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909B1 -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909B1
KR101987909B1 KR1020170155538A KR20170155538A KR101987909B1 KR 101987909 B1 KR101987909 B1 KR 101987909B1 KR 1020170155538 A KR1020170155538 A KR 1020170155538A KR 20170155538 A KR20170155538 A KR 20170155538A KR 101987909 B1 KR101987909 B1 KR 10198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ipe
pump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88A (ko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임팩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팩코리아(주) filed Critical 임팩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15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09B1/ko
Priority to US16/765,548 priority patent/US11793932B2/en
Priority to PCT/KR2018/013814 priority patent/WO2019103386A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48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 A61M5/148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the bags being substantially completely surrounded by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5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ga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48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IR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 약물이 지정된 경로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물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약물 용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물 가압 유닛;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펌프; 상기 팽창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1 배관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는 제1 펌핑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낮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물 주입 장치 {A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낮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액(fluid)은, 쇼크, 탈수증, 영양실조 등이 발생했을 때 인체에 주입하는 액체로서, 혈액 및 혈액과 삼투압이 같은 생리적 식염수ㆍ링거액 따위의 여러 가지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약물(medicine)의 일종이다.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약물 용기(B)와 같은 수액백(fluid bag)을 거꾸로 매달아 인체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키고, 상기 약물 용기(B)에 연결된 주사 튜브(T)와 주사 바늘(N)에 의하여 인체에 약물을 주입하였다.
그러나 수술실 등에서는 다량의 약물을 수술 환자에게 정확한 유량 및 정확한 용량을 신속히 투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스톤(Piston) 방식 약물 주입 장치, 실린지(Syringe) 방식 약물 주입 장치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위험이 높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51281호(2006.02.23)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018781호(2017.01.26)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2723호(2016.10.24)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낮아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 약물이 지정된 경로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물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약물 용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물 가압 유닛;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펌프; 상기 팽창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1 배관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는 제1 펌핑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펌프; 상기 팽창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배관을 포함하는 제2 펌핑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 배관; 상기 연결 배관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연결 배관 밸브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 중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나머지 하나의 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팽창부를 팽창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배관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1 상류측 밸브; 상기 제1 배관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1 하류측 밸브; 상기 제2 배관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2 상류측 밸브; 상기 제2 배관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하류측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배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류측 밸브와 제1 하류측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관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배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상류측 밸브와 제2 하류측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배관과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약물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을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 이내로 가온하는 가온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온 유닛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발생부;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유도 가열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약물 용기와 연통되어 내부로 약물이 유동하는 주사 튜브를 둘러감쌀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약물 용기는 유연한 재질의 봉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 약물이 지정된 경로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물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약물 용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물 가압 유닛;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펌프; 상기 팽창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1 배관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는 제1 펌핑 유닛;을 구비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낮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약물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펌핑 유닛과 제2 펌핑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물 가압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온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온 유닛의 발열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펌핑 유닛과 제2 펌핑 유닛이 2개의 약물 가압 유닛 중 1개를 각각 담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제2 펌프가 2개의 약물 가압 유닛을 담당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약물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펌핑 유닛과 제2 펌핑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물 가압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00)은, 수액 등과 같은 액체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 약물이 지정된 경로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물 용기(B)를 사용하며, 제1 펌핑 유닛(10)과 제2 펌핑 유닛(20)과 연결 유닛(30)과 약물 가압 유닛(40)과 가온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약물 용기(B)가 유연한 합성 수지 재질의 봉지 형태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약물 용기(B)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타이렌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봉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제1 펌핑 유닛(10)은, 상기 약물 가압 유닛(40)의 팽창부(41)를 팽창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1 펌프(11)와 제1 배관(12)과 제1 유출구(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펌프(11)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기 펌프로서,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12)은, 일단부는 상기 제1 펌프(11)와 연통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팽창부(41)와 연통될 수 있는 배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관(12)은, 합성 수지 재질의 원형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출구(13)는, 상기 제1 배관(12)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펌프(11)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구멍이다.
