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309A - 항-gdf15 항체 및 암 치료용 투여 용법 - Google Patents

항-gdf15 항체 및 암 치료용 투여 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309A
KR20230107309A KR1020237019624A KR20237019624A KR20230107309A KR 20230107309 A KR20230107309 A KR 20230107309A KR 1020237019624 A KR1020237019624 A KR 1020237019624A KR 20237019624 A KR20237019624 A KR 20237019624A KR 20230107309 A KR20230107309 A KR 2023010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cancer
amino acid
gdf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이겐 레오
마르쿠스 하케
요에르그 위츠휘센
브룬 비르지니 르
수잔 요에르그
Original Assignee
카탈임 게엠베하
율리우스-막시밀리안스 우니버지태트 뷔르츠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탈임 게엠베하, 율리우스-막시밀리안스 우니버지태트 뷔르츠부르크 filed Critical 카탈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0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7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GDF15 항체 및 인간 개체에서 항-GDF15 항체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 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GDF-15가 주로 T-림프구가 조직에 부착하여 침범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전을 동정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항체를 이용해 GDF-15를 차단함으로써, 작동자 T 세포가 종양 조직에 침범하는 것을 촉진하여, 인간 환자에서 암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치료 접근 방식을 확립하게 되었다.

Description

항-GDF15 항체 및 암 치료용 투여 용법
본 발명은 항-GDF15 항체 및 암을 가진 인간 개체에서 항-GDF15 항체를 이용한 암 치료용 투여 용법에 관한 것이다.
GDF-15은 식욕 조절, 대사, 세포와 조직의 생존 및 면역 관용성에 기능하는 TGF-β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다양한 구성원 중 하나로서 언급된 바 있다. GDF-15은 프로-단백질로서 생성되어, 25 kDa (2x112 aa)의 이량체성의 성숙한 GDF-15과 2x18 kDa (2x167 aa) 프로-펩타이드로 절단되어 조직에 존재하는, 동형이량체이다 (Tsai 2018).
지금까지 GDF-15의 주요 활성 범주 2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첫번째 범주는 대사 효과에 대한 것으로, 즉 GDF-15는 음식물 섭취 거동의 변화를 통해 악액질을 매개하여 식욕부진을 유발한다 (Johnen 2007). 이러한 효과는 2017년 말에 발표된 GFRAL로 지칭된 뇌간 특이적인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 (Emmerson 2017). 반면, 2번째 범주는 면역조절 효과에 대한 것으로, 즉 GDF-15는 임신 (Tong et al. 2004), 조직 상해 (Chung et al. 2017) 및 염증 (Abulizi 2016), 자가-면역 질환 및 종양 침범에서 면역 관용의 매개인자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GDF-15는 백혈구 인테그린 활성화를 저해해 이의 침윤을 방지한다 (Kempf 2011).
최근 수년간, GDF-15가 생리학적 및 병리생리학적 상태에서, 특히 암에서 중요한 면역-조절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이는 증거들이 증가하고 있다. 암 세포에서 이러한 면역-세포 기피 기전을 활용 및 "장악"하여, 종양 미세환경으로의 면역-세포 유입을 차단하고, 그래서 면역 시스템이 암 세포를 제거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은 물론 매우 매력적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수년간, 다양한 암 타입들에서 높은 GDF-15 혈청 수준이 짧은 전체 생존성과 연관성이 있으며, GDF-15가 다양한 암 유형들에서 환자의 생존성에 대한 독립적인 인자임을 의미하는 수많은 간행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Wischhusen et al, 2020).
GDF-15 수준 상승은 암 환자들에서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해부학적 기원 부위 10곳에서 유래한 암종 150종을 정상 조직 46종과 비교한 마이크로어레이-기반 연구에서, GDF-15는 매우 높은 수준의 종양-관련 (과다)발현이 확인되었으며 (Welsh 2003), 몇몇 연구들에서 GDF-15 혈청 수준과 암 반응/예후는 연관성이 있다.
아울러, 2가지 학술 흑색종 연구 그룹에서의 2종의 독점 분석에서, GDF-15 수준이 PD-1 길항제에 대한 반응과 연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언급된 바와 같이, 암 조직, 어려운 상황에 놓인 정상 장기 및 태반이 아마도 모든 사례들에서 GDF-15를 과다 발현해, 각 조직으로의 과도한 면역 세포 침윤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조직에 의해 생산된 GDF-15가 실질적으로 혈관 T 세포 부착과 내피 이행 (transmigration)을 감소시켜, T 세포가 해당 조직 또는 이의 바로 근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항-GDF15 항체는 일반적으로 동물 모델에서 양성이고, 잘 허용되는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이지만, 이러한 작용 방식은 본래 인간 치료용으로 적합한 투여 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잠재적인 위험을 수반한다.
항-GDF15 항체에 대한 합리적인 조합 파트너는 항-PD-1/PD-L1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같은 T 세포 활성화 화합물일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항-GDF15 중화 항체의 특정 투여 용법과 조합 사용할 경우, 잠재적으로 이의 독성 역시 강화될 수 있다.
2번째 잠재적인 관심 영역은 고통을 받는 장기에 대한 장기 보호로서 GDF-15의 생리학적 역할이다. 만일 GDF-15를 항-GDF15 항체로 이용해 억제하여 장기 문제 (organ distress)(예, 심근경색, 감염, 기타 유의한 장기 손상)가 발생한다면, 면역 세포에 의한 과도한 장기 침윤과 달갑지 않은 조직 손상/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3번째 잠재적인 관심 영역은 개별 마우스 GDF-15 넉-아웃 모델에서 드물게 발견되었다 (Wischhusen 2020).
또한, 종양 세포에 대한 항체 약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전 2종은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과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CDC)이다. 이 2종의 기전은 항체 표적을 발현하거나 또는 항체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건강한 내인성 세포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에 대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DCC는 표적 암 세포를 사멸하는 중요한 기전으로서, 면역 세포 (주로 자연 살상 세포) 상의 인간 FcγRIIIa 수용체에 결합해, 결합된 살상 세포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즉, 종양 세포 상의 표적 항원에 대한 인지와 결합, 그리고 항체에 의한 표적 세포와 면역 세포 간의 연결이 ADCC 유도에 필수적이다. 표적과 면역 세포의 가교는 ADCC MOA (작용 기전) 경로를 활성화하여, 궁극적으로 세포 용해로 이어진다.
이에, 환자에게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장기 안정성의 모든 항목을 충족할 수 있는 안정한 항체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중요하다.
Abulizi P, Loganathan N, Zhao D, et al.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15 Deficiency Augments Inflammatory Response and Exacerbates Septic Heart and Renal Injury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Sci Rep. 2017;7(1):1-10. Bottner, Martina, Martin Laaff, Birgit Schechinger, Gudrun Rappold, Klaus Unsicker, and Clemens Suter-Crazzolara. 1999. "Characterization of the Rat, Mouse, and Human Genes of Growth/Differentiation Factor-15/Macrophage Inhibiting Cytokine-1 (GDF-15/MIC-1)." Gene 237 (1): 105-11. Chung HK, Kim JT, Kim HW, et al. GDF15 deficiency exacerbates chronic alcohol- and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Sci Rep. 2017;7(1):1-13. doi:10.1038/s41598-017-17574-w Eisenhauer EA, Therasse P, Bogaerts J, et al. New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urs: Revised RECIST Guideline (Version 1.1). Eur J Cancer. 2009 Jan;45(2):228-47. Emmerson, Paul J., Feng Wang, Yong Du, Qian Liu, Richard T. Pickard, Malgorzata D. Gonciarz, Tamer Coskun, et al. 2017. "The Metabolic Effects of GDF15 Are Mediated by the Orphan Receptor GFRAL." Nature Medicine 23 (10): 1215-19. https://doi.org/10.1038/nm.4393. Hodi FS, Ballinger M, Lyons B, et al. Immune-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imRECIST): Refining Guidelines to Assess the Clinical Benefit of Cancer Immunotherapy. J Clin Oncol. 2018 Mar 20;36(9):850-858. Johnen H, Lin S, Kuffner T, et al. Tumor-induced anorexia and weight loss are mediated by the TGF-β superfamily cytokine MIC-1. Nat Med. 2007;13(11):1333-1340. doi:10.1038/nm1677 Kempf, Tibor, Alexander Zarbock, Christian Widera, Stefan Butz, Anika Stadtmann, Jan Rossaint, Matteo Bolomini-Vittori, et al. 2011. "GDF-15 Is an Inhibitor of Leukocyte Integrin Activation Required for Survival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Mice." Nature Medicine 17 (5): 581-88. https://doi.org/10.1038/nm.2354. Selby, Mark J., John J. Engelhardt, Robert J. Johnston, Li-Sheng Lu, Minhua Han, Kent Thudium, Dapeng Yao, et al. 2016. "Preclinical Development of Ipilimumab and Nivolumab Combination Immunotherapy: Mouse Tumor Models, In Vitro Functional Studies, and Cynomolgus Macaque Toxicology." Edited by Aamir Ahmad. PLOS ONE 11 (9): e016177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61779. Tong S, Marjono B, Brown DA, et al. Serum concentrations of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 1 (MIC 1) as a predictor of miscarriage. Lancet. 2004;363(9403):129-130. doi:10.1016/S0140-6736(03)15265-8 Tsai, Vicky W.W., Yasmin Husaini, Amanda Sainsbury, David A. Brown, and Samuel N. Breit. 2018. "The MIC-1/GDF15-GFRAL Pathway in Energy Homeostasis: Implications for Obesity, Cachexia, and Other Associated Diseases." Cell Metabolism 28 (3): 353-68. https://doi.org/10.1016/j.cmet.2018.07.018. van den Boorn, Jasper G., and Gunther Hartmann. 2013. "Turning Tumors into Vaccines: Co-Opting the Innate Immune System." Immunity 39 (1): 27-37. https://doi.org/10.1016/j.immuni.2013.07.011. Vaupel, Peter. 2004. "Tumor Microenvironmental Physi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Radiation Oncology." Seminars in Radiation Oncology 14 (3): 198-206. https://doi.org/10.1016/j.semradonc.2004.04.008. Wang M, Yao LC, Cheng M, Cai D, Martinek J, Pan CX, et al. Humanized mice in studying efficacy and mechanisms of PD-1-targeted cancer immunotherapy. FASEB J. 2018;32(3):1537-49. Welsh, John B., Lisa M. Sapinoso, Suzanne G. Kern, David A. Brown, Tao Liu, Asne R. Bauskin, Robyn L. Ward, et al. 2003. "Large-Scale Delineation of Secreted Protein Biomarkers Overexpressed in Cancer Tissue and Seru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 (6): 3410-15. https://doi.org/10.1073/PNAS.0530278100. Wischhusen J, Melero I, and Fridman W. GDF-15: From Biomarker to Novel Targetable Immune Checkpoint. Front. Immunol. Accepted 23 Apr 2020. doi: 10.3389/fimmu.2020.00951. Wollert KC, Kempf T, Giannitsis E, et al. An Automated Assay for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5. J Appl Lab Med An AACC Publ. 2018;1(5):510-521. doi:10.1373/jalm.2016.022376.
본 발명은 인간 환자에 대한 치료학적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안전하고 유효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급한 임상적인 요구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울러 안전하고 안정한 항체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광범위한 실험 조사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항-GDF15 항체의 항암 효과에는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도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CDC)도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놀랍게도 알게 되었다.
GDF-15는 T 림프구의 조직 부착과 침범을 차단한다. GDF-15를 차단하는 본 발명의 항-GDF15 항체를 이용해, ADCC 또는 CDC의 어떠한 항암 효과 기여 없이, 작동자 T 세포가 암 조직에 침범하는 것을 촉진하는 치료 방식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것은 임의의 T 세포 활성화 물질,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것이며,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조합하여 유효한 면역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ADCC도 CDC도 항암 효과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본 발명자들의 발견 사실은 암에 대해 ADCC 및/또는 CDC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지 않는 항-GDF15 항체를 이용가능하게 하며, 그래서 전체적으로 안전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발명의 항-GDF15 항체는 특히 안전하며, 따라서 놀랍게도 암에 대한 충분한 효능을 안전성과 함께 겸비한다.
아울러, 본 출원인은 인간 환자에 대해 유익한 치료를 허용하는 항-GDF15 항체의 제1 투여 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제공한다:
항목 1 인간 환자에서 암 및/또는 암 악액질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항-GDF15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항목 2 항-GDF15 항체가 용량 0.3, 1.0, 3.0, 10.0 또는 20.0 mg/kg, 바람직하게는 3, 10 또는 20 mg/kg, 더 바람직하게는 10 mg/kg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며,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1회 이상으로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3 항-GDF15 항체가 용량 10 내지 20 mg/kg, 바람직하게는 20 mg/kg의 용량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며, 사이클이 4주 기간이고,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1회 이상으로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4 항-GDF15 항체가 10 내지 20 mg/kg의 용량 및 1회 이상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며, 사이클이 3주 기간이고,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1회 이상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5 항체가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을 유도하지 않거나 및/또는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CDC)을 유도하지 않는, 항목 1-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6 항-GDF15 항체가 IgG4 이소형 항체인, 항목 1-5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7 항체가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항목 6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8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가 S228P 돌연변이인, 항목 7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9 항-GDF15 항체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성 도메인과,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아미노산 서열 ser-ala-ser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성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목 1-8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0 항체의 중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6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6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목 1-9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1 항체의 중쇄가 서열번호 8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가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목 1-1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2 항-GDF15 항체가 CHO 세포에서 발현에 의해 수득가능한, 항목 1-11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3 환자의 혈청/혈장에서 GDF-15의 농도가 투여 사이클 종료시 10 ng/mL 미만인, 항목 1-12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4 환자의 혈청에서 GDF-15의 농도가 투여 사이클 종료시 2 ng/mL 미만인, 항목 13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5 환자의 혈청에서 GDF-15의 농도가 투여 사이클 종료시 0.5 ng/mL 미만인, 항목 13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6 투여 사이클이 3주 기간이고,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15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7 투여 사이클이 4주 기간이고,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15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8 투여 용법이 복수의 사이클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투여 사이클 최대 52회로 구성된, 항목 1-15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19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26-52회로 구성된, 항목 18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0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최대 34회로 구성된, 항목 16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1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17-342회로 구성된, 항목 20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2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최대 26회로 구성된, 항목 17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3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12-26회로 구성된, 항목 22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4 항-GDF15 항체가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조합하여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23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5 체크포인트 저해제가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또는 항-CD40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목 24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6 체크포인트 저해제가 GDF-15 항체와 동일한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24 또는 25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7 체크포인트 저해제가 GDF-15 항체를 투여하기 전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24-2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8 체크포인트 저해제가 GDF-15 항체를 투여하기 전 120분 이내에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27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29 체크포인트 저해제가 GDF-15 항체를 투여하기 전 30분 이내에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28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30 암이 모든 뇌암 (신경교종 등), 모든 신경계 암, 흑색종, 폐암, 간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유방암, 신장 세포 암종, 뼈 및 연조직 종양 (예, 유잉 육종 등), 비-소 세포성 폐암 및 소 세포성 폐암, 입술 및 구강 암, 비인두암, 후두암, 인두암, 모든 타입의 두경부암, 백혈병,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방광암, 임의 타입의 요로상피관 암 (urothelial tract cancer), 고환암, 갑상선암, 신장암, 담낭 및 총담관 (choledochus tract) 암, 다발성 골수종, 식도암, 위암, 결장직장암, 직장암 및 항문암 등의 위장 종양, 췌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유방 암종, 및 원발성 불명 암종, 및 임의의 기타 타입의 인간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도가 선택적으로 암-악액질의 치료 용도인, 항목 1-29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31 항-GDF15 항체의 용량이 정맥내 투여되어야 하는, 항목 1-3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
항목 32 항체가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를 가진 IgG4 이소형 항체이고, 항체의 중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6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6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7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GDF15 항체.
항목 33 항체의 중쇄가 서열번호 8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동일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가 서열번호 9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동일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목 32에 따른 항-GDF15 항체.
항목 34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가 S228P 돌연변이인, 항목 32 또는 33에 따른 항-GDF15 항체.
항목 35 항체가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을 유도하지 않거나 및/또는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CDC)을 유도하지 않는, 항목 23-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항목 36 항체가 CHO 세포에서 발현에 의해 수득가능한 항목 32-3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항목 37 항-GDF15 항체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성 도메인과, 서열번호 4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아미노산 서열 ser-ala-ser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성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목 32-3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항목 38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항-GDF15 항체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항체를 포함하는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제형이 항-GDF15 항체를 10 - 50 mg/ml로 포함하는, 제형.
항목 39 제형이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슈크로스, 아르기닌-HCl 및 폴리소르베이트를 pH 5-6에서 포함하는, 항목 38에 따른 제형.
항목 40 제형이 10 - 50 mg/ml CTL-002, 10 - 50 mg/ml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00 - 200 mM 슈크로스, 20 - 80 mM 아르기닌-HCl 및 0.01 - 0.05 % w/v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pH 5.0 - 6.0, 바람직하게는 pH 5.3 - 5.7에서 포함하는, 항목 38 또는 39에 따른 제형.
항목 41 25 mg/ml CTL-002, 20 mM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0.02 % w/v 폴리소르베이트 20을 pH 5.5에서 포함하는, 항목 38-4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형.
항목 42 25 mg/ml CTL-002, 20 mM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0.02 % w/v 폴리소르베이트 20으로 pH 5.5에서 구성되는, 항목 41에 따른 제형.
도 1: 항- GDF15 항체 B1-23 ( CTL -002의 뮤라인 전구체 Ab )을 이용한 GDF -15-생산 종양의 치료는 항-PD1 항체에 대한 반응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킨다.
항-GDF15 항체 B1-23 단독은 최소 효과만 있는 반면, 항-PD-1과의 조합은 항-PD-1 처리의 손상을 실질적으로 역전시킬 수 있다.
도 2: 베이스라인 GDF -15 혈청 수준은 항-PD1/-L1 처리에 대한 반응과 상관 관계를 가진다.
(A+B) 진행성 단계의 흑색종 환자 연구. 베이스라인 GDF-15 수준은 진행성 단계의 흑색종에서 (A) 반응 결과 및 (B) 전반적인 생존성과 연관성이 있다. (C+D) 베이스라인 GDF-15 수준은 (C) 반응 결과 및 (D) 전반적인 생존성과 연관성이 있다.
도 3: 인간 항체 CTL -002 (= H1L5 IgG4 )의 친화성 결정
Biacore T3000을 이용해 분석한 결합 카이네틱스. 여러가지 농도의 GDF-15를 CTL-002가 구비된 플로우 셀에 적용하였다. 결합 상태 및 해리 상태를 기록하여 항체의 해리 상수를 계산하였다. 소프트웨어 BIAevaluation 4.1을 이용한 글로벌 피팅에 의해 카이네틱 데이터를 평가하였다. 측정 3회 중 대표적인 측정 결과 하나를 도시한다.
도 4: GDF -15는 시험관내 플로우 -부착 분석에서 IC50이 7 내지 14 ng / ml이다 .
HUVEC를 밤새 활성화하기 전 3일간 배양한다. T 세포는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단리하여 실험 당일 정제한다. 생리학적 플로우는 캘리브레이션 펌프를 사용해 탑재된 HUVEC 채널 슬라이드를 통해 구현한다. GDF-15를 0.4에서 100 ng/ml까지 20분간 용량 타이트레이션하여 일차 T 세포에 전처리한다. HUVEC 단일 층을 1 uM CXCL12를 함유한 세척 완충제로 20분간 평형화한 다음, 전처리한 T 세포를 6분간 관류한 후 세척 완충제와 40분간 공-배양 단계를 수행한다. 개개 이미지는 고정된 필드 하나에서 30초마다 기록하고, 부착 현상은 단위 필드 당 세포 총수로서 기록한다. 분석의 기술적 및 생물학적 편차로 인해, IC50은 통상 7 내지 14 ng/ml이다.
Figure pct00001

