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516A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6516A KR20230116516A KR1020220013550A KR20220013550A KR20230116516A KR 20230116516 A KR20230116516 A KR 20230116516A KR 1020220013550 A KR1020220013550 A KR 1020220013550A KR 20220013550 A KR20220013550 A KR 20220013550A KR 20230116516 A KR20230116516 A KR 202301165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 machine room
- fan
- guard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송풍팬의 일 측에 마련되는 기계실, 하우징에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기계실로 유입되게 마련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제1파티션, 하우징에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가 송풍팬으로 흡입되게 마련되는 유출홀을 포함하는 제2파티션,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기계실을 향해 유동되도록 제1파티션을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되는 개방부를 갖는 팬 가드 및 개방부를 통과한 공기를 유입홀로 가이드하도록 제1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개선된 유로를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장치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 분리형 공기 조화기가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 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 밸브 유닛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열교환기, 팽창 밸브 유닛, 압축기 및 송풍팬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하우징 일 측에는 기계실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에는 압축기 및 컨트롤 박스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에는 기계실을 냉각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으로 기계실과 외부 공기가 직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계실 냉각 구조에서, 실외기가 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경우 공기 유동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개선된 기계실 냉각 구조를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개선된 외관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일 측에 마련되는 기계실, 상기 하우징에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게 마련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제1파티션, 상기 하우징에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게 마련되는 유출홀을 포함하는 제2파티션,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기계실을 향해 유동되도록 상기 제1파티션을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되는 개방부를 갖는 팬 가드 및 상기 개방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유입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서 상기 팬 가드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 상기 팬 가드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팬 가드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 측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기계실을 냉각하고 상기 송풍팬으로 회수되는 순환 유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제1파티션과의 사이에 유동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제1파티션의 전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순환 유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2파티션은 전방의 제1단부가 상기 제1파티션과 연결되고, 후방의 제2단부가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계실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측방을 커버하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기계실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후방을 커버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팬 가드의 후방에서 상기 제1파티션의 측방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팬 가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팬 가드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팬 가드를 향해 연장되는 가드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가드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팬 가드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팬 가드의 측방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팬 가드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파티션에 결합되는 가이드랙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출홀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홀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폴리 프로필렌 재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측방에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전방을 커버하여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파티션, 상기 기계실과 상기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의 제1단부는 상기 제1파티션과 연결되고 후방의 제2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 상기 송풍팬을 커버하도록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팬 가드 및 상기 제1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팬 가드와 나란하게 정렬되고 상기 팬 가드의 측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팬 가드를 향해 연장되는 가드 수용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팬 가드 및 상기 가드 수용부와 결합되어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팬 가드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티션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의 일 측에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팬 가드, 상기 제1파티션의 전방에서 상기 팬 가드의 측방에 나란하게 정렬되게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팬 가드의 측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1파티션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하여 상기 열교환기 전방에서 상기 송풍팬으로 다시 흡입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팬 가드는 상기 프론트 커버를 향해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실외기 내부에서 순환할 수 있도록 순환 유로를 형성하여 실외기 설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계실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파티션의 유입홀을 통해 누설 냉매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어 사고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색상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프론트 커버를 조립함으로써 실외기의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팬 가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프론트 커버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팬 가드와 프론트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1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2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순환 유로의 공기 흐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메인 유로와 순환 유로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프론트 커버가 팬 가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팬 가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프론트 커버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팬 가드와 