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131A -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 - Google Patents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31A
KR20230113131A KR1020220140291A KR20220140291A KR20230113131A KR 20230113131 A KR20230113131 A KR 20230113131A KR 1020220140291 A KR1020220140291 A KR 1020220140291A KR 20220140291 A KR20220140291 A KR 20220140291A KR 20230113131 A KR20230113131 A KR 2023011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composition
carboxymethylcellulose
weight
magnesium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호
성민재
장경선
Original Assignee
(주)티케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케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티케이이엔에스
Publication of KR2023011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containing halogens, e.g. ha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은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조성비 및 제원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높은 흡습율 및 낮은 방출율을 가지며, 흡습에 따른 부피변화를 억제하여 최대 흡습 후 팽창율 및 경도가 낮도록 유지함으로써 포장용기 및 제습대상제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A composition of moisture absorbent for car lamp and moisture absorbing products for car lamp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조성비 및 제원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흡습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동시에 흡습된 수분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흡습에 따른 부피변화를 억제하여 최대 흡습 후 팽창율을 낮추고, 나아가 포장에 따른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습체의 경도를 낮게 유지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흡습제는 공기 중 습기를 흡습하는 것으로, 포장 수단에 의해 보관된 물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주로 금속 기계, 반도체, 의약품 및 식품 등 습기에 민감하거나 취약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흡습제품은 포장 필름 내부에 흡습 성분을 내입하고 밀봉하여 이루어진다. 흡습제품의 흡습 성능은 내입된 흡습성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이때, 흡습된 수분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자동차의 램프는 우천 시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부품 내외부의 온도차가 큰 경우, 갑자기 램프 렌즈의 온도가 낮아지면, 램프 내부의 수분이 응축되어 렌즈 내부 표면에 미세한 물방울이 맺혀 결로가 발생된다. 이로 인한 광산란 현상은 자동차 안전 운행에 큰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수분에 의해 램프에 실장된 부품들의 내구성이 약화되어 램프 오작동 등 불량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자동차 산업에서는 렌즈 내부에 방담 코팅을 실시하거나 램프 내부에 벤토나이트계 제습제를 적용했었다. 하지만, 방담 코팅은 자외선이나 온도, 습도에 의해백화나 흐름 현상과 같은 열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자동차 램프 조립체 전체를 교환해야 하고 그로 인한 비용 부담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벤토나이트계 제습제는 흡습량이 작고, 운전 시 고온 환경에서 수분을 방출하여 오히려 램프 결로에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염화칼슘 또는 염화마그네슘으로 구성된 흡습제의 경우에는 흡습성은 강하지만 흡습 후 액상태의 흡습액이 외부로 유출되어 램프 내부 부품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화칼슘 또는 산화마그네슘과 혼합하는 방법도 제시되었으나, 산화칼슘과 산화마그네슘은 흡습 시 콘크리트화로 경화되며 이때 부피 팽창과 초과 흡습된 수분은 그대로 액상으로 남게 되어 유출에 따른 손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용기에 내입되어 있는 흡습제는 습기를 흡습하면서 부피가 팽창되는데, 용기 내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흡습제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흡습제 내부에 흡습되어 있던 액상의 흡습액이 포장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흡습에 따른 팽창율을 최소화하는 특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특성도 함께 보유하는 새로운 기능의 흡습제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8825호 (2015년 05월 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조성비 및 제원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높은 흡습율 및 낮은 방출율을 가지며, 흡습에 따른 부피변화를 억제하여 최대 흡습 후 팽창율 및 경도가 낮도록 유지함으로써 포장용기 및 제습대상제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염화마그네슘 20 내지 55 중량%, 산화마그네슘 20 내지 5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5 내지 25 중량%, 충전재 1 내지 10 중량% 및 분산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입경이 50 내지 100㎛, 부피밀도가 0.5 내지 0.6 g/㎖이며,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카르복실화도가 0.5 내지 1.0이며, 25℃에서의 브룩필드 점도가 3,000 내지 4,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나트륨의 함량이 5 내지 15 중량%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 g/mol인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평균입경이 15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바텀애시, 규산소다 및 탄산칼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글리콜산 공중합체, 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다이옥산온 공중합체, 히드록시부티릭산 공중합체 및 포스포에스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의 흡습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으로, 상기 흡습제품은 50℃,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측정한 흡습율이 각각 230% 이상이며, 완전 흡습 상태 후 80℃, 상대습도 30% 조건에서의 2시간 동안 두었을 때의 방출율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은 최대흡습 후 ASTM-D926에 의거하여 측정한 가소도(Plasticity)가 2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은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조성비 및 제원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높은 흡습율 및 낮은 방출율을 가지며, 흡습에 따른 부피변화를 억제하여 최대 흡습 후 팽창율 및 경도가 낮도록 유지함으로써 포장용기 및 제습대상제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은 염화마그네슘(MgCl2), 산화마그네슘(MgO),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cellulose, CMC) 충전재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높은 조해성을 바탕으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흡습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주변에 물이 없어도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스스로 녹는 자가용해(自家溶解) 현상을 일으키며, 주변의 물과 반응 시 빠른 흡수력으로 속효성을 보인다. 특히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다른 금속염화물에 비해 최대 1.5배 이상 흡습율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원하는 흡습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염화칼슘과 달리 인체 피부독성 및 급성 흡입독성이 적고, 강재(鋼材)의 부식성이 약하여 염화마그네슘의 함량은 높을수록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진다.
