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526A - 물품 분류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분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526A
KR20230117526A KR1020230009943A KR20230009943A KR20230117526A KR 20230117526 A KR20230117526 A KR 20230117526A KR 1020230009943 A KR1020230009943 A KR 1020230009943A KR 20230009943 A KR20230009943 A KR 20230009943A KR 20230117526 A KR20230117526 A KR 20230117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transport vehicle
floor
section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미시나
다다스케 오가와
고지 후지타
겐이치 우키스
노부히코 사토
마사야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3011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8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with means for avoiding collisions betwee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1/00Application
    • G05D2201/02Control of position of land vehicles
    • G05D2201/0216Vehicle for transporting goods in a warehouse, factory or similar

Abstract

물품 분류 설비(1)는, 제1 주행 경로(4)가 복수 설정된 제1 플로어(11)와, 제1 플로어(11)와는 상하 방향의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고, 제2 주행 경로(5)가 복수 설정된 제2 플로어(21)와, 제1 주행 경로(4)의 종단부(42)와 제2 주행 경로(5)의 시단부(51)를 접속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제1 승강 기구(6)와, 제2 주행 경로(5)의 종단부(52)와 제1 주행 경로(4)의 시단부(41)를 접속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제2 승강 기구(7)와, 각각이 반송차(3)로부터 물품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용부(8)와, 반송차(3)에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부(9)를 구비하고,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제1 주행 경로(4) 또는 수용부(8)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분류 설비{ARTICLE SORTING FACILITY}
본 발명은, 복수의 반송차(搬送車)의 각각이 물품을 반송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의 분류를 행하는 물품 분류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품 분류 설비의 일례가, 일본공개특허 제2016-113291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배경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에 나타내어진 부호는 특허문헌 1의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분류 설비{분류 장치(10)}는, 복수의 반송차{무인 반송차(12)}가 주행하는 제1 플로어(상위의 영역 A)와, 컨테이너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18)가 설치된 제2 플로어(하위의 영역 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플로어는 제2 플로어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플로어에는, 반송차에 물품을 넘겨주는 공급부{물품 공급부(6)}와, 물품이 투입되는 복수의 수용부{개구(8a)}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부로부터 물품을 수취한 반송차는, 복수의 수용부 중 1개의 수용부에 해당 물품을 반송하여 투입한다. 제2 플로어에는, 복수의 수용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컨테이너(2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에 투입된 물품은 컨테이너(20)에 수취되고, 해당 컨테이너(20)는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18)에 의해 반송되어, 곤포(梱包) 작업자에게 넘겨진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분류 설비에서는, 제1 플로어에,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복수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통로에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 개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반송차는 공급부와 수용부 사이를 주행할 때, 복수의 교차점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송차의 수를 늘리면, 교차점에 있어서 반송차끼리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반송차가 교차점의 바로 앞에서 일시정지하는 횟수가 증가하는 등의 현상이 생기기 쉽고, 물품의 반송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이 어려운 과제가 있었다. 또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예를 들면 1개의 통로에서의 차선의 수나, 통로 자체의 수를 늘리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통로의 면적이 커지므로, 설비 전체의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설치 면적이 대형화되기 쉽다는 과제도 있었다.
그래서,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물품 분류 설비의 실현이 기대된다.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설비는, 복수의 반송차의 각각이 물품을 반송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의 분류를 행하는 물품 분류 설비로서,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1 주행 경로가 복수 설정된 제1 플로어와,
상기 제1 플로어와는 상하 방향의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2 주행 경로가 복수 설정된 제2 플로어와,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시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 승강 기구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시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2 승강 기구와,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을 따라 복수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로부터 상기 물품을 받아들이게 구성된 복수의 수용부와,
각각의 상기 제1 주행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용부의 군(群)을 수용부 군으로 하여,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상기 수용부 군보다 시단측의구간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수용부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급부로부터 물품이 공급된 반송차는, 제1 주행 경로를 주행하여, 상기 물품을 복수의 수용부 중의 임의의 수용부에 반송한다. 또한, 임의의 수용부에 물품을 넘겨준 반송차는, 그 후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여, 공급부에 귀환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분류 반송용 경로가 되는 제1 주행 경로와, 반송차의 귀환용 경로가 되는 제2 주행 경로를 상하로 상이한 높이의 플로어에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행 경로와 제2 주행 경로의 단부(端部)끼리가, 승강 기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차의 주행 경로가 다수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이들 주행 경로가 교차하는 개소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쉽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제1 주행 경로 또는 수용부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제1 주행 경로, 복수의 수용부, 및 복수의 제2 주행 경로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분류 설비의 설치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품 분류 설비의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예시적이면서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도 1] 물품 분류 설비의 사시도
[도 2] 제1 플로어의 평면도
[도 3] 제2 플로어의 평면도
[도 4] 반송차, 제1 주행 경로, 수용부, 반송 장치의 정면도
[도 5] 제1 플로어의 확대 평면도
[도 6] 제어 블록도
[도 7] 제어 장치와 반송차의 상태 천이도
[도 8]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제2 플로어의 평면도
