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038A -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038A
KR20230104038A KR1020220189646A KR20220189646A KR20230104038A KR 20230104038 A KR20230104038 A KR 20230104038A KR 1020220189646 A KR1020220189646 A KR 1020220189646A KR 20220189646 A KR20220189646 A KR 20220189646A KR 20230104038 A KR20230104038 A KR 2023010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lient
doctor
treatment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Priority to PCT/KR2022/0217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28692A1/ko
Publication of KR2023010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시된다.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에 연관되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진료접수를 완료하고 진료실에 접속요청 하는 경우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상기 진료실에 입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접속 중인 경우에 의사 단말에 연관되는 의사 클라이언트의 화상연결 접속을 처리하여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 사이의 화상연결을 시작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EDICINE SERVICE}
아래의 설명은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의료(Telemedicine)는 원거리에서 임상 헬스 케어를 제공하기 위해 원거리 통신과 정보 기술을 이용한다. 거리의 장벽을 없애고, 의료 서비스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많은 경우에, 거리 때문에 지속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받기가 어려운 지방 쪽에서 원격 의료를 이용한다. 또한 중환자 관리나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살리는 데에도 쓰인다. 최근에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만성 질환 및/또는 재진 환자 진료 등에 제한적으로 원격 의료가 허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4543호(등록일 2008년07월01일)에는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6816호(등록일 2002년12월18일)에는 원격 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진료 효율을 높인다.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면 진료와 같이, 의료인이 환자 진료를 개시하려 할 때 환자가 원격의료를 위해 준비되어 있게 함으로써 많은 환자를 봐야 하는 의료인이 불필요하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한다.
통상적 서비스들은 환자의 진료 예약 후 정확한 시간의 약속 없이 의료진이 환자에게 연락을 취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의료진이 환자에게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필요하며, 환자가 그 연결 시도를 놓쳐버린 경우 의료진은 반복적인 연결 시도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환자측 에서도 예상하지 못하는 시간에 반복적으로 연락을 받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과 비효율을 방지함으로 원격 진료가 양쪽에서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또한, 원격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도 원격진료를 위한 절차 진행 중에 지루한 대기 시간 없이 시간-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환자 또는 고객의 집중도를 높인다.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와 원격의료 서비스 접속 환자의 진료 순서를 최적화한다.
환자가 진료실에서 대기하는 것을 확인하여 의사의 즉시 진료 가능성을 보장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시된다. 상기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서버 급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모바일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설치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연관되는 연산을 처리하여 하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 단말에 연관되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진료접수를 완료하고 진료실에 접속요청 하는 경우에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상기 진료실에 입장시킨다.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병원 및/또는 의사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의사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며, 또한 환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환자 클라이언트와도 연결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별도로 단말기에 설치되는 오리지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고, 웹(web) 기반으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되는 페이지로서 앱(app)을 대체하는 웹 페이지일 수도 있다.
실제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면 진료의 경우, 환자는 의사와 만나기 위해 대기 공간에서 대기하다가 본인의 순서가 되면 입장하고, 이로써 의사는 별다른 지연 없이 환자와의 즉시 진료 시작을 보장받는다. 그러나 원격의료의 경우, 종래에 소개된 서비스들은 대부분 환자가 온라인 진료를 신청해 놓고 의사(또는 병원) 측이 환자에게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접속은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등일 수 있다. 그런데, 원격진료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상황이고, 실제 사람과 사람이 직접 대면하여 만나는 상황이 아니므로 환자는 의사와의 원격진료를 기다리던 중에 진료 대기를 하지 않고 다른 작업을 하거나, 단말기를 두고 다른 곳으로 가는 등, 의사가(또는 병원이) 진료를 시작하고자 할 때 즉시 진료 가능성이 보장되지 않는 불편이 있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환자가 진료를 위해 실제 준비된 상태인지, 그래서 의사가 진료 절차를 시작하면 즉시 진료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해서, 이를 의사 및/또는 병원측 클라이언트에서 알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접속 중이고, 그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에 의사 단말에 연관되는 의사 클라이언트의 화상연결 접속을 처리한다.
