화상을, 프론트 글래스의 전체면에 표시하는 모드이다. 운전석 우선 모드 M1은, 예를 들어 안전 관계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분할 제시 모드 M2는,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고, 운전석에 가까운 표시 위치에는, 운전석에 앉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되도록 보정한 화상을 표시하고, 조수석에 가까운 표시 위치에는, 조수석에 앉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되도록 보정한 화상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조수석 우선 모드 M3은, 조수석에 앉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되도록 보정한 화상을, 프론트 글래스의 전체면에 표시하는 모드이다. 조수석 우선 모드 M3은, 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균등 모드 M4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양쪽으로부터 보아(운전석 및 조수석의 중간인 가상적인 열람자 위치로부터 보아) 왜곡이 저감되도록 보정한 화상을, 프론트 글래스의 전체면에 표시하는 모드이다. 오토 모드(도시하지 않음)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서 열람자를 결정하고, 그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이 저감되도록 보정한 화상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열람자의 위치(열람자 위치)를 결정한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콘텐츠의 속성 정보(302)(콘텐츠의 종별) 및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표시 파라미터(303)에 따라, 열람자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표시 파라미터(303)에 포함되는 표시 모드 정보가 운전석 우선 모드인 경우, 항상, 운전석을 열람자 위치로서 결정해도 된다. 혹은,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표시 파라미터(303)에 포함되는 표시 모드 정보가 운전석 우선 모드에서도, 콘텐츠의 속성 정보(302)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별이 인포테인먼트인 경우에는, 조수석을 열람자 위치로서 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서 우선 순위를 예를 들어 테이블로서 갖고 있어도 된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의 위치(운전석, 조수석, 가상적인 중앙 위치)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위치를 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변환 정보 결정부(112)에, 운전석이나 조수석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탑승원의 눈의 위치(신장의 높이)가 미리 입력 및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프론트 글래스의 표시 위치(표시 위치 결정부(111)에 의해 결정된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자가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한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변환 정보 저장부(113)를 참조하여, 변환 정보(114)를 결정한다.
변환 정보 저장부(113)는 다른 복수의 열람자 위치에 따라, 다른 복수의 변환 정보(114)를 저장한다. 다른 복수의 변환 정보(114)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의 위치×높이 방향의 위치=3×3=9개(도 1)의 변환 정보(114)이다. 변환 정보(114)는, 화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114A)를, 표시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표시 장치(20)(표시 디바이스(220))의 화소를 나타내는 좌표(114B)로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바꾸어 말하면, 변환 정보(114)는, 목표로 하는(왜곡이 없는) 화상을 반대로 왜곡시킨 화상(보정 후의 화상)을, 표시 장치(20)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변환 파라미터이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다른 복수의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변환 정보(114)를 사용한다. 바꿔 말하면,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결정한 열람자 위치에 대응하는 1개의 변환 정보(114)를 결정한다. 변환 정보(114)는, 룩업 테이블, 변환 함수 등이어도 된다. 변환 정보(114)는 차종마다, 프론트 글래스의 형상, 좌석의 위치, 표시 장치(20)의 위치에 의존해서 다르므로, 미리 실험 등에 의해 작성해 두면 된다.
왜곡 보정 선택부(110)는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으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와, 표시 위치 결정부(111)가 결정한 표시 위치와, 변환 정보 결정부(112)가 결정한 변환 정보(114)를, 왜곡 보정 처리부(120)에 출력한다.
(3) 스텝 S103: 왜곡 보정 처리
도 8은 왜곡 보정 처리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왜곡 보정 처리부(120)는 왜곡 보정 선택부(110)로부터, 콘텐츠 ID와, 표시 위치와, 변환 정보(114)를 취득한다. 왜곡 보정 처리부(120)는 왜곡 보정 선택부(110)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에 연결시킨 콘텐츠의 화상(화상 데이터)을,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으로부터 취득한다. 왜곡 보정 처리부(120)는 화상 변환부(121)를 갖는다. 화상 변환부(121)는 비디오 모듈이고, 변환 정보(114)를 사용해서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변환부(121)는 왜곡 보정 선택부(110)로부터 취득한 표시 위치(좌표(114A))에 따른 표시 장치(20)의 화소(114B)를 변환 정보(114)로부터 읽어낸다. 화상 변환부(121)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 장치(20)의 화소(114B)에 매핑함으로써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실제로 좌표 변환이 행해지는 것은,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화소만이다.