[도 11]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제1 플로어의 평면도
물품 분류 설비는, 물품의 분류 및 반송을 행하는 설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물품 분류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품 분류 설비의 개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분류 설비(1)는,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이 물품(W)을 반송하는 것에 의해 물품(W)의 분류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분류 설비(1)는 복수의 반송차(3)와,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와,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 기구(2)와, 반송차(3)로부터 물품(W)을 받아들이는 복수의 수용부(8)와, 반송차(3)에 물품(W)을 공급하는 공급부(9)와, 제어 장치(H)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물품 분류 설비(1)는 반송 장치(8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은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를 주행하여, 물품(W)을 반송한다.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는 복수의 승강 기구(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반송차(3)는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의 양쪽을 왕래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반송차(3)는, 제1 플로어(11)에 있어서, 공급부(9)로부터 물품(W)을 수취하여, 복수의 수용부(8) 중의 임의의 수용부(8)에 반송한다. 물품(W)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3)는 제1 플로어(11)로부터 제2 플로어(21)에 이동한다. 그리고, 해당 반송차(3)는 제2 플로어(21)를 주행 후, 제1 플로어(11)에 이동하여 공급부(9)에 귀환한다(도 1의 화살표 참조). 공급부(9)에 귀환한 반송차(3)에는, 새롭게 별도의 물품(W)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물품 분류 설비(1)에서는,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이 반복 물품(W)을 수용부(8)에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에서의, 각각의 분류 구간(4b)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 X로 하고,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 Y로서 설명한다. 제1 주행 경로(4) 및 분류 구간(4b)에 대해서는, 나중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제1 방향 X의 일방측을 제1 방향 제1 측 X1로 하고, 제1 방향 X의 타방측을 제1 방향 제2 측 X2로 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제2 방향 Y의 일방측을 제2 방향 제1 측 Y1로 하고, 제2 방향 Y의 타방측을 제2 방향 제2 측 Y2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반송차(3), 제1 플로어(11), 제2 플로어(21), 승강 기구(2), 및 제어 장치(H)에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차]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차(3)는 물품(W)을 탑재하여 반송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차(3)는 축전 장치(35)를 구비하고 또한, 해당 축전 장치(35)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주행한다. 본 예에서는, 반송차(3)는, 주행면(4a)을 전동(轉動)하는 복수의 차륜(33)과, 축전 장치(35)를 격납하는 본체부(32)와, 물품(W)을 탑재하는 탑재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차륜(33)은 본체부(32)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탑재부(31)는, 탑재면(31a) 상의 물품(W)을 반송하는 수평 자세(도 4의 2점쇄선 참조)와, 탑재면(31a) 상의 물품(W)을 수용부(8)에 이송탑재하는(transfer) 경사 자세(도 4의 실선 참조)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에, 위치 정보 검출부(37)가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후술하는 제1 주행 경로(4) 및 제2 주행 경로(5)에는, 규정의 간격으로 도시하지 않은 위치 정보 유지체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차(3)가 제1 주행 경로(4) 및 제2 주행 경로(5)를 이동하면, 반송차(3)의 위치 정보 검출부(37)는 이들 위치 정보 유지체를 검출한다. 위치 정보 유지체로서, 바코드(1차원 코드), 2차원 코드, IC 태그를 예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는, 반송차(3)로부터 제어 장치(H)에 송신된다.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은 검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자신이 존재하고 있는 위치를 제어 장치(H)에 알릴 수 있다. 즉, 본 예에서는, 검출 정보는 반송차(3)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플로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로어(11)는, 반송차(3)가 주행하는 제1 주행 경로(4)가 복수 설정되어 있다. 제1 플로어(11)는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에 의해 물품(W)이 반송되고, 또한, 반송된 물품(W)이 분류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로어(11)는 평면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플로어(11)에는, 복수의 수용부(8)와, 복수의 공급부(9)와, 반송 장치(85)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플로어(11)는 물품 분류 설비(1)에서의 바닥면으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8)는,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의 각각을 따라 복수 배열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반송차(3)로부터 물품(W)을 받아들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수용부(8)는 제1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수용부(8)는, 후술하는,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수용부(8)의 각각은 반송차(3)로부터 수취한 물품(W)을 반송 장치(85)에 넘겨준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주행 경로(4)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수용부(8)의 군을 수용부 군(80)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수용부 군(80)은, 분류 구간(4b)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수용부(8)를 포함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수용부 군(80)의 각각이 제1 방향 X를 따르고 또한, 제2 방향 Y에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하여, 한 쌍의 수용부 군(80)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주행 경로(4)의 제2 방향 Y의 양측에, 수용부 군(80)(복수의 수용부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수용부 군(80)과, 이것에 인접하는 한 쌍의 수용부 군(80) 사이에는, 작업자(P)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의 각각은 제1 방향 X를 따르도록 배치된 분류 구간(4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 구간(4b)은, 제1 주행 경로(4)에서의, 수용부(8) 군이 배치된 구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의 각각의 분류 구간(4b)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분류 구간(4b)은 제2 방향 Y로 배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분류 구간(4b)의 각각은 제1 방향 X를 따르고 또한, 제2 방향 Y에 서로 나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분류 구간(4b)의 각각은, 반송차(3)의 주행 방향(여기서는 제1 방향 제2 측 X2)의 단부, 즉 제1 주행 경로(4)의 종단부(42)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1 승강 기구(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의 각각은 제2 방향 Y를 따르도록 배치된 제1 합류 구간(4c)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합류 구간(4c)은 분류 구간(4b)에 대하여 제1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부(9)로부터 물품(W)을 공급된 반송차(3)는 이 제1 합류 구간(4c)을 통과하여, 분류 구간(4b)에 이동한다.
