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255A -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255A
KR20230109255A KR1020220004988A KR20220004988A KR20230109255A KR 20230109255 A KR20230109255 A KR 20230109255A KR 1020220004988 A KR1020220004988 A KR 1020220004988A KR 20220004988 A KR20220004988 A KR 20220004988A KR 20230109255 A KR20230109255 A KR 2023010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es
locking
support roll
coupl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구
Original Assignee
강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구 filed Critical 강원구
Priority to KR102022000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255A/ko
Publication of KR2023010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2009/425Pull chain or cord attached to bottom edge of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부재의 전개시 지지롤의 무부하 회전 구간을 형성하여 막부재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되, 막부재가 한 번에 전개되더라도 막부재의 전개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함으로써 막부재와의 신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추고, 또한,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를 한 줄로 구성함으로써 질식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또한 한 줄 와이어의 당김 조작만으로 막부재를 감거나 또는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Semi-auto type safety blind with one line}
본 발명은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부재의 전개시 지지롤의 무부하 회전 구간을 형성하여 막부재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되, 막부재가 한 번에 전개되더라도 막부재의 전개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함으로써 막부재와의 신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추고, 또한,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를 한 줄로 구성함으로써 질식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또한 한 줄 와이어의 당김 조작만으로 막부재를 감거나 또는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막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롤, 상기 지지롤의 일단에 결합되며 루프형의 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지지롤을 정역방향 회전시켜 막부재를 지지롤에 감거나 푸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를 사용함에 있어, 막부재를 감아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기 위해서 루프형 와이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통상 루프형 와이어는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루프형 와이어는 심각한 안전문제를 초래하였다. 예를 들면, 어린 아이들이 집안에서 종종 숨바꼭질과 같은 놀이를 하면서 하부로 늘어진 블라인드 막부재 뒷쪽에 숨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 어린 아이들의 목에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루프형 와이어가 감기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루프형 와이어의 목 감김 안전사고는 매우 치명적인 것이어서, 어린아이들이 놀다가 목에 끼인 상태로 넘어지게 되면, 쉽게 질식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블라인드의 안전규정에 따라 블라인드의 조작을 위한 루프형 와이어를 블라인드 구조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루프형 와이어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34820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막부재의 전개시 지지롤의 무부하 회전 구간을 형성하여 막부재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되, 막부재가 한 번에 전개되더라도 막부재의 전개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함으로써 막부재와의 신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추고, 또한,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를 한 줄로 구성함으로써 질식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또한 한 줄 와이어의 당김 조작만으로 막부재를 감거나 또는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막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롤, 상기 지지롤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감긴 한 줄 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동력 전달 상태가 되어 상기 지지롤을 정방향 회전시켜 막부재를 지지롤에 감는 구동부 및 상기 지지롤의 타측에 결합되며 당기던 한 줄 와이어를 놓아 상기 구동부가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됨에 따라 막부재가 풀리면서 지지롤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롤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지지롤을 고정위치에서 회전 중지시키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메인축이 지지롤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밴드드럼; 상기 밴드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며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밴드드럼을 정방향 회전시키는 한 줄 와이어; 상기 메인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축에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구동커플러; 상기 구동케이스의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구동커플러와 연결되어 구동커플러와 동기 회전하며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는 구동슬리브; 상기 메인축과 구동커플러 외측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메인축의 정방향 회전시 수축하여 상기 메인축과 구동커플러를 연결시키는 클러치스프링; 및 상기 밴드드럼에 결합되어 밴드드럼을 역방향 회전시키는 태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드럼이 정방향 회전하면, 이와 함께 메인축이 정방향 회전하면서 메인축 외측으로 결합된 클러치스프링이 수축되어 