상기 제1 유출구(13)는, 상기 팽창부(41)와 연통된 공기 튜브(A)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유출구(13)의 상류 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관(12)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1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센서(14)의 상류 측에는, 상기 팽창부(41)의 내부 공기압이 과압되거나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작동하는 경우 등의 비상시에 상기 팽창부(41)의 내부 공간(411)에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배기 밸브(17)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기 밸브(17)는, 전기로 작동하는 1 way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
상기 제1 배기 밸브(17)의 상류 측에는, 상기 제1 배관(12) 내부의 공기가 흐를 수 있게 개방하거나 흐르지 못하게 폐쇄할 수 있는 제1 하류측 밸브(16)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류측 밸브(16)는, 전기로 작동하는 2 way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하류측 밸브(16)가 폐쇄되면, 가압된 공기가 상기 팽창부(41)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팽창부(41)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역류하여 제1 펌프(11) 측으로 유입될 수도 없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1 하류측 밸브(16)의 상류 측에는, 상기 제1 배관(12) 내부의 공기가 흐를 수 있게 개방하거나 흐르지 못하게 폐쇄할 수 있는 제1 상류측 밸브(15)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류측 밸브(15)는, 전기로 작동하는 2 way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상류측 밸브(15)가 폐쇄되면, 상기 제1 펌프(11)로부터 생성된 가압 공기가 상기 제1 하류측 밸브(16) 측으로 유동하지 못하며, 상기 연결 배관(31)이 연통된 지점에 있는 공기가 역류하여 상기 제1 펌프(11) 측으로 유동하지도 못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 펌핑 유닛(20)은, 상기 제1 펌핑 유닛(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약물 가압 유닛(40)의 팽창부(41)를 팽창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2 펌프(21)와 제2 배관(22)과 제2 유출구(23) 제2 센서(24) 제2 상류측 밸브(25) 제2 하류측 밸브(26) 제2 배기 밸브(2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펌핑 유닛(20)의 구성 요소들인 제2 펌프(21)와 제2 배관(22)과 제2 유출구(23) 제2 센서(24) 제2 상류측 밸브(25) 제2 하류측 밸브(26) 제2 배기 밸브(27)는, 상기 제1 펌핑 유닛(10)의 구성 요소들인 제1 펌프(11)와 제1 배관(12)과 제1 유출구(13) 제1 센서(14) 제1 상류측 밸브(15) 제1 하류측 밸브(16) 제1 배기 밸브(17)와 각각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 유닛(30)은, 상기 제1 배관(12)과 상기 제2 배관(22)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연결 배관(31)과 연결 배관 밸브(3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배관(31)은, 상기 제1 배관(12)과 상기 제2 배관(22)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관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제1 배관(12)의 제1 상류측 밸브(15)와 제1 하류측 밸브(16)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관(12)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 배관(22)의 제2 상류측 밸브(25)와 제2 하류측 밸브(26)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배관(22)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연결 배관 밸브(32)는, 상기 연결 배관(31) 내부의 공기가 흐를 수 있게 개방하거나 흐르지 못하게 폐쇄할 수 있는 밸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배관 밸브(32)는, 전기로 작동하는 2 way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약물 가압 유닛(40)은, 상기 약물 용기(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펌핑 유닛(10)과 상기 제2 펌핑 유닛(20)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어 있다. 이 약물 가압 유닛(40)은 팽창부(41)와 약물 용기 수용부(42)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부(41)는, 기밀 가능한 내부 공간(411)을 구비한 팽창부로서, 상기 내부 공간(411)에 공기가 주입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41)의 내부 공간(41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튜브(A)에 의하여 상기 제1 유출구(13) 및 제2 유출구(23)와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부(41)는, 두 장의 합성 수지 필름이 결합하여 형성된 사각형 봉지 형상을 구비하지만, 원형, 다각형 등 임의의 봉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부(41)의 압력은, 100mmHg, 200mmHg, 300mmHg 등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41)는, 상기 내부 공간(411)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약물 용기(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팽창부(41)는, 부풀어 오르더라도 쉽게 파열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 용기 수용부(42)는, 상기 약물 용기(B)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421)을 구비한 부분이다.