이로써 환자가 원격의료를 위해 준비되어 있는지 알고 의사나 병원이 진료 개시 요청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환자를 봐야 하는 의사와 병원이 연결 지연이나 연결 실패를 겪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의사의 환자에 대한 즉시 진료 개시 가능성을 보장하여 병원과 의사의 진료 효율 개선에 기여한다.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한 접속 유지의 모니터링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지를 반복하여 체크하고,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지의 여부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의사는 상기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에 대해 진료 시작 요청을 하고, 이로써 의사가 진료를 개시하고자 할 때 환자와의 연결 및 진료 개시에 실패하는 확률을 낮춘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이러한 환자 클라이언트의 접속 유지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HTML 5 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활용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와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서 미리 지정된 응답을 하고 있는 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응시 중인지 확인하여 진료 개시 가능성을 확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환자 단말기에 연관되는 카메라에서 상기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사람이 식별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환자 클라이언트는 환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 등 퍼스널 디바이스일 것이므로, 해당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누군가 응시하고 있다면 환자는 진료 개시를 기다리며 실제 준비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환자 단말기에 연관되는 카메라에서 상기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사람이 식별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프로세서는 모바일넷츠(MobileNets)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입베디드 비전(embedded vision) 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뎁스-와이즈 세퍼러블 컨볼루션(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s) 구조에 기반하고, 두 개의 단순한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를 가질 수 있다. 이 두 가지 하이퍼-파라미터는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하이퍼-파라미터의 크기도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넷츠(MobileNets) ver. 1 모델을 이용하는 얼굴 인식 오픈 소스인 페이스 에이피아이(face-api)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에 연관된 환자 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얼굴이 인식되고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그 체크에 대한 결과 값은 0과 1 사이의 값으로 제공되며, 그 결과 값이 1에 가까울 수록 얼굴이 인식되고 있다고 판정을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임계치를 설정하고, 상기 결과 값이 상기 임계치 이상의 값인 경우에는 환자가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실에서 카메라를 보며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고 판단한다. 만약 미리 지정된 시간, 이를테면 5초 이상 상기 결과 값이 계속하여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경우는 상기 환자가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실에서 기다리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을, 병원 또는 의사 클라이언트에 제공함으로써, 의사와 병원 측에서 해당 환자는 진료실에서 대기 중이 아님을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의사는 진료의 즉시 개시에 실패할 확률이 높은 미대기 환자에게 연결(진료 개시 요청)하지 않도록 회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정 값이 상기 미리 지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화면을 응시하고 진료를 기다리라는 메시지가 상기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한 이벤트 모니터링
의사가 원격진료를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환자가 준비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진료실 화면 상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의사 또는 병원이 선택한 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이를테면, 해당 의사가 출연하는 유튜브 영상, 병원이나 의사를 알리는 홍보 사진이나 영상, 질병이나 치료에 관한 정보 제공 컨텐츠, 의료기기나 용품 또는 의약품에 대한 광고 컨텐츠 등이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언급된 일부 예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환자가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해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가 감지되고, 해당 감지 결과가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공 중단 입력(닫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컨트롤 입력(이를 테면 재생하기, 일시정지하기 또는 앞/뒤 탐색),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추가 링크 선택(이를 테면 추천 동영상 재생, 광고대상 물품의 구매하기 링크 클릭/탭핑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다. 이러한 이벤트는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환자의 진료 준비 상태 모니터링
의사가 원격진료를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환자가 준비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추가 실시예가 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환자 단말기에 통증스케일점수(VAS) 입력, 약물 부작용 정보 입력, 과거 진료에 대한 설문 응답 입력, 의사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사항 입력, 환자의 환부 사진 입력, 또는 환자의 증상 설명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청을 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입력 요청에 응해, 무엇인가 정보를 입력하고 있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환자가 진료실에서 진료 개시를 기다리고 있음을 확인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원격진료가 개시된 후에 의사가 문진하여 얻을 정보를 미리 획득함으로써 진료 시간을 줄이고 진료 품질을 높게 만드는 데에 기여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환자가 요청받은 정보를 입력 중인지의 여부(즉 환자가 진료 개시 가능 상태인지)를 의사가 알 수 있게 하고, 또한 필요한 정보가 어느 정도로 입력되었는지의 정량적 평가를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대해 정보를 입력 중인 환자가 여러 명 있을 때는, 상기 의사가 먼저 준비된 환자를 선택하여 진료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정보 입력이 완전히 마쳐지지 않았더라도 정보를 입력 중인 환자에 대해 진료 개시를 요청하는 경우라면 의사는 적어도 진료의 즉시 개시 가능성을 높은 확률로 보장받는다.