구동커플러를 파지함으로써 동력 전달 상태가 되어 구동슬리브에 연결된 지지롤이 정방향 회전되고, 상기 밴드드럼이 역방향 회전하면, 이와 함께 메인축이 역방향 회전하면서 메인축 외측으로 결합된 클러치스프링이 이완되어 파지하고 있던 구동커플러를 놓아줌으로써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되고 밴드드럼은 태엽모듈에 의해 지지롤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대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부는,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고 내주면에는 일자로 작동구가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의 감속실린더; 상기 감속실린더에 내장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락킹홈 및 상기 복수 개의 락킹홈을 연결하는 레일이 함몰 형성되는 락킹슬리브; 상기 작동구와 레일 사이에서 작동하되, 상기 감속실린더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레일에 가이드되다가 상기 감속실린더의 역방향 회전시 복수 개의 락킹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 지지되어 감속실린더의 역방향 회전을 중지시키는 락킹볼; 상기 락킹슬리브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샤프트; 상기 고정샤프트에 결합되며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어 지지롤의 역방향 회전시 적어도 360도는 무부하 상태로 회전을 허용하고, 무부하 회전 범위를 초과하는 회전이동시에는 지지롤에 부하를 가해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부하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하감속기는, 상기 고정샤프트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 내부로 축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커플러; 상기 고정커플러의 외측에 결합되어 정방향 회전시 이완되어 고정커플러에서 슬립되고 역방향 회전시 수축되어 고정커플러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며 일단에는 반경방향으로 고정편이 절곡 형성되는 고정스프링; 상기 축결합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는 제1 걸림편이, 타측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편에 걸림되는 제2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편이 상기 고정편에 걸림되지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제1 걸림실린더; 상기 제1 걸림실린더의 일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는 제3 걸림편이, 타측 방향으로는 상기 제1 걸림편에 걸림되는 제4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4 걸림편이 제1 걸림편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제2 걸림실린더; 상기 제2 걸림실린더의 일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3 걸림편에 걸림되는 제5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5 걸림편이 제3 걸림편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감속댐퍼; 및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고 내부로는 고정커플러, 고정스프링, 제1 걸림실린더, 제2 걸림실린더 및 감속댐퍼를 수용하되, 상기 감속댐퍼와 연결되는 감속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롤이 역방향 회전하면, 상기 감속케이스가 역방향 회전하면서 감속케이스의 내부에서 감속댐퍼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제5 걸림편이 제3 걸림편에 걸림되면, 제2 걸림실린더가 감속댐퍼와 동기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2 걸림실린더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상기 제4 걸림편이 상기 제1 고정편에 걸림되면 제1 걸림실린더가 제2 걸림실린더와 동기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1 걸림실린더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제2 걸림편이 상기 고정편에 걸림되면 상기 감속댐퍼, 제2 걸림실린더 및 제1 걸림실린더의 회전이 일제히 중단되는 한편 상기 감속케이스만 회전하면서 상기 감속댐퍼의 마찰저항에 따른 부하를 받아, 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전개시 지지롤의 무부하 회전 구간을 형성하여 막부재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되, 막부재가 한 번에 전개되더라도 막부재의 전개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함으로써 막부재와의 신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추고, 또한,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를 한 줄로 구성함으로써 질식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또한 한 줄 와이어의 당김 조작만으로 막부재를 감거나 또는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요부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구동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구동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감속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감속부 타측 구성의 절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감속부 타측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락킹슬리브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감속부의 일측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부하감속기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C-C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막부재(110)가 결합되는 지지롤(100), 상기 지지롤(1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감긴 한 줄 와이어(W)를 당김에 따라 동력 전달 상태가 되어 상기 지지롤(100)을 정방향 회전시켜 막부재(110)를 지지롤(100)에 감는 구동부(200) 및 상기 지지롤(100)의 타측에 결합되며 당기던 한 줄 와이어(W)를 놓아 상기 구동부(200)가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됨에 따라 막부재(110)가 풀리면서 지지롤(1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롤(1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지지롤(100)을 고정위치에서 회전 중지시키는 감속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막부재(110)는 불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과 반투명 구간이 교번적으로 혼재되어 있는 가림수단으로서, 일단이 지지롤(100)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지지롤(100)이 회전함에 따라 지지롤(100) 외측으로 감기거나 또는 지지롤(100)에서 면상으로 풀려 전개될 수 있다.