여기에서, 본 예에서는, 제1 합류 구간(4c)은 복수의 차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분류 구간(4b)이 제1 방향 제1 측 X1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제1 주행 경로(4)가 가지는 제1 합류 구간(4c)은, 다른 상이한 제1 주행 경로(4)와 공유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합류 구간(4c)의 일부의 영역이 후술하는 공급부(9)의 버퍼 영역(91)으로 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85)는 제1 플로어(11)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반송 장치(85)의 각각은 제1 방향 X를 따르고 또한,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수용부 군(8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반송 장치(85)는, 인접하는 수용부 군(80)에 속하는 복수의 수용부(8)로부터 물품(W)을 수취하여, 출하 장소에 반송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수용부(8)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용기(K)가 반송 장치(85) 상에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된 물품(W)은, 수용부(8)로부터 반송 장치(85) 상의 대응하는 용기(K)에 수용된다. 1개의 수용부 군(80)에 대응하는 모든 용기(K)에 물품(W)이 수용되면, 해당 수용부 군(80)에 대응하는 반송 장치(85)가 작동하여, 이들 물품(W)을 용기(K)와 함께 도면 외의 출하 장소에 반출한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반송 장치(85)는 벨트 컨베이어다.
도 4의 일례에서는,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에 대하여 제2 방향 Y의 양측에 한 쌍의 수용부(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용부(8)의 제2 방향 Y의 외측에 반송 장치(8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8)는, 제2 방향 Y에 물품(W)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주행 경로(4)는, 반송차(3)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반송차(3)의 차륜(33)이 전동 가능한 주행면(4a)을 구비하고 있고, 이 주행면(4a)은, 제1 플로어(11)의 바닥면보다 상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물품(W)을 탑재한 반송차(3)는, 반송처의 수용부(8)에 인접하는 주행면(4a)의 위치에 정차하면, 탑재부(31)를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다. 그렇게 하면, 탑재면(31a) 상의 물품(W)이, 수용부(8)의 반송면 상에 이송탑재된다. 물품(W)은 수용부(8)에 의해 제2 방향 Y로 반송되어, 반송 장치(85) 상의 용기(K)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반송차(3)가 임의의 수용부(8)에 물품(W)을 반송함으로써, 복수의 용기(K)에 물품(W)이 분류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부(9)는, 제1 주행 경로(4)의 수용부 군(80)보다 시단측의 구간 또는 제2 주행 경로(5)에 있어서, 반송차(3)에 물품(W)을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부(9)는 제1 주행 경로(4)의 수용부 군(80)보다 시단측(제1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공급부(9)는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보다 시단측(제1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공급부(9)는 제1 주행 경로(4)의 제1 합류 구간(4c)의 일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급부(9)가 제2 방향 Y로 배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분류 구간(4b)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공급부(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부(9)의 수는 분류 구간(4b)의 수보다 적어도 되고, 분류 구간(4b)의 수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제1 플로어(11)에 단일의 공급부(9)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급부(9)의 각각은, 복수의 반송차(3)가 배열될 수 있는 버퍼 영역(91)과, 버퍼 영역(91)에 있는 반송차(3)에 물품(W)을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하는 공급 장치(92), 또는, 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P)가 배치되는 작업 영역(9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공급부(9)의 각각은, 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P)가 배치되는 작업 영역(93)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나중에 참조하는 도 11의 예에서는, 작업 영역(93)에는 공급 장치(92)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P)는 작업 영역(93)에 있어서, 버퍼 영역(91)에 배치된 빈 반송차(3){즉, 물품(W)을 탑재하고 있지 않은 반송차(3)}에 물품(W)을 탑재한다. 여기에서, 본 예에서는, 버퍼 영역(91)은, 제1 주행 경로(4)의 제1 합류 구간(4c)의 일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버퍼 영역(91)의 시단은, 후술하는 제2 승강 기구(7)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버퍼 영역(91)은, 제1 합류 구간(4c)의 제1 방향 제1 측 X1의 단부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버퍼 영역(91)은 제2 방향 Y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버퍼 영역(91)에는, 제2 승강 기구(7)로부터 받은 빈 반송차(3)가 배치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공급부(9)는 컨베이어(94)를 더 구비고 있다. 컨베이어(94)는 도면 외의 자동창고로부터 물품(W)을 작업 영역(93)에 반송한다. 작업자(P)는 컨베이어(94)로 반송되어 온 물품(W)을 버퍼 영역(91)에 배치된 빈 반송차(3)에 옮겨 싣는 작업을 행한다.
