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456A -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456A
KR20230116456A KR1020220013416A KR20220013416A KR20230116456A KR 20230116456 A KR20230116456 A KR 20230116456A KR 1020220013416 A KR1020220013416 A KR 1020220013416A KR 20220013416 A KR20220013416 A KR 20220013416A KR 20230116456 A KR20230116456 A KR 2023011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ascular
peony
peony extract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근
김민정
소보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456A/ko
Publication of KR2023011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손상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VCAM-1의 발현을 억제하고, 단핵구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하여 혈관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증상 개선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vascular inflammation relaxation comprising Paeonia lactiflora extract}
본 발명은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도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의 초기병변은 주로 혈관내피세포의 염증반응이 원인이 되고 있다(Ross R. Atherosclerosis--an inflammatory disease. N Engl J Med. 1999 Jan 14;340(2):115-26). 정상 혈관내피세포들은 염증세포와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혈류를 따라 흘러갈 뿐이므로 혈관벽과의 접촉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반면,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이 일어나면, 염증세포와 상호작용이 일어나 염증세포가 혈관벽에 달라붙어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초기 동맥 염증 과정에서, 병원체(pathogen), 산화 지질 또는 종양괴사인자(TNF)-α, 인터루킨(IL)-1/3 및 IL-6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비롯한 다양한 자극에 의해 내피세포가 활성화되며, 이후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단핵구가 플라그-형성 병소(foci)로 되는 것을 증가시키는 특정 부착 수용체인 VCAM1(Vascular cell adhesion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한다. 염증이 생긴 혈관내피세포에서 롤링(rolling) 및 부착된 단핵구는 연속적으로 전이되어, 결과적으로 혈관벽을 통해 삼출(diapedesis)된다. 이러한 혈관염증반응에서의 주요 매개체로 알려진 VCAM-1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염증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치료물질로 활용되고 있다(Preiss DJ, Sattar N.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a viable therapeutic target for atherosclerosis; Int J Clin Pract. 2007 Apr;61(4):697-701). 혈관염증에 의해 야기되는 혈관염증질환으로는 죽상동맥경화증, 동맥협착증, 혈관재협착증, 패혈증, 혈관염,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뇌졸중 등이 있다.
한편, 작약(Paeonia lactiflor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피는데 크고 아름다우며 재배한 것은 지름 10cm 정도이다. 꽃색은 붉은색, 흰색 등 다양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내피 기능 장애 또는 이로 인한 혈관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혈관염증성 질환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동맥협착증(arterial stenosis), 혈관재협착증(restenosis), 패혈증(sepsis) 및 혈관염(vascul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손상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VCAM-1의 발현을 억제하고, 단핵구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하여 혈관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증상 개선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작약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작약 추출물 처리에 따른 THP-1 세포 부착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혈관내피세포에서 작약 추출물 처리에 따른 VCAM-1 발현 억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작약 추출물 처리에 따른 NF-κB 신호전달 관련 인자의 인산화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작약 추출물 처리에 따른 p65의 이동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혈관내피세포에서 작약 추출물 처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MCP-1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동물모델에서 작약 추출물 투여에 따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동물모델에서 작약 추출물 투여에 따른 F4/80 및 VCAM-1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약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 (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정 또는 에탄올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주정 또는 에탄올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초음파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열수추출법, 실온추출법, 가온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또는 초임계추출법 등의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작약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 내 단핵구 세포 유착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작약 