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466A -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66A
KR20230109466A KR1020220005472A KR20220005472A KR20230109466A KR 20230109466 A KR20230109466 A KR 20230109466A KR 1020220005472 A KR1020220005472 A KR 1020220005472A KR 20220005472 A KR20220005472 A KR 20220005472A KR 20230109466 A KR20230109466 A KR 20230109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ess
salt
cross
hyalu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060B1 (ko
Inventor
안효석
김혁
박승한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2000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60B1/ko
Priority to US18/149,718 priority patent/US20230218500A1/en
Priority to EP23150432.5A priority patent/EP4212145A1/en
Priority to CN202310062397.6A priority patent/CN116421558A/zh
Publication of KR2023010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6Swellable particulate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4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macromole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5Involves in-situ formation or cross-linking of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을 사용하여 셔벗과 같은 특이한 질감과 사용감을 갖는 수중유형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한 것으로, 본 개시의 조성물은 수상과 유상에 각각 특정 입자크기 분포 D(0.5) 범위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 및 유화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셔벗, 매쉬드 포테이토 또는 머랭과 같이 입자감이 있으면서도 포슬포슬한 외관 내지 질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포시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수상을 외상으로 포함하여 세정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l}
본 명세서는 천연 고분자 하이드로겔을 포함하여 특이한 질감을 갖는 수중유형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한다.
화장품과 같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유형의 제품에 있어서 사용감은 제품의 기능성 또는 효능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만족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다양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제품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화장품의 대표적인 특이 사용감으로는 물터지는 사용감 내지 수분감이 있으나, 이러한 사용감은 W/O(Water in Oil) 또는 W/S(Water in Silicon oil) 에멀젼과 같이 불연속상이 수상인 경우에 한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 제형들의 경우 외상이 오일 혹은 실리콘 오일이기 때문에 초기 번들거림이 심하거나 물터짐이라고 하는 속성이 전상감, 즉 내상과 외상이 뒤바뀌면서 내상의 물터짐이 느껴지는 현상에서 비롯되어 불연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도포시 삐그덕거리는 사용감을 주기 쉽다. 또한 외상의 오일 성분은 피부에 잔존하고 물 성분만 겉도는 느낌을 주며, 외상의 오일 혹은 실리콘 오일 성분으로 인해 피부에 자극을 줄 여지가 있고 피부에 잔존하여 세정이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었다.
KR 10-2143829 B2 (2020.8.12)
일 관점에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이 사용감을 제공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을 사용하여 셔벗과 같은 특이한 질감과 사용감을 갖는 수중유형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수상과 유상에 각각 특정 입자크기 분포 D(0.5) 범위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 및 유화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셔벗, 매쉬드 포테이토 또는 머랭과 같이 입자감이 있으면서도 포슬포슬한 외관 내지 질감을 가진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도포시 녹는듯 부드럽게 펴발림과 동시에 유화 입자가 터질 때의 유분감과 겔 입자가 터질 때의 수분감이 연속적으로 느껴지는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수상을 외상으로 포함하여 세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개시의 조성물은 종래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소재를 사용한 제품들이 점성으로 인해 끈적임을 동반하였던 것과 달리,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고함량으로 포함함에도 흡수 후 끈적임이 적고 촉촉함을 장시간 부여할 수 있다.
도 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1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2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1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비교예 2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함수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왼손) 및 비교예 1(오른손)의 끈적임 평가 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왼손) 및 비교예 1(오른손)의 끈적임 평가 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성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성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제형의 조성물로서, 손으로 직접 도포하거나 스패츌러 등 다양한 도포수단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의약품, 의약외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β-D-N-아세틸글루코사민과 β-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된 직쇄상의 음이온성 천연다당류로, 염의 형태(salt form)로 존재하며 히알루론산의 분자 구조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상기 n은 200 - 25,000이며, 상기 x의 단위는 mol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산 부가염, 염기 부가염 또는 아미노산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염은 염산염, 취화수소산염, 황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구연산염, 옥살산염, 아세트산염, 포름산염, 프로피온산염, 안식향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말레인산염, 주석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소듐염, 포타슘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구리염, 아연염, 알루미늄염, 암모늄염 등의 무기염기염; 트리에틸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암모늄염, 피리디늄염, 디이소프로필암모늄염 등의 유기염기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히스티딘염, 아스파라긴산염, 글루타민산염 등의 아미노산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염은 히알루론산 소듐염, 히알루론산 포타슘염, 히알루론산 아세트산염, 히알루론산 암모늄염 또는C12-13 알킬 글리세릴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네이트(C12-13 Alkyl Glyceryl Hydrolyzed Hyaluronate)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은 당사슬의 길이에 따라 중량평균분자량이 달라지며,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내지 5,000 kDa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kDa 이상, 300 kDa 이상, 500 kDa 이상, 700 kDa 이상, 900 kDa 이상, 1,100 kDa 이상, 1,300 kDa 이상, 1,400 kDa 이상, 1,500 kDa 이상, 또는 1,600 kDa 이상일 수 있고, 5,000 kDa 이하, 4,000 kDa 이하, 3,000 kDa 이하, 2,700 kDa 이하, 2,400 kDa 이하, 2,100 kDa 이하, 1,800 kDa 이하, 1,700 kDa 이하, 1,600 kDa 이하, 1,500 kDa 이하, 또는 1,400 kDa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300 내지 1,800 kDa일 수 있다.