여기에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해수에서 소금을 채취한 후의 부산물인 간수의 주성분으로 비교적 수득하기 쉬우며, 우수한 조해성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흡습제 조성물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염화마그네슘이 조해성을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제조공정 중에 건조과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건조공정의 상세 조건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150℃ 이상의 온도로 설정된 오븐에서 건조시키거나 진공건조, 동결건조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염화물은 제조공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8366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염산에 고토석을 침출시킴으로써 제조하되, 40 내지 90℃의 온도, 20 내지 40%의 농도로 제조된 염산에 5 내지 400㎜ 크기로 분쇄된 고토석을 투입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정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과잉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을 여과함으로써 순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 30 내지 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마그네슘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수분의 흡착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조해성 증가로 인해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액상화된 부식생성물이 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수화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금속염화물의 초기 액화현상을 방지하며, 수분에 의해 경화되어 흡습 후 조성물의 겔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바늘 형상의 수화생성물을 형성시켜 초기에 액화된 금속염화물을 흡수시켜 고체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상기 염화마그네슘과 반응하여 고체화 반응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높은 조해성으로 인해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흡습하는 성질이 있어 높은 흡습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조해현상으로 인해 흡습과 동시에 액화현상이 진행되는데, 상기 액화현상을 통해 생성되는 수용액은 부식생성물로 작용하여 방청성을 크게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나 산화마그네슘이 혼합되면 상기 염화마그네슘의 수용액이 산화마그네슘과 마그네시아 시멘트를 형성하여 고체가 되는 수화반응이 진행됨으로써 초기 금속염화물의 조해성을 억제시켜 액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시아 시멘트를 형성하기 위해 조성물은 물을 더욱 더 흡수하게 되며, 그 이후 금속염화물의 조해현상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기존의 금속염화물 또는 실리카겔과는 달리 흡수했던 수분을 재방출하는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청성 또한 향상되게 되며, 경화된 조성물의 강도를 향상시켜 균열이 발생하거나 재분말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마그네슘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소 산화마그네슘, 중소 산화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소 산화마그네슘은 소성 온도 1,000℃ 내외의 온도에서 소성한 화학적 반응성이 살아있는 산화마그네슘이며, 중소 산화마그네슘은 1,450℃이상 소성온도에서 마그네사이트를 소성하여 반응성이 극히 낮게 형성되는 산화마그네슘으로, 사소 산화마그네슘으로도 불린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소성한 산화마그네슘은 마그네사이트를 파쇄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이를 소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소성 과정에서 마그네사이트 내의 탄산마그네슘(MgCO3)이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전환되면서 이산화탄소(CO2)가 빠져나가게 되며, 마그네사이트 내부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면서 수많은 공극이 생성되게 된다.
