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05B1 -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505B1
KR101737505B1 KR1020160018930A KR20160018930A KR101737505B1 KR 101737505 B1 KR101737505 B1 KR 101737505B1 KR 1020160018930 A KR1020160018930 A KR 1020160018930A KR 20160018930 A KR20160018930 A KR 20160018930A KR 101737505 B1 KR101737505 B1 KR 10173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
request
control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황재용
김태호
김재호
박철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디지털 액자가 가진 한계점을 해결하여 콘텐츠를 타 인터페이스(usb, sd카드 등) 장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전송한 이미지를 더미 모니터에 바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저가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셋톱박스 형식을 가진 디지털 액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Digital photo frame system with remote content management}
본 발명은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디지털 액자가 가진 한계점을 해결하여 콘텐츠를 타 인터페이스(USB, SD카드 등) 장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전송한 이미지를 더미 모니터에 바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저가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셋톱박스 형식을 가진 디지털 액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거실 내 액자 자리에 디지털 액자가 자리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액자는 깔끔한 디자인, 사진을 인화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 동영상이나 MP3 재생 등 부가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한계점에 의해 점차 소비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기존 디지털 액자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디지털 액자가 제공하는 기능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최근 저가의 태블릿 PC의 경우 약 10만원 대의 가격이 책정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디지털 액자도 약 10만원 대의 가격이 책정되어 있는데 스마트 패드와 디지털 액자의 제공되는 기능 차이를 보면 소비자들이 굳이 디지털 액자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
둘째, 기존 디지털 액자는 경쟁력이 없다.
저가의 태블릿 PC의 경우 중, 고가의 태블릿 PC보다 성능이 부족한 것 뿐 태블릿PC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당연히 디지털 액자가 제공하는 기능들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액자가 내세울 수 있는 디지털 액자만의 특징이 부족한 것이며 때문에 경쟁력이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기존 디지털 액자에 콘텐츠를 삽입하는 과정이 번거롭다.
기존 디지털 액자에 콘텐츠를 삽입하려면 USB 메모리나 SD 메모리카드를 이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에서 디지털 액자로 콘텐츠를 옮길 경우 SD 메모리 카드를 이용해 삽입을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 후 SD 메모리 카드에 복사를 한 뒤 디지털 액자에 삽입을 하면 된다.
이 경우, 비교적 간단해 보이지만 SD 메모리 카드가 없는 경우 또는 자신의 스마트폰이 SD 카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콘텐츠를 데스크탑으로 옮겨서 다시 USB 메모리로 옮긴 후에 디지털 액자에 삽입을 해야 하며, 이 과정도 어렵지는 않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를 잘 모르는 실버 세대에게는 어려운 문제가 되므로 자녀가 함께 살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액자가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디지털 액자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이용이 가능해야 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 모색과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쉽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 디지털 액자의 한계점을 해결하고 더미 모니터에 바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저가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셋톱박스 형식을 가진 디지털 액자 시스템을 제안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4625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존의 디지털 액자가 가진 한계점을 해결하여 콘텐츠를 타 인터페이스(USB, SD카드 등) 장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전송한 이미지를 더미 모니터에 바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저가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셋톱박스 형식을 가진 디지털 액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은,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 콘텐츠의 설정 제어 기능을 인식하여 연결제어수단(120)으로 제어 요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요청인식부(112)와,
상기 요청 인식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어 요청 신호를 연결제어수단(120)으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단말기(110)와;
상기 원격제어단말기(110)의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21)와,
상기 제2통신부(121)에서 수신된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는 제1요청식별부(122)와,
상기 제1요청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해당 제어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요청전달부(123)와,
상기 제1요청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제어 요청 신호가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전달할 필요없는 제어 요청 신호일 경우에 전송 중지로 처리하는 요청처리부(124)와,