프론트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1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2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순환 유로의 공기 흐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메인 유로와 순환 유로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프론트 커버가 팬 가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미도시)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미도시)와 실외기(1)는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내기(미도시) 및 실외기(1)는 전원 및 전기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실외기(1)는 냉매관(미도시)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미도시)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내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실내 송풍팬과, 냉매를 감압 팽창 시키는 팽창 밸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20)와, 실외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20)를 통과하도록 하는 송풍팬(30)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 도 8 참조)와, 실외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열교환기(20), 송풍팬(30) 및 압축기(51)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외 열교환기(20)는 열교환기(20)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탑 플레이트(11), 베이스 플레이트(12), 사이드 플레이트(13) 및 리어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1)는 실외기(1)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실외기(1)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열교환기(20) 및 압축기(51)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는 탑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는 실외기(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는 탑 플레이트(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는 후술할 기계실(60)을 외부와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는 기계실(6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계실(60)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는 사이드 핸들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핸들부(131)는 사이드 플레이트(13)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사이드 핸들부(1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이드 핸들부(131)는 사이드 플레이트(13)의 일 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사이드 핸들부(131)를 파지하여 사이드 플레이트(13)를 분리함으로써 기계실(60)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탑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실외기(1)의 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탑 플레이트(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기계실(60)을 외부와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기계실(6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계실(6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는 사이드 플레이트(13)와 연결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4)와 사이드 플레이트(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외기(1)는 열교환기(20) 및 송풍팬(30)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20)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팬 수용실(32)에 수용되어 송풍팬(30)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의 영향을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20)의 전방에는 송풍팬(30)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30)은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열교환기(20) 후방의 공기가 열교환기(20)를 향해 유동되도록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열교환기(2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되어 가열된 공기를 실외기(1)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외기(1)는 팬 구동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구동부(31)는 송풍팬(30)을 구동시키도록 송풍팬(30)과 결합될 수 있다. 팬 구동부(31)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30)은 후술할 바와 같이 기계실(60)을 냉각하는 순환 유로(C, 도 12 참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실외기(1)는 기계실(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60)은 송풍팬(3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60)은 실외기(1) 내부에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60)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의 내부에는 컨트롤 박스(52)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 내부에는 압축기(51)를 수용하는 수용 프레임(62) 및 컨트롤 박스(52)를 수용하는 컨트롤 프레임(61)이 마련될 수 있다.
실외기(1)는 제1 파티션(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하우징(10)에 기계실(60)을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기계실(60)로 유입되게 마련되는 유입홀(7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실외기(1)는 제2 파티션(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하우징(10)에 기계실(60)을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기계실(60)을 냉각한 공기가 송풍팬(30)으로 다시 흡입되게 마련되는 유출홀(8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열교환기(20)와 송풍팬(30)이 설치되는 공간과 압축기(51)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파티션(80)의 일 측에는 기계실(60)이 형성되고 제2 파티션(80)의 타 측에는 팬 수용실(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전방의 제1단부가 제1 파티션(70)과 연결되고, 후방의 제2단부가 열교환기(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파티션(80)은 기계실(60)을 팬 수용실(32)과 구분지을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대략 곡선의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판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파티션(8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파티션(8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실외기(1)는 서포트 프레임(90)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팬 가드(200)의 후방에서 제1 파티션(70)의 측방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팬 가드(2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프레임 바디(9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에는 개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911)를 통해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서포트 프레임(90)을 통과하여 실외기(1)의 전방으로 배출되거나 기계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는 가드 고정부(912) 및 커버 결합부(9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고정부(912)는 팬 가드(2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드 고정부(912)는 팬 가드(200)의 위치가 프레임 바디(91)의 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가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드 고정부(912)는 팬 가드(200)가 프레임 바디(91)에 스크류 결합되기 전 팬 가드(200)의 위치를 가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드 고정부(912)는 팬 가드(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913)는 프론트 커버(10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의 측방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팬 가드(200)와 나란히 배치되는 구성이다.
