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288A -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288A
KR20230115288A KR1020237007540A KR20237007540A KR20230115288A KR 20230115288 A KR20230115288 A KR 20230115288A KR 1020237007540 A KR1020237007540 A KR 1020237007540A KR 20237007540 A KR20237007540 A KR 20237007540A KR 20230115288 A KR20230115288 A KR 20230115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ep
resistant
wall portion
glas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 야마우치
미츠하루 노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5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2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7Forming glass sheets combined with thermal conditioning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는, 용융 유리(GM) 또는 유리 리본(GR)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조정부재(7)와, 온도조정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를 구비한다. 지지부재(8)는, 1200℃에 있어서의 크리프 속도가 2×10-3h-1 이하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크리프성 부재(2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유리 물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이나 커버 유리로 대표되는 각종 분야에 판유리가 이용된다. 이것들의 판유리에는, 표면결함이나 놀에 대하여 엄격한 제품품위가 요구되는 것이 실상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판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운드로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다운드로우법으로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이나 슬롯 다운드로우법이 공지이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단면이 대략 쐐기형의 성형체의 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에 용융 유리를 흘려 넣고, 이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양측에 흘러넘쳐 나온 용융 유리를 성형체의 양측의 측벽부를 따라 유하시키면서, 성형체의 하단부에서 융합 일체화하고, 1매의 유리 리본을 연속 성형한다라는 것이다. 또한, 슬롯 다운드로우법은, 용융 유리가 공급되는 성형체의 밑바닥 벽에 슬롯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를 통해서 용융 유리를 유하시키는 것에 의해 1매의 유리 리본을 연속 성형한다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사용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융 유리를 유리 리본(판유리)으로 성형하는 성형체와, 성형체의 하방에서 유리 리본의 온도를 조정하는 중공상의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와, 온도조정부재의 하방에서 유리 리본을 서냉(徐冷)하는 서냉로를 구비한 것이 있다(동 문헌의 청구항 1 참조).
온도조정부재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는, 금속제의 판상부재로서 구성되는 동시에, 그 중앙부에, 유리 리본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다. 지지부재는, 그 개구부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에 걸쳐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를 가설한 상태로, 이것들을 지지한다(동 문헌의 단락 0037 및 도 1 참조).
상기의 제조 장치에서는, 성형체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을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의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폭방향에 있어서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지도록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고, 두께가 균일한 고품질의 유리 물품(판유리)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공개 2017-11471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제조 장치에서는, 온도조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제)로 되어 있는 점에서, 장기 조업에 의해 지지부재에 크리프 변형이 생겨 버린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가 휘고, 지지부재와 온도조정부재 간에 간극이 형성된다. 그 간극은, 예를 들면,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유리 리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이 경우, 부분적인 간극에 의해 유리 리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해진다. 또한, 간극으로부터 장치 내의 공기가 유출되므로, 유리 리본을 따르는 상승 기류(드래프트)가 증대한다. 그 결과, 온도조정부재에 의한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이 적절히 행하여지지 않고, 유리 물품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을 장기에 걸쳐 정밀하게 행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로와, 성형된 유리 리본을 서냉하는 서냉로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융 유리 또는 상기 유리 리본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조정부재와, 온도조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1200℃에 있어서의 크리프 속도가 2×10-3h-1 이하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크리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리프 속도가 낮은 내크리프성 부재에 의해 지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재의 크리프 변형을 장기에 걸쳐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제의 지지부재를 사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온도조정부재에 의한 용융 유리 또는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을 장기에 걸쳐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유리 물품을 장기에 걸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의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를 병설함으로써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설비 