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11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117A
KR20230111117A KR1020220029540A KR20220029540A KR20230111117A KR 20230111117 A KR20230111117 A KR 20230111117A KR 1020220029540 A KR1020220029540 A KR 1020220029540A KR 20220029540 A KR20220029540 A KR 20220029540A KR 20230111117 A KR20230111117 A KR 2023011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unit
air
air flow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노현우
김효준
진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11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유동부, 상기 드럼에서 상기 공기유동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의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전달되는 공기통과부 및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NDAU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를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에 다양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건조기는 공기의 순환 여부 등에 따라 배기식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고, 배기식 및 순환식 건조기는 모두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에 제공함으로써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문헌으로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121656호에는 구동부가 캐비닛의 내부에서 하부측에 배치되어 드럼 벨트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해당하고, 드럼의 공기를 전달받아 다시 드럼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와 연결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트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의 구동축과 드럼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벨트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드럼을 제공한다.
구동부가 캐비닛의 바닥상에 위치되고, 벨트를 이용하여 드럼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구동축 등과 드럼의 직경 차이가 크기 때문에 토크 증가를 위한 별도의 변속기, 예컨대 감속기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벨트를 이용하여 구동부로부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면 구동축의 회전속도 또는 드럼의 관성에 의해 상기 벨트와 구동부 또는 벨트와 드럼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슬립 등에 의해 효율적인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 변경이나 회전방향 변경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어 효율적인 드럼의 회전 전략을 적용하기 불리하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의 하부, 예컨대 캐비닛의 바닥에 마련되는 베이스부에 상기 공기순환부 및 히트펌프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므로, 구성간의 배치에 제약이 발생되고 각 구성에 할당될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이 발생되어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구동부를 캐비닛의 하부측이 아니라 상기 드럼의 후방측에 배치시켜 드럼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와 드럼을 연결하기 위한 벨트 등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관련문헌으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08191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115455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063724A 및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124674A에는 캐비닛의 후면측에 구동부가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가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구동부의 구동축과 드럼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어 벨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구동부가 직접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 등에서 발생하는 슬립 현상이 해결되고, 구동축의 회전을 직접 드럼으로 전달할 수 있어 드럼의 회전 전략 수립에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에 해당하고, 세탁기와 달리 드럼이 내장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구동부가 드럼의 후방에서 캐비닛의 배면패널에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해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드럼의 후방측에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의 후방측에서 구동부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와 공기의 유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관련문헌으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65932호에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캐비닛의 후면에 구동부가 결합되고, 나아가 드럼의 배면을 마주보며 상기 드럼의 배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동부가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후면에서 중앙을 마주보는 캐비닛의 배면상에 구동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주변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부는 캐비닛의 후면상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덕트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캐비닛의 후면은 상기 덕트의 전방으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내의 공기가 드럼의 후면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유동부를 형성하기 위해 캐비닛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덕트부재가 결합되므로 덕트부재의 결합을 위한 추가 고정이 발생되며, 덕트부재와 캐비닛 후면간의 공기 누출이 발생될 수 있어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의 후면에는 상기 덕트부재의 전방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게 되므로 캐비닛의 펀칭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며, 나아가 상기 홀 외의 영역에서 공기의 전방 유동을 방해하게 되어 드럼 후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에 결합되는 구동부는 캐비닛상에 구비되고, 구동부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면 상기 구동부가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캐비닛 내부의 공간 확보 및 공간 활용에 있어 불리할 수 있고, 구동부가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면 드럼으로부터 구동부까지의 전장이 증가되어 캐비닛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증가될 수 있으며 구동부의 안정적인 고정 및 보호와 방열에 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에 공기의 유동부가 형성되고 드럼후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회전체에 해당하는 드럼과 고정체에 해당하는 리어플레이트의 특성상 유동부와 드럼후면간에는 이격거리가 발생할 수 있다.
유동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유동부와 드럼후면간의 이격공간을 통해 드럼후면 외측으로 누출될 수 있고, 공기의 누출 발생은 유동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손실로 이어지면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플레이트에서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의 공기유동부를 개발하고,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 및 활용하며, 나아가 유동부의 효율적인 실링구조를 개발하여 공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어플레이트에서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의 공기유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드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유동부와 공기통과부 사이에서 공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유동부에서 공기의 유동압력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공기유동부를 실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리어플레이트에 효과적으로 장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에 구동부가 장착되고, 구동부에 의해 드럼이 회전됨으로써 벨트 등이 없이도 구동부로부터 드럼으로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의 공기는 드럼을 향해 배출되며 드럼후면에 구비되는 공기통과부를 통해 드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부와 공기유동부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는 리어플레이트 또는 드럼후면상에 마련되어 공기유동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통과부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링부는 고정부와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드럼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접촉부재는 고정부상에 마련되어 돌출부에 의해 경사진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재는 드럼후면과 접촉되며 공기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촉부재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드럼후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공기의 누출 억제 효과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나아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접촉부재는 드럼후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공기유동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유압이 증가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실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공기유동부, 공기통과부 및 실링부를 포함한다.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한다.