프론트 커버(100)는 커버 결합부(913)를 통해 프레임 바디(9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팬 가드(200) 및 프론트 커버(100)의 조립구조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플레이트 체결부(92) 및 파티션 체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제1 파티션(70)과 전방에 대해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제1 파티션(70)과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프레임 바디(9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파티션 체결부(93)를 통해 제1 파티션(70)과 결합될 수 있다. 파티션 체결부(93)는 서포트 프레임(90)으로부터 제1 파티션(7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 체결부(92)는 서포트 프레임(90)의 프레임 바디(9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플레이트 체결부(92)를 통해 탑 플레이트(1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프레임(90)의 프레임 바디(91) 하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체결부(92)가 프레임 바디(9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서포트 프레임(90)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서포트 프레임(90)은 열교환기 체결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열교환기 체결부(94)를 통해 열교환기(20)의 일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열교환기(20)의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는 제2 파티션(8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팬 수용실(32)은 열교환기(20)와 서포트 프레임(90) 및 제2 파티션(8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실외기(1)는 팬 가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송풍팬(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외부의 이물질이 실외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송풍팬(3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 가드(200)는 서포트 프레임(90)의 개구(911)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실외기(1)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 가드(2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 사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기계실(60)을 향해 유동되도록 제1 파티션(70)을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되는 개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개방부(241)를 통해 제1 파티션(70)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를 통과한 공기는 프론트 커버(100)와 제1 파티션(70)의 사이로 유동되어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을 통해 기계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기(1)는 프론트 커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기계실(60)의 전방에서 팬 가드(200)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와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제1 파티션(7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를 통과한 공기를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로 가이드하도록 제1 파티션(7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의 측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기계실(60)로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와 함께 실외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외기(1) 각 구성의 세부적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팬 가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프론트 커버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팬 가드와 프론트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팬 가드(200)는 가드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바디(210)는 팬 가드(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가드 바디(210)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드 바디(210)는 제1 리브(2111)와 제2 리브(2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2111)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2112)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리브(2111)는 실외기(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리브(2112)는 실외기(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리브(2111)는 복수로 마련되고 제2 리브(2112)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리브(2111)와 제2 리브(2112)는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드 바디(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실외기(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리브(2111)와 제2 리브(2112)는 함께 팬 가드(200)의 메인 토출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가드 바디(210)는 메인 토출부(211)의 일 측에 형성되는 커버 수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수용부(212)는 프론트 커버(1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수용부(212)와 메인 토출부(211)는 커버 지지부(21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13)는 프론트 커버(100)가 팬 가드(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프론트 커버(100)의 일 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13)는 팬 가드(20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13)는 팬 가드(2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가드 바디(210)는 수용 리브(2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리브(214)는 프론트 커버(100)의 후술할 프레임 결합부(141)가 수용되도록 팬 가드(2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수용 리브(214)는 프론트 커버(100)와 팬 가드(200)의 상대적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드 바디(210)는 프레임 고정부(215) 및 고정 레그(215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부(215)는 가드 바디(210)의 후면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부(215)는 서포트 프레임(90)과 팬 가드(20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레그(2151)는 프레임 고정부(215)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레그(2151)는 서포트 프레임(90)에 삽입되도록 가드 바디(21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레그(2151)는 서포트 프레임(90)의 가드 고정부(912, 도 2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팬 가드(200)가 서포트 프레임(90)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도 고정 레그(2151)가 서포트 프레임(90)의 가드 고정부(912)에 삽입되므로 팬 가드(200)가 서포트 프레임(90)에 대해 가고정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가드 바디(210)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어퍼 플랜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플랜지(220)는 팬 가드(2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가드 바디(210)의 일 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아우터 사이드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사이드플랜지(230)는 팬 가드(200)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사이드플랜지(230)는 실외기(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사이드플랜지(230)는 제1 어퍼 플랜지(220)와 연결될 수 있다.