즉, 산화마그네슘은 소성의 온도나 시간에 따라 비표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염화마그네슘과의 반응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소성의 정도가 다른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경화된 조성물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습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경소 산화마그네슘, 중소 산화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소 산화마그네슘 또는 경소 산화마그네슘과 중소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소 산화마그네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경소 산화마그네슘보다 염화마그네슘과의 반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성물의 조해성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으로 경소 산화마그네슘과 중소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1 내지 6 : 4 내지 9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조성물의 조해성을 제어하기 어렵거나 흡습성의 상승폭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입경이 50 내지 100㎛, 부피밀도가 0.5 내지 0.6 g/㎖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고체화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균입경 및 부피밀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산화마그네슘 입자 사이에 물분자가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물분자의 충전밀도를 가지며 흡습성의 발현을 가속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분자의 충전밀도가 증가하게 되면 물분자와 산화마그네슘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고체화반응을 가속함과 동시에 입자 주위의 흡착수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유동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만 산화마그네슘의 평균입경이나 부피밀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표면장력의 증가로 인해 오히려 물분자와 산화마그네슘 간의 척력이 발생하여 흡습성 및 조해성 억제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성이 크게 저하되여 역시 조해성 억제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 30 내지 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마그네슘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염화마그네슘의 높은 조해성을 억제하기 어려워 방청효과가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급격한 마그네시아 반응으로 인한 고결현상(caking effect)으로 인해 흡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상기 염화마그네슘과 산화마그네슘의 흡습 후 팽창을 억제하고 연성(軟性)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이외에도 다량의 액체를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흡수된 액체를 보유할 수 있는 가교결합을 형성하여 조성물에 높은 흡습성과 낮은 내방출성을 부여할 수 있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셀룰로스 유도체로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친환경 소재인 셀룰로스를 카르복시메틸화(carboxymethylation)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로스는 친수성의 특성으로 인해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은 우수하지만, 흡수된 수분을 보유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지 못하고 저분자량에서도 분자구조적 소수성에 의해 물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흡습제로 사용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이러한 셀룰로스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셀룰로스의 수산기(hydroxyl group)를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로 개질한 후, 금속이온과 반응시켜 금속형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로 변환한 것으로,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셀룰로스 분자에 카르복시메틸기를 도입함으로써 추가의 친수성기 도입 및 분자구조의 확대로 인해 친수성과 흡수성, 수용성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금속형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더더욱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성질로 변화함으로 인해 전체 조성물의 흡습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상기와 같은 특성 이외에도 천연의 물질인 셀룰로스를 개질하여 제조한 셀룰로스 유도체이기 때문에 펄프 등의 원료로도 사용되며, 특히 자연계에서 효소에 의해 글루코스와 같은 당 성분으로 분해되는 생분해 특성을 갖고 있어 폐기 후 신속히 분해되며, 분해 시 오염을 일으킬만한 물질을 내놓지 않기 때문에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상술한 염화마그네슘과 반응하여 조성물의 겔 형성을 돕고, 이를 통해 흡습 후 조성물의 연성과 내방출성을 높이고 팽창율을 낮추는 특성을 가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흡습제 조성물이 흡습을 하게 되면 조성물에 흡습된 수분 내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마그네슘 이온이 존재하게 되는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분산액에서 금속 양이온이 존재할 경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겔화가 진행되며, 특히 마그네슘과 같은 2가 양이온은 1가 양이온에 비해 신속하게 겔화가 진행되어 조성물의 수분 방출을 억제함과 동시에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형상이 쉽게 바뀌는 하이드로겔 특성이 발현된다.
