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271A -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유닛 - Google Patents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271A
KR20230113271A KR1020237005276A KR20237005276A KR20230113271A KR 20230113271 A KR20230113271 A KR 20230113271A KR 1020237005276 A KR1020237005276 A KR 1020237005276A KR 20237005276 A KR20237005276 A KR 20237005276A KR 20230113271 A KR20230113271 A KR 20230113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power
pai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마키타니
다로 우에노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샤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샤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샤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1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89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the control circuit and the output circuit
    • H03K17/69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the control circuit and the output circuit using transformer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2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being switch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6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for load balancing, symmetrisation, or sha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8Modifications for indicating state of swit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9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bipolar semiconductor switches with more than two PN-junctions, or more than three electrodes, or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과제] 전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동기시켜, 전원 시스템을 안정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2 이상의 전원 유닛(10~13)을 구비하고, 전원 유닛(10~13)이 협동하여 공유의 부하(22)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100)으로서, 전원 유닛(10~13)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주회로(30)와, 전원 주회로(30)를 제어하는 제어부(36)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ZCL)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동기 단자(Z1, Z2)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ZCL) 사이를 도통시켜 트리거 신호 TG를 출력하는 송신부(35)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ZCL)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하여, 트리거 신호 TG를 수신하는 수신부(35)를 구비하고, 전원 주회로(30)는 트리거 신호 TG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유닛
본 발명은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유닛과 관련되고, 더 자세하게는,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각 전원 유닛이 협동하여 공유의 부하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이상의 전원 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공통의 부하에 대해 각 전원 유닛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 이런 종류의 전원 시스템에서는,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의 전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파워 컨디셔너 등의 동작 테스트에 있어서, 배터리, 태양 전지판 등을 시뮬레이트하는 모의 전원으로서, 이러한 전원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2 이상의 전원 유닛의 동작 타이밍에 어긋남이 발생했을 경우, 출력이 불안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원 시스템이 출력을 개시할 때, 각 전원 유닛의 출력 개시 타이밍에 어긋남이 발생했을 경우,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각 전원 유닛에 대해, 출력 개시 지령을 디지털 통신으로 전달했을 경우, 무시할 수 없는 출력 개시 타이밍의 어긋남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9-148032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14-147196호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동기시켜, 전원 시스템을 안정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러한 전원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시스템은,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이 협동하여 공유의 부하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주회로와, 상기 전원 주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동기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를 도통시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주회로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2 이상의 전원 유닛의 출력 개시 동작을 동기시킬 수 있어, 출력 개시시에 있어서의 전원 시스템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2 이상의 전원 유닛 중, 미리 정해진 1개의 상기 전원 유닛이,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는, 포토 커플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은, 상기 포토 커플러에 의해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높은 노이즈 내성을 가져,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전원 주회로가, 상기 트리거 신호의 엣지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유닛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다른 전원 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다른 전원 유닛과 협동하여 공유의 부하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주회로와, 상기 전원 주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동기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를 도통시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하여,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주회로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동기시켜, 전원 시스템을 안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전원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원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원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원 유닛(10~13)의 상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동기 처리부(35)의 상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전원 시스템(100)의 출력 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마스터 유닛(MU)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슬레이브 유닛(SU)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원 시스템(10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원 시스템(1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실시 형태 1.
(1) 전원 시스템(100)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원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 시스템(100)은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21)을 원하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22)에 공급하는 전원 장치이다.
전원 시스템(100)은 출력선(PoL)을 통해서 부하(22)에 접속된 2 이상의 전원 유닛(10~13)에 의해 구성된다. 각 전원 유닛(10~13)은 제어 단말(20)로부터의 제어 파라미터 Pr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22)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또, 제어 단말(20)로부터의 제어 파라미터 Pr에 기초하여, 전원 유닛(10~13) 사이에서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각 전원 유닛(10~13)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이며, 유니크한 식별 번호 0~3이 미리 대응지어져 있다. 식별 번호는 전원 유닛(10~13)이 서로를 식별하기 위한 유닛 식별 정보 UID이다. 전원 유닛(10~13)은 유닛 간 통신선(UCL)에 각각 접속되고, 유닛 식별 정보 UID를 이용하여, 임의의 전원 유닛(10~13)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다. 또, 전원 유닛(10~13)은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에 접속되어, 출력 개시 타이밍을 동기시킬 수 있다.