대기 중인 환자에 대한 진료 준비 상태의 평가 및 진료 대상 선정 가능성 제공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환자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각각의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 준비 상태를 각각 평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대부분 먼저 진료 접수를 하고 기다리는, 또는 진료 예약 시간이 빠른 환자가 먼저 의사를 만난다. 그러나, 온라인 접속의 경우 먼저 진료 접수를 하고 진료 대기 중인 환자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진료받을 준비가 안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입선출(First-In First-Out: FIFO)로 환자 진료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준비되거나 먼저 진료에 필요한 사항을 완료한 환자를 의사나 병원이 알 수 있게 하여 진료 효율을 높인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가 개별 환자 클라이언트의 상기 준비 상태를 평가하는 과정은 다양한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화에 기초할 수 있다. 이를테면 어떤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상기 준비 상태는,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연관된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람이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서 인식되는지 여부,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요청된 입력 정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미리 지정된 기준의 진료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도,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기존의 평균 진료 시간에 따라 평가되는 진료 순응도, 또는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가 만성 질환자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대기 중인 환자에게 예상 대기 시간 안내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상기 진료실에 입장시키는 경우, 예상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원격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환자의 입장에서도 대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들은 의사가 진료를 개시하고자 할 때는 언제든 그 환자가 화면을 보면서 의사와 바로 대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예상 대기 시간 동안 해당 환자 클라이언트를 종료하거나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환자가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는 하되 진료 대기실에서 환자 클라이언트에 집중하며 기다리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언급한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한 컨텐츠 제공이 될 수 있다. 환자는 진료를 대기하고 있어야 의사의 시작에 의해 진료가 개시되므로 진료실 화면에 머물고, 이로써 상기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보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할 때, 이미 동일한 의사의 상기 진료실에 입장한 다른 환자 클라이언트들의 수, 또는 병원에 내원하여 상기 의사와의 대면 진료를 위해 병원 내에서 진료 대기 중인 환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이 경우,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은 상기 의사의 이전 원격의료 평균 진료시간에 현재 원격의료 대기 중인 선 접수 환자의 수를 곱한 제1 시간, 및 상기 의사의 이전 평균 진료시간에 현재 상기 병원에 내원하여 상기 의사의 진료를 대기하고 있는 환자의 수를 곱한 제2 시간의 합이 반영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시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진료 효율이 높아진다. 마치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면 진료와 같이, 의료인이 환자 진료를 개시하려 할 때 환자가 원격의료를 위해 준비되어 있게 함으로써 많은 환자를 봐야 하는 의료인이 불필요하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한다.
통상적 서비스들의 경우, 환자의 진료 예약 후 정확한 시간의 약속 없이 의료진이 환자에게 연락을 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료진이 환자에게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의료진이 시간을 낭비하거나 그 외 대기시간이 필요하며, 환자가 그 연결 시도를 놓쳐버린 경우 의료진은 반복적인 연결 시도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환자측 에서도 예상하지 못하는 시간에 반복적으로 연락을 받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불편과 비효율이 방지되어 원격 진료가 양쪽에서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도 원격진료를 위한 절차 진행 중에 지루한 대기 시간 없이 시간-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필요한 정보의 사전 입력하거나, 유용한 의료정보를 얻거나, 기타 병원과 의료진에 대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어 시간 효율적이며 오프라인 현장 대면 진료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진료실에서 대기하며 화면을 주시하기 때문에, 진료실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환자 또는 고객의 집중도가 높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에 직접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와 원격의료 서비스 접속 환자의 진료 순서가 최적화된다. 이로써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진료 병원의 병원 고객관리와 경영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와 환자 단말기, 의사 단말기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기에서 환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진료 접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라 진료실에 입장한 환자에게 컨텐츠가 제공되는 예시적 화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진료 우선 순위와 진료 순서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진료가 시작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과 구현을 제공하는 것이면, 시스템 온 칩(SoC) 형태의 하드웨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범용 컴퓨팅 장치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병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연결을 위한 지능형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의 형태 자체는 다양하며, 전자 장치의 형태와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기능 외의) 주용도는 전술한 사항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와 환자 단말기, 의사 단말기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개요도에서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버 급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모바일 전자 장치 등에 의해 구현되며, 이들 중 복수 개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단말기(101)와 연결되고, 또한 의사 단말기(102), 병원단말기(103)와도 연결된다. 각각의 단말기들(101 내지 103)도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전자 장치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기들(101 내지 103)의 각각에는 편의상 '클라이언트'라고 지칭하는 소프트웨어 수단이 존재한다.
