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275A -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275A
KR20230105275A KR1020220000604A KR20220000604A KR20230105275A KR 20230105275 A KR20230105275 A KR 20230105275A KR 1020220000604 A KR1020220000604 A KR 1020220000604A KR 20220000604 A KR20220000604 A KR 20220000604A KR 20230105275 A KR20230105275 A KR 20230105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ribs
noise reduction
nois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민
장승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275A/ko
Publication of KR2023010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크릴 등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여 소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가 개시된다.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부면과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연결된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압출재 판넬 - 상기 리브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 것; 및 진동에 의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분리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의 차체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소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출재 판넬 내에 형성된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크릴 등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공간분리 부재들을 배치하므로써, 차체 내부에 섬유형 소재와 같은 흡음재를 충진하여 사용하지 않고서도 소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BODY FOR A RAIL VEHICLE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크릴 등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여 소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원인은 차량 내부보다는 차량의 외부에 산재되어 있다. 우선, 철도차량의 소음의 원인은 크게 레일-차륜의 상호작용에 의한 소음과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소음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차체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차체의 소음을 차단하는 성능이 차량 실내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
철도차량의 차체는 차량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알루미늄 압출재를 기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차량 압출재 판넬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철도차량 압출재 판넬은 제1 베이스부(12), 제1 베이스부(12)와 마주하는 제2 베이스부(14), 및 제1 베이스부(12)의 상부면과 제2 베이스부(14)의 하부면에 연결된 복수의 리브들(16)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브들은 파도 형상의 제1 리브(16a), 제1 및 제2 베이스부들(12, 14)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리브, 제1 및 제2 베이스부들(12, 14)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3 리브를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재는 가볍지만 소음과 진동에 취약하기 때문에 내부에 흡음재를 충전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철도차량 차체 내부에 사용하는 흡음재는 섬유형 소재로서 1000Hz 이상 주파수에서 흡음율이 높지만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흡음 성능이 낮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섬유형 흡음재의 경우에는 두께를 30mm 정도로 보강한다고 하더라도 1000Hz 이하에서는 흡음률이 낮아 소음저감 효과가 낮다.
하지만, 철도차량의 경우에는 터널 주행 시 철도차량 차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유동 소음원 등 다양한 외부 소음에 의해 저주파 영역에서 높은 소음이 발생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차체의 내부에 섬유형 흡음재를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저주파 영역의 실내 소음을 저감하는데 부적절한 방법이다. 또한 섬유형 흡음재는 시간이 지날수록 경화되고 습기에 부식이 되어 흡음 성능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365954 한국공개특허 10-2014-0025037 일본등록특허 4914150 일본공개특허 2007-041110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차체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소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체 내부에 흡음재를 충진하여 사용하지 않고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크릴 등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여 소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부면과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연결된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압출재 판넬 - 상기 리브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 것; 및 진동에 의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분리 부재들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의 연장 길이는 상기 리브들 각각의 연장 길이 보다 작고, 상기 압출재 판넬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의 연장 길이는 상기 리브들 각각의 연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상기 리브들 각각은 바텀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되고 탑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웨이브 형상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I-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은 V-자 형상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고서, 상기 웨이브 형상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상기 리브들 각각은 바텀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되고 탑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웨이브 형상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I-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은 막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웨이브 형상의 리브와 상기 I-자 형상의 리브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압출재 판넬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차체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소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출재 판넬 내에 형성된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크릴 등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공간분리 부재들을 배치하므로써, 차체 내부에 섬유형 소재와 같은 흡음재를 충진하여 사용하지 않고서도 소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차량 압출재 판넬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역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영역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에 음향 가진을 인가하여 진동저감 영향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소음 성능 향상을 위해 내부 일부 공간 제어된 알루미늄 압출재에 음향 가진을 인가하여 진동저감 영향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의 외부 음향 가진에 따른 진동 저감 영향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7b는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외부 음향 가진에 따른 진동 저감 영향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일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실제 구현 사진이다.
도 9는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와 도 9에 도시된 내부 일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 각각에 대응하는 소음 비교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체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실제 구현 사진이다.
도 11은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와 도 10에 도시된 내부 전체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 각각에 대응하는 소음 비교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역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특히, 내부 일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100)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100)는 압출재 판넬(110) 및 압출재 판넬(11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공간분리 부재들(120)을 포함한다.