지지롤(100), 구동부(200) 및 감속부(300) 구성은 블라인드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하우징(4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한 줄 와이어(W)의 경우 외부하우징(400) 외측에서 하방으로 길 게 늘어진 형태로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지점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한 줄 와이어(W)는 기존 블라인드의 구조에서, 폐루프형 와이어와 대응되는 구성이긴 하지만, 폐루프형 와이어와 달리 한 줄로 이루어져 신체 일부를 졸라 메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한 줄 와이어(W)를 당기는 조작에 의해 상기 막부재(110)를 감거나 또는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구동부(200)는 한 줄 와이어(W)를 아래로 연속적으로 당김에 따라 지지롤(100)을 정방향 회전시켜 지지롤(100) 상에 막부재(110)를 감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한 줄 와이어(W)를 아래로 당길 경우 지지롤(10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롤(100)을 향해 회전 동력을 가하고, 반대로, 한 줄 와이어(W)를 놓게 되면 지지롤(100)에 가해지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끊음으로써 지지롤(100)이 막부재(110)의 자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게끔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구동부(200)는 크게, 구동케이스(210), 밴드드럼(220), 한 줄 와이어(W), 구동커플러(230), 구동슬리브(240), 클러치스프링(250) 및 태엽모듈(26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구동케이스(210)는 내부로 밴드드럼(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외부하우징(4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케이스(210)에는 슬리브베어링(2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리브베어링(211) 내부에는 구동커플러(230), 밴드드럼(220)의 메인축(221) 등을 수용하는 수용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밴드드럼(220)은 구동케이스(210)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메인축(221)이 지지롤(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한 줄 와이어(W)는 밴드드럼(220)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된 채 밴드드럼(220)의 외주면에 감기며, 이에, 하부로 늘어진 한 줄 와이어(W)의 당김 동작에 따라 밴드드럼(220)을 정방향 회전시킬 수 있고, 반대로, 밴드드럼(2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밴드드럼(220)의 외주면에 한 줄 와이어(W)가 감기게 될 수 있다.
밴드드럼(220)과 일체로 마련된 메인축(221)은 수용홀(212) 내부를 관통해 밴드드럼(220)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구동커플러(230)는 메인축(221)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축(221)에 선택적으로 연동되어 밴드드럼(220)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구동커플러(2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홀(212) 내부에 수용되어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구동커플러(230)의 일단은 메인축(22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수용홀(212) 외부로 노출되어 후술 될 구동슬리브(240)와 연결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슬리브(240)는 구동케이스(210)의 타단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구동커플러(2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구동커플러(230)와 동기 회전한다.
이때, 구동슬리브(240)의 외측이 상기 지지롤(100)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100)과 연동되는 구조가 되어 결국 동력 전달 상태에 따른 밴드드럼(220)의 회전 동력이 지지롤(100)로 전달되어 지지롤(10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막부재(110)를 감게 된다.
구동슬리브(240)에는 걸림홈(24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롤(10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241)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구동슬리브(240)와 지지롤(100)이 홈돌기 결합 구조로서 서로 연동되는 구조를 갖춘다.
한편, 구동슬리브(240)와 구동커플러(230)는 동력 전달 해제 상태에서는 정방향 회전 동력 전달이 단절되므로, 막부재(110)의 하중과 자중에 의해 지지롤(100)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롤(100)의 역방향 회전은 후술 될 감속부(300)에 의해 감속 또는 중지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러치스프링(250)은 메인축(221)과 구동커플러(230) 외측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메인축(221)의 정방향 회전시 수축하여 상기 메인축(221)과 구동커플러(230)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클러치스프링(250)은 밴드드럼(220)의 회전 동력을 구동커플러(230)에 이어주거나, 또는 잠시 끊어주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 내부로는 메인축(221)을, 타측 내부로는 구동커플러(230)를 각각 동시 수용한 상태에서 수축 내지 이완 작용에 따라 구동커플러(230)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클러치스프링(250)의 내경은 메인축(221)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커플러(230)의 직경은 클러치스프링(250)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러치스프링(250)의 코일 권선 방향인 정방향으로 메인축(221)이 회전하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스프링(250)이 축심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구동커플러(230)를 강하게 파지하는 한편, 코일 권선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역방향으로 메인축(221)이 회전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스프링(250)이 이완하면서 파지하고 있던 구동커플러(230)를 놓아주게 된다.
다시 말해, 한 줄 와이어(W)를 아래로 당김에 따라 상기 밴드드럼(220)이 정방향 회전하면, 이와 함께 메인축(221)이 정방향 회전하면서 메인축(221) 외측으로 결합된 클러치스프링(250)이 수축되어 구동커플러(230)를 파지함으로써 동력 전달 상태가 되어 구동슬리브(240)에 연결된 지지롤(100)이 정방향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롤(10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막부재(110)가 지지롤(100)의 외측에 감기기 된다.
반대로, 한 줄 와이어(W)를 놓아 상기 밴드드럼(220)이 역방향 회전하면, 이와 함께 메인축(221)이 역방향 회전하면서 메인축(221) 외측으로 결합된 클러치스프링(250)이 이완되어 파지하고 있던 구동커플러(230)를 놓아줌으로써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되고 밴드드럼(220)은 태엽모듈(260)에 의해 지지롤(100)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한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롤(100)에서는 막부재(110)가 풀려 나갈 수 있다.