전원 유닛(10~13) 중, 미리 정해진 1개가 마스터 유닛(MU), 그 외가 슬레이브 유닛(SU)이며, 마스터 유닛(MU)만이 제어 단말(2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가장 적은 식별 번호 0이 대응지어진 전원 유닛(10)이 마스터 유닛(MU)이며, 단말 통신선(TCL)을 통해서, 제어 단말(20)로부터 제어 파라미터 Pr을 수신한다. 한편, 그 이외의 전원 유닛(11~13)이 슬레이브 유닛(SU)이며, 유닛 간 통신선(UCL)을 통해서, 마스터 유닛(MU)으로부터 제어 파라미터 Pr을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유닛(MU) 및 슬레이브 유닛(SU)은, 출력 개시 전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의 각 전원 유닛(10~13)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며, 출력 개시 후의 각 전원 유닛(10~13)은, 마스터 유닛(MU) 및 슬레이브 유닛(SU)의 구별없이 동작한다.
제어 단말(20)은 전원 시스템(100)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전원 유닛(10~13)의 제어 파라미터 Pr을 생성하여, 마스터 유닛(MU)으로 송신한다. 제어 파라미터 Pr은, 예를 들면,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생성 및 출력된다. 예를 들면, 전용 프로그램을 인스톨한 PC를 제어 단말(20)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단말 통신선(TCL)은 제어 단말(20) 및 마스터 유닛(MU) 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로이다. 제어 단말(20)과의 통신에는, 예를 들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을 송수신하는 패킷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할 수도 있다.
유닛 간 통신선(UCL)은 전원 유닛(10~13) 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유선의 통신로이다. 유닛 간 통신에는, 예를 들면, CAN(Controller Area Network) 규격과 같은 멀티 마스터 버스 통신 방식이 채용되고, 임의의 전원 유닛(10~13)으로부터 임의의 전원 유닛(10~13)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동기 통신선(ZCL)은 출력 개시를 나타내는 트리거 신호를 전달하는 유선의 통신로이며, 포토 커플러를 개재시키고, 전원 유닛(10~13)으로부터 절연된 한 쌍의 신호선에 의해 구성된다.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은 도통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를 천이 가능하고, 트리거 신호는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사이를 일정한 시간폭으로 도통시키는 펄스 신호이며, 마스터 유닛(MU)(전원 유닛(10))으로부터 모든 슬레이브 유닛(SU)(전원 유닛(11~13))으로 전달된다.
(2) 전원 유닛(10~13)
도 2는 전원 유닛(10~13)의 상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 유닛(10~13)은 전원 주회로(30), 전압 검출부(301), 전류 검출부(302), 단말 통신부(31), 유닛 간 통신부(32), PWM 구동부(33), 파라미터 기억부(34), 동기 처리부(35) 및 제어부(36)를 구비한다.
A) 전원 주회로(30)
전원 주회로(30)는 입력 단자(Pi)를 통해서 전력 계통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Po)를 통해서 부하(22)로 출력하는 회로이다. 전원 주회로(30)의 동작은 제어 파라미터 Pr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동작 모드가 정전류 동작(CC:Constant Current)이면, 출력 전류가 목표값 Cr과 일치하도록 동작하고, 정전압 동작(CV:Constant Voltage)이면, 출력 전압 Vo가 목표값 Cr과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목표값 Cr은 정전류 동작에 있어서의 목표 전류 Iref 또는 정전압 동작에 있어서의 목표 전압 Vref이다.
전원 주회로(30)는 교류 전력 및 직류 전력을 쌍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쌍방향 전원(회생 전원)이며,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22)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행 동작을 행할 뿐만 아니라, 부하(22)의 상황에 따라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22)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회생 동작도 행할 수도 있다.