추출물은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L-6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하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 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콜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작약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액상제제, 음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되어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 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작약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과 중복된 내용은 중복된 내용의 기재에 의한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이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내피 기능 장애 또는 이로 인한 혈관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내피 기능 장애(endothelial dysfunction)”는 심장 동맥 폐색이 없지만 심장 표면의 큰 혈관이 확장(열림)되는 대신 수축(좁음)되는 일종의 비폐쇄성 관상 동맥 질환(CAD)으로, 불균형한 혈관 확장 및 혈관 수축, 증가된 활성 산소 종(ROS), 전염증 인자, 산화질소(NO) 생체이용률의 결핍을 특징으로 한다. 내피 기능 장애의 발생은 심혈관 질환 발병에서 염증 반응의 일부인 내피 장벽 투과성을 방해하여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고지혈증(hyperlipidemia), 고혈압(hypertension), 관상동맥 심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비만, 인슐린 저항성 또는 제2형 당뇨병과 같은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상기 혈관염증성 질환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동맥협착증(arterial stenosis), 혈관재협착증(restenosis), 패혈증(sepsis) 및 혈관염(vascul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예방"은 병리학적 현상의 발생 빈도 또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예방은 완전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체 내의 내피 기능 장애 또는 이로 인한 혈관염증성 질환 증상이 상기 조성물을 사용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세포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거나, 전이를 예방하거나,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내피 기능 장애 또는 이로 인한 혈관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 예를 들어 비-영장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래트 및 마우스) 및 영장류 (예를 들면, 원숭이, 예를 들어 사이노몰구스(cynomolgous) 원숭이 및 침팬지)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때에 따라서는 인간을 제외하는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작약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내피 기능 장애 또는 이로 인한 혈관염증성 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생리식염수,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리퀴드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작약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은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시예 1> 실험 재료의 준비
1-1. 시약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10 ng/mL)는 BD Pharmingen(San Diego, CA, USA)으로부터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1-2. 작약 추출물의 제조
작약(Paeonia lactiflora)은 뿌리 부분을 이용하였으며, 작약의 뿌리는 2019년 2월 봉화약용작물연구소에서 구입하였다. 건조된 작약을 분쇄하고 8-mesh 망에 통과시켰다. 작약 분쇄물 10 g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진탕 배양기를 사용하여 80% 주정로 추출하고 용매와 시료의 비율이 50:1이 되도록 추출하였다. 상기 주정 추출물은 정량 필터(GVS, Zola Predosa, Bologna, Italy)에 의해 여과된 후, 회전 증발법에 의해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추출물을 -35 ℃ 이하, 0.4 내지 0.8 torr 압력 조건으로 46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될 때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1-3.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양성 대조군으로 대나무(Phyllostachys pubescens) 잎 추출물을 준비하였으며, 실시예 1-2의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사용 직전에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1-4. 실험 동물 준비
수컷 C57BL/6 마우스를 중아바이오(수원,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환경순응 기간을 거친 수컷 C57BL/6 마우스(10주령, 체중 약 25 g)를 명암주기(12h : 12h)와 에어컨이 설치된 실내 (23±2℃)의 환경하에 케이지당 5마리씩 하우징하였다. 음식물과 수돗물에 자유 급이를 하였다. 모든 동물은 관리를 받았으며, 연구 프로토콜은 경북대학교에서 발행한 "Guidelines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따라 승인되고 수행되었다. 10주령의 25 마리의 마우스는 무작위로 각 그룹에 할당하였다.
(그룹당 5 마리 마우스, 총 5 그룹) : (i) 정상 대조군, (ⅱ) TNF-α 처리군 (TNF-α), (ⅲ) TNF-α 및 100 mg/kg·day 작약 추출물 처리군, (iv) TNF-α 및 500 mg/kg·day 작약 추출물 처리군 및 (v) TNF-α 및 100 mg/kg/day 대나무 잎 추출물 처리군
작약 추출물 처리군 (100 또는 500 mg/kg·day) 및 대나무 잎 추출물 처리군 (100 mg/kg/day)는 마우스에 각 추출물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7일 연속으로 각 추출물의 경구투여를 실시하고, 1시간 후 복강 내 주사 (i.p.)로 TNF-α를 25 μg/kg으로 투여하였다.
1-4. 세포 배양
혈관 내피세포인 HUVEC 세포는 성장인자가 포함된 EBM-2 배지로 37℃, 5% CO2 배양기에서 최대 6 passage까지 배양하고 유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인간 단핵구 세포주인 THP-1는 10% Fetal Bovine Serum이 포함하며 0.05 mM 2-메르캅토에탄올을 최종 농도로 한 RPMI 1640 배지에서 2×105와 1×106 cells/ml의 사이 밀도로 유지했다.