상기 요청전달부(123)에서 사용자가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부(125)와,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하드웨어아이디를 함께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정보저장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셋탑박스 형태의 연결제어수단(120)과;
연결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제3통신부(131)와,
상기 제3통신부(131)에서 수신받은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는 제2요청식별부(132)와,
상기 제2요청식별부(132)에서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일 경우에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콘텐츠제어부(133)와,
상기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설정 제어일 경우에 재생시간 간격 혹은 저장 공간 관리, 재생 대상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제어부(134)와,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추출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사진들을 디스플레이시키며,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저장해 놓은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처리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을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을 통해, 셋톱박스 형식으로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에 연결할 수 있는 호환성과 스마트폰 또는 PC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타 인터페이스(usb,sd카드 등)장치 들을 사용하지 않고 앱을 이용하여 전송 및 관리할 수 있는 편리성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업데이트하기 용이함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콘텐츠를 공간과 타 인터페이스 제약 없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음으로 기존 디지털 액자의 콘텐츠 관리 방법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디지털 기기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셋톱박스 형태의 연결제어수단으로 디스플레이제어단말기에 연결만 하면 사용할 수 있음으로 호환성이 뛰어나며 독립된 하드웨어로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이 아닌 연결제어수단과 통신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므로 기능 업데이트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가 다수의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수 단말기의 콘텐츠를 일일이 제어할 필요없이 한 번에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실버 세대도 쉽게 다룰 수 있고 실버 세대가 직접 이용하지 않더라도 자녀 세대가 대신 원격으로 콘텐츠를 제어해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액자는 실버 세대와 자녀 세대가 멀리 떨어져서 거주할 경우 자녀 세대가 직접 방문하여 콘텐츠를 변경해야 한다.
먼 곳에 살게 되면 자주 찾아뵙기 어렵고 그만큼 콘텐츠 변경도 늦고 디지털 액자에서 관심이 멀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거리와 상관없이 즉시 콘텐츠 변경을 할 수 있어 실버 세대에게 쉽고 즉각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부모와 자녀 세대의 소통의 창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의 enum 타입의 리퀘스트이며, 도 3은 해쉬맵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컨텐츠를 원격제어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제어수단으로 전송한 후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환경 설정 화면과 하드웨어아이디 설정 화면 예시도이며, 도 6은 저장경로 변경 및 파일 추가 혹은 삭제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기반 상황인지 맞춤형 버스 정보 제공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은 크게, 원격제어단말기(110), 셋탑박스 형태의 연결제어수단(120),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원격제어단말기(110)는,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 콘텐츠의 설정 제어 기능을 인식하여 연결제어수단(120)으로 제어 요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요청인식부(112)와,
상기 요청 인식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어 요청 신호를 연결제어수단(120)으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원격제어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기기들이 될 수 있으며, 어플을 탑재하게 되어 이를 통해 연결제어수단에 해당 사용자가 제어 요청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제어 요청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요청인식부(112)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과 동기화를 수행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와 비교하기 위하여 전송했던 컨텐츠의 이름(경로포함)을 저장시키기 위한 전송컨텐츠저장처리모듈과,
사용자가 촬영했던 사진들의 이름(경로 포함)을 저장시키기 위한 촬영사진저장처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컨텐츠저장처리모듈은 예를 들어, 전송했던 콘텐츠의 이름(경로포함)을 저장해두는 "SynFileList.txt" 값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촬영사진저장처리모듈은 예를 들어, 촬영했던 사진의 이름(경로포함)을 저장해두는 "take_picture_list.txt"가 있다.
상기 "SynFileList.txt"는 사용자가 전송했던 콘텐츠의 이름(경로 포함)을 저장해 두는 Configuration 파일이다.
디스플레이제어수단과 동기화할 때 디스플레이제어수단 내부의 컨텐츠 List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HardwardID가 변경될 시에 각 Hardware별로 전송했던 List가 다르므로 초기화된 후 설정변경된 Hardware로부터 내부 컨텐츠 List를 요청해 다시 작성되게 된다.
상기 "take_picture_list.txt"는 사용자가 촬영했던 사진들의 이름(경로 포함)을 저장해 두는 Configuration File이다.