태엽모듈(260)은 밴드드럼(220)에 결합되어 밴드드럼(220)을 역방향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밴드드럼(220)의 정방향 회전은 한 줄 와이어(W)의 당김 조작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밴드드럼(220)의 역방향 회전은 당긴 한 줄 와이어(W)를 놓게 됨에 따라 태엽모듈(26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태엽모듈(260)은 태엽하우징(261) 및 상기 태엽하우징(261) 내부에서 코일 형태로 감기되 일단은 상기 태엽하우징(261)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축(221)에 결합되어 밴드드럼(220)의 정방향 회전시 이완되었다가, 한 줄 와이어(W)를 놓게 되면 수축함으로써 밴드드럼(220)을 역방향으로 탄성 회전시키는 태엽스프링(26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 블라인드에서 막부재(110)를 지지롤(100)에 감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한 줄 와이어(W)를 당기게 되면 밴드드럼(220)이 정방향 회전하면서 이와 함께 메인축(221)이 정방향 회전한다.
메인축(221)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스프링(250)이 수축되면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된 구동커플러(230)가 메인축(221)과 연동되어 동력 전달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밴드드럼(220)의 회전 동력이 구동커플러(230), 구동슬리브(240) 및 지지롤(100)로 전달되어, 결국 지지롤(100)이 정방향 회전한다.
지지롤(100)이 정방향 회전하면 지지롤(100)에 결합된 막부재(110)가 지지롤(100)의 외측으로 감기면서 가리고 있던 창틀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막부재(110)가 더 이상 감길 수 없는 위치에 다다르거나 또는 창틀을 중간 정도만 개방시키기 위하여 아래로 당기던 한 줄 와이어(W)를 놓게 될 경우 밴드드럼(220)이 태엽모듈(260)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스프링(250)이 이완되면서 구동커플러(230)와 메인축(221) 사이의 동력이 끊어지는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되는 한편, 밴드드럼(220)이 태엽모듈(260)에 의해 지지롤(100)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대회전되더라도 밴드드럼(220)의 역방향 회전 동력이 구동커플러(230), 구동슬리브(240) 및 지지롤(100)로 전달되지 아니한 상태가 된다.
이때, 지지롤(100)이 막부재(110)의 하중과 자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롤(100)이 동시에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막부재(110)가 지지롤(100)에서 다시 풀리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동력 전달 해제 상태에서는 정방향 회전 동력이 끊김에 따라 막부재(110)가 지지롤(100) 상에서 급진적으로 풀려버림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 될 감속부(300)가 지지롤(10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적절히 감속하고 또한 지지롤(100)을 고정위치에서 회전 중지시킴으로써 막부재(110)를 단계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감속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감속부(300)는 크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실린더(310), 락킹슬리브(320), 락킹볼(330), 고정샤프트(340) 및 부하감속기(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감속실린더(310)는 외측이 상기 지지롤(100)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100)과 연동되고 내주면에는 일자로 작동구(311)가 함몰 형성되고, 지지롤(100)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100)과 연동해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락킹슬리브(320)는 감속실린더(310)에 내장되되 타단이 외부하우징(400)에 고정 설치되어 감속실린더(310)와 같이 회전하지 아니하는 구성으로, 이에, 감속실린더(310)는 락킹슬리브(320) 외주에서 상대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락킹슬리브(3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락킹홈(321)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락킹홈(321)을 연결하는 레일(32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락킹볼(330)은 작동구(311)와 레일(322) 사이에서 작동하되, 감속실린더(310)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레일(322)에 가이드되다가 상기 감속실린더(310)의 역방향 회전시 복수 개의 락킹홈(321) 중 어느 하나에 걸림 지지되어 감속실린더(310)의 역방향 회전을 중지시킨다.
즉, 동력 전달 상태에 따라 지지롤(100)이 정방향 회전할 경우 이와 연동하여 감속실린더(310)도 정방향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락킹볼(330)은 락킹슬리브(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322) 궤도를 따라 구름되므로 감속실린더(310)의 정방향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동력 전달 해제 상태에 따라 지지롤(100)이 역방향 회전할 경우 이와 연동하여 감속실린더(310)도 역방향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락킹볼(3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22) 궤도에서 이격된 락킹홈(321)에 걸리게 되고 이에, 락킹슬리브(320)의 외주면에서 회전하고 있던 감속실린더(310)의 역방향 회전도 제한되므로, 막부재(110)가 일정 높이에서 멈춰 서게 된다.
