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746A -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Google Patents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6746A KR20190016746A KR1020170101072A KR20170101072A KR20190016746A KR 20190016746 A KR20190016746 A KR 20190016746A KR 1020170101072 A KR1020170101072 A KR 1020170101072A KR 20170101072 A KR20170101072 A KR 20170101072A KR 20190016746 A KR20190016746 A KR 20190016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injection
- accommodation space
- injection device
- pressuriz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48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주입용 유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용기 및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가압용 유체가 주입되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의 유체를 생명체의 체내에 공급하는 유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용기 내의 압력 제어를 통해 일정한 유량으로 유체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액(Infusion Solution)이라 함은 비경구적(非經口的)으로 인공용액을 정맥 내에 점적(點滴)하거나 피하주사하는 치료법, 또는 그 인공용액을 뜻하는 것이다.
특히 수액은 생리적 식염수, 포도당과 같은 영양제 및 증류수 등과 같은 성분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수액을 용기에 충진시켜 외기와 차단하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봉된 상태로 보관하여 사용한다.
이때 수액을 충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유리병이나 합성수지제 재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용기로서 유리병을 사용할 경우 보관 또는 사용 시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점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최근에는 합성수지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액용기(10)는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의 수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액배출유닛(14) 및 호스(1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수액용기(10)는, 그 구성상 중력에 의한 수액의 낙하 원리를 이용하여 수액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는 내장된 수액이 배출됨에 따라 잔량 수액이 감소되면서 자연스레 배출유량이 점점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수액용기(10)의 수액배출방식은 주입시간에 따라 배출유량이 변동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수액이 일정하게 주입되어야 하는 환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다가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수액용기(10)는, 수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중력에 의한 수액의 낙하 원리를 이용하는 만큼 환자와 수액용기(10) 사이의 위상차를 발생시켜야 하는 바, 수액용기(10)를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거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액용기(10)는 거치대에 거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환자는 거치대로 인한 활동반경의 감소에 따라 여러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수액용기(10)는 수액 주입이 종료되는 즉시 호스(16)의 단부에 연결된 수액주입장치(미도시)를 제거하지 못할 경우에는 환자의 혈액이 호스(16) 내로 역류되는 문제가 발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유체용기에 내장된 유체가 배출되어 잔량 유체가 감소하더라도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거치대를 사용하여 유체용기와 환자와의 높이 차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투입 종료 즉시 유체주입장치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혈액이 유체주입장치로 역류되는 문제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주입용 유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용기; 및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가압용 유체가 주입되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주입용 유체를 배출시키는 유체배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 여부 또는 상기 가압용 유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가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상기 주입용 유체가 배출될 때 발생되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 압력 변화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상기 가압용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주입유닛은 상기 가압용 유체의 주입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용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용 유체가 공기일 경우에 상기 유체주입유닛은 상기 공기를 상기 유체용기의 외부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용기는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결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제1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 유동 경로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상기 주입용 유체가 배출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주입용 유체가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부터 모두 배출될 경우, 상기 유체낭에 수용된 상기 가압용 유체를 상기 유체낭으로부터 제거하는 가압용유체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감지센서를 통한 유량 감지 결과, 상기 주입용 유체가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부터 모두 배출된 상태임을 경보하는 주입완료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낭은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체용기 및 상기 유체낭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상기 유체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주머니는 사용자 신체에 직접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주입용 유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용기; 및 상기 유체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주입용 유체를 배출시키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를 서로 반대 편에서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의 상부를 자중에 의해 가압하는 가압추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체용기 및 상기 가압유닛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주머니는 사용자 신체에 직접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용기에 