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573A -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573A
KR20230113573A KR1020237020910A KR20237020910A KR20230113573A KR 20230113573 A KR20230113573 A KR 20230113573A KR 1020237020910 A KR1020237020910 A KR 1020237020910A KR 20237020910 A KR20237020910 A KR 20237020910A KR 20230113573 A KR20230113573 A KR 2023011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temperature control
pressure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임팩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팩코리아(주) filed Critical 임팩코리아(주)
Publication of KR2023011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61M5/445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the media being heated in the reservoir, e.g. warming blood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48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1Range local, e.g. within room or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thermo-electric, e.g. Peltier effect, thermocouples, semi-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는,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 유체를 공급하고 가압하며 상기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및 상기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조절 챔버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본원은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 산악 사고 현장이나 전쟁터와 같이 재난 발생 현장에서 환자를 이송할 때, 환자의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 선제적으로 현장에서 약물 주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사람의 체온과 같은 온도의 수액을 주입하기 위해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 때, 저체온 환자에게는 사람의 정상체온과 유사한 온도의 약물을 주입해야 하지만, 더운 환경이나 고열환자를 위해 약물의 온도를 낮추거나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의 제품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약물주입과 가온장치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제품은 약물 주입을 위한 제어부, 약물의 주입속도와 압력을 조절하는 구동부, 가온을 위한 가온부, 배터리로 운영되는 전원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부피가 크고 제조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약물 주입장치와 가온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의료장치는 재난현장에서 응급의료 분야 외 병원에서도 사용하고 있는데, 실제 병원에서는 약물 가온이 필요 없어도 고가품인 일체형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3582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압하는 팽창부를 약물주입장치와 직접 연결하고, 약물주입장치와 온도조절용 챔버를 상황에 맞춰 일체형으로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는,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 유체를 공급하고 가압하며 상기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및 상기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조절 챔버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가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기 용기로부터 공급된 약물이 대상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가열되도록 체류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챔버는, 상기 열전 소자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카트리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물이 미리 설정된 주입 압력에 기초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되도록 상기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물이 미리 설정된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입구 측 주입통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가열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출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입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출구 측 주입통로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은, 상기 주입 압력, 상기 가압 압력, 상기 주입 온도 및 상기 측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압 모듈에 대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원부의 잔여 전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또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은 상기 가압 모듈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가압 모듈은, 몸체부,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온도 조절 모듈은, 공급된 약물이 대상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가열되도록 체류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 소자, 상기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입구 측 주입통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가열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출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입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출구 측 주입통로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의 구동 방법은, (a) 약물의 주입 압력 및 주입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상기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가압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약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조절 모듈을 상기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가압 및 상기 가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는 팽창부를 약물주입장치와 연결하고, 약물주입장치와 온도조절용 챔버를 상황에 맞춰 약물주입장치와 일체형으로 사용하거나 온도조절용 챔버 없이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모터펌프 등을 이용해 자동 가압하여 대상자의 체내로 주입하는 가압 모듈과 주입되는 약물의 온도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온도조절 모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재난현장에서 적절한 처치를 가능케 하고 온도조절이 필요 없는 곳에서는 각각의 모듈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으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가압 모듈의 기능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둘 이상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가압 모듈의 전원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온도 조절 모듈의 카트리지와 열전 소자의 배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을 외부 구조물에 대하여 지지 및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은 응급 상황 현장 등에서 대상자의 체내로 다량의 약물을 급속히 주입하기 위해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며, 약물을 가온하여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주입 시스템(10)(이하, '주입 시스템(10)'이라 한다.)