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290A -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290A
KR20230112290A KR1020220008372A KR20220008372A KR20230112290A KR 20230112290 A KR20230112290 A KR 20230112290A KR 1020220008372 A KR1020220008372 A KR 1020220008372A KR 20220008372 A KR20220008372 A KR 20220008372A KR 20230112290 A KR20230112290 A KR 2023011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igital content
content
picture frame
owner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팩토리
Priority to KR102022000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290A/ko
Publication of KR2023011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Digital picture frame service system using NFT and IPFS and operation method of digital picture frame}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파일 또는 아트 콘텐츠를 IPFS를 기반으로 디지털 액자 장치에 제공하고 NFT 기반의 소유권을 갖고 있는 소유자에게 소유권의 비율을 고려하여 일정 비용을 지불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액자 장치는 메모리카드나 USB, 유무선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기이다.
디지털 액자 장치는 여러 장의 사진을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표시하거나, 시간, 날씨 등의 정보도 함께 표시하여 실내 인테리어용, 광고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액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는 콘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를 통해 수집하거나, 사용자가 촬영하여 기록한 메모리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근래 미술작품이나, 저작물 등, 소유권이 존재하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액자 장치에서도 소유권이 존재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그 특성상 복제와 무단 사용이 매우 쉬워 부정 무상사용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부정한 무상사용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737505호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장치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462711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8621호 "디지털 유화 전자 액자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본 발명은 아트 콘텐츠에 대한 구매자가 소유권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재산권을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상사용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여, P2P서비스를 통해 IPFS에 저장된 파일을 모바일이나 TV에서 감상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디지털 액자 장치 기술을 활용하여, 앱이나 웹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손쉽게 검색하고 사용(구독/다운로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품에 대한 보안성을 제공하면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는 소유자와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 기간, 미리보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서버에서 산출된 과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액자 장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비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개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소유권을 각각 갖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 중에서 현재 접속된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로부터,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으로써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서버에서 산출된 과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과금 처리서버는,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이용자측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유권들 각각의 비율을 기반으로 작품 소유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은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액자 장치는,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으로써 상기 디지털 액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액자 장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비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의 표시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비이스에 직접 표시하는 것이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정보를 산출하는 과금 처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과금 처리서버는,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이용자측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유권들 각각의 비율을 기반으로 작품 소유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트 콘텐츠에 대한 구매자가 소유권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재산권을 활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상사용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여, P2P서비스를 통해 IPFS에 저장된 파일을 모바일이나 TV에서 감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디지털 액자 장치 기술을 활용하여, 앱이나 웹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손쉽게 검색하고 사용(구독/다운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품에 대한 보안성을 제공하면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는 소유자와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TF 소유자의 디지털 콘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디지털 콘텐츠에 NFT 소유권을 발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TF 소유자의 디지털 콘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파일 또는 아트 콘텐츠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를 기반으로 디지털 액자 장치에 제공하고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소유권을 갖고 있는 소유자에게 소유권의 비율을 고려하여 일정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NFT를 통해서 디지털 콘텐츠에도 가치가 부여될 수 있다. 저작자가 존재하는 디지털 콘텐츠는 저작자 또는 소유자가 존재할 수 있다.
저작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소유하고 있는 주체로서, 특정 기관에 자신이 제작한 디지털 콘텐츠임을 등록하고 이러한 소유권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소유자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구매나 장기소유 등의 권한을 부여받기 위해, 일정 금액을 저작자 또는 이전 소유자 등에서 지불하고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하나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은 적어도 한 명의 소유자가 보유할 수 있고, 복수의 소유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소유권에 대한 비율을 적절히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유자 1, 소유자 2, 소유자 3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분할하여 보유할 수 있고, 각각의 소유권 비율은 30%, 20%, 50%와 같이 서로 다르게 책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소유권은 NFT를 통해 보유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소유권이 있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재산권을 적극 행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소유자측(120)의 NFT 소유자 단말기는 디지털 콘텐츠를 디지털 액자 장치(110)로 제공함으로써, 고객(130)에게 자신이 NFT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유료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료화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은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가치에 해당하는 일정 금액을 비용 지불할 수 있다. 지불된 비용은 저작권료 분배 차원에서 NFT 소유권의 비율을 고려하여 소유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NFT 소유권으로 보호받는 디지털 콘텐츠는 IPFS 방식을 통해 NFT 소유자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액자 장치(110)로 별도의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아트 콘텐츠에 대한 구매자가 소유권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재산권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무상사용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여, P2P서비스를 통해 IPFS에 저장된 파일을 모바일이나 TV에서 안전하게 감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200)은 아트 콘텐츠에 대한 구매자가 소유권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재산권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200)은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210),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230), 및 디지털 액자 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200)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0), 과금 처리서버(240), 사용자 단말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액자 장치(270)는 좁은 의미에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contents display device)이고 따라서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260)가 더 필요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다만 넓은 의미의 디지털 액자 장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비이스와 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디지털 액자 장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직접적 터치 입력과 직접적 시각적 표시가 가능한 것이거나, 콘텐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하는 구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230)는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정보, 가능한 다운로드 방법, 소유가능 기간, 미리보기 등의 정보가 간략히 리스트화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270)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확인하고, 관심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270)는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230)는,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으로써 디지털 액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는 HTTP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Protocol Labs에서 2015년 2월에 알파버전을 론칭한 프로토콜이다.