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지지부재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온도조정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내크리프성 부재를 복수 병설함으로써, 지지부재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부재의 크리프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리브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도, 지지부재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부재의 크리프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온도조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성형로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조정부재 및 지지부재를 성형로 내의 고온환경하에 배치했을 경우에도, 지지부재의 크리프 변형을 장기에 걸쳐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조정부재에 의한 용융 유리 또는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을 장기에 걸쳐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는, SiC 세라믹스로 구성해도 좋다. SiC는, 금속과 비교하여, 크리프 속도가 낮고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크리프성 부재의 재료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을 덮는 방풍부재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제조 장치의 내부에서는, 서냉로로부터 성형로로 향하는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이 상승 기류는, 지지부재를 급냉시키고,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지지부재에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의 하면을 방풍부재에 의해 덮음으로써, 지지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풍부재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구조체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방풍부재는, 내열섬유로 구성되는 내열섬유층을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조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승 기류로부터 지지부재를 적합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온도조정을 장기에 걸쳐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3은 온도조정부재 및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온도조정부재 및 지지부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화살표(V-V)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6은 온도조정부재, 지지부재 및 방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온도조정부재, 지지부재 및 방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1)는, 용융 유리(GM)를 유리 리본(GR)으로 성형하는 성형로(2)와, 성형로(2)의 하방에서 유리 리본(GR)을 서냉하는 서냉로(어닐러)(3)와, 성형로(2) 및 서냉로(3)를 덮는 케이싱(4)을 주로 구비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조 장치(1)는, 서냉로(3)의 하방에, 서냉로(3)를 통과한 유리 리본(GR)을 실온 부근까지 냉각하는 냉각실을 구비하고 있다.
성형로(2)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실행 가능한 성형체(5)와, 성형체(5)를 덮는 격벽부(6)와, 성형체(5)의 하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7)와, 온도조정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와, 온도조정부재(7)의 하방에 배치되는 에지 롤러(9)를 구비한다.
성형체(5)는, 장척상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정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10)과, 한 쌍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수직면부(11) 및 경사면부(12)를 구비한다. 한 쌍의 경사면부(12)는, 하방을 향해서 점차 접근함으로써 교차하며, 성형체(5)의 하단부(13)를 구성하고 있다. 성형체(5)의 오버플로우 홈(10)으로부터 넘쳐 나오고, 수직면부(11) 및 경사면부(12)를 타고 유하하는 용융 유리(GM)는, 가열 장치(14)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그 점도가 조정되면서, 성형체(5)의 하단부(13)에서 융합하여 1매의 유리 리본(GR)으로 성형된다.
격벽부(6)는, 머플(muffle)이라고도 불리며, 내부에 수용하는 성형체(5)로부터 넘쳐 나오는 용융 유리(GM)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격벽부(6)는, 그 외면에 가열 장치(14)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장치(14)는, 성형체(5)의 양측의 수직면부(11) 및 경사면부(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장치(14)는, 수직면부(11)에 대향하는 위치와, 경사면부(12)에 대향하는 위치인 상하 이열로, 복수개가 인접 배치되어 있다. 격벽부(6) 및 가열 장치(14)는, 도시하지 않은 부착구를 통해서 케이싱(4)에 유지되어 있다.
온도조정부재(7)는, 격벽부(6)의 내측에서 지지부재(8)에 지지되어 있다. 온도조정부재(7)는, 상하 방향(P)에 있어서 성형체(5)와 서냉로(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냉로(3)에 의한 서냉이 적절히 행하여지도록, 성형체(5)에서 떨어져 에지 롤러(9)를 향해서 하강하는 유리 리본(GR)의 온도를 조정한다. 온도조정부재(7)는, 격벽부(6)와 아울러 머플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으며, 성형로(2)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GR)의 출구로서 머플 도어(muffle door)라고도 불린다.
온도조정부재(7)는,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SiC(탄화 규소) 세라믹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 규소는, 경도가 높고, 내열성이 뛰어나며(분해 온도 2545℃), 열전도율이 높고(소결체의 경우 약 270W/m·K), 열팽창 계수가 낮은(40∼400℃에 있어서 2.0∼6.0×10-6/℃) 등의 특징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조정부재(7)는, 상벽부(15)와, 하벽부(16)와, 상벽부(15)와 하벽부(16)를 연결하는 측벽부(17)와, 측벽부(17)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벽부(15)와 하벽부(16)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주(18)와, 온도조정부재(7)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폐색하는 뚜껑체(19)와, 복수의 지주(18)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20)를 구비한다. 또한, 온도조정부재(7)의 내부에는, 온도제어 유닛(21)이 수용되어 있다.