공기유동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을 향해 공기가 토출된다. 공기통과부는 상기 드럼에서 상기 공기유동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의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전달된다.
실링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실링부는 고정부 및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경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결합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공기유동부를 향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단 및 상기 외측단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결합부상에 고정되는 접촉결합부 및 상기 접촉결합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접촉결합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접촉결합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공기유동부로부터 상기 위치가이드부보다 더 멀리 위치되는 강성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경사부는 상기 돌출부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접촉경사부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결합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연장부 및 상기 돌출연장부의 돌출된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연장부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처짐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일면을 형성하며 후방에 상기 리어플레이트가 위치되는 드럼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유동부의 내측둘레 또는 외측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공기유동부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드럼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상기 공기통과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후방에서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동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어플레이트에서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의 공기유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드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유동부와 공기통과부 사이에서 공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유동부에서 공기의 유동압력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공기유동부를 실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리어플레이트에 효과적으로 장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기유동부와 연결된 공기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기공급부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기유동부를 포함하는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기통과부를 포함하는 드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실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플레이트상에 배치된 실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방측에 프론트플레이트(11)가 마련될 수 있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측면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측에 상부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고, 하부측에 하부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으며,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15)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1), 측면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15)는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지면 또는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서로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함께 상기 캐비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함께 연결되어 내부에 드럼(20)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1)는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의류가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2)는 프론트플레이트(11)의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프론트플레이트(11)상에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1)는 조작부(40)를 포함할 수 있고, 조작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입력부(50) 및 의류의 처리과정을 나타낼 수 있는 출력부(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작부(40)는 반드시 프론트플레이트(11)에 마련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플레이트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40)는 복수로 마련되어 프론트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 등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고, 조작부(40)에는 사용자에 의해 건조행정의 수행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 등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조작부(40) 내부 또는 조작부(40)와 이격되어 상기 조작부(40)와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부(40) 및 구동부(30) 등과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 등을 제어하며 의류의 건조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는 캐비닛(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캐비닛(10)의 상부에서 캐비닛(10) 내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는 캐비닛(10)의 측방향 양측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측면플레이트는 캐비닛(10)의 측방향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플레이트 및 측방향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는 캐비닛(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할 공기공급부(70) 및 히트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5)는 캐비닛(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할 공기유동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을 포함할 수 있고, 드럼(20)은 전방측에 드럼(20)전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전면에는 의류가 투입되기 위한 드럼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1)에 마련되는 의류개구(12)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개구(22)를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20)은 상기 드럼(20)전면이 전체로서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드럼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전면의 후방측에는 드럼(2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드럼둘레면(23)이 위치될 수 있고, 드럼둘레면(23)의 후방측에는 드럼후면(25)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후면(25)은 테두리측이 상기 드럼둘레면(23)과 결합될 수 있다.