팬 가드(200)는 가드 바디(210)의 일 측부와 반대되는 타 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는 팬 가드(200)의 일 측면과 반대되는 타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는 프론트 커버(1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는 제1 어퍼 플랜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는 가드 바디(210)의 커버 수용부(2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는 개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241)는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41)는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의 상측 일부분만을 제외하고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를 전체적으로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커버(100)는 커버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110)는 프론트 커버(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바디(110)는 바디부(111) 및 가드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수용부(112)는 바디부(111)로부터 팬 가드(2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가드 수용부(112)는 바디부(111)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드 수용부(112)는 바디부(111)보다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드 수용부(112)는 개방부(241)를 통해 팬 가드(2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팬 가드(2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프레임 결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141)는 가드 수용부(1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프레임(9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141)는 가드 수용부(112)로부터 팬 가드(200)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결합부(141)는 서포트 프레임(90)의 커버 결합부(913)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보강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113)는 커버 바디(1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13)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리브(113)는 프론트 커버(1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바디(110)의 상측에는 가이드 수용부(1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수용부(1111)는 제1 파티션(70)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40)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프론트 커버(100)는 커버 바디(11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어퍼 플랜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플랜지(120)는 프론트 커버(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어퍼 플랜지(120)는 팬 가드(200)의 제1 어퍼 플랜지(220)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어퍼 플랜지(120)는 팬 가드(200)의 제1 어퍼 플랜지(220)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커버 바디(110)의 일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아우터 사이드플랜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우터 사이드플랜지(130)는 커버 바디(110)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아우터 사이드플랜지(130)는 실외기(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사이드플랜지(130)는 제2 어퍼 플랜지(12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커버 바디(110)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는 커버 바디(110)의 일 측면과 반대되는 타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는 팬 가드(200)의 커버 지지부(213)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는 제2 어퍼 플랜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는 커버 바디(110)의 가드 수용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141)는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프론트 커버(100)가 팬 가드(200)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프론트 커버(100)의 가드 수용부(112)는 팬 가드(200)의 커버 수용부(212)에 수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의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는 팬 가드(200)의 커버 지지부(213)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와 커버 지지부(213)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의 프레임 결합부(141)는 팬 가드(200)의 수용 리브(214)에 수용될 수 있다.
팬 가드(200)의 제1 어퍼 플랜지(220)와 프론트 커버(100)의 제2 어퍼 플랜지(120)는 서로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가드(200)의 가드 바디(210)와 프론트 커버(100)의 커버 바디(110)의 전면은 전방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팬 가드(200)와 프론트 커버(100)는 서로 분리된 구성으로 마련되지만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팬 가드(200)와 프론트 커버(100)는 한 개의 구성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1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파티션(70)은 제1 바디(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71)는 제1 파티션(7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의 제1 바디(71)에는 기계실(60)과 연통되는 유입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711)은 랜싱 가공을 통한 랜싱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71)에는 핸들부(712)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제1 바디(71)의 핸들부(712)를 파지하여 제1 파티션(70)을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 시 기계실(6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제1 바디(71)의 상측에는 가이드 결합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73)는 가이드 부재(4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는 제1 파티션(70)의 전방에서 팬 가드(200)로 삽입되는 프론트 커버(100)를 가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파티션(70)은 제1 바디(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탑 결합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결합부(72)는 탑 플레이트(1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70)은 탑 플레이트(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제1 바디(7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결합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결합부(75)는 사이드 플레이트(13)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70)은 사이드 플레이트(13)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의 제1 바디(71)의 하측 전방에는 베이스 결합부(74)가 마련되어 제1 파티션(70)이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파티션(70)의 사이드 결합부(75)와 반대되는 일 측에도 제1 바디(7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파티션(70)의 외측 단부는 사이드 플레이트(13)와 결합되고 제1 파티션(70)의 내측 단부는 제2 파티션(8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제2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파티션(80)은 제2 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81)는 기계실(60)과 팬 수용실(32)을 구획하도록 넓은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의 제2 바디(81)에는 기계실(60)과 팬 수용실(32)을 연통하는 유출홀(8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홀(811)은 랜싱 가공을 통한 랜싱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제2 바디(8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파티션 결합부(82) 및 제2 바디(8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열교환기 결합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결합부(82)는 제2 바디(81)의 전방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 결합부(82)는 제1 파티션(70)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 결합부(82)에는 결합 슬릿(821)이 형성되어 제1 파티션(70)의 고정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파티션(70)과 제2 파티션(80)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 파티션(70)과 제2 파티션(80)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 결합부(83)는 열교환기(20)와 결합되도록 제2 바디(81)의 후방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20)의 일 측 단부는 서포트 프레임(90)과 결합되고, 열교환기(20)의 타 측 단부는 제2 파티션(8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의 제2 바디(81) 상측에는 프레임 지지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84)는 기계실(60)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프레임(61)이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 프레임(61)의 위치가 기계실(6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외기(1)의 내부는 팬 수용실(32)과 기계실(60)로 구획될 수 있다.