전원 주회로(30)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40)와, 입출력 간을 절연하는 절연 트랜스(41)와, 출력 전압 Vo를 제어하는 승강압 DC/DC 컨버터(42)에 의해 구성된다.
AC/DC 컨버터(40)는 교류 전력 및 직류 전력을 쌍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쌍방향 변환기이며, 예를 들면, 쓰리 스테이트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절연 트랜스(41)는 1차측과 2차측의 사이에 있어서 절연을 확보하면서 직류 전력을 쌍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쌍방향 DC/DC 컨버터이며, 트랜스(412)와, 트랜스(412)의 1차측에 접속된 DC/AC 컨버터(411)와, 트랜스(412)의 2차측에 접속된 AC/DC 컨버터(413)에 의해 구성된다. AC/DC 컨버터(4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는, DC/AC 컨버터(411)에서 교류로 변환되어, 트랜스(412)를 통과한 후, AC/DC 컨버터(413)에서 다시 직류로 변환된다. 트랜스(412)를 통과하는 교류를 고주파로 함으로써, 소형의 트랜스를 이용하여 절연할 수 있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승강압 DC/DC 컨버터(42)는 제어 파라미터 Pr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 Vo를 제어하는 쌍방향 DC/DC 컨버터이며, 예를 들면, 스위칭 회로(421) 및 인덕턴스(422)로 구성되는 쵸퍼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421)는 직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고, 인덕턴스(422)의 일단은 해당 2개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2개의 스위칭 소자는 PWM 구동부(33)로부터의 PWM 신호에 기초하여, 일방이 온이고 타방이 오프가 되는 상태와, 일방이 오프이고 타방이 온이 되는 상태를 교호로 반복하도록 동작하여, 그 듀티비에 따른 출력 전압 Vo를 생성한다.
B) 전압 검출부(301), 전류 검출부(302)
전압 검출부(301)는 전원 주회로(30)의 출력 전압 Vo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전압 검출부(301)의 검출값은, 검출 전압 Vdet로서 제어부(36)에 입력된다. 전류 검출부(302)는 전원 주회로(30)의 출력 전류 Io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전류 검출부(302)의 검출값은 검출 전류 Idet로서 제어부(36)에 입력된다.
C) 단말 통신부(31)
단말 통신부(31)는 단말 통신선(TCL)을 통해서, 제어 단말(20)과 통신하는 패킷 통신 수단이다. 마스터 유닛(MU)의 단말 통신부(31)는, 제어 파라미터 Pr을 제어 단말(20)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36)로 출력한다. 슬레이브 유닛(SU)의 단말 통신부(31)는 사용되지 않고, 마스터 유닛(MU)의 단말 통신부(31)는, 마스터 유닛(MU)의 제어 파라미터 Pr 뿐만이 아니라, 슬레이브 유닛(SU)의 제어 파라미터 Pr도 취득한다.
D) 유닛 간 통신부(32)
유닛 간 통신부(32)는 유닛 간 통신선(UCL)을 통해서, 전원 유닛(10~13)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유닛 간 통신에서는, 임의의 전원 유닛(10~13)이 유닛 간 통신선(UCL) 상에 송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에는, 송신원 또는 송신처의 유닛 식별 정보 UID가 포함되고, 각 전원 유닛(10~13)은 유닛 간 통신선(UCL) 상의 송신 데이터를 감시하여, 송신원 또는 송신처의 유닛 식별 정보 UID에 기초하여 자유닛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슬레이브 유닛(SU)의 제어 파라미터 Pr은, 유닛 간 통신에 의해, 마스터 유닛(MU)으로부터 슬레이브 유닛(SU)으로 송신된다. 또, 각 전원 유닛(10~13)에서 검출된 검출 전류 Idet 및 검출 전압 Vdet는 밸런스 정보 Bi로서, 유닛 간 통신에 의해, 다른 전원 유닛(10~13)으로 송신된다.
