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932A -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932A
KR20230113932A KR1020220009803A KR20220009803A KR20230113932A KR 20230113932 A KR20230113932 A KR 20230113932A KR 1020220009803 A KR1020220009803 A KR 1020220009803A KR 20220009803 A KR20220009803 A KR 20220009803A KR 20230113932 A KR20230113932 A KR 2023011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oad
cooking appliance
base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
고병우
김춘성
김호영
홍제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932A/ko
Publication of KR2023011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캐비티의 하부면에 대면하여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하방향으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가 결합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 및 상기 외력에 대한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반력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상기 외력과 상기 반력에 의한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PPARATUS FOR MEASUREMENTING LOAD IN A COOKING DEVICE}
본 개시(disclosure)는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전기를 사용하여 고주파(또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복사열 또는 대류 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여 음식 또는 조리물(이하 “조리물”로 통칭함)을 조리할 수 있는 가전제품일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대표적인 예로, 전자레인지가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조리기기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식 외에 복사열을 이용하거나, 또는 대류열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식을 겸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기기는 다양한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따라 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기기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데우거나, 그릴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굽거나, 컨벡션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익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주파, 복사열 또는 대류 열과 같이 다양한 가열원을 이용한 조리법을 제공하는 조리기기는 보다 정확하면서 상세한 조립법을 제공하기 위해, 조리물의 종류 또는 고체, 액체 또는 냉동과 같은 상태 외에 조리물의 크기 또는 부피 등을 예측할 수 있는 무게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트레이에 올려진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에 대면하여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하방향으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가 결합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 및 상기 외력에 대한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반력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상기 외력과 상기 반력에 의한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바닥에서 하중을 측정하는 어셈블리 장치는, 조리물을 수용하는 캐비티의 바닥에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체결된 상부 브라켓과, 상기 조리기기가 설치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가 양측에 체결된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중간 부근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중간 부근 사이에서 상부면이 상기 상부 브라켓에 체결되고, 하부면이 상기 하부 브라켓에 체결된 로드 셀을 포함하며, 일측 끝단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 브라켓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에서 신뢰성 있는 조리물의 무게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측정을 위하여 마련된 센서가 조리 시의 열로 인하여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하중 측정 어셈블리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의 (c)는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하중 측정 어셈블리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7의 (b)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의 (c)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장착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장착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중 측정 어셈블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냉각 어셈블리의 배치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열 전달 방지를 위한 열 차단 플레이트의 배치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할 조리대상(이하 “조리물”이라 칭함)을 수용하는 캐비티(4), 상기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기기(1)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들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6), 상기 캐비티(4)의 내측 바닥에 배치되어 올려진 조리물을 회전하도록 구성된 트레이 어셈블리(tray assembly)(10) 또는 상기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4)를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6)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작 모드 또는 조리물로 인해 측정된 무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마이크로파, 복사열 또는 열풍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전제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1)는 전자레인지 모드, 오븐 모드 또는 에어플라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리기기(1)의 캐비티(4)의 내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히터 또는 열풍을 발생하는 컨벡션 히터와 같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의 내부 후면에는 상기 캐비티(4)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는 단열재(미도시)에 의해 감싸져 외부와의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예: 도 1의 조리 기기(1))에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사시도이며, 도 4의 (c)는 도 2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배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를 구성하는 캐비티(4)의 바닥에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어셈블리(예: 도 1의 트레이 어셈블리(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의 바닥면 아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트레이가 설치될 캐비티(4)의 바닥면의 양단(예: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의 단부에서 