드럼(20)은 내부에 드럼둘레면(23) 및 드럼후면(25)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20) 내부의 공간은 드럼개구(2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드럼둘레면(23)에 의해 둘러싸이며, 드럼후면(25)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드럼둘레면(23)의 내측에는 의류리프터(27)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리프터(27)는 드럼둘레면(23)으로부터 드럼(20) 내부로 돌출되는 리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30)에 의해 드럼(20)이 회전하게 되면, 의류리프터(27)는 드럼(20) 내부의 의류를 드럼(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이동성과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며 전방에서 의류가 투입되는 프론트로더 타입일 수 있다. 프론트로더 타입은 탑로더 타입과 비교할 때 의류의 투입과 인출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11)는 드럼(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프론트플레이트(11)는 드럼(20)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드럼(20)의 전단부는 프론트플레이트(11)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플레이트(11)는 상기 의류개구(12)의 둘레에서 상기 드럼(20)의 전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류개구(12)와 드럼개구(2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의류개구(12)와 드럼개구(22) 및 드럼(20)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11)는 상기 의류개구(1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의류개구(1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은 드럼(20)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프론트플레이트(11)와 드럼개구(22) 사이 또는 의류개구(12)와 드럼개구(22) 사이에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재가 가스켓의 내주면에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11)에는 드럼(20)의 전단부에 접촉되어 드럼(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휠이 설치될 수 있다. 전방휠은 드럼개구(22)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의류개구(12)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방휠은 드럼(20) 전단부의 하방에서 상기 드럼(20)을 상방으로 지지할 수 있고,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 내부에 투입되는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의류의 건조를 위해 공기, 예컨대 온도가 상승하도록 가열된 열풍이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으며,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의류로부터 전달되는 수분을 포함한 상태에서 다시 드럼(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된 이후, 다시 제습 및 가열되어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식 의류처리장치(1)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고, 드럼(20)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습 및 가열되어 드럼(20)으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순환유로상에는 드럼(20)과 공기공급부(70)가 포함되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70)는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드럼(20)측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은 드럼후면(25)을 통해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드럼(20)전면의 드럼개구(22)를 통해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다시 드럼(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공급부(70)로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72)는 프론트플레이트(11)에 마련되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후술할 공기공급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72)는 드럼개구(22) 또는 의류개구(1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프론트플레이트(11)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프론트플레이트(11)의 외부에서 상기 가스켓을 통해 의류개구(1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드럼개구(22)는 의류개구(12)와 전술한 가스켓 등을 통해 기밀성이 유지되며 연결될 수 있고, 공기유입부(72)는 의류개구(12) 및 드럼개구(22)와 연통되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상기 공기유입부(7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공간 확보가 비교적 용이한 하부플레이트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공기공급부(70)나 히트펌프가 구비되는 베이스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7)상에는 공기공급부(70) 및 히트펌프 등이 안착될 수 있고, 베이스부(17)는 하부플레이트상에 결합되거나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7)가 하부플레이트에 해당되어 캐비닛(10)의 하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유입부(72)는 공기공급부(70)의 일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72)로부터 공기공급부(7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공급부(70) 내부에 정의되는 공기유로(71)를 따라 유동하며 제습 및 가열되어 공기공급부(7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위한 히트펌프의 구성 일부가 내장될 수 있으며, 공기의 제습 및 가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공기유로(7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공기공급부(70)의 공기배출부(7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77)의 내부에는 송풍부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77)는 덕트부(8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배출부(77) 및 덕트부(80)를 경유한 공기는 공기유동부(100)로 제공될 수 있다.
송풍부는 팬모터(76)에 의해 회전되는 순환팬(7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의 순환팬(75)은 순환유로 전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며 공기공급부(70)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70)는 공기유입부(72)를 통해 드럼(20)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송풍부에 의해 공기유로(71)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습 및 가열되며,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공기배출부(77)를 통해 공기공급부(70)의 외부로 토출되어 다시 드럼(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15)는 덕트부(80)와 연결되어 공기배출부(7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달받아 드럼후면(25)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70)는 상기 공기유동부(100)로 공기를 제공하여 공기유동부(100)를 통해 드럼후면(25)으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의 덕트부(80)는 공기배출부(77)와 공기유동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강기배출부의 송풍부를 경유한 공기는 덕트부(80)를 통해 공기유동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5)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유입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공기공급부(70)는 유입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00)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유동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며 공기유동부(100)로부터 드럼후면(25)을 향해 유출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는 드럼후면(25)을 향하는 전면이 개방되어 전방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후면(25)에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과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 및 통과되어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과정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의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드럼(2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공기통과부(200)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습 및 가열된 열풍일 수 있고, 상기 열풍은 드럼(20) 내부의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드럼(20) 내부에서 습도가 증가된 공기는 드럼개구(22)를 통해 드럼(20) 외부로 배출되며, 드럼(20)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는 공기유입부(72)를 경유하여 공기공급부(70)의 공기유로(71)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유로(7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히트펌프 등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에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공기배출부(77)를 경유하며 덕트부(80)를 따라 유동되며, 공기유동부(100)는 덕트부(8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다시 드럼(20)의 공기통과부(200)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공기의 