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159A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Google Patents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7159A KR20230107159A KR1020230084063A KR20230084063A KR20230107159A KR 20230107159 A KR20230107159 A KR 20230107159A KR 1020230084063 A KR1020230084063 A KR 1020230084063A KR 20230084063 A KR20230084063 A KR 20230084063A KR 20230107159 A KR20230107159 A KR 202301071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apartment
- common entrance
- common
-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채의 아파트를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한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공간은 제1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간은 제2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인 아파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모델링 구조는 아파트 출입시 임차인과 임대인이 마주치지 않게 함으로써 편리하고 독립적인 프라이버시 보장을 목표로 하며, 그 결과 임차인의 수요와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다.
주거를 구입한 세대의 거주자들의 생활용량은 거주자들의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변화한다.
생활용량이란 거주하기 위해 필요한 거주 영역을 구성하는 거실, 침실, 기타 주방의 수 또는 넓이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부부 2인의 거주공간으로 예컨대 소위 1실이면 충분하지만, 아이가 생기면, 그 성장에 맞추어 1실 또는 2실이 더 필요해 지고, 아이가 결혼하면 독립된 개별 주거가 요구된다.
이후 아이 부부의 아이가 커지면 한층 더 넓은 생활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반면, 노후에는 자신들의 부부만 남게 되어 넓은 생활공간은 불필요하게 된다.
최근,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된 거주공간을 임대함으로써 노후의 생활비에 보탬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계속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건물의 리모델링(Remodeling)은 건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증축, 개축 또는 대수선하는 시공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 리모델링에 대한 각종 법규 완화와 자원 재활용 등의 장점으로 인해 공동주택 등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리모델링 공사는 초기에는 주로 오피스, 상가 건물, 병원 등의 특수한 건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주택분야, 특히, 학교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도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수도권 대부분이 규제 지역으로 묶인 가운데 전세난까지 가중되면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시 단위로도 리모델링 사업을 지원할 방안을 다양하게 준비 중이다.
리모델링 과정에서는 상대적으로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므로, 이 과정에서 아파트 세대를 구분하여 넓은 평수의 아파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에서 임대인 및 임차인, 또는 2세대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 공동의 현관을 공유하거나, 또는 현관이 독립된 경우라도 서로 마주치는 경우가 많아 생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에서 생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다면, 불편함으로 인해 임차를 꺼리는 경우가 많아 세대 분리형 구조의 이점이 상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채의 아파트임에도 불구하고, 생활 공간이 완전히 독립된 새로운 형태의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출하고자 노력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된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채의 아파트를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한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제1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간은 제2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인 아파트 구조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별개의 가구가 거주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별개의 출입문을 통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와 각각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별개의 엘리베이터와 각각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거주하는 가구는 상기 구분되는 별개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를 통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로 출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부엌 및 욕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파트 구조물은 2 이상의 생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한 채의 아파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파트 구조물은 동일한 공간에 더 많은 세대가 거주할 수 있게 하여, 도시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한 채의 아파트를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한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제1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간은 제2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인 아파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파트(Apartment)는 통상 5층 이상의 층수를 가지는 한 채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단독 세대가 살 수 있게 한 공동주택으로, 본 발명의 아파트 구조물은 새로운 형태의 완전히 독립된 세대 구분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계단식 아파트는 2가구가 엘리베이터 및 계단을 중간에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구조에서, 마주보는 가구는 출입문을 통해 출입을 할 때 엘리베이터 및 계단을 함께 사용하므로 공동의 현관(공동출입통로)에서 자주 마주칠 수 있다.
최근 한 채의 아파트를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한 세대 구분형 구조의 아파트가 개발되고 있다.
세대 구분형 아파트는 한 채의 아파트에 2 이상의 가구가 거주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며, 특히, 집 주인은 분리된 공간을 임대하는 방식으로 별개의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세대 구분형 아파트는 공간을 둘 이상으로 분리하였음에도, 실질적인 생활 공간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종래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종래 세대 구분형 아파트는 한 채의 아파트가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이 인접해 있으며, 공동의 현관을 공유하는 구조로 생활 공간이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거주하는 2가구는 지속적으로 마주칠 수 밖에 없으며, 예컨대, 임대인 및 임차인의 관계에서 자주 마주치는 상황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세대 구분형 아파트는 생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될 수 없는 한계로 인해, 임대 및 임차 수요에도 불구하고 본 구조의 아파트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아파트 구조물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생활 공간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파트 구조물은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된 세대 구분형 구조로서, 상기 제1공간은 제1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간은 제2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파트 구조물에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별개의 가구가 거주하는 구조일 수 있고,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의 출입문은 공동의 현관(공동출입통로)을 공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파트 구조물은 제2공간의 출입문이 마주보는 가구와 공동의 현관(제2공동출입통로)을 공유할 수 있으나, 상기 제2공간과 분리된 제1공간은 상기 공동의 현관을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된 한 채의 아파트에 함께 살고 있는 2 가구는 공동의 현관을 공유하지 않으므로, 출입시 마주치는 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별개의 엘리베이터 및 계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공동출입통로를 공유하지 않는 가구는 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일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거주하는 가구는 상기 구분되는 별개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를 통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로 출입할 수 있다.