환자 단말기(101)에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실행된다. 의사 단말기(102)에서는 의사 클라이언트가, 병원 단말기(103)에는 병원 클라이언트가 각각 실행된다. 여기서 병원 클라이언트는 진료를 하는 의료인(의사)가 아닌 병원의 행정직원이나 간호사가 진료를 접수 받고, 병원비를 수납하는 등의 진료 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병원 클라이언트가 의사 클라이언트와 별개로 존재하는 예가 언급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 둘의 클라이언트는 하나로 통합 운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들(101 내지 103)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는 설치되는(installed) 오리지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고, 웹(web) 기반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되는 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일 수도 있으며, 또는 앱과 웹의 성격을 함께 갖는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개발자에게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며 실시예들의 설명이 어느 한 가지의 예를 언급하더라도 다른 구현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100)의 구현과 동작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다.
환자가 진료실에서 대기하는 것을 확인하여 의사의 즉시 진료 가능성을 보장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유선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래이(FPGA) 등 현대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하는 범용 또는 전용 하드웨어 자원(resource)이다. 프로세서(120)는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며 그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101)에 연관되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진료접수를 완료하고 진료실에 접속요청을 해온다. 그러면 병원 및/또는 의사의 승인에 따라 상기 환자의 계정을 진료실이라고 하는 단계로 입장시킨다. 이는 진료 접수 과정에서 진료 대기 과정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진료실은 의사가 진료를 개시하면 즉시 서로의 화상 및/또는 음성 통화가 시작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는 단계이다. 마치 오프라인의 실제 병원에서, 환자를 간호사가 진료실 안으로 안내하여 진료를 볼 곳에서 기다리게 하고, 환자가 준비되어 있음을 의사에게 보고하면 의사가 준비되었을 때 들어와서 바로 환자와의 진료를 시작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이다. 대학병원에 가면 의사가 인접한 두 개의 진료실을 오가며 진료를 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한 진료실에서 그 의사의 진료가 이루어지는 동안, 옆 진료실에는 간호사가 다음 환자를 입장하게 해서 진료 준비를 시킨다. 이 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이나 기타 수단을 통해, 차트, 필요한 의료 영상, 검사 결과 등의 정보를 준비하여 둠으로써 바쁜 의사가 그러한 준비 과정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
의사는 진료를 보던 방에서 현재 환자의 진료를 마치고, 필요한 차팅(charting)을 한 후, 바로 옆으로 이동하면 준비되어 있는 환자와 즉시 진료를 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여, 같은 수의 환자를 보더라도 실질적으로 진료의 본질에 충실할 수 있고, 진료의 딜레이로 인한 환자 불편을 줄이고, 더 많은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의 역할은 원격의료 서비스를 환자 단말(101)과 의사 단말(102) 사이에 제공하는 데서 더 나아가, 이러한 진료 효율의 개선을 통해, 의료인과 환자 모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전에 소개된 원격의료 보조 서비스 수단들은 대부분 환자가 온라인(원격) 진료를 신청해 놓고 있으면, 의사(또는 병원) 측이 환자에게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접속은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등일 수 있다. 그런데, 원격진료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상황이고, 실제 사람과 사람이 직접 대면하여 만나는 상황이 아니므로, 환자는 의사와의 원격진료를 기다리던 중에 진료 대기를 하지 않고 다른 일을 하거나, 단말기를 두고 다른 곳으로 가버릴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의사(또는 병원)가 진료를 시작하고자 할 때 즉시 진료 가능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환자가 진료를 위해 실제 준비된 상태인지, 그래서 의사가 진료 절차를 시작하면 즉시 진료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러한 체크 결과를 의사 단말기(102)를 통해 의사가 알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환자 단말기(101)를 통해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접속 중이고, 그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중인 경우에 의사 단말(102) 측의 의사 클라이언트의 화상연결 접속 요청을 처리한다.