내장된 유체가 배출되어, 잔량 유체가 감소하더라도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용기와 환자와의 높이 차를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바, 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투입 종료 즉시 유체주입장치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혈액이 유체주입장치로 역류되지 않는 바,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체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압력 보상, 또는 가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로서, 유체용기가 주머니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로서, 유체용기가 수용된 주머니가 인체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압력 보상, 또는 가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로서, 유체용기가 주머니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로서, 유체용기가 수용된 주머니가 인체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용기(100)와, 유체낭(110)과, 유체배출유닛(120)과, 유체주입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용기(100)는 주입용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수용공간(102)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용 유체는 수액 또는 혈액 등 인체 등에 투입하기 위한 다양한 유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용 유체는 인체뿐만 아니라 동물, 식물 등에 주입되는 액체 형태의 다양한 유체일 수 있고, 또는 기계장치 등에 주입되거나 사용되는 액체 형태의 다양한 유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낭(110)은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가압용 유체가 주입되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112)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체용기(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낭(110)은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유체용기(100) 및 상기 유체낭(110)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체용기(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의 형성이 바람직하겠으나,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유체용기(100)는 유리병 등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체낭(110)은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에 하나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유체낭(110)은 복수 개가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유체용기(100)의 재질, 개수 등에는 제한이 없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은 상기 제1수용공간(102)에 위치된 주입용 유체를 인체 등 목표 지점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기존과는 달리 유체를 점적하는 드롭부는 불필요하므로 제거되어, 본 발명의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 배출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유량조절기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의 유체 흐름 정도를 제어하는 상기 배출유량조절기 없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미세홀만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홀을 통해 상기 주입용 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경우, 원가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상기 제2수용공간(112) 내에 가압용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상기 제2수용공간(112) 내에 가압용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유체낭(110)을 팽창시키는 구성이며, 상기 유체낭(110)의 팽창에 의해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수용공간(112) 내에 가압용 유체를 주입하면 상기 유체낭(110)이 평창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112)이 확장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112)이 확장되면 될수록, 상대적으로 상기 제1수용공간(102)의 내부공간은 축소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공간(102)의 부피(V1)은 배출 전단계에서는 상기 유체용기의 부피(V)와 동일(V = V1)하겠으나, 주입용 유체가 목표 지점으로 배출됨에 따라 점차 축소되고, 한편 상기 유체낭(110)의 부피(V2)는 가압용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제2수용공간(112)이 확장된다. 즉 제1수용공간(102)의 부피(V1)와 제2수용공간(112)의 부피(V2)는 각각 축소 및 팽창된다. 그러나 제1수용공간(102)의 부피(V1)와 제2수용공간(112)의 부피(V2)의 합(V1+V2)은 일정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수용공간(102)의 부피(V1)와 제2수용공간(112)의 부피(V2)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유체용기의 총 부피(V, V = V1 + V2)는 배출 초기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변동없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수용공간(102)의 부피(V1)감소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 총량(C1)에 의존할 것이고, 또한 제2수용공간(112)의 부피(V2) 팽창은 가압용 유체의 주입 총량(C2)에 의존할 것이다.
한편, 상기 유체용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 유랑은 상기 유체용기의 내압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 유랑을 일정하게 조절할 경우, 상기 유체용기의 내압(P), 또한 주입 초기 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배출유량의 변화를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유량조절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용기의 내압(P)에 변화를 주어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체용기의 내압(P)은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배출 전단계에서 내장된 유입용 유체 무게에 해당하는 유압(P1)을 기준으로 하여, 1)상기 유체용기의 내압(P)을 P1과 동일한 압력, 즉 P = P1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2)상기 유체용기의 내압(P)을 P1보다 큰 압력, 즉 P 〉 P1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3)상기 유체용기의 내압(P)을 P1보다 작은 압력, 즉 P 〈 P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P 〈 P1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P1의 1/2이하로는 설정하지 않음이 유리할 수 있지만,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 유랑을 일정하게 하면서, 미세하게, 또는 미량으로 조절할 경우라면, P1의 1/2이하로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P = P1으로 설정하고 에어펌프로 공기를 가압할 경우, 먼저 상기 유체용기 내압이 P = P1으로 가압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배출 초기단계에 배출유량조절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배출유량으로 조절한다.