상벽부(15), 하벽부(16) 및 측벽부(17)는, 유리 리본(GR)의 폭방향(W)을 따라 긴 장방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벽부(15)와 하벽부(16)는 서로 대향하고, 또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며, 측벽부(17)는, 상벽부(15) 및 하벽부(16)에 직교하도록(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벽부(15), 하벽부(16), 및 측벽부(17)는, 긴 변의 치수가 약 500mm 이상 5000mm 이하, 짧은 변의 치수가 약 50mm 이상 300mm 이하, 두께 치수가 약 5mm 이상 10mm 이하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벽부(15), 하벽부(16) 및 측벽부(17)는, 같은 두께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것들의 두께를 다르게 해도 좋다.
측벽부(17)는, 상벽부(15)의 짧은 변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하벽부(16)의 짧은 변에 있어서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지주(18)는, 상벽부(15)의 짧은 변에 있어서의 타단부와, 하벽부(16)의 짧은 변에 있어서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주(18)는, 사각기둥형상 또는 장척의 판상으로 구성되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주(18)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리브(18a,18b)를 갖는다. 한쪽의 리브(18a)는, 지주(18)와 상벽부(15)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쪽의 리브(18b)는, 지주(18)와 하벽부(16)에 일체로 형성된다.
뚜껑체(19)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뚜껑체(19)는, SiC 세라믹스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및 기타 재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0)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개구부(20)는, 온도조정부재(7)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온도조정부재(7)의 제조 방법에는, 틀 성형이나 압출 성형 등의 임의의 성형 방법 및, 임의의 절단, 구멍 뚫기 기법을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조정부재(7)의 내부에, 각 개구부(20)에 대응해서 온도제어 유닛(21)이 배치된다. 온도제어 유닛(21)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기(히터)(22)와, 가열기(22)를 지지하는 내화물(지지체)(23)을 갖는다. 또한, 온도제어 유닛(21)은, 가열기(22)를 대신해서 냉각기를 가져도 좋다.
가열기(22)는, 그 선단부가 측벽부(17)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내화물(23)은, 가열기(22)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이 가열기(2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내화물(23)은, 가열기(22)가 온도조정부재(7)의 상벽부(15), 하벽부(16), 측벽부(17) 중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이것을 지지한다. 또한, 내화물(23)은, 온도조정부재(7)의 개구부(20)를 폐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온도조정부재(7)의 내부에는, 내화물(23), 상벽부(15), 하벽부(16) 및 측벽부(17)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이 형성되며, 가열기(22)의 단부가 이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조정부재(7)의 내부에는, 온도제어 유닛(21)을 지지하는 내화물(23) 사이에, 내화 블랭킷(24)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화 블랭킷(24)은, 지주(18)와 동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화 블랭킷(24)은, 상벽부(15), 하벽부(16), 측벽부(17) 및 지주(18)에 접촉되어 있다.
내화 블랭킷(24)은, 온도조정부재(7)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존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리본(GR)의 온도조정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7)의 사이를 통과하는 유리 리본(GR)은, 그 폭방향(W)에 있어서의 온도가 똑같지 않고, 온도분포에 치우침이 있다. 이 온도분포의 치우침을 방치하면, 비교적 고온의 부위의 두께가 증대하여, 비교적 저온의 부위와의 사이에서 두께가 다른 상태가 된다. 그렇게 되면, 유리 리본(GR)에는, 그 폭방향(W)을 따라 판두께가 달라지는 편육(偏肉)이 생겨 버린다. 유리 리본(GR)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 편육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내화 블랭킷(24)을 사용함으로써, 온도조정부재(7)를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존으로 구분짓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존에 온도제어 유닛(21)을 배치함으로써, 존마다 독립된 온도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리본(GR)의 편육을 방지하고, 그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부재(8)는,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7)를 개별로 지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는, 1200℃에 있어서의 크리프 속도가 2×10-3h-1 이하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크리프성 부재(25)를 구비한다. 내크리프성 부재(2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C 세라믹스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SiC 세라믹스의 크리프 속도는, 이 SiC 세라믹스에 대한 크리프 곡선을 측정하고, 그 정상 크리프역에 있어서의 경사를 산출함으로써 특정된다. 크리프 곡선은, JIS R 1612 파인 세라믹스의 굽힘 크리프 시험 방법에 준거해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 때, 시험 온도는, 1200℃로 한다.