도 5: CTL -002는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GDF -15의 부착 저해를 회복시키고, EC50은 690 내지 725 ng/ml이다.
HUVEC를 밤새 활성화하기 전 3일 동안 배양한다.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T 세포를 단리하여 실험 당일에 정제한다. 50 ng/ml GDF-15를 다양한 농도의 CTL-002와 20분간 사전 인큐베이션하여 결합시킨다. 일차 T 세포와 HUVEC 단일 층에 CTL-002/GDF-15 복합체를 20분간 전처리한다. HUVEC 단일 층은 CTL-002/GDF-15 인큐베이션 후 1uM CXCL12 함유 세척 완충제로 관류한 다음 15분간 정체시킨다. 세척 후, 전처리한 T 세포를 6분간 관류한 다음 50분간 세척한다. 1차 시점은 10분 후 기록한 다음 개개 이미지를 고정된 필드 하나에서 30초마다 기록하고, 부착 현상을 총 50분간 단위 필드 당 세포 총수로서 기록한다. AUC 값 곡선을 작성하여 EC50을 결정한다. 개별 공여자 3명을 도시한다. 분석의 기술적 및 생물학적 편차로 인해, IC50은 통상 690 내지 725 ng/ml이다.
도 6: CTL -002 처리 동물은 CD3+ 세포에서 농화된 더 높은 면역 세포 침윤성을 나타낸다.
도 7: MC38- hGDF -15는 면역 적격 마우스에서만 증식 이점을 나타낸다.
도 8: GDF -15 발현은 성공적인 항-PD-1 요법을 방해한다.
MC38 블랭크 종양은 항-PD-1 처리에 반응하지만 (도 8A), GDF-15를 분비하는 종양은 항-PD-1에 대해 심각하게 손상된 반응을 보인다 (도 8B).
도 9: 항- GDF -15 + 항-PD-1 항체를 이용한 고- GDF -15 종양 요법으로, 체크포인트 저해제 요법의 성공을 재확립할 수 있다.
항-GDF15 항체 B1-23 단독 (실선, 도 9A)은 최소한의 효과만 있는 반면 항-PD-1과의 조합 (점선, 도 9B)은 항-PD-1 처리에 따른 손상을 부분적으로 역전시킬 수 있다.
도 10: B1-23과 항-CD40/ 폴리 ( IC:LC ) 면역요법의 조합은 항-CD40/ 리(IC:LC) 단독과 비교해 MC38을 발현하는 인간 GDF-15를 근절한다.
도 11: B1-23과 항-CD40/ 폴리 ( IC:LC ) 면역요법의 조합은 항-CD40/ 리(IC:LC) 단독과 비교해 MC38을 근절한다.
도 12: UACC -257에서 검사 항체 CTL -001, 변이체 CTL -001 IgG1 * PG LALA 및 CTL-002를 이용한 ADCC 유도.
표적 세포를 작동자 세포 및 여러가지 농도의 검사 항체 또는 대조군 항체와 6시간 동안 37℃에서 트리플리케이트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발광 신호를 측정하였다. 발광 신호 또는 수득되는 상대적인 광 단위 (RLU)의 배수 유도를 항체 농도에 대해 도표로 작성하였다.
도 13: 다양한 농도의 인간 보체 단백질 C1q에 대한 CTL -001, CTL -001의 다른 이소형 변이체, CTL-002 및 대조군 항체 리툭시맙의 결합성.
C1q 단백질과 치료학적 항체의 상호작용을 ELISA-기반의 방식으로 10 ㎍/ml 인간 C1q 단백질과 HRP-접합된 항-C1q 검출 항체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여기서, 사전 코팅된 인간 GDF-15 단백질을 CTL-001과 여러가지 이소형 변이체와 인큐베이션한 다음 C1q 결합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트리플리케이트로 수행하였으며, 흡광도 (A450nm) 평균을 항체 농도에 대해 도표로 작성하였다.
도 14: 검사 항체 및 여러가지 대조군 항체에 의해 유발되는 GDF -15 발현 세포에 대한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 CDC ).
세포를 지정된 농도의 검사 또는 대조군 항체 및 활성의 새끼 토끼 보체 단백질을 함유한 10% 혈청의 존재 하에 인큐베이션하였다. 알라마르 블루 생존성 염료를 첨가해 세포의 생존력을 확인하였다. 37℃ 및 5% CO2에서 6시간 및 24시간 각각 인큐베이션한 후 평균 형광 강도 (MFI)를 측정하였다. [A] 6h 인큐베이션한 후, 그리고 [B] 24h 인큐베이션한 후 계산된 생존력을 도시한다. 항상 항체의 최고 사용 농도를 도표로 작성한다.
도 15: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CTL -001 및 CTL -002의 혈청 농도-시간 프로파일.
도 16: 관찰한 CTL -002 PK 및 총 GDF -15 NHP DRF 실험
주의: CTL-002의 PK는 1-100 mg/kg 범위에서 선형적이며 대략적으로 용량에 비례한다. 용량 10 및 100 mg/kg에서 GDF-15 포착 안정기 (plateau)는 모든 이용가능한 GDF-15를 포착하였음을 의미하고, 용량 증가에 따라 완전한 표적 포착 기간은 단순하게 증가한다.
도 17: 관찰한 CTL -002 PK 및 총 GDF -15 - NHP 4wk GLP 독성 실험
4wk GLP 독성 실험에서 개개 동물에 대한 관찰 결과 (기호).
실선 - 관찰한 데이터에 적용한 PK-PD 모델: ●으로 나타낸 데이터는 PK-PD 모델에 포함되며, +로 나타낸 데이터는 PK-PD 모델링에서 제외한 가외치이다.
도 18: 예측한 인간 CTL -002 PK (혈청 농도).
도 19: 예측한 유리 및 총 GDF -15 (혈청 농도).
전신 순환계에서 예측한 GDF-15의 억제. 혈청 GDF-15의 베이스라인 수준 3가지를 고려하였다; 0.5 ng/mL (건강한 개체에서 평균 수준 및 암 환자 코호트에서 약 15th 백분위수), 2 ng/mL (암 환자 코호트의 중앙값 수준; 50th 백분위수) 및 10 ng/mL (암 환자 코호트에서 98th 백분위수).
도 20: 종양 미세-혈관구조에서 예측한 GDF -15의 억제.
종양 미세-혈관구조에서 예측한 GDF-15의 억제. 추정: 전신성 GDF-15의 베이스라인 수준 3종; 0.5, 2 및 10 ng/mL; 종양 미세-혈관구조에서 GDF-15 농도 각각 0.5, 25 및 161 ng/mL이 달성됨.
도 21: 계획한 임상 용량 및 다양한 베이스라인 수준에서 혈청 GDF -15의 저해 예측.
건강한 개체에서 GDF-15의 정상 혈청 수준 (0.5 ng/mL)은 파선으로 표시한다.
도 22: 다양한 종들에서 CTL -002의 결합 영역의 서열.
인간,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우스 및 랫에서 CTL-002의 결합 영역의 서열을 도시한다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처음 4줄).
도 23: CTL - 002 1차 투여 후 원숭이 암컷에서 GDF -15 혈청 수준.
도 24: H1L5 경쇄의 서열 책임 지도 (sequence liability map).
서열 지도는 H1L5 경쇄에서 동정된 모든 서열의 책임 위치를 도시적으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도메인의 경계와 CDR 위치 및 책임 타입은 전체 서열과 관련하여 주어진 위치에서 식별된다. 책임 타입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 Asn N-연결된 당화, (II) Ser/Thr O-연결된 당화, (III) Asn 탈아미드화, (IV) Asp 이성질화/단편화, (V) 파이로-글루타메이트, (VI) C-말단 Lys, (VII) Met/Trp 산화, (VIII) 유리 티올.
도 25: H1L5 중쇄의 서열 책임 지도.
서열 지도는 H1L5 중쇄에서 동정된 모든 서열의 책임 위치를 도시적으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도메인의 경계와 CDR 위치 및 책임 타입은 전체 서열과 관련하여 주어진 위치에서 식별된다. 책임 타입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 Asn N-연결된 당화, (II) Ser/Thr O-연결된 당화, (III) Asn 탈아미드화, (IV) Asp 이성질화/단편화, (V) 파이로-글루타메이트, (VI) C-말단 Lys, (VII) Met/Trp 산화, (VIII) 유리 티올.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들은 유전자 요법, 면역학, 생화학, 유전학 및 분자 생물학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등한 모든 방법 및 재료는 본 발명을 수행하거나 또는 검사하는데 이용할 수 있지만, 본원에 적합한 방법 및 재료를 기술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하는" 또는 "포함한다"와 같은 용어는 각각의 사용에서 선택적으로 "로 이루어진" 또는 "로 이루어진다"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간 환자에서 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항-GDF15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항-GDF15 항체는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을 유도하지 않는다. 항체가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ADCC 리포터 분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ADCC 리포터 분석일 수 있다. 예시적인 ADCC 리포터 분석은 ADCC Reporter Bioassay, Core Kit (Technical Manual TM383, Promega Corporation)일 수 있으며,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검사 항체 및 대조군 항체를 다양한 농도에서 표적 세포에 적용하고, FcγRIIIa를 발현하는 작동자 세포와 6h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할 수 있다. 그 후, 루시퍼라제 기질을 첨가할 수 있으며, RT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발광 신호를 발광 판독기에서 측정한다.
GDF-15는 ELISA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GDF-15 측정에 이용가능한 ELISA로는 비-제한적으로 R&D systems Quantikine ELISA, 면역방사측정 분석, luminexTM 샌드위치 분석 및 전기화학발광 샌드위치 분석, 예를 들어 ELECSYS® GDF15 분석 (Roche Diagnostics) 등이 있으며, 이는 Wollert et al. (Wollert KC, Kempf T, Giannitsis E, et al. An Automated Assay for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5. J Appl Lab Med An AACC Publ. 2018;1(5):510-521. doi:10.1373/jalm.2016.022376)에 요약 개시되어 있다. 언급된 분석들 모두 단일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샌드위치 원리를 토대로 GDF-15를 포획하여 정량한다. 사용 시약 및 그 조합에 따라, 유리 GDF-15 또는 총 GDF-15 (유리 GDF-15와 CTL-002에 결합된 GDF-15)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모든 구현예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암은 "고형 암"이다. "고형 암"은 하나 이상의 고형 종양을 형성하는 암이다. 이러한 고형 종양을 형성하는 고형 암은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용어 "고형 암"은 암에 의해 형성된 1차 종양과 잠재적으로는 전이로도 공지된 2차 종양을 둘다 망라한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할 바람직한 고형 암은 흑색종, 결장직장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요로상피암, 위암, 췌장암, 간암, 고환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뇌암, 유방암, 위암, 신장 세포 암종, 유잉 육종, 비-소 세포성 폐암 및 소 세포성 폐암, 원발성 불명 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흑색종, 결장직장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요로상피암, 위암, 췌장암, 간암, 고환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흑색종, 결장직장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요로상피암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흑색종, 결장직장암 및 전립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어 "CTL-002", "CTL-001 IgG4*", "CTL-001 IgG4" 및 "H1L5 IgG4*"는 동의어로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서열번호 8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과 서열번호 9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항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모든 구현예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GDF-15는 인간 GDF-15 (본원에서 "hGDF-15"로도 언급됨)이고, 항-GDF15 항체는 항-인간 GDF-15 항체 (본원에서 "항-hGDF-15 항체"로도 언급됨)이다.
안정한 제형의 제공
치료학적 단백질은 번역 후 변형 (PTM) 및 화학적 변형으로 인해 복잡하며, 매우 이종적이다. 이러한 변형은 당화, 탈아미드화, 산화 및 N- 및 C-말단의 변이를 포함한다. 적절한 제품-관련 변이 (relevant product-related variant)를 유발하는 변형은 규제 기관에 의해 핵심 품질 특성 (CQA)으로 분류되어 있다. CQA는 주어진 허용 범주가 좁고, 그 변화는 적절한 정성적 및 정량적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안정한 항체 제형의 제공하게 되면 많은 경우에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항체에 대해 안정한 제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제1 단계에서, 출원인은 항체의 어떤 부분 및 서열이 향후 제형화 시도에서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착수하였다. 이를 위해, 인 실리코 결정 (in silico determination)을 수행하였다. 인간화 항-GDF15 항체 H1L5를 인 실리코 제조 가능성의 평가 도구로 스크리닝하였다. 전장 카파 이소형 경쇄와 전장 IgG1 중쇄로 구성된 H1L5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아래 실시예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잠재적인 개발 가능성 이슈 및 응집 위험에 대해 서열 모티프 및 특징을 스크리닝하였다. 본 출원인은, H1L5가 잠재적인 CDR 탈아미드화 부위와 추가적으로 평가가 필요한 산화 부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항체는 또한 잠재적인 산화 및 산-취약성 부위뿐 아니라 C-말단 클립핑 (C-terminal clipping)의 기타 잠재적인 안정성 이슈를 가지고 있었다. 즉, 이 항체는 잠재적으로 안정화되기 쉽지 않은 것임에 명확하였다.
초기 라운드의 실험 데이터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제형화 시도 중에 항체에 잠재적으로 탈안정화를 유발할 수 있는 몇가지 위험 인자들을 동정하였다.
이에, 제2 단계로서, 항체 H1L5를 본원의 도처에 기술된 바와 같이 IgG4 백본에 조작하였으며, 이후 CTL-002로 명명하였다. IgG4 백본을 이용하면, 앞서 동정한 위험 요소 3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거할 수 있다:
1) IgG1의 K448 결손
2) IgG1의 204번 위치의 N이 IgG4 항체에서 D로 치환
3) IgG1의 132번 위치의 S가 IgG4 항체에서 C로 치환
즉, IgG1에서 IgG4로 변경함으로써, 안정적인 항체 제형을 제공하는데 있어 잠재적인 위험 요소 3가지를 제거하였다.
출원인은 이러한 변경과 후술한 추가적인 안정성 실험에 기반하여, 안정한 항체 제형을 제공한다. 이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아르기닌-HCl, 폴리소르베이트 및 슈크로스를 pH 5-6에서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제형은 상기 구현예와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실시예
약물 물질 (DS)
CTL-002는 GDF-15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15)를 표적으로 하는 인간화된 힌지-안정화된 IgG4 단일클론 항체로서, 본 발명의 항체에 대한 것이다.
CTL-002 약물 물질에 대한 예시적인 액체 제형에서, CTL-002 항체는 약 25 mg/mL 농도로 존재하고, 20 mM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및 0.02% w/v 폴리소르베이트 20를 pH 5.5에서 추가로 포함한다.
제조 & 대조군
CTL-002 약물 물질은 CHOK1SV GS KO™ 세포와 같은 CHO 세포에서 생산할 수 있다. 하위 공정은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2가지를 포함한다; 단백질 A-기반의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예, MabSelect SuRe)와 후속적인 음이온 교환 막 크로마토그래피 (예, Sartobind Q).
바이러스 불활화는 예를 들어 Triton-X 100 처리에 의해 달성한다.
분석 검사는 일상적으로 공정 중에 그리고 최종 배포 전에 수행한다.
안정성
약물 제품 안정성 실험은 다음과 같이 현재 진행 중이다:
ㆍ 약물 제품 GMP 배치(들)의 잠정적인 저장 수명을 확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안정성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2-8℃에서 의도한 장기 보관 조건에서 (최대) 3년, +25℃에서 12개월, 및 +40℃에서 6개월 동안의 파일럿 non-cGMP (Batch #DPS026) 대표적인 안정성 실험.
ㆍ 제안된 IMP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2-8℃에서 의도한 장기 보관 조건에서 (최대) 3년, +25℃에서 12개월, 및 +40℃에서 6개월 동안의 GMP (Batch #F19235) 안정성 실험.
보관
CTL-002 약물 제품 바이얼은 안전한 환경에서 본래의 2차 포장 상태 그대로 +2-8℃에서 광 차단 하에 기타 의약품 또는 조사 제품과 별도로 보관되어야 한다. 제품은 냉동해선 안된다.
조제 & 투여
CTL-002를 정맥내 투여용으로 준비하기 위해, CTL-002 용액을 0.9% NaCl가 든 주입백에 첨가한다. 주입용 CTL-002 용액은 폴리에틸렌 (PVC-, DEHP- 및 라텍스-프리)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라텍스-프리)로 제작된 IV 백과 PE (PVC-, DEHP- 및 라텍스-프리) 또는 PVC (DEHP- 및 라텍스-프리) 소재로 제작된 주입 라인을 이용해 투여할 수 있다. 0.2 ㎛ 인-라인 필터 (양으로 하전된/비하전된 PES 막)의 사용이 의무적이다.
주입백 안의 주입용 CTL-002 용액은 혼합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주위 온도에서 투여할 수 있다. 주입백은 실온에서 최대 6시간, +2-8℃에서는 최대 24시간 보관 가능하지만, 조제 후 24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비임상 약리학
본 발명자들은 주로 CD8+-T-림프구가 조직에 부착해 침범하는 것을 차단하는 GDF-15의 기전을 동정하였다. GDF-15를 차단하는 CTL-002를 이용함으로써, 종양 조직으로의 작동자 T 세포 유입을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 방식을 확립하였다. 이는 임의의 T 세포 활성화 물질,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로우-부착 분석에서, +/- GDF-15로 전처리한 여러가지 면역 세포 서브세트를 내피 세포의 활성화된 층 또는 재조합 부착 분자 상으로 관류하였다. 라이브 이미징 현미경 검경에 의해 부착 및 침범 과정을 모니터링하였다. 내피 세포 층에의 T 세포 부착은 GDF-15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손상되었다. T 세포 서브세트들 중 CD8+ T 세포가 대부분 영향을 받았으며, 기타 면역 세포의 부착은 감소하지 않았다. CD8+ T 세포 부착에 대한 GDF-15의 저해 효과는 TS1/18 항체에 의한 강력한 LFA-1 차단과 비슷하였으며, 이는 항-GDF15 항체인 CTL-002에 의해 회복되었으며, EC50은 ~700 ng/ml이다.
이러한 초기 발견은 관련 동물 모델에서 수득한 데이터에 의해 추가로 입증된 바, 항-GDF15 항체 CTL-002 또는 마우스 서로게이트가 종양 침윤성 림프구의 상당한 수적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T 세포 활성화 요법에 대한 반응성을 강화하였다. HV18-MK 흑색종-보유 인간화된 마우스에서 CTL-002에 의해 GDF-15를 중화한 결과, 종양 침윤성 백혈구의 상당한 수적 증가가 달성되었다. 서브세트 분석에서는 T 세포, 특히 CD8+-T 세포의 비례적인 농화가 나타났다 (도 6 참조).
나아가, 인간 GDF-15를 발현하는 유전자 변형된 마우스 결장 종양 MC38 세포 (MC38-GDF15)를 가진 동계 마우스 종양 모델은 항-PD-1 또는 항-CD40/폴리(IC:LC) 조합 요법에 대한 낮은 반응성이 개선되는 반응을 보였다. 어떤 동물에서도 유해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1, 13, 14).
그래서, GDF-15에 의해 매개되는 병리학적 효과를 중화하도록 CTL-002가 개발되었다. GDF-15의 부착 및 침범 공정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을 일차 면역 세포를 이용한 시험관내 플로우 부착 시스템에서 라이브 세포 이미징 현미경 검경에 의해 모니터링하였으며, CTL-002에 의한 GDF-15 효과 저해에서 핵심적인 매개변수를 이 시스템에서 확인하였다.
아울러, 2차 약리학 연구에서는 CDC 및 ADCC, 온-표적/오프-조직 결합 및 오프-표적 결합을 유발하는 CTL-002 능력을 조사하였다. 안전성 약리학 평가를 표준 반복-투여 독성 실험에 포함하였다.
요컨대, 이들 연구들은 CTL-002 작용 기전에 대한 충분한 특성화뿐 아니라 암 환자에서 임상 검사 및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GDF-15 상승을 충분히-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표적 GDF-15에 대한 CTL-002의 결합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GDF-15 및 CTL-002는 CTL-002 항체 2개와 이량체 GDF-15 분자 2개로 된 주요 복합체들이 용액에서 형성된다. 기타 복합체들은 선호성이 낮은 것으로 보이며, CTL-002 3개와 GDF-15 3개로 된 추가의 복합체 단 1종만 명확하게 검출되었다. 이 복합체는 CTL-002와 GDF-15를 동일 몰 비율로 인큐베이션하였을 경우 최대였지만, 그 비율을 어느 쪽으로도 바꿀 경우에는 여전히 8%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항체가 3몰 이상으로 과량일 경우, 모든 GDF-15가 CTL-002 분자와 복합체를 형성하였으며, 고 분자량 응집체가 형성되는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1: CTL -002 및 GDF -15로 형성된 복합체들에 대한 개괄
Figure pct00002
Biacore T3000에서 표면 플라스몬 공명을 측정하여, 재조합 인간 GDF-15에 대한 CTL-002의 친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노몰구스 랫 및 마우스 GDF-15에 대해 친화성을 측정하였다 (표 2 참조).
모든 실험은 10 mM HEPES 완충제, pH 7.4, 150 mM NaCl, 3.4 mM EDTA 및 0.05% Tween에서 수행하였다. 항-인간 IgG Fc 특이 항체 (Jackson, Order# 109-005-008, Lot# 111148)는 EDC/NHS 화학에 의해 Biacore CM5 Chips (GE Healthcare, Order# 61144275, Lot# 10236645)에 공유 결합으로 고정하였다. 항원-항체 상호작용의 카이네틱을 규명하기 위해, GDF-15를 농도 증가 방식으로 (예, 156.3 pM, 312 pM, 625 pM, 1,250pM) 유속 30 ㎕/min으로 주입하였다. 각 측정 사이클 (결합 8분 후 해리 30분) 후, 표면을 10 mM 글리신-HCl pH 2.0로 재생하여 항체-항원 복합체를 분리하였다. CTL-002의 해리 상수를 계산하기 위해, 결합 상태와 해리 상태를 기록하였으며, 소프트웨어 BIAevaluation 4.1을 이용한 글로벌 피팅에 의해 계산하였다. 글로벌 피트 분석에서만 이들 항원 농도를 고려하였으며, Langmuir 1:1 결합 모델 또는 드리프팅 베이스라인을 이용한 1:1 결합에 따라 분석하였다.
인간 GDF-15에 대한 KD 값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CTL -002의 종 친화성에 대한 개괄
CTL-002
KD (인간) 38.3 pM
KD (시노몰구스) 107.7 pM
KD (랫) 449 pM
KD (마우스) 9.76 nM
비-임상 실험 패널에 사용된 항체 3종에 대한 개괄 사항과 비교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시험관내 생체내 실험에서 이용한 항체에 대한 상세한 개괄
B1-23 CTL-001 CTL-002
결합 도메인 불연속적인 에피토프 (EVQVTMCIGACPSQFR---아미노산 38개---TDTGVSLQTYDDLLAKDCHCI)
마우스 인간화 인간화
이소형 IgG2a (rec IgG1) IgG1 IgG4S228P
이명 H1L5, B1-23-H1L5 CTL-001 IgG4*, CTL-001 IgG4, H1L5 IgG4*
특성화 실험 단백질 분해성 절개에 의한 에피토프 맵핑
ADCC, C1q 및 CDC ADCC, C1q 결합 및 CDC ADCC, C1q 결합 및 CDC
인간 GDF-15의 면역블롯 및 ELISA 인간 및 마우스 GDF-15의 면역블롯 및 ELISA 인간 GDF-15의 ELISA
GDF-15 결합된 표면의 유세포 측정 염색 GDF-15 결합된 표면의 유세포 측정 염색
여러가지 TGF-β 단백질의 면역블롯 및 ELISA
D-스톰 현미경 검경에 의한 LFA-1 활성화의 저해
사전 활성화된 HUVEC에 대한 유동 T 세포의 부착 저해
마우스에서 hGDF-15를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MC38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항-PD-1과의 생체내 조합
마우스에서 hGDF-15를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MC38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항-CD40/폴리(IC:LC)와의 생체내 조합
마우스에서 악액질에 대한 생체내 중화 마우스에서 악액질의 생체내 중화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생체내 예비 PK 연구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생체내 예비 PK 연구
인간화된 마우스 인간 흑색종 모델의 CTL-002를 이용한 생체내 치료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비-GLP 단일-용량 용량 탐색 실험
랫에서 PK 및 용량-범위 탐색
마우스 PK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CTL-002의 4주 반복-투여 독성 실험
요컨대, CTL-002는 마우스 항체 B1-23으로부터 유래한 인간화된 IgG4 항체로서, 인간 GDF-15에 대해 높은 특이성을 가진다. CTL-002는 인간, 시노몰구스 및 랫 GDF-15에 피코몰 친화성 (각각 38.3, 108 및 449 pM)으로, 마우스 GDF-15에는 낮은 나노몰 친화성 (9.76 nM)으로 결합한다. CTL-002는 성숙한 GDF-15의 카르복시 말단에서 불연속적인 입체구조 에피토프에 결합하며, 생리학적인 이량체 입체구조를 특이적으로 인지한다.