복수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캐비티(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상기 캐비티(40)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나사 홀 및/또는 서로 끼워지거나 걸리는 형상을 갖는 격벽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는 공간(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70)은 조리 시에 상기 캐비티(4) 내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70)에는, 트레이 어셈블리(10)의 일부 구성(예: 트레이 회전 모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캐비티(4) 및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통해 전달되는 총 하중 (또는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외력 및 상기 외력에 대한 반력에 의해 총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가 결합될 수 있고, 하방으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일 수 있고, 상기 반력은 상기 외력에 대하여 상기 바닥 지지부재(60)가 받치는 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반력에 의해 바닥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총 하중을 손실 또는 오차 없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전달되는 총 하중은 상방으로 배치된 조리기기(1)의 구성들(예: 하우징(2), 캐비티(4), 도어 어셈블리(8), 트레이 어셈블리(10), 베이스 플레이트(20) 등)에 의해 작용되는 기본 하중 및 캐비티(4) 내부에 놓인 조리물의 무게로 인한 가변 하중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예를 들어, 기본 하중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의해 측정된 총 하중으로부터 조리물로 인한 하중, 즉 조리물의 무게를 예측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조리물의 무게를 전면 패널(예: 도 1의 전면 패널(6))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조리물의 무게를 고려한 조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중'이라는 용어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가해지는 '총 하중'의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조리기기(1)가 설치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6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예들 들어, 제1체결 부재(210, 220, 230, 240, 250, 260)에 의해 상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결합될 수 있고, 제4체결 부재(270)에 의해 하방으로 바닥 지지부재(6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 부재(210, 220, 230, 240, 250, 260)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마련된 복수의 제1a체결 홀(211, 221, 231, 241, 251, 261),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마련된 복수의 제1b체결 홀(213, 223, 233, 243, 253, 263) 및 복수의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은 상기 복수의 제1a체결 홀(211, 221, 231, 241, 251, 261)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1b체결 홀(213, 223, 233, 243, 253, 263)에 끼워지거나, 상기 복수의 제1b체결 홀(213, 223, 233, 243, 253, 263)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1a체결 홀(211, 221, 231, 241, 251, 261)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a체결 홀(211, 221, 231, 241, 251, 261)과 상기 복수의 제1b체결 홀(213, 223, 233, 243, 253, 263)은, 예를 들어, 나사 홀일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은, 예를 들어,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제4체결 부재(270)는, 예를 들어,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마련된 제4a체결 홀(271) 및 바닥 지지부재(60)에 마련된 제4b체결 홀(273) 및 제4체결 부품(2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체결 부품(275)은 상기 제4b체결 홀(273)을 통과하여 상기 제4a체결 홀(271)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4a체결 홀(271)과 상기 제4체결 홀(273)은, 예를 들어, 나사 홀일 수 있고, 상기 제4체결 부품(275)은, 예를 들어, 나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바닥 지지부재(60) 위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 베이스 플레이트(20) 및 캐비티(4)는 적층되어 제1체결 부재(210, 220, 230, 240, 250, 260) 또는 제4체결 부재(270)에 의해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상부 브라켓(30), 로드 셀(40) 또는 하부 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브라켓(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상기 상부 브라켓(30)을 체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브라켓(50)은 대략 가운데 부분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 셀(40)은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과 하부 브라켓(50)의 상부면이 대면하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서 로드 셀(40)은 일면이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을 향하고, 타면이 하부 브라켓(50)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40)의 높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상기 하부 브라켓(50)와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와 상기 하부 브라켓(50) 사이가 이격 거리는 상기 로드 셀(40)의 높이보다는 클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와 상기 하부 브라켓(50)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상부 브라켓(3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외력이 상기 하부 브라켓(5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드 셀(40)이 상기 외력에 따른 압력을 오차 없이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예를 들어, 캐비티(4)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2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 및 상기 외력에 대한 바닥 지지부재(60)의 반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40)은 상기 상부 브라켓(30)과 상기 하부 브라켓(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40)은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1끼움부(620)와 상기 하부 브라켓(50)의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마련된 제2끼움부(6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드 셀(40)의 일측(예: 우측 단부)이 상기 제1끼움부(620)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로드 셀(40)의 타측(예: 좌측 단부)이 상기 제2끼움부(63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로드 셀(40)은,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브라켓(30)과 상기 제1끼움부(620)의 일면(예: 상부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체결되는 제2체결 부재(3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40)은,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브라켓(50)과 