지지부재(8)는, 복수(예를 들면 2개∼10개)의 내크리프성 부재(25)를 병설함으로써 구성된다. 각 내크리프성 부재(25)는, 예를 들면 접착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크리프성 부재(25)는, 직사각형상(예를 들면 장방형, 정방형 등)의 단면을 갖고, 장척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내크리프성 부재(25)는, 중공상(관상 또는 통상)으로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실상(中實狀)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는, 한 쌍의 종벽부(25a, 25b)와, 종벽부(25a, 25b)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벽부(25c)와, 종벽부(25a, 25b)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벽부(25d)를 갖는다. 종벽부(25a, 25b), 상벽부(25c), 및 하벽부(25d)는, 압출 성형 등의 성형법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병설되어 있는 복수의 내크리프성 부재(25)는,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의 종벽부(25a, 25b)끼리를 접착재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이하, 복수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 접착재에 의해 접합되는 부분(26)을 「접합부」라고 한다.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된 종벽부(25a, 25b)는, 중공상의 지지부재(8)의 내부에 있어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복수의 내크리프성 부재(25)는, 같은 형상, 같은 치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복수의 내크리프성 부재(25)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상벽부(25c)의 상면끼리가 평평하고, 하벽부(25d)의 하면끼리가 평평하도록, 접합부(26)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는 케이싱(4)에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7) 및 한 쌍의 지지부재(8)의 사이에는, 유리 리본(GR)이 통과 가능한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다.
에지 롤러(9)는, 유리 리본(GR)의 수축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고, 냉각 구조를 갖는다. 에지 롤러(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R)의 폭방향(W)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협지(挾持)하도록 두 쌍의 롤러쌍으로서 구성된다.
서냉로(3)는, 온도조정부재(7)를 거쳐 하강하는 유리 리본(GR)을 서냉해서 그 내부 스트레인을 제거한다. 다시 말해, 서냉로(3) 내는, 소정의 온도 구배를 갖도록 온도설정이 이루어져 있어, 유리 리본(GR)이 하강함에 따라서 서서히 온도가 저하하고, 이것에 의해 유리 리본(GR)의 내부 스트레인이 제거되게 된다. 서냉로(3)는, 내부에 배치된 상하 복수단의 안내 롤러(28)를 통해서 유리 리본(GR)을 연직하방으로 안내한다.
케이싱(4)은, 상하 방향(P)을 따라 긴 중공 구조체로서 구성된다. 케이싱(4)은, 그 상부에 있어서 성형로(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4)의 중도부에서는, 그 측벽부가 서냉로(3)를 구획하고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해서 유리 리본(GR)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조 방법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유리 리본(GR)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 공정후에 유리 리본(GR)을 서냉하는 서냉 공정을 주로 구비한다.
성형 공정에서는, 성형로(2)의 성형체(5)에 공급된 용융 유리(GM)가 오버플로우 홈(10)으로부터 넘쳐 나와, 수직면부(11) 및 경사면부(12)를 타고 유하한다. 그리고, 용융 유리(GM)는, 성형체(5)의 하단부(13)에서 융합 일체화해서 유리 리본(GR)으로 성형된다.