락킹볼(330)이 락킹홈(321)에 걸려진 상태에서 한 줄 와이어(W)를 잡아 당길 경우 감속실린더(310)가 다시 정방향 회전함에 따라 락킹볼(330)이 락킹홈(321)에서 빠져 나오게 되어 다시 레일(322)에서 구름되므로, 감속실린더(310)를 연속해서 정방향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한 줄 와이어(W)를 미세하게 연달하 잡아 당기게 될 경우 지지롤(100)이 정방향 회전하였다가 바로 역방향 회전하면서 외측으로 감고 있던 막부재(110)를 하부로 일정 길이 풀게 되며, 이때, 락킹볼(330)이 락킹홈(321)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지지롤(100)이 역방향으로 한 번에 다 풀려버리지 아니하고, 일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회전 및 중지를 반복하게 되어, 막부재(110)가 단계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샤프트(340)는 상기 락킹슬리브(320)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는 후술 될 부하감속기(40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샤프트(340)의 일측 일정 구간에는 나사산(3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341)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판(342)이 결합되어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고정샤프트(34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회전판(342)은 지지롤(100)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100)과 연동되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지지롤(100)이 회전하면 이에 따라 회전판(342)이 상기 나사산(341)을 타고 고정샤프트(3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고정샤프트(340)의 타측 외주면에는 탄발스프링(343)이 나선형으로 감겨 결합될 수 있으며, 탄발스프링(343)의 일측으로는 고정샤프트(340) 상에서 헛돌게끔 탄발클러치(34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탄발스프링(343)의 타단은 고정샤프트(340) 상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탄발클러치(344)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막부재(110)를 개방시키기 위해 한 줄 와이어(W)를 당겨 지지롤(100)을 정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판(342)이 회전하면서 탄발클러치(344)에 밀착됨과 동시에, 회전판(342)과 연동된 탄발클러치(344)가 수 회 더 회전하여 탄발스프링(343)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한편, 막부재(110)가 더 이상 감길 수 없는 위치에 다다르게 된 상태에서 막부재(110)를 전개시키기 위해 지지롤(1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탄발클러치(344)에는 탄발스프링(3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토크가 가해지고, 이 토크에 의해 탄발클러치(344)에 접한 회전판(342)이 빠르게 회전하면서 지지롤(100)의 초기 역방향 회전을 돕게 된다.
이에 따라, 막부재(110)가 지지롤(100)에 중첩되지 아니하고, 지지롤(100)로부터 쉽게 풀려나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동력 전달 해제 상태에서 불측의 사유로 락킹볼(330)이 락킹홈(321)에 걸림되지 아니하고, 레일(322)에서 구름될 경우 지지롤(1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해 막부재(110)가 급진적으로 전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롤(1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부하감속기(400)가 지지롤(100)의 역방향 회전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하감속기(400)는 고정샤프트(340)에 결합되며 외측이 상기 지지롤(100)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100)과 연동되어 지지롤(100)의 역방향 회전시 적어도 360도는 무부하 상태로 회전을 허용하고, 무부하 회전 범위를 초과하는 회전이동시에는 지지롤(100)에 부하를 가해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부하감속기(400)는 지지롤(100)의 감속작용을 수행하는 한편, 지지롤(100)의 초기 회전시에는 지지롤(100)이 부하 없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해 지지롤(100)에서 막부재(110)가 간섭 없이 풀려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만일, 지지롤(100)의 역방향 초기 회전시에도 과도한 회전부하를 지지롤(100)에 가하게 되면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 간의 마찰저항에 의해, 막부재(110)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롤(100)의 회전이 멈춰버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롤(100)의 역방향 초기 회전시에는 지지롤(100)의 회전에 간섭을 줄여줌으로써, 지지롤(100)이 원활하게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부하감속기(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커플러(410), 고정스프링(420), 제1 걸림실린더(430), 제2 걸림실린더(440), 감속댐퍼(450) 및 감속케이스(4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고정커플러(410)는 고정샤프트(34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 내부로 축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고정커플러(410)는 고정샤프트(340)에 고정되어 지지롤(1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아니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스프링(420)은 고정커플러(4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정방향 회전시 이완되어 고정커플러(410)에서 슬립되고 역방향 회전시 수축되어 고정커플러(410)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며 일단에는 반경방향으로 고정편(421)이 절곡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고정스프링(420)의 내경은 고정커플러(4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스프링(420)이 고정커플러(410) 