GDF-15 매개 T 세포 부착 저해에 대한 시험관내 CTL-002 생물학적 활성
아울러, 2가지 전용 분석 결과, GDF-15 수준이 PD-1 길항제에 대한 비-반응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재차 GDF-15가 면역- 및 T 세포 기피제 (repellant)로서 작용하고 CD8+/CD4+ T 세포를 종양의 바깥쪽에 머물게 하여 PD-1 길항작용에 기반한 활성을 방지한다는 개념과 일치한다 (도 2).
플로우 부착 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면역 세포를 종양 조직으로부터 분리하는 혈관벽에서의 다이나믹스를 모방하였으며, CTL-002에 의한 GDF-15 중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GDF-15 부착 저해 효력과 시스템의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해, 분석 시스템에서 GDF-15의 IC50은 13.8±2.3 ng/ml로 결정되었다 (도 4).
GDF-15 매개 세포 부착 저해를 방지하는 CTL-002의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CTL-002의 EC50을 T 세포를 이용한 플로우-부착 분석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여러가지 도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평균적으로 CTL-002 농도 707±17 ng/ml이 T 세포 부착을 50% 개선하는데 유효하였다 (도 5 참조).
생체내 약리학
모든 TGF-beta 슈퍼패밀리 구성원들 중에서 이종상동성 GDF-15 분자가 서열 보존성이 가장 낮다. 성숙한 랫, 마우스 및 인간 TGF-beta1 및 BMP-2 단백질은 인간과 마우스 간의 서열 동일성이 99-100%이지만, GDF-15 상동성은 70% 미만에 불과하다 (Bottner 1999). 그래서, 여러 종 간의 생물학적 차이를 배제하기 어렵다. 뮤라인 GDF-15는 오히려 인간 카운터파트와 67.9%의 낮은 서열 동일성을 보이는데, 이는 항-GDF-15 항체가 마우스 상동체에 대한 친화성이 낮게 확인된 결과에 역시 반영되었다. 2가지 생체내 방식을 수행하여 약력학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먼저, 면역결핍 마우스에 인간 제대혈 유래 CD34+-조혈 줄기 세포를 생착시킨 인간화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였다.
재구축 후 3개월 경과시, 이들 마우스는 주요 인간 면역 세포 서브세트를 모두 가진 기능성 인간-유사 면역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Wang 2018). 이들 마우스에, GDF-15를 높은 수준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입증된 환자-유래 인간 흑색종 세포주 HV-18MK를 접종하였다. 3일 후부터 시작해 마우스에 이소형 대조군 또는 CTL-002를 주당 2회 처리하고, 4주 후 종양을 회수하여 면역 세포 침윤을 유세포 측정에 의해 분석하였다.
CTL-002 처리군에서는 종양 크기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인간 종양 침윤성 CD45+ 세포가 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6). 침윤성 세포 집단에서 T 세포가 4배 농화되었다. 추적 실험에서 침윤성 면역 세포 집단을 보다 상세히 분석한 결과, CD45+ 3배 증가 및 CD3+ T 세포 4배 농화로 덜 현저하지만, CD45+ 침윤 증가와 CD3+ 농화가 검출되었다.
제2 실험 모델로서, 항-GDF-15 항체의 치료학적 효능을 검사하기 위해 인간 GDF-15를 과다 발현하는 유전자 변형된 마우스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MC38 결장 선암종 세포는 면역 체크포인트 차단제 활성을 분석하는데 바람직한 마우스 종양 세포로 (Selby 2016), 이를 이용해 승인된 항-PD-1 항체의 개발을 뒷받침하는 생체내 데이터가 수득되어 있다. 과다 발현은 안정한 형질감염에 의해 구현되었으며, 대조군 처리 MC38과 비교해 시험관내 증식에 영향은 없었다.
연령 매칭되는 면역적격 C57BL/6 및 면역결핍 NCI nu/nu 마우스에 5x105 MC38 블랭크 결장 종양 세포 또는 재조합 인간 GDF-15를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유도체 MC38GDF -15의 현탁물을 피하 접종하였다. 시험관내 증식 및 면역결핍 NCI nu/nu 마우스에서의 생체내 증식과는 대조적으로, GDF-15의 발현이 면역적격 C57BL/6 마우스에서 증식 이점을 매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는 GDF-15가 종양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간섭한다는 생각을 뒷받침하였다 (도 7).
나아가, 인간 GDF-15의 발현은 항-PD-1 반응성 MC38 결장 암종 종양을 항-PD-1 내성 종양으로 만들었다. 이는 항-GDF-15 (B-23)/항-PD-1 조합 처리에 의해 일부 회복되었지만, 항-GDF-15 단일요법에 의해서는 그렇지 않았으며, 항-PD-1 단독에 의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데이터는 도 1에 또한 도시).
마찬가지로, 항-GDF15 항체를 이용한 단일요법은 최소한의 개선만 거두었지만, GDF-15 분비 종양 (실선, 도 9B)은 항-GDF-15 B1-23 및 항-PD-1의 조합 처리시 우수한 생존성을 나타내었다 (도 9). 이러한 조합 처리는 항-PD-1 단일요법보다 비-유의하게 우수하였다 (도 8).
항-GDF-15 처리가 T 세포 침윤을 높이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므로, 종양에서 T 세포 존재에 의존한 기타 암 면역요법에서는 GDF-15를 중화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기존에 T 세포 면역 반응에 의존하는 것으로 (van den Boorn 2013) 확인된 다른 면역 요법, 즉 항-CD40 및 폴리(IC:LC) 종양 치료를, 인간 GDF-15를 발현하는 MC38 세포를 이용해 마우스 모델에서 검사하였다. GDF-15 중화와 항-CD40/폴리(IC:LC)를 이용한 조합 처리시 동물 10마리 중 8마리에서 완전한 종양 거부가 발생하였지만, 항-CD40/폴리(IC:LC) 단독 처리시에는 종양 10개 중 단 3개만 제거되었다 (도 10).
마우스 GDF-15는 아마도 불충분한 분석 검정으로 인해 야생형 MC38 세포에서 검출할 수 없었지만, 인간 GDF-15를 분비하도록 조작되지 않은 MC38 세포에서 이소형 대조군 항체를 항-GDF-15와 항-CD40/폴리(IC:LC)의 조합 처리와 비교하는 비슷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변형된 MC38을 이용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항-GDF-15는 항-CD40/폴리(IC:LC)의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었지만, 그 정도는 낮았다 (도 11).
2차 약리학 (ADCC, CDC)
GDF-15는 성숙 기간 동안에 세포 상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용해성 인자이다. 시험관내에서 GDF-15 부속된 세포 표면에 결합하는 CTL-002의 능력은 CTL-002가 GDF-15 부속된 건강한 세포에 대해서도 세포- 및 보체 매개 세포독성을 잠재적으로 매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ADCC 유도를 ADCC 리포터 분석 (Promega)으로 분석하였다. 검사 항체 및 대조군 항체를 여러가지 농도로 표적 세포에 적용하고, FcγRIIIa를 발현하는 작동자 세포와 6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루시퍼라제 기질을 첨가하여 RT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발광 판독기에서 발광 신호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TL-002는 임의의 측정가능한 ADCC를 유도하지 못하였지만, 양성 대조군 트라스투주맙은 양쪽 세포주에 대해 예상한 바와 같이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2).
아울러, CTL-002가 CDC를 매개하는 능력도 C1q 결합성을 ELISA 및 세포 리포터 분석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그 결과, CTL-002는 대조군 항체 리툭시맙과는 대조적으로 인간 보체 단백질 C1q에 대해 결합성을 보이지 않았다 (도 13).
2번째 방식으로 CDC를 매개하는 능력을 세포성 분석으로 검사하였다. CDC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리툭시맙을 사용해 Raji 세포에서, 그리고 GDF-15를 발현하는 UACC-257 세포에서 분석하였다. 보체 저해 분자에 대한 중화는 CDC를 유도하기에 충분하지만 UACC-257에 CDC를 직접 유도하는 항체는 이용 가능하지 않으므로,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CD55 및 항-CD59-항체를 선택하였다. 그 결과, 표적 단백질 GDF-15가 유세포 측정에 의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지만, CTL-002는 항-CD55 및 항-CD59 항체와 조합하여 어떠한 CDC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14).
결론적으로, CTL-002 항체가 ADCC도 CDC도 유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험 데이터에 따라 놀랍게도 밝혀졌다.
동물에서의 약동학 및 생성물 대사
CTL-002의 약동학을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에서 분석하였으며, 인간에서 약동학을 예측하기 위해 CTL-002의 PK 모델을 구축하였다. 약력학 데이터는 혈청에서 GDF-15의 저해를 측정하여 같은 날짜에 (그리고 후속적인 원숭이 반복-투여 실험에서) 수득하였다. 이들 데이터세트를 PK/PD 모델로 조합하고, 이를 이용해 인간에서의 CTL-002 약력학 활성을 예측하였다.
PK/PD 모델로부터 수득한 데이터는 또한 CTL-001의 최초 인간 실험에서 안전한 개시 용량을 추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흡수
IgG1- 및 IgG4-기반의 항-GDF15 항체 (각각 CTL-001 및 CTL-002)의 약동학을 비교하기 위해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예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원숭이 수컷 1마리와 암컷 1마리 각각에 CTL-001 또는 CTL-002 25 mg/kg을 정맥내 1회 주사하였다. 60일 동안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혈청 농도-시간 프로파일을 도 15에 나타내며, 핵심적인 약동학 매개변수는 표 4에 요약 개시한다.
표 4: 원숭이에서 CTL -001 ( IgG1 ) 및 CTL -002 ( IgG4 )의 약동학 매개변수
원숭이 성별 이소형 용량 수준
(mg/kg)
t 1/2
(일수)
C max
(㎍/mL)
AUC inf
(㎍ㆍday/mL)
1 수컷 IgG1 25 9.1 710.9 4514
2 암컷 IgG1 25 10.6 827.8 5756
3 수컷 IgG4 25 12.9 949.2 7931
4 암컷 IgG4 25 14.3 615.2 7980
요컨대, CTL-002 (IgG4 이소형)는 검사한 원숭이에서 CTL-001 (IgG1 이소형)과 비교해 반감기는 약간 더 길고, AUC는 약간 더 높았지만, 어떠한 동물에서도 유해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용량-반응 정보 및 인간 치료학적 용량에 대한 모델링
1회 투여한 후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 (NHP) PK 데이터로부터, 그리고 3차 매주 투여하기 전 최저 농도를 망라하여, 전신 CTL-002 노출을 묘사하는 2-구획 집단 약동학 (PK) 모델을 구축하였다.
CTL-002 투여 후 비활성 GDF-15가 축적되었으며, GDF-15의 억제를 묘사하는 결합성 PD 모델을 포함하도록 PK 모델을 확장하였다 (도 16 및 도 17). 이 모델은 NHP에서 관찰된 1회 용량 PK-PD 데이터를 설명하며, 4wk GLP 독성 실험에서 매주 반복 투여 (2회 투여) 후 최대 14일까지 관찰한 데이터를 예측한다. CTL-002의 소거에서 유의한 포화가능한 구성요소를 암시하는 증거는 없으며, 최대 목표 포획은 용량 ≥10 mg/kg/wk에서 달성될 수 있다.
NHP에서 CTL-002에 대해 관찰된 IgG 소거는 NHP에서 인간 IgG-유사 분자에 전형적인 결과임에 유념하여야 한다. CTL-002를 반복 투여한 후 일부 동물에서 GDF-15의 노출 및 포획 감소가 과다-비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관찰된 사실에 대한 타당한 설명은, (이 종에서 ADA-검출 분석을 이용할 수 없음) 실험적으로 검증되진 않았지만, ADA 반응이라는 것이다.
NHP PK-PD 모델은 소거에 대해 0.75, 구획 간 교환에 대해 0.67 및 체적에 대해 1.0의 지수를 사용해 CTL-002의 인간 PK를 예측하기 위해 알로메트릭 스케일링 (allometric scaling)을 수행하였다. 목표 억제 정도 및 기간을 예측하기 위해 NHP 및 인간 GDF-15에 결합하는 표적 역시 모델에 포함하였다 (표 5).
표 5: CTL -002 - PK-PD 모델 매개변수
PK 매개변수 단위 NHP 지수 * 인간
중심 체적 L 0.136 1 3.182
말초 체적 L 0.0866 1 2.021
교환 계수 L/day 0.0404 0.67 0.330
CTL-002 소거 L/day 0.0121 0.75 0.128
유리 GDF-15 제거율 1/day 121 -0.25 55.2
베이스라인 GDF-15 ng/mL 1.25 - 0.5 - 10
KD (PK-PD 모델로부터) nM 0.019 ** 0.007
* NHP에서 인간으로 스케일링하기 위해 사용된 체중 지수 ( NHP 3 Kg ; 인간 70 Kg )
** 시험관내 K D x 0.18 (NHP에서 관찰한 시험관내/생체내 차이)
이러한 추정을 감안해, 인간에서 CTL-002 노출을 여러가지 투여 용법에서 예측하였으며 (도 18), Cmax 및 AUC에서 수득한 안전성 마진(safety margin)을 4wk GLP 독성 실험 100 mg/kg/Q1wk에서 달성되는 노출과 비교하였다 (표 6).
표 6: 예측된 노출 마진: 최초 인간 ( FIH ) 실험
용량 (mg/kg/Q2wk) Cmax AUC
0.3 683 487
1 186 131
3 54 40
10 14 11
20 6 5
4wk GLP 독성 실험에서 100 mg /kg CTL -002와 비교한 예측한 노출 마진 (NOEL):
NHP에서 1차 투여 Cmax와 비교한 인간에서 1차 투여 Cmax
집단 PK 모델로부터 NHP에서 AUC (정상상태 Q1wk x 2)와 비교한 인간에서 AUC (정상상태 Q2wk); 선형적인 pK 거동 가정
표적 환자 집단에서 관찰된 GDF-15 베이스라인 수준을 이전에 치료받은 적 있으며 불응성이거나 또는 항-PD-1 항체 치료 후 재발한 환자 코호트 34명에서 분석하였다. 이 코호트에서, GDF-15 베이스라인은 0.35-12 ng/mL 범위였다. 전신 GDF-15의 억제 정도 및 기간은 GDF-15의 베이스라인 수준에 의존적인 것으로 보이며, GDF-15 생산율이 높을수록 억제를 달성하는데 더 높은 용량이 필요하였다 (도 19).
연장된 기간 동안 GDF-15 수준을 생리학적 수준 미만으로 억제하지만 GDF-15 수준이 낮은 환자들에서는 전체 투여 기간 동안 그렇지 않을 것이므로, FIH 추정 용량은 보수적인 접근 방식이다. 이는 FIH 용량에 대한 자문 기관 (독일, PEI)의 요구를 준수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GDF-15 베이스라인 수준과 목표 억제 정도와 기간 간의 연관성은 1상 임상 실험에서 조사될 예정이다.
전술한 PK-PD 모델은 다양한 GDF-15 베이스라인 수준에서 전신성 GDF-15의 억제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원하는 표적은 종양 미세환경이다. 만일 종양이 전신성 GDF-15의 증가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다면, 종양 혈관계에서의 GDF-15 양도 고려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간 PK-PD 모델에 대한 확장으로서 종양 미세환경에서 GDF-15 억제 추정을 포함하였다.
인간에서 GDF-15의 혈청 반감기는 10분으로 예측된다 (NHP로부터 알로메트릭 스케일링). 이 소거 속도를 토대로, 혈청내 GDF-15 정상 상태 농도 10 ng/mL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GDF-15는 1.67 mg/day 속도로 생산되어야 할 것이다. 종양 크기 36 g, 종양 조직의 평균 혈류 속도 0.2 mL/min/g (범위 0.01 - 2 mL/min/g - Vaupel 2004)에 대해, 종양 혈관계에서 생산되는 GDF-15 동형이량체 농도는 161 ng/mL (6.5 nM)일 것이며, 즉 전신 GDF-15 농도보다 약 16배 높을 것이다.
이러한 추정에 기초해, 다양한 종양 GDF-15 수준들에에서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종양 GDF-15 억제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도 20에 도시한다. 예측한 종양 GDF-15는 종양 혈류 속도에 크게 좌우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베이스라인 혈청 GDF-15 수준이 2 ng/mL인 환자의 경우, 종양 미세 혈관계에서 GDF-15 농도는 제안된 개시 용량 0.3 mg/kg에서 약 5일간 < 0.5 ng/mL (건강한 개체에서 평균 수준)로 억제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GDF-15의 혈청내 베이스라인 수준이 더 높은 환자의 경우 예측된 억제 기간이 훨씬 더 짧다 (표 7).
주의: 혈관계 이외 종양 간질 공간에서 sGDF-15의 억제는, 종양 환경으로의 CTL-002 침투 및 간질 공간에서의 GDF-15 수준과 관련하여 추가의 추정이 필요하므로, PK-PD 모델에 통합하지 않았다.
표 7: 예측한 GDF -15 억제 기간
Figure pct00003
아울러, 진행성 흑색종 환자 (10 ng/ml)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제안된 개시 용량 0.3 mg/kg CTL-002는 혈청 GDF-15를 Cmax에 비추어 GDF-15 베이스라인 수준 범위의 최고점에서 정상 수준 (0.5 ng/ml)보다 약간 낮게 낮출 뿐이며, 그래서 내인성 기능은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도 21).
결론적으로, CTL-002는 선형적인 PK 모델에 의해 설명된다. 다시 말해, CTL-002는 막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IgG-유사 분자에서 때때로 관찰되는 바와 같이, 포화 가능한 표적-매개 카이네틱 거동을 나타내지 않는다.
NHP 4wk GLP 독성 실험에서, CTL-002는 임상 검사에서 적절한 노출 마진을 제공하는 용량들에서 안전하고 내약성이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안된 FIH 개시 용량 0.3 mg/kg/Q2wk는 6 ㎍/mL 1시간 주입 종료시 최대 혈장 농도 (Cmax)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NHP에서 NOEL (No-Observed-Effect-Level)에서의 CTL-002 Cmax 노출보다 683배 낮다. 이 용량은 종양 미세 환경에서 일시적인 GDF-15 억제만 달성할 수 있어, 최소 허용가능한 생물학적 효과 수준 (MABEL)으로 간주된다.
혈청 총 GDF-15는 NHP에서 GDF-15 표적 결합에 대한 유용한 바이오마커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CTL-002 용량 ≥ 10 mg/kg은 GDF-15 포획 유지 (및 추론상 GDF-15 억제에 의해)와 관련 있다. 즉, 총 인간 GDF-15는 GDF-15 표적 결합에 대한 잠재적인 임상 바이오마커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된 시간 동안 GDF-15의 최대 억제 및 각 투여 사이클 내내 GDF-15의 계속적인 억제를 모두 조사하기 위해 FIH 임상 실험을 설계하였다.
독성학
CTL-002는 진행성 암 환자 치료에 대해 조사 중에 있다.
비-임상 검사에 적절한 종을 식별하기 위해, GDF-15의 서열 상동체를 종들에서 비교하였다. 인간에서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우스 및 랫에 이르는 서열 상동성은 각각 94.6%, 67.9% 및 66.1%이다.
CTL-002는 도 22에서 박스 2개로 표시된, GDF-15 내 비-선형적인 입체구조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시노몰구스 원숭이, 인간, 마우스 및 랫의 CTL-002의 결합 영역 서열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처음 4개) 기술한다.
시노몰구스 원숭이는 GDF-15 내 인간 CTL-002 결합 에피토프에 대한 서열 상동성이 100%이다. 이에, 이 동물을 독성 검사에 적합한 종으로 간주하였다. 인간 및 시노몰구스 GDF-15에 대한 CTL-002의 결합 친화성은 각각 38.3 pM 및 108 pM이었다.
제품이 합리적인 정맥내 용량 수준 (랫 GDF-15에 대한 결합 친화성: 449 pM)에서 지속적인 완전한 목표 저해를 달성할 만큼 충분히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것으로 예상되어, CTL-002의 용량 반응 탐색 (DRF) 실험을 랫에서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 수득한 PK/PD 데이터에 따르면, CTL-002는 심지어 최고 용량 수준 100 mg/kg에서도 GDF-15 결합을 포화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핵심 독성학은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만 CTL-002를 매주 1회 정맥내 투여하는 4주 실험으로 평가하였다. 검사한 최고 용량 100 mg/kg까지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우수 실험실 규칙 (Good Laboratory Practice, GLP)-준수 조직 교차-반응성 실험을 인간 및 시노몰구스 원숭이 조직을 이용해 수행하였다. 조사한 조직 패널에서 CTL-002를 이용한 염색은 인간 및 원숭이 태반의 영양막 세포질로 한정되었는데, 이는 태반에서 이의 표적 단백질 GDF-15 발현 보고와 일치하였다. 예기치 못한 교차 반응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독성학: 비-주요 실험 (Non-Pivotal Study)
non-GLP 1회 용량-탐색 실험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수행하였다. 이 실험의 주 목적은 후속적인 GLP-준수 28일 반복-투여 독성 실험에 대한 용량 선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용량 수준에서 CTL-002 약동학을 특성화하였다.
각 용량 수준별 (0.1; 1; 10 또는 100 mg/kg) 동물 암컷 1마리와 수컷 1마리에 30분 1회 정맥내 주입으로 투여하고, 14주 동안 약동학 프로파일을 기록하였다. 약동학 분석과 더불어, 항-약물 항체 발생을 투여 전과, 투여 후 6주 및 12주에 분석하였다. GDF-15 및 CTL-002 혈청 수준을 정량하였다. 총 CTL-002 (PK 총) 및 유리형 CTL-002 (PK 유리)로서 분리하여 약동학 데이터를 계산하였다.
독성 지표로서 사망율 및 임상 신호를 매일 체크하였다. 체중과 음식물 및 물 섭취를 매주 분석하였으며, 체온, ECG, 혈압, 응고 등의 혈액학뿐 아니라 사이토카인 등의 임상 화학을 실험 중에 수회 평가하였다.
어떤 동물도 조기 사망하지 않았으며, 검사한 어떤 용량 수준에서도 CTL-002-관련 독성 신호는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 1일에 0.1, 1, 10 또는 100 mg/kg CTL-002를 1회 주입하였을 경우, 모든 수컷 및 암컷에서 총 GDF-15 혈청 수준이 용량-관련 증가로 이어졌다. 용량 수준 10 및 100 mg/kg에서 CTL-002에 의한 표적 포화는 이들 2가지 용량 수준에서 GDF-15 곡선들의 중첩에 의해 표시되었다.
검사 43일 (1군 및 2군; 0.1 또는 1 mg/kg CTL-002 처리) 또는 검사 99일 (3군 및 4군; 10 또는 100 mg/kg CTL-002 처리)까지 수득한 혈청 샘플에서 총 및 유리형 CTL-002를 측정한 결과, 동물의 CTL-002에 대한 용량-관련 노출이 확인되었다.
핵심 약동학 데이터를 표 8에 군별 수컷 1마리와 암컷 1마리의 평균으로 제시한다.
표 8: 원숭이 DRF 실험 CTL -002- TOX -01에서 수득한 핵심 약동학 데이터
용량 수준 [mg/kg b.w.] C max [㎍/ml] t 1/2 [h] AUC 0 -t [㎍h/ml] AUC inf [㎍h/ml]
CTL -002
1 0.1 0.92 383.4 344.8 412.5
2 1 21.6 230.3 4631 4855
3 10 235.8 275.7 77692 78661
4 100 2751 352.6 666861 673354
실험 결과를 토대로, 4주 반복 투여하는 주요 독성 실험에서 용량 수준 10, 30 및 100 mg/kg이 권장되었다.
독성학: 주요 실험 (pivotal study)
추가의 주요 실험은 4주 회복 기간을 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나이: 3-4세)에서의 CTL-002 4주 반복 투여 용량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CTL-002는 매주 1회로, 즉 검사일 1, 8, 15, 22 및 29일에 30분간 정맥내 주입에 의해 투여하였다. 회복 기간은 58일에 종료하였다. 용량 수준 0; 10; 30 또는 100 mg/kg을 군 당 원숭이 암컷 3마리와 수컷 3마리에 투여하고, 그리고 대조군 및 고 용량 군에서 회복 동물로서 수컷 2마리 및 암컷 2마리에 투여하였다.
어떠한 동물도 사망하지 않았거나 또는 조기에 희생시켜야 하지 않았으며, 검사물-관련 국소 불내성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물-관련 효과는 임의 용량 수준에서 임의 동물의 거동 및 외양, 체중 및 체중 증가, 음식물 및 음용수 섭취, 심전도 매개변수 및 심박수, 순환 기능, 응고 매개변수 등의 혈액, D-이량체 수준, 임상 화학 매개변수, 사이토카인 수준, 뇨 매개변수, 눈 및 청각 기능, 장기 무게, 및 골수 : 적혈구 비율과 관련하여 관찰되지 않았다. 거시적인 장기 변화는 검사한 모든 용량 수준에서 어떠한 조사 동물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에서 임의의 검사물-관련 국소 또는 전신 병변은 검출되지 않았다. 4주 비-치료 회복 기간 동안 또는 종료 시점에 검사물-관련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전술한 결과를 토대로, 4주간 매주 1회로 정맥내 30분간 주입시, 즉 동물 당 5회 투여시 NOEL (No-Observed-Effect-Level)은 100 mg CTL-002/kg이었다.
총 CTL-002에 대한 Cmax-수준 및 AUC-면적은 동물에서 거의 선형적인 용량-관련 전신 노출을 나타내었다. 성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경시적인 총 CTL-002 축적이 관찰되었으며 축적 수준은 약 2배 내지 6배 범위였다. 총 CTL-002의 평균 말단 혈청 소거 반감기 (t½) 계산 결과는 119-651시간 범위였다.
CTL-002를 1차 (1-8일) 및 4차 (22-29일) 투여한 후 수득한 핵심 약동학 데이터를 동물 암컷 및 수컷에 대해 표 9에 제시한다.
9: 1차 및 4차 투여 후 원숭이 GLP 독성 실험 CTL -002- TOX -03에서 수득한 총 CTL-002에 대한 핵심 약동학 데이터
용량 수준 [mg/kg b.w.] C max [㎍/ml] t 1/2 [h] AUC 0 -t [㎍h/ml] AUC inf [㎍h/ml]
1-8일
2 10 M: 237
F: 686
M: 197