<실시예 2> 작약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된 작약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 분석을 위해 HPLC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시스템 (Agilent 1260 Infinity II Series, Santa Clara, CA, USA)을 사용하여 작약 추출물을 주입하였다. 작약 추출물의 주요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25℃에서 Unison Imtakt US-C18 컬럼(250 4.6 mm, 5 μm)을 사용하였으며, methyl gallate, oxypaeoflorin, catechin hydrate, albiflorin, paeoniflorin, benzoic acid, benzoyl paeoniflorin 및 paeonol을 포함하는 표준물질과 작약 추출물을 희석하였다. 여기서 표준 용액의 범위는 0.4 내지 50 μg/mL(0.4, 2, 10, 25, 50 μg/mL)이다. 그 다음, 희석된 표준물질 5 μL와 작약 추출물을 주입하고 0.8 mL/min의 유속으로 240 nm의 검출파장에서 모니터링하였다. HPLC 이동상은 이동상 A(0.01% 인산/물)와 이동상 B(아세토니트릴(ACN))로 구성되었고, gradient program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0분, 5% B; 0-15분, 5-45% B; 15-30분, 45% B; 30-32분, 45-5% B; 32-40분, 5% B. 분석 종료 시 컬럼을 70% 아세토니트릴로 20분 동안 평형화시켰으며 컬럼에 잔류 분석물질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작약 추출물의 integrated peak를 체류 시간(retention time)과 비교하여 정량화하였으며, 모든 샘플은 peak area를 external calibration curve와 비교하여 분석되었다. 각 작약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의 함량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추정되었다. 여기서 Pspl은 각 성분의 농도, Aj는 i번째 calibration standard 면적의 j번째 측정값, B1은 검정곡선의 기울기, Bo는 검정곡선의 절편, F는 희석계수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작약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 lactiflora의 성분이 8개 이상의 개별 피크(peak)로 분리되었으며, 페오니플로린(Paeoniflorin)이 83.47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고 벤조일페오니플로린(benzoylpaeoniflorin) 및 알비플로린(Albiflorin)이 각각 5.72 mg/g, 5.03 mg/g으로 그 뒤를 이었다(표 1 참조).
No. compound Amount (mg/g)
1 Methyl gallate 4.796±0.079
2 Oxypaeoniflorin 2.695±0.034
3 Catechin 1.997±0.038
4 Albiflorin 5.028±0.149
5 Paeoniflorin 83.474±1.004
6 Benzoic acid 2.479±0.047
7 Benzoyl paeoniflorin 5.721±0.097
8 Paeonol 0.079±0.003
<실시예 3> 작약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 유도된 THP-1 세포 부착 분석 및 VCAM-1 발현
3-1. 세포-세포 부착성 및 이동성 분석
TNF-α는 죽상동맥경화증 환자의 혈액 내에서 높은 수치로 발견되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혈관염증은 TNF-α로 활성화된 혈관 내피세포에 대한 THP-1 단핵구의 부착과 이동 촉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내피세포(HUVECs)에 대한 단핵구(THP-1)의 부착성에 미치는 작약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혈관 내피세포(HUVECs)에 대한 단핵구(THP-1)의 부착성 분석은 형광표지로 평가하였다. 혈관 내피세포는 9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m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단일층을 형성하였다. HUVEC 세포 단일층은 다양한 농도의 작약 추출물로 1시간 동안 활성화한 후, 작약 추출물과 TNF-α로 다섯 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이후, 2 μM calcein AM으로 15분간 형광 염색된 THP-1 세포(5×105 cells/mL, 100 μL)에 1시간 동안 노출하였다.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PBS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한 후,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SpectraMax 190, Molecular Devices Corporation, USA)를 사용하여 485 및 538 nm의 파장에서 형광세기로 단핵구 THP-1의 부착 정도를 측정하였다. 부착된 THP-1 세포는 형광 현미경(ZOE, Bio-rad)을 사용하여 확인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약 추출물으로 처리한 경우 활성화된 내피세포에 부착된 단핵구 THP-1의 부착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작약 추출물은 대나무 잎 추출물(양성 대조군) 보다 단핵구 부착 감소 정도가 높게 나타나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단핵구의 결합을 억제하는 효능이 뛰어난 것을 볼 수 있었다. 