상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스프링(420)은 전술한 클러치스프링(250)과 유사하게, 고정스프링(420)의 코일 권선 방향인 역방향으로 슬립 회전하게 되면 축심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고정커플러(410)를 강하게 파지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한편, 코일 권선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완하면서 파지하고 있던 고정커플러(410)를 놓아주어 고정커플러(410) 상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걸림실린더(430)는 축결합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는 제1 걸림편(431)이, 타측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편(421)에 걸림되는 제2 걸림편(43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제1 걸림실린더(430)는 고정커플러(410)의 일측에서 제자리 회전할 수 있되, 제2 걸림편(432)이 상기 고정편(421)에 걸림되지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걸림실린더(430)가 역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걸림편(432)이 고정편(421)에 걸림 지지되면 고정스프링(420)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는 한편, 고정스프링(420)은 역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이 제한되는 구조로 인해, 제1 걸림실린더(430)의 회전이 고정스프링(420)에 의해 중단되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걸림실린더(430)가 정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2 걸림편(432)이 고정편(421)에 걸림되더라도, 제1 걸림실린더(430)와 함께 고정스프링(420)이 회전되어질 수 있으므로, 지지롤(100)의 정방향 회전은 특별한 제한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2 걸림편(432)에는 고정편(421)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홈(43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가이드홈(432a)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50도 보다 넓은 각도범위를 가지도록 하여 제1 걸림실린더(430)가 제2 가이드홈(432a)의 각도 범위, 즉, 150도 이상은 무부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한편, 제1 걸림편(431)에는 후술 될 제2 걸림실린더(440)의 제4 걸림편(442)이 삽입되는 제1 가이드홈(431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가이드홈(431a)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90도 보다 넓은 각도범위를 가지도록 하여 제2 걸림실린더(440)가 제1 가이드홈(431a)의 각도 범위, 즉, 적어도 90도 이상은 무부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제2 걸림실린더(440)는 제1 걸림실린더(430)의 일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는 제3 걸림편(441)이, 타측 방향으로는 상기 제1 걸림편(431)에 걸림되는 제4 걸림편(44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제2 걸림실린더(440)는 제4 걸림편(442)이 제1 걸림편(431)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걸림실린더(440)가 역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4 걸림편(442)이 제1 걸림편(431)에 걸림 지지되면 제1 걸림실린더(430)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어, 제2 걸림실린더(440)와 함께 제1 걸림실린더(430)가 회전될 수 있다.
제4 걸림편(442)은 전술한 제1 걸림편(431)과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걸림편(441)에는 후술 될 감속댐퍼(450)의 제5 걸림편(451a)이 삽입되는 제3 가이드홈(441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3 가이드홈(441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20도 보다 넓은 각도범위를 가지도록 하여 감속댐퍼(450)가 제3 가이드홈(441a)의 각도 범위, 즉, 적어도 120도 이상은 무부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감속댐퍼(450)는 제2 걸림실린더(440)의 일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3 걸림편(441)에 걸림되는 제5 걸림편(451a)이 형성되어 상기 제5 걸림편(451a)이 제3 걸림편(441)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할 수 있다.
즉, 감속댐퍼(450)가 역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5 걸림편(451a)이 제3 걸림편(441)에 걸림 지지되면 제2 걸림실린더(440)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어, 감속댐퍼(450)와 함께 제2 걸림실린더(44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감속댐퍼(450)는 후술 될 감속케이스(4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감속실린더(310)와 감속케이스(460) 사이에서 마찰저항에 따른 부하를 발생시켜 최종적으론 감속케이스(460)의 정방향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속댐퍼(450)는 예컨대, 외측으로 상기 제5 걸림편(451a)이 돌출되며 중앙에 원형 단면의 삽입홀(451b)이 관통 형성되는 댐퍼바디(451) 및 상기 삽입홀(451b)의 타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되 댐퍼바디(451)의 외부로 노출되며, 중앙 일부분이 절개됨에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끼움키(452a)가 돌출 형성되는 댐퍼링(45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삽입홀(451b)의 벽면과 끼움키(452a) 사이에는 점성을 가지는 실리콘오일이 개재되어 댐퍼바디(451)와 댐퍼링(452)이 서로 회전저항을 부여받아 상대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고정커플러(410), 제1 걸림실린더(430), 제2 걸림실린더(440) 및 감속댐퍼(450)는 일렬로 배치되어 각각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와중에, 무부하 회전이 이루어진 뒤 감속댐퍼(450) 부위에서 회전 감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감속댐퍼(450)는 