또한, 성형 공정에서는, 성형체(5)에서 떨어져서 하강해 온 유리 리본(GR)이 한 쌍의 온도조정부재(7)의 사이의 공간(27)을 통과한다. 온도조정부재(7)는,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제어 유닛(21)에 의해, 유리 리본(GR)의 폭방향(W)에 있어서의 온도가 일정해지도록 조정한다. 또한, 온도조정부재(7)는, 측벽부(17)로부터 유리 리본(GR)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이 유리 리본(GR)의 온도를 서냉점 부근까지 저하시킨다.
또한, 성형 공정에서는, 에지 롤러(9)에 의해 유리 리본(GR)의 폭방향(W)에 있어서의 각 단부가 협지되어, 에지 롤러(9)의 회전에 따라 유리 리본(GR)이 하방으로 뽑아진다. 또한, 에지 롤러(9)로 유리 리본(GR)의 폭방향(W)에 있어서의 각 단부가 냉각되는 것에 의해, 유리 리본(GR)의 폭방향의 수축이 억제된다.
서냉 공정에서는, 에지 롤러(9)를 통과한 유리 리본(GR)이 서냉로(3)를 통과한다. 이 때, 유리 리본(GR)은, 안내 롤러(28)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면서 소정의 온도 구배에 따라 서냉되어, 그 내부 스트레인이 제거된다.
그 후, 유리 리본(GR)은, 냉각실에서 자연냉각에 의해 추가로 냉각되고(냉각 공정), 소정의 치수로 절단되며(절단 공정), 또는, 절단되지 않고 롤상으로 권취된다(권취 공정).
도 6 내지 도 13은,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는,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I형상 또는 H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내크리프성 부재(25)는, 하나의 종벽부(25a)와, 상벽부(25c)와, 하벽부(25d)를 갖는다.
종벽부(25a)의 상단부는, 상벽부(25c)의 중도부와 일체화되어 있다. 종벽부(25a)의 하단부는, 하벽부(25d)의 중도부와 일체화되어 있다.
상벽부(25c)는, 종벽부(25a)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25c1, 25c2)를 갖는다. 한 쌍의 돌출부(25c1, 25c2)는, 제 1 돌출부(25c1)와, 제 1 돌출부(25c1)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25c2)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부(25c1)의 끝면은, 다른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2 돌출부(25c2)의 끝면과 접합된다. 다시 말해, 이 예에서는,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 중, 한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25c1)의 끝면과, 다른 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2 돌출부(25c2)의 끝면을 접착재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접합부(26)가 형성된다.
하벽부(25d)는, 종벽부(25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25d1, 25d2)를 갖는다. 한 쌍의 돌출부(25d1, 25d2)는, 제 1 돌출부(25d1)와, 제 1 돌출부(25d1)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25d2)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부(25d1)의 끝면은, 다른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2 돌출부(25d2)의 끝면과 접합된다. 다시 말해, 이 예에서는,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 중, 한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25d1)의 끝면과, 다른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2 돌출부(25d2)에 있어서의 끝면이 접착재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접합부(26)가 형성된다.
각 내크리프성 부재(25)의 상벽부(25c)끼리 및 하벽부(25d)끼리를 접합한 상태에서는, 종벽부(25a)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8)의 내부에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는,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홈형상으로 구성된다. 내크리프성 부재(25)는, 하나의 종벽부(25a)와, 종벽부(25a)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상벽부(25c)와, 종벽부(25a)의 하단부로부터 상벽부(25c)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하벽부(25d)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 중, 한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상벽부(25c) 및 하벽부(25d)와, 다른 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종벽부(25a)를 접합부(26)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복수의 내크리프성 부재(25)를 접합하면, 종벽부(25a)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8)의 내부에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는,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단, 이 예에서는,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 중, 한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상벽부(25c)(돌출부)의 끝면과, 다른 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상벽부(25c)(돌출부)의 끝면이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 중, 한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하벽부(25d)(돌출부)의 끝면과, 다른 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하벽부(25d)(돌출부)의 끝면이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 중, 한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종벽부(25a)와, 다른 쪽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종벽부(25a)가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각 내크리프성 부재(25)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된 한 쌍의 종벽부(25a)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8)의 내부에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A, 25B)는, L자상으로 구성되는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 및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를 포함한다.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리브로서의 하나의 종벽부(25a)와, 하나의 하벽부(25d)를 갖는다.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는, 리브로서의 하나의 종벽부(25a)와, 하나의 상벽부(25c)를 갖는다.