기계실(60)은 사이드 플레이트(13), 리어 플레이트(14), 제1 파티션(70) 및 제2 파티션(8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플레이트(14)와 제2 파티션(80)의 사이에는 열교환기(20)의 타 측 단부가 배치됨으로써 기계실(60)을 형성하는 폐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팬 수용실(32)은 열교환기(20), 서포트 프레임(90) 및 제2 파티션(8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 수용실(32)에는 송풍팬(30)과 팬 구동부(31)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의 수용 프레임(62)에는 압축기(51)가 수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제1 파티션(70)과의 사이에 유동 공간(S)이 마련되도록 제1 파티션(70)의 전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후술할 순환 유로(C)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순환 유로의 공기 흐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는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를 통해 프론트 커버(10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는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팬 가드(200)의 커버 지지부(213) 및 프론트 커버(100)의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와 서포트 프레임(90) 사이로 유동되어 프론트 커버(100)와 제1 파티션(7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 공간(S)을 향하는 제1유로(A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유로(A1)는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를 통해 측방으로 유동되는 경로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를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이 있는 부분에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외기(1)는 제1유로(A1)를 따라 유동 공간(S)으로 유동된 공기가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을 통해 기계실(60)로 유입되는 제2유로(A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가 팬 가드(200)와 제1 파티션(70) 사이에서 유동 공간(S)을 형성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팬 가드(200)의 측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송풍팬(30)의 유동 압력에 의해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로 향하게 된다. 즉, 유동 공간(S)에는 양압이 형성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를 제2 파티션(80)의 유출홀(811)이 있는 부분에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외기(1)는 제2유로(A2)를 따라 기계실(60)로 유입된 공기가 기계실(60)의 압축기(51)와 컨트롤 박스(52) 등 각종 부품을 냉각하고 제2 파티션(80)의 유출홀(811)을 통해 팬 수용실(32)로 유출되는 제3유로(A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팬(30)의 유동 압력에 의해 송풍팬(30)으로 회수될 수 있다. 즉, 제3유로는 음압에 의해 기계실(60)에서 팬 수용실(32)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메인 유로와 순환 유로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실외기(1)는 메인 유로(M) 및 순환 유로(C)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유로(C)는 상술한 제1유로(A1), 제2유로(A2) 및 제3유로(A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로(M)는 송풍팬(3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20)를 지나 팬 가드(20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경로이다. 메인 유로(M)를 유동하는 공기는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되어 냉매를 냉각할 수 있다.
순환 유로(C)는 송풍팬(3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를 통해 측방으로 유동되어 기계실(60)을 냉각하고 송풍팬(30)으로 다시 회수되는 경로이다.
따라서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송풍팬(30)의 전방으로 유동되어 팬 가드(200)의 전방으로 토출되고,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송풍팬(30)의 전방으로 유동되어 팬 가드(200)의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 유로(C)는 송풍팬(3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팬 가드(200)의 측방을 통해 제1 파티션(70)과 프론트 커버(100)의 사이로 유동되고, 유동된 공기가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을 통해 기계실(60)로 유입되고, 기계실(60)로 유입되어 기계실(60)을 냉각한 공기가 제2 파티션(80)의 유출홀(811)을 통해 송풍팬(30)으로 다시 회수되는 경로이다.
다시 말해, 순환 유로(C)는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팬 가드(200)의 측방으로 유동되어 프론트 커버(100)와 제1 파티션(7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기계실(60)로 유입되고, 기계실(60)을 냉각하여 열교환기(20) 전방에서 송풍팬(30)으로 다시 흡입되는 경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 유로(C)를 따라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기계실(60)의 3면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14)와 사이드 플레이트(13) 및 탑 플레이트(11)는 기계실(60)과 외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은 제2 파티션(80)의 유출홀(811)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홀(711)로 유입된 공기가 기계실(6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되어 기계실(60) 전반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은 송풍팬(3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제2 파티션(80)의 유출홀(811)은 송풍팬(3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홀(711) 부근에는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양압이 형성되고 유출홀(811) 부근에는 송풍팬(30)으로 흡입되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과 제2 파티션(80)의 유출홀(81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풍팬(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상류에 유입홀(711)이 형성되고, 하류에 유출홀(811)이 형성되어 유입홀(711)로부터 유출홀(811)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즉,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는 기계실(60)이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기계실(60)을 냉각한 공기가 송풍팬(30)으로 다시 흡입되는 구조이면 족하다.