[제2 플로어]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로어(21)는, 제1 플로어(11)와는 상하 방향의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고, 반송차(3)가 주행하는 제2 주행 경로(5)가 복수 설정되어 있다. 제2 플로어(21)는, 제1 플로어(11)의 수용부(8)에 물품(W)을 넘겨준 빈 반송차가 주행하는 영역이다.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바닥면 등에 의해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플로어(21)는 제1 플로어(11)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플로어(21)에는, 반송차(3)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반송차(3)의 차륜(33)이 전동 가능한 주행면을 가지는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플로어(21)는 제1 주행 경로(4)를 주행하는 반송차(3)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플로어(21)는, 제1 주행 경로(4) 상의 반송차(3)에 탑재된 물품(W)과 간섭하지 않는 상하 방향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일례에서는, 제2 플로어(21)는, 제2 주행 경로(5)의 반송면 및 후술하는 충전부(28)를 포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제1 주행 경로(4) 또는 수용부(8)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의 각각은 제1 주행 경로(4)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는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의 각각은 직진 구간(5a)과, 제2 합류 구간(5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직진 구간(5a)은 제1 방향 X를 따르고 또한, 제2 방향 Y로 서로 나뉘여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직진 구간(5a)의 각각은,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가 구비하는 각각의 분류 구간(4b)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직진 구간(5a)의 각각은, 대응하는 분류 구간(4b)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합류 구간(5b)도, 제1 주행 경로(4)의 제1 합류 구간(4c)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응하도록, 1개의 직진 구간(5a)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직진 구간(5a)은, 대응하는 1개의 분류 구간(4b)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2 합류 구간(5b)의 각각은 직진 구간(5a)에 대하여 제1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 합류 구간(5b)은 복수의 차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직진 구간(5a)이 제1 방향 제1 측 X1의 단부에 있어서 합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제2 주행 경로(5)가 가지는 제2 합류 구간(5b)은, 다른 상이한 제2 주행 경로(5)와 공유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의 예에서는, 직진 구간(5a) 및 제2 합류 구간(5b)과 복수의 수용부(8)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완전히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직진 구간(5a)과 제2 합류 구간(5b) 중 적어도 한쪽이, 수용부(8)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는 영역도 존재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복수의 직진 구간(5a)의 각각은 반송차(3)의 주행 개시 부분, 즉, 제2 주행 경로(5)의 시단부(51)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1 승강 기구(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로어(21)에는, 제1 주행 경로(4)의 수 이상의 수의 제2 주행 경로(5)가 설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의 직진 구간(5a)이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응하여, 1개의 직진 구간(5a)이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로써, 제2 플로어(21)에는, 제2 주행 경로(5)의 직진 구간(5a)이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과 동수,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차(3)의 축전 장치(3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8)가 제2 플로어(21)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부(8)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2 플로어(21)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충전부(28)는 제2 합류 구간(5b)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충전부(28)는 복수의 반송차(3)가 나란히 정차할 수 있도록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차(3)는, 자체의 축전 장치(35)에서의 축전량이, 규정의 축전량 미만(예를 들면, 만충전 상태에서의 축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미만 등)인 것을 인식하면, 직진 구간(5a)을 주행 후, 충전부(28)에 이동하여 정차한다. 충전부(28)에서는, 반송차(3)의 축전 장치(35)에 대하여 급속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이 완료된 반송차(3)는 제2 합류 구간(5b)으로부터 제1 플로어(11)의 공급부(9)에 귀환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H)가, 각 반송차(3)의 축전 장치(35)의 축전량을 파악하고 있고, 규정의 축전량 미만의 반송차(3)를 충전부(28)에 이동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충전부(28)의 구성으로서는, 비접촉식의 급전(給電)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식의 급전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승강 기구]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승강 기구(2)는 복수의 제1 승강 기구(6)와, 복수의 제2 승강 기구(7)와, 복수의 제3 승강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승강 기구(6), 제2 승강 기구(7), 및 제3 승강 기구(20)의 각각은, 제1 플로어(11)의 제1 주행 경로(4)와, 제2 플로어(21)의 제2 주행 경로(5)를 접속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승강 기구(6), 제2 승강 기구(7), 및 제3 승강 기구(20)의 구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승강 기구(6)는, 제1 주행 경로(4)의 종단부(42)와 제2 주행 경로(5)의 시단부(51)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반송차(3)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승강 기구(6)의 각각은,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의 종단과 제2 주행 경로(5)의 직진 구간(5a)의 시단을 접속하고 있다. 이로써, 수용부(8)에 물품(W)을 넘겨준 후의 빈 반송차(3)는 제1 승강 기구(6)를 통하여, 제1 플로어(11)의 분류 구간(4b)으로부터 제2 플로어(21)의 직진 구간(5a)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승강 기구(6)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대를 구비하고 있고, 반송차(3)는 해당 승강대에 올라탐으로써, 제1 플로어(11)로부터 제2 플로어(21)에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승강 기구(7) 및 제3 승강 기구(20)도 제1 승강 기구(6)와 동등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의 각각의 종단부(42)에 대응하여, M(M은 자연수)개의 제1 승강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M은 후술하는 N과 같은 수라도 되고 다른 수라도 되지만, 본 예에서는, M은 N과 같은 수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개의 제1 주행 경로(4)의 종단부(42)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의 제1 승강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의 제1 승강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M=2이며,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응하여, 복수 개(여기서는 2개)의 제1 승강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승강 기구(6)의 수는 분류 구간(4b)의 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주행 경로(4)를 주행하는 반송차(3)의 수가 많은 경우라도, 제1 승강 기구(6)의 바로 앞에서 정체가 생길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 기구(6)의 수는 분류 구간(4b)의 수와 동수라도 되고, 분류 구간(4b)의 수보다 적어도 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는, 1세트의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에 