은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주입 시스템(10)의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와 의료진 등이 보유한 사용자 단말(미도시) 상호간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미도시)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미도시)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주입 시스템(10)을 조작하는 의료진 등이 보유하고, 가압 모듈(100), 온도 조절 모듈(200) 등과 연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예시적으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압 모듈(100)은 팽창부(110), 가압부(120), 전원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모듈(100)은, 표시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및 통신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모듈(100)은 가압부(120), 전원부(130) 등의 하위 구성이 내부에 탑재되는 몸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1)는 전술한 가압부(120), 전원부(130) 등의 하위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의 형상, 재질 등의 특성은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모듈(100)은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300)를 가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부(110), 팽창부(110)로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부(120) 및 가압부(12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약물'은 환자의 혈관을 통해 주입될 수 있는 액체로서, 수액, 생리적 식염수, 링거액, 영양제, 정맥주사 용액 등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으며,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본원에서 개시하는 주입 시스템(10)을 통해 대상자의 체내로 주입되는 약물은 혈액, 전해질 용액, 혈액과 유사한 약물, 약물과 혼합하여 주입할 수 있는 특정 약물 등을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300)는 백(bag), 파우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120)는 팽창부(110)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미도시), 팽창부(110)로 공급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 공급관(121), 펌프(미도시)의 구동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체 공급관(121)은 몸체부(10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용기(300)에 수용된 약물이 미리 설정된 주입 압력에 기초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되도록, 미리 설정된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유체를 팽창부(110) 측으로 공급하도록 가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의해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셋팅되거나 가압 모듈(100)의 구동과 연계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 수준으로 셋팅되는 주입 압력에 기초하여 가압부(120)에서 적절한 가압 압력으로 유체가 팽창부(110)로 제공되도록 펌프(미도시)의 구동압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팽창부(110)는 가압부(120)의 펌프(미도시)의 구동압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예를 들면, 공기 등)에 의해 부피가 증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10)는 내부로 공급된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외측 방향으로의 가압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1)는 팽창부(110)에 대하여 그 양단이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지지부(111)와 팽창부(110) 사이에 약물이 수용된 용기(300)가 개재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재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부(110) 및 지지부(111)와 용기(30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팽창부(110) 및 지지부(111)와 용기(300)는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지지부(111)는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300)의 외면에 표기된 정보 및/또는 내부에 수용된 약물의 잔량 등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광 투과성 재질(예를 들면, 투명 재질, 반투명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가압 모듈의 기능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300)가 팽창부(110)와 지지부(111) 사이에 위치하고, 가압부(120)에 의해 팽창부(110)에 유체(예를 들면, 공기 등)가 주입됨으로써 팽창부(110)가 팽창되면, 용기(300)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소정의 가압 압력이 용기(300)에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 압력에 의해 용기(300) 내에 수용된 수액이 기 설정된 주입 압력에 대응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도 4는 둘 이상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 모듈(10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복수 개의 가압부(120)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단일 가압부(120)를 구비하는 가압 모듈(100)을 싱글(Single) 타입의 가압 모듈로 지칭하고, 도 4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상호 구분되는 2개의 가압부(120)를 구비하는 가압 모듈(100)을 듀얼(Dual) 타입의 가압 모듈로 구분하여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듀얼(Dual) 타입의 가압 모듈 또는 둘 이상의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 모듈의 경우, 몸체부(101)에 복수의 가압부(120) 각각에 대응하는 유체 공급관(121), 표시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개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가압 모듈의 전원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 모듈(100)의 전원부(130)는 복수의 배터리 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130)는 복수의 배터리 셀(131)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131) 각각은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 개시하는 주입 시스템(10)에 구비되는 배터리 셀은 종래에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배터리 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전원부(130)의 각각의 배터리 셀(131) 또는 복수의 배터리 셀(131)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32)은 가압 모듈(1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원부(130)의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 셀(131) 또는 배터리 팩(132)은 가압 모듈(100)의 몸체부(101)의 후면에 형성되는 장착 홈(13)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장착 홈(13)으로부터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배터리 셀(131) 또는 배터리 팩(132)이 결합되는 영역은 몸체부(101)의 하면, 상면 등 다양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주입 시스템(10)의 온도 조절 모듈(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온도 조절 모듈(200)은 대상자의 체내로 주입되는 약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발열부(220) 및 용기(300)로부터 공급된 약물이 대상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발열부(220)에 의해 가열되도록 체류하는 카트리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모듈(200)은 용기(300)로부터 카트리지(210)로 약물을 공급하는 입구 측 주입통로(202) 및 카트리지(210)로부터 가열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출구 측 주입통로(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구 측 주입통로(202)와 출구 측 주입통로(203)에는 약물을 이송하기 위한 각종 부재(이송관, 카테터 등)가 접속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 이송을 위한 부재의 형상, 규격 등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모듈(200)은 입구 측 주입통로(202) 및 출구 측 주입통로(203)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도 조절 모듈(200)은 용기(300)로부터 카트리지(210)로 공급되는 약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센서(223a)를 통해 발열부(220)에 의해 가열이 되기 전의 약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카트리지(210)로부터 대상자의 체내로 주입되도록 배출되는 약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센서(223b)를 