천연 히알루론산은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어 제거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가교는 본 개시의 상기 입도 분포를 갖는 겔 입자로 제조될 수 있다면 가교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은 가교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가교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술폰계 가교제, 에폭사이드계 가교제 및 포스페이트계 가교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술폰(Divinyl sulfone, DVS),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1-(2,3-에폭시프로필) 2,3-에폭시시클로헥산(1-(2,3-Epoxypropyl)-2,3-epoxycyclohexane), 폴리에틸렌디글리시딜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EGDE), 1,2-에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2-Ethandiol diglycidyl ether) 및 소듐 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자 크기 분포는 어떤 입경 범위의 입자군의 전입자군에 대한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입경 분포 곡선이다. 상기 D(0.5)는 D50, D(V, 0.5) 또는 입도 중위값이라고도 한다. 상기 D(0.5)는 입자 크기 분포도에서의 중간 50%에 분포해있는 입자들의 크기를 의미하며, 분포도 상에서 피크(peak)로 나타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30 내지 150μm는 조성물에 포함된 입자들의 적어도 50%, 60%, 70%, 80% 또는 90%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범위는 D(0.5), D(0.6), D(0.7), D(0.8) 또는 D(0.9)의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입자 크기 분포는 레이절 회절 방식의 입도 분석기인 말번패널리티컬(Malvern Panalytical)사의 마스터사이저 2000(Mastersizer 200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입도 분석기라면 그 방식 또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는 입자 크기 분포에서 D(0.5)이 30 μm 이상, 40 μm 이상, 50 μm 이상, 60 μm 이상, 70 μm 이상, 80 μm 이상, 85 μm 이상, 90 μm 이상, 95 μm 이상, 100 μm 이상, 105 μm 이상, 110 μm 이상, 120 μm 이상, 130 μm 이상, 140 μm 이상일 수 있으며, 150 μm 이하, 140 μm 이하, 130 μm 이하, 120 μm 이하, 115 μm 이하, 110 μm 이하, 105 μm 이하, 100 μm 이하, 95 μm 이하, 90 μm 이하, 80 μm 이하, 70 μm 이하, 60 μm 이하, 50 μm 이하 또는 40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겔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에서 D(0.5)값이 30 μm 미만일 경우 도포시 물터지는 산뜻한 사용감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 겔입자의 D(0.5)값이 150 μm을 초과할 경우에는 입자가 과도하게 커서 셔벗과 같은 부드러운 질감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물감이 느껴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을 상기 크기 범위의 입자 크기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겔 입자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을 가교시켜 겔을 제조한 후, 이를 메쉬(mesh)에 통과시켜 분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메쉬의 망 크기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유화 입자'는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와 구별되는 것으로, 조성물의 수상내에 분산되어 있는 유상의 입자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화 입자의 D(0.5)는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단일 피크 또는 복수 개의 피크로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화 입자는 입자크기 분포에서 D(0.5)이 0.001 ㎛ 이상, 0.01 ㎛ 이상, 0.1 ㎛ 이상, 0.5㎛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으며, 30㎛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9 ㎛ 이하, 8㎛ 이하, 7㎛ 이하, 5㎛ 이하, 1㎛ 이하, 0.5㎛ 이하, 0.1㎛ 이하, 또는 0.00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화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에서 D(0.5)값이 0.001 μm 미만일 경우 고압 유화 등 나노 에멀젼 제조 공정을 수반하여야 하여 제조가 어려우며, 30 μm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종래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을 포함하는 제형의 조성물은 끈적임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었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을 분쇄하여 특정 입자 크기 분포 범위내의 입자들을 포함하므로, 히알루론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여도 끈적이지 않고 우수한 수분감과 흡수속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화 입자에 포함되는 오일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이라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천연 유래 오일, 실리콘계 오일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폴리데센(polydec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cetyl 2-ethyl 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디세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디메치콘(dimethicone), 메틸 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시클로 메치콘(cyclomethicone),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스쿠알란(squalane), 타마누 오일(tamanu oil), 마카다미아넛 오일(macadamia nut oil), 해바라기 씨 오일(sunflower seed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달맞이 꽃 오일(evening primrose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살구씨 오일(apricot oil), 참깨 오일(sesa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우드 오일(rosewood oil),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동백 오일(camellia oil),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및 호호바 오일(jojoba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셔벗과 같은 질감과 외관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셔벗(sherbet)'은 조성물을 유리판에 밀듯이 도포하여 외관을 확인하였을 때 입자감이 있으면서, 예를 들어 가볍고 부드러운 폼(foam)과 유사한 포슬포슬한 물성을 갖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도 5 참조). 