대하여, 동수(여기서는 2개)의 제1 승강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승강 기구(6)의 수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는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의 세트수의 정수배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세트의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에 설치되는 제1 승강 기구(6)의 수는 적절히 상이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2세트의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의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승강 기구(6)의 수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승강 기구(7)는 제2 주행 경로(5)의 종단부(52)와 제1 주행 경로(4)의 시단부(41)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반송차(3)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승강 기구(7)의 각각은, 제2 주행 경로(5)의 제2 합류 구간(5b)의 종단과 제1 주행 경로(4)의 제1 합류 구간(4c)의 시단을 접속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주행 경로(5)를 주행하는 빈 반송차(3)는 제2 승강 기구(7)를 통하여, 제2 플로어(21)의 제2 주행 경로(5)로부터 제1 플로어(11)의 제1 주행 경로(4)에 이동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제2 승강 기구(7)의 각각은, 제2 합류 구간(5b)의 종단과 버퍼 영역(91)의 시단을 접속하고 있다. 그러므로, 반송차(3)는 제2 승강 기구(7)를 통하여, 제2 합류 구간(5b)으로부터 버퍼 영역(91)으로 갈아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주행 경로(4)의 각각의 시단부(41)에 대응하여, N(N은 자연수)개의 제2 승강 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버퍼 영역(91)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제2 승강 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N=2이며, 1개의 버퍼 영역(91){제1 주행 경로(4)의 시단부(41)의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 개(여기서는 2개)의 제2 승강 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버퍼 영역(91)의 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2 주행 경로(5)의 직진 구간(5a)에도 대응하여, 복수 개의 제2 승강 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1개의 직진 구간(5a)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여기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직진 구간(5a)의 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승강 기구(7)는 직진 구간(5a) 및 버퍼 영역(91)의 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버퍼 영역(91) 및 직진 구간(5a)의 수와 같아도 되고, 버퍼 영역(91) 및 직진 구간(5a)의 수보다 적어도 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버퍼 영역(91)에는, 각각 동수(여기서는 2개)의 제2 승강 기구(7)가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버퍼 영역(91)의 수의 정수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버퍼 영역(91)의 각각에 접속되는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 승강 기구(6)의 수와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서로 동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는, 각각 동수의 제1 승강 기구(6) 및 제2 승강 기구(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에서의 반송차(3)의 왕래를 비교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승강 기구(20)는 제1 주행 경로(4)의 도중의 위치와 제2 주행 경로(5)의 도중의 위치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반송차(3)를 승강시킨다. 본 예에서는, 제3 승강 기구(20)는, 제1 주행 경로(4)에서의 분류 구간(4b)의 도중의 위치와, 제2 주행 경로(5)에서의 직진 구간(5a)의 도중의 위치를 접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승강 기구(20)는 복수의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3 승강 기구(20)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는 1세트의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에 대하여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승강 기구(20)는 1세트의 분류 구간(4b) 및 직진 구간(5a)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되는 제3 승강 기구(20)의 수는, 수용부 군(80)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용부(8)의 수, 반송하는 물품(W)의 종류, 반송차(3)의 대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복수의 반송차(3)를 제어한다. 본 예에서는, 제어 장치(H)는 복수의 반송차(3)에 더하여, 제1 승강 기구(6), 제2 승강 기구(7), 제3 승강 기구(20), 반송 장치(85)를 제어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어 장치(H)는 공급부(9)의 컨베이어(94)를 더욱 제어한다. 제어 장치(H)는 각 반송차(3), 제1 승강 기구(6), 제2 승강 기구(7), 제3 승강 기구(20), 반송 장치(85), 및 컨베이어(94)의 각각이 가지는 각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 제어부의 동작 상황을 취득 가능하고 또한, 이들 각 제어부에 대하여 지령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H) 및 이들 각 제어부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주변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하드웨어와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 각 기능이 실현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상태 천이도와, 도 8 및 도 9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제어 장치(H)에 의한 반송차(3)에 대한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 장치(H)는 공급부(9)에 반입되는 물품(W)에 대하여, 반송처의 수용부(8)를 지정한다(스텝 #01). 도시한 예에서는, 반송차(3)의 탑재부(31)에 탑재된 물품(W)에 대하여, 반송처의 수용부(8)를 지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H)는, 지정한 수용부(8)에 해당 물품(W)을 반송하도록 반송차(3)를 제어한다. 수용부(8)에 물품(W)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3)의 제어에는, 해당 수용부(8)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반송차(3)를 주행시키는 제어와, 해당 위치에 있어서 물품(W)을 반송차(3)로부터 수용부(8)에 이송탑재하는 제어가 포함된다. 반송차(3)는, 지정된 수용부(8)에 물품(W)을 반송하면(스텝 #02), 신호를 제어 장치(H)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H)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면, 이 반송차(3)를 제2 주행 경로(5)에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승강 기구(6) 또는 제3 승강 기구(20)를 지정한다(스텝 #10). 그리고, 제어 장치(H)는, 제1 승강 기구(6) 및 제3 승강 기구(20) 중 지정된 승강 기구(2)에 이동하도록 반송차(3)를 제어한다. 반송차(3)는, 제1 승강 기구(6) 및 제3 승강 기구(20) 중 지정된 승강 기구(2)에 이동하면(스텝 #03), 제어 장치(H)에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반송차(3)는 승강 기구(2)를 통하여 제2 주행 경로(5)에 도착하면(스텝 #04), 제어 장치(H)에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H)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공급부(9) 중 1개의 공급부(9)를 지정한다(스텝 #20). 제어 장치(H)는, 지정한 공급부(9)의 버퍼 영역(91)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승강 기구(7)에 이동하도록 반송차(3)를 제어한다. 반송차(3)는, 제2 승강 기구(7)를 통하여 지정된 공급부(9)에 이동하면(스텝 #05), 신호를 제어 장치(H)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H)는, 공급부(9)에 반입되는 물품(W)에 대하여, 반송처의 수용부(8)를 지정하는(스텝 #01) 동시에, 해당 물품(W)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3)를 이동시키는 제1 승강 기구(6) 또는 제3 승강 기구(20)를 지정해도 된다(스텝 #10). 즉, 물품(W)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3)를 제1 플로어(11)로부터 제2 플로어(21)에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승강 기구(6) 또는 제3 승강 기구(20)의 지정은, 해당 물품(W)의 수용부(8)로의 반송 완료 전에 행해져도 된다.