제1 가이드홈(431a) 의 각도범위인 90도, 제2 가이드홈(432a)의 각도범위인 150도, 제3 가이드홈(441a)의 각도범위인 120도를 전부 합한 각도 만큼 무부하로 회전한 뒤 감속케이스(460)에 회전자항을 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속케이스(460)는 외측이 상기 지지롤(100)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100)과 연동되고 내부로는 고정커플러(410), 고정스프링(420), 제1 걸림실린더(430), 제2 걸림실린더(440) 및 감속댐퍼(450)를 수용하되, 상기 감속댐퍼(450)와는 직접 연결되어 감속댐퍼(450)와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감속케이스(460)의 개방된 일단에는 마감커버(46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마감커버(461)에는 상기 감속댐퍼(450)의 삽입홀(451b)로 삽입되는 지지축(462)이 연장 형성되어 감속댐퍼(450)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마찰효율을 높이고, 상기 지지축(462) 주변으로는 상기 끼움키(452a)가 삽입 고정되는 키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롤(100)이 역방향 회전하면, 감속케이스(460)가 역방향 회전하면서 감속케이스(460)의 내부에서 마감커버(461)와 결합된 감속댐퍼(450)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제5 걸림편(451a)이 제3 걸림편(441)에 걸림되면, 제2 걸림실린더(440)가 감속댐퍼(450)와 동기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2 걸림실린더(440)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상기 제4 걸림편(442)이 상기 제1 고정편(421)에 걸림되면 제1 걸림실린더(430)가 제2 걸림실린더(440)와 동기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1 걸림실린더(430)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제2 걸림편(432)이 상기 고정편(421)에 걸림되면 상기 감속댐퍼(450), 제2 걸림실린더(440) 및 제1 걸림실린더(430)의 회전이 일제히 중단되는 한편, 상기 감속케이스(460)만 회전하면서 상기 감속댐퍼(450)의 댐퍼바디(451)와 마감커버(461) 사이의 마찰저항에 따른 부하를 받아, 회전속도가 감속되어질 수 있다.
이에, 막부재(110)를 전개할 시에, 지지롤(100)이 적어도 최초 한 바퀴는 무부하 상태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막부재(110)가 지지롤(100) 상에서 보다 직관적으로 풀려나갈 수 있으면서도, 지지롤(100)이 역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더라도 막부재(110)의 전개 가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막부재(110)가 빠른 속도로 완전히 전개됨에 따라 블라인드의 각 구성에 가해지는 외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해 안전 블라인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지지롤
200: 구동부
300: 감속부
400: 부하감속기

Claims (5)

  1. 막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롤, 상기 지지롤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감긴 한 줄 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동력 전달 상태가 되어 상기 지지롤을 정방향 회전시켜 막부재를 지지롤에 감는 구동부 및 상기 지지롤의 타측에 결합되며 당기던 한 줄 와이어를 놓아 상기 구동부가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됨에 따라 막부재가 풀리면서 지지롤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롤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지지롤을 고정위치에서 회전 중지시키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케이스;
    상기 구동케이스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메인축이 지지롤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밴드드럼;
    상기 밴드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며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밴드드럼을 정방향 회전시키는 한 줄 와이어;
    상기 메인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축에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구동커플러;
    상기 구동케이스의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구동커플러와 연결되어 구동커플러와 동기 회전하며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는 구동슬리브;
    상기 메인축과 구동커플러 외측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메인축의 정방향 회전시 수축하여 상기 메인축과 구동커플러를 연결시키는 클러치스프링; 및
    상기 밴드드럼에 결합되어 밴드드럼을 역방향 회전시키는 태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드럼이 정방향 회전하면, 이와 함께 메인축이 정방향 회전하면서 메인축 외측으로 결합된 클러치스프링이 수축되어 구동커플러를 파지함으로써 동력 전달 상태가 되어 구동슬리브에 연결된 지지롤이 정방향 회전되고,
    상기 밴드드럼이 역방향 회전하면, 이와 함께 메인축이 역방향 회전하면서 메인축 외측으로 결합된 클러치스프링이 이완되어 파지하고 있던 구동커플러를 놓아줌으로써 동력 전달 해제 상태가 되고 밴드드럼은 태엽모듈에 의해 지지롤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대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고 내주면에는 일자로 작동구가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의 감속실린더;
    상기 감속실린더에 내장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락킹홈 및 상기 복수 개의 락킹홈을 연결하는 레일이 함몰 형성되는 락킹슬리브;
    상기 작동구와 레일 사이에서 작동하되, 상기 감속실린더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레일에 가이드되다가 상기 감속실린더의 역방향 회전시 복수 개의 락킹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 지지되어 감속실린더의 역방향 회전을 중지시키는 락킹볼;
    상기 락킹슬리브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샤프트;