상기 제2끼움부(630)의 일면(예: 하부면)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체결되는 제3체결 부재(3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 부재(310)는 상기 로드 셀(4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끼움부(620)의 타면(예: 하부면)에 근접하여 도달하거나 더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체결 부재(320)는 상기 로드 셀(4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끼움부(630)의 타면(예: 상부면)에 근접하여 도달하거나 더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체결 부재(310)는, 예를 들어, 상부 브라켓(3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2a체결 홀(311), 제1끼움부(620)의 일면(예: 상부면)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2b체결 홀(313), 로드 셀(4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2c체결 홀(315)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체결 부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 부품(317)은 상기 제2a체결 홀(311)과 상기 제2b체결 홀(313)을 통과하여 상기 제2c체결 홀(315)에 끼워지거나, 상기 제2a체결 홀(311), 상기 제2b체결 홀(313) 및 상기 제2c체결 홀(315)을 통과하여 상기 제2끼움부(630)의 타면(예: 하부면)에 마련된 제2d체결 홀(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a체결 홀(311), 상기 제2b체결 홀(313) 및 상기 제2c체결 홀(315) 또는 제2d체결 홀은, 예를 들어, 나사 홀일 수 있고, 상기 제2체결 부품(317)은, 예를 들어,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제3체결 부재(320)는, 예를 들어, 하부 브라켓(5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3a체결 홀(321), 제2끼움부(630)의 일면(예: 하부면)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3b체결 홀(323), 로드 셀(4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3c체결 홀(325)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체결 부품(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 부품(327)은 상기 제3a체결 홀(321)과 상기 제3b체결 홀(323)을 통과하여 상기 제3c체결 홀(325)에 끼워지거나, 상기 제3a체결 홀(321), 상기 제3b체결 홀(323) 및 상기 제3c체결 홀(325)을 통과하여 상기 제1끼움부(620)의 타면(예: 하부면)에 마련된 제3d체결 홀(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a체결 홀(321), 상기 제3b체결 홀(323) 및 상기 제3c체결 홀(325) 또는 제3d체결 홀은, 예를 들어, 나사 홀일 수 있고, 상기 제3체결 부품(327)은, 예를 들어, 나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50) 위로 로드 셀(40) 및 상부 브라켓(30)은 제2체결 부재(310) 또는 제3체결 부재(320)에 의해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50)은 상부면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측이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스토퍼(예: 제5체결 부재(330), 제6체결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예를 들어, 제5체결 홀(331)과 제5체결 부품(333)을 포함하는 제5체결 부재(330) 및 제6체결 홀(341)과 제6체결 부품(343)을 포함하는 제6체결 부재(34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5체결 홀(331)은 상기 하부 브라켓(50)에서 왼쪽 바닥 지지부재(60)를 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4a체결 홀(271)과 제2끼움부(63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체결 홀(341)은 상기 하부 브라켓(50)에서 오른쪽 바닥 지지부재(60)를 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4b체결 홀(271)의 안쪽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체결 홀(331)에는 제5체결 부품(333)이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6체결 홀(341)에는 제6체결 부품(343)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5체결 홀(331)에 체결된 제5체결 부품(333)의 일단은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에 도달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6체결 홀(341)에 체결된 제6체결 부품(343)의 일단은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에 도달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상기 제5체결 부재(330) 및 상기 제6체결 부재(340)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상부 브라켓(30)의 눌림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예상하지 못한 크기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 브라켓(30)은 제5체결 부재(330) 및 제6체결 부재(340)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눌림을 멈출 수 있다. 이는, 로드 셀(40)에 한계 하중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해하여, 상기 로드 셀(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50)에 마련된 제5체결 부품(333)의 일단에 대면하는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 위치에는 제1돌출부(611)가 마련될 수 있고, 하부 브라켓(50)에 마련된 제6체결 부품(343)의 일단에 대면하는 상부 브라켓(30)의 하부면 위치에는 제2돌출부(6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611)와 상기 제2돌출부(613)는 상부 브라켓(30)이 임계 수준 이상으로 눌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에서, 상기 임계 수준 및/또는 제5체결 부품(333) 및 제6체결 부품(343)의 상부 브라켓(30) 방향으로 도출된 높이를 고려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50)은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측이 제1끼움부(620)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스토퍼(예: 제7체결 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예를 들어, 제7체결 홀(281)과 제7체결 부품(283)을 포함하는 제7체결 부재(28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7체결 홀(281)은 상기 하부 브라켓(50)에서 상기 제1끼움부(620)의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7체결 홀(281)에는 제7체결 부품(283)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7체결 홀(281)에 체결된 제7체결 부품(283)의 일단은 제1끼움부(620)의 하부면에 도달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상기 제7체결 부재(280)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상부 브라켓(30)의 눌림에 의한 로드 셀(40)이 하방으로 눌림이 임계 수준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예상하지 못한 크기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로드 셀(40)은 제7체결 부재(280)의 상방으로 돌출된 일단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눌림을 멈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50)의 하부면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 홀들(631, 63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들(631, 633)은 상부 브라켓(30), 로드 셀(40), 하부 브라켓(50) 및 바닥 지지부재(60)를 결합하여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를 조립한 후, 상기 조립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을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체결 