도 8은, 제어 장치(H)가 제1 승강 기구(6) 또는 제3 승강 기구(20)를 지정하는 스텝(도 7의 스텝 #1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먼저, 반송처로 지정한 수용부(8)가, 제3 승강 기구(20)보다 시단측 {제1 주행 경로(4)의 시단측}에 배치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11). 그리고, 반송처로 지정된 수용부(8)가 제3 승강 기구(20)보다 시단측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11: Yes), 제어 장치(H)는, 제3 승강 기구(20)를 반송차(3)의 이동처로 지정한다(스텝 #12). 또한, 제어 장치(H)는, 이 수용부(8)에 물품(W)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3)에 대하여, 제3 승강 기구(20)에 이동하도록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14). 한편, 반송처로 지정한 수용부(8)이 제3 승강 기구(20)보다 시단측에는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11: No), 제어 장치(H)는 제1 승강 기구(6)를 반송차(3)의 이동처로 지정한다(스텝 #13). 그리고, 제어 장치(H)는, 수용부(8)에 물품(W)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3)에 대하여, 제1 승강 기구(6)에 이동하도록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14).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H)는, 복수의 공급부(9)의 각각의 버퍼 영역(91)에 배열되어 있는 반송차(3)의 수가, 복수의 공급부(9)끼리 서로 동일에 가까워지도록 복수의 반송차(3)의 주행을 제어한다. 본 예에서는, 제어 장치(H)는 복수의 공급부(9) 중, 버퍼 영역(91)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차(3)의 수가 가장 적은 공급부(9)에 이동하도록, 제2 주행 경로(5)를 주행하는 반송차(3)를 제어한다. 본 예에서는, 제어 장치(H)는, 분류 구간(4b)으로부터 직진 구간(5a)으로 이동한 반송차에 대하여, 복수의 버퍼 영역(91) 중 가장 반송차(3)의 대수가 적은 버퍼 영역(91)에 이동하도록 지령한다. 해당 지령을 수신한 반송차(3)는, 대응하는 제2 승강 기구(7)를 통하여 이동처로 지정된 버퍼 영역(91)으로 이동한다.
도 9는, 제어 장치(H)가, 복수의 공급부(9) 중 1개의 공급부(9)를 지정하는 스텝(도 7의 스텝 #2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먼저, 복수의 공급부(9)의 각 버퍼 영역(91)에 존재하는 반송차(3)의 대수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21). 본 예에서는, 제어 장치(H)는, 복수의 반송차(3)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술한 검출 정보(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각 버퍼 영역(91)에 존재하는 반송차(3)의 대수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H)는, 반송차(3)의 수가 가장 적은 버퍼 영역(91)이 속하는 공급부(9)를 반송차(3)의 이동처로 지정한다(스텝 #22). 그리고, 제2 주행 경로(5)를 주행하는 반송차(3)에 대하여, 지정한 공급부(9)의 버퍼 영역(91)에 이동하도록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23). 그리고, 제어 장치(H)에 의한, 반송차(3)에 대한 지령은, 해당 반송차(3)가 직진 구간(5a)의 주행 중에 행해져도 되고, 제2 합류 구간(5b)에 진입하는 타이밍에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H)는, 지령 대상인 반송차(3)가 주행하는 직진 구간(5a)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복수의 버퍼 영역(91)으로부터, 반송차(3)의 수가 가장 적은 버퍼 영역(91)을 이동처로 지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지령의 대상인 반송차(3)가 주행하는 직진 구간(5a)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버퍼 영역(91)과, 해당 버퍼 영역(91)의 양옆에 있는 버퍼 영역(91) 중으로부터, 가장 반송차(3)의 대수가 적은 버퍼 영역(91)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기타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물품 분류 설비의 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부(9)는, 제1 주행 경로(4)의 수용부 군(80)보다 시단측의 구간에 있어서, 반송차(3)에 물품(W)을 공급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공급부(9)는 제2 주행 경로(5)에 있어서, 반송차(3)에 물품(W)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복수의 공급부(9)가 복수의 직진 구간(5a)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직진 구간(5a)에 있어서, 빈 반송차(3)에 물품(W)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버퍼 영역(91)을 직진 구간(5a)의 일부의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반송차(3)가 직진 구간(5a)과 버퍼 영역(91) 사이에서 노선 연장이 가능하도록, 버퍼 영역(91)을 직진 구간(5a)과는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플로어(21)는 제1 플로어(11)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플로어(21)는 제1 플로어(11)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직진 구간(5a), 제2 합류 구간(5b)}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제1 주행 경로(4){분류 구간(4b), 제1 합류 구간(4c)} 또는 수용부(8)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는, 각각 같은 수의 제1 승강 기구(6) 및 제2 승강 기구(7)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플로어(11)와 제2 플로어(21)를 접속하는 제1 승강 기구(6)와 제2 승강 기구(7)의 수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주행 경로(5)의 직진 구간(5a)은,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과 동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주행 경로(5)의 직진 구간(5a)은, 제1 주행 경로(4)의 분류 구간(4b)의 수보다 많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플로어(21)에, 제1 주행 경로(4)의 수와 동수의 제2 주행 경로(5)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제2 플로어(21)에, 제1 주행 경로(4)의 수보다 많은 수의 제2 주행 경로(5)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1개의 분류 구간(4b)에 대응하여 복수(여기서는 2개)의 직진 구간(5a)이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공통의 제1 승강 기구(6)에 접속되는 제1 주행 경로(4)와 제2 주행 경로(5)에 대하여, 제2 주행 경로(5)의 수를 제1 주행 경로(4)의 수보다 많게 하고 있다. 수용부(8)에 물품(W)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3)는 복수의 직진 구간(5a) 중 어느 하나를 주행하여, 제2 합류 구간(5b)에 진입한다. 또한, 제3 승강 기구(20)에 의해 분류 구간(4b)으로부터 직진 구간(5a)으로 이동한 반송차(3)도, 복수의 직진 구간(5a) 중 어느 하나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주행 경로(5)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에서 제1 주행 경로(4) 및 수용부(8)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분류 구간(4b)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류 구간(4b)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6)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분류 구간(4b)이 제2 방향 Y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류 구간(4b)이 제2 방향 Y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7)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공급부(9)의 각각은, 버퍼 영역(91)에 있는 반송차(3)에 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P)가 배치되는 작업 영역(93)을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 영역(93)에, 버퍼 영역(91)에 있는 반송차(3)에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하는 공급 장치(92)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도 11에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버퍼 영역(91)에 인접하여 공급 장치(9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 장치(92)는 컨베이어(94) 위의 물품(W)을 버퍼 영역(91)의 반송차(3)에 이송탑재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공급 장치(92)는 로봇 암을 구비하는 피킹 로봇이다.