한편 상기의 유체용기 내압으로 셋팅된 P1값은 배출 초기부터 배출 종료단계까지 계속 유지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상기 유체용기 내압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 배출유량,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며, 한편 유체용기 내압이 변동되면, 배출유량 또한 변동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P1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보였으나, 또는 P 〉 P1인 경우, 또는 P 〈 P1인 경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P1으로 설정하고 에어펌프로 공기를 가압할 경우, 한편으로는 유체용기에서 유체가 배출되더라도 유체용기 내압이 감소되지 않고 계속 P1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보상 목적의 가압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에어펌프를 계속 가동하더라도 상기 유체용기 내압이 P1를 초과하지 않고 계속 P1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보상기능, 또는 상기 바이패스 기능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P1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보였으나, 또는 P 〉 P1인 경우, 또는 P 〈 P1인 경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을 통해 배출되는 주입용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미도시) 또는 상기 제1수용공간(102)의 내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일측에 구비되어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표시기(미도시)와, 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일측에 구비되어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는 유체배출유닛(120)을 통해 주입용 유체가 배출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때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시간인 주입용 유체가 배출되는 시간은 사용자에가 주입용 유체가 주입되는 시간임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들을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제어부 등을 통해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에 의한 주입용 유체의 주입유량, 또는 주입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의 배출유량 및 상기 제1수용공간(102)의 내압을 조절하여 원하는 주입시간 동안 유체 주입이 완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배출유량, 유체용기내부압력, 주입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배출유량을 특정 수치로 설정하여 설정된 유량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유체용기내부압력을 특정 수치로 설정하여 상기 유체용기 내압이 설정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주입시간을 특정 수치로 설정하여 특정 시간 내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제어부는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을 통한 배출유량 조절, 또는 제1수용공간(102)의 내부압력 조절, 또는 주입시간 조절을 원격으로 구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유체용기의 내압을 제어하는 것으로,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경우는 물론, 특히 아주 정밀하게 투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 약재를 주입하거나, 또는 극미량으로 투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 약재를 주입할 경우에 더욱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유량감지센서를 통한 유량 감지 결과 상기 주입용 유체가 상기 제1수용공간(102)으로부터 모두 배출된 상태일 경우, 이를 경보하는 주입완료경보부와, 또는 상기 유체낭(110)에 수용된 가압용 유체를 상기 유체낭(110)으로부터 제거하는 가압용 유체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완료경보부는 소리, 광원 또는 문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자에게 경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용 유체 제거부는 간단한 수거, 또는 폐처리를 위해 상기 제2수용공간(112) 내의 가압용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밸브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유체낭(110)으로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구 일측을 절단하는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주입용 유체의 투입이 종료된 이후 유체용기(100) 포함 유체주입유닛을 즉시 수거하지 못해 혈액이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에 연결된 배출호스의 일측 지점에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환자 혈액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겠으나, 상기 유체낭(110)이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유체낭(110)이 구비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유체용기(100) 내압이 목적물의 내압(예, 혈압 등)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체크밸브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을 통해 배출되는 주입용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을 통해 배출되는 주입용 유체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는 혈액 등 주입용 유체를 인체 등에 주입 시 상기 주입용 유체의 온도를 체온에 맞도록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장치 및 온도조절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열장치 및 온도조절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용기(100) 일측 또는 유체배출유닛(120)을 구성하는 관(호스)의 일측을 가열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제한적이지 않고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온도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온도는 체온인 36.5C 보다는 낮은 온도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주입용 유체의 온도가 36.5C 보다는 낮은 온도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도 당연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체용기(100)의 제1수용공간(102) 내의 압력 제어를 통해 주입용 유체의 단위시간 당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낭(110)은 전체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부 영역만이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압용 유체의 주입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는 영역이 상기 제1수용공간(102) 