일 실시예로서, 본 개시는 셔벗과 같은 질감과 외관을 가지며, 사용시에도 셔벗과 같이 녹는듯 부드럽게 펴발리며 겔 입자가 터질때의 수분감과 유화 입자가 터질때의 유분감이 연속적으로 느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19 중량% 이상일 수 있고,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또는 2.8 중량% 이상일 수 있고,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또는 0.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샤벗과 같은 특이적인 외관과 질감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의 탄성계수(G')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의 물성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의 탄성계수(G')는 100 내지 9000 Pa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계수는 100 Pa 이상, 200 Pa 이상, 300 Pa 이상, 400 Pa 이상, 500 Pa 이상, 600 Pa 이상, 700 Pa 이상, 800 Pa 이상, 900 Pa 이상, 1000 Pa 이상, 1100 Pa 이상, 1200 Pa 이상, 1500 Pa 이상, 2000 Pa 이상, 3000 Pa 이상, 4000 Pa 이상, 5000 Pa 이상, 6000 Pa 이상, 7000 Pa 이상 또는 8000 Pa 이상일 수 있으며, 9000 Pa 이하, 8000 Pa 이하, 7000 Pa 이하, 6000 Pa 이하, 5000 Pa 이하, 4000 Pa 이하, 3000 Pa 이하, 2000 Pa 이하, 1900 Pa 이하, 1800 Pa 이하, 1700 Pa 이하, 1600 Pa 이하, 1500 Pa 이하, 1400 Pa 이하, 1300 Pa 이하, 1200 Pa 이하, 1100 Pa 이하 또는 1000 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 계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너무 단단하거나 액체에 가까워 샤벗과 같은 외관의 제형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계수는 레오미터(Mave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계수는 25 ℃에서 20mm 플레이트 콘(plate corn)을 사용하여 0.1-10 Hz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1 Pa 전단 응력(Shear stress), 1mm 갭(gap)에서 측정을 실시하며, 그 중에서 1Hz 때의 G'값을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탄성계수(G')의 측정 샘플은 지름 20mm, 두께 1mm의 디스크 형태의 규격으로 통일하였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을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피부 보습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의 비치료적 화장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로션, 밀키로션, 연고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스킨 케어용 조성물, 메이크업용 조성물, 바디 또는 헤어 케어 또는 세정용 조성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앰플,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티슈, 팩,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파우더, 립 라이너,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블러셔(blusher), 트윈 케익 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바디워시, 페이셜워시, 핸드 워시,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스칼프트리트먼트,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헤어크림, 모발 영양화장수 또는 일반 연고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함으로써,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투여 용량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당한 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mg/kg/일 내지 5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실시예 1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서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1을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듐 히알루론산염(제조사: 현대 바이오랜드)을 가교제(PEGDE, 제조사: Sigma) NaOH가 들어있는 용액과 혼합하여 히알루론산염을 가교시켜 겔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겔 형태의 가교물을 메쉬망에 통과시켜 분쇄하여 입자 크기 분포에서 D(0.5)가 30 내지 150μm에 위치하는 입자로 제조하였다. 당업자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한 수중유형의 조성물에 상기 분쇄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를 투입 및 혼합하여,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서 가교제로 BDDE(제조사: Sigm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분쇄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대신 가교되지 않은 소듐 히알루론산염(제조사: 현대 바이오랜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분쇄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 크기 분포가 150μm를 초과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1.5 1.5 1.5 1.5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1 1 1 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CITRATE) 2 2 2 2
스쿠알란(SQUALANE) 8 8 8 8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7 7 7 7
쉐어버터(SHEA BUTTER) 3 3 3 3
메틸 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1.5 1.5 1.5 1.5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프로판디올(PROPANEDIOL) 14 14 14 14
1,2-헥산디올(1,2-HEXANEDIOL) 1.5 1.5 1.5 1.5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0.6 0.6 0.6 0.6
가교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
(D(0.5): 30~150μm)
0.5 0.5 - -
가교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 (D(0.5): 150μm 초과) - - - 0.5
미가교 히알루론산염 - - 0.5 -
물(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중량%)
[시험예 1]
아래 실험에서는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외관과 사용감을 비교하였다.