E) PWM 구동부(33)
PWM 구동부(33)는 제어부(36)가 생성하는 구동 신호 Dr에 기초하여, PWM(Pulse Wide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회로(421)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전원 주회로(30)는 구동 신호 Dr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F) 파라미터 기억부(34)
파라미터 기억부(34)는 제어부(36)가 참조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며, 제어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제어 파라미터 Pr을 유지한다. 제어 파라미터 Pr에는, 동작 모드 정보 Cm, 목표값 Cr 및 밸런스 조정처 정보 Cb가 포함된다.
동작 모드 정보 Cm은 전원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으로서, 정전류 동작(CC) 또는 정전압 동작(CV)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각 전원 유닛(10~13)에 공통의 파라미터이다. 목표값 Cr은 정전류 동작(CC) 시에 있어서의 목표 전류 Iref 및 정전압 동작(CV) 시에 있어서의 목표 전압 Vref이다. 밸런스 조정처 정보 Cb는 밸런스 조정을 행할 때 참조하는 1 또는 2 이상의 다른 전원 유닛(10~13)의 식별 번호이다. 밸런스 조정처 정보 Cb는, 제어 단말(20)에 있어서, 유저가 유닛 구성 및 동작 모드를 지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밸런스 조정을 의식하는 일 없이, 전원 시스템(100)을 구축할 수 있다.
G) 동기 처리부(35)
동기 처리부(35)는 전원 유닛(10~13)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동기 통신 단자(Z1, Z2)를 통해서, 동작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트리거 신호 TG를 송수신한다.
동기 처리부(35)는 동기 통신선(ZCL)에 대해 트리거 신호 TG를 출력할 수 있고, 동기 통신선(ZCL) 상의 트리거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트리거 신호 TG는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사이의 도통 상태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때문에, 모든 전원 유닛(10~13)에 있어서 트리거 신호 TG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노이즈 내성을 가져,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마스터 유닛(MU)의 동기 처리부(35)는, 제어부(36)로부터 트리거 송신 신호 sTG가 입력되면,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에 트리거 신호 TG를 출력한다. 한편, 마스터 유닛(MU) 및 슬레이브 유닛(SU)의 각 동기 처리부(35)는, 동기 통신선(ZCL)을 감시하고, 트리거 신호 TG를 검출하면, 트리거 수신 신호 rTG를 제어부(36)로 출력한다.
H) 제어부(36)
제어부(36)는 검출 전압 Vdet 또는 검출 전류 Idet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을 생성하여, PWM 구동부(33)를 통해서, 전원 주회로(30)를 제어한다. 또, 단말 통신부(31) 및 유닛 간 통신부(32)를 제어하여, 제어 단말(20) 및 다른 전원 유닛(10~13)과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또한, 동기 처리부(35)를 제어하여, 전원 유닛(10~13) 사이에서의 출력 개시 타이밍의 동기 제어를 행한다.
(3) 동기 처리부(35)의 상세 구성
도 3은 동기 처리부(35)의 상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기 처리부(35)는 2개의 동기 단자(Z1, Z2)를 가지고, 2 이상의 전원 유닛(10~13)은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을 이용하여, 단자(Z1)끼리, 단자(Z2)끼리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동기 처리부(35)는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사이를 도통시킴으로써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고, 또, 동기 통신선(ZCL)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다.
동기 처리부(35)는 2개의 포토 커플러(51, 52)를 구비한다. 포토 커플러(51)는 트리거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용 포토 커플러이며, 포토 커플러(52)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용 포토 커플러이다.
송신용 포토 커플러(51)는 제어부(36)로부터의 트리거 송신 신호 sTG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 소자(511)와, 발광 소자(511)의 발광시에 단자(Z1, Z2) 간을 도통시키는 수광 소자(512)를 구비한다. 트리거 송신 신호 sTG가 입력되고 있지 않을 때, 단자(Z1, Z2) 간은 비도통이 되는 한편, 제어부(36)로부터 트리거 송신 신호 sTG가 입력되고 있을 때, 단자(Z1, Z2) 간이 도통된다.