순환 과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드럼(20) 내부에는 저습 고온의 공기가 지속 제공될 수 있고,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은 상기 저습 고온의 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공기와 함께 드럼(2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의류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5) 및 드럼후면(25)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어플레이트(15)는 구동부(30)가 장착되는 구동장착부 및 공기유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에는 구동부(30)가 결합될 수 있고, 구동장착부의 형상이나 구동부(30)의 결합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착부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30)는 구동장착부의 후방에서 구동장착부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구동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는 드럼후면(25)으로 공기를 유출함으로써 상기 드럼(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의 형상이나 공기의 유출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유동부(100)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의 공기가 개방된 상기 전면을 통해 드럼후면(25)을 향하여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드럼후면(25)은 구동연결부 및 공기통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연결부는 구동장착부에 결합되는 구동부(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로부터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의 형상이나 구동부(30)와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연결부는 구동부(30)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연결부는 구동장착부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고, 구동장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동부(30)의 구동축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공기통과부(200)를 통과하며 드럼(2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의 형상이나 공기 유입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과부(200)는 공기유동부(10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공기유동부(100)를 전방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는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통기홀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기유동부(100)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공기통과부(200)의 통기홀을 통해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가 리어플레이트(15)의 구동장착부에 결합됨으로써, 드럼(20)의 회전축과 구동부(30)의 구동축이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는 벨트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드럼(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벨트에 의한 슬립 등의 발생이 없이 드럼(2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5) 자체의 일부가 공기유동부(100)를 형성할 수 있어 공기유동부(10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지 않고 공기유동부(100)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00)는 상기 별도의 구성이 리어플레이트(15)와 결합되지 않으므로 구성간 결합부위로부터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유동부(100) 형성을 위한 구성간 결합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 공정상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00)의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100)의 내부로부터 드럼후면(25)을 향해는 공기의 유동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플레이트(11)는 캐비닛(10)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캐비닛(10)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는 의류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1)의 후방에는 드럼(20)이 배치될 수 있고, 드럼(20)은 전후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전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22)가 형성될 수 있고, 의류개구(12)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개구(22)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20)은 상기 드럼개구(22)를 둘러싸는 개구둘레부와, 개구둘레부의 후방측에서 드럼(20) 내부를 둘러싸는 드럼둘레면(23)과, 드럼둘레면(23)의 후방에서 드럼둘레면(23)과 결합되는 드럼후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의 후방에는 리어플레이트(15)가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5)는 캐비닛(10)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캐비닛(10)의 후방측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5)는 드럼(20)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유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드럼후면(25)과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동부(100)를 둘러싸며 공기의 누출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실링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00)는 대략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실링부(300)는 내측실링부(302) 및 외측실링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실링부(302)는 공기유동부(100)의 내측 둘레를 감싸며 공기통과부(200)의 외부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외측실링부(301)는 공기유동부(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공기통과부(200)의 외부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착부는 전방에서 장착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구동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은 구동장착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구동부(30)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구동부(30)가 리어플레이트(15)에 결합되어 드럼(2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구동부(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구동부(30)의 구동축과 드럼(20)의 회전축이 정렬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장착부의 전면에 장착브라켓이 결합되어 구동장착부를 보강하고 구동부(3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장착부에 결합되는 구동부(30)는 구동장착부를 통해 장착브라켓과도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장착브라켓, 구동장착부 및 장착브라켓은 상호간의 체결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0)의 구동축은 구동장착부를 관통하여 드럼후면(25)의 구동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구동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구동파트 및 제1구동파트에 결합 및 고정되는 제2구동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은 제1구동파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15)는 후방에는 리어커버(16)가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16)는 리어플레이트(15)의 적어도 일부를 후방에서 덮도록 마련되고, 리어플레이트(15)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커버(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후면 전체를 형성하거나, 리어플레이트(15)의 일부를 후방으로 노출시키며 리어플레이트(15)와 함께 의류처리장치(1)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5)의 공기유동부(100) 또는 구동부(30)는 적어도 일부가 리어플레이트(15)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리어커버(16)는 리어플레이트(15)의 후면상에 결합되어 공기유동부(100) 및 구동부(3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커버(16)를 통해 공기유동부(100)에서 외부로 열이 전달되어 공기의 열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공기유동부(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는 리어커버(16)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며 외부에서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서 드럼(20)의 하방에는 베이스부(17)가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17)에는 전술한 공기공급부(70) 및 히트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공기유동부(100)를 통해 다시 드럼(2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히트펌프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공급부(7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공급부(70)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베이스부(17)의 공기공급부(70)와 리어플레이트(15)의 공기유동부(100)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공기공급부(70)의 