사진 촬영을 완료하고 변경된 Activity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필요한 Configuration File이며, 사진 촬영 기능을 실행하면 초기화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은, 연결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제3통신부(131)와,
상기 제3통신부(131)에서 수신받은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는 제2요청식별부(132)와,
상기 제2요청식별부(132)에서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일 경우에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콘텐츠제어부(133)와,
상기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설정 제어일 경우에 재생시간 간격 혹은 저장 공간 관리, 재생 대상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제어부(134)와,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추출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사진들을 디스플레이시키며,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저장해 놓은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처리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드웨어 내부에 컨텐츠의 저장 및 삭제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알맞게 콘텐츠 해상도나 크기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제2요청식별부(132)는 제3통신부(131)에서 수신받은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게 되는데, 콘텐츠제어부(133)는 제2요청식별부(132)에서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일 경우에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설정제어부(134)에서는 상기 식별한 결과가 콘텐츠의 설정 제어일 경우에 재생시간 간격 혹은 저장 공간 관리, 재생 대상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처리부(135)는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추출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사진들을 디스플레이시키며,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저장해 놓은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제어수단은 실행과 동시에 연결제어수단(120)에게 연결 요청을 하고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불러와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서 슬라이드 쇼를 보여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제어수단도 Configuration File을 가지고 있으며 FilePath, displayTerm의 항목만을 가지고 있다.
만약,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가 없을 경우 미리 저장해둔 Default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불러온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에 맞게 재조정되어서 슬라이드 쇼에 보여진다.
한편, 상기 셋탑박스 형태의 연결제어수단(120)은, 원격제어단말기(110)의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21)와,
상기 제2통신부(121)에서 수신된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는 제1요청식별부(122)와,
상기 제1요청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해당 제어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요청전달부(123)와,
상기 제1요청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제어 요청 신호가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전달할 필요없는 제어 요청 신호일 경우에 전송 중지로 처리하는 요청처리부(124)와,
상기 요청전달부(123)에서 사용자가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부(125)와,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하드웨어아이디를 함께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정보저장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요청전달부(123)는 제1요청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해당 제어 요청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요청처리부(124)에 의해 식별된 제어 요청 신호가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전달할 필요없는 제어 요청 신호일 경우에 전송 중지로 처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는 제어 요청 신호일 경우에는 이를 식별하여 제어 요청 신호를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으로 전달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식별부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수단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하드웨어아이디를 함께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정보저장부(126)이다.
상기 사용자식별부(125)는 아이디와 하드웨어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식별한다. 즉, 사용자는 ID를 이용하고 하드웨어는 HardwareID를 이용해 각각을 식별한다.
여러 개의 하드웨어를 가진 사용자는 HardwareID를 이용해 각각의 하드웨어를 식별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HardwareID별로 다른 Password를 가지고 있어 소유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것을 막는다.
상기 제1요청식별부(1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단말기로부터 받은 Request를 분석하기 위해 enum Type을 사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어떤 요청을 하였는지 분석한다.
한편, 접속한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HashMap에 각 각 ID와 HardwareID와 함께 저장한다.
이는 여러 사용자와 하드웨어가 접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ID나 HardwareID를 Key로 사용해서 알맞은 Socket에 요청을 전달하거나 ACK를 보낼 때 사용하기 위함이다.
Packet을 보낼 때 일일이 DataOutputStream을 새로 생성하지 않고 바로 보낼 수 있도록 DataOutputStream을 생성한 뒤에 HashMap에 넣어두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단말기(110)에서 제공하는 제어 요청 신호는, 컨텐츠 추가, 컨텐츠 삭제, 로그인, 회원 가입, 동기화, 하드웨어 아이디 변경, 폴더 추가 폴더 삭제, 하드웨어 파일 목록, 설정 변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연결제어수단의 요청전달부(123)에서 처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추가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라는 acknowledge를 보내며, acknowledge를 받은 원격제어단말기는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전달부는 이를 받아 임시 저장한다.