그런데, 동일한 콘텐츠라도, 표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화상을 표시 해도 된다. 요컨대, 콘텐츠 생성 시스템(30)은 1개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ID에 결부시켜서, 다른 복수의 콘텐츠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변환부(121)에서는, 표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해야 할 화상을 결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콘텐츠 ID로서는 하기와 같은 대시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 모드 정보 의존에서의 표시 화상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Nnnn-0: 표시 화상은 표시 모드 정보에 따르지 않는다.」,「Nnnn-1: 운전석 우선 모드용 화상」, 「Nnnn-2: 조수석 우선 모드용 화상」, 「Nnnn-3: 절충안 모드용 화상」, 「Nnnn-4: 분할 제시 모드용 운전석용 화상」, 「Nnnn-5: 분할 제시 모드용 조수석용 화상」과 같은 대시 번호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왜곡 보정 선택부(110)(표시 위치 결정부(111))의 표시 위치 결정에서는, 대시 번호는 참작하지 않는다.
(4) 스텝 S104: 표시 제어
출력부(130)는 왜곡 보정 처리부(120)가 생성한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20)는 표시 제어 장치(10)로부터 입력된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취득한다. 표시 디바이스 제어부(210)는 표시 디바이스(220)를 제어하고, 묘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인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를 향해서 화상을 표시(투영)한다.
II.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열람자의 시점 정보(눈의 위치, 시점의 위치)에 더욱 기초하여,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열람자 위치), 화상의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그 밖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이미 설명한 구성 및 동작 등과 마찬가지 구성 및 동작 등은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표시 시스템(2)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1)의 구성(도 4)에 더하여, 차실내 모니터링 카메라(41)와, 시점 정보 결정부(40)를 갖는다.
차실내 모니터링 카메라(41)는, 예를 들어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된다. 차실내 모니터링 카메라(41)는, 운전석에 앉은 탑승원 및 조수석에 앉은 탑승원을 촬영하고, 촬영 화상 데이터를 시점 정보 결정부(40)에 출력한다.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차실내 모니터링 카메라(41)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촬영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탑승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한다. 시점 정보는, 시점 위치(프론트 글래스 상의 주시점) 및 눈(안구)의 높이(신장이 큼)를 포함한다.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전용 하드웨어 리소스 및 소프트웨어 리소스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혹은,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표시 제어 장치(10)가 ROM에 기록된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RAM에 로드해서 CPU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2. 표시 시스템의 동작
도 10은 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스텝 S101, 스텝 S103 및 스텝 S104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이한 점은, 스텝 S101의 후에 스텝 S105가 추가된 점과, 스텝 S105의 후의 스텝 S102의 처리이다.
(1) 스텝 S105: 시점 위치 결정 처리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차실내 모니터링 카메라(41)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촬영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탑승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한다. 시점 정보는, 시점 위치(프론트 글래스 상의 주시 점) 및 눈(안구)의 높이(신장의 높이)을 포함한다. 탑승원이 1명(운전자)의 경우,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운전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한다. 탑승원이 복수(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원)의 경우,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복수의 탑승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한다. 시점 정보 결정부(40)는 시점 정보를 왜곡 보정 선택부(110)에 출력한다. 복수의 탑승원은,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이다.
(2) 스텝 S102: 왜곡 보정 선택 처리
도 11은 왜곡 보정 선택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프론트 글래스 상의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유저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미리 입력되어 설정된 표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파라미터(303)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표시 모드로서, 예를 들어 운전석 우선 모드, 분할 제시 모드, 조수석 우선 모드, 균등 모드, 오토 모드의 어느 것이 미리 설정된다.
오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시점 정보 결정부(40)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탑승원이 1명(운전자)인 경우, 운전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운전자의 시점 정보만을 취득한 경우(탑승원이 운전자만인 경우), 운전자가 보기 쉬운 위치(운전석의 정면)를 표시 위치로서 결정한다. 한편,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탑승원이 복수(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원)인 경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탑승원(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열람자의 위치(열람자 위치)를 결정한다. 오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시점 정보 결정부(40)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탑승원(후보자) 중, 먼저 보기 시작한 탑승원(1명)을 열람자로서 결정하면 된다. 특히,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복수의 탑승원(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원)으로부터 공통으로 보기 쉬운 프론트 글래스의 중앙 위치가 표시 위치로서 결정된 경우, 먼저 보기 시작한 탑승원을 열람자로서 결정하면 된다.