압출재 판넬(110)은 제1 베이스부(112), 제1 베이스부(112)와 마주하는 제2 베이스부(114), 및 제1 베이스부(112)의 상부면과 제2 베이스부(114)의 하부면에 연결된 복수의 리브들(116)을 포함한다.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리브들(116) 중 적어도 하나는 바텀부가 제1 베이스부(112)에 경사지게 연결되고 탑부가 제2 베이스부(114)에 경사지게 연결된 웨이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브의 탑부와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공간이 정의되고, 리브의 바텀부와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공간이 정의된다.
또한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리브들(116)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부가 제1 베이스부(112)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베이스부(114)에 수직하게 연결된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브 형상의 리브, 수직한 I-자 형상의 리브,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공간이 정의된다. 또는 서로 인접하는 수직한 I-자 형상의 리브들(116),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공간이 정의된다.
또한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리브들(116)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부가 제1 베이스부(112)에 경사지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베이스부(114)에 경사지게 연결된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브 형상의 리브, 경사진 I-자 형상의 리브,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공간이 정의된다. 또는 수직한 I-자 형상의 리브, 경사진 I-자 형상의 리브,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공간이 정의된다.
리브들(116)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압출재 판넬(1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압출(extruding) 가공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부(112)의 길이나 제2 베이스부(114)의 길이, 리브들(116)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공간분리 부재들(120)은, 철도차량 차체(100)의 진동에 의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리브들(116)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브들(116)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분리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공간분리 부재들(120)은 플랫한 판넬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플랫한 판넬 형상을 갖는 공간분리 부재는 웨이브 형상의 리브, 경사진 I-자 형상의 리브,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플랫한 판넬 형상을 갖는 공간분리 부재는 경사진 I-자 형상의 리브, 수직한 I-자 형상의 리브,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공간분리 부재는 웨이브 형상의 리브와 제1 베이스부(112) 및 제2 베이스부(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간분리 부재는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출재 판넬(110)의 소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내부 공간을 공간분리 부재들(120)을 통해 구분시켜 소음 전달 음향 모드를 제어한다. 즉, 압출재 판넬(110)에서 리브들(116)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을 공간분리 부재를 통해 절반으로 나누어 발생하는 음향 모드를 변경하여 소음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출재 판넬(110)의 내부 공간이 리브들(116)에 의해 분리(또는 구획)된 경우, 공간분리 부재들(120)이 압출재 판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압출재 판넬(110)의 긴 평판을 보강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진동을 저감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압출재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향 모드가 생길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인위적으로 줄여주기 때문에 소음 발생의 주파수 영역에 변동을 주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영역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특히, 내부 전체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200)가 도시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200)는 압출재 판넬(110) 및 압출재 판넬(110)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공간분리 부재들(220)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철도차량 차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철도차량 차체(100)에 비교할 때, 공간분리 부재들(220)의 길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간분리 부재들(220)은, 진동에 의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분리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공간분리 부재들(220)은 플랫한 판넬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분리 부재들(220) 각각의 길이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압출재 판넬(110)의 길이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출재 판넬(110)의 내부 공간이 리브들에 의해 분리(또는 구획)된 경우, 공간분리 부재들(220)이 압출재 판넬(110)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압출재 판넬(110)의 긴 평판을 보강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진동을 저감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압출재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향 모드가 생길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인위적으로 줄여주기 때문에 소음 발생의 주파수 영역에 변동을 주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a는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에 음향 가진을 인가하여 진동저감 영향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소음 성능 향상을 위해 내부 일부 공간 제어된 알루미늄 압출재에 음향 가진을 인가하여 진동저감 영향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의 외부 음향 가진에 따른 진동 저감 영향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7b는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외부 음향 가진에 따른 진동 저감 영향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7a를 참조하면,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에 음향 가진을 인가하면 250Hz의 주파수 영역, 400Hz의 주파수 영역, 550Hz의 주파수 영역, 680Hz의 주파수 영역, 810Hz의 주파수 영역, 900Hz의 주파수 영역, 1000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외부 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7b를 참조하면, 내부 일부 공간 제어된 알루미늄 압출재에 음향 가진을 인가하면 740Hz의 주파수 영역, 810Hz의 주파수 영역에서만 외부 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 보강에 따른 저주파수 영역, 즉 20~1000Hz에서 외부 가진에 의한 진동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론적인 접근 및 기대 효과에 대한 실증을 위해 실제 시험 시편을 제작하여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와의 비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소음 저감 성능이 3dB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일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실제 구현 사진이다. 도 9는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와 도 9에 도시된 내부 일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 각각에 대응하는 소음 비교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일부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경우,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의 투과손실 계수 37dB에 비해 투과손실 계수가 40dB로 3dB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250Hz의 주파수 영역에서는 4.4dB 이상의 소음이 향상되는 등 200Hz에서 5000Hz까지 전 주파수 영역에서 대체로 소음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체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실제 구현 사진이다. 