즉,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그 자체로도 수용성과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염화마그네슘이나 산화마그네슘과 함께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수분에 용해 시 함께 용해되는 금속이온에 의해 신속하게 겔화가 진행되어 저장 탄성계수와 손실 탄성계수가 증가한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기 때문에 흡습된 수분을 잡아두는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조해성과 방출성을 동시에 낮출 수 있고, 겔의 특성상 말랑말랑한 연성을 유지하여 흡습 후 팽창에 따른 포장재나 케이스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그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셀룰로스와 알칼리 성분을 용매에 혼합하고 반응하여 알칼리 셀룰로스를 제조한 후, 이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모노클로로아세트산메틸, 모노클로로아세트산에틸, 모노클로로아세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에테르화제와 반응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건조 및 분쇄함으로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흡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습 후 유동성 및 연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르복시기를 금속이온으로 중화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을 특정 범위로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나트륨의 함량을 5 내지 15 중량%으로 조절하여 중화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Na-CM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내 나트륨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할 경우 겔 블로킹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이고 높은 흡습성 및 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 g/mol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용해 후 거동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조성물의 겔 안정성이 하락하여 용출이 발생하거나 흡습 후 점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연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카르복실화도가 0.5 내지 1.0이며, 25℃에서의 브룩필드 점도가 3,000 내지 4,000 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르복실화도는 셀룰로스의 무수글루코스 고리 당 카르복시메틸기의 평균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카르복실화도 및 브룩필드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가 흡습된 수분에 제대로 용해되지 않아 겔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조성물의 조해성 증가로 인해 용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500, 좋게는 100 내지 400, 더욱 좋게는 150 내지 25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평균입경이 제어된 산화마그네슘과의 조합으로 놀랍게도 흡습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조성물 내 성분들간의 화학 반응, 일예로, 염화마그네슘과 산화마그네슘과의 반응에 따른 경화체의 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에 참여하는 물분자 평균입경을 조절할 수 있다.이는 상술한 산화마그네슘의 평균입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상기 범위를 만족하였을 때 물분자의 충전밀도가 증가함으로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입자 사이에 산화마그네슘과 물분자가 위치하고,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고체화반응을 가속함과 동시에 입자 주위의 흡착수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유동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 1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흠습 후 겔 형성능이 하락하여 용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겔의 형태안정성이 하락하여 역시 용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재는 흡습 후의 형태안정성을 유지하며, 특히 졸-겔 반응을 유도하여 조해 후 용출을 방지하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상기 충전재는 흡습 후 조성물의 수화에 따른 발열을 줄이며, 흡습 후 건조 시에도 건조수축 정도를 줄여 형태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염화마그네슘이나 산화마그네슘의 높은 부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충전재로 예를 들면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바텀애시, 규산소다 및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이애시와 규산소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플라이애시는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미분탄을 연료로 사용하여 1,400℃ 내외의 고온 연소 시 배출되는 폐가스 먼지로, 집진기를 통해 포집되며, 보통 0.5 내지 300㎛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구형의 미세입자이다. 또한 상기 플라이애시는 보통 내부가 채워지거나 비워져있을 수 있으며, 비워진 내부에 더 작은 입자를 포함한 상태를 갖기도 한다.
이 때문에 상기 플라이애시는 그 자체로도 흡습성이 강해 조성물의 흡습성을 더욱 강화하며, 상술한 염화마그네슘이나 산화마그네슘의 자극에 의해 규산소다와 혼합하여 물에 비용해성인 화합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비용해성 화합물은 물을 잡아두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식성 성분이 용출되는 것을 막아 자동차 램프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규산소다(Na2SiO3)는 규산염의 일종으로, 물에 대한 용해성이 있으며, 상술한 플라이애시와 혼합 시 흡습 후 물에 비용해성인 화합물을 형성한다. 입자 상태에서는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수분을 잘 흡수하며, 액상에서는 다른 성분과의 혼화성, 접착성이 우수하여 조성물의 형태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충전재로 플라이애시와 규산소다가 사용되는 경우 플라이애시와 규산소다의 조성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플라이애시와 규산소다가 5 내지 7 : 3 내지 5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부식성 성분의 용출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조성물의 흡습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조해성 억제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그 자체로도 다공성을 가져 수분의 흡착률을 높이며, 동시에 조성물의 각 성분간에 바인더 역할을 하여 수분의 용출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로 예를 들면 펄라이트, 카올린(백토), 무수석고, 반수석고,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타늄 및 벤토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규조토, 백토, 황토, 차점토, 알로펜, 패분, 이산화규소,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포졸란 및 마크로시멘트 등과 같은 다공질의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올린은 중국의 유명한 점토 산지인 장시성 징더전의 가오링(高嶺, Gaoling)에서 처음 백색 점토가 발견되어 이 지역 이름을 딴 것으로, 화학 성분은 Al2Si2O5(OH)4에 납석이 포함된다. 촉감은 미끌미끌하며 고온에 잘 견뎌 이 성분이 많을수록 도자기의 재료가 된다. 상기 카올린은 다공질의 미세입자로 구성되어 뛰어난 습도조절기능을 가지는 천연 광물이다. 특히 염화마그네슘과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염화마그네슘의 조해성을 줄이면서도 흡습성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이다.