F: 165
M: 21500
F: 36901
M: 47505
F: 67303
3 30 M: 804
F: 2292
M: 292
F: 212
M: 65026
F: 103114
M: 193062
F: 233692
4 100 M: 2725
F: 5428
M: 312
F: 458
M: 227335
F: 533272
M: 717624
F: 2981268
22-29일
2 10 M: 1520
F: 1030
M: 486
F: 119
M: 135788
F: 89266
M: 503693
F: 149202
3 30 M: 4363
F: 4935
M: 308
F: 169
M: 149037
F: 360184
M: 450025
F: 697479
4 100 M: 12553
F: 13624
M: 651
F: 234
M: 1388031
F: 1329769
M: 9257432
F: 3233365
CTL-002를 주입한 후, 모든 동물의 GDF-15 혈청 수준은 전체 용량 수준들에서 최대 100-1000배 증가하였으며, 투여 간격 내내 증가 상태를 유지하였다. 투여 후 첫 주동안 원숭이 암컷에서 GDF-15 수준을 예로서 보여주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증가는 용량 군들에서 비슷하였다. 따라서, 원숭이 주요 실험에서 투여 간격 내내 그리고 모든 용량 수준들에서 충분한 표적 저해가 달성된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전체 실험 설계
파트 A (용량 증량)와 이후 파트 B (확장)로 구성된 1상 다기관, 최초 인간 (FIH), 오픈-라벨 실험을 CTL-002 항체를 이용해 수행할 예정이다. 이 실험의 주요 목적은 (a) CTL-002 및 CTL-002 + 항-PD1/PD-L1 조합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b) GDF-15 상승으로 인해 항-PD1/PD-L1 요법에 재발/불응 환자가 CTL-002 + 항-PD1/PD-L1의 조합 투여시 다시 반응하여 종양 축소를 나타낼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파트 A (용량 증량)
이전 항-PD-1/PD-L1 요법에 대해 불응성이거나 또는 이후 재발하였으며 이용가능한 허가된 표준 치료를 모두 소진하였거나 더 이상 적격 대상이 아닌, 진행성 단계의 고형 종양을 가진 개체에서, 단일 요법으로서 그리고 항-PD-1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조합하여 CTL-002를 용량 증량 "3+3" 코호트로 개체 적어도 21명에 IV로 투여할 예정이다. "보충 코호트 (backfill cohort)"에서는 최고 용량 수준에 대해 추가의 환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파트 B (확장)
단일요법으로 (탐색할 단일요법 코호트 하나) 또는 항--PD-1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조합하여 (탐색할 조합 코호트 최대 4개) CTL-002의 안전성 및 효능을 추가로 평가해 RP2D를 확정하기 위해, 이전 항-PD-1/PD-L1 요법에 대해 불응성이거나 또는 이후 재발한 지정된 종양 개체들에서 코호트 당 개체 최대 25명으로 구성된 최대 5개의 확장 코호트로 구성된다. 전용 단일요법 코호트는 치료학적으로 간주되는 용량에서 장기간 단일요법으로서 (항-PD-1/PD-L1 비-첨가) CTL-002의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립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전체 5종 코호트 등록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치료 기간
파크 A (용량 증량)
이 실험은 표준 "3+3" 용량 증량 설계를 채택하며, 코호트 당 각 할당된 용량 수준에 대해 DLT의 발생에 따라 개체 3-6명을 참여시킨다.
검사할 CTL-002의 계획된 용량은 다음과 같다:
ㆍ 코호트 1: 0.3 mg/kg
ㆍ 코호트 2: 1.0 mg/kg
ㆍ 코호트 3: 3.0 mg/kg
ㆍ 코호트 4: 10 mg/kg
ㆍ 코호트 5: 20 mg/kg
코호트 1에서는 개시 용량 0.3 mg/kg을 고정한다. 코호트 2-5에서 조사하는 용량은 생성 데이터 (즉, 이용가능한 안전성, PK/약력학, 기타 바이오마커 데이터)에 기반하여 안전성 검토 위원회 (SRC)에서 수정할 수도 있다.
DLT 관찰 기간은 각 투여 코호트에 대해 처음 2번의 치료 사이클 (즉, 처음 4주)일 것이다. 모든 치료 사이클은 먼저 2주 기간으로 지정한다. CTL-002는 2주에 1회로 IV 주입으로 투여될 예정이다. 개체에는 먼저 CTL-002 용량 하나를 단일요법으로서 1회 사이클 동안 투여한 다음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함께 CTL-002의 조합을 1회 사이클 동안 투여하게 되며,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용량 240 mg을 2주마다 1회로 IV로 투여하게 된다.
조합 투여하는 경우, CTL-002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같은 날 병행하여 제공될 것이며, CTL-002를 먼저 투여하고, 1차 조합 주입에 대해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30분 관찰 기간을 둔 다음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를 주입한다. 관찰 기간은 생성된 안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정 (즉, 단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처음 치료 사이클 2번 (즉, 처음 4주)은 DLT 관찰 기간이다.
이후, 진행되거나 또는 어떠한 기타 이유 (예, 독성 또는 개체 동의 철회)로 실험을 취소할 때까지 개체에 대해 조합 치료를 계속 진행한다.
생성 데이터를 토대로 안전성 검토 위원회 (SRC) 요청시 추가적인 중간 용량 코호트를 조사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 검사하는 CTL-002의 최대 용량은 20 mg/kg을 초과하진 않는다.
모든 개체는 CTL-002 1차 용량을 투여한 후 그리고 또한 CTL-002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1차 조합 용량을 투여한 후, 안전성 관찰 목적으로, 그리고 샘플링 시점의 로지스티컬 수집 (예를 들어, PK)을 위해 밤새 입원한다.
연장 치료에서 환자내 용량 증량 (Intra-Patient Dose Escalation in Extended Treatment)
임의의 코호트 1 개체들이 코호트 2를 완료하였고 SRC에 의한 검토 시점에 여전히 0.3 mg/kg 처치 중이라면, 그 개체는 코호트 2 용량 1.0 mg/kg으로 증량할 수 있다.
임의의 코호트 1 또는 2 개체들이 코호트 3을 완료하였고 SRC에 의한 검토 시점에 여전히 1.0 mg/kg 처치 중이라면, 그 개체는 코호트 3 용량 3.0 mg/kg으로 증량할 수 있다.
주의: 여전히 0.3 mg/kg 처치 중인 임의 개체는 후원사 의료 모니터 (Medical Monitor)와 합의하여 3.0 mg/kg으로 진행하기 전에 1.0 mg/kg으로 처치하여야 한다.
개체의 최대 용량은 인트라-용량 증량 (ntra-dose escalation)을 통해 높일 수 있으며, 3.0 mg/kg일 것이다.
입수 가능한 안전성, PK/약력학 데이터뿐 아니라 예비 효능 데이터는 실험의 파트 B에서 추가로 조사할 MTD/용량(들) 결정에 영향을 줄 것이다.
MTD는, 개체 6명 중 1명 이하가 첫 치료 사이클 2번 (즉, 처음 4주, CTL-002가 단일 요법 [1주 및 2주]으로, 그리고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조합하여 [3주 및 4주]에 제공됨) 동안에 DLT를 경험하는, CTL-002 최고 용량 수준으로서 정의된다.
아울러, 코호트 3-5에서는, 어떠한 DLT가 없는 경우, PK 및 약력학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들 각 코호트에서 추가로 개체 3명을 모집한다 (코호트 당 개체 최대 총 6명). 이들 추가적인 "보충" 개체에 CTL-002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조합 처리를 사이클 1의 1일부터 2주에 1회로 제공하게 될 것이며, CTL-002를 항상 먼저 투여하고,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후 제공한다.
(보충 개체를 제외한) 파트 A 개체에는, 3번 순차적으로 종양 생검을 취해야 한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1차 생검, (2주 후) 조합 요법 개시하기 전 2차 생검, 그리고 조합 요법의 1차 사이클 후 (치료 종료 시점 또는 조합 처리를 지속하는 경우에는 사이클 2 종료 시점/사이클 3 개시 시점에) 3차 생검.
보충 환자에 대해서는, 단 2번의 생검만 의무적이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1차 생검, 그리고 4주간 조합 처리 후 (치료 종료 시점 또는 조합 처리를 지속하는 경우에는 사이클 2 종료 시점/사이클 3 개시 시점에) 2차 생검.
이들 생검은 종양내 면역 세포 침윤을 평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만일 안전성의 이유로 생검을 채취할 수 없다면, 이를 의료 모니터로 논의하여야 한다.
CTL-002를 단일요법 (사이클 1회)으로서 또는 체크포인트 저해제 (니볼루맙)와의 조합으로 처리시, CTL-002의 용량 수준 5 (20mg/kg)까지 안전하게 내약성이었다. 처리받은 어떠한 환자에서도 DLT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4등급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합 처리는, CTL-002와 항-PD1/PD-L1의 즉시 조합 처리에 의해 소위 보충 코호트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동시에 착수할 수 있다.
바이오마커 분석은 DL1-4로부터 CD8+ 세포와 CD4+ 세포의 선택적인 종양으로의 유입을 보여준다. 예비 분석 결과, 여러 환자들에서 CD3/ki-67+ 염색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T 세포 증식이 종양 세포에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베이스라인에 오히려 낮은 CD8 및 CD4 카운터로 특정되는 "콜드 종양"을 가진 종양이 CD8 및 CD4 카운트 증가에 의해 핫 종양으로 전환된다.
첫번째 종양 축소는 다양한 용량 수준들에서 관찰되었다. 가장 주목할만한 사례는 사전 니볼루맙 처리시 재발하였으며 이필리무맙 + 니볼루맙으로 확장하였을 때 천천히 진행되는 질환을 단순히 유지하고 있는, (RECIST에 따라 안정형 질환 범주) 용량 수준 3 보충 코호트로서 처리한 원발성 불명 (편평 세포 유형) 암종을 가진 환자이다. CTL-002/니볼루맙 처리시, 환자는 지금까지 -48% 종양 축소를 달성하였으며, 이는 부분 관해 확정에 해당한다. 계속 치료 중이다. 간세포성 암을 가진 용량 수준 5의 다른 환자는 지금까지 -11% 종양 축소를 나타내었으며, 계속 치료 중이다.
파트 B (확장)
실험 파트 B에는 각각 특정 종양 타입을 가진 환자가 참여하는 코호트 최대 6개 (코호트 당 개체 최대 20명)를 수반할 수 있다.
(예, 진행성 단계의 흑색종을 가진 개체에서) 단일 요법으로서 제공되는 CTL-002의 안전성 프로파일을 조사하기 위해, 본 실험의 확장 파트에서 전용 CTL-002 단일요법 코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단일요법 코호트에서는 종양 조직에서 CTL-002의 약력학 효과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순차적 종양 생검을 요한다.
이러한 단일요법 코호트에서, 2번의 연속적인 종양 생검이 의무화된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1차 생검을 실시하고, 2주 후 (사이클 1 종료 시점/사이클 2 개시 시점에) 2차 생검을 실시한다. 모든 개체는 진행될 때까지 치료한다.
그런 후, 지정된 종양 집단의 기타 확장 코호트 최대 5종을 CTL-002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조합으로 치료할 수 있다. 종양 인디케이션 (tumor indication)은 PD-1/PD-L1 치료 허가된 종양 타입과 항-PD-1/PD-L1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재발/진행된 개체로 구성될 것이다. 확장 코호트에 대한 등록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든 개체는 진행될 때까지 치료한다.
모든 개체는 CTL-002 1차 용량을 (단일요법 코호트) 투여한 후 또는 CTL-002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1차 조합 용량을 (조합 요법 코호트) 투여한 후, 안전성 관찰 목적으로, 그리고 샘플링 시점의 로지스티컬 수집 (예를 들어, PK 샘플링)을 위해 밤새 입원한다.
실험 평가
종양 생검
생검 시기는 다음과 같다:
ㆍ 파트 A (보충 개체를 제외한 모든 개체): 순차적인 3번의 종양 생검을 수행한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1차 생검, (2주 후) 조합 요법 개시하기 전 2차 생검, 그리고 조합 치료의 1차 사이클 후 (치료 종료 방문 시점 또는 조합 처리를 지속하는 경우에는 사이클 2 종료 시점/사이클 3 개시 시점에) 3차 생검. 3번의 생검은 종양에서 면역 세포 침윤을 평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ㆍ 파트 A (보충 개체): 2번의 연속적인 종양 생검을 수행한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1차 생검, 그리고 4주간 후 (치료 종료 방문 시점 또는 조합 처리를 지속하는 경우에는 사이클 2 종료 시점/사이클 3 개시 시점에) 2차 생검.
ㆍ 파트 B (단일요법 코호트에 등록한 개체): 2번의 연속적인 종양 생검을 수행한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1차 생검, 그리고 1차 단일요법 사이클 후 (즉 2주) 2차 생검.
가능하다면 순차적인 생검에는 가능한 병변 또는 근접한 병변이 있어야 하지만, 이 병변이 실험 기간 중에 방사학적으로 평가할 유일한 표적 병변이어서는 안된다.
생검 종양 조직 샘플로부터 바이오마커를 분석할 수 있다. 임의의 종양 타입에 특이적인 종양 마커 및/또는 추가적인 면역 세포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한 종양 조직을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FFPE), CTL-002 처리 또는 이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의 조합 처리 전과 처리 후 조직학에 의해, 비-제한적으로 백혈구, 여러가지 림프구 (예를 들어, CD4+ 및 CD8+ T 세포, B 세포, NK 세포) 등의 침윤성 면역 세포의 수, 빈도 및 공간적 위치에 대해 치료-유발성 변화를 확인한다. 아울러, CTL-002 약물 표적, GDF-15 단백질 및 mRNA의 발현을 확인한다.
종양 병변
실험 파트 A 개체에 대해, RECIST 평가를 위해 선택한 표적 피부 병변을 캘리퍼로 측정하고 사진을 촬영한다. 또한, 피부 병변의 개수를 기록한다. 파트 A에서 피부 병변을 임상 측정하기 위해, 병변의 (크기 측정을 비롯한) 컬러 사진 촬영 및 캘리퍼 측정에 의한 기록을 CTL-002 주입하기 -7일 이내, 연장 치료 기간에는 4주마다, 치료 종료 방문 시점에, 그리고 추적 중에 수행한다.
안전성 평가
CTL-002 단일요법 및 CTL-002와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 조합 요법에서 IV 주입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AE (모든 AE를 NCI CTCAE v5.0에 따라 평가함), SAE, DLT 및 병용 약물의 사용에 의해 평가한다. 안전성 평가는 ECG, 운동 신경병증을 제외하기 위한 신경학적 검사 등의 신체 검사, ECOG 성능 상태, 활력 징후 및 임상 실험실 샘플 (혈액학, 임상 화학, 응고, 갑상선 기능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및 유리형 T3), 사이토카인, 헤모글로빈 A1c [HbA1c] 평가, N-말단 B-타입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NT proBNP], 및 뇨 분석)을 포함한다.
개체는 스크리닝 시점에, 그리고 안전성 추적 방문할 때까지 치료 기간 중에 안전성을 평가한다. 이후 실험 관련 안전성을 12개월 추적 기간 (파트 A)/ 치료 후 24개월 (파트 B) 동안 추가로 평가한다.
활력 징후
수축기 및 이완기 BP (앉은 상태), 맥박수, 체온, 호흡수 및 산소 포화도 등의 활력 징후를 평가하여야 한다. 임상적으로 타당할 경우 추가적인 활력 징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신체 및 신경 검사
신체 검사는 스크리닝 시점에 수행하고, 머리, 눈, 귀, 코, 목, 인후, 심혈관, 가슴/폐, 복부 (간 및 비장 크기 등), 사지, 피부 및 림프절 검사뿐 아니라 운동 신경병증을 분석하기 위한 간단한 신경 검사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신체 검사 평가 시점은 아래에, 그리고 표 5, 6 및 7에서 SoA에 개괄된다.
성능 상태
성능 상태는 스크리닝 시점에 ECOG 척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ㆍ 0 = 완전한 활성, 제한 없이 모든 질환 전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ㆍ 1 = 육체적으로 힘든 활동은 제한적이지만, 보행가능하고 가볍거나 또는 주로 앉아서 하는 작업 (예, 가벼운 집안일, 사무실 업무)은 수행할 수 있음
ㆍ 2 = 보행 가능하고, 자가-관리 가능하지만, 어떤 작업 활동도 수행할 수 없음. 깨어 있는 시간 최대 약 50% 이상
ㆍ 3 = 제한적인 자가-관리만 가능하며, 깨어 있는 시간의 50% 이상을 침대 또는 의자에서 보냄.
ㆍ 4 = 완전 불능이며, 자가-관리가 불가하고, 침대나 의자로 활동이 제한됨.
ㆍ 5 = 사망
심장 기능 모니터링
개체는 심장/혈관 AE에 대해 충분히 모니터링하고, 위험 개체를 실험 참여에 제외하기 위한 보호 조치가 취해진다.
베이스라인 시점에, 개체에 대해 ECG, 심장 초음파 (또는 ECHO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MUGA)를 수행하고, N-말단 pro b-타입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수준 (NT-proBNP, 심부전 선별 검사)을 검사한다. NT-proBNP 검사는 3개월 동안 2주 간격으로, 그 후에는 매달, 또는 임의 유형의 심장/혈관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 반복 실시한다 (이후에 ECG 및 심장 초음파와 병행함).
단일, 12-lead ECG를 수행한다.
모든 ECG 모니터링은 조사자 현장에서 현지에서 수행한다.
개체는 ECG를 기록하기 전 적어도 5분간 긴장을 풀고 누운 자세 또는 반 누운 자세로 쉬어야 한다.
임상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조사자 재량에 따라 추가적인 ECG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임상 실험실 평가
아래 열거된 실험실 검사를 위한 샘플을 수집한다. 모든 검사는 지역 기관에서 수행한다.
혈액학/응고, 임상 화학 결과는 이용 가능하여야 하며, CTL-002/PD-1/PD-L1 투여하기 전 조사자 또는 인가된 피지명자에 의해 검토되고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비정상으로 확인된 검사는 비정상의 특성 및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조적인 조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만일 비정상이 해결되지 않거나 또는 실험 약물 또는 이의 투여와 무관한 현상 또는 상태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다면, 의료 모니터와 상담하여야 한다.
연구 중인 질환 맥락에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 조사자가 임상적으로 중대한 것으로 간주하는 정상 범위로의 유의한 변화를 포함한, 비정상 검사 값의 임상적인 유의성은 조사자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표 10: 안전성 실험실 검사
혈액학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RBC, WBC 감별, ANC, AMC, 혈소판 수치
임상 화학 CRP, 크레아티닌, LDH, 칼슘, 전해질 (소듐 및 포타슘), 총 빌리루빈, GGT, 알부민,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AST, ALT 및 글루코스
응고 * 함유: αPTT, PT/INR
* ALT 또는 AST 상승이 ≥3 x ULN이고 동시에 빌리루빈 상승이 ≥ 2 x ULN인 모든 개체는 간 기능 검사 이상이 베이스라인으로 해결될 때까지 매일 INR/PT를 측정하여야 한다.
* AT III
* D-이량체
혈청학 HIV1과 HIV2, HBV, HCV, TBC, SARS-CoV-2 분석
뇨 분석 pH, 케톤, 비중, 빌리루빈, 단백질, 혈액 및 글루코스를 딥스틱으로 평가한다.
αPTT = 활성화된 부분 프로트롬빈 시간; AMC = 절대 단핵구 수치; ALT =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NC = 절대 호중구 수치; AST =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T III = 항-트롬빈 III; CRP = C-반응성 단백질; GGT =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라제; HBV = B형 간염 바이러스; HCV = C형 간염 바이러스; HIV1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HIV2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2; INR = 국제 표준화 비율; LDH = 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PT = 프로트롬빈 시간; RBC = 적색 혈액 세포 수치; TB = 결핵; ULN = 정상의 상한; WBC = 백색 혈액 세포 수치
약동학
단일요법으로 및/또는 지정된 체크포인트 저해제와의 조합으로 제공된 CTL-002의 PK는 치료 개시 시점에, 그리고 이후 다양한 시점 (파트 A)에 수집한 혈액 샘플에서 측정한다. 추가의 PK 데이터는 확장 군 (파트 B)에서 평가할 수 있다.
치료 개시 시점과 이후 다양한 시점에 혈액 샘플을 채혈하여, CTL-002에 대한 항체가 생겼는지 확인한다.
전신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에 대한 모니터링 ( 약력학 )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기타 순환성 바이오마커를 측정해 약력학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혈청 샘플을 수집한다. 분석할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으로는 종양 괴사 인자 α (TNF-α), 인터페론 (IFN)-γ, 인터루킨 (IL)-1 β, IL-2, IL-4, IL-6, IL-8, IL-10, IL-12p70, IL-13, CXCL9 (gamma [MIG]에 의해 유도된 모노카인) 및 CXCL10 (IP-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탐색적 평가
임상 실험 동안에 향후 생의학 연구용으로 특별히 수집한 검체 (보존 분액)에 대한 혈청 바이오마커 검사는 항-GDF-15 (CTL-002) 요법에서 중요한 혈청 인자 (예, 비-제한적으로, 대사산물, 용해성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을 동정하기 위해 수행하여야 한다. 후향적 바이오마커 실험을 적절한 생물통계학 설계 및 분석과 더불어 수행하고, PK/약력학 검사, 이전에 평가한 바이오마커 또는 임상 결과와 비교한다.
효능 평가: 이미징 평가 (로컬 검사)
종양 반응은 기관 표준 (institutional standard)에 따라 RECIST V1.1 및 imRECIST 기준을 이용해 평가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베이스라인 스캔을 위해 스크리닝 시점에 개체를 평가할 예정이며, 사이클 33에서 시작해 및/또는 치료 종료 방문부터 8주마다 다시 평가하고, 그 이후에는 반응 평가를 효능 및 생존성 추적 종료시까지 지역 기관 지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스크리닝/베이스라인 시점에 식별된 병변들 모두 스크리닝/베이스라인 시점에 할당된 고유한 병변 번호를 이용해 계속 추적하고, 개체 파일 및 eCRF에 문서로 기록하여야 한다.
동일한 평가 방법 (촬상 방식, 예, MRI, CT)을 이용해 각 개체에서 베이스라인 시점과 모든 추적 검사 기간 동안에 각각 동정 및 기록한 병변을 특정화하여야 한다. 만일 방식에 변화가 있다면, 시험 기관은 eCRF에 변화 이유를 설명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방식의 변경은 프로토콜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각 효능 시점/방문은 최대 ±7일 범위 내에 완료할 수 있다.
실험하는 동안 조사자에 의한 지역 판독과 더불어 사후에 판독 센터에서의 이미지 중앙 판독을 수행한다.
RECIST V1.1 및 imRECIST에 따른 진행성 질환에 대한 정의:
RECIST 평가를 이용해 질환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개체를 식별한다 (Eisenhaur et al, 2009). 면역-기반의 치료제 또는 수정된 imRECIST 기준 (Hodi et al, 2018)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RECIST 선별에 의한 초기 잠재적인 진행 일자는 면역 비-검증된 진행성 질환 (iUPD) 일자로 정의한다. iUPD 일자가 있으며 안정적인 개체는 계획된 바와 같이 실험에 계속 참여시키고, 초기 평가 후 4-8주 진행에 대해 재평가한다. 만일 확증 평가가 PD를 뒷받침한다면, 질환 진행 일자는 iUDP 일자일 것이다. 만일 확증 평가가 PD를 뒷받침하지 않고, 개체에서 질환이 진행되지 않았으며, iUPD 일자가 무시된다면, 이러한 개체는 계획한 대로 실험을 진행하고 프로토콜에 따라 계획한 바와 같이 다음 이미징 평가를 계속 진행한다.
항-종양 활성은 후술한 바와 같이 조사자 평가에 의해 RECIST V1.1 및 imRECIST에 따른 면역 반응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ㆍ 가슴, 복부 및 골반에 대한 Contrast CT 스캔, MRI 또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컴퓨터 단층촬영 (PET-CT).
ㆍ RECIST 및 imRECIST 기준을 적용해 질환 반응 및 질환 진행을 본 실험에서 평가한다.
ㆍ 증상이 있거나 또는 치료하지 않거나 또는 현재 치료가 필요한 뇌 및/또는 연수막 전이가 있는 개체는 본 실험에 적합하지 않다. 뇌 이미징은 12주 경과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뇌 MRI에서 비정상/예기치않은 소견이 있는 결과는 선별 절차의 일환으로 의료 모니터와 논의하여야 한다.
ㆍ 동일한 평가 방법 및 동일한 기법을 사용해 베이스라인 시점과 추적 기간 중에 각각 동정 및 기록한 병변을 특정화하여야 한다. 방식에 변화가 있다면 실험 기관은 eCRF에서 변화 이유에 대한 해명을 요청받을 수 있다. 방식 변화는 프로토콜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
결과
본 실험은 2020년 12월에 착수하였으며, 2020년 12월 9일에 일차 환자를 모집하였다. 코호트 1-4는 용량-제한 독성 (DLT) 없이 완료하였으며, 용량 증량을 계속하였다. 주의: 중간 데이터 (Interim data).
환자 및 CTL -002 처리:
이 중간 보고서는 CTL-002-001 시험에서 치료한 첫 환자 16명의 인구 통계 및 예비 안전성 데이터를 수록한다.
표 11: 용량 코호트별 환자 인구 통계
  용량 수준 1
(0.3 mg/kg)
N=3
용량 수준 2
(1.0 mg/kg)
N=4*
용량 수준 3
( 3 mg /kg)
N=6
용량 수준 4
(10. 0 mg /kg)
N=6
용량 수준 5
(20. 0 mg /kg)
N=3