먼저, 말번패널리티컬(Malvern Panalytical)사의 마스터사이저 2000(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상기 각 조성물의 입자크기분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 모두 0.1-20μm 범위에서 유화 입자의 피크(D(0.5))가 나타났으며, 가교시키지 않은 히알루론산염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을 제외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2는 상기 유화 입자의 피크외 가교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의 피크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2는 D(0.5)값이 100μm 영역대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는 D(0.5)값이 150μm 를 초과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조성물을 유리판에 밀듯이 얇게 도포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값에 따른 외관을 수직으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촬영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감은 상기 각 조성물을 약 0.3ml씩 덜어 손등 위에 올려놓은 후 초당 2회 롤링 조건으로 20초 내외로 도포하였을 때 도포 전반적으로 사용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2 및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도 5) 및 실시예 2의 경우 유화 입자와 가교된 히알루론산염 겔 입자가 잘 혼합되어 포슬포슬한 외관을 가지며 물터짐이 잘 느껴지는 반면 비교예 1(도 6)의 경우 겔 입자가 없어 매끈한 면 상태를 보이며 물터짐은 느껴지지 않았다. 비교예 2(도 7)의 경우는 겔 입자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서 유화 입자와 겔 입자가 잘 혼합되지 못하였으며 도포 시 겔 입자가 자연스럽게 터져 물이 방출되지 않고 겔 입자가 옆으로 밀리면서 도포 범위내에서 빈번하게 이탈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구분 D(0.5) 물터짐
실시예 1 108μm 강함
실시예 2 104μm 강함
비교예 1 4μm 없음
비교예 2 520μm 약함
[시험예 2]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탄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탄성계수는 레오미터(Mave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설정 조건은 25 ℃에서 플레이트 타입(Plate type): 20 mm 플레이트 콘(plate corn)을 사용하여 1 Pa 로 조정된 진동 응력(oscillation stress), 0.1-10 Hz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1 Pa 전단응력(Shear stress), 1mm 갭(gap)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탄성계수(G'; Elastic modulus, Pa) 1068 89.45
그 결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은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이 특정 입도 분포 크기를 가짐으로써 건조중량 무게 대비 수십배 이상의 물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가교되지 않은 일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조성물의 탄성값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보습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비트로 상에서 실시예와 비교예의 수분증발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름 3cm 유리용기에 각 조성물을 4g씩 소분하여 넣고, 96시간동안 항온(30℃), 항습(50%) 및 무풍조건에서 보관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상기 조성물들의 각 무게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각 조성물에서 증발하고 남은 수분량, 즉 함수량(g)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수분증발속도가 낮았으며, 비교예 1은 48시간 경과시 수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개시의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시 수분감이 우수하고 수분 보유력이 더 오래 유지될 것임을 의미한다.
[시험예 4]
상기 제조된 실시예 1이 끈적임이 없는 산뜻한 사용감을 갖는지 여부를 비교예 1과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정상 피부를 갖는 30-40대 여성 3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을 왼손의 손등에, 비교예 1을 오른손의 손등에 각각 0.3g씩 도포한 후 충분히 두드려 흡수시켰다. 상기 각 손등에 지름 5mm 정사각형의 종이(더블A A4 용지)를 20개씩 붙인 후 1회 손을 뒤집었을 때 붙어있는 종이의 수를 통해 끈적임을 평가하였다. 끈적임 정도는 붙어있는 종이의 수가 0-3개인 경우 '끈적임이 적음', 4-7개인 경우 '끈적임이 있음', 7개 이상인 경우 '끈적임이 많음'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9 및 도 10과 같이, 실시예 1은 손을 뒤집었을 때 남아있는 종이수가 1개, 비교예 1은 4개로, 실시예 1의 끈적임이 현저히 적어,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 실시예로서 다음의 실시형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는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셔벗(sherbet) 질감을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화 입자는 D(0.5)이 0.1 내지 1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3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은 가교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가교된 것이며, 상기 가교제는 술폰계 가교제, 에폭사이드계 가교제 및 포스페이트계 가교제 중 하나 이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4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술폰(Divinyl sulfone, DVS),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1-(2,3-에폭시프로필) 2,3-에폭시시클로헥산(1-(2,3-Epoxypropyl)-2,3-epoxycyclohexane), 폴리에틸렌디글리시딜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EGDE), 1,2-에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2-Ethandiol diglycidyl ether) 및 소듐 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5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내지 5,000 kDa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7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6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자 크기 분포는 Malvern사의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8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7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9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8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0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9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수상에 D(0.5)이 30 내지 150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겔 입자를 포함하고,