상기 펄라이트(perlite)는 화산 작용으로 생긴 진주암을 850 내지 1,200℃로 가열, 팽창하여 제조한 인공토양으로, 내부의 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부피가 팽창하여 미세한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염화물이나 금속산화물, 금속수산화물과 함께 혼합 시 조성물의 흡습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과도한 흡습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다한 상태에서도 상기 펄라이트는 흡착된 수분을 다시 공기 중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나 리사이클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Al(OH)3)은 상기 백토와 마찬가지로 다공질의 미세입자로 구성되어 흡습성이 우수하며, 특히 염화칼슘과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염화칼슘의 조해성을 줄이면서도 흡습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제는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의 분산성을 높여 시멘트 수화반응을 개선하며, 흡습 후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부식성분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기본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분자량이 일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그래프트화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사슬을 보유하여 입체반발성을 높이고 흡습성을 더욱 높인 것이 좋다.
이러한 분산제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글리콜산 공중합체, 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다이옥산온 공중합체, 히드록시부티릭산 공중합체 및 포스포에스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이며, 이들 중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술한 시멘트 수화반응 개선과 부식성분의 용출 방지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적은 수분 흡수에도 시멘트 경화반응이 진행되어 오히려 흡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들의 예를 들면 증점제, 증점보조제, 수화열저감제, 고결방지제, 촉매, 표면-활성 첨가제, 유화제, 반응 지연제, 안료, 염료, 난연제, 노화방지제, 상전이물질, 스코치 억제제(scorch inhibitor), 가소제 및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이 흡습 후에도 조성물이 겔 상태를 유지하며, 특히 수분이 제거된 후에도 염화마그네슘이나 산화마그네슘끼리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증점제로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제인, 카제인산나트륨, 카제인산암모늄,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구아검, 잔탄검, 아라비아검, 가티검, 로커스트빈검, 담마검, 젤란검, 송진검, 카라야검, 코팔검, 타라검, 타마린드검, 트라가칸스검, 비변성전분, 변성전분, 폴리N-비닐아세트아마이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N-비닐아세트아마이드-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이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리딘, 비닐피리딘-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증점제는 입자크기를 특정 범위로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성물의 흡습에 따라 증점제가 용해될 때 입자 간의 엉김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용해시간이 지연되고 용해성이 악화됨에 따라 겔 형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증점제는 무기물질과 혼합 시 수분의 존재 하에서 요변성과 의가소성이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외력이 없을 경우에 점도가 증가하여 수분을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요변성과 의가소성은 증점제의 비표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점제는 입가 크기가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입자 크기가 150㎛를 초과하는 경우 비표면적 저하로 인해 흡습 후 겔안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장기 흡습율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은 분말형, 환형, 디스크형, 과립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며, 그 제조방법 또한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흡습조성물은 각각의 성분들을 교반 및 건조하여 배합물을 수득한 후, 이를 압출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습제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의 내부에 상술한 내방출성 흡습제 조성물이 밀봉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장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통기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내열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일예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내열성 부직포인 것일 수 있다. 좋게는 상기 포장재는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코팅층의 형성은 포장재의 투습도 제어를 통해 램프 내부의 습도 조절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팅층은 합성라텍스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램프 가동시 내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더욱 좋다. 일예로, 상기 코팅층 조성물은 합성라텍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코팅층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코팅층 형성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매쉬 타입의 코팅 롤러를 사용하여 통기성 필름의 투습도를 제어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합성라텍스는 바람직하게 아크릴 라텍스 점착제 및/또는 아크릴 라텍스 수지에 해당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EVA를 포함한 핫멜트 접착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 조성물은 경화제, 무기필러, 첨가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경화제는 아민계 경화제, 산 무수물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및 디시안 디아미드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무기필러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운모, 