N=22
 
나이, 세, 중앙값 (범위) 72 (66-77) 56 (54-61) 59 (54-65) 66 (34-79) 62 (61-65) 61.5 (34-79)
성별
남성, 수 (%)
여성, 수 (%)
 
2 (67)
1 (33)
 
1 (25)
3 (75)
 
1 (17)
5 (83)
 
6 (100)
0 (0)
 
2 (67)
1 (33)
 
12 (55)
10 (45)
ECOG 베이스라인
0
1
 
0 (0)
3 (100)
 
3 (75)
1 (25)
 
4 (67)
2 (33)
 
3 (50)
3 (50)
 
2 (67)
1 (33)
 
8 (50)
8 (50)
종양 타입 흉막 중피종
흑색종
결장직장 CA


구인두 CA
경부 CA
TN-유방 CA
흑색종

흑색종
흑색종
난소 CA
편평 CA
NSCLC
눈 흑색종
신장 CA
흑색종
간세포성 CA
NSCLC
흑색종
담관세포 CA
흑색종
흑색종
포도막 흑색종
Tbd.
Tbd.
Tbd.
이전 치료 라인
개수 (평균 % )
1-3
4-5
> 6

11 (3.7)
2 (67)
0 (0)
1 (33)

15 (3.8)
2 (50)
2(50)
0 (0)

28 (4.7)
3 (50)
1 (17)
2 (33)

23 (3.8)
4 (67)
1 (16.5)
1 (16.5)

13 (4.3)
1 (33.3)
1 (33.3)
1 (33.3)