만약 환자 클라이언트 측에 대한 체크 결과, 환자가 통화 중이거나, 화면을 보고 있지 않고 자리를 비웠거나, 단말기(101)로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등 의사가 진료를 시작하고자 할 때 진료가 바로 시작되지 않고 의사를 기다리게 할 만한 상황이라면 의사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알리는 데에 그치지 않고 '환자가 진료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다른 환자를 먼저 진료하도록 의사에게 선택권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배려에 의해 의사는 진료 접수를 하고 진료 대기실로 입장한 환자들 중, 어떤 환자가 진료의 시작을 위해 준비되어 있는지 알고, 잘 준비된 환자를 선택하여 진료 개시를 할 수 있고, 따라서 의사와 병원이 연결 지연이나 연결 실패로 인한 비효율을 겪지 않도록 한다. 준비가 되지 않은 환자는 병원 직원 또는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환자 단말에 준비를 하고 있어야 진료가 시작됨을 알리는 등으로 진료 준비(앱을 종료하지 않고, 다른 작업을 하지 않고, 해당 진료실 화면을 주시하며 대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의사의 환자에 대한 즉시 진료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기(101)에서 환자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진료 접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사의 성명, 사진, 자격 프로필 등의 정보(310)를 확인한 환자가 그 의사에게 원격진료 신청하기 버튼(320)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요청이 병원 클라이언트 및/또는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환자는 진료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는 증상, 결제수단 설정, 연락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마치면 진료 접수가 완료된다. 그러면 환자 클라이언트는 병원 및/또는 의사의 승인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 승인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가 바로 의사를 대면하는 것이 아니라, '진료실'이라고 하는 곳으로 입장하도록 요청을 받는다. 이러한 입장 요청은 환자 클라이언트에서의 메시지 팝업, SNS를 통한 메시징, 통신 서비스의 텍스팅, 단말기(101)의 푸쉬 알람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된다.
'진료실 입장'은 의사 클라이언트나 병원의 승인(또는 입장 초대)에 의해 시작되는 점에서 단순히 진료를 접수해 놓은 상태와는 다르다. 따라서 진료접수만 마치면 무작정 진료실 입장을 통해 환자가 마냥 의사를 기다려야하는 것이 아니다. 환자의 입장에서도 얼마를 기다릴지 모르는데 아무것도 안 하고 의사가 진료를 시작하기만 기다리는 것은 불편하다. 따라서, '진료실 입장' 요청 절차를 둠으로써 환자도 진료가 개시될 무렵 다른 일을 멈추고 의사의 진료 개시를 적절한 수준에서 기다리고, 의사의 입장에서도 진료실에 들어와 있는 환자는 높은 확률로 즉시 진료 개시 가능성이 있으므로 서로 편리하다. 진료실 입장을 요청받은 환자가 진료실에 안 들어오고 있는 경우, 또는 진료실에 들어와서도 진료 시작을 기다리지 않고 그 사이에 또 다른 일을 하는 등 진료 준비가 안 된 경우, 의사는 이 상황을 미리 인지하여 그 환자에 대해서는 진료 시작을 미루고 다른 환자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진료에서의 대면 실패는 종전에 비해 크게 낮아진다.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들을 통해, 이 진료실 입장 후 환자가 준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하고 의사 클라이언트에 알리는 다양한 방법이 게시된다.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한 접속 유지의 모니터링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진료실에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반복하여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사는 진료실에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에 대해 진료 시작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이러한 환자 클라이언트의 접속 유지 모니터링을 위해 프로세서(120)는, HTML 5 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활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환자 클라이언트와 신호를 교환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환자 클라이언트가 진료실에서 미리 지정된 응답을 하고 있는지의 결과에 따라 접속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 단말기(101)에서 원격의료 서비스 소프트웨어가 종료되거나, 환자 클라이언트가 다시 진료실에서 나가기(go out)하거나 여하간의 사정으로 환자가 진료실에서 의사의 진료 개시를 기다리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 이를 의사와 병원이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환자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응시 중인지 확인하여 진료 개시 가능성을 확인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진료실에 입장한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환자 단말기(101)에 연관되는 카메라에서 그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사람이 식별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그 확인 결과를 의사 클라이언트 및/또는 병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환자 클라이언트는 환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 등 퍼스널 디바이스일 것이므로, 해당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누군가 응시하고 있다면 그 환자는 입장 이후 여전히 진료실에 머물며, 의사의 진료 개시를 기다리고 있는 준비된 환자일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진료실에 입장한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환자 단말기에 연관되는 카메라에서 상기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사람이 식별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프로세서는 모바일넷츠(MobileNets)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입베디드 비전(embedded vision) 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뎁스-와이즈 세퍼러블 컨볼루션(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s) 구조에 기반하며, 두 개의 단순한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를 가질 수 있다. 이 두 가지 하이퍼-파라미터는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하이퍼-파라미터의 크기도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모바일넷츠(MobileNets) ver. 1 모델을 이용하는 얼굴 인식 오픈 소스인 페이스 에이피아이(face-api)를 이용하여 환자 클라이언트에 연관된 환자 단말기(101)의 카메라에서 얼굴이 인식되고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그 체크에 대한 결과 값은 0과 1 사이의 값으로 제공되며, 그 결과 값이 1에 가까울 수록 얼굴이 인식되고 있다고 판정을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임계치(threshold)를 설정하고, 상기 결과 값이 그 임계치 이상의 값인 경우에는 환자가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실에서 카메라를 보며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고 판단한다. 