    유상에 D(0.5)이 0.001 내지 3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셔벗(sherbet) 질감을 갖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입자는 D(0.5)이 0.1 내지 10㎛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은 가교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가교된 것이며, 상기 가교제는 술폰계 가교제, 에폭사이드계 가교제 및 포스페이트계 가교제 중 하나 이상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술폰(Divinyl sulfone, DVS),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1-(2,3-에폭시프로필) 2,3-에폭시시클로헥산(1-(2,3-Epoxypropyl)-2,3-epoxycyclohexane), 폴리에틸렌디글리시딜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EGDE), 1,2-에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2-Ethandiol diglycidyl ether) 및 소듐 트리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phosphate, STMP)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내지 5,000 kDa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크기 분포는 맬번사의 마스터사이저 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20005472A 2022-01-13 2022-01-13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6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72A KR102565060B1 (ko) 2022-01-13 2022-01-13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8/149,718 US20230218500A1 (en) 2022-01-13 2023-01-04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l
EP23150432.5A EP4212145A1 (en) 2022-01-13 2023-01-05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ulat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l
CN202310062397.6A CN116421558A (zh) 2022-01-13 2023-01-13 包含交联透明质酸凝胶的皮肤外用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72A KR102565060B1 (ko) 2022-01-13 2022-01-13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66A true KR20230109466A (ko) 2023-07-20
KR102565060B1 KR102565060B1 (ko) 2023-08-11

Family

ID=8482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472A KR102565060B1 (ko) 2022-01-13 2022-01-13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8500A1 (ko)
EP (1) EP4212145A1 (ko)
KR (1) KR102565060B1 (ko)
CN (1) CN11642155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7850A (ja) * 2007-12-04 2009-06-2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80070308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녹는 질감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0125A (ko) * 2018-12-07 2020-06-17 한미약품 주식회사 히알루론산 가교물, 히알루론산 수화 겔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43829B1 (ko) 2019-03-19 2020-08-12 한상철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및 루페올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94A (ko) * 2019-07-24 2021-02-03 (주)아모레퍼시픽 히알루론산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17476A (ko) * 2019-08-08 2021-02-17 (주)아모레퍼시픽 동결건조 제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화장품 키트
KR102203168B1 (ko) * 2020-08-19 2021-01-15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7850A (ja) * 2007-12-04 2009-06-2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80070308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녹는 질감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0125A (ko) * 2018-12-07 2020-06-17 한미약품 주식회사 히알루론산 가교물, 히알루론산 수화 겔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43829B1 (ko) 2019-03-19 2020-08-12 한상철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및 루페올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8500A1 (en) 2023-07-13
EP4212145A1 (en) 2023-07-19
KR102565060B1 (ko) 2023-08-11
CN116421558A (zh)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4463A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119131A (ja) 親水性の増粘化合物と増粘コポリマ―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使用
FR3002140A1 (fr) Emulsion huile-dans-eau soft-solid comprenant un melange de tensioactifs non-ioniques, un polysaccharide hydrosoluble et une cire comprenant au moins un ester
BRPI1009190B1 (pt) Solar filter composition
EP3769750A1 (en) A hyaluronic aci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its use
KR102429854B1 (ko)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KR101693707B1 (ko) 입술용 지질 조성물
WO2014149469A1 (en) Cosmetic formulation incorporating a uv-triggered self-healing material
KR20210136075A (ko) 자가 중화 아미노산 기반 양이온성 조성물
KR20220095126A (ko) 물리적으로 가교된 고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겔 조성물 및 키트
EP3777825A1 (en) Composition of freeze-dried formulation, cosmetic kit for external use on skin including the same, and its use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65060B1 (ko)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68226A (ko) 피부 결함을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하고 피부 장애를 치료하고 두피의 과지루성 상태를 예방, 치료 및 퇴치하기 위한 석신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을 제거하고/하거나 클렌징하기 위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KR100722676B1 (ko) 옥탄디올 및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BR112019027097A2 (pt) composição sob a forma de uma emulsão de óleo em água, processo cosmético para tratamento e/ ou cuidado de materiais de queratina humana e processo cosmético para tratamento da transpiração humana e uso de uma composição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075572A (ja) 皮膚弾力改善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290809A (ja) 口唇用化粧料
KR101626473B1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6862176B2 (ja) 乳化組成物
KR20210050208A (ko)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