상기 약물 용기 수용부(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41)의 밀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약물 용기 수용부(42)의 일단부에는, 상기 약물 용기(B)를 상기 내부 공간(421)으로 넣거나 상기 내부 공간(421)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약물 용기 투입구(4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물 용기 수용부(42)는, 상기 팽창부(41)가 팽창하여 상기 약물 용기(B)를 가압하더라도, 쉽게 늘어나지 않는 재질과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약물 용기 수용부(42)가 쉽게 늘어나는 재질로 구성되면, 상기 팽창부(41)가 팽창하더라도 상기 약물 용기(B)가 충분히 가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온 유닛(50)은, 상기 약물 용기(B)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을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 이내로 가온하는 장치로서, 전자유도 가열방식(IH, Induction Heating)으로 작동하며, 자기장발생부(51)와 발열부(52)를 구비한다.
상기 자기장발생부(51)는, 상기 발열부(52)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기가 흐를는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52)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1)에 의하여 발생된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부분으로서, 발열부 본체(521)와 발열부 커버(522)와 튜브 수용홈(523)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부 본체(52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원형의 주사 튜브(T)의 하단부를 둘러감싸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형 튜브 수용홈(52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사 튜브(T)는, 내부로 약물이 유동하는 원형의 튜브로서, 일단부가 상기 약물 용기(B)와 연통되어 있고 타단부는 인체에 삽입될 수 있는 주사 바늘(N)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발열부 커버(522)는, 상기 발열부 본체(521)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상기 발열부 본체(521)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발열부 커버(522)는, 원형의 주사 튜브(T)의 상단부를 둘러감싸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형 튜브 수용홈(52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열부 본체(521)와 상기 발열부 커버(522)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주사 튜브(T)의 일정 부분을 360도 완전히 둘러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열부 커버(5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심축(C1)과 나란한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기 주사 튜브(T)를 구속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주사 튜브(T)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열부 본체(52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발열부 커버(522)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열부 본체(521)와 상기 발열부 커버(522)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주사 튜브(T)의 일정 부분을 360도 완전히 둘러감싸게 되며, 상기 발열부 커버(522)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주사 튜브(T)를 상기 튜브 수용홈(523)에 삽입하거나 상기 주사 튜브(T)를 상기 튜브 수용홈(523)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11, 21)와 밸브(15, 16, 17, 25, 26, 27)와 센서(14, 24)와 가온 유닛(5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MCU; Micro Controller Unit) 등에 의하며 자동적으로 구동되며, 피드백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한 약물 온도, 단위 시간당 주사량, 주사 시간 등을 정확하게 추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약물 주입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출구(13)에 1개의 약물 가압 유닛(40)을 장착하고, 상기 제2 유출구(23)에 다른 1개의 약물 가압 유닛(40)을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2개의 약물 가압 유닛(40)의 약물 용기 수용부(42)에 각각 약물 용기(B)를 1개씩 삽입한다. 이때 각각의 주사 튜브(T)는 상기 가온 유닛(50)에 각각 장착되며, 주사 바늘(N)은 인체에 삽입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 압력을 상기 제1 펌핑 유닛(10) 및 제2 펌핑 유닛(20)에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21)를 각각 구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펌프(11) 및 상기 제2 펌프(21)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 흐름(F)은 상기 제1 배관(12) 및 제1 유출구(13)을 각각 유동하여 각각의 팽창부(41)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배기 밸브(17) 및 연결 배관 밸브(32)는 폐쇄된 상태이며, 상기 제1 상류측 밸브(15), 제1 하류측 밸브(16), 제2 상류측 밸브(25), 제2 하류측 밸브(26)은 개방된 상태이다.