저장이 완료된 뒤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파일 전송 요청을 한다.(도 4참조)
파일 전송 요청을 받은 디스플레이제어수단은 정상적으로 요청을 받았다면 요청전달부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라는 acknowledge를 보낸다.
acknowledge를 받은 요청전달부는 콘텐츠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제어수단은 이를 받아 설정해둔 저장 경로에 저장한다.
한편, 콘텐츠 삭제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삭제할 콘텐츠들의 이름들을 받는다.
한편, 로그인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저장부에서 검색을 한다.
검색결과와 패스워드 비교 결과에 따라서 아이디가 없는 경우,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에 성공한 경우 총 3가지의 결과로 acknowledge를 보낸다.
한편, 회원 가입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 하드웨어 아이디, 패스워드를 전송받는다.
전송받은 정보들을 이용해 사용자정보저장부에서 검색을 한다.
검색결과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하드웨어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드웨어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원 등록에 성공한 경우 총 4가지의 결과로 acknowledge를 보낸다.
한편, 동기화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SynfileList.txt"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이름(파일명)을 전송받으며,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저장 경로 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이름(파일명)을 전송받는다.
디스플레이제어수단의 파일명 리스트 중에 원격제어단말기가 가지고 있지 않은 콘텐츠들이 있다면(없다면 동기화 완료 acknowledge를 보낸다)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해당 콘텐츠들을 요청하여 전송받아 임시 저장한다.
임시 저장한 콘텐츠들을 다시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전송하고 동기화 완료 acknowledge를 보낸다.
한편, 하드웨어 아이디 변경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하드웨어 아이디 변경과 하드웨어 아이디, 패스워드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하드웨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저장부에서 검색을 한다.
검색결과와 패스워드 비교 결과에 따라서 아이디가 없는 경우,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에 성공한 경우 총 3가지의 결과로 acknowledge를 보낸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 추가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생성할 폴더 명을 전송받으며,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폴더 추가 요청과 폴더 명을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제어수단은 home폴더 하부에 전송받은 폴더 명을 가진 폴더를 생성한다.
한편, 폴더 삭제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삭제할 폴더 명을 전송받으며,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폴더 추가 요청과 폴더 명을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제어수단은 home폴더 하부에 전송받은 폴더 명을 가진 폴더를 삭제하며, 전송받은 폴더 명이 존재하지 않을 시엔 Error acknowledge를 보낸다.
한편, 하드웨어 파일 목록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요청을 전달하고 home폴더 하부의 모든 폴더 명을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폴더 명을 원격제어단말기에게 전송한다.
한편, 도 5와 같이, 설정 변경인 경우에는 원격제어단말기에게 변경할 설정명과 설정 값을 전송받으며,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게 해당 요청과 설정명, 설정 값을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행을 떠났거나 가족들끼리 단란한 시간을 보내는 와중에 찍은 사진을 곧바로 전송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바로 사진을 찍어서 곧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셋톱박스 형태로 크기가 작아 이동성이 좋고 PC모니터 등 디지털 기기용 디스플레이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이 가능하고 웹과 모바일에서 원격으로 콘텐츠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액자는 독립된 하나의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기능 추가의 어려움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조작을 어려워하시는 부모님 집에 설치하여 손자, 손녀들의 모습이나 가족들끼리 단란하게 식사하는 모습, 여행지에서 찍은 가족사진 등을 보여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호환성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제한 사항 없이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여러 디바이스에 광고 영상을 일일이 변경하지 않고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는 호환성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원격제어단말기
120 : 연결제어수단
130 : 디스플레이제어수단

Claims (3)

  1. 디지털 액자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 콘텐츠의 설정 제어 기능을 인식하여 연결제어수단(120)으로 제어 요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요청인식부(112)와,
    상기 요청 인식부(112)에 의해 제공된 제어 요청 신호를 연결제어수단(120)으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단말기(110)와;
    상기 원격제어단말기(110)의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21)와,
    상기 제2통신부(121)에서 수신된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는 제1요청식별부(122)와,
    상기 제1요청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해당 제어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요청전달부(123)와,
    상기 제1요청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제어 요청 신호가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전달할 필요없는 제어 요청 신호일 경우에 전송 중지로 처리하는 요청처리부(124)와,
    상기 요청전달부(123)에서 사용자가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에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부(125)와,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하드웨어아이디를 함께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정보저장부(126),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식별부(125)는 아이디와 하드웨어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셋탑박스 형태의 연결제어수단(120)과;