수신용 포토 커플러(52)는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간의 도통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 소자(521)와, 발광 소자(521)의 발광시에 트리거 수신 신호 rTG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52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간이 비도통일 때, 트리거 수신 신호 rTG는 출력되지 않는 한편,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간이 도통되어 있을 때, 트리거 수신 신호 rTG가 제어부(36)로 출력된다.
모든 전원 유닛(10~13)의 단자(Z1, Z2)는,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을 통해서 각각 접속되고 송신용 포토 커플러(51)의 수광 소자(512)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느 1개의 전원 유닛(10~13)으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송신되면,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이 도통된다. 수신용 포토 커플러(52)의 발광 소자(521)는 송신용 포토 커플러(51)의 수광 소자(512)와 직렬로 접속되어,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 사이의 도통 또는 비도통의 상태를 검출하여, 트리거 수신 신호 rTG를 생성한다.
도 4는 전원 시스템(100)의 출력 개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면 중의 (a)는 마스터 유닛(MU) 내의 트리거 송신 신호 sTG, (b) 및 (c)는 각 전원 유닛(10~13)의 트리거 수신 신호 rTG 및 구동 신호 Dr이다. 여기에서는, 동작 모드가 정전압(CV) 동작이며, 출력 전압 Vo를 목표 전압 Vref와 일치시키도록 출력 제어가 행해진다. 또, 출력 개시시에는, 소정의 시간 또는 변화율로 출력 전압 Vo를 변화시킨 후에 목표 전압 Vref에 도달시키는 소프트 스타트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마스터 유닛(MU) 및 슬레이브 유닛(SU)은, 모두 트리거 수신 신호 rTG에 기초하여 전원 출력을 개시한다.
마스터 유닛(MU)은 유닛 간 통신부(32)가, 제어 파라미터 Pr을 모든 슬레이브 유닛(SU)으로 송신한 후, 제어부(36)가 트리거 송신 신호 sTG를 생성하고, 동기 처리부(35)가 동기 통신선(ZCL)으로 트리거 신호 TG를 출력한다. 트리거 송신 신호 sTG는 소정폭의 펄스 신호로서 생성된다.
마스터 유닛(MU) 및 슬레이브 유닛(SU)에서는, 한 쌍의 동기 통신선(ZCL)이 도통되면, 동기 처리부(35)가 트리거 수신 신호 rTG를 생성하여, 제어부(36)로 출력한다. 제어부(36)는 트리거 수신 신호 rTG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의 출력을 개시하고, 전원 주회로(30)가 전원 출력을 개시한다. 도면 중에서는, 트리거 수신 신호 rTG의 개시 엣지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을 출력하고 있지만, 트리거 수신 신호 rTG의 종료 엣지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을 출력할 수도 있다.
트리거 수신 신호 rTG는 트리거 송신 신호 sTG와 같은 펄스 신호이며, 트리거 송신 신호 sTG 보다도 지연 시간 tD만큼 지연된다. 지연 시간 tD는 주로 포토 커플러(51, 52)의 지연 시간이며, 수십 마이크로초 정도이다. 이 때문에, 제어부(36)에 의한 제어 주기, 예를 들면 250마이크로초와 비교해도 충분히 짧은 시간이며, 무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닛 간 통신선(UCL)을 통한 디지털 통신에 의해, 전원 유닛(10~13) 사이에서 출력 개시 지령을 전달했을 경우, 통신 시간은 지연 시간 tD 보다도 훨씬 더 길어짐과 아울러, 통신 시간에 편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전원 유닛(10~13)의 출력 개시 타이밍에 의미가 있는 차이가 생겨, 출력 개시시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 동기 통신선(ZCL)을 통해서 트리거 신호를 신속하게 전송함으로써, 전원 출력의 개시 타이밍을 거의 동기시킬 수 있어, 출력 개시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완전히 마찬가지로 하여, 출력 중에 목표값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동기 통신선(ZCL)을 통해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원 유닛(10~13)의 출력 변경 타이밍을 거의 동기시킬 수 있어, 출력 변경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트리거 신호를 도통 또는 비도통의 상태로서 전달함으로써, 노이즈 내성을 향상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토 커플러를 개재시킴으로써, 노이즈 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토 커플러(51, 52)의 지연 시간 tD는, 매우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마스터 유닛(MU)에서는, 트리거 수신 신호 rTG가 아니라, 트리거 송신 신호 sTG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을 출력할 수도 있다.