내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부(70) 및 히트펌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부(17)가 도시되어 있고,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공급부(70)로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부(72)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공급부(70)는 베이스부(17)상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70)는 순환유로의 특성상 프론트플레이트(11)로부터 리어플레이트(15)까지 연장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베이스부(17)에서 캐비닛(10)의 측방향 일측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공급부(70)는 캐비닛(10)의 측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측면플레이트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공급부(70)가 측방향 일측에 가깝도록 배치됨으로써, 캐비닛(10)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드럼(20)의 최하단과의 구조적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공급부(70)의 연장방향을 따라 캐비닛(1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70)의 공기는 프론트플레이트(11)측에서 리어플레이트(15)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송풍부는 순환팬(75)이 내장되는 순환팬하우징 및 순환팬(75)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모터(76)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하우징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팬모터(76)는 순환팬하우징에 결합되어 순환팬하우징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팬모터(76)의 모터축은 순환팬(75)의 회전축과 나란할 수 있으며, 공기공급부(7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71)의 단면상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순환팬(7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공기가 순환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모터(76)는 리어플레이트(15)의 전방에서 리어플레이트(15)의 내부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플레이트(15)에는 구동부(30) 및 팬모터(76)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5)에는 구동부(30) 및 팬모터(76)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덕트부(80)는 송풍부, 즉 공기배출부(77)와 공기유동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는 드럼후면(25)의 후방에 배치되고, 송풍부는 드럼(20)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덕트부(80)는 송풍부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되어 공기유동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15)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유입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연장부는 공기유동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연장부는 리어플레이트(15)상에서 공기유동부(100)로부터 공기공급부(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유입연장부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덕트부(80)의 적어도 일부와 송풍부의 적어도 일부는 연장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덕트부(80)의 적어도 일부와 팬모터(76)가 연장공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으로 개방된 유동공간을 포함하는 공기유동부(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환형으로 마련되는 공기유동부(100)의 중앙측에 구동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형이란 연속하여 연장되는 폐곡선을 의미할 수 있고, 내측으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고리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형은 원은 물론 다각형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동장착부는 후방에서 결합되는 구동부(30)에 의해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구동축 및 구동축을 둘러싸는 베어링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축 및 베어링연장부는 함께 구동장착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베이스부(17)에 마련되는 히트펌프가 도시되어 있다. 히트펌프는 복수의 열교환기와 압축기(78)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78)를 통해 압축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경유하며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펌프는 제1열교환기, 제2열교환기 및 압축기(78)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는 상기 제1열교환기, 제2열교환기 및 압축기(78)를 순환하는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70)에 내장되는 히트펌프의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공기공급부(70) 외측에 위치되는 압축기(78)가 도시되어 있다.
제1열교환기는 유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에 해당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는 유체가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1열교환기는 공기의 온도가 저하되어 공기 중 수분이 응축되는 제습부(73)에 해당할 수 있고, 제2열교환기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가열부(74)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73) 및 상기 가열부(74)는 공기공급부(70)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에 해당하는 제습부(73)는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응축시켜 공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제2열교환기에 해당하는 가열부(74)는 유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공기에 제공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공기공급부(70)의 공기유로(71)상에서 제습부(73)는 가열부(74)보다 상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습부(73)는 가열부(7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습부(73)는 공기유입부(72)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습부(73)를 지나도록 유동될 수 있다. 드럼(20)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공기유입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의류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다량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7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습부(73)를 지나가게 되고, 제1열교환기에 의해 열을 빼앗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는 제습부(73)에서 응축되어 물방울의 형태로 변화하며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0)는 제습부(73)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공기공급부(70) 외부에 배치되는 집수부(79)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집수부(79)는 공기공급부(70)의 제습부(73)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열부(74)는 제습부(73)보다 공기공급부(70)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송풍부 또는 공기배출부(77)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74)는 유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응축기에 해당될 수 있으며, 가열부(74)를 경유하는 공기는 상기 가열부(74)에 의해 가열되어 송풍부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열부(74)가 제습부(73)보다 하류측에 위치됨에 따라, 제습부(73)를 통해 냉각되어 제습된 공기가 가열부(74)를 통해 다시 가열된 상태로 공기공급부(7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가열부(74)를 경유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부의 순환팬(75)이 도시되어 있고, 순환팬(75)의 후방에서 순환팬(75)과 연결되는 팬모터(76)가 도시되어 있다. 