지지부재(8)는,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하벽부(25d)와,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의 종벽부(25a)를 접합부(26)에 의해 접합하고,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종벽부(25a)와,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의 상벽부(25c)를 접합부(26)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중공상으로 구성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A~25D)는,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 내지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를 포함한다.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종벽부(25a)와, 하나의 하벽부(25d)를 갖는다.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는,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종벽부(25a)와, 하나의 상벽부(25c)를 갖는다.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 및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8)는, 아래와 같이 각 내크리프성 부재(25A~25D)를 접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하벽부(25d)와,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의 종벽부(25a)를 접합부(26)에 의해 접합한다.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종벽부(25a)와,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의 상벽부(25c)를 접합부(26)에 의해 접합한다. 또한,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종벽부(25a) 및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의 상벽부(25c)를, 접합부(26)에 의해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에 접합한다. 또한,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하벽부(25d) 및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의 종벽부(25a)를, 접합부(26)에 의해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에 접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함으로써,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종벽부(25a) 및 하벽부(25d)) 및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종벽부(25a) 및 상벽부(25c))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8)의 내부에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A~25D)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 내지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를 포함한다. 이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는, 복수(4개)의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와, 두 개의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와, 하나의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와, 하나의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를 구비하지만, 각 내크리프성 부재(25A~25D)의 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복수의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그 상단부가,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의 하면의 중도부에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각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그 하단부가,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의 상면의 중도부에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두 개의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는, 지지부재(8)의 단부를 구성하도록,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의 단부 및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의 단부에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는,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는,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내크리프성 부재(25A~25D)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각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8)의 내부에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는, 하나의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크리프성 부재(25)는, 리브로서의 종벽부(25a)와, 상벽부(25c)와, 하벽부(25d)를 갖는다. 내크리프성 부재(25)는, 종벽부(25a)와 상벽부(25c)의 사이, 및 종벽부(25a)와 하벽부(25d)의 사이에 접합부(26)를 갖지 않는다. 내크리프성 부재(25)는, 압출 성형 등의 성형법을 사용하여, 종벽부(25a)와, 상벽부(25c)와, 하벽부(25d)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지부재(8)를 구성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A~25D)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와, 판상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와, 판상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와, 판상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 및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는, 생략해도 좋다.
각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원통상으로 구성되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통상 및 기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외주면의 일부끼리가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두 개의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는, 병설된 복수의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에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각 제 2 내크리프성 부재(25B)는,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의 단부 및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의 단부에, 접합부(26)에 의해 접합된다.
제 3 내크리프성 부재(25C)는, 각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상부에 접합부(26)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제 4 내크리프성 부재(25D)는, 각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의 하부에 접합부(26)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각 내크리프성 부재(25A~25D)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각 제 1 내크리프성 부재(25A)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8)의 내부에서 리브로서 기능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온도조정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를 1200℃에 있어서의 크리프 속도가 2×10-3h-1 이하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이 지지부재(8)의 크리프 변형을 장기에 걸쳐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8)과 온도조정부재(7)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 장치(1)는, 금속제의 지지부재를 사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유리 리본(GR)의 온도조정을 장기에 걸쳐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유리 물품을 장기에 걸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는, 지지부재(8)의 하면을 덮는 방풍부재(29)를 구비한다. 방풍부재(29)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구조체(3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방풍부재(29)의 구조체(30)는, 1매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풍부재(29)의 구조체(30)는, 복수 장의 금속판을 적층시킨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 구조체(30)에 사용되는 금속판은, 예를 들면 니켈기 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조체(30)는, 질화 규소계, 알루미나계 등의 세라믹스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체(30)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케이싱(4)에 지지되어 있다.