형광으로 표지된 단핵구는 형광현미경으로 본 발명의 작약 추출물을 통해 THP-1 세포의 부착이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3-2. VCAM-1 발현에 미치는 영향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단핵구의 부착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초기의 단계로 혈관내피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 표면 부착분자(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중에서도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의 발현으로 단핵구가 결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HUVEC 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증가하는 VCAM-1의 발현을 작약 추출물이 억제시켜 항염증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단백질 확인이 가능한 웨스턴 블랏 분석을 위해 HUVEC 세포는 2×105 cells/mL의 양으로 분주 되어 24시간 동안 10 cm 접시에 배양되었다. 이어서 작약 추출물을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0 ng/mL의 TNF-α를 처리하였다. 세포는 PBS로 2회 세척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와 인산기 분해효소 저해제(protease and phosphatase inhibitor,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Eugene, Oregon, USA)가 포함된 세포 용해 완충액(Cell lysis buffer, Cell signaling Biotechnology, Beverly, MA, USA)으로 용해시켜 30분간 얼음 상에 유지시켰다. 용해물의 단백질은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만 취하여 보관하였다. 단백질의 농도는 DC Protein Assay kit (Bio-Rad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확인하였다. 동량 단백질에 해당하는 용해물은 10% SDS-PAGE, PVDF 멤브레인을 이용한 전달 후 4℃에서 멤브레인을 항체에 밤새 반응시켰다. 단백질의 밴드는 화학 발광 검출 키트(ATT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홀스래디쉬 퍼옥시데이즈(HRP)가 부착된 2차 항체와 혼합한 후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약 추출물은 HUVEC 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유도된 VCAM-1의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이 가능한 qPCR(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위해, HUVEC 세포는 1×105 cells/mL의 양으로 분주 되어 24시간 동안 10 cm 접시에 배양되었다. 이어서 작약 추출물을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0 ng/mL의 TNF-α를 처리하였다. RNA 세포는 PBS로 1회 세척한 후 RNA 추출을 위해 RNAiso Plus(TAKARA Bio Inc, Shiga, Japan)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진행하였다. RNA는 역전사를 위해 500 ng을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 (Toyobo, Osaka, Japan)를 사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실시간 PCR 반응은 50 ng cDNA, 0.8 μM 각각의 프라이머 (하기 표 2 참조) 및 SYBR green Realtme PCR Master Mix를 함유한 20 μL의 부피에서 수행하였다. 먼저 샘플은 초기 변성을 위해 94℃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전체 40 사이클을 증폭시켰다. 각 사이클에 관한 시간과 온도는 95℃에서 15초 변성, 60℃에서 1분간 어닐링 및 연장으로 이루어졌다. 반응은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Bio-rad)으로 수행하였다. 유전자 발현 수준은 참조 유전자 GAPDH의 발현 수준을 기준으로 표준화하였다. 2-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되는 상대적인 유전자 발현 변화는 대조군 샘플에 비교하여 number-fold 변화로써 기록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약 추출물은 HUVEC 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유도된 VCAM-1의 mRNA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실시예 4> 작약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 유도된 NF-κB 신호전달에 미치는 효과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단핵구의 부착은 활성화된 NF-κB를 통한 VCAM-1의 발현을 통해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NF-κB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작약 추출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약 추출물은 TNF-α에 의해 유도된 NF-κB 구성체인 p65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NF-κB의 활성을 억제하는 IkB의 인산화와 IkB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IkB의 인산화를 조절하는 IKK의 인산화 또한 억제하였다.