도 12는 표시 위치 및 열람자 위치의 관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오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시점 정보 결정부(40)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위치 결정부(111)는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상단).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복수의 탑승원(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원)으로부터 공통으로 보기 쉬운 프론트 글래스의 중앙 위치(8)가 표시 위치로서 결정된 경우, 먼저 보기 시작한 탑승원을 열람자로서 결정하면 된다(선승).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표시되는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프론트 글래스의 표시 위치(표시 위치 결정부(111)에 의해 결정된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자가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한다. 변환 정보 결정부(112)는 변환 정보 저장부(113)를 참조하여, 변환 정보(114)를 결정한다.
III. 결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디바이스(220)(마이크로 LED 패널 등)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의 폭 방향 전역/거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 전역/거의 전역에 걸쳐서 화상이 표시된다. 열람자(운전자 등의 탑승원)는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투영)된 화상을 본다.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는 자유 곡면을 갖는다. 이 때문에, 목표가 되는 화상을 보정하지 않고 프론트 글래스에 표시(투영)하면, 표시되는 화상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왜곡된 형이 된다. 프론트 글래스 상의 화상의 표시 위치의 차이와,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운전석, 조수석 등)의 차이에 따라, 프론트 글래스의 곡률에 의존해서 화상의 왜곡되는 방법이 다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해야 할 화상의 콘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와, 열람자 위치(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의 위치 및 높이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자가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열람자는 자신이 필요한 콘텐츠의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 위치로서,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의 위치(운전석, 조수석, 가상적인 중앙 위치)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위치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열람자의 체격(신장이 큼)의 차이에 따라 열람자 개인에 있어서 최적으로 화상을 보정할 수 있다. 열람자는 자신의 눈의 위치에 따라서 화상을 왜곡이 저감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고, 시각적인 혼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또한, 앞으로의 자동 운전의 진전에 수반하여,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자가, 폭이 넓고 대화면의 화상(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의 화상)을 동시에 볼 요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운전석에 앉는 열람자 및 조수석에 앉는 열람자의 양자에 있어서 보기 쉬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열람자 위치(누가 보는지), 표시 위치(어디에 표시하는지)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운전자에게 필요한 안전 관계 콘텐츠의 화상이면, 운전자의 정면에 표시하고, 또한 운전자에 있어서 가장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람자의 시점 정보(시점 위치,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열람자 위치(누가 보는지), 표시 위치(어디에 표시하는지)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다 최적의 위치에 화상을 표시하고, 열람자에게 있어서 보다 최적으로 왜곡이 저감되도록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점 편리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다.
제1 내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제어 장치와 표시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표시 제어 장치가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의 복수의 블록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 장치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내의 일부의 블록이 표시 제어 장치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 블록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 제어 장치나 표시 장치와 다른 별도의 장치로 해도 된다.
본 개시는 이하의 각 구성을 가져도 된다.
(1)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열람자 위치는, 상기 스크린의 폭 방향의 위치 및 높이 방향의 위치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상기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상기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화상의 상기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상기 표시 위치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상기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고,
다른 복수의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변환 정보가 사용되는
표시 제어 장치.
(6)
상기 (1)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의 눈의 위치 및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열람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는 시점 정보 결정부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시점 정보 결정부는, 상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8)
상기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의 눈의 위치 및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열람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는 시점 정보 결정부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상기 (8)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시점 정보 결정부는, 상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상기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스크린은, 자유 곡면을 갖는
표시 제어 장치.
(11)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스크린은,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인
표시 제어 장치.
(12)
상기 (11)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 위치로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상기 차량의 조수석, 또는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양쪽의 어느 것 1개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 전역에 상기 화상을 투영 가능한 투영 장치인
표시 제어 장치.
