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818A - 체감형 글러브 - Google Patents
체감형 글러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1818A KR20230111818A KR1020220007741A KR20220007741A KR20230111818A KR 20230111818 A KR20230111818 A KR 20230111818A KR 1020220007741 A KR1020220007741 A KR 1020220007741A KR 20220007741 A KR20220007741 A KR 20220007741A KR 20230111818 A KR20230111818 A KR 20230111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tting
- user
- glove
- fist
- real ti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5—Boxing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lov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주먹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타격감을 피드백하는 체감형 글러브로서, 사용자의 주먹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입력값을 수용하는 입력센서가 구비된 파지부; 사용자의 주먹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관성에 의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타격 발생부; 체감형 글러브의 현위치, 타격지점, 자세, 각도, 속도, 궤적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관성센서; 타격강도 및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로드셀; 타격 순간의 타격여부 및 타격강도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타격표시부; 상기 파지부, 관성센서, 로드셀 및 타격표시부를 제어하고,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산출 및 분석하는 제어부; 센싱값들 및 산출 분석된 운동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글러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감형 글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또는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구현과 실감나는 타격감 체감이 가능한 웨어러블 타입의 체감형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복싱과 같은 무술은 손으로 치는 기술과 발로 차는 기술이 다양하게 구사된다. 이러한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의 연습은 천정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차므로 개인적인 연습을 행하고 있다.
또한, 상대와 대련시에 상대를 빠르게 제압하기 위해서는 타격의 정확성 및 강한 파워가 요구되며, 이러한 타격의 정확성 및 강한 파워를 습득하기 위해 반복적인 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타격의 정확성 및 강한 파워의 습득을 위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샌드백을 치거나 차는 훈련 과정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훈련 과정은 개인 혼자서 연습하게 되므로 지루해질 수 있고, 반복적인 훈련에도 자신의 타격의 정확성 및 파워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개인 스스로 알기 어렵고, 대련 과정을 통해서만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신의 현재 운동정보를 즉시 확인하면서 훈련이 가능하다면 자신의 현재 운동정보를 확인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타격감 구현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샌드백 없이, 체감형 글러브 착용만을 통해 실감나는 타격감을 구현 체감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확장현실 구현과 실감나는 타격감 체감이 가능한 웨어러블 타입의 체감형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주먹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타격감을 피드백하는 체감형 글러브로서, 사용자의 주먹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입력값을 수용하는 입력센서가 구비된 파지부; 사용자의 주먹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관성에 의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타격 발생부; 체감형 글러브의 현위치, 타격지점, 자세, 각도, 속도, 궤적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관성센서; 타격강도 및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로드셀; 타격 순간의 타격여부 및 타격강도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타격표시부; 상기 파지부, 관성센서, 로드셀 및 타격표시부를 제어하고,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산출 및 분석하는 제어부; 센싱값들 및 산출 분석된 운동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글러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타입의 체감형 글러브를 통해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확장현실 구현과 실감나는 타격감 체감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타격 운동시 운동량 데이터(타격횟수, 강도, 위치, 속도, 궤도, 궤적, 칼로리 소모량 등)가 나오며 차트 형식으로 라운드별 타격횟수가 그래프화 표출되어 몇 라운드에 자신의 기량이 떨어지는지를 차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지도자(예를 들어, 체육관 관장)는 데이터를 통해 자신의 교육생(관원 또는 원생 등)의 운동량을 보며 피드백을 할 수 있다.
지도자는 자신들의 운동 영상 및 글러브에서 얻어지는 타격트레킹 데이터를 포함하는 쉐도우 데이터를 서버에 올릴 수 있으며, 교육생들은 이를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간적(온.오프라인) 제약 없이 원하는 시간과 편안한 장소에서 체험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글러브 및 타격감 체감을 위한 샌드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감형 글러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감형 글러브를 포함하는 타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감형 글러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감형 글러브를 포함하는 타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감형 글러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체감형 글러브를 포함하는 타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주먹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타격감을 피드백하는 체감형 글러브는, 사용자의 주먹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입력값을 수용하는 입력센서가 구비된 파지부; 사용자의 주먹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관성에 의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타격 발생부; 체감형 글러브의 현위치, 타격지점, 자세, 각도, 속도, 궤적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관성센서; 타격강도 및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로드셀; 타격 순간의 타격여부 및 타격강도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타격표시부; 상기 파지부, 관성센서, 로드셀 및 타격표시부를 제어하고,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산출 및 분석하는 제어부; 센싱값들 및 산출 분석된 운동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격 발생부는, 관성에 의해 사용자 주먹의 전방 방향으로의 가감속 동작에 따라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타격추;와, 상기 타격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타격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타격추 가이드레일은 관 형상이고, 타격추는 레일 내부에 수용된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타격추 가이드레일은 봉 형상이고, 타격추에는 타격추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에 가이드레일이 끼움결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타격추 가이드레일의 전방측 말단에는 타격추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타격판이 위치한다.