도 11은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와 도 10에 도시된 내부 전체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 각각에 대응하는 소음 비교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 전체 삽입형 철도차량 차체의 경우,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의 투과손실 계수가 37dB인 것에 비해, 투과손실 계수가 41dB로 4dB 이상 소음 차단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250Hz에서 기존 알루미늄 압출재에 비해 5.4dB 소음 성능이 향상되는 등 160Hz에서 5000Hz까지 전 주파수 영역에서 소음 차단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차체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소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출재 판넬 내에 형성된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아크릴 등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공간분리 부재들을 배치하므로써, 차체 내부에 섬유형 소재와 같은 흡음재를 충진하여 사용하지 않고서도 소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0, 200 : 철도차량 차체 110 : 압출재 판넬
12, 112 : 제1 베이스부 14, 114 : 제2 베이스부
16, 116 : 리브들 120, 220 : 공간분리 부재들

Claims (6)

  1.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부면과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연결된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압출재 판넬 - 상기 리브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된 것; 및
    진동에 의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들 각각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분리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의 연장 길이는 상기 리브들 각각의 연장 길이 보다 작고, 상기 압출재 판넬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의 연장 길이는 상기 리브들 각각의 연장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4. 제1항에 있어서,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상기 리브들 각각은 바텀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되고 탑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웨이브 형상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I-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은 V-자 형상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고서, 상기 웨이브 형상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5. 제1항에 있어서,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상기 리브들 각각은 바텀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되고 탑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웨이브 형상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I-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 각각은 막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웨이브 형상의 리브와 상기 I-자 형상의 리브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재 판넬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분리 부재들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KR1020220000604A 2022-01-03 2022-01-03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KR20230105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604A KR20230105275A (ko) 2022-01-03 2022-01-03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604A KR20230105275A (ko) 2022-01-03 2022-01-03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275A true KR20230105275A (ko) 2023-07-11

Family

ID=8715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604A KR20230105275A (ko) 2022-01-03 2022-01-03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27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4150B1 (ko) 1969-05-08 1974-04-05
KR100365954B1 (ko) 2000-12-12 2002-1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차량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JP2007041110A (ja) 2005-08-01 2007-02-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透明な制御対象板用振動・騒音低減デバイス及び透明窓用振動・騒音低減装置
KR20140025037A (ko) 2012-08-21 2014-03-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소음 흡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하부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4150B1 (ko) 1969-05-08 1974-04-05
KR100365954B1 (ko) 2000-12-12 2002-1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차량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JP2007041110A (ja) 2005-08-01 2007-02-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透明な制御対象板用振動・騒音低減デバイス及び透明窓用振動・騒音低減装置
KR20140025037A (ko) 2012-08-21 2014-03-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소음 흡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하부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397A (en) Sandwich plate for use as motor-vehicle body part
US20060289229A1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bod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2222881B1 (ko)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JP6190291B2 (ja) 吸音パネル
US6705268B2 (en) Engine noise barrier
US5410111A (en) Housing lining
JP4050632B2 (ja) 吸音構造体
KR20230105275A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 차체
DE19952689A1 (de) Schalldämmwand und Verwendung derselben
JP2003295867A (ja) 吸音構造体
RU2149788C1 (ru) Шумовибродемпфирующий узел панел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45939Y1 (ko) 흡음형 방음 패널
KR102089503B1 (ko) 흡음재가 없는 회절 소음 소멸형 투명 방음판용 프레임
WO2018189879A1 (ja) 鉄道車両
JP3944473B2 (ja) 遮音性軽量構造部材
JP3658644B2 (ja) 上方に放射される交通騒音の低減構造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JP4437278B2 (ja) 防音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防音構造
KR20010078658A (ko) 흡음형 방음판넬
DE102019112758A1 (de) Leichte Ölwanne mit integrierter thermischer Isolierung und Schwingungsdämpfung
Cherng et al. Characterization and validation of acoustic cavities of automotive vehicles
JP4289765B2 (ja) 上方に放射される交通騒音の低減装置
US20230154447A1 (en) Porous skin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ips and an acoustic attenuation panel comprising such a porous skin
JP2004042735A (ja) 車両用スカート体
CN214112536U (zh) 一种轨道车辆车体的车身板及轨道车辆车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