통해 발열부(220)에 의한 가열(가온)이 이루어진 후의 약물의 온도를 후속하여 측정하도록 제1온도 센서(223a) 및 제2온도 센서(223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220)는 카트리지(210)에 수용된 약물에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열전 소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 소자(221)는 펠티어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열부(220)는 전술한 열전 소자(221)가 내측에 수용되고, 약물이 체류하는 카트리지(21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챔버(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1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챔버(222)는 열전 소자(221)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카트리지(21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하여 약물이 신속하게 가온될 수 있도록 보온, 단열 특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거나 열전 소자(221)에서 발생하는 열 외에 추가적인 발열을 약물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열선 등의 발열 부재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주입 시스템(10)의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모듈(200)의 발열부(220)는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 모듈(100) 측에 구비되는 전원부(130)로부터 가열을 위한 전원(이를 테면, 열전 소자(221)에 소정의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전원 등)을 공급받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이 상호 결합(부착)된 상태는 가압 모듈(100)의 몸체부(101)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의 몸체부(201)가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가압 모듈(100)을 이루는 하위 구성과 온도 조절 모듈(200)을 이루는 하위 구성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를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달리 말해,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이 상호 결합(부착)된 상태에서는 가압 모듈(100)에 구비되는 전원부(130)에 의해 온도 조절 모듈(200)의 발열부(22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거나 온도 조절 모듈(200)의 발열부(220) 측에 마련되는 온도 센서(223)의 측정값이 가압 모듈(100) 측의 제어부(140)로 전달되는 등의 가압 모듈(100)과 온도 조절 모듈(200) 사이의 전기적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압 모듈(100)의 몸체부(101)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의 몸체부(201) 각각의 외면에는 상호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체결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모듈(100)의 몸체부(101)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가 형성되고, 온도 조절 모듈(200)의 몸체부(201)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 부재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전술한 돌출 부재와 홈 부재를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돌출 부재 및 홈 부재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외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가압 모듈(100)과 온도 조절 모듈(200)을 기계적으로 부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 개시하는 가압 모듈(100)과 온도 조절 모듈(200)의 결합은 기계 기구 분야에서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접속(결합)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한 쌍의 체결 부재의 상호 결합에 의해 가압 모듈(100) 측의 하위 구성과 온도 조절 모듈(100) 측의 하위 구성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한 쌍의 체결 부재는 결합 시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 사이에서의 양방향의 통전을 허용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모듈(100)의 제어부(140)는 약물이 미리 설정된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되도록 미리 설정된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 모듈(200)의 발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온도 조절 모듈(200)의 온도 센서(223)로부터 수신한 측정 온도와 기 설정된 주입 온도의 편차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221)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발열부(22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 시스템(10)은 미리 설정된 주입 압력, 펌프(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팽창부(110)로 가해지는 실제 가압 압력, 미리 설정된 주입 온도, 온도 센서(223)에 의해 센싱된 측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출력부(미도시)는 전술한 각종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향부(미도시) 및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모듈(100)은 주입 시스템(10)의 구동 제어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160)는 주입 시스템(10)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가압부(120)의 구동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원 제어부(161), 가압부(120)에 의해 용기(300)에 유체가 공급되는 압력(설정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 조절부(162),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는 표시 제어부(미도시), 가압부(120)의 구동을 중지하고 가압부(120)에 의해 팽창부(110)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응급 제어부(164) 등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하위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의 하위 모듈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가압 모듈(100) 또는 온도 조절 모듈(200)과 연계된 다양한 조작을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사용자 입력 획득 수단이 인터페이스부(16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50)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의해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셋팅되거나 가압 모듈(100)의 구동과 연계되어 미리 설정된 기본 압력 수준으로 설정되는 설정 압력과 압력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펌프의 구동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50)는 팽창부(110) 측에서 센싱된 용기(300)에 대하여 실제로 가해지는 압력 정보,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작동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150)를 통해 표출되는 정보의 유형은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미도시)로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예시적으로, 표시부(150)는 설정 압력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151) 및 해당 시점에서 측정된 펌프의 구동 압력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미도시)는 가압 모듈(100)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미도시)는 전원부(130)의 잔여 전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온도 조절 모듈의 카트리지와 열전 소자의 배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도 조절 모듈(200)의 카트리지(210)는 열전 소자(221)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전달되는 카트리지(210)의 내부 영역의 면적 내지 부피가 커지도록 하여 약물이 기 설정된 주입 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내측에 열전 소자(221)가 배치될 수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221)가 배치되는 카트리지(210)의 중공부는 카트리지(210)에 수용된 약물 측으로 전달되는 열이 약물이 수용된 영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210)의 중심부에 근접 위치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을 외부 