기존 웹(HTTP)은 브라우저에 주소 입력하여 HTTP에 요청하면, Web Server에서 HTTP 응답하는 방식으로 구동되었다.
기존 HTTP 프로토콜 방식은 비효율 적이고, 비싸고,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디지털 액자 장치에 사용할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
반면, IPFS는 여러 컴퓨터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가져오는 P2P 방식으로서, 2P 방식으로 디지털 액자 장치용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스트리밍하는 경우 기존의 방식대비 최대 60%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IPFS는 중복없이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배포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자원의 사용이 가능하다.
IPFS는 디지털 콘텐츠들을 버전별로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미러링을 위한 탄력적인 네트워크를 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IP 주소를 기반으로 파일을 찾지 않는 방식이 아니고, 콘텐츠 어드레싱(Content addressing) 방식으로 디지털 액자 장치용 디지털 콘텐츠를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콘텐츠 어드레싱은 디지털 콘텐츠들 마다 고유의 해시값이 있어서 해당 파일의 해시 값을 가지고 있는 주변 노드(소유자 단말기)를 찾고 파일을 공유받는 방식이다.
해시는 문자를 암호화한 값으로서, SHA-256 Hash 변환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SHA-256는 안전한 해쉬 알고리즘(Secure Hash Algorithm)의 한종류로서 256비트로 구성, 암호화한 값이 64자리 문자열로 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콘텐츠를 IPFS로 변환하면 '0448df491ba45aba21ad62b3e3d0a4265aaab7f1ff18f1f6d2677765a1bcba19'와 같이, 아무리 긴 문자열도 64자리 문자열의 집합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참고로, 기존 HTTPS 방식은 "어디"에 가서 "무엇"을 보내줘라는 방식이었다면, IPFS는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서 보내줘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기존 HTTPS 방식은 디지털 액자 장치용 디지털 콘텐츠를 찾으러 어디에 갔는데 없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HTTP 방식은 중앙집중화된 형태로 많은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를 IPFS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유자 단말기의 부재시에도 다른 소유자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하므로, HTTPS의 방식과 같은 문제를 원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200)은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정보를 산출하는 과금 처리서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금 처리서버(240)는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이용자측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유권들 각각의 비율을 기반으로 작품 소유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콘텐츠가 특정 고객이 구매하고, 특정 고객의 디지털 액자 장치를 통해 서비스된다면, 특정 고객은 과금 처리서버(240)가 책정한 대금을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에 따른 비용으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과금 처리서버(240)에 의해 수금한 비용은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및 소유권의 비율을 고려하여 소유자에게 저작권료의 형태로 분배될 수 있다.
도 3은 디지털 콘텐츠에 NFT 소유권을 발행하는 절차(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의미로서, 예술작품, 수집품, 게임 내 아이템 또는 부동산과 같이 물리적/디지털적인 독특하고 희소한 무언가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가상 토큰이다.
본 발명에서의 NTF는 디지털 액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301)의 소유권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301)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소유자는 NFT에 기반하여 과금된 비용에 대한 일부를 저작권료의 개념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NFT는 디지털화된 후 저장, 서명, 발행, 컨펌의 프로세스를 거쳐 블록체인 상의 기록으로 남게 된다.
NFT의 디지털화로서, NFT 소유자는 파일, 제목, 설명을 확인하고 콘텐츠를 디지털화할 수 있다.
또한, NFT 소유자는 디지털 콘텐츠(301)의 원본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PFS에 저장할 수 있다.