타격판 상에는 로드셀이 구비되어, 로드셀은 타격추가 관성에 의해 이동 후 타격판을 타격하면, 타격횟수를 카운팅하고 타격강도를 수치화한다.
체감형 글러브(1)는 사용자 단말(6)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6)에 의해 구현되는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격 또는 쉐도우 동작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하는 사용자의 아바타가 표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 사용자의 주먹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타격감을 피드백하는 체감형 글러브로서,
사용자의 주먹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입력값을 수용하는 입력센서가 구비된 파지부;
사용자의 주먹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타격행위시 관성에 의해 타격감을 발생시키는 타격 발생부;
체감형 글러브의 현위치, 타격지점, 자세, 각도, 속도, 궤적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관성센서;
타격강도 및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로드셀;
타격 순간의 타격여부 및 타격강도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타격표시부;
상기 파지부, 관성센서, 로드셀 및 타격표시부를 제어하고,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산출 및 분석하는 제어부;
센싱값들 및 산출 분석된 운동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글러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741A KR20230111818A (ko) | 2022-01-19 | 2022-01-19 | 체감형 글러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741A KR20230111818A (ko) | 2022-01-19 | 2022-01-19 | 체감형 글러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1818A true KR20230111818A (ko) | 2023-07-26 |
Family
ID=8742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741A KR20230111818A (ko) | 2022-01-19 | 2022-01-19 | 체감형 글러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1818A (ko) |
-
2022
- 2022-01-19 KR KR1020220007741A patent/KR2023011181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7705B1 (en) | Auditory feedback for golfers' face closure rate | |
Covaci et al. | A virtual reality simulator for basketball free-throw skills development | |
KR20120095933A (ko) | 무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채점 시스템, 방법 및 호구 | |
JP2016047219A (ja) | 身体動作の練習支援システム | |
KR20230006857A (ko) | 가상 및 증강 현실의 개인화되고 커스터마이즈된 피트니스 훈련 활동 또는 게임,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 |
US20220152486A1 (en) | Device including movable mass body provided in housing | |
CN111672089B (zh) | 一种针对多人对抗类项目的电子计分系统及实现方法 | |
CN113365702A (zh) | 格斗比赛的打分系统及方法 | |
KR20230111818A (ko) | 체감형 글러브 | |
KR20190003926A (ko) |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 |
KR20230112186A (ko) | 마그네틱 방식의 듀얼타격을 통해 타격감이 향상된 체감형 글러브 | |
KR101624595B1 (ko) | 골프 스윙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에 연동되는 골프 클럽 | |
KR20230111819A (ko) | 주먹의 직진운동에 따른 듀얼타격과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타격을 통해 정확한 격투동작 실현여부를 피드백할 수 있는 체감형 글러브 | |
US20230271069A1 (en) | A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correlate grip pressure and action quality | |
Wąsik | Chosen aspects of physics in martial arts | |
KR20210026586A (ko) |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 |
KR102599042B1 (ko) | Xr 컨트롤러 글러브 | |
US11617931B2 (en) | Portable golf swing exerciser and golf swing mo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having the same | |
JP4089031B2 (ja) | 仮想現実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 |
KR20240069824A (ko) | 실시간 피드백을 가진 충돌 장치 | |
Huang et al. | Haptically assisted golf putting through a planar four-cable system | |
CN109475773A (zh) | 用于模拟游戏事件的方法和设备 | |
KR101831825B1 (ko) | 탁구 스윙 임팩트 판별장치 | |
JP2024126176A (ja) | 処置対象に対する処置を提案するプログラム、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 |
KR20230112527A (ko) | Xr 컨트롤러 글러브를 포함하는 운동체감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