측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용공간(112) 내에 주입되는 가압용 유체 역시 기체, 액체 등 다양한 형태의 유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와 같이 유체용기(100)와, 유체낭(110)과, 배출유량조절기를 포함하는 유체배출유닛(120)과, 유체주입유닛(2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유체주입유닛(200)은,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으로부터 상기 제2수용공간(112) 사이에 상기 가압용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체크밸브(210)는 상기 가압용 유체가 상기 제2수용공간(112)으로부터 상기 유체용기(100) 외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상기 제2수용공간(112)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기능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와 같이 유체용기(100)와, 유체낭(110)과, 배출유량조절기를 포함하는 유체배출유닛(120)과, 유체주입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에어펌프(220)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펌프(220)는 상기 제1수용공간(102)으로부터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량에 대응되는 부피의 공기를 상기 유체용기(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수용공간(112) 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유지(전술한 바에 따르면 설정된 내압, 예를 들어 P1 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에 의해 상기 제2수용공간(112) 측으로 공급되는 가압용 유체는 공기이며, 상기 에어펌프(220)는 상기 유체배출유닛(120)에 의한 단위시간 당 주입용 유체 배출량에 대응되도록 가압용 유체의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대상 환자의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정해진 단위시간 당 주입용 유체 배출량에 대응되도록 가압용 유체의 공급량을 미리 기계식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전자식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에어펌프(220)는 상기 제1수용공간(102)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게 될 경우, 상기 유체낭(110)이 더 이상 초과 가압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에어펌프(220)는 계속 가동되는 상태이나, 제1수용공간(102)의 압력은 설정된 압력으로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220)는 배터리, 직류/교류 전원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220)는 상기 유체용기(100)에 미리 연결된 형태이거나, 또는 탈착되는 분리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펌프는 상기의 에어펌프를 포함하여, 공기, 질소 등 가스를 공급하는 펌프일 수도 있고, 또는 H2O, 오일 등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일 수도 있다.
한편 가압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건물이라면, 다수개의 유체주입유닛(200)에 동시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형태의 연결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3실시예와 같이 유체용기(100)와, 유체낭(110)과, 배출유량조절기를 포함하는 유체배출유닛(120)과, 유체주입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에어펌프(220)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상기 유체용기(110)와 탈착이 가능한 분리형이며, 보다 탈착이 편리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용기(100)는 상기 제2수용공간(112)과 연결된 제1연결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펌프(220)는 상기 제1연결부(114)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펌프(220)의 공기 유동 경로와 상기 제2수용공간(112)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224)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224)가 형성된 주입호스(22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용기(100)는 상기 제1연결부(114) 및 상기 제2연결부(224) 간의 탈착을 통해 상기 에어펌프(2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유체용기(100)를 거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거치대 스탠드(300) 등에 상기 에어펌프(220)를 미리 고정시키고, 유체용기(100) 만을 분리 교체하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펌프(220)는 고정 브래킷(320)에 의해 스탠드(300)의 기립봉(310)에 고정되고, 상기 주입호스(222)는 상기 유체용기(10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바(330)에 감긴 형태로 상기 제2연결부(224)가 상기 제1연결부(114) 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들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 역시 마찬가지로 전술한 각 실시예들과 같이 유체용기(100)와, 유체낭(110)과, 배출유량조절기를 포함하는 유체배출유닛(120)과, 유체주입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은 컴프레서(23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컴프레서(230)는 가압용 유체를 상기 제2수용공간(112)에 공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에 수용된 주입용 유체의 단위시간 당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컴프레서(230)를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102)을 특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컴프레서(230)는 에어펌프보다 고압으로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설정 압력이 높은 경우에 유리할 수 있으며, 또는 다자간 연결시 유리할 수 있다. 즉 유체주입장치인 상기 컴프레서(230) 하나에 다수개의 상기 유체용기를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4실시예의 에어펌프(220)와 같이, 상기 유체용기(100)는 상기 제2수용공간(112)과 연결된 제1연결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컴프레서(230)는 상기 제1연결부(114)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연결부(234)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234)가 형성된 주입호스(23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각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에 유체낭(110)이 복수 개가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복수 개의 유체낭(110)에 각각 가압용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2)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유체낭(110)은 하나의 유체주입유닛(200)을 통해 주입용 유체의 주입량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유체주입유닛(200)을 