만약 미리 지정된 시간, 이를테면 5초 이상 상기 결과 값이 계속하여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경우는 상기 환자가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실에서 기다리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병원 또는 의사 클라이언트에 해당 환자는 진료실에서 대기 중이 아니라는 판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의사는 진료의 즉시 개시에 실패할 확률이 높은 미대기 환자에게 연결(진료 개시 요청)하지 않도록 회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정 값이 상기 미리 지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화면을 응시하고 진료를 기다리라는 요청이 상기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앱 실행 중의 팝업, SNS를 통한 메시지 전송, 문자 전송(texting), 시스템 알람, 푸쉬 알람 전송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음성 출력을 통해 환자 단말기(101)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치 스마트폰에서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중에 다른 앱을 실행하더라도 음성이 출력되는 것과 유사한 처리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진료실에서 진료 개시를 위해 준비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위해, 프로세서(120)가 다른 방법을 선택적으로 및/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진료실에서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고, 환자가 환자 클라이언트와 인터페이싱 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라 진료실에 입장한 환자에게 컨텐츠가 제공되는 예시적 화면이다.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한 이벤트 모니터링
의사가 진료실에 있는 환자와 원격진료를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환자가 준비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에 그 진료실 화면 상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의사 또는 병원이 선택한 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이를테면, 해당 의사가 출연하는 유튜브 영상(도 4의 410), 병원이나 의사를 알리는 홍보 사진이나 영상(미도시), 질병이나 치료에 관한 정보 제공 컨텐츠(미도시), 의료기기나 용품 또는 의약품에 대한 광고 컨텐츠(도 5의 510) 등이 제공되는 컨텐츠의 예이다. 다만, 이것들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언급된 일부 예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환자가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해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가 감지되고, 해당 감지 결과가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이벤트는,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제공 중단 입력(닫기)일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그만 보기(Stop watching)(420)이나 도 5에 도시된 광고 닫기(Close Ads.)(530) 등이다. 환자가 이러한 컨텐츠 제공 중단을 선택한다는 것은 적어도 그 순간에는 환자가 진료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보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때는 의사가 진료 개시를 하는 경우 환자와 바로 대면할 확률이 높다.
실시예들은 컨텐츠를 제공하여 환자가 진료실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도 하지만, 환자가 무엇인가 입력을 하는지 여부를 이벤트 모니터링으로 감지하여 여전히 환자가 진료를 받을 준비 중에 있는지 판단한다. 그러한 이벤트 모니터링을 하지 않으면 환자가 영상이나 광고가 제공되는 동안 단말기(101)를 놓고 다른 곳으로 가서 진료 개시에 준비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벤트 모니터링은 도 4에서 제시된 영상 컨텐츠(410)에 대한 재생 컨트롤 입력(이를 테면 재생하기, 일시정지하기 또는 앞/뒤 탐색)도 포함된다. 그리고 도 5에서 제시된 광고 컨텐츠(510)에 연관되는 추가 링크(520)의 선택(이를 테면 추천 동영상 재생, 광고대상 물품의 구매하기 링크 클릭/탭핑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벤트는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이벤트 리스너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관리될 수 있고, 이벤트 리스너에의 접근은 메모리(130)의 도움을 받아 프로세서(120)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환자의 진료 준비 상태 모니터링의 다른 예
의사가 원격진료를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환자가 준비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추가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6에서 도시되고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환자 단말기(101) 상에서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정보 입력, 이를테면 통증스케일점수(VAS) 입력(610)을 요청할 수도 있다. 통증스케일점수 외에도, 약물 부작용 정보 입력(미도시), 과거 진료에 대한 설문 응답 입력(미도시), 의사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사항 입력(미도시), 환자의 환부 사진 입력(미도시), 또는 환자의 증상 설명 입력(미도시) 등도 가능하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사용자가 이러한 입력 요청에 응해, 무엇인가 정보를 입력하고 있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환자가 진료실에서 진료 개시를 기다리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이러한 정보 입력은 원격진료가 개시된 후에 의사가 문진하여 얻을 정보를 미리 획득함으로써 진료 시간을 줄이고 진료 품질을 높게 만드는 데에도 기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환자가 요청받은 정보를 입력 중인지의 여부(즉 환자가 진료 개시 가능 상태인지)를 의사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한 정보가 어느 정도로 입력되었는지의 정량적 평가를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요청들에 대해 정보를 입력 중인 환자가 여러 명 있을 때는, 먼저 준비된 환자, 이를테면 입력 완료(620)를 누른 환자를 의사가 선택하여 진료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정보 입력이 완전히 마쳐지지 않았더라도 정보를 입력 중인 환자에 대해 진료 개시를 요청하는 경우라면 의사는 적어도 진료의 즉시 개시 가능성을 높은 확률로 보장받는다.