    상기 고정샤프트에 결합되며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어 지지롤의 역방향 회전시 적어도 360도는 무부하 상태로 회전을 허용하고, 무부하 회전 범위를 초과하는 회전이동시에는 지지롤에 부하를 가해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부하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부하감속기는,
    상기 고정샤프트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 내부로 축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커플러;
    상기 고정커플러의 외측에 결합되어 정방향 회전시 이완되어 고정커플러에서 슬립되고 역방향 회전시 수축되어 고정커플러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며 일단에는 반경방향으로 고정편이 절곡 형성되는 고정스프링;
    상기 축결합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는 제1 걸림편이, 타측 방향으로는 상기 고정편에 걸림되는 제2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편이 상기 고정편에 걸림되지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제1 걸림실린더;
    상기 제1 걸림실린더의 일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는 제3 걸림편이, 타측 방향으로는 상기 제1 걸림편에 걸림되는 제4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4 걸림편이 제1 걸림편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제2 걸림실린더;
    상기 제2 걸림실린더의 일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3 걸림편에 걸림되는 제5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5 걸림편이 제3 걸림편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무부하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감속댐퍼; 및
    외측이 상기 지지롤의 내주면과 접해 지지롤과 연동되고 내부로는 고정커플러, 고정스프링, 제1 걸림실린더, 제2 걸림실린더 및 감속댐퍼를 수용하되, 상기 감속댐퍼와 연결되는 감속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이 역방향 회전하면, 상기 감속케이스가 역방향 회전하면서 감속케이스의 내부에서 감속댐퍼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제5 걸림편이 제3 걸림편에 걸림되면, 제2 걸림실린더가 감속댐퍼와 동기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2 걸림실린더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상기 제4 걸림편이 상기 제1 고정편에 걸림되면 제1 걸림실린더가 제2 걸림실린더와 동기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1 걸림실린더는 무부하 상태로 일정 각도 역방향 회전하되 상기 제2 걸림편이 상기 고정편에 걸림되면 상기 감속댐퍼, 제2 걸림실린더 및 제1 걸림실린더의 회전이 일제히 중단되는 한편 상기 감속케이스만 회전하면서 상기 감속댐퍼의 마찰저항에 따른 부하를 받아, 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KR1020220004988A 2022-01-13 2022-01-13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KR20230109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988A KR20230109255A (ko) 2022-01-13 2022-01-13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988A KR20230109255A (ko) 2022-01-13 2022-01-13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255A true KR20230109255A (ko) 2023-07-20

Family

ID=8742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988A KR20230109255A (ko) 2022-01-13 2022-01-13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2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03B1 (ko) 2013-01-21 2014-01-09 이동원 롤 블라인드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03B1 (ko) 2013-01-21 2014-01-09 이동원 롤 블라인드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EP2696025B1 (en) Sunlight-shielding device
JP6271699B2 (ja) 建築物開口部用の覆いのため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CA2819085C (en)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KR101295684B1 (ko)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BR112012026042A2 (pt) dispositivo de operação de um dispositivo de obstrução da luz solar, dispositivo de elevação de persiana de enrolar e polia de operação
US9523236B2 (en) Braking mechanism for a roller shade controller, control mechanis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handle
JP6151571B2 (ja) カムユニット
KR100885198B1 (ko)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EP3259431B1 (en) Unidirectional winder
KR20230109255A (ko) 한 줄 반자동 안전 블라인드
KR102071941B1 (ko) 구동 줄이 한 줄로 형성되는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JP7361553B2 (ja) 検知装置及び遮蔽装置
ES2926823T3 (es) Sistema de arrastre en rotación de un miembro de enrollamiento
KR20190124997A (ko) 구동 줄이 한 줄로 형성되는 블라인드
JP5226340B2 (ja) クラッチ装置
KR102452508B1 (ko) 한 줄 안전 블라인드
JP2002138778A (ja) 外部日除け装置
EP3902969B1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and window covering
EP2466053A2 (en) Cordless drive assembly
KR20180055330A (ko) 양방향 클러치형 조작 구동장치
JPS6350385Y2 (ko)
JPH03180686A (ja) ロールシャッタの非常用瞬間開放装置
KR100407178B1 (ko) 종속을 이용한 전선/호스의 감김장치
KR101163320B1 (ko) 롤식 방충망 감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