NFT 소유자는 NFT의 해시를 포함하여 트랜잭션에 서명하고, 스마트 계약에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이 컨펌되면 디지털 콘텐츠(301)에 대한 NFT 소유권의 발행이 완료되고, NFT는 블록체인 주소에 영원히 링크될 수 있다.
즉, NFT 발행 플랫폼에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하는 작품을 등록하면, 메타데이터가 추출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가 타임스탬프와 합쳐지면서 고유한 문자열로 생성된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가상자산인 토큰 형태로 발행될 수 있다. 또한, 타임스탬프는 디지털 액자 장치용 디지털 콘텐츠(301)가 해당 시점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며, 위조와 변조를 한다고 해도 토큰값을 통해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저작자의 소유권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 기간, 미리보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함으로써,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을 통해,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과금을 위한 별도의 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서버에서 산출된 과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소유자들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이 일정 비율로 분배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액자 장치는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소유권을 각각 갖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액자 장치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 중에서 현재 접속된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로부터,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으로써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서버에서 산출된 과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과금 처리서버는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이용자측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소유권들 각각의 비율을 기반으로 작품 소유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아트 콘텐츠에 대한 구매자가 소유권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재산권을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무상사용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여, P2P서비스를 통해 IPFS에 저장된 파일을 모바일이나 TV에서 감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액자 장치 기술을 활용하여, 앱이나 웹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손쉽게 검색하고 사용(구독/다운로드)하도록 할 수 있고, 작품에 대한 보안성을 제공하면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는 소유자와 공유할 수 있다.
결국, 미술계도 음악시장처럼 저작권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NFT 구매자의 경우도 자산적 가치를 높이고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NFT시장이 더욱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 기간, 미리보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서버에서 산출된 과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복수개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복수의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복수의 소유권을 각각 갖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 중에서 현재 접속된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들로부터,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으로써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서버에서 산출된 과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서버는,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이용자측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유권들 각각의 비율을 기반으로 작품 소유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소유권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액자 장치는,
    상기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목록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소유권을 갖고 있는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소유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방식으로써 상기 디지털 액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과금정보를 산출하는 과금 처리서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서버는,
    상기 선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가격을 기반으로, 이용자측 과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유권들 각각의 비율을 기반으로 작품 소유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008372A 2022-01-20 2022-01-20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112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372A KR20230112290A (ko) 2022-01-20 2022-01-20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372A KR20230112290A (ko) 2022-01-20 2022-01-20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290A true KR20230112290A (ko) 2023-07-27

Family

ID=8743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372A KR20230112290A (ko) 2022-01-20 2022-01-20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29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711B1 (ko) 2010-11-02 2014-11-2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58621A (ko) 2014-11-17 2016-05-25 (주) 디스플레이이엔지 디지털 유화 전자 액자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37505B1 (ko) 2016-02-18 2017-05-19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711B1 (ko) 2010-11-02 2014-11-2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58621A (ko) 2014-11-17 2016-05-25 (주) 디스플레이이엔지 디지털 유화 전자 액자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37505B1 (ko) 2016-02-18 2017-05-19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050B2 (en) Method for generating, providing and reproducing digital contents in conjunction with digital currency, an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ame
JP7043672B1 (ja) 非代替性トークン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179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販管理サービス
US20140373041A1 (en) Method for media content delivery using video and/or audio on demand assets
KR20200104590A (ko)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US20090177583A1 (en) Media renting system, media rental provider and method
KR20140018229A (ko) 세부 권리에 대한 권리 승인
KR101693404B1 (ko) 중고 디지털 콘텐츠 매매 시스템 및 방법
WO2012014311A1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とアフィリエイトが融合したコンテンツ販売促進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30165100A (ko) 메타버스 공간에 적용되는 nft 기반의 음원의 등급을 결정 및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085945A1 (en) Limited Access to a Digital Version of a Purchased Paper Book
JP20170041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18092443A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419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NFT Marketplace
US11587157B2 (en) Embedded payment tokens in digital media objects
KR20230112290A (ko)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165101A (ko) 메타버스 공간에 적용되는 nft 기반의 고유 계정 및 암호화를 이용한 음원 및 nft i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04654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2241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Digital Media Files with External Commodities
JP576742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34158B1 (ko) 한정 수량으로 발매되는 디지털 작품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디지털 작품 거래 시스템
KR100509095B1 (ko) 컨텐츠 판매 시스템
JP733601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1771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access to digital assets
JP2002133147A (ja) コンテンツ売上金分配システム及び分配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