제조 장치(1)에 있어서의 케이싱(4)의 내부에서는, 서냉로(3)로부터 성형로(2)로 향하는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이 상승 기류가 지지부재(8)에 접촉함으로써, 지지부재(8)를 급냉시켜, 열충격에 의해 지지부재(8)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8)의 하면을 방풍부재(29)에 의해 덮음으로써, 상승 기류에 의한 지지부재(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방풍부재의 구성이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방풍부재(29)는, 중공상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체(30)를 구비한다. 구조체(30)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금속판을 용접함으로써 중공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방풍부재의 구성이 도 17 및 도 1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방풍부재(29)는,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체(30) 외, 내열섬유로 구성되는 내열섬유층(31)을 구비한다. 내열섬유층(31)은, 예를 들면 알루미나계, 실리카계 등의 단열 울에 의해 구성된다.
내열섬유층(31)은, 구조체(30)가 크리프 변형했을 경우에, 이 구조체(30)와 지지부재(8)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체(30)의 상면과 지지부재(8)의 하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방풍부재의 구성이 도 19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방풍부재(29)는, 1매의 금속판에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또는, 복수의 금속판을 용접함으로써 구성되는 구조체(30)를 구비한다.
방풍부재(29)의 구조체(30)는, 지지부재(8)의 하면을 피복하는 판상의 제 1 피복부(32)와, 가장 내측(공간(27)측)에 위치하는 내크리프성 부재(25)의 측부를 피복하는 판상의 제 2 피복부(33)를 구비한다. 방풍부재(29)는, 도 19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8)와 구조체(30)의 사이에 내열섬유층(31)을 구비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방풍부재의 구성이 도 19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방풍부재(29)는, 복수의 금속판을 용접하는 것 등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체(30)를 갖는다. 방풍부재(29)의 구조체(30)는, 지지부재(8) 하면을 피복하는 판상의 제 1 피복부(32)와, 제 1 피복부(32)의 하방에 위치하는 판상의 제 2 피복부(33)와, 제 1 피복부(32)와 제 2 피복부(33)를 연결하는 판상의 연결부(34)(리브)를 구비한다.
방풍부재(29)에 있어서의 구조체(30)는, 제 1 피복부(32)와 제 2 피복부(33)의 이중 구조에 의해, 지지부재(8)를 서냉로(3)로부터의 상승 기류로부터 적합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풍부재(29)의 구조체(30)는,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부(34)에 의해 제 1 피복부(32)와 제 2 피복부(33)를 연결함으로써 보강되어 있어,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방풍부재의 구성이 도 19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방풍부재(29)의 구조체(30)는, 중공상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며, 지지부재(8)의 하면 중에서 유리 리본(GR)이 통과 가능한 공간(27)의 주변영역을 피복한다. 방풍부재(29)의 내열섬유층(31)은, 그 일단부(31a)가 케이싱(4)에 지지되고 있으며, 그 타단부(3lb)가 구조체(30)에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방풍부재(29)의 구조는, 도 16 내지 도 21의 각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유리 리본(GR)을 제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슬롯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유리 리본(GR)을 제조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온도조정부재(7)의 하방에 설치된 에지 롤러(9)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지 롤러(9)는, 온도조정부재(7)의 상방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는, 에지 롤러(9)는, 온도조정부재(7)나 지지부재(8)의 측방에 설치되어도 좋다.
온도조정부재(7) 및 지지부재(8)는, 서냉로(3)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온도조정부재(7) 및 지지부재(8)는, 성형체(5)의 근방에 배치되어, 용융 유리(GM)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내크리프성 부재(25)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는, 케이싱(4)까지 신장되어, 케이싱(4)에 지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온도조정부재(7)의 길이(L2)에 대하여 내크리프성 부재(25)의 길이(L1)가 L2≤L1을 만족하면(온도조정부재(7)의 길이방향의 전장을 내크리프성 부재(25)가 지지하면), 내크리프성 부재(25)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가 케이싱(4)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 경우, 지지부재(8)는, 내크리프성 부재(25)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를 지지하는 단부 지지부재를 구비해도 좋다. 이 단부 지지부재의 제 1 단부는 내크리프성 부재(25)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지지하고, 단부 지지부재의 제 2 단부는 케이싱(4)에 지지된다. 단부 지지부재의 재질로는, 내크리프성 부재(25)와 같은 SiC 세라믹스나, 금속(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을 채용할 수 있다.