즉, 제2공간에 거주하는 가구는 공동의 현관(제2공동출입통로)을 공유하는 마주보는 제2공간의 가구와 마주칠 수 있는 반면, 분리된 제1공간에 거주하는 가구와는 마주칠 수 없다.
반면, 제1공간에 거주하는 가구는 공동의 현관(제1공동출입통로)을 공유하는 마주보는 제1공간의 가구와 마주칠 수 있는 반면, 분리된 제2공간에 거주하는 가구와는 마주칠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별개의 출입문을 통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된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를 통해 생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물은 상기 구조를 통해 제1공간 및 제2공간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물론, 생활 공간도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가구는 공동출입통로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연결된 공동출입통로가 서로 분리된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간은 및 상기 제2공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넓이, 또는 형태로 분리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콘크리트 벽체를 통해 공간적으로 분리되거나, 필요에 따라 가벽 등의 구조물로 간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부엌 및 욕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각각의 가구가 거주할 수 있는 분리된 공간이므로, 한 가구가 거주할 때 필수적인 부엌 및 욕실을 각각 포함할 수 있고, 공간의 면적이나 주거 형태 등을 고려하여 방의 개수나 발코니 배치 등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별개의 가구가 거주하지 않고, 한 가구만 거주할 수도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거주 형태를 달리할 수 있는 커넥팅 룸(connecting room)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룸은 필요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제1공간 및 2공간을 분리하는 벽체 사이를 연결하는 2중의 연결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분리한 1주택에 해당하는 세대 구분형 아파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제1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간은 제2공동출입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인 아파트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별개의 가구가 거주하는 구조인, 아파트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별개의 출입문을 통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와 각각 연결된 것인, 아파트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는 별개의 엘리베이터와 각각 연결된 것인, 아파트 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에 거주하는 가구는,
상기 구분되는 별개의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를 통해 상기 제1공동출입통로 및 제2공동출입통로로 출입하는, 아파트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부엌 및 욕실을 각각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063A KR20230107159A (ko) | 2021-04-26 | 2023-06-29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3563A KR20220146825A (ko) | 2021-04-26 | 2021-04-26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KR1020230084063A KR20230107159A (ko) | 2021-04-26 | 2023-06-29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563A Division KR20220146825A (ko) | 2021-04-26 | 2021-04-26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7159A true KR20230107159A (ko) | 2023-07-14 |
Family
ID=840844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563A KR20220146825A (ko) | 2021-04-26 | 2021-04-26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KR1020230084063A KR20230107159A (ko) | 2021-04-26 | 2023-06-29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563A KR20220146825A (ko) | 2021-04-26 | 2021-04-26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20146825A (ko) |
-
2021
- 2021-04-26 KR KR1020210053563A patent/KR20220146825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3
- 2023-06-29 KR KR1020230084063A patent/KR202301071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6825A (ko) | 2022-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hatia et al. | Spatial models for the domestic commons: Communes, co‐living and cooperatives | |
US7036276B1 (en) | Directed lifestyle residential housing structures | |
Yousif et al. | An evaluation of visual privacy level in residential unit's layouts in Khartoum, Sudan | |
KR20230107159A (ko) | 세대 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구조 | |
JPH05263538A (ja) | 集合住宅 | |
KR102318860B1 (ko) |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 |
Baldwin | Housing in response to the human life cycle | |
Hirschon et al. | Housing and cultural priorities: The Asia Minor Greek refugees of 1922 | |
Yankovskaya et al. | Problems of optimization of design solutions of residential structures and their elements | |
Minami et al. | Residential history, repair, and renovation of housing complexes: KEP estate Tsurumaki 3 complex, a mid‐rise building | |
KR20210081074A (ko) |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 |
JPH0913699A (ja) | 多世帯用住宅 | |
KR20230105519A (ko) | 블록 구조 및 블록 구조를 포함하는 건물 | |
Bican |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innovative housing models in Copenhagen for social mix | |
JP2023008534A (ja) | 共同住宅およびリフォーム方法 | |
Thurmond | Adapting Lifestyle: The Dwelling | |
JPH0127217B2 (ko) | ||
Тарасов et al. | Typology and planning of residential buildings. elevator-free houses | |
Zhang et al. | Informal Transformation of Socialist Living Space: Village of Powers in Harbin, China | |
Dönmez et al. | Transformation of Konya Houses from Traditional to Contemporary in Terms Of Privacy | |
kIRSTEN DÖRMANN et al. | 13 My place in Yeoville: Housing stories | |
Brisibe et al. | The U-shaped Bungalow: A Vernacular Evolution in Post-Colonial Port-Harcourt, Nigeria | |
CN204510874U (zh) | 一种三层复式住宅 | |
Park | Internal space | |
Radoev | HYGIENIC AND ANTI-INFECTION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ANALYSIS OF DWELLINGS NEW ELEMENTS, CHANGE IN SIZE, DISTRIBUTION AND ZONING OF A BUILDING. ELECTRICAL AND MECHANICAL SYSTEMS.(PART 3)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