통해 주입용 유체의 주입량이 제어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유체주입유닛(200)이 상기 유체낭(11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유체낭(110)에 주입되는 주입용 유체의 주입량을 개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유체주입유닛(200)에 주입되는 주입용 유체는 모두 동일한 종류의 유체일 수도 있으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다른 유체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유체주입유닛(200)이 복수개인 경우, 주입용 유체가 담겨지는 유체용기의 교체없이 환자에게 지속적인 유체 주입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다수개 중 특정 유체주입유닛(200)에는 가압형 유체를 유입하면서, 다수개 중 또 다른 특정 유체주입유닛(200)에는 주입용 유체를 공급하되, 서로 연통시켜 제1수용공간과에 주입용 유체가 담기도록 형성하면, 주입용 유체가 담겨있는 유체용기의 교체없이 환자에게 지속적인 유체주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입용 유체는 반드시 한 종류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주입용 유체를 두 종 이상 서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유체낭(110)을 대체하여, 가압유닛이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용기(10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02)에 수용된 주입용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유닛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난 제7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100)를 서로 반대 편에서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모듈(400)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유체용기(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모듈(400)은 상기 유체용기(100)의 양측에 접하여 상기 유체용기(10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410)와, 상기 가압부재(410)를 선형 이동시키는 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구동부(420)에 의해 한 쌍의 가압부재(410)를 소정 가압력으로 구동시켜 상기 유체용기(100)의 양측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에 수용된 주입용 유체의 배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제8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100)의 상부를 자중에 의해 가압하는 가압추(50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본 실시예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가압추(500)를 상기 유체용기(100) 상부에 구비하여, 상기 가압추(5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유체용기(100)가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02) 내에 수용된 주입용 유체의 배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로서, 유체용기(100)가 주머니(600)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로서, 유체용기(100)가 수용된 주머니(600)가 인체(H)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유체용기(100)를 거치하기 위한 주머니(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머니(600)는 내부에 상기 유체용기(10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에 커버가 구비되고, 하부에 유체배출유닛(120)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주머니(600)를 구비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용기(100) 위치가 환자와의 높이 차와는 무관하게 유체 주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용기(100)가 삽입된 주머니(600)는 인체(H)의 다양한 위치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허리, 팔, 가슴 등 다양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어 착용한 환자가 용이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유체용기(100)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주입유닛(200)이 에어펌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에어펌프(220) 및 상기 에어펌프(22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베터리(미도시) 등도 함께 주머니(600)에 들어갈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때 유체용기(100)가 들어가는 부분과 에어펌프(220) 및 베터리(미도시)가 들어가는 부분이 분리되어 인체(H)의 다양한 위치에 분리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유체용기(100)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모듈(400)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압모듈(400)을 구동하게 하는 소형펌프 및 상기 소형펌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베터리 또한 모두 주머니(600)에 들어갈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때 유체용기(100)가 들어가는 부분과 소형펌프 및 베터리가 들어가는 부분 또한 분리되어 인체(H)의 다양한 위치에 분리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가압모듈(400)을 구동하게 하는 소형펌프를 유체주입유닛(200)에 포함되는 에어펌프(220)와 동일하게 하는 경우 주머니(600) 중 일 부분을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도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앞서 [발명의 효과]에서 기재한 대표적인 효과 및 장점을 포함하여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 및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주입용 유체의 배출에 있어서, 배출초기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는 종래의 배출유량이 계속 변동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러한 정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배출방식은 중력에 의한 주입용 유체의 낙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내장된 주입용 유체가 배출되어 잔량이 감소하게 되면 배출유량이 계속 변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배출 초기단계에는 주입용 유체의 내장량에 의해 유발되는 수압(유압)이 크겠으나, 배출이 진행될수록 유압이 감소하게 되며, 유압이 감소하면 할수록 배출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유체용기의 내압을 제어하여,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을 배출 초기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즉, 유체용기의 내압으로 특정 압력을 설정하고, 유체용기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유체낭를 가압하여, 배출 