(8)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분류 설비는, 제1 주행 경로(4)의 도중의 위치와 제2 주행 경로(5)의 도중의 위치를 접속하는 제3 승강 기구(20)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 분류 설비는 제3 승강 기구(2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9)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차(3)의 축전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8)가, 제2 플로어(21)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충전부(28)는 제1 플로어(1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0) 전술한 각 실시형태(상기의 실시형태 및 기타의 실시형태를 포함함; 이하 동일)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분류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설비는, 복수의 반송차의 각각이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의해 상기 물품의 분류를 행하는 물품 분류 설비로서,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1 주행 경로가 복수 설정된 제1 플로어와,
상기 제1 플로어와는 상하 방향의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2 주행 경로가 복수 설정된 제2 플로어와,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시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 승강 기구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시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2 승강 기구와,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을 따라 복수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로부터 상기 물품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용부와,
각각의 상기 제1 주행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용부의 군을 수용부 군으로 하여,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상기 수용부 군으로부터도 시단측의 구간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수용부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급부로부터 물품을 공급된 반송차는, 제1 주행 경로를 주행하여, 해당 물품을 복수의 수용부 중의 임의의 수용부에 반송한다. 또한, 임의의 수용부에 물품을 넘겨준 반송차는, 그 후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여, 공급부에 귀환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분류 반송용 경로가 되는 제1 주행 경로와, 반송차의 귀환용 경로가 되는 제2 주행 경로를 상하로 상이한 높이의 플로어에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행 경로와 제2 주행 경로의 단부끼리가 승강 기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차의 주행 경로가 다수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이들 주행 경로가 교차하는 개소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이기 쉽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제1 주행 경로 또는 수용부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제1 주행 경로, 복수의 수용부, 및 복수의 제2 주행 경로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분류 설비의 설치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종단부에 대응하여, M(M은 자연수)개의 상기 제1 승강 기구가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시단부에 대응하여, N(N은 자연수)개의 상기 제2 승강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종단부에 적어도 1개의 제1 승강 기구가 설치되고, 복수의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시단부에 적어도 1개의 제2 승강 기구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주행 경로 및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반송차의 대수가 많은 경우라도, 제1 승강 기구 및 제2 승강 기구의 바로 앞에 있어서, 반송차의 정체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승강 기구의 수와 제2 승강 기구의 수가 동수라면, 제1 승강 기구와 제2 승강 기구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반송차의 정체가 발생하는 것도 회피하기 쉽다.
또한, 상기 제2 플로어에는,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수 이상의 수의 상기 제2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에 물품을 반송한 후의 반송차를 빠르게 공급부에 귀환시키 쉽다. 그러므로, 공급부에 있어서 물품을 공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송차가 1대도 되돌아 오고 있지 않다는 사태가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이기 쉽다.
또한, 상기 제1 주행 경로에서의, 상기 수용부 군이 배치된 구간을 분류 구간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상기 분류 구간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분류 구간, 및 해당 분류 구간을 따라 배치된 수용부 군의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설치 면적을 작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에서의, 각각의 상기 분류 구간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분류 구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상기 공급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공급부를 복수의 분류 구간과 병렬로 배치하기 쉽다. 그러므로, 복수의 공급부와 복수의 분류 구간을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기 쉽다. 또한, 공급부가 복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급부에 의한 반송차에 대한 물품의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분류 설비의 전체로서,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보다 높이기 쉽다.