즉 상기 제1 펌핑 유닛(10)은 2개의 팽창부(41) 중 1개를 팽창시키고, 상기 제2 펌핑 유닛(20)은 나머지 1개의 팽창부(41)를 각각 팽창시키게 된다.
이렇게 2개의 팽창부(41)들이 팽창하게 되면 약물 용기(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41) 및 약물 용기 수용부(42)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약물 용기(B)의 내부에 수용된 약물이 주사 튜브(T)와 주사 바늘(N)을 거쳐서 인체에 주입된다. 이때 주사 튜브(T)의 내부를 유동하는 약물은 상기 가온 유닛(50)을 거치면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센서(14)가 감지한 공기압이 미리 설정한 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제1 펌프(11)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상기 제1 펌프(11)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공급을 차단시키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배기 밸브(17)를 개방하여 상기 팽창부(41)의 내부 공기압을 감소시키며, 반대로 상기 제1 센서(14)가 감지한 공기압이 미리 설정한 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1 펌프(11)의 작동시켜 상기 팽창부(41)의 내부 공기압을 증가시키는 방식의 제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펌프(11)와 상기 제2 펌프(21)가 작동을 하다가 상기 제1 펌프(11)가 고장 등의 이유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1 센서(14)가 상기 제1 펌프(11)의 고장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제1 상류측 밸브(15)를 폐쇄시킨다.
이어서, 상기 연결 배관 밸브(32)가 개방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펌프(21)에 의하여 2개의 약물 가압 유닛(40)이 구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방식은, 상기 제1 펌프(11)와 상기 제2 펌프(21) 중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나머지 하나의 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제1 배관(12) 또는/및 상기 제2 배관(2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팽창부(41)를 팽창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일종의 고장 안전(fail safe) 구동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약물 주입 장치(100)는,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 약물이 지정된 경로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물 용기(B)를 사용하여 상기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약물 용기(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팽창부(4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물 가압 유닛(40);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펌프(11); 상기 팽창(41)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1 배관(12)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41)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는 제1 펌핑 유닛(10);을 구비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위험이 낮고, 전체적인 제조 원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펌프(21); 상기 팽창부(41)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배관(22)을 포함하는 제2 펌핑 유닛(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41)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으므로, 동시에 2개의 상기 약물 가압 유닛(4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상기 제1 배관(12)과 상기 제2 배관(22)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 배관(31); 상기 연결 배관(3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연결 배관 밸브(32)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펌프(11)와 상기 제2 펌프(21) 중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나머지 하나의 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제1 배관(12) 및 상기 제2 배관(22)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팽창부(41)를 팽창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21) 2개의 펌프 중에서 1개가 고장나더라도 2개의 약물 가압 유닛(40)이 각각 작동될 수 있도록 고장 안전(fail safe) 구동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상기 제1 배관(12)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1 상류측 밸브(15); 상기 제1 배관(12)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1 하류측 밸브(16); 상기 제2 배관(22)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2 상류측 밸브(25); 상기 제2 배관(22)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하류측 밸브(26);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배관(31)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류측 밸브(15)와 상기 제1 하류측 밸브(16)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관(12)과 연통되며, 상기 연결 배관(31)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상류측 밸브(25)와 제2 하류측 밸브(26)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배관(22)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21) 2개의 펌프 중에서 1개가 고장나는 비상 상황에서도, 나머지 하나의 펌프가 작동하는 고장 안전(fail safe) 구동 방식이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상기 