(14)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로서 동작시키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과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스크린에 상기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를 갖는 표시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17)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로서 동작시키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본 기술의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대해서 위에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2: 표시 시스템
10: 표시 제어 장치
110: 왜곡 보정 선택부
111: 표시 위치 결정부
112: 변환 정보 결정부
113: 변환 정보 저장부
114: 변환 정보
120: 왜곡 보정 처리부
121: 화상 변환부
130: 출력부
20: 표시 장치
210: 표시 디바이스 제어부
220: 표시 디바이스
30: 콘텐츠 생성 시스템
40: 시점 정보 결정부
41: 차실내 모니터링 카메라

Claims (16)

  1.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자 위치는, 상기 스크린의 폭 방향의 위치 및 높이 방향의 위치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화상의 상기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상기 표시 위치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상기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이고,
    다른 복수의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변환 정보가 사용되는
    표시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의 눈의 위치 및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열람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는 시점 정보 결정부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정보 결정부는, 상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의 눈의 위치 및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열람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는 시점 정보 결정부로부터 취득한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정보 결정부는, 상기 열람자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자의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자유 곡면을 갖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인
    표시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선택부는, 상기 열람자 위치로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상기 차량의 조수석, 또는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양쪽의 어느 것 1개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폭 방향 전역에 상기 화상을 투영 가능한 투영 장치인
    표시 제어 장치.
  14.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로서 동작시키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과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스크린에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스크린에 상기 콘텐츠의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을 보는 열람자의 위치인 열람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표시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을 상기 열람자가 상기 열람자 위치로부터 볼 때에 상기 화상의 왜곡이 저감되도록, 상기 화상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정보를, 상기 열람자 위치에 따라서 결정하는
    왜곡 보정 선택부와,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을 보정한 화상인 보정 화상을 묘화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보정 화상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왜곡 보정 처리부
    를 갖는 표시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KR1020237018717A 2020-12-16 2021-11-15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 KR20230118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8455 2020-12-16
JPJP-P-2020-208455 2020-12-16
PCT/JP2021/041836 WO2022130864A1 (ja) 2020-12-16 2021-11-15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562A true KR20230118562A (ko) 2023-08-11

Family

ID=8205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717A KR20230118562A (ko) 2020-12-16 2021-11-15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0803A1 (ko)
EP (1) EP4265460A1 (ko)
JP (1) JPWO2022130864A1 (ko)
KR (1) KR20230118562A (ko)
CN (1) CN116601036A (ko)
WO (1) WO202213086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0677A (ja) 2019-05-23 2020-1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201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라온텍 모드 변환이 가능한 다 시각 hud 장치 및 방법
CN107921871B (zh) * 2015-08-26 2020-05-19 富士胶片株式会社 投影型显示装置、投影显示方法及存储有投影显示程序的非暂时性的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JP6445607B2 (ja) * 2017-03-15 2018-12-26 株式会社Subaru 車両の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の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8184114A (ja) * 2017-04-27 2018-11-22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と表示方法
JP2019080145A (ja) * 2017-10-24 2019-05-23 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調整装置
US10627621B2 (en) * 2018-05-30 2020-04-21 Nissan North America, Inc. Heads-up display system
JP7111582B2 (ja) * 2018-11-01 2022-08-02 マクセル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20109453A (ja) * 2019-01-07 2020-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0142657A (ja) * 2019-03-06 2020-09-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0677A (ja) 2019-05-23 2020-1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01036A (zh) 2023-08-15
WO2022130864A1 (ja) 2022-06-23
EP4265460A1 (en) 2023-10-25
JPWO2022130864A1 (ko) 2022-06-23
US20240020803A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3067B (zh) 平视显示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CN110573369B (zh) 平视显示器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US11514559B2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moving vehicle including the image display system
JP6570424B2 (ja) 電子装置
GB2534151A (en) Head-up display apparatus
JP2019049505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3112269A (ja) 車載用表示装置
JP689908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11034242B2 (en) Motor vehicle with a display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US20140043466A1 (en) Environment image display apparatus for transport machine
EP3694740A1 (en) Display device, program,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system, and moving body
JP2017094882A (ja) 虚像生成システム、虚像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052281A (ja) 車両用表示装置
US11367418B2 (en) Vehicle display device
US11106045B2 (en) Display system, movable object, and design method
JP731056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9039883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230118562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
JP2015166230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20074753A1 (en) Method for Representing a Virtual Element
CN114127614B (zh) 平视显示装置
JP2009075842A (ja) 車載表示装置
JP7145509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CN110816409A (zh) 显示装置、显示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19074114A1 (en) DISPLAY DEVICE, PROGRAM,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SYSTEM, AND MOBIL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