또한,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은 하부가 개방된 랜싱홀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60) 내부로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누설된 냉매가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을 통해 기계실(6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계실(60) 내의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측면 플레이트에 흡입구를 형성하여 기계실(60)로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방식을 통해 기계실(60)을 냉각하였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의 경우 기계실(60)을 냉각하는 유로가 실외기(1)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게 형성되므로 실외기(1)의 설치 위치에 상관 없이 동일한 성능으로 기계실(60)을 냉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외기(1)의 일 측이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기계실(60)의 냉각 성능이 동일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60)을 냉각하는 순환 유로(C)를 유동하는 공기 흐름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계실(60)을 냉각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되므로 시간 당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의 프론트 커버(100)는 그 자체로 팬 가드(200)와 제1 파티션(70)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다만, 프론트 커버(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덕트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의 팬 가드(200)는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에 개방부(241)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다만,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너 사이드플랜지(240)의 일부분만을 좁은 범위로 절개하여 보다 축소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론트 커버(100)의 덕트부는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와 제1 파티션(70)의 유입홀(711)을 연결하도록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프론트 커버가 팬 가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70)의 가이드 결합부(73)에는 가이드 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는 프론트 커버(100)가 팬 가드(200)의 측방에서 슬라이딩되어 팬 가드(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 파티션(7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는 제1 파티션(70)의 상측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가 제1 파티션(70)의 가이드 결합부(73)에 결합되면, 프론트 커버(100)가 팬 가드(200)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커버(100)의 제2 이너 사이드플랜지(140)로부터 연장된 프레임 결합부(141)는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를 통해 팬 가드(2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100)는 실외기(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드 수용부(112)가 팬 가드(200)의 커버 수용부(212)에 안착되면, 프론트 커버(100)의 가이드 수용부(1111)(도 4 참조)에 가이드 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론트 커버(100)의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0)가 팬 가드(200)의 개방부(241)로 측방에서 삽입되고 가이드 부재(40)가 프론트 커버(100)의 가이드 수용부(1111)에 삽입됨에 따라 프론트 커버(100)의 위치는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가 가동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는 프론트 커버(100)와 팬 가드(200)가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100)와 팬 가드(200)를 서포트 프레임(90)에 함께 고정함으로써 조립 공차에 기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40)는 프론트 커버(100)가 완전히 결합되기 전 프론트 커버(100)의 위치를 가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커버(100)의 프레임 결합부(141)는 팬 가드(200)의 수용 리브(214)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100)의 프레임 결합부(141)는 서포트 프레임(90)의 커버 결합부(9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팬 가드(200)의 복수의 리브 사이로 공구를 삽입하여 프론트 커버(100)의 프레임 결합부(141)와 서포트 프레임(90)의 커버 결합부(913)를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팬 가드(200)와 프론트 커버(100) 사이의 조립공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간소화된 방식으로 팬 가드(200)에 프론트 커버(100)를 조립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폴리 프로필렌(PP)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0)는 팬 가드(200)의 측방에서 팬 가드(200)와 함께 실외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100)는 이러한 재질 특성 상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색상이 커스터마이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실외기
10; 하우징
11; 탑 플레이트
12; 베이스 플레이트
13; 사이드 플레이트
14; 리어 플레이트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60; 기계실
70; 제1 파티션
80; 제2 파티션
90; 서포트 프레임
200; 팬 가드
100; 프론트 커버
241; 개방부
M; 메인 유로
C; 순환 유로
S; 유동 공간
10; 하우징
11; 탑 플레이트
12; 베이스 플레이트
13; 사이드 플레이트
14; 리어 플레이트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60; 기계실
70; 제1 파티션
80; 제2 파티션
90; 서포트 프레임
200; 팬 가드
100; 프론트 커버
241; 개방부
M; 메인 유로
C; 순환 유로
S; 유동 공간
Claims (20)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일 측에 마련되는 기계실;
상기 하우징에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게 마련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제1파티션;
상기 하우징에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게 마련되는 유출홀을 포함하는 제2파티션;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기계실을 향해 유동되도록 상기 제1파티션을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되는 개방부를 갖는 팬 가드; 및