구조물에 대하여 지지 및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가압 모듈(100)의 몸체부(101) 및/또는 온도 조절 모듈(200)의 몸체부(201)에 대하여 구비되어 주입 가압 모듈(100) 및/또는 온도 조절 모듈(200)을 외부 구조물(예를 들면, 기둥 구조물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400)는 대상자(환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팔, 다리 등)를 지지 구조체로 하여 몸체부(101, 20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폴대 등의 기둥 구조물이 구비되기 어렵고, 대상자(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하여야 하는 응급 현장에서도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이 고정부(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환자의 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지지 베이스(410) 및 지지 베이스(410)의 상면에서 지지 베이스(410)의 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한 쌍의 고리형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브라켓(420) 및 일단이 회전 브라켓(420)의 한 쌍의 고리형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타단이 외부 구조물을 고정부(400)에 대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420)의 한 쌍의 고리형 부재 중 나머지 하나를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벨트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 부재(430)의 내측 방향 표면에는 외부 구조물의 표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미끄럼 방지용 물질을 도포하거나 패턴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구조물(예를 들면, 세로형 폴대 등)에 대하여 고정부(400)를 통해 가압 모듈(100) 및/또는 온도 조절 모듈(200)을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7b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구조물(예를 들면, 가로형 폴대 등)에 대하여 고정부(400)를 통해 가압 모듈(100) 및/또는 온도 조절 모듈(200)을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부(400)의 회전 브라켓(420)이 지지 베이스(410)의 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현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주입 시스템(10)의 기기 본체(달리 말해, 가압 모듈(100)의 몸체부(101), 온도 조절 모듈(200)의 몸체부(201) 등)는 기울어지지 않는 상태로 각종 외부 구조물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브라켓(42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만 대응하도록 회전 가능한 것이 아니라, 지지 베이스(410)의 면방향을 따라 360도 회전될 수 있어, 수직 구조물, 수평 구조물 외의 비스듬한 경사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물에 대응하여서도 주입 시스템(10)의 가압 모듈(100) 및/또는 온도 조절 모듈(200)이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400)는 외부 구조물에 대하여 보다 견고히 주입 시스템(1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외부 구조물의 외주면에 1차적으로 결합하는 중간 브라켓(미도시)과 결합하여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에서 개시하는 주입 시스템(10)의 구현예에 따라서,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 모듈(200)은 가압 모듈(10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 부재 외에도 외부 전원 또는 별도의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전원 연결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주입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주입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제어부(140)는 (a) 약물의 주입 압력 및 주입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1에서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주입 압력 및 주입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제어부(140)는 (b) 설정된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300)를 가압하도록 가압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제어부(140)는 설정된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용기(300)가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부(120)의 펌프(미도시)의 구동압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제어부(140)는 (c) 약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조절 모듈(200)을 기 설정된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3에서 제어부(140)는 가압 모듈(100) 및 온도 조절 모듈(200)의 결합(부착) 여부를 판단하고, 온도 조절 모듈(200)의 온도 센서(223)로부터 수신된 측정 온도와 기 설정된 주입 온도의 편차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 모듈(200)의 열전 소자(221)를 통해 통전되는 전류 수준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온도 조절 모듈(20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온도 조절 모듈을 구비한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 유체를 공급하고 가압하며 상기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및
    상기 약물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조절 챔버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모듈,
    을 포함하는,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가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기 용기로부터 공급된 약물이 대상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가열되도록 체류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챔버는,
    상기 열전 소자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카트리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물이 미리 설정된 주입 압력에 기초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되도록 상기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물이 미리 설정된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대상자에게 주입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을 제어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입구 측 주입통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가열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출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입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출구 측 주입통로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를 제어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압력, 상기 가압 압력, 상기 주입 온도 및 상기 측정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압 모듈에 대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원부의 잔여 전원 정보를 더 출력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또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은 상기 가압 모듈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12.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가압 모듈로서,
    몸체부;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13.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의 온도 조절 모듈로서,
    공급된 약물이 대상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가열되도록 체류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 소자;
    상기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입구 측 주입통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가열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출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입구 측 주입통로 및 상기 출구 측 주입통로 중 적어도 하나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 모듈.