초기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유체용기의 내압을 상기 설정된 압력으로 계속 유지하게 되면 유체용기에 내장된 유체의 잔량이 변동되더라도 무관하게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유체용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유량은 상기 유체용기 내압에 의해 결정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는 것은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조절하여 배출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로 조절하는 방식까지도 모두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용기 내압 조절에 있어서, 설정값으로 배출 전단계의 유압, 즉 배출전 주입용 유체 내장량 무게에 해당되는 유압, 또는 배출전 주입용 유체 내장량 무게에 해당되는 유압 이상의 압력으로 조절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내장량 무게에 해당되는 유압 이하의 압력으로의 설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유체용기의 내압을 제어함으로써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유체용기의 내압을 제어함으로써 환자의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유체용기의 내압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입용 유체용기와 환자와의 높이 차와는 무관하게 유체 주입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입용 유체용기와 환자와의 높이 차가 없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심지어 주입용 유체용기가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의 구성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유체용기의 내압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입용 유체가 방울로 떨어지도록 하는 드롭부을 제외한 배출유량조절기만으로도 본 발명의 작용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의 배출유량조절기 조차도 없이 미세홀을 형성시키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배출유량조절기를 한번 셋팅함으로써 배출 초기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유체 주입 종료단계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환자 혈액의 역류 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유체 주입 종료단계에서 공기, 또는 기포가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는 문제 해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의 배출방식은 상기의 제1수용공간 내부에 공기를 직접 주입하여야만 주입용 유체의 배출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용기 내부로의 공기 주입없이도 주입용 유체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 과정 중에 공기, 또는 기포가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차가운 유체가 직접 환자에게 주입되어 유발될 수 있는 신체, 또는 장기 쇼크 등의 문제 해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유체주입장치를 휴대형으로, 또는 이동형으로의 전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용기를 높게 거치할 필요가 없으며, 환자와 같은 높이, 또는,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의 구성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의 배출방식은 중력을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스탠드형 거치대가 필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유체용기 내압을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거창하고 불편한 중력 유발형 스탠드형 거치대가 없는 구성이 가능하다. 즉 거치대에 제한을 두지 않는 활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팔, 또는 가슴, 또는 허리 등에 간편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휴대형 거치대로의 전환, 또는 이동형 거치대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자는 화장실 출입 등의 이동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산책, 또는 외출시 간편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119 구조대 출동 시, 또는 병원엠블런스 출동 시, 또는 휠체어로의 이용 시 등의 상황에서도 편리성이 부각될 것이다.
일곱째, 본 발명은 주입용 유체의 배출에 있어서,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 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상기의 유체용기에 있어서, 유체용기 내압 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홉째, 본 발명은 배출 초기단계부터 종료단계까지 일정한 배출유량조절이 가능하므로, 주입시간을 설정하여 설정시간동안 일정하게 유체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열째, 본 발명은 압력감지센서, 또는 압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압력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 한번째, 본 발명은 유량감지센서, 또는 유량조절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유량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 두번째, 본 발명은 유체용기 내압, 배출유량, 유체잔량 등에 대해 현장, 또는 원격 감지가 가능하고, 또한 유체용기 내압, 배출유량, 유체주입시간 등에 대해 현장, 또는 원격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 세번째, 본 발명은 관리인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또는 유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 해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 네번째, 본 발명은 드롭부가 없는 구성이 가능하고, 또는 배출유량조절기가 없는 구성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 다섯번째, 본 발명은 주입용 유체의 배출유량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경우는 물론, 주입용 유체의 점성이 큰 경우, 또는 환자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또는 미세 주입, 또는 정밀 주입이 필요한 경우 등에도 원활한 주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 여섯번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의 구성, 또는 이동 가능한 휴대형 거치대로의 구성 등이 가능하므로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형 유체주입장치는 장치 그 자체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환자 관리용 로봇 또는 웨어러블 기기들과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되는 방법이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유체용기 102: 제1수용공간
110: 유체낭 112: 제2수용공간
120: 유체배출유닛 200: 유체주입유닛
210: 체크밸브 220: 에어펌프
230: 컴프레서
110: 유체낭 112: 제2수용공간
120: 유체배출유닛 200: 유체주입유닛
210: 체크밸브 220: 에어펌프
230: 컴프레서
Claims (20)