    연결제어수단으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제3통신부(131)와,
    상기 제3통신부(131)에서 수신받은 제어 요청 신호를 식별하는 제2요청식별부(132)와,
    상기 제2요청식별부(132)에서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저장 혹은 삭제일 경우에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콘텐츠제어부(133)와,
    상기 식별한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설정 제어일 경우에 재생시간 간격 혹은 저장 공간 관리, 재생 대상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제어부(134)와,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추출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사진들을 디스플레이시키며, 저장 경로에 저장된 컨텐츠들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저장해 놓은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처리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인식부(112)는,
    디스플레이제어수단과 동기화를 수행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제어수단에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와 비교하기 위하여 전송했던 컨텐츠의 이름(경로포함)을 저장시키기 위한 전송컨텐츠저장처리모듈과,
    사용자가 촬영했던 사진들의 이름(경로 포함)을 저장시키기 위한 촬영사진저장처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신호는, 컨텐츠 추가, 컨텐츠 삭제, 로그인, 회원 가입, 동기화, 하드웨어 아이디 변경, 폴더 추가 폴더 삭제, 하드웨어 파일 목록, 설정 변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KR1020160018930A 2016-02-18 2016-02-18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KR10173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30A KR101737505B1 (ko) 2016-02-18 2016-02-18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30A KR101737505B1 (ko) 2016-02-18 2016-02-18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505B1 true KR101737505B1 (ko) 2017-05-19

Family

ID=5904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30A KR101737505B1 (ko) 2016-02-18 2016-02-18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5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83B1 (ko) 2020-01-22 2020-04-27 문희석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액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12289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엘팩토리 변형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 및 변형 이미지 생성 방법
KR20230112290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엘팩토리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희정 외 1명, 스마트폰과 디지털 액자의 무선 통신 제어 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01.
원격으로 콘텐츠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김영국 외 1명, 2006.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83B1 (ko) 2020-01-22 2020-04-27 문희석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액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12289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엘팩토리 변형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액자 장치 및 변형 이미지 생성 방법
KR20230112290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엘팩토리 Nft와 ipfs를 활용한 디지털 액자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액자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94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2185669A (ja) クロック設定方法
US20100029253A1 (en) Method for providing pictures to a digital frame based on home networks
JP702811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2797B2 (ja) 画像閲覧システム、受信側携帯端末、画像サーバ、および画像閲覧方法
US201400223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1737505B1 (ko) 원격으로 콘텐츠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시스템
US20050179942A1 (en) Method for introduction and linking of imaging appliances
JP2015146561A (ja) 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71464B2 (en) Data process apparatus, data sharing method, and data process system
US98540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medium
JP2016103703A (ja)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0867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nd associating private information with an image
US109389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object in network
JP71880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37404A (zh) 用于呈现媒体内容的方法、系统和介质
US8667079B2 (en) Shared access to a local device
EP3304861B1 (en) Interactive method and system for file transfer
EP3439311B1 (en) Image transmission equipment
US10931995B2 (en) Method of transferring audiovisual data and corresponding device
TWI521969B (zh) 網路存取設備取得匹配及分享資料的方法
JP2011503707A (ja) コンテンツ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電子回路装置
JP201417588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35275A (ja) 画像機器をアドレス指定する方法
US20150006488A1 (en) Automatic backup setting method on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