91 (4.1)
12 (54.5)
5 (22.7)
5 (22.7)
* 환자 1명은 조합 치료의 개시 지연으로 교체됨
CTL -002의 예비 안전성 및 내약성 :
지금까지 단일요법뿐 아니라 니볼루맙과의 조합은 우수한 내약성을 나타내었다. 용량-제한 독성 (DLT)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우려되는 안전성 현상은 지금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현재까지 부작용 총 111건이 용량 수준 1-5에서 보고되었다. AE 3건은 SAE로 분류되었고, CTL-002와 적어도 관련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2건은 장기 입원으로 인해, 1건은 조사자 평가에서 중대한 의학적 현상으로 판단; 모두 부작용에 대한 일반 용어 기준 (CTCAE) 등급 1-2).
CTCAE 등급 ≥ 4은 관찰되지 않았다.
요컨대, 부작용 프로파일은 매우 경미하다.
바이오마커 전락 및 분석
본 임상 실험에서는 혈청- 및 조직-기반의 바이오마커를 탐색한다. 혈청 사이토카인과 같은 고전적인 면역계 활성화 마커와는 별도로, 종양 미세환경에서 GDF-15의 면역조절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특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타 매개변수들 중에서도 베이스라인 GDF-15 수준, 종양내 GDF-15 수준뿐 아니라 종양-침윤성 백혈구의 개수 및 프로파일을, CTL-002에 의한 GDF-15 중화하기 전 또는 중화 실험 중에 분석하였다. 분석한 대부분의 종양들에서 실질적인 종양-선택적인 GDF-15 발현이 검증되었다. CTL-002 투여시 주로 CD8+ 및 CD4+ 세포의 종양 및 종양-기질 선택적인 유입이 대다수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으며, 그 효과는 용량 수준 1부터 관찰되었다. 예비 분석에서, 몇몇 환자들에서 CD3/ki-67+ 염색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종양에서 T 세포 증식 증가가 확인되었다. 베이스라인에서 오히려 낮은 CD8 및 CD4 카운터로 특정되는 "콜드 종양"을 가진 종양이 CD8 및 CD4 카운트 증가에 의해 핫 종양으로 전환된다.
아울러, 일부 종양은 반응성 PD-L1 상향 조절을 보였는데, 이는 IFN-γ 방출의 간접 신호이다.
표 12: PD/PK 모델링 , 면역학적 평가 및 바이오마커 동정을 위한 혈액, 종양 및 뇨에서의 분석물 목록.
방법/재료 혈액 혈청 종양
GDF-15 단백질 (ELISA, ECL) - + - +
PK 총 CTL-002 (ECL) - + - -
ADA (ECL) - + - -
사이토카인/케모카인 (ELISA, ECL)
ㆍ IFN-g/Il-1b/IL-2/IL-4/IL-6/IL-8/IL-10/IL-12p70/IL13
ㆍ CXCL9/CXCL10
- + - -
종양 침윤성 면역 세포/구성 (IHC)
ㆍ CD3/CD4/CD8/Foxp3/Ki67/GranzB/CD11c/CD29/CD68/MHCII/CKSox10
ㆍ PD-L1
ㆍ GDF-15 (IHC to proform)
ㆍ 기타 선택 마커
- - + -
종양 GDF-15 mRNA (FISH)(선택적) - - + -
분자 바이오마커
ㆍ Nanostring nCounter PanCancer IO 360TM Panel
ㆍ 돌연변이 부하 (선택적)
ㆍ 기타 분자 바이오마커 선택적 (MSI, 돌연변이)
(+) - + -
선택 분석을 위한 샘플 바이오뱅킹 (요청시) + + + +
예비 반응 평가
최초 종양 축소가 다양한 용량 수준에서 관찰되었다. 가장 주목할만한 사례는 사전 니볼루맙 처리시 재발하였으며 이필리무맙 + 니볼루맙으로 확장하였을 때 천천히 진행되는 질환을 단순히 유지하고 있는, (RECIST에 따라 안정형 질환 범주) 용량 수준 3 보충 코호트로서 처리되는 원발성 불명 (편평 세포 유형) 암종을 가진 환자이다. CTL-002/니볼루맙 처리시, 환자는 지금까지 -49% 종양 축소를 달성하였으며, 이는 부분 관해 확정에 해당한다. 계속 치료 중이다. 용량 수준 4 중인 간세포성 암을 가진 다른 환자는 지금까지 -11% 종양 축소를 나타내었으며, 계속 치료 중이다.
결론
본 발명자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보고된 최근 전임상 데이터에 따르면, GDF-15가 (1) 종양 미세환경 (TME)으로의 T 세포 침윤을 방지하고, (2) 다른 기전에 의해 TME에서 강력한 면역 반응을 또한 억제한다. 즉 GDF-15는 효과적인 항-종양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GDFATHER (GDF-15 항체-매개 작동자 세포 재배치) 1상 실험은 CPI-재발/불응성 환자 집단에서 단일요법으로 그리고 체크포인트-저해제 (CPI)와 조합하여 GDF-15 중화 항체 CTL-002의 안전성, PK 및 PD 및 예비 항종양 활성을 조사한다. 항-악액질 효과 역시 조사한다.
용량 수준 1-5를 DLT 없이 우수한 내약성으로 안전하게 완료하였다.
순차적인 종양 생검 (용량 수준 1-4)에 대한 예비 약력학 분석에서 종양 미세환경으로의 CTL-002-매개 선택적인 T 세포 이동이 확인되었다.
CTL-002 등의 본 발명의 항체에 바람직한 용량 및 투여 용법은 3, 10 또는 20 mg/kg/Q2wk이고; 더 바람직한 용량 및 투여 용법은 10 mg/kg/Q2wk이다. 용량 수준 3 및 4에서 환자들에서 관찰된 전술한 우호적인 임상 효과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이들 용량 수준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용량 및 투여 용법 선택은, 모든 범위의 베이스라인 GDF-15 혈청 수준을 가진 환자들에서 이 용량에서 GDF-15의 완전한 중화를 보여주는 파트 A로부터 수득한 PK/약력학 데이터 및 약리-모델링을 비롯한, 본 발명자가 수행한 광범위한 조사를 토대로 한다. 모든 치료 용량 및 이의 이상 사례에 대한 검토, 지금까지 관찰된 PK/약력학, 그리고 수행된 충분한 약리-모델링 예시는, 종양 바로 근처에서 대략 160 ng/ml GDF-15에 상응하는, 혈청내 최대 10 ng/ml GDF-15의 GDF-15의 상승된 베이스라인 혈청 농도에서도, 10 mg/kg CTL-002에서 종양 미세환경 내 완전한 GDF-15 억제를 달성함을 보여준다. 이 용량에서 지금까지 우려되는 안전성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 용량에서 DLT은 없었으며,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 (NHP)에서 NOAEL과 비교해 여전히 >10배의 안전성 마진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시된 바람직한 용량은 특히 유효하고 안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효능, 안전성 및 pK/약력학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제시된 관찰 결과는 또한, 항-GDF15 항체를 바람직한 용량 10 내지 20 mg/kg, 더 바람직하게는 20 mg/kg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유익하게 투여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을 보여주며, 이때 사이클은 4주 기간이고, 용량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즉, 바람직하게는 1회)로 투여되어야 한다. 이러한 투여 용법은 4주의 더 긴 투여 사이클이지만, 바람직한 용량 10 내지 20 mg/kg, 더 바람직하게는 20 mg/kg은 바람직한 10 mg/kg/Q2wk 용법과 비슷한 유익한 안전성 및 효능 프로파일을 수득할 수 있게 할 것이며, 관찰된 PK/약력학 프로파일과 양립한다.
마찬가지로, 효능, 안전성 및 pK/약력학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제시된 관찰 결과는 또한 항-GDF15 항체를 바람직한 용량 10 내지 20 mg/kg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유익하게 투여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을 보여주며, 이때 사이클은 3주 기간이고, 용량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즉, 바람직하게는 1회)로 투여되어야 한다. 이러한 투여 용법은 3주의 더 긴 투여 사이클이지만, 바람직한 용량 10 내지 20 mg/kg은 바람직한 10 mg/kg/Q2wk 용법과 비슷한 유익한 안전성 및 효능 프로파일을 수득할 수 있게 할 것이며, 관찰된 PK/약력학 프로파일과 양립한다.
전술한 발견은 본 발명에 따른 항-GDF-15 항체를 이용한 치료가 암 환자에서 상당한 임상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중요하게도, 이러한 이점은 PD-1/PD-L1 축의 길항제를 이용한 요법 (예를 들어, 니볼루맙) 등의 가장 진화된 치료 옵션 중 일부에 대해 이미 불응성을 나타낸 환자에서도 관찰된다.
IgG1 백본 " H1L5 "를 가진 항체에서 잠재적인 안정성 위험에 대한 인 실리코 검증
본 발명의 항체에 대해 안정한 제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 출원인은 항체의 일부 및 서열이 향후 제형화 시도에 잠재적으로 위험이 되는지를 확인하는데 착수하였다. 이를 위해, 인 실리코 검증을 수행하였다. 인간화된 항-GDF15 항체 H1L5를 인 실리코 제작가능한 평가 도구로 스크리닝하였다. 전장 카파 이소형 경쇄와 전장 IgG1 중쇄로 구성된 H1L5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다수의 잠재적인 개발 가능성 이슈 및 응집 위험과 관련한 서열 모티프 및 특징을 스크리닝하였다. H1L5는 잠재적인 CDR 탈아미드화 부위와 시험관내 평가가 유용할 수 있는 산화 부위를 가진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항체는 잠재적인 산화 및 산-취약성 부위뿐 아니라 C-말단 클립핑 형태의 또다른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치료학적 단백질은 번역 후 변형 (PTM) 및 화학적 변형으로 인해 복합적이고 매우 이종적이다. 이러한 변형은 당화, 탈아미드화, 산화 및 N-말단과 C-말단의 변이를 포함한다. 적절한 제품-관련 변이 (relevant product-related variant)를 유발하는 변형은 규제 기관에 의해 핵심 품질 특성 (CQA)으로 분류된다. CQA는 주어진 허용 범주가 좁고, 그 편차는 적절한 정성적 및 정량적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한다.
변형은 숙주 세포 시스템, 제조 공정 및 보관 조건에 기인할 수 있다. 이는 분자의 화학적 안정성 또는 응집 잠재성 형태에서 고유한 물리적 안정성과 관련 있을 수 있다. 응집은 하나 이상의 CQA가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안전성, 품질 및 효능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
단백질 응집은 생물약제 개발시 흔히 직면하는 문제이다. 발효, 정제, 제형화 및 보관과 같은 여러가지 제조 단계들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응집의 잠재적인 영향은 제조 공정뿐 아니라 표적 제품 프로파일, 배송 및 심각하게는 환자 안전성까지 망라한다.
응집은 단백질 자체 (고유한 응집 성향)와 pH, 농도, 완충제, 부형제 및 전단력과 같은 환경 인자에 의존한다. 그러나, 어떤 항체는 공정 단계 중에 또는 제조 중에 응집하지만 어떤 항체는 그렇지 않은 지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는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이의 고유한 응집 성향에 새겨져 있다. 응집은 항체의 안전성, 품질 및 효능에 위험을 야기한다.
아스파라긴 탈아미드화는 영향을 받는 위치에서 아스파라긴, 이소-아스파르트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이종적인 혼합을 경시적으로 생성하는 비-효소적 반응이다. 탈아미드화는 아스파라긴과 글루타민의 측쇄 상의 아미드 기의 가수분해에 의해 유발된다. 글루타민 탈아미드화는 치료학적 단백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발생 가능성은 아스파라긴 탈아미드화에 달려있다. 일차적인 요인 3가지가 펩타이드의 탈아미드화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pH, 고온 및 일차 서열.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가 탈아미드화 속도를 현저하게 바꿀 수 있다. 아스파라긴 탈아미드화는 전하 이질성을 유발할 뿐 아니라, 항체 CDR과 같은 결합 계면에 발생할 경우에는 단백질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탈아미드화는 응집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보고된 바 있다.
아스파르트산 이성질체화는 아스파르트산과 이소-아스파르트산 잔기의 비-효소적 상호 변환이다. 아스파르트산에 대한 펩타이드 결합 C-말단은 산성 조건에서 쉽게 단편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아스파라긴 탈아미드화 반응과 유사하게 중간산물을 경유하여 진행되므로; 아스파르트산 이성질화의 속도 및 단편화는 pH, 온도 및 일차 서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아스파르트산 이성질체화는 항체 CDR과 같은 결합 계면에서 발생할 경우에는 단백질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이성질체화는 전하 이질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 백본 절단에 의해 유발되는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 단편화 반응은 주로 pH 5 미만에서 발생하고, Asp-Pro 펩타이드 결합이 다른 펩타이드 결합에 비해 더 취약하다. 아스파르트산 이성질체화는 단편화가 응집 발생을 선호하므로 추가적으로 커지는 위험으로서 면역원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C-말단 라이신 가공은 염기성 카르복시펩티다제의 작용으로 인해 생물공정 중에 발생하는 항체 및 기타 단백질에서의 변형이다. C-말단 라이신 가공은 라이신 2 또는 하나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없는 화학 종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항체 제품에서 전하 및 질량 이질성의 주요 요인이다.
단백질의 등전점 (pI)은 단백질이 순 전하가 0이 되는 pH이다. 등전점은 단백질에서 하전된 잔기의 개수와 타입, 이의 공간적인 배열 및 용매 접근성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등전점 예측은 변성된 단백질을 가정한다. 예측한 등전점과 측정한 등전점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2가지 값 간의 관계를 볼 수 있다. 단백질 용액이 단백질 pI와 동일한 pH일 경우, 단백질 분자 상의 전하들 간에 반발성 정전기력이 최소화된다. 반발성 정전기력의 결여는 소수성 표면 패치가 응집 핫-스팟이 될 위험을 높일 수 있다.
N- 당화 및 O- 당화는 항체, 혈액 인자, EPO, 호르몬 및 인터페론과 같은 치료학적 단백질에서 발생하는 번역 후 변형이다. 아미노산 잔기에 탄수화물 부착은 아스파라긴의 측쇄 질소 원자에서 N-당화로, 그리고 세린 및 트레오닌의 측쇄 산소 원자에서 O-연결된 당화로 발생한다. 일부 면역글로불린 V-유전자는 CDR에 아스파라긴 잔기를 함유해, 이는 선별 중에 형성되는 N-당화 모티프가 생겨날 수 있으며, 생체내 전체 항체의 약 20%가 가변 영역에서 당화된다. 적절한 당화는 폴딩뿐 아니라 용해성, 효력, 약동학 및 면역원성에도 중요하다. CDR과 같은 결합 계면 내 또는 근처 비-의도적인 글리칸 구조는 결합 영역을 막거나 또는 입체 장애를 도입하여 결합 친화성을 낮출 수 있다. 글리칸 구조는 분지 및 조성 측면에서 다양할 수 있으므로, 특성화 및 제어되어야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질성을 도입할 수 있다.
산화: 몇몇 아미노산, 특히 히스티딘, 메티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및 트립토판은 반응성 산소 종 (ROS)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산화는 일반적으로 2가지 범주로 나뉜다: 부위-특이적인 금속 촉매화된 산화와 부위 비특이적인 산화. 메티오닌과 더 낮은 수준이지만 트립토판이 부위 비특이적인 산화를 겪기 쉽다. 메티오닌은 주로 유리 ROS에 민감하지만, 트립토판은 광 유발성 산화에 더 민감하다. 민감성 정도는 측쇄의 용해 접근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되며; 비노출 (buried) 잔기는 덜 민감하거나 또는 반응하는데 오래 걸린다.
피로글루타메이트 형성은 N-말단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 잔기를 가진 단백질에서 발생하는 변형으로, 측쇄가 N-말단 아민과 함께 고리화되어 5원성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다수의 항체 경쇄 및 중쇄가 N-말단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 잔기를 가지고 있어, 피로글루타메이트 형성은 특히 N-말단 글루타민을 가진 서열들에서 일반적인 변형이다. N-말단 고리화는 제어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질량 및 전하 이질성을 유발한다. 피로글루타메이트 형성은 N-말단 글루타민을 가진 항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글루탐산에서 피로글루타메이트로의 변환은 안전성 위험을 제기할 가능성은 없지만, 항체에서 N-말단이 CDR에 인접하여 전하 변화가 결합 친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약어
CDR 상보성 결정 영역
Fc 항체의 결정화가능한 단편
FR 프래임워크 영역
FRx 프래임워크 영역 x (FR1, FR2, FR3, FR4)
Hx CDR x, 중쇄 (H1, H2, H3)
H:Ala11 11번째 위치에서 중쇄 알라닌
IgG 면역글로불린 G 항체
Lx CDR x, 경쇄 (L1, L2, L3)
L:Ala11 11번째 위치에서 경쇄 알라닌
pI 등전점
VH 가변성 도메인, 중쇄
VL 가변성 도메인, 경쇄
결과
서열 책임 지도 (Sequence Liability Map)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서열 지도 2종은 전체 식별된 서열의 책임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들 도표에서 도메인 경계와 CDR들의 위치를 전체 서열에 나타낸다. 도식 (scheme)을 이용해 주어진 위치에서 검출된 책임 유형을 나타낸다. 탈아미드화 및 N-당화 둘다에 잠재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예측되는 아스파라긴 잔기는 이들 2가지 도식을 이용해 표시된다. 도 24 및 25에 표시된 모든 잔기들은 본 항체에 대한 안정한 제형을 개발하는데 잠재적인 이슈가 된다.
이 섹션은 H1L5에 대한 가장 중요한 개발 가능성 문제와 예측되는 응집에 초점을 맞춘다.
항체 응집 위험의 예측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잠재적인 개발 가능성 문제를 표 14에 나타내며, 개발시 제형 설계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는 부위들을 요약 개시한다.
표 13: 응집 예측
결과 설명
저 위험 항체는 일부 응집 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표 14: 잠재적인 개발 문제
체인 아미노산 및 위치 설명
L (경쇄) L: Asn92 탈아미드화 가능한 CDR L3 아스파라긴
H (중쇄) H: Met34 산화 가능한 CDR H1 메티오닌
H H:Trp55 산화 가능한, 파묻힌 CDR H2 트립토판
H H:Asp74 산-취약성 아스파르틸-프롤린 펩타이드 결합, 잠재적인 백본 절단부. 변형 부위는 FR3 (프래임워크 3 영역)에 위치하고, 일반적이지 않음
H H:Asp88 산-취약성 아스파르틸-프롤린 펩타이드 결합, 잠재적인 백본 절단부. 변형 부위는 FR3에 위치하며, 일반적이지 않음
H H:Met105 산화 가능한 CDR H3 메티오닌
H H:Lys448 C-말단 절단으로부터 이질성에 민감한 체인
명백하게도, 추가적인 제형화 시도에서 항체를 잠재적으로 탈안정화할 수 있는 몇가지 위험 인자들이 존재한다.
2차 단계로, 항체 H1L5를 본원에 도처에 기술된 바와 같이 IgG4 백본으로 조작하여 CTL-002로 명명하였다. IgG4 백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에서 확인된 위험 인자들을 제거할 수 있다. 즉,
1) IgG1의 K448이 결손됨
2) IgG1의 204번 위치 N이 IgG4 항체에서 D로 치환됨
3) IgG1의 132번 위치 S가 IgG4 항체에서 C로 치환됨
IgG1에서 IgG4로의 변경으로 안정한 항체 제형을 제공하는데 잠재적인 위험 인자 3가지가 제거되었다.
열 및 콜로이드 안정성 검사
본 발명자들은 앞에서 수행한 인 실리코 실험을 통해 입수한 지식에 기반하여, 전술한 인 실리코 실험에서 생성된 문제를 가진 특이적인 항체 구조를 안정화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첫번째 기본 제형을 결정하였다.
안정한 액체 제형을 구축하는 것이 명백하게도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하였지만, 액체 환경에서 항체의 잠재적인 안정성 문제에 비추어 잠재적인 동결건조된 제형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기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정하였다:
- 액체 제형 4종
- 동결건조 제형 1종
- 항체의 등전점보다 훨씬 낮게 선택된 2가지 pH
- 2종의 서로 다른 완충제 시스템
- 다양한 농도의 수종의 부형제.
항체의 pI 결정을 구체적으로 고려하고 본 특정 항체에 대한 단백질 분자들 간에 반발성 정전기력을 높이고 응집을 낮추기 위한 잠재적인 최적의 환경을 고려하여, pH 포인트를 선정하였다.
이로써 다음과 같은 실험 설계가 확정되었다:
pH 및 이온 강도 스크리닝은 선택적인 분석으로 마이크로리터 규모로 수행하였다. 열 및 콜로이드 안정성을 동적 광 산란 분석 및 내재 형광 (intrinsic fluorescence), 광 산란 분석 및 마이크로 비색법 각각에 의해 조사하였다.
표 15-1: pH 및 이온 강도 스크리닝의 제형 조건들
제형 ID 완충제 pH 부형제
F1 20 mM 히스티딘 6.0 240 mM 슈크로스
F2 20 mM 히스티딘 5.5 240 mM 슈크로스
F3 20 mM 히스티딘 6.0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F4 20 mM 히스티딘 6.0 150 mM NaCl
F5 20 mM Na-사이트레이트 6.0 240 mM 슈크로스
표 15-2: 분석 검사
매개변수 분석 방법 샘플 농도
용융점 시차 주사 마이크로 열량계 5 mg/mL
언폴딩 온도 내재 형광 10 mg/mL
응집 개시 정적 광 산란 10 mg/mL
해리 상수 동적 광 산란 1-10 mg/mL
재료
CTL-002의 약물 물질 (DS)은 가공 처리되었으며, Lonza Biologics Plc, Slough (UK)로부터 제공받았다. DS 배치를 배송받았으며, 도착일로부터 물질을 분액하여 여러 실험에 사용하는 당일까지 2-8℃에서 보관하였다.
표 16-1: 제조사로부터 제공받은 약물 물질 정보
약물 물질 세부 정보
명칭 CTL-002
배치 번호 L35404/H27 (CT08 클론의 풀)
농도 24.9 mg/mL
완충제 20 mM 히스티딘, pH 6.0
보관 조건 2-8℃
흡광 계수 280 nm에서 1.428 ml.mg- 1.cm-1
분자량 144 539 Da
표 16-2: 화학제 목록
재료 명칭 (공급사) 공급사 명 재료 번호 (공급사)
L-히스티딘 J.T. Baker 2080-06
L-히스티딘,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J.T. Baker 2081-06
슈크로스 Pfanstiehl S-124-2-MC
아르기닌-HCl Sigma A5131-500G
염화나트륨 Sigma S7653-1KG
트리소듐 사이트레이트 이수화물 Merck 1.37042.1000
구연산 일수화물 Sigma C1909-500g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50% Honeywell Fluka 71686-1L
정제수 In-house n/a
표 16-3: 주요 소모품
재료 명칭 공급사 명 재료 번호 (공급사)
Vivapsin 6 10,000 MWCO PES Sartorius VS0602
표 16-4: 주요 장치
장치 명 모델 제조사
분석용 저울 XPE206 BR Mettler Toledo
원심분리기 5810R Eppendorf
pH 측정기 780 Metrohm
UV/VIS 광분광기 SoloVPE C Technologies Inc
모세관 시차 주사 열량계 MicroCal VP Malvern
동적 광 산란 DynaPro Plate Reader II Wyatt Technology
형광 & 정적 광 산란 판독기 UNit Unchained Labs
방법
검사 물질 준비
DS를 제형 F2 및 F3에서 원심분리 농축기를 사용해 완충제 교체를 수행하였다. 단백질 농도를 공정 종료 시점에 모니터링하였다.
전체 제형들에서 특수 제형 완충제를 첨가하여 단백질 농도를 적정하였다.
결과
열 안정성
단백질의 열적 구조 안정성은 단백질이 응집되는 온도 (응집 개시 온도 (Tagg)) 및 네이티브 (폴딩된) 상태에서 변성된 (언폴딩된) 상태로 풀리는 온도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용액에서 폴딩된 단백질과 언폴딩된 단백질 집단이 동량으로 존재하는 온도로서 정의되는 언폴딩 전이의 중간점은, 전통적인 DSC 측정에 의해 평가할 경우 용융 온도 (Tm)로 지칭하고, 내재 형광에 의해 측정할 경우에는 언폴딩 온도 (Tunfold)로서 지칭한다. IgG 분자의 언폴딩은 Fab 및 Fc (CH2 및 CH3) 단편들의 언폴딩을 반영하는 2 또는 3개의 전이를 나타낸다.
응집 개시는 샘플 5개에 대해 약 61-68℃에서 광 산란에 의해 결정하였다. Tagg 값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일 수 있다: F5 > F1-F4 > F3 > F2.
언폴링 온도는 약 64-68℃ 온도에서 관찰되었으며, 용융 온도는 약 65-69℃에서 관찰되었다. 2가지 방법 모두 비슷한 서열 순위를 나타내었다: F5 >F1- F3 > F4 > F2.
전반적으로, 열 안정성은 pH 5.5에 비해 pH 6.0에서 더 높다. NaCl는 이를 낮추는 반면, Na-사이트레이트 완충제는 이를 개선하였다.
표 17-1: 열 안정성 결과
ID 제형 Tagg [℃] Tunfold[℃] 1 Tm [℃]
F1 20 mM 히스티딘 240 mM 슈크로스 pH 6.0 65.2 66.8; 83.6 66.4; 70.3; 86.3
F2 20 mM 히스티딘 240 mM 슈크로스 pH 5.5 60.5 64.2; 80.4 63.8; 70.3; 84.4
F3 20 mM 히스티딘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pH 6.0 64.5 66.6; 83.3 66.2; 70.7; 86.2
F4 20 mM 히스티딘 150 mM NaCl pH 6.0 65.3 64.9; 79.2 64.6; 70.3; 84.7
F5 20 mM 사이트레이트 240 mM 슈크로스 pH 6.0 67.5 68.0; 80.8 68.9; 72.5; 85.9
콜로이드 안정성
해리 상수 (constant dissociation)(kD) 및 삼투압 제2 비리얼 계수 (osmotic second virial coefficient)(A2)는 둘다 용액에서 여러 분자들 간의 비-공유 결합력으로 인한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콜로이드 안정성 지표이다. 높은 kD 및 A2 값은 강한 순 반발성 상호작용을 의미하고, 낮은 값은 순 인력을 의미한다. A2에 대한 부호에 의해 순 인력과 순 반발력을 구분할 수 있지만, kD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 평균적으로 콜로이드 안정성이 우수한 제형은 A2 값이 > 1. 10-4 mol.ml.g2이다.
음성 해리 상수는 검사한 모든 조건들에서 측정되었으며, 이는 약한 음성 또는 중성 삼투압 제2 비리얼 계수 값과 연관되어 있으며, 약하게 끌어당기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성향을 반영한다.
kD 값들은 다음과 같이 순위를 매길 수 있다: F2 > F4 > F3 > F5 > F1.
콜로이드 안정성은 따라서 pH를 5.5까지 낮춤으로써 개선된다.
NaCl, 아르기닌-HCl 또는 Na- 사이트레이트를 이용한 이온 강도의 강화는 콜로이드 안정성을 또한 개선한다.
표 17-2: 콜로이드 안정성 결과
ID 제형 kD [mL/g] A2 [mol.mL.g 2 ]
F1 20 mM 히스티딘 240 mM 슈크로스 pH 6.0 -18.2 -6.9 10-5
F2 20 mM 히스티딘 240 mM 슈크로스 pH 5.5 -2.47 2.2 10-5
F3 20 mM 히스티딘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pH 6.0 -10.8 -2.6 10-5
F4 20 mM 히스티딘 150 mM NaCl pH 6.0 -5.03 7.3 10-6
F5 20 mM 사이트레이트 240 mM 슈크로스 pH 6.0 -11.6 -3.1 10-5
따라서, 콜로이드 및 열 안정성 결정 결과는, 최종 제형에 대해 어떤 pH를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킨다. pH 6.0이 개선된 열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지만, 콜로이드 안정성에는 pH 5.5와 비교해 이 pH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다른 pH를 능가하는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2가지 (열 안정성 및 콜로이드 안정성 각각) 중 하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제형의 다른 구성성분을 신중하게 선택함으로써 상쇄할 수 없는 한, 최종 제형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잠재적으로 미칠 수 있다.
초기 단계 제형 개발
재차 지금까지 수행한 실험으로 수득한 결과들에 비추어, 액체 제형 및 동결건조 제형을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추가적인 제형 설정으로, 본 발명자들은 최종적으로 특정 스트레스 조건에서 검사할 제형 3종 (액체 제형 2종과 동결건조 제형 1종)을 확정하였다. 항체의 목표 농도는 25 mg/ml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안정화할 항체는 본원의 도처에 정의된 바와 같이 CTL-002이다.
표 18-1: 평가 제형들의 조성
CTL-002_S6_FOR_F1 25 mg/mL 20 mM His/HCl pH 5.5 150 mM 슈크로스 50 mM L-아르기닌-HCl 0.02% w/v PS20 2.4 mL 액체
CTL-002_S6_FOR_F2 25 mg/mL 20 mM Na-사이트레이트 pH 6.4 240 mM 슈크로스 - 0.02% w/v PS80 2.4 mL 액체
CTL-002_S6_FOR_F3 25 mg/mL 20 mM His/HCl pH 5.5 150 mM 슈크로스 50 mM L-아르기닌 HCl 0.02% w/v PS20 2.4 mL 동결건조
CTL-002_S6_FOR_F4 25 mg/mL 20 mM Na-사이트레이트 pH 6.0 240 mM 슈크로스 - 0.02% w/v PS80 2.4 mL 액체
표 18-2: 제형별 바이얼 분배 및 검사 계획
액체 초기 -65℃ 이하 5℃±3℃ 25℃±2℃ / 60% RH±5% RH 40℃±2℃ / 75% RH±5% RH
초기/T0 1
냉동 해동 : 25℃에서 -65℃, 사이클 5회 1
5일 진탕 스트레스 @ 1 1
4주 1 1
8주 1 1 1
비축 1 2 2 2
바이얼 / Temp 1 2 4 5 4
목표 바이얼 16
동결건조 초기 -65℃ 이하 5℃±3℃ 25℃±2℃ / 60% RH±5% RH 40℃±2℃ / 75% RH±5% RH
초기/T0 3
4주 1
8주 1 1 2
비축 1 3 2 3
바이얼 / Temp 3 1 4 3 6
목표 바이얼 17
@ 진탕 스트레스는 주위 온도 및 냉각 온도에서 방법 섹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
표 18-3: 제형별 분석 검사 계획
분석 도입 DS 초기 1 W 진탕 $ F/T $ 4 W 8 W
5℃ 냉각 주위 사이클 5회 5℃ 25℃ 40℃ 5℃ 25℃ 40℃
색상 x x x x x x x x x
선명도/ 유백광 x x x x x x x x x
가시적인 입자 x x x x x x x x x
비-가시적인 입자 (HIAC) x x x x x x x x x
pH x x x x x x x x x x
삼투질농도 x
단백질 함량 x x x x x x x x x
크기 배제- HPLC에 따른 순도 x x x x x x x x x x
RP- HPLC에 따른 순도 x x x x x x x x x x
캘리퍼 / LabChip 비-환원 및 환원 x x x x x x x x x x
iCE에 따른 순도 x x x x x x x x x x
계면활성제 함량 x x x x x x x x x
동결건조물 재구성 시간 1 x x x x
동결건조물 외양 및 색상 2 x x x x
동결건조물 잔류 함습량 x x x x
1: 동결건조된 제형 단독
2: 동결건조된 제형 단독
재료
CTL-002의 BPDS (bulk purified drug substance)를 대략 25 g/L 농도로 제공받았다.
표 19-1: 부형제 및 1차 포장재
재료 명 (공급사) 공급사 명 재료 번호 (공급사)
L-히스티딘, USP, 멀티-공정서 SAFC H3911
L-히스티딘,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FCC, 멀티-공정서 SAFC H4036
슈크로스, NF, 멀티-공정서, 고순도 (저 내독소) Pfanstiehl S-124-2-MC
트리소듐 사이트레이트 탈수물, 멀티-공정서 Merck 1.37042.1000
구연산 일수화물, 멀티-공정서 Merck 1.00243.1000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Sigma Aldrich A5131
폴리소르베이트 20, N.F., 멀티-공정서. TWEEN 20 HP-LQ-(MH) J.T. Baker 4116-04
폴리소르베이트 80, NF, 멀티-공정서, (폴리옥시에틸렌 (80)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CRILLET 4HP J.T. Baker 4117-04
염산, NF, 멀티-공정서 Sigma Aldrich 320331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N Fluka 71686.00
6R Schott Vials SL/NBE Tubular Fiolax® Clear Type I SCHOTT France
Pharmaceutical Systems 또는 Adelphi Healthcare Packaging
AC1063
20mm Flurotec® Injection stopper West pharmaceutical service 또는 Adelphi Healthcare Packaging 7001-8022 또는 INJ20TB3WRS
20mm Flurotec® Freeze dry stopper 7001-9820 또는
FD20TT3WRS
20mm True Edge® Flip-off Seal (No text) Royal Blue West pharmaceutical service AC1072
표 19-2: 주요 소모품
재료 명 공급사 명 재료 번호 (공급사)
단백질 농축기 30,000 MWCO, PES 멤브레인 Pierce 88536
필터 Stericup 0.22 ㎛, PVDF 멤브레인 Millipore SCGVU05RE / ScGVU02RE