홀들(631, 633)의 용도를 갖는 체결 홀들을 상부 브라켓(30)에 마련한다면,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을 조립한 후에는 하부 브라켓(50)이 상부 브라켓(30)에 마련된 체결 홀들을 가림으로 인하여,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를 조립한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결합할 수 없을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예: 도 1의 조리 기기(1))에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단면도이며, 도 7의 (a)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7의 (c)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의 다른 실시예로 제안된 구조는 앞서 상세히 설명된 도 2 내지 도 4에서의 일 실시예로 제안된 구조와 대부분이 동일하나, 단지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포함된 상부 브라켓(30)을 체결하는 제1체결 부재(210, 220, 230, 240, 250, 260)에 있어서,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이 삽입되는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이 상방으로 삽입되어 제1b체결 홀(213, 223, 233, 243, 253, 263)을 통과하여 제1a체결 홀(211, 221, 231, 241, 251, 261)에 체결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이 하방으로 삽입되어 제1a체결 홀(211, 221, 231, 241, 251, 261)을 통과하여 제1b체결 홀(213, 223, 233, 243, 253, 263)에 체결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 경우, 제1체결 부품(215, 225, 235, 245, 255, 265)이 하방으로 체결됨에 따라, 체결 작업 시에 다른 구성(예: 하부 브라켓(50))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으므로,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5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50)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장착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을 도어 어셈블리(예: 도 1의 도어 어셈블리(8))가 전면에 오도록 놓을 때,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면에서 좌/우측 에지 부근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 참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을 도어 어셈블리(예: 도 1의 도어 어셈블리(8))가 전면에 오도록 놓을 때,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부면에서 앞/뒤측 에지 부근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 참조).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장착된 위치를 특정하지 않고 설명하였으나, 그 설명된 바가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장착된 위치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앞/뒤측 에지 부근 또는 좌/우측 에지 부근 어디에 장착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장착된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의 A-A'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는 하우징(2)의 전면(예: 도어 어셈블리(8))가 마련된 면)을 기준으로 양측(예: 좌측 및 우측) 에지 부근에서 앞뒤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포함된 상부 브라켓(30), 로드 셀(40) 또는 하부 브라켓(50)은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재(60) 사이에 순차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포함된 상부 브라켓(30), 로드 셀(40) 또는 하부 브라켓(50)의 상세 결합 관계는, 이미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예: 도 1의 조리기기(1))에서 냉각 어셈블리(1200)의 배치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어셈블리(1200)는 냉각 팬(1210), 토출구(1211), 흡입 유로(1220) 또는 흡입구(1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1210)은 캐비티(4)의 바닥면과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 팬(1210)의 흡입구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단 방향으로 마련된 경우, 상기 냉각 팬(1210)의 하단부에 마련된 흡입구에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영역이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각 팬(1210)은 하단부에 마련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외부 공기를 하중 측정 어셈블리(80) 방향으로 마련된 토출구(1211)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를 구성하는 로드 셀(예: 도 2의 로드 셀(4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냉각 팬(1210)의 흡입구(1221)가 흡입 유로(1220)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에 마련된 경우, 상기 냉각 팬(1210)은 상기 흡입구(122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흡입 유로(1220)를 통해 흡입하고, 상기 흡입한 외부 공기를 하중 측정 어셈블리(80) 방향으로 마련된 토출구(1211)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를 구성하는 로드 셀(예: 도 2의 로드 셀(4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좌측에 마련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우측에 마련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대하여도 동일한 구조의 냉각 어셈블리(1200)를 적용하거나, 좌측의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냉각 팬(1210)에 우측의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향하는 토출구를 추가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예: 도 1의 조리기기(1))에서 열 전달 방지를 위한 열 차단 플레이트(1320)의 배치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캐비티(4)의 바닥면과 하중 측정 어셈블리(80)가 하부면에 장착될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면 사이에 열 차단 플레이트(132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티(4)로부터 전달되는 열(1310)은 열 차단 플레이트(1320)에 의해 식혀져 하중 측정 어셈블리(8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열 차단 플레이트(1320)에는 복수의 통풍 통로들(13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8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다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 12에서의 냉각 어셈블리(1200) 및 도 13에서의 열 차단 플레이트(1320)를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3)

  1. 조리기기에 있어서,
    조리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에 대면하여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하방향으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가 결합된 하중 측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 및 상기 외력에 대한 상기 바닥 지지부재의 반력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상기 외력과 상기 반력에 의한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 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부 브라켓과 상기 바닥 지지부재에 결합된 하부 브라켓이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상기 로드 셀로 인해 이격되도록 형성된,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부 브라켓; 및