<실시예 5> 작약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 유도된 p65의 핵으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NF-κB의 소단위체인 p65는 NF-κB의 전사 활성의 조절에 있어서 주요한 조절 인자이기 때문에, 세포질과 핵 분리, 면역 형광 염색을 통해 p65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p65는 TNF-α의 자극이 주어졌을 때 핵으로 이동하여 전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이에 작약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관내피세포 HUVEC에서 p65의 핵과 세포질을 분리하여 각각을 Lamin B와 α-tubulin으로 동일하게 분리되었는지 확인하여 웨스턴 블랏을 진행한 결과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p65의 이동을 유의적으로 작약 추출물이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UVEC에서의 면역 형광 염색은 TNF-α로 유도된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p65의 전위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실시예 6> 작약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 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활성화된 NF-κB는 TNF-α과 같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화학주성인자인 MCP-1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는 혈관염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관내피세포에 TNF-α 자극이 주어졌을 때 작약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α에 의해 유도된 혈관내피세포 HUVEC에 작약 추출물을 처리한 후 TNF-α와 MCP-1에 대한 RT-PCR을 진행한 결과 작약 추출물은 TNF-α로 유도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TNF-α와 MCP-1의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작약 추출물의 C57BL/6 마우스에서 TNF-α 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in vivo )
혈관의 사이토카인은 혈관염증의 대표적인 마커이기 때문에, 작약 추출물의 TNF-α로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서의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10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3일간 작약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고, 7일간 작약 추출물을 투여 한 1시간 후 TNF-α을 복강 투여하였다. 이후 적출한 마우스 대동맥에서 TNF-α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과 TNF-α를 RT-PCR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혈중 중성지방 개선의 기능성을 인정받은 대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RT-PCR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qPCR 분석 결과 작약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대동맥에서의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α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작약 추출물의 C57BL/6 마우스에서 TNF-α 유도된 F4/80 및 VCAM-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 vivo )
본 발명의 혈관염증을 갖는 동물모델인 TNF-α로 유도된 C57BL/6 마우스 대한 작약 추출물의 적용 시에 실제로 혈관염증으로 인한 혈관 내막에 세포부착 및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10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3일간 작약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고, 7일간 작약 추출물을 투여 한 1시간 후 TNF-α을 복강 투여하였다. 이후 적출한 마우스 대동맥에서 면역형광분석을 실시하였다. TNF-α로 유도된 단핵구의 혈관으로의 침윤은 항체 F4/80, 세포부착에 대한 영향은 항체 VCAM-1의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확인되었다.
대동맥을 가진 마우스 심장을 동결 절편 화합물(FSC 22, Leica Microsystems, USA)을 침투시킨 후, 연속적으로 냉동절편기(LEICA CM1850, Nussloch, Germany)를 이용하여 8 μm 두께로 절단하였다. 세척 후, 절편을 5% 소태아 혈청과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였다. 절편은 1차 항체와 함께 4℃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이후, 세척 진행 후 절편을 2차 항체인 Alexa Fluor 488 염소 항-래트 IgG (H + L)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핵을 표시하기 위해 DAPI(Vector Laboratories)를 갖는 Vectashield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에 처리하였다. 대동맥에서 VCAM-1 및 F4/80 발현 이미지는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얻었으며, 이미지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α는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와의 결합 및 혈관 내막의 침윤을 증가시켰으며, 혈관세포접착분자인 VCAM-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작약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도 8A와 같이 TNF-α로 유도된 대동맥 내막으로의 단핵구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또한, 도 8B와 같이 작약 추출물은 TNF-α로 유도된 대동맥의 VCAM-1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 (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 내 단핵구 세포 유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추출물은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L-6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을 포함하는, 내피 기능 장애(endothelial dysfunction) 또는 이로 인한 혈관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염증성 질환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동맥협착증(arterial stenosis), 혈관재협착증(restenosis), 패혈증(sepsis) 및 혈관염(vascul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20013416A 2022-01-28 2022-01-28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30116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416A KR20230116456A (ko) 2022-01-28 2022-01-28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416A KR20230116456A (ko) 2022-01-28 2022-01-28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456A true KR20230116456A (ko) 2023-08-04

Family

ID=8756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416A KR20230116456A (ko) 2022-01-28 2022-01-28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4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2093B (zh) 用于代谢综合症控制的选自绒毛戴星草和莽吉柿的混合物
US2021040191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ular diseases or for improvement of muscle function containing 3,5-dicaffeoylquinic acid or chrysanthemum extract
US9649351B2 (en)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KR20080015495A (ko) 대사활성을 촉진시키는 탄시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
KR101797813B1 (ko) 감귤 콤부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974116B2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20190090362A (ko)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5064731B2 (ja) 血圧降下剤
JP5730550B2 (ja) Cgrp応答性促進剤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6456A (ko)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579820B1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JP5816426B2 (ja) Cgrp応答性抑制剤
WO2015152684A1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2272425B1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41169B1 (ko)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9616A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62552B1 (ko)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6657A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1579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