범례: 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ES 폴리에테르설폰
표 19-3: 주요 장치
장치 명 모델 제조사
원심분리기 5810R Eppendorf
동결건조기 LyoStar 3 FTS system SP Scientific
진탕기 KS 15B Control Edmund Buhler
-65℃ 이하 냉동 장치 Ultralow Dual, MDFU700VX-PE Panasonic
안정성 5℃ ± 3℃ n/a cold room A7-47
안정성 캐비넷
25℃±2℃ / 60% RH±5% RH
KBF 720 Binder
안정성 캐비넷
40℃±2℃ / 75% RH±5% RH
KBF 720 Binder
전체 제형들의 샘플에 라벨을 표시하여, 안정성 실험에 사용하기 위해 분배할 때까지 5±3℃에서 보관하였다.
액체 제형별 검사 샘플은 수평 상태로 약 5일간 실온 및 냉각 온도 조건에서 왕복 (수평) 진탕기에서 목표 속도 200 rpm 하에 진탕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액체 제형별 검사 샘플에 대해 -65℃ 이하부터 실온까지 냉동/해동 사이클을 5회로 수직 상태에서 적용하였다.
동결건조 제형 바이얼은 정제수 2.3 mL를 이용해 재구성하였다. 재구성 부피는 고형물에 의한 부피 변위 (volume displacement)를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재구성시 바이얼을 서서히 움직여 재구성 완료를 확인하였으며, 추가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배합 (compounding) 후 제형
배합 및 여과 후 액체 (F1, F2 및 F4) 및 동결건조 (F3) 제형들에 대한 배합 용액의 pH, 단백질 농도 및 삼투질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 20에 나타낸다. 완벽하게 하기 위해, 단기 안정성 실험에서 초기 시점에 UV 분광광도계 (A280)에 의해 결정된 단백질 농도도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04
모든 결과는 pH 목표 값에 가깝다
Figure pct00005
배합한 용액은 무색이었으며 (BY7), 배합 및 여과 후 눈에 보이는 입자는 거의 없다.
표 20: 배합 후 제형의 특성화 결과
검사 제형 CTL -002_S6_FOR_
F1 F2 F3 F4
pH a 5.5 6.4 5.6 6.0
어는점에 따른 삼투질농도 [mOsm/Kg] a 328 337 306 367
단백질 농도 a [mg/mL] 25.5 25.5 26.2 23.1
a T0 결과로부터 취한 값
냉동-해동 및 진탕 실험
5회 냉동-해동 사이클 (-65℃에서 RT) 또는 주위 온도 및 냉각 온도에서 진탕 스트레스를 가한 F3을 제외한 제형들 모두 초기 비-스트레스 샘플과 비교해 어떠한 분석 방법들에서도 어떠한 관련 변화는 없었으며, 이는 제형들이 냉동-해동 및 진탕 스트레스로부터 CTL-002 분자를 효과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의미한다.
모든 액체 제형들은, SE-HPLC에 따르면 응집 및 단편화에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iCE에 의해 중대한 화학적 분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육안으로 보이는 입자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입자의 수치는 교반 및 F/T 스트레스 조건에서 낮았다. 데이터는,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및 80 둘다 제형을 진탕, 냉동 및 해동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함을 보여준다.
단기 안정성 실험
전반적으로, 검사 제형 4종 모두에서 최대 8주 단기 안정성 검사에서 pH 및 단백질 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안정성 검사에서 전체 제형들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초기 입자 수치가 낮게 확인되었다. 동결건조 제형 F3는 액체 제형 F1, F2 및 F4와 비교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입자의 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동결건조 케이크 재구성으로 인한 것이다. 검사한 제형들 모두, 임의의 검사 보관 조건에서 8주 보관 후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입자 수치에는 유의한 변화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샘플들 모두 흑백 배경을 사용해 육안 검사로 평가한 바와 같이 T0 시점에 육안으로 보이는 입자는 실질적으로 없었다. 유일하게 제형 F4만 25℃에서 8주 보관한 후 몇몇 입자, 백색 섬유가 관찰된, 육안으로 보이는 입자의 수적 증가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40℃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요컨대, 육안으로 보이는 입자의 수준은 단기 안정성 실험에서 변화가 없었다.
동결건조 제형 F3는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SE-HPLC, icIEF, RP-HPLC 및 CE-SDS에 의한 순도는 모든 검사한 보관 조건에서 8주 안정성 스트레스 동안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액체 제형, 특히 제형 F1의 결과는, 항체를 액체 제형에서도 적합하게 안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CTL-002 분자는 40℃ 스트레스 조건에서 검사한 액체 제형 3종 모두 낮은 응집 및 단편화 경향을 보였다. 응집뿐 아니라 단편화에 의한 단량체의 소실은 제형 F2 및 F4에 비해 제형 F1에서 더 현저하였다. 40℃에서 8주 보관한 후, F1 (pH 5.5)에서 응집물 1.2% 및 분해 산물 0.3%가 측정된 반면, 제형 F2 (pH 6.4) 및 F4 (pH 6.0)는 응집물 약 1.0-0.9% 및 분해 산물 0.1-0.2%이었다. 이에, 고 분자량 종과 저 분자량 종의 형성은 pH 의존적인 것으로 보인다.
전체 안정성 실험 중에 검사 제형들 모두에서 측정된 낮은 용액 탁도, 낮은 수준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입자 및 육안으로 보이는 입자의 부재는 낮은 응집 성향을 강조한다. 아울러, 응집도 단편화 경향도 칩-기반의 CE-SDS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정상 조건 및 환원 조건에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CTL-002의 화학적 순도는 iciEF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이 40℃ 열 스트레스에 의해 변형되었으며, 낮은 수준이지만 25℃에서도 변형되었다. 주 피크 순도의 감소는 제형 F1보다는 제형 F2 및 F4에서 더 현저하였으며, 이는 주로 산성 종의 형성이 원인이었다. 제형 F1 (pH 5.5)만 추가적으로 염기성 종의 상당한 흡수를 나타내었다.
비-환원 조건에서 RP-HPLC 분석 결과, 모든 액체 제형들에서 주 피크 감소와 이후 포스크-피크 종 (post-peak species) 증가가 40℃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때 RP-HPLC를 환원 조건에서 이용해서는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다. RP- HPLC 변화는 icIEF에서와 같이 제형 F2 및 F4에 비해 제형 F1에서 덜 현저하였다. 더 낮은 pH 5.5인 제형 F1은 제형 F2 및 F4와 비교해 더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전체 단기 안정성 실험에서 전체 제형들에서는 폴리소르베이트의 유의한 함량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둘다 CTL-002 제형화에 적합하다.
결론:
Figure pct00006
동결건조 제형 F3는 전체 단기 안정성 실험 중에 안정적이었다.
Figure pct00007
액체 제형들 모두 냉동/해동 및 진탕 스트레스뿐 아니라 5℃에서 8주간 보관시 안정적이었다. 제형 F2 및 F4는 검사한 스트레스 조건 전체에서 비슷한 안정성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8
최저 pH 제형 F1은 40℃ 가속 보관 조건에서 응집 및 단편화되는 경향이 더 강하였다.
Figure pct00009
최저 pH 제형 F1은 icIEF에 따르면 40℃에서 , 그리고 낮은 수준이지만 25℃에서 제형 F2 및 F4에 비해 화학적 안정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여기서 주로 산성 종 성향이 스트레스 조건에서뿐 아니라 40℃에서 RPHPLC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포스트-피크 종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제형 프로젝트에 대해 수행된 모든 실험 데이터의 결과를 종합하여, CTL-002에 대해 다음과 같은 액체 제형을 제공하였다:
25 mg /mL CTL -002, 20 mM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50 mM 슈크로스 , 50 mM 아르기닌-HCl, 0.02% w/v 폴리소르베이트 20, pH 5.5
이 단계에서, (전술한) 데이터는 한편으로는 화학적 안정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물리적 안정성과 다소 모순되는 것처럼 보여, 결정을 내리기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 지금까지 수득한 모든 데이터를 취합하여 - 화학적 안정성이 특히 항체 안정화 시도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장기 데이터
IgG4 항체 CTL-002에 대한 전술한 제형을 이용해 장기 안정성 실험 2가지를 수행하였다.
장기 보관 조건 5℃ ± 3℃에서 뒤집어 수직 보관한 제품 CTL-002 (250 mg/10mL)에 대한 안정성 샘플을 검사하였다.
장기 보관 조건 5℃ ± 3℃에서 뒤집어 수직으로 8개월간 보관한 후, 제품 CTL-002는 안정성 표시 방법에서 분해를 나타내지 않았다:
SE-HPLC (주 피크, 단편, 응집물) 및
CE-DSD (환원된 총 LC+HC, 비-환원 온전한 IgG).
주 피크에서 산성 종으로의 약간의 이동만 icIEF 결과에 의해 드러났다. 폴리소르베이트 함량 감소 역시 검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체는 실험 중에 결정한 화학적 안정성 매개변수와 관련해, 또한 매우 놀랍게도 이의 응집 특성과 관련해 높은 수준으로 안정화되었다.
서열
서열번호 1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중쇄 CDR1 영역 펩타이드 서열): GFSLSTSGMG
서열번호 2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중쇄 CDR2 영역 펩타이드 서열): IYWDDDK
서열번호 3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중쇄 CDR3 영역 펩타이드 서열): ARSSYGAMDY
서열번호 4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경쇄 CDR1 영역 펩타이드 서열): QNVGTN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경쇄 CDR2 영역 펩타이드 서열: SAS
서열번호 5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경쇄 CDR3 영역 펩타이드 서열): QQYNNFPYT
서열번호 6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중쇄 가변성 도메인): QITLKESGPTLVKPTQTLTLTCTFSGFSLSTSGMGVSWIRQPPGKGLEWLAHIYWDDDKRYNPTLKSRLTITKDPSKNQVVLTMTNMDPVDTATYYCARSSYGAMDYWGQGTLVTVSSASTKGP
서열번호 7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의 경쇄 가변성 도메인): DIVLTQSPSFLSASVGDRVTITCKASQNVGTNVAWFQQKPGKSPKALIYSASYRYSGVPDRFTGSGSGTEFTLTISSLQPEDFAAYFCQQYNNFPYTFGGGTKLEIKRT
서열번호 8 (리더 펩타이드 서열이 없는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 CTL-002의 중쇄):QITLKESGPTLVKPTQTLTLTCTFSGFSLSTSGMGVSWIRQPPGKGLEWLAHIYWDDDKRYNPTLKSRLTITKDPSKNQVVLTMTNMDPVDTATYYCARSSYGAMD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PCPAPEF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
서열번호 9 (리더 펩타이드 서열이 없는 단일클론 항-인간 GDF-15 항체 CTL-002의 경쇄): DIVLTQSPSFLSASVGDRVTITCKASQNVGTNVAWFQQKPGKSPKALIYSASYRYSGVPDRFTGSGSGTEFTLTISSLQPEDFAAYFCQQYNNFPY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서열번호 10 (항-인간 GDF-15 항체 H1L5의 중쇄 가변성 도메인): QITLKESGPTLVKPTQTLTLTCTFSGFSLSTSGMGVSWIRQPPGKGLEWLAHIYWDDDKRYNPTLKSRLTITKDPSKNQVVLTMTNMDPVDTATYYCARSSYGAMDYWGQGTLVTVSS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KVEPKSC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
서열번호 11 (항-인간 GDF-15 항체 H1L5의 경쇄 가변성 도메인): DIVLTQSPSFLSASVGDRVTITCKASQNVGTNVAWFQQKPGKSPKALIYSASYRYSGVPDRFTGSGSGTEFTLTISSLQPEDFAAYFCQQYNNFPY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항-GDF15 항체는 인간 환자에서 암 치료 방법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의약품의 제조에 대해 공지된 표준에 따라 항목 방법 및 용도에 대한 제품으로서 산업적으로 제조 및 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하다.
SEQUENCE LISTING <110> CatalYm GmbH Julius-Maximilians-Universitat Wurzburg <120> Anti-GDF15 antibody and a dosage regime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130> 240263 <140> PCT/EP2021/081236 <141> 2021-11-10 <150> EP20206801 <151> 2020-11-10 <150> EP21175107 <151> 2021-05-20 <150> EP21196910 <151> 2021-09-15 <160> 1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 CDR1 <400> 1 Gly Phe Ser Leu Ser Thr Ser Gly Met Gly 1 5 10 <210> 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 CDR2 <400> 2 Ile Tyr Trp Asp Asp Asp Lys 1 5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 CDR3 <400> 3 Ala Arg Ser Ser Tyr Gly Ala Met Asp Tyr 1 5 10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 CDR1 <400> 4 Gln Asn Val Gly Thr Asn 1 5 <210> 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 CDR3 <400> 5 Gln Gln Tyr Asn Asn Phe Pro Tyr Thr 1 5 <210> 6 <211> 1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 VD <400> 6 Gln Ile Thr Leu Lys Glu Ser Gly Pro Thr Leu Val Lys Pro Thr Gln 1 5 10 15 Thr Leu Thr Leu Thr Cys Thr Phe Ser Gly Phe Ser Leu Ser Thr Ser 20 25 30 Gly Met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Leu Ala His Ile Tyr Trp Asp Asp Asp Lys Arg Tyr Asn Pro Thr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Thr Lys Asp Pro Ser Lys Asn Gln Val 65 70 75 80 Val Leu Thr Met Thr Asn Met Asp Pro Val Asp Thr Ala Thr Tyr Tyr 85 90 95 Cys Ala Arg Ser Ser Tyr Gly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115 120 <210> 7 <211> 10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 VD <400> 7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Ser Phe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n Val Gly Thr Asn 20 25 30 Val Ala Trp Phe Gln Gln Lys Pro Gly Lys Ser Pro Lys Ala Leu Ile 35 40 45 Tyr Ser Ala Ser Tyr Arg Tyr Se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u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Ala Tyr Phe Cys Gln Gln Tyr Asn Asn Phe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100 105 <210> 8 <211> 44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 CTL-002 <400> 8 Gln Ile Thr Leu Lys Glu Ser Gly Pro Thr Leu Val Lys Pro Thr Gln 1 5 10 15 Thr Leu Thr Leu Thr Cys Thr Phe Ser Gly Phe Ser Leu Ser Thr Ser 20 25 30 Gly Met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Leu Ala His Ile Tyr Trp Asp Asp Asp Lys Arg Tyr Asn Pro Thr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Thr Lys Asp Pro Ser Lys Asn Gln Val 65 70 75 80 Val Leu Thr Met Thr Asn Met Asp Pro Val Asp Thr Ala Thr Tyr Tyr 85 90 95 Cys Ala Arg Ser Ser Tyr Gly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115 120 125 Leu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Gly 130 135 140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145 150 155 160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65 170 175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180 185 190 Ser Leu Gly Thr Lys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Ser 195 200 205 Asn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Ser Lys Tyr Gly Pro Pro Cys 210 215 220 Pro Pro Cys Pro Ala Pro Glu Phe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225 230 235 240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245 250 255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260 265 270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275 280 285 Pro Arg Glu Glu Gln Phe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290 295 300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305 310 315 320 Val Ser Asn Lys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325 330 335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340 345 350 Gln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355 360 365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370 375 380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385 390 395 400 Ser Phe Phe Leu Tyr Ser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405 410 415 Glu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420 425 430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Leu Gly 435 440 <210> 9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 CTL-002 <400> 9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Ser Phe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n Val Gly Thr Asn 20 25 30 Val Ala Trp Phe Gln Gln Lys Pro Gly Lys Ser Pro Lys Ala Leu Ile 35 40 45 Tyr Ser Ala Ser Tyr Arg Tyr Se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u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Ala Tyr Phe Cys Gln Gln Tyr Asn Asn Phe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0> 10 <211> 4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C H1L5 <400> 10 Gln Ile Thr Leu Lys Glu Ser Gly Pro Thr Leu Val Lys Pro Thr Gln 1 5 10 15 Thr Leu Thr Leu Thr Cys Thr Phe Ser Gly Phe Ser Leu Ser Thr Ser 20 25 30 Gly Met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Leu Ala His Ile Tyr Trp Asp Asp Asp Lys Arg Tyr Asn Pro Thr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Thr Lys Asp Pro Ser Lys Asn Gln Val 65 70 75 80 Val Leu Thr Met Thr Asn Met Asp Pro Val Asp Thr Ala Thr Tyr Tyr 85 90 95 Cys Ala Arg Ser Ser Tyr Gly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115 120 125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130 135 140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145 150 155 160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65 170 175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180 185 190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195 200 205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210 215 220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225 230 235 240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245 250 255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260 265 270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275 280 285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290 295 300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305 310 315 320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325 330 335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340 345 350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355 360 365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370 375 380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385 390 395 400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05 410 415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420 425 430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435 440 445 <210> 11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C H1L5 <400> 11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Ser Phe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n Val Gly Thr Asn 20 25 30 Val Ala Trp Phe Gln Gln Lys Pro Gly Lys Ser Pro Lys Ala Leu Ile 35 40 45 Tyr Ser Ala Ser Tyr Arg Tyr Se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u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Ala Tyr Phe Cys Gln Gln Tyr Asn Asn Phe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0> 1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pitope <400> 12 Glu Val Gln Val Thr Met Cys Ile Gly Ala Cys Pro Ser Gln Phe Arg 1 5 10 15 <210> 13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pitope <400> 13 Thr Asp Thr Gly Val Ser Leu Gln Thr Tyr Asp Asp Leu Leu Ala Lys 1 5 10 15 Asp Cys His Cys Ile 20 <210> 14 <211> 8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DF-15 human <400> 14 Leu Glu Asp Leu Gly Trp Ala Asp Trp Val Leu Ser Pro Arg Glu Val 1 5 10 15 Gln Val Thr Met Cys Ile Gly Ala Cys Pro Ser Gln Phe Arg Ala Ala 20 25 30 Asn Met His Ala Gln Ile Lys Thr Ser Leu His Arg Leu Lys Pro Asp 35 40 45 Thr Val Pro Ala Pro Cys Cys Val Pro Ala Ser Tyr Asn Pro Met Val 50 55 60 Leu Ile Gln Lys Thr Asp Thr Gly Val Ser Leu Gln Thr Tyr Asp Asp 65 70 75 80 Leu Leu Ala Lys Asp Cys His Cys Ile 85 <210> 15 <211> 8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DF-15 macfa <400> 15 Leu Glu Asp Leu Gly Trp Ala Asp Trp Val Leu Ser Pro Arg Glu Val 1 5 10 15 Gln Val Thr Met Cys Ile Gly Ala Cys Pro Ser Gln Phe Arg Glu Ala 20 25 30 Asn Met His Ala Gln Ile Lys Met Asn Leu His Arg Leu Lys Pro Asp 35 40 45 Thr Val Pro Ala Pro Cys Cys Val Pro Ala Ser Tyr Asn Pro Met Val 50 55 60 Leu Ile Gln Lys Thr Asp Thr Gly Val Ser Leu Gln Thr Tyr Asp Asp 65 70 75 80 Leu Leu Ala Lys Asp Cys His Cys Val 85 <210> 16 <211> 8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DF-15 mouse <400> 16 Leu Glu Asp Leu Gly Trp Ser Asp Trp Val Leu Ser Pro Arg Gln Leu 1 5 10 15 Gln Leu Ser Met Cys Val Gly Glu Cys Pro His Leu Tyr Arg Ser Ala 20 25 30 Asn Thr His Ala Gln Ile Lys Ala Arg Leu His Gly Leu Gln Pro Asp 35 40 45 Lys Val Pro Ala Pro Cys Cys Val Pro Ser Ser Tyr Thr Pro Val Val 50 55 60 Leu Met His Arg Thr Asp Ser Gly Val Ser Leu Gln Thr Tyr Asp Asp 65 70 75 80 Leu Val Ala Arg Gly Cys His Cys Ala 85 <210> 17 <211> 8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DF-15 rat <400> 17 Leu Glu Asp Leu Gly Trp Ser Asp Trp Val Leu Ser Pro Arg Gln Leu 1 5 10 15 Gln Leu Ser Met Cys Val Gly Glu Cys Pro His Leu Tyr Arg Ser Ala 20 25 30 Asn Thr His Ala Leu Ile Lys Ala Arg Leu His Gly Leu Gln Pro Asp 35 40 45 Arg Val Pro Ala Pro Cys Cys Val Pro Ser Ser Tyr Thr Pro Val Val 50 55 60 Leu Met His Arg Thr Asp Ser Gly Val Ser Leu Gln Thr Tyr Asp Asp 65 70 75 80 Leu Val Ala Gln Gly Cys His Cys Ala 85 <210> 18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TL-002 epitope (b) <400> 18 Gly Val Ser Leu Gln Thr Tyr Asp Asp Leu 1 5 10 <210> 19 <211> 4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1L5 heavy chain <400> 19 Gln Ile Thr Leu Lys Glu Ser Gly Pro Thr Leu Val Lys Pro Thr Gln 1 5 10 15 Thr Leu Thr Leu Thr Cys Thr Phe Ser Gly Phe Ser Leu Ser Thr Ser 20 25 30 Gly Met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Leu Ala His Ile Tyr Trp Asp Asp Asp Lys Arg Tyr Asn Pro Thr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Thr Lys Asp Pro Ser Lys Asn Gln Val 65 70 75 80 Val Leu Thr Met Thr Asn Met Asp Pro Val Asp Thr Ala Thr Tyr Tyr 85 90 95 Cys Ala Arg Ser Ser Tyr Gly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115 120 125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130 135 140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145 150 155 160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65 170 175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180 185 190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195 200 205 Asn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210 215 220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225 230 235 240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245 250 255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260 265 270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275 280 285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290 295 300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305 310 315 320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325 330 335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340 345 350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355 360 365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370 375 380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385 390 395 400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405 410 415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420 425 430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445