약물 용기(B)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을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 이내로 가온하는 가온 유닛(50)을 포함하므로, 적정한 온도로 약물을 가온시켜 즉시 인체에 주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상기 가온 유닛(50)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발생부(51);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부(52);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유도 가열방식으로 작동하므로, 다른 부픔의 열 손상이 없어 안전하며, 정밀한 온도로 약물을 가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상기 발열부(52)가, 상기 약물 용기(B)와 연통되어 내부로 약물이 유동하는 주사 튜브(T)를 둘러감쌀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물이 주사 튜브(T)의 내부에 있는 상태로 주사 튜브(T) 내부에서 유동하는 약물을 가온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약물 주입 장치(100)는, 상기 약물 용기(B)가 유연한 재질의 봉지 형태이므로, 시중에 판매되는 약물 용기(B)를 그대로 상기 약물 가압 유닛(40)의 약물 용기 수용부(42)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물 가압 유닛(40)이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펌핑 유닛(10)과 상기 제2 펌핑 유닛(20)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어 있으나, 1개의 약물 가압 유닛(40)만이 상기 제1 펌핑 유닛(10)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21)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상기 제1 배기 밸브(17) 및 제2 배기 밸브(27)를 일시적으로 개방하는 방식으로 상기 팽창부(41)의 내부 공기압을 조절하고 있으나, 상기 제1 하류측 밸브(16) 또는 상기 제1 상류측 밸브(15)를 일시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시키고, 상기 제1 배기 밸브(17) 및 제2 배기 밸브(27)를 일시적으로 개방하는 방식의 조절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약물 주입 장치
10: 제1 펌핑 유닛
11: 제1 펌프
12: 제1 배관
13: 제1 유출구
14: 제1 센서
15: 제1 상류측 밸브
16: 제1 하류측 밸브
17: 제1 배기 밸브
20: 제2 펌핑 유닛
21: 제2 펌프
22: 제2 배관
23: 제2 유출구
24: 제2 센서
25: 제2 상류측 밸브
26: 제2 하류측 밸브
27: 제2 배기 밸브
30: 연결 유닛
31: 연결 배관
32: 연결 배관 밸브
40: 약물 가압 유닛
41: 팽창부
42: 약물 용기 수용부
50: 가온 유닛
51: 자기장발생부
52: 발열부
411: 내부 공간
421: 내부 공간
422: 약물 용기 투입구
521: 발열부 본체
522: 발열부 커버
523: 튜브 수용홈
A: 공기 튜브
B: 약물 용기
F: 공기 흐름
N: 주사 바늘
T: 주사 튜브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laims (8)

  1.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 약물이 지정된 경로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약물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로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약물 용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물 가압 유닛;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펌프; 상기 팽창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1 배관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는 제1 펌핑 유닛;을 구비하며,
    미리 정한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펌프; 상기 팽창부 중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배관을 포함하는 제2 펌핑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팽창부 중 하나를 팽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 배관; 상기 연결 배관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연결 배관 밸브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 중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나머지 하나의 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팽창부를 팽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1 상류측 밸브; 상기 제1 배관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1 하류측 밸브; 상기 제2 배관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2 상류측 밸브; 상기 제2 배관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하류측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배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류측 밸브와 제1 하류측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관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배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상류측 밸브와 제2 하류측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배관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을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 이내로 가온하는 가온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유닛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발생부;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유도 가열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약물 용기와 연통되어 내부로 약물이 유동하는 주사 튜브를 둘러감쌀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용기는 유연한 재질의 봉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0170155538A 2017-11-21 2017-11-21 약물 주입 장치 KR10198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38A KR101987909B1 (ko) 2017-11-21 2017-11-21 약물 주입 장치
