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680A -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 Google Patents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680A
KR20230113680A KR1020220009614A KR20220009614A KR20230113680A KR 20230113680 A KR20230113680 A KR 20230113680A KR 1020220009614 A KR1020220009614 A KR 1020220009614A KR 20220009614 A KR20220009614 A KR 20220009614A KR 20230113680 A KR20230113680 A KR 20230113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rice hull
rice
present
hul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영
Original Assignee
방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진영 filed Critical 방진영
Priority to KR102022000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680A/ko
Publication of KR2023011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8Methods of grinding coff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은,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물은,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한 다음,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한 후에,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PROCESSING METHOD OF COFFEE BEAN USING RICE HULL, AND THEIR PRODUCTS}
본 발명은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벼의 껍질인 왕겨의 유용성분을 생두 상태의 커피콩에 흡수시켜서 왕겨의 유용성분이 풍부한 커피콩을 생산할 수 있는,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에 관한 것이다.
벼의 껍질인 왕겨에는 대사를 촉진시키는 활성상태의 비타민 B군과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을 비롯하여 식이섬유와 다양한 종류의 미네랄(Na, Mg, Ca, K, Zn, Mn, Al, Fe, Si)이 풍부하다.
이러한 유용성분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날로 증가하는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왕겨를 식용으로 활용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상음료인 커피를 통해서 왕겨의 유용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왕겨의 유용성분이 풍부한 커피콩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한 다음,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한 후에,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여 커피콩을 가공함으로써, 왕겨의 유용성분이 풍부한 커피콩을 생산할 수 있는,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은,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물은,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한 다음,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한 후에,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한 다음,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한 후에,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여 커피콩을 가공함으로써, 왕겨의 유용성분이 풍부한 커피콩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를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다.
먼저,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하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생두 상태의 커피콩은, 아라비카(arabicas), 로부스타(robustas), 리베리카(libericas) 등 사전에서 정의한 모든 종류의 로스팅하기 전의 커피콩을 의미한다.
상기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다양한 종류의 파쇄기로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3~5mm의 작은 알갱이로 파쇄하여 다음 단계(S200)에서 왕겨의 유용성분이 커피콩에 흡수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왕겨분말은, 왕겨를 세척 및 건조시킨 다음 1mm 내외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발효기나 보온고에 넣고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찜기로 쪄서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혼합하는 왕겨분말의 양은, 커피콩이 파묻히도록 충분한 양의 왕겨분말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숙성시킨 파쇄한 커피콩과 왕겨분말의 혼합물을 다양한 종류의 로스터나 볶음기를 이용하여 약배전부터 강배전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도로 로스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한 파쇄한 커피콩과 왕겨분말의 혼합물을 진동체 등으로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로스팅된 상태의 커피콩만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선별한 로스팅된 상태의 커피콩을 원하는 입자의 크기로 분쇄하여 에스프레소나 드립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선별한 로스팅된 상태의 커피콩을 분쇄한 후에 침출용 티백에 포장하여 침출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선별한 로스팅된 상태의 커피콩을 그대로 침출용 티백에 포장하여 차(tea)와 같은 옅은 농도의 커피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물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한 다음,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한 후에,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여 커피콩을 가공함으로써, 왕겨의 유용성분이 풍부한 커피콩을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

  1. 생두 상태의 커피콩을 파쇄하는 단계;
    상기 파쇄한 커피콩에 왕겨분말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왕겨분말을 제거하고 커피콩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2. 청구항 1의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물.
KR1020220009614A 2022-01-23 2022-01-23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KR20230113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14A KR20230113680A (ko) 2022-01-23 2022-01-23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14A KR20230113680A (ko) 2022-01-23 2022-01-23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680A true KR20230113680A (ko) 2023-08-01

Family

ID=8756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614A KR20230113680A (ko) 2022-01-23 2022-01-23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6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2786C2 (ru) Кофейные продукты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и способы
US20160037810A1 (en) Coffee cherry particula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3801716A (en) Compression-granulation of roasted coffee
CA1160894A (en) Low density coffee process
DK148912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kaffeprodukt
WO2005058073A1 (en) Process for single-stage heat treatment and grinding of coffee beans, and products thereof
ES2321619T3 (es) Productos de granos de cacao enteros.
KR20230113680A (ko)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EP1885193B1 (en) A bush tea product
US2045591A (en) Method for preparing green coffee
KR20130076210A (ko) 커피 원두 전체를 활용한 초미세 입자 커피 액상 분말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제품
CA1113301A (en) Method for producing a brewable roasted coffee and wheat product
KR101304337B1 (ko) 향미가 개선된 커피 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4081569A (en) Coffee blend comprising ground-roasted and roasted-ground coffee beans
KR20230107728A (ko)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JP3188951B2 (ja) 枇杷茶
JP2005102594A (ja) 複合挽きコーヒーの製造方法
KR20230105828A (ko) 왕겨를 이용한 술과 식초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JP3801051B2 (ja) おから茶
KR20230156234A (ko) 왕겨를 이용한 커피의 추출 방법 및 그 가공물
KR20240036167A (ko) 볍씨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KR102641884B1 (ko) 이유식용 육수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유식
CN101184399A (zh) 一种灌木茶产品
KR20230076661A (ko) 왕겨를 이용한 커피 추출 방법 및 그 가공물
KR20230146765A (ko) 왕겨의 가공 방법 및 그 가공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