방풍부재(29)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구조체(30)를 구비할 경우, 구조체(30)의 열팽창에 의한 지지부재(8)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구조체(30)가 냉각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기구로서, 예를 들면 냉각액이나 냉각 가스가 유통하는 냉각 배관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상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체(30)를 사용할 경우, 냉각 기구는, 구조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유리 리본(GR)과 대향하는 부위를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30) 중 유리 리본(GR)과 대향하는 부위는, 유리 리본(GR)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고온이 되어 열팽창하기 쉬워, 냉각 기구에 의해 냉각하면, 지지부재(8)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현저해진다. 또한, 냉각 기구에 의해 유리 리본(GR)과 대향하는 부위를 냉각함과 함께 유리 리본(GR)도 냉각할 수 있다. 냉각 기구에 의해 유리 리본(GR)과 대향하는 부위와 함께 유리 리본(GR)을 냉각할 경우, 유리 리본(GR)의 서냉점을 상회하는 온도역에 방풍부재(29)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2: 성형로
3: 서냉로
7: 온도조정부재
8: 지지부재
25: 내크리프성 부재
25a: 종벽부(리브)
25b: 종벽부(리브)
29: 방풍부재
30: 구조체
31: 내열섬유층
GM: 용융 유리
GR: 유리 리본

Claims (9)

  1.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로와, 성형된 상기 유리 리본을 서냉하는 서냉로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용융 유리 또는 상기 유리 리본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조정부재와, 상기 온도조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1200℃에 있어서의 크리프 속도가 2×10-3h-1 이하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크리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의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를 병설함으로써 구성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리브를 갖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성형로 내에 배치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크리프성 부재는, SiC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을 덮는 방풍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부재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부재는, 내열섬유로 구성되는 내열섬유층을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KR1020237007540A 2020-12-17 2021-12-13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KR20230115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9375 2020-12-17
JP2020209375 2020-12-17
PCT/JP2021/045804 WO2022131205A1 (ja) 2020-12-17 2021-12-13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288A true KR20230115288A (ko) 2023-08-02

Family

ID=8205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540A KR20230115288A (ko) 2020-12-17 2021-12-13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131205A1 (ko)
KR (1) KR20230115288A (ko)
CN (1) CN116457312A (ko)
WO (1) WO20221312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4711A (ja) 2015-12-22 2017-06-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74778B (zh) * 2005-12-15 2012-12-12 康宁股份有限公司 溢流下拉玻璃形成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4711A (ja) 2015-12-22 2017-06-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31205A1 (ko) 2022-06-23
CN116457312A (zh) 2023-07-18
WO2022131205A1 (ja)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356B1 (ko) 판유리 제조장치 및 판유리 제조방법
US95560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inclusions in a glass making process
US8966940B2 (en) Process for producing glass bar
US115659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ickness of glass sheet
US882669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sheet
TWI414493B (zh) Glass plate making device and glass plate cooling method
TWI727124B (zh) 玻璃製造方法、及玻璃供應管的預熱方法
TWI564256B (zh) 用於玻璃製作製程中熱脫離形成主體的設備
US2013000820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sheet
KR101865977B1 (ko) 유리 성형용 성형형, 유리 성형 장치, 유리 성형 방법 및 포토마스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25004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 제조 장치
KR20230115288A (ko)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JP2604080B2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
KR20200084900A (ko) 열 차폐부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들
JP6597953B2 (ja)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WO2021256176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19497A (ko) 플로트 유리의 제조 장치
JP2015098427A (ja)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