또한, 복수의 상기 반송차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복수의 상기 공급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공급부의 각각은,
복수의 상기 반송차가 배열될 수 있는 버퍼 영역과,
상기 버퍼 영역에 있는 상기 반송차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하는 공급 장치, 또는, 상기 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배치되는 작업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상기 공급부의 각각의 상기 버퍼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상기 반송차의 수가, 복수의 상기 공급부끼리 서로 동일에 가까워지도록, 복수의 상기 반송차의 주행을 제어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버퍼 영역의 각각에 복수의 반송차를 대기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공급부에서의 반송차의 대수의 치우침을 적게 하기 쉽다. 따라서, 공급부에 있어서 물품의 공급을 받는 반송차가 존재하지 않는 사태가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도중의 위치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도중의 위치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제3 승강 기구를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3 승강 기구보다 제1 주행 경로의 시단측에 있는 수용부에 물품을 넘겨준 반송차는 제3 승강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1 승강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빠르게 제2 주행 경로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을 넘겨준 후의 반송차를 공급부에 빠르게 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차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해당 축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송차의 상기 축전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가 상기 제2 플로어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2 플로어에 충전부를 설치함으로써, 제2 플로어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설비는 전술한 각 효과 중, 적어도 1개를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
1: 물품 분류 설비
2: 승강 기구
3: 반송차
4: 제1 주행 경로
4b: 분류 구간
5: 제2 주행 경로
6: 제1 승강 기구
7: 제2 승강 기구
8: 수용부
9: 공급부
11: 제1 플로어
20: 제3 승강 기구
21: 제2 플로어
28: 충전부
35: 축전 장치
41: 제1 주행 경로의 시단부
42: 제1 주행 경로의 종단부
51: 제2 주행 경로의 시단부
52: 제2 주행 경로의 종단부
80: 수용부 군
91: 버퍼 영역
92: 공급 장치
93: 작업 영역
H: 제어 장치
P: 작업자
W: 물품
X: 제1 방향
Y: 제2 방향

Claims (8)

  1. 복수의 반송차(搬送車)의 각각이 물품을 반송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의 분류를 행하는 물품 분류 설비로서,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1 주행 경로가 복수 설정된 제1 플로어;
    상기 제1 플로어와는 상하 방향의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2 주행 경로가 복수 설정된 제2 플로어;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시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1 승강 기구;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시단부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제2 승강 기구;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을 따라 복수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반송차로부터 상기 물품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용부; 및
    각각의 상기 제1 주행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용부의 군(群)을 수용부 군으로 하여,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상기 수용부 군으로부터도 시단측의 구간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수용부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물품 분류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종단부에 대응하여, M(M은 자연수)개의 상기 제1 승강 기구가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시단부에 대응하여, N(N은 자연수)개의 상기 제2 승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분류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로어에는,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수 이상의 수의 상기 제2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물품 분류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경로에서의, 상기 수용부 군이 배치된 구간을 분류 구간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각각의 상기 분류 구간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물품 분류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주행 경로에서의, 각각의 상기 분류 구간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분류 구간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상기 공급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물품 분류 설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반송차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복수의 상기 공급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공급부의 각각은,
    복수의 상기 반송차가 배열될 수 있는 버퍼 영역과,
    상기 버퍼 영역에 있는 상기 반송차에 상기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 작업을 행하는 공급 장치, 또는, 상기 공급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배치되는 작업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상기 공급부의 각각의 상기 버퍼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상기 반송차의 수가, 복수의 상기 공급부끼리 서로 동일에 가까워지도록, 복수의 상기 반송차의 주행을 제어하는, 물품 분류 설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경로의 도중의 위치와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도중의 위치를 접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를 승강시키는 제3 승강 기구를 더 구비하는, 물품 분류 설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축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송차의 상기 축전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가, 상기 제2 플로어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분류 설비.
KR1020230009943A 2022-01-31 2023-01-26 물품 분류 설비 KR202301175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13485 2022-01-31
JP2022013485A JP2023111572A (ja) 2022-01-31 2022-01-31 物品仕分け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526A true KR20230117526A (ko) 2023-08-08

Family

ID=8740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43A KR20230117526A (ko) 2022-01-31 2023-01-26 물품 분류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41647A1 (ko)
JP (1) JP2023111572A (ko)
KR (1) KR20230117526A (ko)
CN (1) CN116511103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1505B2 (en) * 2003-08-29 2011-08-02 Casepick Systems, Llc Materials-handling system using autonomous transfer and transport vehicles
US7894932B2 (en) * 2005-07-19 2011-02-22 Kiva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plenishing inventory items
US20120191517A1 (en) * 2010-12-15 2012-07-26 Daffin Jr Mack Paul Prepaid virtual card
SG11201809314UA (en) * 2016-05-03 2018-11-29 Opex Corp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11103A (zh) 2023-08-01
JP2023111572A (ja) 2023-08-10
US20230241647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5750B (zh) 在存储网格和外部工作站之间共用共同的机器人队列的改进的存储和取回系统
US20230382655A1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10059519B2 (en) Storage and order-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ticles in a particular order
JP6924153B2 (ja) 貯蔵システム
US7991506B2 (en) Automated order-picking system having an integrated sor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CN110626701A (zh) 储存材料搬运系统
KR20060048168A (ko) 반송 시스템
KR20180034222A (ko) 물품 반송 설비
JP5083382B2 (ja) 自動倉庫
US11524845B2 (en) Flat sorter over at least two levels
CN114701792A (zh) 拣选系统
JP7386186B2 (ja) 保管システム
JP2004010289A (ja) 物流設備
JP7225488B2 (ja) 目的地指定物品トレイ載置搬送システム
WO2020235186A1 (ja) 自動倉庫システム
KR20230117526A (ko) 물품 분류 설비
CN217101530U (zh) 一种立体仓库调度系统
CN216470134U (zh) 一种立体仓库调度系统
JP2002037422A (ja) 物流設備
JP7371519B2 (ja) 自動倉庫
EP4325042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with a floor-based order fulfilment area having at least one picking station
JP7192184B1 (ja) 無人移送車による多層ピッキングシステム
WO2022153659A1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709205B2 (ja) 物品の取り扱い方法
KR20230164727A (ko) 컨테이너에 물품을 저장하고 회수하기 위한 창고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