순환팬(75)과 팬모터(76)는 적어도 일부가 전술한 유입연장부의 연장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습부(73)를 통해 공기중으로부터 제거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79)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7)에서 공기공급부(70)는 측방향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집수부(79) 및 압축기(78)는 베이스부(17)에서 측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0)가 리어플레이트(15)에 배치됨에 따라, 구동부(30)가 베이스부(17)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베이스부(17)상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집수부(79)의 크기 및 용량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78)는 집수부(79)의 후방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78)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의류처리장치(1)의 전방에서 의류처리장치(1)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리어플레이트(15)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실링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 드럼(20), 공기유동부(100), 공기통과부(200) 및 실링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20)을 향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일면은 전술한 리어플레이트(15)일 수 있으나, 반드시 리어플레이트(15)로 한정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가 리어플레이트(15)상에 마련되는 경우, 공기유동부(100)는 리어플레이트(15)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절곡되거나 휘어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는 드럼(20)을 향해 개방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는 공기유동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를 유동하는 공기는 공기유동부(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리어플레이트(15)와 대략 나란하게 유동하고, 공기유동부(10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드럼(20)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00)는 전면에 그릴 등의 부재가 없이 개방되므로, 드럼(20)을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되면서 드럼(20)을 향해 효과적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드럼(20)이 도시되어 있다. 드럼(20)에는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통과되어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공기통과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는 상기 드럼(20)에서 상기 공기유동부(100)를 마주보는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100)의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드럼(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에는 드럼(20)의 드럼후면(25)상에 마련되는 공기통과부(20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공기통과부(200)가 드럼후면(25)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통과부(200)가 드럼후면(25)에 마련되는 경우, 공기통과부(200)는 공기유동부(100)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공기유동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통과부(200) 또한 공기유동부(100)를 마주보며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통과부(200)를 경유하여 드럼(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는 공기유동부(100)의 개방된 전면을 마주볼 수 있다. 공기통과부(200)는 공기유동부(100)의 함몰면을 직접 마주볼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어플레이트(15)에 구비되어 공기유동부(100)로부터 토출되는 기체가 공기통과부(200)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실링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링부(30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100)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부(2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유동부(100)가 캐비닛(10)의 리어플레이트(15)에 위치되는 경우, 실링부(300)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15)상에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300)에 의해 드럼(20)과 리어플레이트(15) 사이가 실링될 수 있다.
실링부(300)는 공기유동부(100)의 외측둘레에 배치되는 외측실링부(301)와, 공기유동부(100)의 내측둘레에 배치되는 내측실링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링부(300)의 특징은 상기 외측실링부(301)와 상기 내측실링부(302)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00)와 공기통과부(200) 사이에 실링부(300)에 의해 실링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부(200), 실링부(300), 공기유동부(100)의 내측둘레면, 외측둘레면 및 함몰면으로 정의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의 일면에 구비된 실링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링부(300)는 고정부(310)와 접촉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상기 드럼(20)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캐비닛(10)의 일면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캐비닛(10)의 일면으로부터 드럼(20)의 일면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31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중합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부재(350)는 고정부(310)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재(350)는 고정부(3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재(350)는 드럼(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접촉부재(350)는 리어플레이트(15)와 드럼후면(25)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350)는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재(350)는 회전체에 해당하는 드럼(20)과 접촉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접촉부재(350)는 펠트 소재 등 고정부(310)보다 연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350)는 고정부(310)에 고정되어 드럼(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길이방향이 드럼(20)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접촉부재(350)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드럼(20)의 일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공기유동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태로 마련되거나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의 일면과 접촉되어 공기 누출을 억제하는 접촉부재(350)가 고정부(310)의 돌출부(330)를 통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경사각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접촉부재(350)와 드럼(20)의 일면간 접촉면적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어 실링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실링부(3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실링부(300)는 공기유동부(100)의 외측둘레에 배치되는 외측실링부(301)에 해당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외측실링부(30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드럼(20)의 일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경사면(335)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35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경사면(335)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캐비닛(10)의 일면으로부터 드럼(20)의 일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경사면(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재(350)는 적어도 일부가 돌출경사면(335)상에 위치되어 돌출경사면(335)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재(350)는 드럼(2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고정부(310) 대비 유연성이 높은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촉부재(350)의 경사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접촉부재(350) 대비 고강성의 고정부(310)에 돌출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330)는 돌출경사면(335)을 통해 접촉부재(350)를 경사지게 지지함으로써, 접촉부재(350)가 고정부(3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경사각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31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고정결합부(32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캐비닛(10)의 일면, 예컨대 리어플레이트(15)상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330)는 고정결합부(320)로부터 드럼(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0)는 고정결합부(32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기 또는 리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30)에서 드럼(20)을 향하는 일면은 전술한 돌출경사면(335)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돌출경사면(335)상에 접촉부재(350)가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330)는 스스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돌출경사면(3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럼(20)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필요한 변형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30)는 접촉부재(350)에게 드럼(20)의 일면을 향한 적절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결합부(320)는 상기 공기유동부(100)를 향하는 내측단(321)과 상기 내측단(32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측단(322)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단(321) 및 상기 외측단(322) 사이에 상기 돌출부(330)가 위치될 수 있다.