Claims (42)

  1. 인간 환자에서 암 및/또는 암 악액질 치료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항-GDF15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0.3, 1.0, 3.0, 10.0 또는 20.0 mg/kg, 바람직하게는 3, 10 또는 20 mg/kg, 더 바람직하게는 10 mg/kg의 용량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며, 상기 사이클이 2주 기간이고, 상기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10 내지 20 mg/kg, 바람직하게는 20 mg/kg의 용량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며, 상기 사이클이 4주 기간이고, 상기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10 내지 20 mg/kg의 용량으로, 1회 이상의 투여 사이클의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며, 상기 사이클이 3주 기간이고, 상기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을 유도하지 않거나 및/또는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CDC)을 유도하지 않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IgG4 이소형 항체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가 S228P 돌연변이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성 도메인과, 서열번호 4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아미노산 서열 ser-ala-ser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성 도메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중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6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6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경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7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중쇄가 서열번호 8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경쇄가 서열번호 9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CHO 세포에서 발현에 의해 수득가능한,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혈청/혈장에서 GDF-15의 농도가 투여 사이클 종료시 10 ng/mL 미만인,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혈청에서 GDF-15 농도가 투여 사이클 종료시 2 ng/mL 미만인,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혈청에서 GDF-15 농도가 투여 사이클 종료시 0.5 ng/mL 미만인,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이 3주 기간이고, 상기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이 4주 기간이고, 상기 용량이 1회 이상의 사이클 각각에서 적어도 1회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용법이 복수의 사이클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투여 사이클 최대 52회로 구성된,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26-52회로 구성된,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최대 34회로 구성된,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17-34회로 구성된, 조성물.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최대 24회로 구성된,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용법이 투여 사이클 12-24회로 구성된,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는 체크포인트 저해제와 조합하여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포인트 저해제가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또는 항-CD40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상기 GDF-15 항체와 동일한 투여 용법으로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GDF-15 항체를 투여하기 전에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GDF-15 항체를 투여하기 전 120분 이내에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포인트 저해제는 GDF-15 항체를 투여하기 전 30분 이내에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신경교종을 포함한 뇌암, 신경계암, 흑색종, 폐암, 두경부암, 요로상피암, 간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위암, 신장 세포 암종, 유잉 육종, 비-소 세포성 폐암과 소 세포성 폐암, 입술과 구강의 암, 간 암종, 백혈병,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방광암, 자궁경부암, 자궁체부암 (corpus uteri cancer), 고환암, 갑상선암, 신장암, 담낭암, 다발성 골수종, 비인두암, 후두암, 인두암, 식도암, 위암 및 결장직장암을 포함한 위장 종양, 췌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유방 암종 및 원발성 불명 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도가 또한 선택적으로 암-악액질의 치료 용도인,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의 용량이 정맥내 투여되어야 하는, 조성물.
  32. 항-GDF15 항체로서,
    상기 항체가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를 가진 IgG4 이소형 항체이고, 항체의 중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6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6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 가변성 도메인이 서열번호 7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7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GDF15 항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중쇄가 서열번호 8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8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동일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의 경쇄가 서열번호 9에 의해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0%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동일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GDF15 항체.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안정화 돌연변이가 S228P 돌연변이인, 항-GDF15 항체.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항체-의존적인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을 유도하지 않거나 및/또는 보체 의존적인 세포독성 (CDC)을 유도하지 않는, 항체.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CHO 세포에서 발현에 의해 수득가능한, 항체.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GDF15 항체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3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성 도메인과, 서열번호 4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1 영역, 아미노산 서열 ser-ala-ser으로 표시되는 CDR2 영역 및 서열번호 5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표시되는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성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GDF-15-항체 또는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를 포함하는 이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이 항-GDF15 항체를 10 - 50 mg/ml로 포함하는, 제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이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슈크로스, 아르기닌-HCl 및 폴리소르베이트를 pH 5-6에서 포함하는, 제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이 10 - 50 mg/ml CTL-002, 10 - 50 mg/ml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00 - 200 mM 슈크로스, 20 - 80 mM 아르기닌-HCl 및 0.01 - 0.05 % w/v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pH 5.0 - 6.0, 바람직하게는 pH 5.3 - 5.7에서 포함하는, 제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 mg/ml CTL-002, 20 mM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0.02 % w/v 폴리소르베이트 20을 pH 5.5에서 포함하는, 제형.
  42. 제41항에 있어서, 25 mg/ml CTL-002, 20 mM 히스티딘/히스티딘 HCl, 150 mM 슈크로스, 50 mM 아르기닌-HCl, 0.02 % w/v 폴리소르베이트 20으로 pH 5.5에서 구성되는, 제형.
KR1020237019624A 2020-11-10 2021-11-10 항-gdf15 항체 및 암 치료용 투여 용법 KR20230107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6801 2020-11-10
EP20206801.1 2020-11-10
EP21175107 2021-05-20
EP21175107.8 2021-05-20
EP21196910.0 2021-09-15
EP21196910 2021-09-15
PCT/EP2021/081236 WO2022101263A1 (en) 2020-11-10 2021-11-10 Anti-gdf15 antibody and a dosage regime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309A true KR20230107309A (ko) 2023-07-14

Family

ID=7850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624A KR20230107309A (ko) 2020-11-10 2021-11-10 항-gdf15 항체 및 암 치료용 투여 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43517A1 (ko)
EP (1) EP4243928A1 (ko)
JP (1) JP2023548430A (ko)
KR (1) KR20230107309A (ko)
AU (1) AU2021376864A1 (ko)
CA (1) CA3200687A1 (ko)
IL (1) IL302646A (ko)
WO (1) WO2022101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1636A1 (ja) * 2019-12-06 2021-06-10 大塚製薬株式会社 抗gdf15抗体
WO2024052532A1 (en) 2022-09-08 2024-03-14 Catalym Gmbh Anti-gdf15 antibody used in a combination treatment of specific patient groups and a dosage regime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16444667B (zh) * 2023-06-13 2023-09-01 上海驯鹿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靶向gdf15的全人源抗体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S59700B1 (sr) * 2014-03-26 2020-01-31 Univ Wuerzburg J Maximilians Monoklonalna antitela za faktor 15 (gdf-15) rasta i diferencijacije, i njihove upotrebe u lečenju kancerske kaheksije i kancera
HUE054670T2 (hu) * 2014-09-25 2021-09-28 Aveo Pharmaceuticals Inc Módszer cachexia visszafordítására és túlélés megnövelésére egy GDF15 modulátor és egy rákellenes szer adagolásával
EA201890850A1 (ru) * 2015-10-02 2018-09-28 Юлиус-Максимилианс-Универзитет Вюрцбург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лечени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гибиторов человеческого фактора роста и дифференцировки 15 (gdf-15) и блокаторов контрольных точек иммунного ответа
CN109071647B (zh) * 2016-04-27 2022-11-22 诺华股份有限公司 抗生长分化因子15的抗体及其用途
EP3841121A2 (en) * 2018-08-20 2021-06-30 Pfizer Inc. Anti-gdf15 antibodi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Non-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ulizi P, Loganathan N, Zhao D, et al.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15 Deficiency Augments Inflammatory Response and Exacerbates Septic Heart and Renal Injury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Sci Rep. 2017;7(1):1-10.
Bottner, Martina, Martin Laaff, Birgit Schechinger, Gudrun Rappold, Klaus Unsicker, and Clemens Suter-Crazzolara. 1999. "Characterization of the Rat, Mouse, and Human Genes of Growth/Differentiation Factor-15/Macrophage Inhibiting Cytokine-1 (GDF-15/MIC-1)." Gene 237 (1): 105-11.
Chung HK, Kim JT, Kim HW, et al. GDF15 deficiency exacerbates chronic alcohol- and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Sci Rep. 2017;7(1):1-13. doi:10.1038/s41598-017-17574-w
Eisenhauer EA, Therasse P, Bogaerts J, et al. New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urs: Revised RECIST Guideline (Version 1.1). Eur J Cancer. 2009 Jan;45(2):228-47.
Emmerson, Paul J., Feng Wang, Yong Du, Qian Liu, Richard T. Pickard, Malgorzata D. Gonciarz, Tamer Coskun, et al. 2017. "The Metabolic Effects of GDF15 Are Mediated by the Orphan Receptor GFRAL." Nature Medicine 23 (10): 1215-19. https://doi.org/10.1038/nm.4393.
Hodi FS, Ballinger M, Lyons B, et al. Immune-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imRECIST): Refining Guidelines to Assess the Clinical Benefit of Cancer Immunotherapy. J Clin Oncol. 2018 Mar 20;36(9):850-858.
Johnen H, Lin S, Kuffner T, et al. Tumor-induced anorexia and weight loss are mediated by the TGF-β superfamily cytokine MIC-1. Nat Med. 2007;13(11):1333-1340. doi:10.1038/nm1677
Kempf, Tibor, Alexander Zarbock, Christian Widera, Stefan Butz, Anika Stadtmann, Jan Rossaint, Matteo Bolomini-Vittori, et al. 2011. "GDF-15 Is an Inhibitor of Leukocyte Integrin Activation Required for Survival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Mice." Nature Medicine 17 (5): 581-88. https://doi.org/10.1038/nm.2354.
Selby, Mark J., John J. Engelhardt, Robert J. Johnston, Li-Sheng Lu, Minhua Han, Kent Thudium, Dapeng Yao, et al. 2016. "Preclinical Development of Ipilimumab and Nivolumab Combination Immunotherapy: Mouse Tumor Models, In Vitro Functional Studies, and Cynomolgus Macaque Toxicology." Edited by Aamir Ahmad. PLOS ONE 11 (9): e016177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61779.
Tong S, Marjono B, Brown DA, et al. Serum concentrations of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 1 (MIC 1) as a predictor of miscarriage. Lancet. 2004;363(9403):129-130. doi:10.1016/S0140-6736(03)15265-8
Tsai, Vicky W.W., Yasmin Husaini, Amanda Sainsbury, David A. Brown, and Samuel N. Breit. 2018. "The MIC-1/GDF15-GFRAL Pathway in Energy Homeostasis: Implications for Obesity, Cachexia, and Other Associated Diseases." Cell Metabolism 28 (3): 353-68. https://doi.org/10.1016/j.cmet.2018.07.018.
van den Boorn, Jasper G., and Gunther Hartmann. 2013. "Turning Tumors into Vaccines: Co-Opting the Innate Immune System." Immunity 39 (1): 27-37. https://doi.org/10.1016/j.immuni.2013.07.011.
Vaupel, Peter. 2004. "Tumor Microenvironmental Physi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Radiation Oncology." Seminars in Radiation Oncology 14 (3): 198-206. https://doi.org/10.1016/j.semradonc.2004.04.008.
Wang M, Yao LC, Cheng M, Cai D, Martinek J, Pan CX, et al. Humanized mice in studying efficacy and mechanisms of PD-1-targeted cancer immunotherapy. FASEB J. 2018;32(3):1537-49.
Welsh, John B., Lisa M. Sapinoso, Suzanne G. Kern, David A. Brown, Tao Liu, Asne R. Bauskin, Robyn L. Ward, et al. 2003. "Large-Scale Delineation of Secreted Protein Biomarkers Overexpressed in Cancer Tissue and Seru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 (6): 3410-15. https://doi.org/10.1073/PNAS.0530278100.
Wischhusen J, Melero I, and Fridman W. GDF-15: From Biomarker to Novel Targetable Immune Checkpoint. Front. Immunol. Accepted 23 Apr 2020. doi: 10.3389/fimmu.2020.00951.
Wollert KC, Kempf T, Giannitsis E, et al. An Automated Assay for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5. J Appl Lab Med An AACC Publ. 2018;1(5):510-521. doi:10.1373/jalm.2016.0223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76864A1 (en) 2023-06-29
WO2022101263A1 (en) 2022-05-19
CA3200687A1 (en) 2022-05-19
EP4243928A1 (en) 2023-09-20
US20240043517A1 (en) 2024-02-08
JP2023548430A (ja) 2023-11-16
IL302646A (en) 202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7309A (ko) 항-gdf15 항체 및 암 치료용 투여 용법
EP3983432A1 (en) Novel il-15 prodrug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22535564A (ja) 多選択性タンパク質
BR112020023346A2 (pt) anticorpo capaz de se ligar a muc1 e seu uso, ácido nucleico, cassete ou vetor de expressão, célula hospedeira, conjugado, composição, e, métodos para aumentar a afinidade de ligação a muc1 de um anticorpo e para produzir um anticorpo com afinidade de ligação a muc1 aumentada
CN113301961A (zh) 给予抗tim-3抗体的方法
AU2019328632A1 (en) Combination therapies comprising CD137/HER2 bispecific agents and PD-1 axis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11440959B2 (en) CD226 agonist antibodies
CN113045659B (zh) 抗cd73人源化抗体
CN111315398A (zh) 白介素-10与免疫检查点途径抑制剂的组合的组合物和使用方法
US20230416367A1 (en) Combination therapy of anti-pd-1 active agent, anti-tim-3 active agent, and anti-lag-3 active agent for treating cancer
JP2021529777A (ja) 進行非小細胞肺癌の治療のための標的TGF−β阻害による組み合わせ療法
JP2021523096A (ja) 未治療対象において癌を治療する際に使用するための標的tgf−β阻害のための投与計画
AU2022387678A1 (en) Sirp1a - and cd40l-based chimeric proteins
JP2023541996A (ja) SIRP1αキメラタンパク質の臨床投与
CN116848137A (zh) 抗gdf15抗体以及用于治疗癌症的给药方案
US20240182583A1 (en) Combination of anti-galectin-9 antibodies and chemotherapeutics for use in cancer therapy
WO2024052532A1 (en) Anti-gdf15 antibody used in a combination treatment of specific patient groups and a dosage regimen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20240022608A (ko) 항-tgf-베타 항체 제형 및 이의 용도
CA3217833A1 (en) Combination of anti-galectin-9 antibodies and chemotherapeutics for use in cancer therapy
KR20240058149A (ko) Vista 항원-결합 분자를 사용한 암의 치료 및 예방
TW202241513A (zh) 一種包含抗體融合蛋白的醫藥組成物及其用途
TW202417479A (zh) 用於治療癌症之抗-pd-1活性劑、抗-tim-3活性劑及抗-lag-3活性劑之組合療法
TW202214696A (zh) 條件性活性抗cd46抗體、抗體片段、其免疫結合物及其用途
CN116685352A (zh) 用gm-csf拮抗剂治疗癌症
CN116670175A (zh) Sirp1a嵌合蛋白的临床给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