고령토, 흑연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첨가제 수지는 테르펜 페놀수지, 수첨 로진, 석유수지, 크실렌수지 및 쿠마론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톨루엔,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0.1 ㎛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장재는 타이벡(Tyvek),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부직포,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부직포, 종이 및 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이벡은 내열성, 강도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흡습제품은 상술한 흡습제 조성물을 통기성의 포장재에 봉입한 후, 이를 다시 수용부와 커버 등이 구비된 하우징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습제품의 형태를 규격화하고, 제품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습제품은 상기와 같이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제원 및 조성비를 특정 범위로 조절함에 따라 50℃,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측정한 흡습률이 23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40℃, 상대습도 90%에서 100% 흡습한 샘플을 80℃, 상대습도 30% 조건에서의 2시간 동안 두었을 때의 방출율이 5% 이하, 더욱 좋게는 3%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제품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함에 따라 최대 흡습 후 ASTMD-926에 의거하여 측정한 가소도(Plasticity)가 200 내지 300을 만족할 수 있다. 가소도(plasticity number)는 탄성 한도 이상의 응력이 가해져 발생한 변형이 응력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수치화한 것으로, 경도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가소도가 커질수록 흡습 후에도 외력에 저항하는 성질이 커지기 때문에 상술한 흡습제의 팽창에 의해 케이스가 파손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가소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흡습제의 점착성이 커지며 수분보유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해액이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습제품은 상기와 같이 흡습 후에도 일정 범위의 가소도를 만족함으로써 흡습 후에도 팽창율이 낮으며 성형성이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습에 따른 팽창에도 포장재나 케이스를 밀어내는 압력이 기존의 흡습제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팽창에 따른 포장재가 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산화마그네슘의 고체화 반응을 늦춰 보다 장기간 흡습성을 발현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1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각 성분은 염화마그네슘(순도 94%, Aldrich사), 산화마그네슘(light burn, bulk density 0.55g/mL, 평균입경 75㎛, 순도 98%),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S 9004-32-4, 신원상사), 폴리에틸렌 왁스(라이온켐텍)이다.
제조된 흡습제는 통기성 필름(3두께 150㎛, 평량 78g/㎡, 투습도 4,000g/㎡·24hr) 봉투에 35g을 투입한 후, 높이가 29mm, 직경이 78mm인 수용부가 포함된 케이스에 수용하였다.
[표 1]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흡습율)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모듈을 23℃, 상대습도 50%의 항온항습기와 50℃, 상대습도 95%의 항온항습기 각각에 투입하여 습기 조건에 3주 동안 노출시켰다. 노출 1일 후, 3일 후, 7일 후, 14일 후, 21일 후에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최초 시료와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식 1]
흡습률(%) = {(흡습 후 최종 중량 - 초기 중량) / 초기 중량} × 100
[표 2]
[표 3]
(방출여부)
시편을 종이에 올려놓고50℃, 상대습도 95%의 항온항습기에 투입하여 습기 조건에 3주 동안 노출시킨 후 조해액의 방출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방출이 발생하지 않으면 ○, 방출이 일부 발생하면 △, 방출이 심하게 발생하면 ×으로 판정하였다.
(팽창성)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흡습제 조성물 시편을 내부직경 70mm × 높이 29mm 인 원형의 더스트커버 형상의 케이스에 수용한 후, 35℃, 상대습도 90%의 항온항습기에 20일 동안 방치하여 흡습량 및 팽창성을 확인하였다. 팽창성은 수용부에 장착된 커버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정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가소도)
먼저 시편을 상대습도 50%의 항온항습기와 50℃, 상대습도 95%의 항온항습기에 투입하여 습기 조건에 4주간 노출시켜 완전히 흡습시킨 후, 이를 가로×세로×높이 각각 30㎜의 정육면체 형태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절단된 시편을 ASTM-926에 의거하여 가소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상기 표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은 높은 흡습성을 유지하면서도 조해성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낮은 팽창률과 적절한 가소도를 보유하여 케이스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염화마그네슘의 첨가량이 과다 또는 과소한 실시예 2, 3은 지나친 흡습으로 인해 조해성이 발현되거나 높은 탄성계수로 인해 케이스에 변형이 발생하였으며, 산화마그네슘이 과다 또는 과소 첨가된 실시예 5, 6 또한 시멘트 수화반응이 진행되어 케이스의 변형이 발생하였고, 탄성계수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일부를 지질로 치환한 비교예 1은 용출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장기 흡습성을 측정할 수 없었으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치환도(카르복실화도)가 과도한 비교예 7 또한 조해액의 용출이 과도하게 발생하였다. 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점도, 분자량 및 평균입경이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8 내지 13도 흡습 후 팽창이 발생하였으며, 조해액이 일부 용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2)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흡습율 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5와 같이 가장 물성이 좋았던 실시예 1의 조성비에서 염화마그네슘의 일부를 충전재로 치환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물성을 하기 표 6 내지 8에 기재하였다.