고정결합부(320)는 캐비닛(10)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 구성에 해당하고, 내측단(321)과 외측단(322)은 고정결합부(320)와 캐비닛(10)의 일면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경계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만일 돌출부(330)가 고정결합부(320)의 내측단(321)이나 외측단(322)에 위치되는 경우, 돌출부(330)로 전달되는 드럼(20)의 가압력이 상기 내측단(321)이나 상기 외측단(322)에 제공되어 고정결합부(320)와 캐비닛(10)의 일면간 결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아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부(330)에 제공되는 드럼(20)의 가압력은 돌출부(330)의 일면에는 인장력으로, 타면에는 수축력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돌출부(330)가 내측단(321) 또는 외측단(322)에 위치되면 상기 인장력 또는 수축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저항하기 불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30)가 드럼(20)의 가압력에 의해 불필요한 변형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부재(350)의 경사각이 과도하게 낮아지거나 드럼(20)을 향한 접촉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돌출부(330)가 고정결합부(320)의 내측단(321) 및 외측단(322)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드럼(20)의 가압력이 고정결합부(320)와 캐비닛(10)의 일면간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돌출부(330)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결합부(32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결합부(320)는 캐비닛(10)을 향하는 일면이 상기 캐비닛(1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결합부(320)에는 캐비닛(10)에 접착되기 위한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유체 형태 또는 테이프와 같은 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결합부(320)에서 캐비닛(10)을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접착제가 제공되는 접착영역(340)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영역(340)은 고정결합부(320)에서 캐비닛(10)을 향하는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재(350)는 접촉결합부(360) 및 접촉경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결합부(360)는 상기 고정결합부(32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결합부(360)는 고정결합부(3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촉결합부(360)는 고정결합부(320)에 재봉되거나, 접착성 물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접촉경사부(370)는 상기 접촉결합부(360)로부터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접촉경사부(370)는 접촉결합부(36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촉부재(350)는 접촉결합부(360)를 통해 고정결합부(320)에 고정되므로 고정부(310)와의 결합면적이 증가되어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결합부(320)는 상기 드럼(20)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접촉결합부(36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접촉결합부(3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가이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323)는 고정결합부(320)에서 드럼(20)을 향하는 일면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드럼(20)을 향해 돌출되고 공기유동부(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 또는 돌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323)는 고정결합부(320)에 결합된 접촉결합부(360)의 이동을 제한하고,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접촉결합부(360)의 끝단은 위치가이드부(323)에 의해 공기유동부(100)의 반경방향으로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결합부(320)는 상기 드럼(20)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공기유동부(100)로부터 상기 위치가이드부(323)보다 더 멀리 위치되는 강성보강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보강부(324)는 공기유동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동부(100)의 둘레 전체를 감싸는 단일개로 구비되거나 복수의 분할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310)는 상기 강성보강부(324)에 의해 공기유동부(100)의 둘레방향에 대한 변형 등에 대해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경사부(370)는 상기 돌출부(330)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드럼(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접촉경사부(370)의 길이(L2)는 돌출부(330)의 길이(L3)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경사부(370)는 드럼(20)과의 접촉에 따른 가압력에 대한 변형 자유도가 높아지고 드럼(2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돌출부(330)의 물리적 개입도가 낮아져 드럼(20)과의 마찰력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결합부(360)의 길이(L1)는 상기 접촉경사부(370)의 길이(L2)보다 더 짧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재(350)의 접촉결합부(360)는 고정결합부(320)와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변형 자유도가 낮지만, 접촉경사부(370)는 돌출부(330)상에 지지될 뿐 직접 결합된 상태가 아니어서 변형 자유도가 높아진다.