- 주입용 유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용기; 및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가압용 유체가 주입되어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낭;을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주입용 유체를 배출시키는 유체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용 유체의 배출 여부 또는 상기 가압용 유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가 가압되거나, 또는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상기 주입용 유체가 배출될 때 발생되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 압력 변화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상기 가압용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유닛은,
상기 가압용 유체의 주입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용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 유체가 공기일 경우,
상기 유체주입유닛은,
상기 공기를 상기 유체용기의 외부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용기는,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결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제1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 유동 경로와 상기 제2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상기 주입용 유체가 배출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용 유체가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부터 모두 배출될 경우, 상기 유체낭에 수용된 상기 가압용 유체를 상기 유체낭으로부터 제거하는 가압용유체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를 통한 유량 감지 결과, 상기 주입용 유체가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부터 모두 배출된 상태임을 경보하는 주입완료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주입용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낭은,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사용자 신체에 직접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주입용 유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유체용기; 및
상기 유체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주입용 유체를 배출시키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를 서로 반대 편에서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유체용기의 상부를 자중에 의해 가압하는 가압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용기 및 상기 가압유닛을 거치하기 위한 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사용자 신체에 직접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072A KR20190016746A (ko) | 2017-08-09 | 2017-08-09 |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072A KR20190016746A (ko) | 2017-08-09 | 2017-08-09 |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6746A true KR20190016746A (ko) | 2019-02-19 |
Family
ID=6552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072A KR20190016746A (ko) | 2017-08-09 | 2017-08-09 |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1674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1285A (ko) | 2020-08-13 | 2022-02-22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수액 공급 보조 장치 |
WO2023282370A1 (ko) * | 2021-07-07 | 2023-01-12 | 임팩코리아 주식회사 |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2017
- 2017-08-09 KR KR1020170101072A patent/KR201900167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1285A (ko) | 2020-08-13 | 2022-02-22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수액 공급 보조 장치 |
WO2023282370A1 (ko) * | 2021-07-07 | 2023-01-12 | 임팩코리아 주식회사 | 약물 압력 주입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약물 온도조절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62800B2 (ja) | 薬液投与のための自給型携帯装置 | |
US6406458B1 (en) | Pressure infusion apparatus | |
US7018360B2 (en) | Flow restri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infusion device | |
US554967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mammary prostheses and tissue expanders | |
WO1995001194A1 (en) | Infusion pump for use with prepackaged bags | |
WO2001085232A3 (en) | Apparatus and method of intravenous fluid infusion | |
JP2008511378A (ja) | 携帯用輸液注入装置 | |
KR20190016746A (ko) | 가압형 유체주입장치 | |
EP3827854A1 (en) | Device for the administration of liquids, drugs or nutrients to a patient | |
AU2002340621B2 (en) | Liquid dispenser | |
US20200345930A1 (en) | Pressure infusion device for retaining infusion bag and adjustable gravity-independent operation thereof | |
AU2002340621A1 (en) | Liquid dispenser | |
US7762982B1 (en) | Breast implant fill device | |
EP1221991B1 (en) | Infusion apparatus for use with an infusion bag | |
AU683219B2 (en) | Fluid delivery apparatus | |
KR100318135B1 (ko) | 기압차에의한수액주입방법및그장치 | |
US20050177089A1 (en) | Automatic pressurized liquid transfusion apparatus | |
JP2002239002A (ja) | ポータブル点滴装置 | |
KR20200105096A (ko) | 수액주사를 맞는 도중에 수액주머니를 휴대하는 장치 및 그 구성방법 | |
KR102248281B1 (ko) | 점적통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니터링 장치 | |
CN219595465U (zh) | 一种输液用的流速控制装置 | |
CN203483715U (zh) | 用于将流体运送给生物的自主设备 | |
CN219721511U (zh) | 一种给药设备 | |
KR200368270Y1 (ko) | 휴대용 수액 주입장치 | |
AU2008309614B2 (en) | Self-contained portable apparatus for administration of a drug solu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