(4) 출력 개시시의 동작
도 5의 스텝 S101~S106은, 마스터 유닛(MU)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는 제어 단말(20)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요구에 의해 개시된다.
단말 통신부(31)가 단말 통신선(TCL)을 통해서, 제어 단말(20)로부터 제어 파라미터 Pr을 수신한다(스텝 S101). 수신 데이터 중, 마스터 유닛용의 제어 파라미터 Pr은 파라미터 기억부(34)에 격납되고, 슬레이브 유닛용의 제어 파라미터 Pr은, 유닛 간 통신부(32)가 유닛 간 통신선(UCL)을 통해서 각 슬레이브 유닛(SU)으로 송신한다(스텝 S102). 제어 파라미터 Pr을 수신한 각 슬레이브 유닛(SU)은, 마스터 유닛(MU)에 데이터 수신의 확인 회신을 송신한다.
유닛 간 통신부(32)는 각 슬레이브 유닛(SU)으로부터 확인 회신을 수신한다. 모든 슬레이브 유닛(SU)으로부터 확인 회신을 수신한 후, 동기 처리부(35)가 동기 통신선(ZCL)으로 트리거 신호 TG를 송신한다(스텝 S103, S104). 해당 트리거 신호 TG를 동기 처리부(35)가 수신하면, 제어부(36)가 구동 신호 Dr을 생성하여, 전원 주회로(30)가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S105, S106).
도 6의 스텝 S201~S204는, 슬레이브 유닛(SU)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는 마스터 유닛(MU)으로부터의 제어 파라미터 Pr의 송신에 의해 개시된다.
유닛 간 통신부(32)가 마스터 유닛(MU)으로부터 제어 파라미터 Pr을 수신한다(스텝 S201). 수신한 제어 파라미터 Pr은 파라미터 기억부(34)에 격납되고, 마스터 유닛(MU)에 대해, 수신의 확인 회신을 송신한다(스텝 S202). 그 후, 동기 처리부(35)가 트리거 신호 TG를 수신하면, 제어부(36)가 구동 신호 Dr을 생성하여, 전원 주회로(30)가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S203, S204).
실시 형태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통신선(ZCL)을 통해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 유닛(10~13)의 출력 개시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전원 시스템(100)의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통신선(ZCL)을 이용하여, 임의의 전원 유닛(10~13)에 있어서의 이상 발생을 다른 전원 유닛(10~13)으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 시스템(100)이 부하(22)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을 때, 2 이상의 전원 유닛(10~13) 중 어느 것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예를 들면, 이상한 온도 상승이 검출되었을 경우, 해당 전원 유닛(10~13)의 출력 저하에 의해, 다른 전원 유닛(10~13)에 과대한 부하가 걸려, 정상인 전원 유닛(10~13)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전원 출력 중의 전원 유닛(10~13) 중 어느 것에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모든 전원 유닛(10~13)의 출력 동작을 신속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동기 통신선(ZCL)을 이용하고, 고장난 전원 유닛(10~13)으로부터 정상인 전원 유닛(10~13)으로 에러 신호 ER을 전송함으로써, 모든 전원 유닛(10~13)의 출력을 신속하게 정지시킨다. 에러 신호 ER은 출력 개시용의 트리거 신호 TG와 구별 가능한 신호로서, 동기 신호선(ZCL)으로 송신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원 시스템(10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면 중의 (a)~(d)에는 전원 유닛(10~13)의 동기 처리부(35)에 입력되는 트리거 송신 신호 sTG가 나타내지고, (e)에는 각 전원 유닛(10~13)의 구동 신호 Dr이 나타내지고 있다. 전원 시스템(100)의 구성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트리거 신호 TG는 마스터 유닛(MU)만이 송신하는 신호인데 대해, 에러 신호 ER은 마스터 유닛(MU) 또는 슬레이브 유닛(SU)에 관계없이, 임의의 전원 유닛(10~13)이 송신 가능한 신호이다. 또, 트리거 신호 TG는 출력 개시를 위한 신호이며, 전원의 출력 개시 전에 송신되는데 대해, 에러 신호 ER은 이상의 발생을 알림과 아울러, 출력을 정지하기 위한 신호이며, 전원의 출력 중에 송신된다.