US16/765,548 US11793932B2 (en) 2017-11-21 2018-11-13 Medicine injection device
PCT/KR2018/013814 WO2019103386A1 (ko) 2017-11-21 2018-11-13 약물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38A KR101987909B1 (ko) 2017-11-21 2017-11-21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88A KR20190057988A (ko) 2019-05-29
KR101987909B1 true KR101987909B1 (ko) 2019-06-11

Family

ID=6663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538A KR101987909B1 (ko) 2017-11-21 2017-11-21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93932B2 (ko)
KR (1) KR101987909B1 (ko)
WO (1) WO2019103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9423B2 (ja) * 2019-07-02 2024-04-02 インパクト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熱電モジュールを備えた薬物注入装置
CN113350191B (zh) * 2021-05-13 2022-10-04 山西医科大学第一医院 一种避免流食溢出的智能化重症患者进食装置
EP4137183A4 (en) * 2021-07-07 2023-08-09 Impact Korea Co., Ltd. DRUG THERMOSTAT ATTACHABLE TO/DETACHABLE FROM A DRUG PRESSUR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625514B1 (ko) * 2021-08-30 2024-01-1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수액주머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281A (ja) * 2004-08-16 2006-02-23 Daiken Iki Kk 薬液加圧注入装置
JP2010099406A (ja) 2008-10-27 2010-05-06 Jms Co Ltd 半固形化栄養剤の注入装置
JP2017018781A (ja) * 2003-04-23 2017-01-26 バレリタ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長い持続時間の医薬投与のための液圧作動式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402A1 (de) * 1997-01-24 1998-07-30 Beyersdorf Friedhelm Univ Prof Verfahren und Reperfusionsvorrichtung
US7819835B2 (en) * 2007-08-07 2010-10-26 Belmont Instrument Corporation Hyperthermia, system, method and components
CN104667361B (zh) * 2015-03-13 2016-02-03 李唯 一种热平衡式循环管路系统
KR101715691B1 (ko) * 2015-10-20 2017-03-2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충전된 정량의 약액을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약액주입장치
KR101705236B1 (ko) * 2016-01-11 2017-02-10 (주)이화바이오메딕스 벌룬형 약액 주입기
JP7459423B2 (ja) * 2019-07-02 2024-04-02 インパクト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熱電モジュールを備えた薬物注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8781A (ja) * 2003-04-23 2017-01-26 バレリタ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長い持続時間の医薬投与のための液圧作動式ポンプ
JP2006051281A (ja) * 2004-08-16 2006-02-23 Daiken Iki Kk 薬液加圧注入装置
JP2010099406A (ja) 2008-10-27 2010-05-06 Jms Co Ltd 半固形化栄養剤の注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386A1 (ko) 2019-05-31
US11793932B2 (en) 2023-10-24
KR20190057988A (ko) 2019-05-29
US20220409807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909B1 (ko) 약물 주입 장치
US4270533A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for delivering liquid under pressure
JP6326564B2 (ja) 中高圧パルス状ジェットの発生装置
US7951112B2 (en) Pump module for use in a medical fluid dispensing system
AU658825B2 (en) Valve system with removable fluid interface
EP2254616B1 (en) Disposable fluid handling cassette for peritoneal dialysis
US5429485A (en) Plural inlet pumping cassette with integral manifold
US5219331A (en) Pumping system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a secondary treatment fluid
KR101821427B1 (ko) 투석기
KR880013614A (ko) 유체 공급 카세트를 가진 유체 투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패키징 방법
US20090246035A1 (en) Pump Module Fluidically Isolated Displacement Device
US9827370B2 (en) Device for injecting a liquid product comprising two half-shells rotatably mobi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2657038B1 (ko) 열전 모듈을 구비한 약물 주입 장치
CN109172936A (zh) 一种便携式输液装置
US20220387698A1 (en) Self-pressurizing fluid delivery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625514B1 (ko) 수액주머니
JPH09262288A (ja) 薬液注入装置
JPH09262286A (ja) 点滴方法及び点滴装置並びに点滴容器
JPH09262287A (ja) 薬液注入装置
CN203315439U (zh) 滴液管路自动切换装置
JP2000042088A (ja) 医療用容器
JP2006223570A (ja) 医療用容器
JPH05176997A (ja) インフューザ
TW202208008A (zh) 預填充藥液抽吸組件、其製造方法及預填充藥液注入裝置
JPH09262285A (ja) 薬液注入装置及び薬液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