  14.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약물의 주입 압력 및 주입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주입 압력에 대응하는 가압 압력으로 상기 약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가압하도록 가압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약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조절 모듈을 상기 주입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압 모듈은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모듈 및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가압 및 상기 가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동 방법.
KR1020237020910A 2021-07-07 2021-07-07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30113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8665 WO2023282370A1 (ko) 2021-07-07 2021-07-07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573A true KR20230113573A (ko) 2023-07-31

Family

ID=8480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910A KR20230113573A (ko) 2021-07-07 2021-07-07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09562A1 (ko)
EP (1) EP4137183A4 (ko)
JP (1) JP7448751B2 (ko)
KR (1) KR20230113573A (ko)
WO (1) WO20232823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5069A (en) * 1989-12-22 1992-06-23 Netherlands Health Sciences Blood warmer
EP0766974B1 (en) * 1995-10-03 2006-09-06 Terumo Kabushiki Kaisha Blood reservoir, blood delivery instrument, and blood delivery apparatus
US6328712B1 (en) * 1996-02-28 2001-12-11 Smisson-Cartledge Biomedical Corporation Rapid infusion system
US20140228755A1 (en) * 2009-12-26 2014-08-14 Athena Gtx, Inc. Fluid Balance Monitoring System with Fluid Infusion Pump for Medical Treatment
US8579859B2 (en) * 2009-12-26 2013-11-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Fluid balance monitoring system with fluid infusion pump for medical treatment
CN103212133B (zh) 2013-04-10 2014-10-15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微型便携式多功能输液装置
US9795758B2 (en) * 2013-06-25 2017-10-24 Breathe Technologies, Inc. Ventilator with integrated cooling system
EP3658086A1 (en) * 2017-07-28 2020-06-03 KCI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mperature-contrast therapy
KR20190016746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카이렌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KR101987909B1 (ko) * 2017-11-21 2019-06-11 임팩코리아(주) 약물 주입 장치
KR102024011B1 (ko) * 2018-12-28 2019-09-24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카테터 고정밴드에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약물투여시스템
WO2020202080A1 (en) * 2019-04-04 2020-10-08 Target Point Technologies Ltd.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US11400237B2 (en) * 2019-07-02 2022-08-02 Impact Korea Co., Ltd. Medicine infusion apparatus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7183A4 (en) 2023-08-09
US20230009562A1 (en) 2023-01-12
EP4137183A1 (en) 2023-02-22
JP2023535848A (ja) 2023-08-22
WO2023282370A1 (ko) 2023-01-12
JP7448751B2 (ja)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g et al. Micro-and nano-fabricated implantable drug-delivery systems
US20120063973A1 (en) Flexible Fluid Storage and Warming Bag and a Fluid Storage and Warming System
JP2022048392A (ja) 注入ポンプ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obo et al. A wireless implantable micropump for chronic drug infusion against cancer
EP1646351B1 (en) Thermal system for a blanket
AU743945B2 (en) Infus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fluids into the body within a desired temperature range
JP2020058882A (ja) 一体型の流体路チャネルを備えたプレート
Cobo et al. MEMS: Enabled drug delivery systems
Geurts et al. COOLIST (Cooling for Ischemic Stroke Trial) a multicenter, open, randomized, phase II, clinical trial
JP2011504385A (ja) 加熱式透析液容器を備える透析液タンク、対応する透析システム及び方法
US11638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 or cold therapy and compression therapy
US20210178086A1 (en) Apparatus for injecting infusion solution
KR20230113573A (ko)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60135182A (ko) 약학 조성물을 재구성하기 위한 장치
US11400237B2 (en) Medicine infusion apparatus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CN108355196A (zh) 一种用于野外作战寒带地区的输液装置
JP2019520941A (ja) 流体注入器およびそのための患者用セット
CN111467985A (zh) 基于往复驱动装置的溶液配制及注射系统
WO2009086684A1 (zh) 自动加温型输血输液挤压装置
JP2003135599A (ja) チューブ加温器
CN108883220A (zh) 用于流动停滞控制的系统和方法
KR101824979B1 (ko) 수액 조절 장치 및 방법
CN203001612U (zh) 静脉输液加温装置
Nguyen et al. Investigation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rmal Therapy Mat
CN207152841U (zh) 一种多功能加压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