한편, 원격의료를 통해 환자를 보는 의사는 대부분 병원에서 실제 내원한 환자도 병행해서 보게 된다. 따라서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원격의료 서비스를 돕는 것과 함께 병원에 내원한 환자들과의 사이에서 원격의료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병행되도록 돕는다.
대기 중인 환자에 대한 진료 준비 상태의 평가 및 진료 대상 선정 가능성 제공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진료 우선 순위와 진료 순서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120),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환자 클라이언트(711, 712, 713 및 714)가 동시에 상기 진료실에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각각의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 준비 상태를 각각 평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대부분 먼저 진료 접수를 하고 기다리는, 또는 진료 예약 시간이 빠른 환자가 먼저 의사를 대면한다. 그러나, 온라인 접속의 경우 먼저 진료 접수를 하고 진료실에서 대기 중인 환자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진료 준비가 안 되어 있거나 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입선출(First-In First-Out: FIFO)로 환자 진료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진료실에서 대기 중인 환자들의 환자 클라이언트(711 내지 714) 중에서 먼저 준비되거나 먼저 진료에 필요한 사항의 입력을 마친 환자를 의사나 병원이 알 수 있게 하여 진료 효율을 높인다. 이는 병원(720)에 내원하여 대기하는 환자들(721)과 함께 비교될 수도 있으며, 의사는 의사 클라이언트와 병원 내 정보처리 시스템을 함께 보면서, 자연스럽게 원격의료를 보았다가 내원 환자를 보았다가 할 수 있다. 마치 원격의료를 통해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환자들도 진료실에서 대기하는 중에는 병원에 실제 내원하여 이름이 호출되기를 기다리는 환자와 함께 섞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격의료가 실제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 진료의 흐름을 깨지 않고 내원환자 진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되고, 의사는 이질적인 경험이 아니라 내원 환자를 보듯이 원격의료로 접속한 환자를 자연스럽게 진료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가 개별 환자 클라이언트의 상기 준비 상태를 평가하는 과정은 다양한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화에 기초할 수 있다. 이를테면 어떤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상기 준비 상태는,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연관된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람이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서 인식되는지 여부,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요청된 입력 정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미리 지정된 기준의 진료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도,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기존의 평균 진료 시간에 따라 평가되는 진료 순응도, 또는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가 만성 질환자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대기 중인 환자에게 예상 대기 시간 안내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상기 진료실에 입장시키는 경우, 예상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원격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환자의 입장에서도 대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들은 의사가 진료를 개시하고자 할 때는 언제든 그 환자가 화면을 보면서 의사와 바로 대면할 수 있게 진료실에서 기다리게 하는 것이므로, 예상 대기 시간 동안 해당 환자 클라이언트를 종료하거나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진료실에 들어온 환자이므로, 환자가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는 하되 진료 대기실에서 환자 클라이언트에 집중하며 기다리도록 한다. 이 과정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 제공이나 정보 입력 요청 등이 될 수 있다. 환자는 진료를 대기하고 있어야 의사의 시작에 의해 진료가 개시되므로 진료실 화면에 머물고, 이로써 상기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보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할 때, 이미 동일한 의사의 상기 진료실에 입장한 다른 환자 클라이언트들의 수, 또는 병원에 내원하여 상기 의사와의 대면 진료를 위해 병원 내에서 진료 대기 중인 환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이 경우,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은 상기 의사의 이전 원격의료 평균 진료시간에 현재 원격의료 대기 중인 선 접수 환자의 수를 곱한 제1 시간, 및 상기 의사의 이전 평균 진료시간에 현재 상기 병원에 내원하여 상기 의사의 진료를 대기하고 있는 환자의 수를 곱한 제2 시간의 합이 반영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진료가 시작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진료실에서 대기하던 환자는 의사(810)가 진료 개시를 하면 바로 단말기(101)의 화면을 통해 의사와 대면하여 진료를 시작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101: 환자 단말기
102: 의사 단말기
103: 병원 단말기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프로세서

Claims (10)

  1.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 단말에 연관되는 환자 클라이언트가 진료접수를 완료하고 진료실에 접속요청 하는 경우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상기 진료실에 입장시키고,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접속 중인 경우에 의사 단말에 연관되는 의사 클라이언트의 화상연결 접속을 처리하여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와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 사이의 화상연결을 시작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지를 반복하여 체크하고,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지의 여부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HTML 5 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활용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와 신호를 교환하고,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서 미리 지정된 응답을 하고 있는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환자 단말기에 연관되는 카메라에서 상기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사람이 식별되는 지의 여부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진료실 화면 