한편, 접촉경사부(370)는 접촉결합부(360)와의 관계에서 공기유동부(100)의 중앙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링 형상을 가지는 접촉부재(350)의 형상적 특성상 접촉경사부(370)의 끝단은 접촉결합부(36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접촉경사부(370)는 변형이 제한되고 고정된 접촉결합부(360)와의 직경 차이로 인해 웨이브 형상과 같이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경사부(370)의 변형은 드럼(20)의 일면과의 균일한 접촉에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접촉결합부(360)의 길이(L1)를 짧게 하고 접촉경사부(370)의 길이(L2)를 길게 함으로써, 접촉경사부(370)의 끝단이 일그러지는 변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30)는 돌출연장부(331) 및 처짐방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연장부(331)는 상기 고정결합부(32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처짐방지부(332)는 상기 돌출연장부(331)의 돌출된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연장부(331)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30)는 접촉부재(350)가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고정결합부(32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다만 드럼(2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 등이 발생되어 경사각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돌출부(33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돌출부(330)의 끝단에 처짐방지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처짐방지부(332)는 돌출연장부(331)보다 더 두껍게 성형될 수 있고, 따라서 돌출부(330)의 끝단은 처짐에 대한 강건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15)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20)은 상기 드럼(20)의 일면을 형성하며 후방에 상기 리어플레이트(15)가 위치되는 드럼후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링부(300)가 배치되는 캐비닛(10)의 일면은 전술한 리어플레이트(15)일 수 있고, 공기통과부(200)가 배치되는 드럼(20)의 일면은 전술한 드럼후면(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부(1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실링부(300)는 상기 공기유동부(100)의 내측둘레 또는 외측둘레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유동부(100)의 내측둘레에는 전술한 내측실링부(302)가 배치될 수 있고, 공기유동부(100)의 외측둘레에는 전술한 외측실링부(30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350)는 상기 공기유동부(100)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드럼후면(25)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350)는 드럼후면(25)에 가까울수록 공기유동부(100)에 가깝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외측실링부(301)의 접촉부재(350)는 드럼후면(25)에 가까울수록 공기유동부(100)의 중앙에 가깝게 경사질 수 있고, 내측실링부(302)의 접촉부재(350)는 드럼후면(25)에 가까울수록 공기유동부(100)의 중앙, 예컨대 구동부(3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100)에 존재하는 공기의 유동압력이 증가될수록 접촉부재(350)에 드럼후면(25)을 향하는 가압력이 증가되어 실링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부(10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15)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상기 공기통과부(200)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00)는 전면이 전체로서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100)에 존재하는 공기가 공기통과부(200)를 향하는 유동상의 저항의 최소화될 수 있고, 공기유동부(100)가 실링부(300) 및 공기통과부(2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드럼(2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2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5)에 후방에서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동부(1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은 구동부(30)의 구동축과 직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30)의 회전력 전달 효과가 향상되고 드럼(20)의 회전 특성 제어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1 : 프론트플레이트 12 : 의류개구
13 : 의류도어 15 : 리어플레이트
16 : 리어커버 17 : 베이스부
20 : 드럼 22 : 드럼개구
23 : 드럼둘레면 25 : 드럼후면
27 : 의류리프터 30 : 구동부
40 : 조작부 50 : 입력부
60 : 출력부 70 : 공기공급부
71 : 공기유로 72 : 공기유입부
73 : 제습부 74 : 가열부
75 : 순환팬 76 : 팬모터
77 : 공기배출부 78 : 압축기
79 : 집수부 80 : 덕트부
100 : 공기유동부 200 : 공기통과부
300 : 실링부 301 : 외측실링부
302 : 내측실링부 310 : 고정부
320 : 고정결합부 323 : 위치가이드부
324 : 강성보강부 330 : 돌출부
331 : 돌출연장부 332 : 처짐방지부
335 : 돌출경사면 340 : 접착영역
350 : 접촉부재 360 : 접촉결합부
370 : 접촉경사부

Claims (16)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유동부;
    상기 드럼에서 상기 공기유동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의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전달되는 공기통과부; 및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상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경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결합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공기유동부를 향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단 및 상기 외측단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결합부상에 고정되는 접촉결합부; 및
    상기 접촉결합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경사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접촉결합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상기 접촉결합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드럼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공기유동부로부터 상기 위치가이드부보다 더 멀리 위치되는 강성보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경사부는 상기 돌출부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드럼의 일면에 접촉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기 접촉경사부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결합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돌출연장부; 및
    상기 돌출연장부의 돌출된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연장부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처짐방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일면을 형성하며 후방에 상기 리어플레이트가 위치되는 드럼후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유동부의 내측둘레 또는 외측둘레를 둘러싸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공기유동부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드럼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상기 공기통과부를 향해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후방에서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동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29540A 2022-01-17 2022-03-08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6890 2022-01-17
KR1020220006890 2022-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117A true KR20230111117A (ko) 2023-07-25

Family

ID=8742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540A KR20230111117A (ko) 2022-01-17 2022-03-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1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259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30111117A (ko) 의류처리장치
WO2014024400A1 (ja) 衣類乾燥機
US9163345B2 (en) Drum washing machine
TWI820617B (zh) 衣物處理裝置
US1210430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4583197B2 (ja) 洗濯機
CN115045097B (zh) 衣物处理装置
KR2022012642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2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30A (ko) 의류처리장치
TWI841921B (zh) 衣物處理裝置
TWI856286B (zh) 衣物處理裝置
US12152336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007050A (ko) 의류 처리장치
JP2024124696A (ja) 洗濯乾燥機
KR20230007049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712908B1 (ko) 세탁장치
US20050229648A1 (en) Drum type washer and dryer
KR2023011111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120A (ko) 의류처리장치
JPH05146593A (ja) 乾燥機
JPH05154293A (ja) 乾燥機
CN101173439A (zh) 滚筒洗衣机
JPH03178697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