    상기 로드 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대면하도록 배치된 하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셀과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 홀이 상기 상부 브라켓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된,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드 셀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끼움부가 마련된,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에서 상기 제1체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체결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체결 홀에 체결되도록 체결 부품이 삽입되어, 상기 로드 셀에 상기 상부 브라켓이 체결되도록 구성된,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제1끼움부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셀과의 체결을 위한 제3체결 홀이 상기 하부 브라켓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된 조기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 셀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2끼움부가 마련된, 조리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에서 상기 제3체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4체결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4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3체결 홀에 체결되도록 체결 부품이 삽입되어, 상기 로드 셀에 상기 하부 브라켓이 체결되도록 구성된, 조리기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5체결 홀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양측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된,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5체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6체결 홀이 더 형성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6체결 홀에 체결되도록 체결 부품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상부 브라켓이 체결되도록 구성된, 조리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6체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5체결 홀에 체결되도록 체결 부품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상부 브라켓이 체결되도록 구성된, 조리기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제7체결 홀이 상기 하부 브라켓의 양측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된, 조리기기.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브라켓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양측 부근에 제8체결 홀이 마련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상기 상부 브라켓의 눌림 정도를 제한하는 체결 부품이 상기 제8체결홀에 끼워져 고정된, 조리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오른쪽 및 왼쪽 각각의 에지 부근에 마련된, 조리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측정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앞쪽 및 뒤쪽 각각의 에지 부근에 마련된, 조리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면에 마련된 유로; 및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로드 셀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21. 조리기기의 바닥에서 하중을 측정하는 어셈블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물을 수용하는 캐비티의 바닥에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체결된 상부 브라켓;
    상기 조리기기가 설치된 바닥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바닥 지지부재가 양측에 체결된 하부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중간 부근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중간 부근 사이에서 상부면이 상기 상부 브라켓에 체결되고, 하부면이 상기 하부 브라켓에 체결된 로드 셀을 포함하며,
    일측 끝단이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 브라켓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스토퍼가 마련된, 어셈블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상방으로 끼워지는 체결 부품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어셈블리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하방으로 끼워지는 체결 부품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어셈블리 장치.
KR1020220009803A 2022-01-24 2022-01-24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30113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03A KR20230113932A (ko) 2022-01-24 2022-01-24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03A KR20230113932A (ko) 2022-01-24 2022-01-24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32A true KR20230113932A (ko) 2023-08-01

Family

ID=8756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803A KR20230113932A (ko) 2022-01-24 2022-01-24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9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769B2 (en) Steam cooker
KR101692735B1 (ko) 조리기기
US6172338B1 (en) Coolin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8333183B2 (en) Cooking range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mechanism
US20100006085A1 (en) Convection oven
US10935247B2 (en) Cooking apparatus
US20070210058A1 (en) Steam Cooker
US8350192B2 (en) Dual fan convection performance divider
US8344289B2 (en) Terminal block cool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cooking range
KR100786087B1 (ko) 조리기기
US10024547B2 (en) Cooling system for an oven appliance
US8399806B2 (en) Built-in type cooker
KR20230113932A (ko) 하중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941038B2 (en)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household appliance in a free-standing vertical relation with another household appliance
JP6275511B2 (ja) 段積み用ベース
KR101620100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JP2008232472A (ja) 加熱調理器
KR20230112902A (ko) 하중 측정을 제공하는 조리기기
KR100771629B1 (ko) 전기레인지
KR20160035774A (ko) 조리기기
EP1972856B1 (en) Cooking appliance
KR100697417B1 (ko) 오븐캐비티 온도센서 장착구조
EP3910242A1 (en) Cooking device
CN215738525U (zh) 一种具备空炸功能的蒸烤一体机
US20230243512A1 (en) Oven handle locators for controlling door appea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