트리거 신호 TG와 에러 신호 ER은, 신호 출력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구별된다. 예를 들면, 에러 신호 ER의 펄스폭 wER은 트리거 신호 TG의 펄스폭 wTG 보다도 길고, 동기 통신선(ZCL) 상에 어느 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 그 계속 시간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 TG 또는 에러 신호 ER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마스터 유닛(MU)(UID=0)이 트리거 신호 TG를 출력했을 경우, 각 슬레이브 유닛(SU)(UID=1~3)은 신호 계속 시간이 wTG이기 때문에, 그 신호가 트리거 신호 TG라고 판별할 수 있다. 각 전원 유닛(10~13)의 제어부(36)는 트리거 수신 신호 rTG의 종료 엣지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을 생성하고, 전원 주회로(30)가 출력을 개시한다.
전원 출력 중의 슬레이브 유닛(SU)(UID=2)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전원 유닛(13)으로부터 에러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의 계속 시간이 wER이기 때문에, 그 신호가 에러 신호 ER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각 전원 유닛(10~13)의 제어부(36)는 에러 신호 ER의 종료 엣지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 Dr의 생성을 정지하고, 전원 주회로(30)가 출력을 정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전원 시스템(1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면 중의 (a)~(d)에는 전원 유닛(10~13)의 동기 처리부(35)에 입력되는 트리거 송신 신호 sTG가 나타내지고, (e)에는 각 전원 유닛(10~13)의 구동 신호 Dr이 나타내지고 있다.
트리거 신호 TG와 에러 신호 ER은, 펄스 신호의 연속 출력 횟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구별된다. 예를 들면, 트리거 신호 TG 및 에러 신호 ER을 구성하는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하지만, 트리거 신호 TG가 충분한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되는 단일 펄스인데 대해, 에러 신호 ER은 2개의 펄스 신호가 짧은 인터벌 시간 tB를 두고 연속 출력된다.
트리거 신호 TG 및 에러 신호 ER을 수신하는 전원 유닛(10~13)은, 1개의 펄스 신호를 검출한 후, 인터벌 시간 tB를 더 경과한 후에, 트리거 신호 TG 또는 에러 신호 ER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기 통신선(ZCL)을 통해서, 트리거 신호 TG 뿐만이 아니라, 에러 신호 ER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전원 유닛(10~13)에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모든 전원 유닛의 출력을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 정상인 전원 유닛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러 신호 ER을 트리거 신호 TG와 구별 가능한 신호로서 전원 유닛(10~13) 사이에서 전송함으로써,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100 전원 시스템
10~13 전원 유닛
20 제어 단말
21 교류 전원
22 부하
30 전원 주회로
301 전압 검출부
302 전류 검출부
31 단말 통신부
32 유닛 간 통신부
33 PWM 구동부
34 파라미터 기억부
35 동기 처리부
36 제어부
41 절연 트랜스
412 트랜스
421 스위칭 회로
422 인덕턴스
42 승강압 DC/DC 컨버터
51 송신용 포토 커플러
52 수신용 포토 커플러
Bi 밸런스 정보
Pr 제어 파라미터
Cm 동작 모드 정보
Cr 목표값
Cb 밸런스 조정처 정보
Dr 구동 신호
Idet 검출 전류
Io 출력 전류
Iref 목표 전류
Vdet 검출 전압
Vo 출력 전압
Vref 목표 전압
MU 마스터 유닛
SU 슬레이브 유닛
TCL 단말 통신선
UCL 유닛 간 통신선
ZCL 동기 통신선
TG 트리거 신호
rTG 트리거 수신 신호
sTG 트리거 송신 신호

Claims (5)

  1. 2 이상의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이 협동하여 공유의 부하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주회로와,
    상기 전원 주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동기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를 도통시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주회로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원 유닛 중, 미리 정해진 1개의 상기 전원 유닛이,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는, 포토 커플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은, 상기 포토 커플러에 의해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주회로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엣지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5. 다른 전원 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다른 전원 유닛과 협동하여 공유의 부하에 대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주회로와,
    상기 전원 주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한 쌍의 동기 신호선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동기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를 도통시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한 쌍의 동기 신호선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하여,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주회로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출력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닛.