[표 5]
[표 6]
[표 7]
[표 8]
(실시예 13 내지 18)
분산제의 첨가에 따른 흡습율 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비와 같이 상기 실시예 10의 조성비에서 염화마그네슘의 일부를 분산제로 치환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물성을 하기 표 10 내지 12에 기재하였다.
[표 9]
(상기 표 9에서 PEO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PO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CL은 폴리카프로락톤, GA는 글리콜산, CL은 카프로락톤을 뜻한다.)
[표 10]
[표 11]
[표 12]
상기 표 5 내지 1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은 분산제 및 충전재를 더 첨가함에 따라 흡습성이 소폭 상승함과 동시에 조해성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분산제와 충전재를 더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들에 비해 더욱 낮은 팽창률과 적절한 가소도를 보유하여 케이스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충전재로 규산소다와 플라이애시를 모두 첨가한 실시예 10은 수분 흡수에 따른 규산소다와 플라이애시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흡습제의 표면 경화를 촉진하였으며, 이로 인해 흡습액의 누액을 크게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규산소다와 플라이애시의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거나(실시예 11), 규산소다와 플라이애시의 조성비가 본원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실시예 12) 오히려 조해성 발현에 악영향을 주었으며, 지나친 경화반응으로 인해 케이스에 변형을 줄 정도로 팽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니 분산제를 더 첨가한 실시예 13 내지 18은 모두 흡습액의 누출이 더욱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으며, 분산제들 중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가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염화마그네슘 20 내지 55 중량%, 산화마그네슘 20 내지 5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5 내지 25 중량%, 충전재 1 내지 10 중량% 및 분산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입경이 50 내지 100㎛, 부피밀도가 0.5 내지 0.6 g/㎖이며,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카르복실화도가 0.5 내지 1.0이며, 25℃에서의 브룩필드 점도가 3,000 내지 4,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 g/mol인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바텀애시, 규산소다 및 탄산칼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흡습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으로, 상기 흡습제품은 50℃,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측정한 흡습율이 각각 230% 이상이며, 완전 흡습 상태 후 80℃, 상대습도 30% 조건에서의 2시간 동안 두었을 때의 방출율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
KR1020220140291A 2022-01-20 2022-10-27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 KR20230113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8413 2022-01-20
KR1020220008413 202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31A true KR20230113131A (ko) 2023-07-28

Family

ID=8742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291A KR20230113131A (ko) 2022-01-20 2022-10-27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1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825A (ko) 2013-11-21 2015-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게터재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성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825A (ko) 2013-11-21 2015-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게터재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성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6766B2 (ja) 活性フィラーとして焼成カオリンを配合するジオポリマー高強度硬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25898C (zh) 一种高吸湿率的干燥剂
Jung et al. Reuse of waste oyster shells as a SO2/NOx removal absorbent
KR102265964B1 (ko)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산업용 흡습제
JP4716883B2 (ja) 無機繊維質成形体
JPS61286278A (ja) 低密度セラミツク回転だ円体、及び製造方法
US11400431B2 (en) Composition for soft anti-release moisture absorbent
KR101768910B1 (ko) 식품포장재의 제조방법
KR20230113131A (ko)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품
JPH069214A (ja) ゼオライト成形用組成物、ゼオライト成形物及び焼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653523B2 (ja) 炭酸化硬化体
KR102569555B1 (ko) 고흡수성 산업용 흡습제 조성물
BRPI0719977A2 (pt) Método de formação de um agente e sua utilização na dessulfurização
KR102197666B1 (ko)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395436B1 (ko) 산 스캐빈저를 이용한 전기차 배터리 포장용 기능성 흡습제
KR102251853B1 (ko) 내방출성 연질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545683B1 (ko)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모듈
CN114686024A (zh) 一种净化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WO2006082919A1 (ja) 乾燥剤原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74752B2 (ja) 調湿用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5187324A (ja) 炭酸化硬化体
TWI793542B (zh) 蜂巢狀活性碳組成物、蜂巢狀活性碳及其製造方法
KR102545682B1 (ko) 방청 및 방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청 및 방습 제품
JP4015223B2 (ja) 脱酸素剤
JP2006198315A (ja) 調湿複合塗壁材及び吸着脱臭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