상기 개방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유입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서 상기 팬 가드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 상기 팬 가드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팬 가드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 측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기계실을 냉각하고 상기 송풍팬으로 회수되는 순환 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제1파티션과의 사이에 유동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제1파티션의 전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순환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티션은 전방의 제1단부가 상기 제1파티션과 연결되고, 후방의 제2단부가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계실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측방을 커버하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기계실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후방을 커버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가드의 후방에서 상기 제1파티션의 측방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팬 가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팬 가드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팬 가드를 향해 연장되는 가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가드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 가드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레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가 상기 팬 가드의 측방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팬 가드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파티션에 결합되는 가이드랙;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유출홀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홀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폴리 프로필렌 재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측방에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전방을 커버하여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파티션;
상기 기계실과 상기 송풍팬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의 제1단부는 상기 제1파티션과 연결되고 후방의 제2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
상기 송풍팬을 커버하도록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팬 가드; 및
상기 제1파티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팬 가드와 나란하게 정렬되고 상기 팬 가드의 측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팬 가드를 향해 연장되는 가드 수용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팬 가드 및 상기 가드 수용부와 결합되어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팬 가드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티션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의 일 측에 형성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팬 가드;
상기 제1파티션의 전방에서 상기 팬 가드의 측방에 나란하게 정렬되게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팬 가드의 측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1파티션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고 상기 기계실을 냉각하여 상기 열교환기 전방에서 상기 송풍팬으로 다시 흡입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팬 가드는 상기 프론트 커버를 향해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3550A KR20230116516A (ko) | 2022-01-28 | 2022-01-28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EP22924331.6A EP4368902A1 (en) | 2022-01-28 | 2022-11-10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PCT/KR2022/017630 WO2023146078A1 (ko) | 2022-01-28 | 2022-11-10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CN202280060089.3A CN117940712A (zh) | 2022-01-28 | 2022-11-10 | 空调的室外单元 |
US17/991,980 US12078365B2 (en) | 2022-01-28 | 2022-11-22 |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3550A KR20230116516A (ko) | 2022-01-28 | 2022-01-28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6516A true KR20230116516A (ko) | 2023-08-04 |
Family
ID=8747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3550A KR20230116516A (ko) | 2022-01-28 | 2022-01-28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6516A (ko) |
WO (1) | WO2023146078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8701A (ko) * | 2000-12-18 | 2002-06-24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WO2006082779A1 (ja) * | 2005-02-03 | 2006-08-10 | Daikin Industries, Ltd. |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KR20100065988A (ko) * | 2008-12-09 | 2010-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JP6217969B2 (ja) * | 2013-08-23 | 2017-10-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における機械室内の冷却構造 |
US20220082271A1 (en) * | 2019-03-01 | 2022-03-1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
-
2022
- 2022-01-28 KR KR1020220013550A patent/KR20230116516A/ko unknown
- 2022-11-10 WO PCT/KR2022/017630 patent/WO202314607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46078A1 (ko) | 2023-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24888A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11201403B (zh) | 空调 | |
KR20160081093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JP6475040B2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KR100238513B1 (ko) | 공기조화기 | |
KR20230116516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JP6896140B2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EP3929504A1 (en) | Refrigerator | |
KR20050019444A (ko) | 공기조화기 | |
KR20030046150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20040015875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 |
WO2009133909A1 (ja) |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
US12078365B2 (en) |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
US20050061020A1 (en) | Air conditioner | |
KR20160086141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10266613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83247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20190084590A (ko) | 이동형 공기조화기 | |
KR102162354B1 (ko) | 실외 유닛 | |
KR200180231Y1 (ko) | 공조기기의 실외기 | |
JP6974754B2 (ja) | 冷凍装置の室外機 | |
KR20050032861A (ko) | 공기조화기 | |
JP6688370B2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KR20070078256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53045B1 (ko) | 공기조화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