KR1020237005276A 2021-01-27 2021-01-27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유닛 KR202301132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02748 WO2022162764A1 (ja) 2021-01-27 2021-01-27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71A true KR20230113271A (ko) 2023-07-28

Family

ID=8121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276A KR20230113271A (ko) 2021-01-27 2021-01-27 전원 시스템 및 전원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6880A1 (ko)
EP (1) EP4287431A1 (ko)
JP (1) JP7033244B1 (ko)
KR (1) KR20230113271A (ko)
CN (1) CN116134690A (ko)
WO (1) WO20221627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8032A (ja) 2007-12-12 2009-07-02 Tdk-Lambda Corp 並列電源システム
JP2014147196A (ja) 2013-01-29 2014-08-14 Myway Corp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88Y2 (ja) * 1987-10-05 1994-04-06 横河電機株式会社 並列運転電源装置
JP3028205B2 (ja) * 1996-09-18 2000-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およ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7158573B2 (en) * 2003-05-29 2007-01-02 Tdk Semiconductor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 duplex signaling across a transformer
JP4729331B2 (ja) * 2005-04-18 2011-07-20 コーセル株式会社 多重電源システム
US8552704B2 (en) * 2011-04-05 2013-10-08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urrent share compensation design
WO2013136475A1 (ja) * 2012-03-14 2013-09-19 富士通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投入制御方法
JP2014117065A (ja) * 2012-12-10 2014-06-26 Sansha Electric Mfg Co Ltd 並列運転電源装置
JP6489700B2 (ja) * 2016-01-14 2019-03-27 コーセル株式会社 電源装置
JP6835676B2 (ja) * 2017-07-05 2021-02-24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源システム、電源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8032A (ja) 2007-12-12 2009-07-02 Tdk-Lambda Corp 並列電源システム
JP2014147196A (ja) 2013-01-29 2014-08-14 Myway Corp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7431A1 (en) 2023-12-06
JP7033244B1 (ja) 2022-03-10
CN116134690A (zh) 2023-05-16
WO2022162764A1 (ja) 2022-08-04
US20240006880A1 (en) 2024-01-04
JPWO2022162764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303B2 (en) Isolated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data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ides
US8854842B2 (en) Digital communication link between secondary side and primary side of switching power converter
KR101503626B1 (ko) 전력선 접속부를 통해 전력 공급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동식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817067B (zh) 具有低待机损耗的灯操作装置用的接口
WO2010112094A1 (en) Current share configuration in a power converter system
EP2541428B1 (en) Parallel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56967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
EP2800236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witching method
US11082004B2 (en) Shutdow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6218752B2 (ja) 電力伝送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7370482B2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ユニット
CN100544263C (zh) 一种远程供电系统和其上电控制方法
US12088421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JP7033244B1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ユニット
JP7033245B1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ユニット
WO2017081576A1 (en) Emergency power supply for lighting apparatus
KR101141038B1 (ko) Can 통신을 이용한 병렬 구성된 d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JP5369010B2 (ja) 通信システム
CN111835214B (zh) 用于电源转换器的主控制器和从控制器间的收发指令方法
JP5792704B2 (ja) 電源装置と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JPH07245963A (ja) マグネトロン駆動回路
JP3191612U (ja) 過電圧保護機能を具える電源供給装置
JP2016139956A (ja) トリガ信号入出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