상에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컨텐츠에 연관되어 인터페이싱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공 중단 입력,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컨트롤 입력,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추가 링크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에 등록된 것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통증스케일점수(VAS) 입력, 약물 부작용 정보 입력, 과거 진료에 대한 설문 응답 입력, 의사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사항 입력, 환자의 환부 사진 입력, 또는 환자의 증상 설명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청을 하고,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입력 요청에 대해 입력 중인지의 여부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환자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상기 진료실에 상기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각각의 환자 클라이언트의 진료 준비 상태를 각각 평가하여 그 결과를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환자 클라이언트 중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상기 준비 상태는: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연관된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요청된 입력 정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미리 지정된 기준의 진료 우선순위에 따른 우선도,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에 대해 기존의 평균 진료 시간에 따라 평가되는 진료 순응도, 또는 상기 제1 환자 클라이언트가 만성 질환자인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클라이언트를 상기 진료실에 입장시키는 경우, 예상 대기 시간을 제공하며,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은 이미 상기 진료실에 입장한 다른 환자 클라이언트들의 수, 또는 상기 의사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의사에 대해 병원내 진료 대기 환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은 상기 의사의 이전 원격의료 평균 진료시간에 현재 원격의료 대기 중인 선 접수 환자의 수를 곱한 제1 시간, 및 상기 의사의 이전 평균 진료시간에 현재 상기 병원에 내원하여 상기 의사의 진료를 대기하고 있는 환자의 수를 곱한 제2 시간의 합이 반영되어 계산되는 장치.
KR1020220189646A 2021-12-30 2022-12-29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04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21703 WO2023128692A1 (ko) 2021-12-30 2022-12-30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2296 2021-12-30
KR1020210192296 202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038A true KR20230104038A (ko) 2023-07-07

Family

ID=871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646A KR20230104038A (ko) 2021-12-30 2022-12-29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40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816B1 (ko) 2000-04-03 2003-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원격 의료 장치 및 방법
KR100844543B1 (ko) 2005-04-21 2008-07-08 씨엘아이티 주식회사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816B1 (ko) 2000-04-03 2003-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원격 의료 장치 및 방법
KR100844543B1 (ko) 2005-04-21 2008-07-08 씨엘아이티 주식회사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3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atient-care
Jadczyk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can improve patient management at the time of a pandemic: the role of voice technology
US11869659B2 (en)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US20170061074A1 (en)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US20060059556A1 (en) System for managing inactivity in concurrently operating executable applications
US10402926B2 (en) Multidevice collaboration
WO2020186905A1 (zh) 诊疗引导方法、装置和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78425A (zh) 按需全点远程医疗会诊的系统和方法
US20220122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pecialized Delivery of Telemedicine Services
KR101894188B1 (ko)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KR20220014740A (ko) 빅데이터 기반 의료정보 제공 플랫폼
Vorakulpipat et al. A mobile-based patient-centric passive system for guiding patients through the hospital workflow: design and development
US20170103171A1 (en) More-intelligent health care advisor
JP2019525337A (ja) 患者の状況、ユーザの役割、現在のワークフロー及びディスプレイの近接度に基づいて、ユーザ体験を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270253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 appropriat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and providing a healthcare referral
CN113744897A (zh) 网络问诊方法、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KR101818100B1 (ko)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04038A (ko)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11579B1 (ko)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2204054A1 (en)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WO2023128692A1 (ko)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9130495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薬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41273B1 (en) User friendly medical records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Yadav et al. Telemedicine using Machine Learning: A Boon
KR20230120597A (ko)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